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152B1 -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152B1
KR101501152B1 KR1020090059732A KR20090059732A KR101501152B1 KR 101501152 B1 KR101501152 B1 KR 101501152B1 KR 1020090059732 A KR1020090059732 A KR 1020090059732A KR 20090059732 A KR20090059732 A KR 20090059732A KR 101501152 B1 KR101501152 B1 KR 101501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fh
change
common control
control message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873A (ko
Inventor
조영보
이미현
채성현
강희원
장영빈
조기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497,309 priority Critical patent/US8310987B2/en
Priority to PCT/KR2009/003651 priority patent/WO2010002222A2/en
Publication of KR2010000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28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 H04L25/03866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using scram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의 동작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퍼프레임들의 범위에서 송신 주기가 변화 가능한 S-SFH/SP1(Secondary-Super Frame Header/Sub-Packet1)의 변경 시, 그룹 구성 변경 계수(GCCC : Group Configuration Change Counter)를 변경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 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P-SFH(Primary-Super Frame Header) 메시지, S-SFH/SP1 메시지 및 별도의 공통 제어 메시지를 대표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설정하고, 각 공통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별도의 변경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공통 제어 채널로 전송되는 정보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90059732
공통 제어 채널, 그룹 구성 변경 계수(GCCC : Group Configuration Change Counter), 공통 제어 메시지, 공통 제어 메시지 변경 계수

Description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CHANGE OF SYSTEM INFORM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음성 통신 위주에서 방송, 멀티미디어 영상,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차세대 통신 시스템으로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e 시스템과 현재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IEEE 802.20 UMB(Ultra Mobile Broadband), 그리고 IEEE 802.16m 시스템 등이 있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기 위해서, 다중 안테나 시스템, HARQ(Hybrid Auto Repeat reQuest), 적응 변조 코딩(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등 다양한 전송 기법들이 도입된다. 이러한 전송 기법들이 운영되기 위해서, 기지국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많은 시스템 제어 정보들을 전송해야 한다. 시스템 제어 정보는 사용자 단말이 셀(Cell) 내에서 이동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네트워크와 셀의 공통 정보, 예를 들어, 셀의 대역폭 정보,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의 구성 정보, 상위 레이어(Layer)의 파라미터 등의 정보 등과 셀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전송 기법의 정보, 예를 들어, 전송 안테나의 개수, 다중 안테나의 정보, HARQ 관련 정보, 변조 방식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단말이 저장된 시스템 제어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 제어 정보에 대한 변경 계수(change counter)가 전송된다. 즉, 기지국으로부터 변경 계수가 수신되면, 단말은 자신이 알고 있는 변경 계수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알고 있는 변경 계수와 수신된 변경 계수가 동일한 경우, 단말은 이전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 제어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반면, 알고 있는 변경 계수와 수신된 변경 계수가 상이한 경우, 단말은 새로운 시스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이로 인해, 단말은 중복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의 디코딩 시도를 피할 수 있다.
하지만, 시스템 제어 정보는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들이 포함되므로, 서비스 도중에 변경되는 일이 극히 드물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알려주기 위해 매 프레임마다 변경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비트, 즉, 변경 계수를 전송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또한, 시스템 제어 정보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필수 적인 정보도 포함되어 있지만 방송 관련 정보 등 부가적인 서비스를 위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정보는 중요도 및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 등이 다르다. 따라서, 차세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송수신 방식을 효율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알려주기 위한 변경 계수로 인한 오버헤드(overhead)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 여부를 단계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대표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시스템 제어 정보의 개략적인 변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공통 제어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변경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각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공통 제어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변경 계수를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공통 제어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변경 계수를 맵 영역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공통 제어 메 시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변경 계수를 데이터 영역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퍼프레임들의 범위에서 송신 주기가 변화 가능한 S-SFH/SP1(Secondary-Super Frame Header/Sub-Packet1)의 변경 시, 그룹 구성 변경 계수(GCCC : Group Configuration Change Counter)를 변경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 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퍼프레임들의 범위에서 송신 주기가 변화 가능한 S-SFH/SP1 및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증가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 변경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퍼프레임들의 범위에서 송신 주기가 변화 가능한 S-SFH/SP1의 변경 시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변경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 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변경하는 관리기와,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퍼프레임들의 범위에서 송신 주기가 변화 가능한 S-SFH/SP1 및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변경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와,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 변경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를 갱신하는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P-SFH(Primary-Super Frame Header) 메시지, S- SFH/SP1(Secondary-Super Frame Header) 메시지 및 별도의 공통 제어 메시지를 대표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설정하고, 각 공통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별도의 변경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공통 제어 채널로 전송되는 정보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 여부를 효율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함)/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이라 칭함)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수퍼 프레임(100)은 다수의 프레임(110)들로 구분되며, 상기 프레임(110)은 다수의 OFDM 심벌(130)들로 구성된 서브 프레임(120)들로 구분된다. 상기 수퍼 프레임(100) 내에서, 첫 번째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은 수퍼 프레임 헤더(super-frame header)(140)이며,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140) 는 동기 채널 및 공통 제어 채널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140)는 단말이 상기 해당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스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영역이다. 