KR101501975B1 -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 Google Patents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975B1
KR101501975B1 KR20140005918A KR20140005918A KR101501975B1 KR 101501975 B1 KR101501975 B1 KR 101501975B1 KR 20140005918 A KR20140005918 A KR 20140005918A KR 20140005918 A KR20140005918 A KR 20140005918A KR 101501975 B1 KR101501975 B1 KR 101501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buoy
drain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우현
Original Assignee
방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우현 filed Critical 방우현
Priority to KR2014000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04Cisterns with bell siphons
    • E03D1/05Cisterns with bell siphons with movable siphon bells
    • E03D1/053Cisterns with bell siphons with movable siphon bells which are pushed upwards by means of own buoyancy, springs, counterweigh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06Cisterns with tube siphons
    • E03D1/10Siphon action initiated by raising the water level in the cistern, e.g. by means of displacement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는 내부 저면에 새로운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 및 기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동 레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배수레버와, 상기 배수레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개폐유닛; 및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 위로 부상하는 부표를 구비하고, 상기 물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는 새로운 물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공급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부표의 일측에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에 가이드 체인의 일단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체인의 타단이 상기 물탱크 내부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매개로 상기 배수 레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부표는 외측에 제 1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물탱크의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상에 구비되는 제 2 자석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INTERNAL STRUCTURE OF TOILET CISTERN FOR PREVENT WASTE OF WATER}
본 발명은 물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물탱크 내부로의 물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변기의 물탱크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변기의 물탱크(10) 내부에는 급수구(10a)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필밸브(20)와, 물탱크(10) 내부에 채워진 물 위로 떠올라 필밸브(20)를 닫음으로써 물공급을 차단하고, 물이 빠지면 아래로 내려가 필밸브(20)를 열게 됨으로써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부표(30)와, 물의 높이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흘러넘치는 물을 빼내는 넘침관(40)과, 넘침관(40) 하부에 구비되어 물탱크(10) 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10b)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개(50)와, 필밸브(20)에 연통되어 물탱크(10) 내부 및 넘침관(40)의 내부로 물을 보내는 보충수 호스(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변기는 물탱크(10)의 외측에 설치된 수동 레버(70)를 회동시킴에 따라 물탱크(10) 내부에서 수동 레버(70)의 회동에 연동되어 배수 레버(80)가 상부로 올라가며, 이 배수 레버(80)의 단부에 연결된 리프트 체인(90)이 마개(50)를 들어올려 배수구(10b)를 개방하게 된다.
물탱크(10) 내부의 물은 배수구(10b)를 통해 배수되는 동시에 부표(30)는 하부로 내려가게 되며, 이에 따라 필밸브(20)는 부표(30)가 하부로 내려가는 동작에 연동되어 필밸브(20) 내부에 디스크 패킹이 열리면서 보충수 호스(60)로 물이 공급된다.
다음 물탱크(10) 내부에 물이 배출됨에 따라 마개(50)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배수구(10b)를 폐쇄하게 되며, 보충수 호스(60)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물탱크(10) 내부에 물이 서서히 채워짐에 따라 부표(30)는 상부로 올려가게 되어 필밸브(20) 내부에 디스크 패킹이 닫히면서 보충수 호스(60)로의 물공급이 중단된다.
도 2는 일반적인 변기의 물탱크에서 배수되는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0) 내부에 물이 배수구(10b)를 통해 변기의 보올(B)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사이펀의 원리가 적용되는 것으로서 높은 쪽에 위치한 물탱크(100)의 물을 대기압이 누르는 상태에서 배수구(10b)를 통해 물탱크(100)가 위치한 높이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변기의 보올(B)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보올(B)에 기저장된 물이 배출되도록 'U'자 형으로 굽은 형상의 사이펀 관(C)에 형성이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이펀 관(C)의 절곡된 부분의 높이보다 보올(B) 내부의 더 높은 높이로 물이 채워지게 되어 사이펀 관(C)의 절곡된 부분의 높이보다 높게 채워진 물의 양만큼 사이펀 관(C)을 통해 물이 배출된다.
