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968B1 -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968B1
KR101501968B1 KR1020137028845A KR20137028845A KR101501968B1 KR 101501968 B1 KR101501968 B1 KR 101501968B1 KR 1020137028845 A KR1020137028845 A KR 1020137028845A KR 20137028845 A KR20137028845 A KR 20137028845A KR 101501968 B1 KR101501968 B1 KR 101501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mbsfn subframe
subframe
transmiss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3126A (ko
Inventor
리 첸
팡리 수
유 딩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3014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여기서 미리 정해진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특정한 단말기 장치에 대해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데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과정에 대한 추가 및 수정이 없으므로 단말기 장치의 전력 소모가 종래기술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MBSFN에서 PDSCH 전송이 실행된다.

Description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DATA}
본 발명은 2011년 3월 31일 중국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data"인 중국특허출원 No. 201110080296.9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포함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디미어 브로드캐스트 멀티미디어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 Multimedia Service: MBMS)는 무선 셀 내의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롱텀에볼루션(LTE) 시스템에서는, 논-MBMS 서비스가 공유하는 주파수 계층 및 MBMS 전용 주파수 계층 모두에 MBMS가 제공된다. MBMS 가능 LTE 셀은 MBMS 전용 셀 또는 MBMS/유니캐스트 혼합 셀일 수 있다. MBMS 트래픽은 단일 셀 또는 복수 셀에 의해 집합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MBMS 트래픽의 멀티-셀 전송에서는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전송이 가능하여야 한다.
MBSFN이란 동일한 시간 및 동일한 주파수에서 복수 셀에 의해 동기화된 전송을 말한다. MBSFN 전송 모드는 주파수 자원을 절감하고 주파수 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복수 셀에 의해 동일한 정보가 동일한 시간에 전송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MBSFN은 사용자 기기(UE)의 수신기에 의해 대형 셀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므로 UE는 인접 셀에서의 전송에 의해 생기는 인터-셀 간섭으로부터 영향받지 않을 것이고; 대신, UE는 복수의 MBSFN 셀로부터의 신호의 중첩으로부터 수혜를 입을 것이다. MBSFN 전송 모드는 MBMS 전용 셀 및 MBMS/유니캐스트 하이브리드 셀 모두에 의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UE 수신기에 고급 기술을 채택함으로써 인트라-셀 간섭을 제거하여 다중-경로 전파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또한, 다중 셀 공동 주파수 전송에 의해 생성되는 다이버시티는 사각지대 커버리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수신 신뢰성 및 커버리지 비율을 높일 수 있다.
MBMS 다중 셀 전송의 기술적 특징은 이하를 포함한다:
(1) MBSFN 도메인 내에서 MBMS의 동기 전송;
(2) 다중 셀로부터 MBMS 전송의 조합에 대한 지원;
(3)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ulticast Traffic Channel: MTCH) 및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ulticast Control Channel: MCCH)을 포함하는 로직 채널의 점대다점(Point to Multipoint: PTM) 전송을 위한 전달 채널, 즉 멀티캐스트 채널에의 매핑, 그런 다음 물리 채널, 즉 물리 멀티캐스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s: PMCH)에의 매핑;
(4) 이 MBSFN 동기 영역은 예를 들어 동작 및 유지보수(operation and maintenance: O&M)를 통해 세미스태틱 방식(semi-static manner)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5)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최초 1~2 심벌은 유니캐스트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유지하기 위한 제어 심벌이고, 나머지 부분은 전송된 MBMS 트래픽이 있는 PMCH를 유지하는 데이터 필드이다.
MBMS 전송과 관련된 로직 채널은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 MCCH 및 MTCH를 주로 포함한다.