시스템 제어 정보 중, 수퍼 프레임 넘버(SFN: Super-Frame Number)와 같이 매 수퍼 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는 고정된 코딩(coding) 기법을 적용받고,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140) 내의 약속된 자원을 통해 전송된다. 반면, 단말이 여러 번에 걸쳐 수신한 신호들을 결합(combining) 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긴 시간 동안 변경이 없는 시스템 제어 정보들은 반복적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매 수퍼 프레임 단위로 변경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에 비하여, 상기 긴 시간 동안 변경이 없는 시스템 제어 정보들은 동일 대역폭을 통해 비교적 큰 정보량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제어 정보는 중요성, 가변성 및 송신 주기에 따라 P-SFH(Primary-Super Frame Header) 또는 S-SFH/SP1(Secondary-Super Frame Header/Sub-Packet1)를 통해 송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S-SFH/SP1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퍼 프레임 단위의 주기로 전송되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P-SFH 및 상기 S-SFH/SP1는 초기 네트워크 접속(initial network entry), 네트워크 재접속(network re-entry) 및 단말과 기지국 간 통신을 위한 시스템의 기본적인 파라미터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 로, 상기 P-SFH는 슈퍼 프레임 넘버의 LSB(Least Significant Bits), 그룹 구성 변경 계수(GCCC : Group Configuration Change Counter), S-SFH/SP1의 전송 포맷 및 크기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S-SFH/SP1는 슈퍼 프레임 넘버의 MSB(Most Significant Bits), SP 변경 계수, S-SFH/SPx의 스케줄링 정보, 핸드오버(handover)를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P-SFH는 매 수퍼 프레임마다 전송되며, 전송을 위한 자원의 크기 및 위치, 적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S-SFH/SP1의 경우, 전송 방식 및 자원 크기는 변할 수 있다. 상기 S-SFH/SP1의 전송 방식 및 크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P-SFH를 통해 전달된다. 또한, 상기 S-SFH/SP1에 포함되지 못한 나머지 시스템 정보는 별도의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S-SFH/SPx는 S-SFH의 SP(Sub Packet)들 중 S-SFH/SP1을 제외한 나머지를 의미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전송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a를 참고하면, 시스템 제어 정보는 P-SFH(211, 221, 231, 241), S-SFH/SP1(212, 232, 242), 공통 제어 메시지(Common Control Message)(223, 243)를 통해 전송된다. 이때, 상기 P-SFH(211, 221, 231, 241)는 매 수퍼프레임마다 전송되고, 상기 S-SFH/SP1(212, 232, 242) 및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223, 243)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퍼 프레임 간격으로 송신된다. 상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223, 243)는 데이터 영역(201)을 통해 전송되거나, 또는, 수퍼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P-SFH(211, 221, 231, 241) 및 상기 S-SFH/SP1(212, 232, 242)는 상기 도 2a와 같이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의 형태로 전송되거나, 상기 도 2b와 같이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퍼 프레임 헤더의 운영 시 P-SFH, S-SFH/SP1 및 공통 제어 메시지의 전송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제어 채널(320)을 통해 P-SFH(321)가 전송된다. 상기 P-SFH(321)는 단말이 초기 네트워크 접속을 할 때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므로, 항상 약속된 자원 영역을 통해 송신되며, 약속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적용받는다. 그러므로, 수퍼 프레임(300)의 첫 번째 프레임은 수퍼 프레임 헤더(310)로서, 동기를 위한 동기 채널(SCH: Synchronization Channel)(311) 및 공통 제어 채널(320)을 포함한다. 상기 P-SFH(321)는 수퍼 프레임 헤더 내의 한정된 자원 영역을 통해 전송되고, 모든 단말들에 의해 안정적으로 디코딩될 수 있어야 하므로, 고정된 낮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적용받고, 약속된 위치의 자원을 통해 전송된다. S-SFH/SP1(322, 342)도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310)를 통해 전송되며, 구체적인 전송 주기 및 메시지 크기는 본 발명의 실시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P-SFH(321) 및 상기 S-SFH/SP1(322, 342)에 포함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 외의 나머지 시스템 제어 정보는 공통 제어 메시지(333, 343)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333, 343)는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310)를 통해 전송되거나, 또는, 데이터 영역(33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S-SFH/SP1(322, 342)가 긴 주기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S-SFH/SP1(322, 342)를 포함하지 않는 수퍼 프레임 헤더(310)를 통해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333)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도 3a은 시분할 다중화 형태로 전송되는 P-SFH 및 S-SFH/SP1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도 3b와 같이, 상기 P-SFH(321) 및 상기 S-SFH/SP1(322, 342)는 하나의 부프레임에서 주파수분할 다중화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 여부를 알리기 위한 변경 계수(change counter)를 전송한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변경 계수는 S-SFH/SP1, 맵 및 데이터 버스트 중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 시스템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공통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 인자들은 다수의 정보 그룹들로 분류된다. 여기서, 정보 인자들의 구분 기준은 전송 타이밍, 요구되는 전송 주기 등으로서, 단말의 전력 효율(power efficient) 동작의 지원 여부이다. 각 정보 인자는 고정 크기 채널 또는 가변 크기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크기 채널 및 상기 가변 크기 채널은 첫 번째 부프레임과 같이 고정된 위치 또는 임의의 부프레임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는 고정 크기 채널에서 제공되는 P-SFH 메시지, 가변 크 기 채널에서 제공되는 S-SFH/SP1 메시지 및 별도의 공통 제어 메시지 중 하나로 정의된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를 2개로 한정하고, 이를 S-SFH/SP2 메시지 및 S-SFH/SP3 메시지로 지칭한다. 상기 P-SFH 메시지는 고정된 크기 및 고정된 전송 주기를 가지며, 상기 S-SFH/SP1 메시지, 상기 S-SFH/SP2 및 상기 S-SFH/SP3는 가변적 크기 및 가변적 전송 주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S-SFH/SP2은 데이터 통신에 영향을 미치고 전송 주기가 짧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S-SFH/SP3는 데이터 송수신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전송 주기가 긴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를 4개의 정보 인자들로 분류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자의 의도 및 시스템의 요구 사항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되는 구성은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개수, 각 공통 제어 메시지의 전송 주기 및 용도에 무관하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이 초기 네트워크 접속 또는 재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디코딩한 후,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정보들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전력 소비를 줄이고 빠른 접속을 시도하기 위해 사용중인 공통 제어 메시지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사용 중인 공통 제어 메시지들의 파라미터의 변동이 생겼는지의 여부를 모든 단말들에게 알려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공통 제어 메시지가 다수의 정보 인자들로 나누어 지는 경우, 각 정보 인자 별 구성 변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큰 오버헤드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매 수퍼 프레임마다 포함되는 P-SFH를 통해 그룹 구성 변경 계수(GCCC : Group Configuration Change Counter)가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변경 계수 전송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는 S-SFH/SP1 메시지를 통해 변경 계수가 전송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면, 매 수퍼 프레임마다 포함되는 P-SFH(402)를 통해 그룹 구성 변경 계수(411)가 전송된다. 또한, S-SFH/SP1(403) 및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 여부를 알려주기 위해, 상기 S-SFH/SP1(403) 및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 각각에 대한 변경 계수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는 S-SFH/SP2(405-1) 및 S-SFH/SP3(405-2)로 구분된다.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구분 기준은 포함되는 정보의 특성으로서, 요구되는 전송 주기, 데이터 송수신에 영향이 있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지 여부 등이다. 