한편, 변기의 물탱크(10) 구조상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러한 누수가 발생하는 시점을 파악하기 힘들고, 이로 인해 적시에 조치가 이루어 지지 않아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변기의 물탱크(10)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은 단순히 물이 새는 소리에만 의존하여 파악하게 되며,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는 화장실의 경우, 무한정으로 물탱크(10) 내부로 물이 공급되어 물이 낭비되기도 하였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076호에는 양변기의 하단에 회동판을 장착하고, 상기 회동관을 움직여 변기의 물이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수형 양변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절수형 양변기 구조'는 종래에 배출관이 상부로 솟은후 아래로 꺽이는 형상이 때문에 물이 상부로 솟은 구간만큼 더 공급이 되어야만 하수관으로 물이 배출되는 구조이나, 회동관을 조정 손잡이로 꺽어서 수평하기 위치시키면 곧바로 하수관으로 용변이 배출되어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변기의 물탱크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단순히 물이 새는 소리만으로 인지해야 하기 때문에 누수를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누수 발생시 조치를 취하기 이전까지 계속해서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076호 (2008. 05. 15.)
본 발명은 물탱크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물탱크 내부로의 물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물탱크 내부에서 누수발생시 수리 이전까지 물이 물탱크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물이 물탱크 내부에서 빠져나가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는 내부 저면에 새로운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 및 기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동 레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배수레버와, 상기 배수레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개폐유닛; 및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 위로 부상하는 부표를 구비하고, 상기 물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는 새로운 물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공급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부표의 일측에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에 가이드 체인의 일단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체인의 타단이 상기 물탱크 내부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매개로 상기 배수 레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부표는 외측에 제 1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물탱크의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상에 구비되는 제 2 자석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물탱크 내부의 일정량 이상의 물이 수용되면 일정량 이상 수용된 물만을 빼내는 넘침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상기 넘침관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넘침관에 결합된 위치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고, 상기 배수 레버는, 상기 물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그 단부에 상기 마개를 상부로 당겨주는 리프트 체인이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 체인은 상기 배수 레버가 결합되는 위치의 반대 측이 상기 마개가 상기 넘침관에 힌지 결합된 위치의 반대 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공급조절유닛은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급수구에 연결 설치되는 필밸브; 상기 필밸브의 내부로 그 외측이 연통되고, 그 일단이 물탱크 내부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그 타단이 상기 넘침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넘침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보충수 호스;및 상기 필밸브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구에 힌지 결합되고, 그 상단부에 상기 부표가 관통 고정되는 부표 축;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물탱크의 외측에서 상기 부표 축이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표가 회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부표 축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축 삽입부가 형성되는 바닥면;및 상기 바닥면의 상부로 설치되되 상기 부표의 외측에 설치된 상기 제 1 자석에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 형성되는 벽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표 축은 그 상단부에 상기 부표가 관통 설치되고, 상기 부표의 설치 높이를 설정 가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레일에 형성되고, 상기 벽면에는 상기 제 1 자석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그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 2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누수발생시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즉각적으로 물탱크 누수발생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관리자가 수시로 관리하기 힘든 공공화장실의 경우, 변기의 물탱크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부표가 자력에 의해 고정되어 물탱크 내부로의 물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구조가 단순하여 기존에 사용되는 변기의 물탱크 내부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변기의 물탱크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변기의 물탱크에서 배수되는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내부로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내부로 물이 빠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내부로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탱크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물탱크 내부로의 물공급을 차단하는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로서, 내부 저면에 새로운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100a) 및 기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100b)가 형성된 물탱크(100)와, 상기 물탱크(100)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동 레버(110)에 연동하여 상기 물탱크(100)의 배수구(100b)를 개폐하는 개폐유닛(300)과, 상기 물탱크(100) 내부로 공급되는 새로운 물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공급조절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물탱크(100)는 그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재질은 용도 및 비용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100)의 내부 저면에는 급수관이 연결되어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급수구(100a) 및 변기의 보올(B)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구(100b)가 형성된다.