채널의 함수는 다음과 같다:
(1) BCCH: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은 네트워크가 UE에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것이다. MBMS에 있어서, 전송될 수 있는 2가지 유형의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있는데, 즉 모든 MBSFN 서브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한 SIB2; 통지 서브프레임(통지 방식은 MCCH 수정에 대한 통지를 위한 것이다) 및 MC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SIB13이 있다. 스케줄 커맨드는 통지 및 MCCH를 유지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2) MCCH: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ulticast Control Channel)은 점대다점 다운링크 채널이며, 네트워크가 MBSFN 도메인 내의 MBMS와 관련된 제어 정보를 UE에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MCCH는 하나 또는 복수의 MTCH에 대응할 수 있다(즉, 복수의 MTCH의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CCH는 MBSFN 도메인 내의 서브프레임 할당에 대한 정보, PMCH(또는 MCH)의 구성 정보(예를 들어, MBMS 세션 정보, 데이터 MCS 포맷 구성, PMCH 서브프레임 위치 및 스케줄링 주기 등)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3) MTCH: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ulticast Traffic Channel)은 점대다점 다운링크 채널이며, 네트워크가 UE에 MBMS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네트워크는 BCCH(SIB2, SIB13)를 사용하여, MCCH의 구성 정보를 UE에 통지하고, 그런 다음 MCCH를 사용하여 UE에 (P) MCH 정보를 제공한다. UE는 (P) MCH로부터 MCH 스케줄링 정보(MSI)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MTCH로부터 MBMS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다. MBMS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MBSFN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MSI MAC 제어 요소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MBMS 서비스 영역과 MBSFN 동기화된 영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물리 계층 프로토콜은 LTE R10의 단말기가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에서 전송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DL-SCH)을 수신하기 위해 MBMS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게 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송 모드 8(TM8) 또는 전송 모드 9(TM9) 하에서 작업하도록 기지국이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만이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R10 사양에서, 물리 계층은 안테나 포트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채택되는 MIMO 전송 모드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TM8 및 TM9는 R10에 의해 제안된 2가지 전송 모드이다. 더 상세한 설명은 3GPP 36.213.8.1에 나와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생각하는 중에, 발명자는 종래기술에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종래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따르면, 단말기는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SIB2에 의해 표시된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데, 즉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유니캐스트 다운링크 전송을 수신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MBSFN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심벌로부터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를 수신하는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종래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물리 계층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기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없다.
단말기가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SIB2에 의해 표시된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간단히 제안된다면, 단말기는 모든 MBSFN 서브프레임을 수신하고, PDCCH를 분석하며,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전송이 있는지를 판정할 것이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MBMS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말기만이 대응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수신해야 하고, 다른 단말기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음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한다. 일반적으로, 소량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이 존재한다. 모든 단말기가 모든 MBSFN 서브프레임을 수신하게 되면 단말기는 전력을 너무 많이 소모하게 될 것이며, 이는 자원 소모 면에서 가치가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PDSCH 스케줄링 및 전송을 실행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하나의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는 구성 모듈;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정하는 확정 모듈; 및
상기 확정 모듈에 의해 확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구성 모듈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하나의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프로세싱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기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장치를 위한 전송 모드를 구성하는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 메시지에 의해 상기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는 확정에 응답해서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상기 MBSFN 서브프레임 내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 장치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장치를 위한 전송 모드를 구성하는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표시 메시지에 의해 상기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는 확정에 응답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 및
상기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상기 MBSFN 서브프레임 내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싱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 방식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특정한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데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과정에 대한 추가 및 수정이 없으므로 단말기 장치의 전력 소모가 종래기술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MBSFN에서 PDSCH 전송이 실행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MBMS 서비스 영역과 MBSFN 동기화된 영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단말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적용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적용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배경기술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물리 계층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기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없다.
단말기가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SIB2에 의해 표시되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제안되면, 모든 단말기가 MBSFN 서브프레임을 수신해야 할 것이고, 결국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MBMS 전송이 차지하지 않는 이용 가능한 MBSFN 서브프레임이 존재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정된 전송 모드 하에서 작동하는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할 때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주개념은: 지정된 전송 모드에서 단말기 장치에 PDSCH를 전송하는 데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이란 MBMS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MBSFN 서브프레임을 말하며 유니캐스트 전송에 사용될 수 없는 다른 MBSFN 서브프레임, 예를 들어 DeNB와 릴레이에 사용되는 백홀 서브프레임(backhaul subframe), 포지셔닝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를 유지하면서 포시셔닝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을 제거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이하의 과정을 포함한다.