상기 도 4에서, 상기 S-SFH/SP2(405-1)는 데이터 통신에 영향을 미치고 전송 주기가 짧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S-SFH/SP3(405-2)는 데이터 송수신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전송 주기가 긴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 수퍼 프레임마다 포함되는 상기 P-SFH(402)를 통해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411)가 전송되고, 공통 제어 메시지들의 변경 계수들, 즉, S-SFH/SP2 변경 계수 및 S-SFH/SP3 변경 계수(413)는 상기 S-SFH/SP1(403)를 통해 전송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경우, 상기 S-SFH/SP1(403) 내에 공통 제어 메시지들 각각의 변경 계수들(413)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P-SFH(402)에 포함된 그룹 구성 변경 계수(411)는 모든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에 대해 대표성을 갖는다. 즉,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411)는 상기 S-SFH/SP2(405-1)의 변경, 상기 S-SFH/SP3(405-2)의 변경 또는 상기 S-SFH/SP1(403)의 변경으로 인해 변경된다. 즉,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하나라도 변경된 경우,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411)가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411)의 변경을 인지한 단말은 상기 S-SFH/SP1(403)를 디코딩 한 후, 상기 SP 변경 계수들(413)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S-SFH/SP2(405-1) 및 상기 S-SFH/SP3(405-2)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P-SFH(402)내의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411)를 통해 공통 제어 메시지 변경이 있음이 인지되고, 어느 공통 제어 메시지가 변경되었는지는 상기 S-SFH/SP1(403)를 통해 파악된다. 단, 상기 S-SFH/SP2(405-1), 상기 S-SFH/SP3(405-2) 등의 공통 제어 메시지에 대한 변경 계수는 카운터(counter)의 개념을 도입한 상기 SP 변경 계수로 설명되었지만, 상기 변경 계수는 비트맵 등 다른 형태의 지시자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변경 계수 전송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는 맵 영역을 통해 변경 계수가 전송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수퍼 프레임 헤더 영역은 자원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은 제한되어 있다. 전송될 공통 제어 메시지의 개수가 많다면 한정된 수퍼 프레임 헤더 영역에서 공통 제어 메시지 변경 계수의 전송을 위한 자원이 제약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와 같이, SP 변경 계수는 맵 영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 수퍼 프레임마다 포함되는 P-SFH(502)를 통해 그룹 구성 변경 계수(511)가 전송되고, 다른 공통 제어 메시지들의 변경 계수들, 즉, S-SFH/SP2 변경 계수 및 S-SFH/SP3 변경 계수는 맵 영역(504)을 통해 전송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경우, 상기 P-SFH(502)에 포함된 그룹 구성 변경 계수(511)가 모든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에 대해 대표성을 갖는다. 즉,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는 상기 S-SFH/SP2(505-1)의 변경, 상기 S-SFH/SP3(505-2)의 변경 또는 S-SFH/SP1(503)의 변경으로 인해 변경된다. 즉,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하나라도 변경된 경우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511)가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511)의 변경을 인지한 단말은 상기 S-SFH/SP2 변경 계수 및 상기 S-SFH/SP3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맵을 성공적으로 디코딩 한 후, S-SFH/SP2 변경 계수 및 S-SFH/SP3 변경 계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S-SFH/SP2(505-1) 및 상기 S-SFH/SP3(505-2)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차이점은 SP 변경 계수를 S-SFH/SP1(503)가 아닌 맵 영역(504)을 통해 전송된다는 점이다. 즉, SP 변경 계수는 하향 링크 맵으로 구성되고, 맵 영역(504)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 SP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맵인 변경 계수 맵(513)은 다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맵들과 구분을 위해 상기 변경 계수 맵(513)에 특유한 스크램블링(scrambling) 코드를 적용받거나, 또는, 변경 계수 맵임을 나타내는 특유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S-SFH/SPx의 변경 은 매우 긴 주기로 발생하므로, 상기 변경 계수 맵(513)을 매 수퍼 프레임마다 전송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상기 변경 계수 맵(513)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변경 계수 전송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은 데이터 영역을 통해 변경 계수가 전송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경우, SP 변경 계수는 데이터 영역(604)를 통해 전송된다. 즉,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구성 변경 계수(611)는 매 수퍼 프레임마다 포함되는 P-SFH(602)을 통해 전송되고, 다른 공통 제어 메시지들의 변경 계수들, 즉, S-SFH/SP2 변경 계수 및 S-SFH/SP3 변경 계수는 데이터 영역(604)를 통해 전송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경우, 상기 P-SFH(602)를 통해 전송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611)는 모든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에 대해 대표성을 갖는다. 즉,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는 상기 S-SFH/SP2(605-1)의 변경, 상기 S-SFH/SP3(605-2)의 변경 또는 S-SFH/SP1(603)의 변경으로 인해 변경된다.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하나라도 변경된 경우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611)가 변경된다. 따라서, 그룹 구성 변경 계수(611)의 변경을 인지한 단말은 상기 S-SFH/SP2 변경 계수 및 상기 S-SFH/SP3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데이터 버스트(615)를 성공적으로 디코딩 한 후, S-SFH/SP2 변경 계수 및 S-SFH/SP3 변경 계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S-SFH/SP2(605- 1) 및 상기 S-SFH/SP3(605-2)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차이점은 SP 변경 계수가 데이터 버스트로 구성되고, 데이터 영역(604)을 통해 전송된다는 점이다. 즉, SP 변경 계수는 하향 데이터 버스트로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영역(604)을 통해 전송된다. 이때, 변경 계수 버스트(615)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는 일반적인 자원 할당을 위한 맵을 통해 알려진다. 즉,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615)를 지시하는 변경 계수 지시 맵(613)이 존재하며, 상기 변경 계수 지시 맵(613)은 일반적인 자원 할당을 위한 맵과 동일한 형태이다. 단, 상기 변경 계수 지시 맵(613)은 지시되는 버스트가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615)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 제어 메시지는 일정 주기에 따라 특정 슈퍼 프레임에서만 전송된다. 단말이 아이들모드(idle mode) 또는 슬립모드(sleep mode)인 경우, 기지국과 송수신을 중단한 채 매우 긴 주기를 가지고 잠시 웨이크업모드(Wake up mode)로 천이한 후, 공통 제어 채널을 수신함으로써 자신에게 페이징(paging) 신호가 오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공통 제어 메시지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하면 전송되는 공통 제어 메시지를 수신해야 한다. 그러나, 공통 제어 메시지가 언제 전송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실제로 수신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하향 링크 맵 정보를 디코딩 하여 공통 제어 메시지의 할당 정보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 경우, 불필요하게 단말 전력을 소비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공통 제어 메시지가 특정 주기로 전송된다면 단말은 다음 공통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는 슈퍼 프레임까지의 오프셋(offset)을 구할 수 있으며, 그 구간 동안에는 단말의 전력 소모를 차단함으로써 단말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메시지의 전송 주기와 공통 제어 메시지의 오프셋 간 상관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공통 제어 메시지의 오프셋(704)을 산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요구된다. 이전에 공통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의 수퍼 프레임 번호 SFN_A(701), 공통 제어 메시지의 전송 주기 B(702), 현재 수퍼 프레임 번호 SFN_C(703) 등이 요구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오프셋(704)은 현재 수퍼 프레임 번호 SFN_C(703)과 이전에 공통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의 수퍼 프레임 번호 SFN_A(701)의 차를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전송 주기 B(702)로 나눈 값의 나머지와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전송 주기 B(702) 간의 차를 산출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1>과 같다.