변기 근방에 상수도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이 상기 물탱크(100) 외측에서 상기 급수구(100a)로 연결 설치되며, 급수관에는 차단밸브가 구비되어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압을 조절 및 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급수관은 왁스 링, 볼트, 와셔, 고무패킹 및 너트를 끼워 상기 물탱크의 급수구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물탱크(100)의 배수구(100b)에도 와셔를 끼워 변기의 변좌 후단에 상기 배수구(100b)에 대응되는 크기로 관통 형성된 배수공에 볼트, 와셔, 고무패킹 및 너트를 끼워 물탱크(100)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100)의 상부는 물탱크 커버(120)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물탱크(100)에 이상 발생시 물탱크(1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 커버(120)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물탱크(100)의 내측에는 가이드(200)가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200)는 상기 물탱크(100)의 내측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바닥면(210)과, 상기 바닥면(210)의 상부로 설치되되 상기 부표(410)의 외측에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 형성되는 벽면(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면(210)은 직상방에서 직하방으로 바라볼 때, 'ㄷ'자 형상을 갖고, 그 상면 중앙부에 상기 바닥면(210)에 수직으로 상기 벽면(220)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벽면(220)에는 그 높이방향을 따라 제 2 자석(221)이 다수개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개폐유닛(300)은 상기 물탱크(100)의 배수구(100b)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물탱크(100) 내부에 기저장된 물을 변기의 보올(B)로 공급 및 상기 물탱크(100) 내부로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100b)를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물탱크(100)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수용되면 일정량 이상 수용된 물만을 빼내는 넘침관(310)과, 상기 넘침관(310)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넘침관(310)에 결합된 위치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수구(100b)를 개폐하는 마개(320)와, 상기 물탱크(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동 레버(110)에 연동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배수 레버(230)를 포함한다.
상기 넘침관(31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되, 그 내부 및 상,하면이 개방되며, 상기 배수구(100b)에 근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특히, 상기 넘침관(310)의 높이는 상기 물탱크(100) 내부에서 물이 수용되는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320)는 상기 넘침관(310)의 하단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넘침관(310)의 하단에 결합된 위치를 축으로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320)는 상기 배수구(100b)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100b)를 밀봉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수구(100b)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물탱크(100) 내부에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마개(320)의 하면에는 패킹부재가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 레버(230)는 상기 수동 레버(110)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수동 레버(110)에 연결된 위치를 축으로 상하로 회동되고, 그 단부에 리프트 체인(340)의 일단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공(33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체인(340)의 타단은 상기 마개(320)의 상기 넘침관(310)에 고정 설치된 위치의 반대 측에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 체인(340)의 길이는 상기 수동 레버(110)가 회동하여 상기 마개를 들어오려 상기 배수구(100b)를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수동 레버(110)가 회동한 이후 상기 마개(320)가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구(100b)를 폐쇄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프트 체인(340)은 상기 배수 레버(230)에 연결 설치시 상기 결합공(330a)에 설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조절유닛(400)은 상기 물탱크(100) 내부 및 상기 넘침관(31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물탱크(100) 내부의 물 위로 부상하는 부표(410)와, 상기 물탱크(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급수구(100a)에 연결 설치되는 필밸브(420)와, 상기 필밸브(420)의 내부로 그 외측이 연통되고, 그 일단이 물탱크(100) 내부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그 타단이 상기 넘침관(3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넘침관(3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보충수 호스(440)와, 상기 필밸브(420)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구에 힌지 결합되고, 그 상단부에 상기 부표(410)가 관통 고정되는 부표 축(430);을 포함한다.
상기 부표(410)는 상기 물탱크(100) 내부에 저장되는 물에 의해 부력을 발생시켜 상기 물탱크(100) 내부에 저장되는 물 위로 부상되며, 그 내부에 상기 부표 축(430)의 상부가 인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부표(410)는 상기 물탱크(100) 내부에 저장된 물에 의해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주변 설비와 중첩되지 않는다면,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구현하였다.
특히, 상기 부표(410)에는 그 외측에 제 1 자석(411)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필밸브(420)는 그 내부로 상기 급수구(100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고, 이 물이 상기 보충수 호스(440)를 통해 상기 물탱크(100)의 내부 및 상기 넘침관(3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필밸브(420)와 상기 보충수 호스(440)가 연통되는 통로는 디스크 패킹에 의해 개폐되며, 이 디스크 패킹이 상기 필밸브(420)와 상기 보충수 호스(440)가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동작은 상기 부표 축(430)의 회동에 연동된다.
상기 보충수 호스(440)는 상기 필밸브(4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필밸브(420)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물탱크(100)의 내부 및 상기 넘침관(310)의 내부로 공급한다.
즉, 상기 보충수 호스(440)는 길고 둥근 대 형상을 갖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밸브(420)의 외측에 연통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충수 호스(440)는 그 일단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물탱크(100)의 내부로 채워지고, 그 타단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넘침관(3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 물은 변기의 보올(B)로 채워짐으로써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표 축(430)은 상기 필밸브(420)의 상단에 구비되는 고정구에 그 하단이 힌지 결합되며, 그 상부가 상기 부표(410)에 인입된다.