블록 S201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한다.
블록 S202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정한다.
이 과정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SIB2에 의해 표시된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의 MBMS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아닌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확정하거나; 또는
기지국은, SIB2에 의해 표시된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의 MBMS 전송을 위한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아닌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확정한다.
다른 목적을 위한 서브프레임은,
DeNB와 릴레이(relay) 간의 전송에 사용되는 백홀(backhaul) 서브프레임; 및/또는
PRS를 유지하면서 포지셔닝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S203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하나의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스케줄링 및 전송이 수행되는 단말기 장치가 상이한 것과 관련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식은 이하의 2가지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 1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든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 1에 따르면, 기지국은 블록 S201에서 구성된 지정된 전송 모드의 정보에 기초해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방법 2는: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일부의 단말기 장치를 선택하고,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기 장치에만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한다.
방법 2는 먼저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기 장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필요로 한다. 구체적으로,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기 장치를 확정하는 방법은 이하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1. 기지국이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단말기 장치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스케줄링 요구를 수신하면, 기지국은 그 단말기 장치가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것으로 확정한다.
2. 기지국이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단말기 장치에 의해 송신된 버퍼 상태 보고를 수신하고 단말기 장치의 버퍼에서 보고되는 단말기 장치의 데이터량에 대한 스케줄링을 완료하지 않았다면, 기지국은 단말기 장치가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것으로 확정한다.
3. 기지국이 현재 타임 스폿에서 주기적인 데이터의 도착을 검출하고 주기적인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미리 정해진 자원이 없으면, 기지국은 단말기 장치가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것으로 확정한다.
전술한 방식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특정한 확정 기준과 관련해서, 이러한 확정 방법에 대한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전술한 방법 2는 단말기 장치가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판정을 도입하고 및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이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에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방법 1과 다르다.
방법 2는 2가지 이점이 있다: 단말기 장치가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단말기 장치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으므로 PDCCH를 분석하지 않으며; 단말기 장치가 업링크 전송을 수행해야 할 때, 단말기 장치는 MBSFN 서브프레임을 수신하고 PDCCH를 분석해야 하며, 이와 같이 하는 것은 단말기 장치의 오버헤드에 가산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지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다운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가 업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DCI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방법 2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전력 소모에 관한 성능은 종래의 프로토콜에 따른 전력 소모와 동일하다. 방법 1에 따라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 장치는 모든 MBSFN 서브프레임을 수신하고 모든 MBSFN 서브프레임 내의 PDCCH를 분석해야 하므로 전력을 더 소모할 수 있다.
전술한 확정 프로세스 후에, 기지국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고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 장치에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한다.
실제의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는, 특정한 전송 모드가 전송 모드 9일 수 있다.
전술한 기술 방식에 대응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제공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고, 이하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S301에서, 단말기 장치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단말기 장치를 위한 전송 모드를 구성하는 표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블록 S302에서, 표시 메시지에 의해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는 확정에 응답해서 단말기 장치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고,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
블록 S103에서 설명된 2가지 방법에 대응해서, 단말기 장치가 블록 S302에서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확정할 때 2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블록 S103에서의 방법 1에 대응해서, 표시 메시지에 의해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는 한 단말기 장치는 PDCCH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전송의 스케줄링 정보를 검출한다.
블록 S103에서의 방법 2에 대응해서, 표시 메시지에 의해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고 단말기 장치가 현재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단말기 장치는 PDCCH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전송의 스케줄링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실제의 필요 및 기지국의 구성에 기초해서 2가지 기술 방식 중 하나를 채택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으며, 변형 역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검출이 완료된 후, 블록 S303에서의 과정은 단말기 장치에 대해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단말기 장치에 대해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데이터 전송 프로세싱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블록 S303에서, 단말기 장치는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MBSFN 서브프레임 내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수신한다.
전술한 블록 S302에서의 검출을 수행할지를 확정하는 기준으로서 어느 기술 방식을 채택하든 간에, 후속의 PDCCH 수신 및 대응하는 검출을 위해 이하의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방식 1은 SIB2 구성에 기초한다.
단말기 장치는 SIB2에 의해 구성된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의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수신하고,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
방식 2는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 기초한다.