Offset = B - ( (SFN_C - SFN_A) % B )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Offset은 공통 제어 메시지의 오프셋, 상기 B는 공통 제어 메시지의 전송 주기, 상기 SFN_A는 이전 공통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의 수퍼 프레임 번호, 상기 SFN_C는 현재 수퍼 프레임 번호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및 단말 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은, 변경 계수들이 카운터의 형태를 갖는 경우를 가정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변경 계수들은 상기 카운터가 아닌 다른 형태, 예를 들어, 비트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은 SP 변경 계수가 S-SFH/SP1를 통해 송신되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기지국은 801단계에서 수퍼 프레임 헤더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P-SFH, S-SFH/SP1 및 S-SFH/SP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통 제어 채널 및 동기 채널을 송신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S-SFH/SPx는 S-SFH의 SP들 중 S-SFH/SP1을 제외한 나머지를 의미한다.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8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의 전송 주기인지 확인한다. 즉, 상기 S-SFH/SP1의 전송 주기는 가변적이며,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1 수퍼프레임 이상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S-SFH/SP1의 전송 주기이면, 다시 말해,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를 통해 상기 S-SFH/SP1이 송신되는 시점이면, 상기 기지국은 805단계로 진행하여 SP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S-SFH/SP1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S-SFH/SP1를 통해 송신 될 시스템 제어 정보 및 상기 SP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S-SFH/SP1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상기 S-SFH/SP1를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8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이전 송신된 S-SFH/SP1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803단계에서 생성된 S-SFH/SP1에 포함된 정보를 비교하고, 변경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단, 상기 S-SFH/SP1에 포함된 정보 중 SP 변경 계수는 제외된다. 만일, 상기 S-SFH/SP1이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81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S-SFH/SP1이 변경되었으면, 상기 기지국은 809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S-SFH/SP1의 변경을 단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8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P-SFH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P-SFH를 통해 송신될 시스템 제어 정보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P-SFH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상기 P-SFH를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8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 및 상기 P-SFH를 송신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S-SFH/SP1 및 상기 P-SFH의 신호들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자원에 매핑하고,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OFDM 심벌을 RF(Radio Frequency) 대역의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이때, 상기 P-SFH 및 상기 S-SFH/SP1의 다중화는 시분할 또는 주파수분할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803단계에서, 상기 S-SFH/SP1의 전송 주기가 아니면, 다시 말해,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를 통해 상기 S-SFH/SP1이 송신되는 시점이 아니면, 상기 기지국은 81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x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수퍼 프레임 헤더를 통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S-SFH/SPx에 대응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S-SFH/SPx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8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가 이전 송신 시의 S-SFH/SPx에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이전 송신 시의 S-SFH/SPx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815단계에서 생성된 S-SFH/SPx에 포함된 정보 간 다른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SFH/SPx가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82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S-SFH/SPx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기지국은 819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때, 다수의 S-SFH/SPx들이 변경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변경된 S-SFH/SPx 개수만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8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P-SFH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P-SFH를 통해 송신될 시스템 제어 정보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P-SFH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상기 P-SFH를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8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 및 상기 P-SFH를 송신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S-SFH/SPx 및 상기 P-SFH의 신호들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자원에 매핑하고,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OFDM 심벌을 RF 대역의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이때, 상기 P-SFH 및 상기 S-SFH/SPx의 다중화는 시분할 또는 주파수분할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801단계에서,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82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x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S-SFH/SPx는 다수 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S-SFH/SPx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상기 S-SFH/SPx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827단계로 진행하여 S-SFH/SPx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송신 시점이 도래한 적어도 하나의 S-SFH/SPx에 대응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S-SFH/SPx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8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가 이전 송신 시의 S-SFH/SPx에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이전 송신 시의 S-SFH/SPx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827단계에서 생성된 S-SFH/SPx에 포함된 정보 간 다른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SFH/SPx가 변경되지 아니 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833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S-SFH/SPx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기지국은 831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때, 다수의 S-SFH/SPx들이 변경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변경된 S-SFH/SPx 개수만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83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를 송신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S-SFH/SPx의 신호들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자원에 매핑하고,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OFDM 심벌을 RF 대역의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는 SP 변경 계수가 S-SFH/SP1를 통해 송신되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901단계에서 수퍼 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포함되는 수퍼 프레임 헤더 내의 P-SFH를 수신하고, 상기 P-SFH의 디코딩을 시도한다. 즉, 상기 단말은 프레임 구조에 따라 상기 P-SFH의 신호를 추출하고, 복조함으로써 비트열로 변환한 후, CRC를 수행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9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SFH의 디코딩이 성공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CRC 결과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인 한다.