이때, 상기 부표 축(430)은 긴 대 형상을 갖고, 그 상부에 상기 부표(410)가 인입되어 고정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높이방향으로 톱니 형상의 레일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표 축(430)에 형성된 레일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부표가 고정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부표 축(430)이 상기 필밸브(420)의 직상방으로 배치될 때, 상기 부표(410)가 배치되는 위치가 상기 물탱크(100)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에 전술된 가이드(200)는 상기 물탱크(100)의 외측에서 상기 부표 축(430)이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의 바닥면은 상기 부표(410)가 회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전방에서 내측으로 상기 부표 축을 가이드하는 축 삽입부(210a)가 형성되어 회동하는 상기 부표 축(430)의 양측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00)의 벽면 전방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 2 자석(221)이 고정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부표(410)의 외측에 설치된 제 1 자석(411)과 인력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부표(410)가 회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자석(411)과 상기 제 2 자석(221)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져 서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2 자석(221)이 상기 가이드(200)의 벽면(220)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은 상기 물탱크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양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부표(410)가 상기 부표 축(430)의 높이방향으로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상기 부표 축(430) 상에 상기 부표(410)가 고정되는 위치에 맞춰 상기 부표(410)의 외측에 설치된 제 1 자석(411)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부표(410)의 일측에는 연결공(410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410a)에 가이드 체인(450)의 일단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체인(450)의 타단이 상기 물탱크(100) 내부에 구비되는 도르래(500)를 매개로 상기 배수 레버(230)에 연결 설치된다.
이는 상기 부표(410)의 외측에 설치된 제 1 자석(411)이 상기 가이드(200)의 벽면에 설치된 제 2 자석(221) 측으로 정확히 회동시키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내부로 물이 빠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00) 내부에는 급수구(100a)을 통해 공급된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수동 레버(110)를 회동시키게 되면 수동 레버(110)의 회동에 연동되는 배수 레버(230)가 수동 레버(110)에 연결된 위치를 축으로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배수 레버(230)가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그 단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체인(340)이 함께 상부로 이동하며, 리프트 체인(340)의 하단에 연결 설치된 마개(320)가 함께 회동하여 배수구(100b)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탱크(100) 내부에 물은 변기의 보올(B)로 채워지게 되며 변기의 보올(B)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기존에 변기의 보올(B)에 기저장된 물은 사이펀 관(C)을 따라 배출된다.
이 후, 물탱크(100) 내부에 물이 배출되어 그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마개(320)가 수면에 노출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배수구(100b)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수동 레버(110)의 회동에 의해 배수 레버(230) 및 리프트 체인(340)이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리프트 체인(340)에 연결 설치된 가이드 체인(450)이 상부로 올라가는 동시에 보충수 호스(440)의 일단으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부표(410) 및 부표 축(430)이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부표(410)의 외측에 제 1 자석(411)과 가이드(200)에 제 2 자석(221)이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부표(410)는 물탱크(100) 내부에 물이 배수구(100b)를 통해 빠져나감에 따라 점점 낮아지는 수위에 맞춰 부표 축(430)이 필밸브(420)의 고정구에 힌지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부로 회동하게 된다.