단말기 장치가 MBMS 구성 정보, 및/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MBSFN 방식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기 장치는 MBMS 구성 정보를 위한 서브프레임 및/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인한다.
단말기 장치가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수신하였다면, 단말기 장치는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검출하고, 여기서 상기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은 SIB2에 의해 구성된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중에 있거나, 또는 상기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중에 있고 MBMS 전송 서브프레임 또는 다음과 같이 다른 목적을 위한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니다:
DeNB와 릴레이(relay) 간의 전송에 사용되는 백홀 서브프레임, 및/또는
PRS를 유지하면서 포지셔닝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전술한 2가지 방식 중 임의의 하나를 필요에 따라 수신 프로세싱에 채택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실제의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는, 특정한 전송 모드가 전송 모드 9일 수 있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 방식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특정한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데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과정에 대한 추가 및 수정이 없으므로 단말기 장치의 전력 소모가 종래기술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MBSFN에서 PDSCH 전송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식에 대해 몇 가지 어플리케이션을 언급하면서 이하와 같이 설명한다.
특정한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실시예의 기술 방식은 PDSCH를 전송하는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하도록 허용되는 단말기 장치가 다음과 같이 되도록 반영할 수 있다:
(1) 전송 모드 9 하에서 작업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단말기 장치, 및/또는
(2)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 장치.
실시예에서, 단말기 장치는,
업링크 데이터 버퍼가 비어 있을 때; 또는
업링크 데이터 버퍼가 비어 있지 않고 기지국이 단말기 장치에 업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개시할 때; 또는
업링크 데이터 버퍼가 비어 있지 않고, 기지국이 단말기 장치에 업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개시하지 않으며, 업링크 스케줄링 요구가 단말기 장치에 의해 전송되었을 때,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정된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프로세싱 과정에 대해 이하의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에서, 기지국은 전송 모드 9 하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든 단말기 장치에 대해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다운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한다. 프로세싱 흐름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될 수 있다.
블록 S401에서, 기지국은 일부의 단말기가 전송 모드 9를 채택하도록 구성한다.
단말기 장치로 이루어진 집합을 단말기 집합 1이라 한다.
블록 S402에서, 단말기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구성 커맨드를 수신하고, 전송 모드를 확인한다.
블록 S403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정한다.
블록 S403에서의 과정은 블록 S401에서의 과정이 완료된 후 즉시 수행될 수 있고, 블록 S402에서의 과정 후에는 반드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인덱스 번호는 단지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채용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블록 S404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단말기 집합 1 내의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스케줄링 및 전송을 수행한다.
블록 S405에서, 단말기 장치가 전송 모드 9를 채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단말기 장치는 SIB2에 의해 구성된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PDCCH를 수신하고,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DL) 할당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며, 단말기 장치에 대한 DL 할당이 존재하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PDSCH에서 DL-SCH를 MBSFN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수신한다.
블록 S405'에서, 단말기 장치가 전송 모드 9로 구성되어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단말기 장치는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해 기본적인 판정을 수행하고,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PDCCH를 수신하고, 단말기 장치에 대한 DL 할당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며, 단말기 장치에 대한 DL 할당이 존재한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PDSCH에서 DL-SCH를 MBSFN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수신한다.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판정 과정은 블록 S302에서 설명하였으며, 그러므로 여기서는 추가로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2에서, 기지국은 전송 모드 9 하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업링크 전송을 가지는 단말기 장치에 대해 미사용된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다운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한다. 프로세싱 흐름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될 수 있다.
블록 S501에서, 기지국은 전송 모드 9를 가지는 일부의 단말기 장치를 구성한다.
단말기 장치는 단말기 집합 1이라 하는 집합을 형성한다.
블록 S502에서, 단말기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구성 커맨드를 수신하고, 전송 모드를 확인한다.
블록 S503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정하고,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기 집합 1 내의 단말기 장치를 확정한다.
확정된 단말기 장치로 이루어진 집합을 단말기 집합 2라 한다.