만일, 상기 P-SFH의 디코딩이 실패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905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P-SFH 송신 시점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901단계로 되돌아간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다음 수퍼 프레임 헤더의 송신 시점까지 대기한 후, 상기 90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P-SFH의 디코딩이 성공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9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SFH를 통해 수신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변경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단말은 저장된 그룹 구성 변경 계수와 새로이 수신된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비교한다.
만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909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를 수신하고,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을 시도한다. 즉, 상기 단말은 프레임 구조에 따라 상기 S-SFH/SP1의 신호를 추출하고, 복조함으로써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을 시도한 후, 상기 단말은 9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에 대한 디코딩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비트열에 대한 CRC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이 실패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913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S-SFH/SP1 송신 시점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909단계로 되돌아간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다음 S-SFH/SP1 전송 주기까지 대기한 후, 상기 909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이 성공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915단계로 진 행하여 상기 S-SFH/SP1에 포함된 SP 변경 계수가 증가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단말은 S-SFH/SP1 내에 포함된 SP 변경 계수와 저장된 SP 변경 계수를 비교하고, 서로 다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P 변경 계수가 증가하였으면, 상기 S-SFH/SPx가 변경된 것이므로, 상기 단말은 9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가 변경되었음을 판단하고, 상기 S-SFH/SPx를 수신 및 갱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S-SFH/SPx가 송신되는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S-SFH/SPx를 수신하고, 새로이 수신된 S-SFH/SPx로 저장된 S-SFH/SPx를 갱신한다. 여기서, 상기 S-SFH/SPx는 S-SFH의 SP들 중 S-SFH/SP1을 제외한 나머지를 의미한다.
반면, 상기 SP 변경 계수가 증가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S-SFH/SP1이 변경된 것이므로, 상기 단말은 9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911단계에서 디코딩된 S-SFH/SP1로 저장된 S-SFH/SP1를 갱신한다.
상기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단말의 동작 절차에서, 본 발명은 1개의 S-SFH/SPx만이 존재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다수의 S-SFH/SPx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S-SFH/SPx에 대해 상기 915단계 및 상기 917단계가 각각 수행된다. 즉, 상기 915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각 S-SFH/SPx에 대응되는 SP 변경 계수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SP 변경 계수가 증가한 경우, 상기 917단계로 진행하여 증가된 SP 변경 계수에 대응되는 S-SFH/SPx를 갱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은 SP 변경 계수가 맵 영역을 통해 송신되는 제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기지국은 1001단계에서 수퍼 프레임 헤더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P-SFH, S-SFH/SP1 및 S-SFH/SP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통 제어 채널 및 동기 채널을 송신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S-SFH/SPx는 S-SFH의 SP들 중 S-SFH/SP1을 제외한 나머지를 의미한다.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0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의 전송 주기인지 확인한다. 즉, 상기 S-SFH/SP1의 전송 주기는 가변적이며,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1 수퍼프레임 이상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S-SFH/SP1의 전송 주기이면, 다시 말해,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를 통해 상기 S-SFH/SP1이 송신되는 시점이면, 상기 기지국은 100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S-SFH/SP1를 통해 송신될 시스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S-SFH/SP1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상기 S-SFH/SP1를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10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이전 송신된 S-SFH/SP1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1005단계에서 생성된 S-SFH/SP1에 포함된 정보를 비교하고, 변경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SFH/SP1이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01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S-SFH/SP1이 변경되었으면, 상기 기지국은 1009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S-SFH/SP1의 변경을 단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10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P-SFH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P-SFH를 통해 송신될 시스템 제어 정보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P-SFH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상기 P-SFH를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10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 및 상기 P-SFH를 송신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S-SFH/SP1 및 상기 P-SFH의 신호들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자원에 매핑하고,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OFDM 심벌을 RF 대역의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P-SFH 및 상기 S-SFH/SP1의 다중화는 시분할 또는 주파수분할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1003단계에서, 상기 S-SFH/SP1의 전송 주기가 아니면, 다시 말해,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를 통해 상기 S-SFH/SP1이 송신되는 시점이 아니면, 상기 기지국은 101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x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수퍼 프레임 헤더를 통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S-SFH/SPx에 대응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S-SFH/SPx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10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가 이전 송신 시의 S-SFH/SPx에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이전 송신 시의 S-SFH/SPx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1015단계에서 생성된 S-SFH/SPx에 포함된 정보 간 다른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SFH/SPx가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02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S-SFH/SPx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기지국은 1019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때, 다수의 S-SFH/SPx들이 변경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변경된 S-SFH/SPx 개수만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10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P-SFH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P-SFH를 통해 송신될 시스템 제어 정보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P-SFH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상기 P-SFH를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10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 및 상기 P-SFH를 송신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S-SFH/SP1 및 상기 P-SFH의 신호들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자원에 매핑하고,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OFDM 심벌을 RF 대역의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이때, 상기 P-SFH 및 상기 S-SFH/SPx의 다중화는 시분할 또는 주파수분할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1001단계에서,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지 아니하 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02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x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S-SFH/SPx는 다수 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S-SFH/SPx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상기 S-SFH/SPx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027단계로 진행하여 S-SFH/SPx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송신 시점이 도래한 적어도 하나의 S-SFH/SPx에 대응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S-SFH/SPx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10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가 이전 송신 시의 S-SFH/SPx에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이전 송신 시의 S-SFH/SPx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1015단계에서 생성된 S-SFH/SPx에 포함된 정보 간 다른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SFH/SPx가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033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S-SFH/SPx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기지국은 1031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때, 다수의 S-SFH/SPx들이 변경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변경된 S-SFH/SPx 개수만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03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를 송신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S-SFH/SPx의 신호들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자원에 매핑하고,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OFDM 심벌을 RF 대역의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1025단계에서, 상기 S-SFH/SPx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035단계로 진행하여 변경 계수 맵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변경 계수 맵은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송신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변경 계수 맵의 전송 주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변경 계수 맵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037단계로 진행하여 SP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변경 계수 맵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SP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맵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변경 계수 맵을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변경 계수 맵에 특유한 스크램블링 코드에 따라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스크램블링하거나, 또는, 변경 계수 맵임을 나타내는 특유한 파라미터를 상기 변경 계수 맵에 포함시킨다.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103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송신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변경 계수 맵의 신호들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자원에 매핑하고,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OFDM 심벌을 RF 대역의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는 SP 변경 계수가 맵 영역을 통해 송신되는 제2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1101단계에서 수퍼 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포함되는 수퍼 프레임 헤더 내의 P-SFH를 수신하고, 상기 P-SFH의 디코딩을 시도한다. 즉, 상기 단말은 프레임 구조에 따라 상기 P-SFH의 신호를 추출하고, 복조함으로써 비트열로 변환한 후, CRC를 수행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11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SFH의 디코딩이 성공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CRC 결과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P-SFH의 디코딩이 실패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105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P-SFH 송신 시점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1101단계로 되돌아간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다음 수퍼 프레임 헤더의 송신 시점까지 대기한 후, 상기 110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P-SFH의 디코딩이 성공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1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SFH를 통해 수신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변경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단말은 저장된 그룹 구성 변경 계수와 새로이 수신된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비교한다.