부표 축(430)이 하부로 회동하게 됨에 따라 필밸브(420) 내부의 디스크 패킹이 열려서 보충수 호스(440)를 통해 물탱크(100)의 내부와 넘침관(31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물탱크(10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됨에 따라 물탱크(100) 내부에 수위가 높아지며 이에 따라 부표(410)는 부표 축(430)과 함께 상부로 회동하게 되고, 부표(410) 및 부표 축(430)이 상부로 회동함에 따라 부표(410)의 외측에 설치된 제 1 자석(411)이 가이드(200)의 벽면에 설치된 제 2 자석(221)에 근접하면서 서로 인력이 작용하여 고정되면 필밸브(420) 내부의 디스크 패킹이 닫히면서 보충수 호스(440)를 통해 물탱크(100)의 내부와 넘침관(310)의 내부로의 물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물탱크 10a: 급수구
10b: 배수구 20: 필밸브
30: 부표 40: 넘침관
50: 마개 60: 보충수 호스
70: 수동 레버 80: 배수 레버
90: 리프트 체인 B: 보올
C: 사이펀 관
100: 물탱크 100a: 급수구
100a: 배수구 110: 수동 레버
120: 물탱크 커버 200: 가이드
210: 바닥면 210a: 축 삽입부
220: 벽면 221: 제 2 자석
300: 개폐유닛 310: 넘침관
320: 마개 330: 배수 레버
330a: 결합공 340: 리프트 체인
400: 공급조절유닛 410: 부표
411: 제 1 자석 410a: 연결공
420: 필밸브 430: 부표 축
440: 보충수 호스 450: 가이드 체인
500: 도르래

Claims (6)

  1. 내부 저면에 새로운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 및 기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동 레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배수레버와, 상기 배수레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개폐유닛; 및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 위로 부상하는 부표를 구비하고, 상기 물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는 새로운 물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공급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부표의 일측에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에 가이드 체인의 일단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체인의 타단이 상기 물탱크 내부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매개로 상기 배수 레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부표는 외측에 제 1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물탱크의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상에 구비되는 제 2 자석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물탱크 내부의 일정량 이상의 물이 수용되면 일정량 이상 수용된 물만을 빼내는 넘침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상기 넘침관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넘침관에 결합된 위치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고,
    상기 배수 레버는, 상기 물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그 단부에 상기 마개를 상부로 당겨주는 리프트 체인이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 체인은 상기 배수 레버가 결합되는 위치의 반대 측이 상기 마개가 상기 넘침관에 힌지 결합된 위치의 반대 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급조절유닛은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급수구에 연결 설치되는 필밸브;
    상기 필밸브의 내부로 그 외측이 연통되고, 그 일단이 물탱크 내부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그 타단이 상기 넘침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넘침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보충수 호스;및
    상기 필밸브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구에 힌지 결합되고, 그 상단부에 상기 부표가 관통 고정되는 부표 축;을 포함하는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물탱크의 외측에서 상기 부표 축이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표가 회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부표 축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축 삽입부가 형성되는 바닥면;및
    상기 바닥면의 상부로 설치되되 상기 부표의 외측에 설치된 상기 제 1 자석에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 형성되는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표 축은 그 상단부에 상기 부표가 관통 설치되고, 상기 부표의 설치 높이를 설정 가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레일에 형성되고,
    상기 벽면에는 상기 제 1 자석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그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 2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6. 삭제
KR20140005918A 2014-01-17 2014-01-17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KR101501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5918A KR101501975B1 (ko) 2014-01-17 2014-01-17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5918A KR101501975B1 (ko) 2014-01-17 2014-01-17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975B1 true KR101501975B1 (ko) 2015-03-17

Family

ID=5302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5918A KR101501975B1 (ko) 2014-01-17 2014-01-17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9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473U (ko) * 1998-05-20 1999-12-15 이진하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348995Y1 (ko) 2004-02-03 2004-04-29 정병호 양변기의 급수장치
KR200422402Y1 (ko) 2006-02-24 2006-07-26 이남숙 양변기의 물내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473U (ko) * 1998-05-20 1999-12-15 이진하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348995Y1 (ko) 2004-02-03 2004-04-29 정병호 양변기의 급수장치
KR200422402Y1 (ko) 2006-02-24 2006-07-26 이남숙 양변기의 물내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4929B (zh) 一种漏水保护装置
CA2932337C (en) Min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CN104033647B (zh) 一种进水阀的防止小漏水装置
KR20150046978A (ko) 양변기 물 내림 장치
KR101501975B1 (ko) 물 낭비 방지용 변기의 물탱크 구조
CN206298940U (zh) 一种马桶压力发生装置、水箱和马桶
KR20070102291A (ko) 변기의 정전시 세정수 누출차단장치
CN202000439U (zh) 一种漏水保护装置
US4993086A (en) Emergency shut-off mechanism for flush tank
JP2014224432A (ja) 便器洗浄装置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KR100742589B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20080111240A (ko)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CN205577046U (zh) 用于控制水向外排放的装置
KR200339326Y1 (ko) 부동 급수주의 흡기구조
KR101135953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200372364Y1 (ko) 부체수문을 이용한 자동 수로개폐장치
RU2175044C2 (ru) Клапан попутного давления
KR101698729B1 (ko) 양변기 물탱크 누수 지속 차단 장치
KR200323044Y1 (ko) 좌변기 물통 후레쉬 밸브(사이펀)
CN207499091U (zh) 一种自来水辅助喷射冲洗装置及坐便器
KR200263370Y1 (ko) 상수도 직수압 유지기능 저수탱크
CN207453028U (zh) 一种排水阀可延时及瞬间开启装置
KR100441454B1 (ko) 유체자동정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