S503에서의 과정은 블록 S501에서의 과정이 완료된 후 즉시 수행될 수 있고, 블록 S502에서의 과정 후에는 반드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인덱스 번호는 단지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채용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블록 S504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단말기 집합 2 내의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스케줄링 및 전송을 수행한다.
블록 S505에서, 단말기 장치가 전송 모드 9(tm9)를 채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단말기 장치는 SIB2에 의해 구성된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PDCCH를 수신하고, DL 할당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며, DL 할당이 존재하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MBSFN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수신한다.
블록 S505'에서, 단말기 장치가 tm9를 채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단말기 장치는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과 관련해서 판정을 수행하고, 확정된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PDCCH를 수신하고, DL 할당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며, DL 할당이 존재한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MBSFN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수신한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 방식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특정한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데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과정에 대한 추가 및 수정이 없으므로 단말기 장치의 전력 소모가 종래기술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MBSFN에서 PDSCH 전송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기지국을 제공한다. 기지국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하의 구성요소: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는 구성 모듈(61);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정하는 확정 모듈(62); 및
확정 모듈(62)에 의해 확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구성 모듈(61)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하나의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프로세싱 모듈(63)
을 포함할 수 있다.
확정 모듈(62)은,
MBMS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아닌, SIB2에 의해 표시되는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확정하거나; 또는
MBMS 전송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아닌, SIB2에 의해 표시되는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확정하도록 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프로세싱 모듈(63)은,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구성 모듈(61)에 의해 구성되고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모든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도록 될 수 있다.
다른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확정 모듈(62)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기 장치를 확정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해서, 프로세싱 모듈(63)은,
확정 모듈(62)에 의해 확정된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도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기 장치를 제공한다. 단말기 장치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하의 구성요소: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단말기 장치를 위한 전송 모드를 구성하는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71);
수신 모듈(71)에 의해 수신된 상기 표시 메시지에 의해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는 확정에 응답해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고,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72); 및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상기 MBSFN 서브프레임 내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싱 모듈(73)
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모듈(72)은 또한,
수신 모듈(71)에 의해 수신된 표시 메시지에 의해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고 단말기 장치가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고,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해서, 검출 모듈(72)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SIB2에 의해 구성된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의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고,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검출 모듈(72)은,
수신 모듈이 MBMS 구성 정보 및/또는 다른 목적에 사용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면, MBMS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및/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인하고; 그리고
SIB2에 의해 구성된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에 있고 MBMS 정보를 위한 서브프레임 및/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될 수 있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 방식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특정한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데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 과정에 대한 추가 및 수정이 없으므로 단말기 장치의 전력 소모가 종래기술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MBSFN에서 PDSCH 전송이 실행된다.
전술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식은, 비일시적 저장 매체(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디스크, 이동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수 개의 명령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각각의 도면은 실시예의 개략도에 지나지 않으며, 도면에서의 모든 모듈 및 과정은 본 발명을 실행하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 내의 모듈은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 내에 위치할 수 있거나, 이에 따라 변형이 이루어질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장치 내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결합될 수 있거나, 복수의 서브 모듈로 더 분할될 수도 있다.
실시예의 인덱스 번호는 단지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실시예의 우선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바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범위 내에 있고 당업자가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의해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5)

  1.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하나의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MBMS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아닌, SIB2에 의해 표시되는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이, MBMS 전송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아닌, SIB2에 의해 표시되는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목적을 위한 서브프레임은,
    DeNB와 릴레이(relay) 간의 전송에 사용되는 백홀(backhaul) 서브프레임, 및/또는
    PRS를 유지하면서 포지셔닝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하나의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모든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하나의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이,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기 장치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기 장치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단말기 장치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스케줄링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장치가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단말기 장치에 의해 송신된 버퍼 상태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 장치의 버퍼에서 보고되는 상기 단말기 장치의 데이터량에 대한 스케줄링을 완료하지 않았다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장치가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기지국이 현재 타임 스폿에서 주기적인 데이터의 도착을 검출하고 상기 주기적인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미리 정해진 자원이 없으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장치가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하나의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는 전송 모드 9인,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7.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는 구성 모듈;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정하는 확정 모듈; 및
    상기 확정 모듈에 의해 확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구성 모듈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하나의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는 프로세싱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확정 모듈은,
    MBMS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아닌, SIB2에 의해 표시되는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확정하도록 되어 있거나,
    MBMS 전송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아닌, SIB2에 의해 표시되는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확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다른 목적을 위한 서브프레임은,
    DeNB와 릴레이(relay) 간의 전송에 사용되는 백홀(backhaul) 서브프레임, 및/또는
    PRS를 유지하면서 포지셔닝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을 포함하는,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구성 모듈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모든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기지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또한,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기 장치를 확정하도록 되어 있는, 기지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확정 모듈에 의해 확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 중 스케줄링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기 장치에 다운링크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링 및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기지국.