만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109단계로 진행하여 변경 계수 맵을 수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변경 계수 맵이 송신되는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변경 계수 맵에 포함된 SP 변경 계수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수신된 변경 계수 맵을 변경 계수 맵에 특유한 스크램블링 코드에 디스크램블링한다. 또는, 상기 단말은 변경 계수 맵임을 나타내는 특유한 파라미터를 통해 다수의 맵들 중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식별한다.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수신한 후, 상기 단말은 11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 계수 맵에 포함된 SP 변경 계수가 증가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단말은 변경 계수 맵 내에 포함된 SP 변경 계수와 저장된 SP 변경 계수를 비교하고, 서로 다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P 변경 계수가 증가하였으면, 상기 S-SFH/SPx가 변경된 것이므로, 상기 단말은 11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가 변경되었음을 판단하고, 상기 S-SFH/SPx를 수신 및 갱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S-SFH/SPx가 송신되는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S-SFH/SPx를 수신하고, 새로이 수신된 S-SFH/SPx로 저장된 S-SFH/SPx를 갱신한다. 여기서, 상기 S-SFH/SPx는 S-SFH의 SP들 중 S-SFH/SP1을 제외한 나머지를 의미한다.
만일, 상기 SP 변경 계수가 증가하지 아니하였으면, S-SFH/SP1이 변경된 것이므로, 상기 단말은 111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를 수신하고,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을 시도한다. 즉, 상기 단말은 프레임 구조에 따라 상기 S-SFH/SP1의 신호를 추출하고, 복조함으로써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을 시도한 후, 상기 단말은 11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에 대한 디코딩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비트열에 대한 CRC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이 실패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119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S-SFH/SP1 송신 시점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1115단계로 되돌아간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다음 S-SFH/SP1 전송 주기까지 대기한 후, 상기 1115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이 성공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1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115단계에서 디코딩된 S-SFH/SP1로 저장된 S-SFH/SP1를 갱신한다.
상기 도 11를 참고하여 설명한 단말의 동작 절차에서, 본 발명은 1개의 S-SFH/SPx만이 존재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다수의 S-SFH/SPx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S-SFH/SPx에 대해 상기 1111단계 및 상기 1113단계가 각각 수행된다. 즉, 상기 1111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각 S-SFH/SPx에 대응되는 SP 변경 계수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SP 변경 계수가 증가한 경우, 상기 1113단계로 진행하여 증가된 SP 변경 계수에 대응되는 S-SFH/SPx를 갱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2은 SP 변경 계수가 데이터 영역을 통해 송신되는 제3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기지국은 1201단계에서 수퍼 프레임 헤더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P-SFH, S-SFH/SP1 및 S-SFH/SP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통 제어 채널 및 동기 채널을 송신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S-SFH/SPx는 S-SFH의 SP들 중 S-SFH/SP1 을 제외한 나머지를 의미한다.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의 전송 주기인지 확인한다. 즉, 상기 S-SFH/SP1의 전송 주기는 가변적이며,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1 수퍼프레임 이상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S-SFH/SP1의 전송 주기이면, 다시 말해,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를 통해 상기 S-SFH/SP1이 송신되는 시점이면, 상기 기지국은 120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S-SFH/SP1를 통해 송신될 시스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S-SFH/SP1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상기 S-SFH/SP1를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1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이전 송신된 S-SFH/SP1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1205단계에서 생성된 S-SFH/SP1에 포함된 정보를 비교하고, 변경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SFH/SP1이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21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S-SFH/SP1이 변경되었으면, 상기 기지국은 1209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S-SFH/SP1의 변경을 단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1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P-SFH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P-SFH를 통해 송신될 시스템 제어 정보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P-SFH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상기 P-SFH를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1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 및 상기 P-SFH를 송신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S-SFH/SP1 및 상기 P-SFH의 신호들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자원에 매핑하고,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OFDM 심벌을 RF(Radio Frequency) 대역의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이때, 상기 P-SFH 및 상기 S-SFH/SP1의 다중화는 시분할 또는 주파수분할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1203단계에서, 상기 S-SFH/SP1의 전송 주기가 아니면, 다시 말해,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를 통해 상기 S-SFH/SP1이 송신되는 시점이 아니면, 상기 기지국은 121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x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수퍼 프레임 헤더를 통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S-SFH/SPx에 대응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S-SFH/SPx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1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가 이전 송신 시의 S-SFH/SPx에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이전 송신 시의 S-SFH/SPx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1215단계에서 생성된 S-SFH/SPx에 포함된 정보 간 다른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SFH/SPx가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22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S-SFH/SPx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기지국은 1219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때, 다수의 S-SFH/SPx들이 변경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변경된 S-SFH/SPx 개수만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12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P-SFH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P-SFH를 통해 송신될 시스템 제어 정보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P-SFH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상기 P-SFH를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12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 및 상기 P-SFH를 송신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S-SFH/SPx 및 상기 P-SFH의 신호들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자원에 매핑하고,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OFDM 심벌을 RF 대역의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이때, 상기 P-SFH 및 상기 S-SFH/SPx의 다중화는 시분할 또는 주파수분할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1201단계에서,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22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x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S-SFH/SPx는 다수 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S-SFH/SPx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상기 S-SFH/SPx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227단계로 진 행하여 S-SFH/SPx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송신 시점이 도래한 적어도 하나의 S-SFH/SPx에 대응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S-SFH/SPx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12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가 이전 송신 시의 S-SFH/SPx에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이전 송신 시의 S-SFH/SPx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1227단계에서 생성된 S-SFH/SPx에 포함된 정보 간 다른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SFH/SPx가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233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S-SFH/SPx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기지국은 1231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때, 다수의 S-SFH/SPx들이 변경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변경된 S-SFH/SPx 개수만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23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를 송신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S-SFH/SPx의 신호들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자원에 매핑하고,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OFDM 심벌을 RF 대역의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1225단계에서, 상기 S-SFH/SPx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235단계로 진행하여 변경 계수 버스트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송신 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의 전송 주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으면, 상기 기지국은 1237단계로 진행하여 SP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변경 계수 버스트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SP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맵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변경 계수 버스트를 위한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한다.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123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를 지시하는 변경 계수 지시 맵을 생성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맵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상기 맵에 의해 지시되는 버스트가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맵에 포함시킨다.