  11.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장치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장치를 위한 전송 모드를 구성하는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상기 표시 메시지에 따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상기 MBSFN 서브프레임 내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장치가 MBMS 구성 정보 및/또는 다른 목적에 사용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기 장치가, MBMS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및/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장치가, SIB2에 의해 구성된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에 있고 MBMS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아닌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수신하거나, 또는, SIB2에 의해 구성된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에 있고 MBMS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목적을 위한 MBSFN 서브프레임은,
    DeNB와 릴레이 간의 전송에 사용되는 백홀 서브프레임, 및/또는
    PRS를 유지하면서 포지셔닝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상기 표시 메시지에 따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메시지에 의해 상기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는 확정에 응답해서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표시 메시지에 의해 상기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단말기 장치가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SIB2에 의해 구성된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의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전송 모드는 전송 모드 9인,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15.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장치를 위한 전송 모드를 구성하는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상기 표시 메시지에 따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 및
    상기 단말기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어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PDSCH에서 전송된 DL-SCH를 상기 MBSFN 서브프레임 내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싱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MBMS 구성 정보 및/또는 다른 목적에 사용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면, MBMS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및/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MBSFN 서브프레임을 확인하고; 그리고
    SIB2에 의해 구성된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에 있고 MBMS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이 아닌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거나, SIB2에 의해 구성된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에 있고 MBMS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미사용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단말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표시 메시지에 의해 상기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는 확정에 응답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표시 메시지에 의해 상기 단말기 장치가 지정된 전송 모드를 채택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단말기 장치가 전송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는 확정에 응답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단말기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PDCCH를 SIB2에 의해 구성된 MBSFN 서브프레임 집합 내의 MBSFN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단말기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37028845A 2011-03-31 2012-01-05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01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080296.9 2011-03-31
CN201110080296.9A CN102143597B (zh) 2011-03-31 2011-03-31 下行数据的传输方法和设备
PCT/CN2012/070075 WO2012129970A1 (zh) 2011-03-31 2012-01-05 下行数据的传输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126A KR20130143126A (ko) 2013-12-30
KR101501968B1 true KR101501968B1 (ko) 2015-03-12

Family

ID=4441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845A KR101501968B1 (ko) 2011-03-31 2012-01-05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022975A1 (ko)
EP (1) EP2693824A4 (ko)
KR (1) KR101501968B1 (ko)
CN (1) CN102143597B (ko)
WO (1) WO2012129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3597B (zh) * 2011-03-31 2014-02-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下行数据的传输方法和设备
EP3079273B1 (en) 2011-05-03 2019-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receiving mbms service processing semi-permanent scheduling from mbsfn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871617B (zh) * 2012-12-17 2018-11-1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管理针对无线接入承载的请求的方法和无线网络节点
US9769628B2 (en) * 2013-02-01 2017-09-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BSFN subframe
US10972878B2 (en) 2015-10-13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cast based multimedia service
CN105392123B (zh) * 2015-11-16 2019-01-22 北京博信视通科技有限公司 一种多媒体广播/多播数据的传输方法和装置
CN107295640B (zh) * 2016-04-01 2023-05-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发送下行信号和/或下行信道的方法和装置
WO2017201705A1 (zh) * 2016-05-26 2017-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单播数据的传输方法及设备
US10273795B1 (en) * 2018-02-22 2019-04-30 Jianying Chu Intelligent tool bus network for a bottom hole assembly
CN113692035B (zh) * 2021-08-16 2022-09-30 紫光展锐(重庆)科技有限公司 一种mbsfn子帧接收方法及通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145A (ko) * 2004-05-07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송 모드를 고려하여 효율적으로서비스를 통지하는 방법
US20100009687A1 (en) * 2008-04-28 2010-01-14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efficient mbms downlink radio resource re-use for other downlink traffic
KR20100018453A (ko) * 2008-08-06 2010-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998281A (zh) * 2009-08-11 2011-03-3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传输数据的方法、系统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21850A (zh) * 2008-02-29 2009-09-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bms业务资源使用信息的传递方法、业务切换方法
CN101800936B (zh) * 2009-02-11 2015-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广播组播业务控制信令的发送方法及基站
WO2010098581A2 (en) * 2009-02-26 2010-09-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data in mbsfn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67720B2 (en) * 2009-06-15 2013-06-18 Htc Corporation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transmiss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1632739B1 (ko) * 2009-06-18 2016-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릴레이 장치
US20100329211A1 (en) * 2009-06-29 2010-12-30 Ou Meng-Hui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ter-RAT Handover
US20110013574A1 (en) * 2009-07-16 2011-01-20 Chia-Chun Hsu Method of Handling Unicast Transmission o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ubframe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N105187113B (zh) * 2009-08-14 2018-06-29 交互数字技术公司 中继节点以及在中继节点中实施的用于接收r-pdcch的方法
US8989174B2 (en) * 2009-10-06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MBSFN subframe generation and processing for Unicast
US8804586B2 (en) * 2010-01-11 2014-08-12 Blackberry Limited Control channel interference management and extended PDCCH for heterogeneous network
KR101757299B1 (ko) * 2010-03-26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CN104469889B (zh) * 2010-06-13 2018-06-26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对终端发送指示服务区域的计数响应消息的方法及其设备
CN102083003A (zh) * 2010-09-30 2011-06-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mbms状态请求、反馈的方法及装置
CN102143597B (zh) * 2011-03-31 2014-02-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下行数据的传输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145A (ko) * 2004-05-07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송 모드를 고려하여 효율적으로서비스를 통지하는 방법
US20100009687A1 (en) * 2008-04-28 2010-01-14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efficient mbms downlink radio resource re-use for other downlink traffic
KR20100018453A (ko) * 2008-08-06 2010-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998281A (zh) * 2009-08-11 2011-03-3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传输数据的方法、系统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3824A4 (en) 2015-04-29
EP2693824A1 (en) 2014-02-05
CN102143597B (zh) 2014-02-05
KR20130143126A (ko) 2013-12-30
US20140022975A1 (en) 2014-01-23
CN102143597A (zh) 2011-08-03
WO2012129970A1 (zh)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968B1 (ko)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8942156B2 (en) Method for supporting enhanc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EMBMS),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MBMS control channel (MCCH) modification notice
EP35223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in user equipment of supportin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KR10204118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이 mbsfn 서브프레임에서 반영구적 스케쥴링 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66619B1 (ko) 단일 셀 멀티전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EP2134103B1 (en) Scheduling method directed to mbms, scheduling device and base station including scheduling device
CN102264039B (zh) 一种实现半持续调度传输的方法及装置
US10979945B2 (en) Device to reduce consumption of radio resources of a macrocell
US8660052B2 (e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and acquir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 multicast system
WO2019161927A1 (en) Multicast traffic area management and mobility for wireless network
EP2730045B1 (en) Relaying multicast data in a wireless network
JP6074496B2 (ja) 物理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の検出方法およびデバイス
CN101867874B (zh) 一种控制信息变化的通知和确定方法、系统及装置
US10506549B2 (en) Paging message sending method, paging message receiving method, and device
US2013015593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figuring energy-saving cell
CN109756314A (zh) 一种随机接入响应的发送方法和系统
US10517008B2 (en) Apparatus
CN102118690A (zh) 进行mbsfn类小区测量的方法和装置
CN102164347A (zh) Mcch修改通知及修改通知发送配置信息的发送方法及设备
KR20180050128A (ko) NB-IoT 시스템에서 SC-PTM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