상기 변경 계수 지시 맵을 생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124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 및 상기 변경 계수 지시 맵을 송신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의 신호들 및 상기 변경 계수 지시 맵의 신호들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자원에 매핑하고,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OFDM 심벌을 RF 대역의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3는 SP 변경 계수가 맵 영역을 통해 송신되는 제3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1301단계에서 수퍼 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포함되는 수퍼 프레임 헤더 내의 P-SFH를 수신하고, 상기 P-SFH의 디코딩을 시도한다. 즉, 상기 단말은 프레임 구조에 따라 상기 P-SFH의 신호를 추출하고, 복조함으로써 비트열로 변환한 후, CRC를 수행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1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SFH의 디코딩이 성공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CRC 결과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P-SFH의 디코딩이 실패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305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P-SFH 송신 시점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1301단계로 되돌아간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다음 수퍼 프레임 헤더의 송신 시점까지 대기한 후, 상기 130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P-SFH의 디코딩이 성공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SFH를 통해 수신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변경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단말은 저장된 그룹 구성 변경 계수와 새로이 수신된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비교한다.
만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309단계로 진행하여 변경 계수 지시 맵을 수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변경 계수 지시 맵이 송신되는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변경 계수 지시 맵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변경 계수 지시 맵에 포함된 변경 계수 버스트의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맵에 의해 지시되는 버스트가 상기 변경 계수 버 스트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해 다수의 맵들 중 상기 변경 계수 지시 맵을 식별한다.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의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단말은 1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를 수신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의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버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버스트에 포함된 SP 변경 계수를 확인한다.
상기 변경 계수 버스트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은 1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 계수 맵에 포함된 SP 변경 계수가 증가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단말은 변경 계수 맵 내에 포함된 SP 변경 계수와 저장된 SP 변경 계수를 비교하고, 서로 다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P 변경 계수가 증가하였으면, 상기 S-SFH/SPx가 변경된 것이므로, 상기 단말은 1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x가 변경되었음을 판단하고, 상기 S-SFH/SPx를 수신 및 갱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S-SFH/SPx가 송신되는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S-SFH/SPx를 수신하고, 새로이 수신된 S-SFH/SPx로 저장된 S-SFH/SPx를 갱신한다. 여기서, 상기 S-SFH/SPx는 S-SFH의 SP들 중 S-SFH/SP1을 제외한 나머지를 의미한다.
만일, 상기 SP 변경 계수가 증가하지 아니하였으면, S-SFH/SP1이 변경된 것이므로, 상기 단말은 1317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를 수신하고,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을 시도한다. 즉, 상기 단말은 프레임 구조에 따라 상기 S-SFH/SP1의 신호를 추출하고, 복조함으로써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을 시도한 후, 상기 단말은 13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에 대한 디코딩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비트열에 대한 CRC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이 실패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321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S-SFH/SP1 송신 시점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1317단계로 되돌아간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다음 S-SFH/SP1 전송 주기까지 대기한 후, 상기 1317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이 성공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3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319단계에서 디코딩된 S-SFH/SP1로 저장된 S-SFH/SP1를 갱신한다.
상기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 단말의 동작 절차에서, 본 발명은 1개의 S-SFH/SPx만이 존재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다수의 S-SFH/SPx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S-SFH/SPx에 대해 상기 1313단계 및 상기 1315단계가 각각 수행된다. 즉, 상기 1313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각 S-SFH/SPx에 대응되는 SP 변경 계수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SP 변경 계수가 증가한 경우, 상기 1315단계로 진행하여 증가된 SP 변경 계수에 대응되는 S-SFH/SPx를 갱신한다.
상기 도 8 내지 상기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상기 SP 변경 계수는 카운터의 형태를 가짐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다수의 S-SFH/SPx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SP 변경 계수는 비트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비트맵 형태를 갖는 SP 변경 계수'를 'SP 변경 비트맵'이라 칭한다.
상기 SP 변경 비트맵이 사용되는 경우, S-SFH/SPx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 되면, 상기 SP 변경 비트맵 중 변경된 S-SFH/SPx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키는 기지국의 동작은 도 14 또는 도 15와 같이 대체된다. 즉, 상기 도 8의 809단계 및 831단계, 상기 도 10의 1019단계 및 1031단계, 상기 도 12의 1219단계 및 1231단계에 포함되는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키는 동작은 다음과 같이 대체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SP 변경 비트맵을 사용하는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4는 S-SFH/SPx 당 하나의 비트가 할당되는 SP 변경 비트맵이 사용되는 경우의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기지국은 1401단계에서 전체 SP 변경 비트맵을 0으로 초기화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403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S-SFH/SPx에 대응되는 비트를 1로 설정한다. 즉, 상기 SP 변경 비트맵의 각 비트가 각 S-SFH/SPx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특정 S-SFH/SPx가 변경되면 해당 비트를 '1'로, 변경되지 않으면 해당 비트를 '0'으로 설정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SP 변경 비트맵을 사용하는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5는 S-SFH/SPx 당 다수의 비트들이 할당되는 SP 변경 비트맵이 사용되는 경우의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기지국은 1501단계에서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S-SFH/SPx에 대응되는 N(>1)개의 비트들을 미리 정해진 값만큼 증가시킨다. 즉, 상기 비트맵 내에서, N의 비트들로 이루어진 비트열이 하나의 S-SFH/SPx와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FH/SPx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열들 각각의 값을 미리 정해진 값만큼 증가시킨다.
상기 SP 변경 비트맵이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실시 예들 중 SP 변경 계수를 통해 S-SFH/SPx를 갱신하는 단말의 동작은 도 16과 같이 대체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SP 변경 비트맵을 통해 S-SFH/SPx의 변경을 판단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의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SP 변경 비트맵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도 9의 915단계 내지 919단계는 다음과 같이 대체된다.
상기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1601단계에서 S-SFH/SP1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SFH/SP1이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605단계로 진행하여, 반면, 상기 S-SFH/SP1이 변경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603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된 정보를 변경된 S-SFH/SP1으로 갱신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1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에 포함된 SP 변경 비트맵을 통해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S-SFH/SPx를 식별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SP 변경 비트맵 중 변경된 비트의 위치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S-SFH/SPx를 확인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16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가 동일한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S-SFH/SPx들 및 S-SFH/SP1 중 하나의 변경에 따라 1씩 증가한다고 할 때, 상기 S-SFH/SP1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가 동일한지 판단하고, 상기 S-SFH/SP1이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가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보다 1 작은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가 동일하면, 상기 단말은 1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P 변경 비트맵을 통해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S-SFH/SPx를 갱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S-SFH/SPx를 수신하고, 저장된 정보를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S-SFH/SPx로 갱신한다.
반면,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가 동일하지 아니하면, 이는 어느 S-SFH/SPx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없는 상황임을 의미하므로, 상기 단말은 1611단계로 진행하여 모든 S-SFH/SPx을 수신한 후, 저장 된 정보를 새로이 수신된 S-SFH/SPx들로 갱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어느 S-SFH/SPx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은 단말의 아이들 모드(idle mode)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 진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SP 변경 비트맵을 통해 S-SFH/SPx의 변경을 판단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 및 제3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의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SP 변경 비트맵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도 11의 1111단계 내지 1121단계, 상기 도 13의 1313단계 내지 1323단계는 다음과 같이 대체된다.
상기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1701단계에서 SP 변경 비트맵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SP 변경 비트맵이 변경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7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P 변경 비트맵을 통해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S-SFH/SPx를 식별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SP 변경 비트맵 중 변경된 비트의 위치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S-SFH/SPx를 확인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1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가 동일한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S-SFH/SPx들 및 S-SFH/SP1 중 하나의 변경에 따라 1씩 증가한다고 할 때, 상기 S-SFH/SP1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 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가 동일한지 판단하고, 상기 S-SFH/SP1이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가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보다 1 작은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가 동일하면, 상기 단말은 1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P 변경 비트맵을 통해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S-SFH/SPx를 갱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S-SFH/SPx를 수신하고, 저장된 정보를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S-SFH/SPx로 갱신한다.
반면,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가 동일하지 아니하면, 이는 어느 S-SFH/SPx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없는 상황임을 의미하므로, 상기 단말은 1709단계로 진행하여 모든 S-SFH/SPx을 수신한 후, 저장된 정보를 새로이 수신된 S-SFH/SPx들로 갱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어느 S-SFH/SPx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은 단말의 아이들 모드 또는 슬립 모드 진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만일, 상기 1701단계에서 상기 SP 변경 비트맵이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이는 상기 S-SFH/SP1이 변경됨을 의미하므로, 상기 단말은 17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를 수신하고,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을 시도한다. 즉, 상기 단말은 프 레임 구조에 따라 상기 S-SFH/SP1의 신호를 추출하고, 복조함으로써 비트열로 변환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17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SFH/SP1에 대한 디코딩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비트열에 대한 CRC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이 실패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715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S-SFH/SP1 송신 시점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1317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S-SFH/SP1의 디코딩이 성공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717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된 S-SFH/SP1를 디코딩된 S-SFH/SP1로 갱신한다.
상기 도 16 및 상기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S-SFH/SPx 당 1 비트가 할당된 경우, 단말이 아이들 모드 또는 슬립 모드를 겪는 동안 상기 S-SFH/SPx가 변경된 때, 상기 단말은 S-SFH/SPx의 변경 여부를 알 수 없다. 왜냐하면, 해당 비트는 상기 S-SFH/SPx의 변경 시 1로 설정된 후, 0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아이들 또한 슬립 모드로부터 벗어나고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증가됨을 인식한 경우, S-SFH/SP1 및 모든 S-SFH/SPx들을 다시 획득해야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반면, S-SFH/SPx 당 N 비트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아이들 모드 또는 슬립 모드를 겪는 동안 발생한 S-SFH/SPx의 변경에 대한 이력을 알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자원이 소요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SP 변경 계수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은 SP 변경 계수의 개수를 S-SFH/SPx의 개수보다 하나 적게 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S-SFH/SP2 및 S-SFH/SP3 등 2개의 공통 제어 메시지들이 존재하는 경우, P-SFH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만을 포함하며, S-SFH/SP1는 S-SFH/SP2에 대한 SP 변경 계수만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S-SFH/SP1의 변경 여부는 S-SFH/SP1를 디코딩한 후 기존의 파라미터에서 변경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위 레이어에 의해 판단되고, 이에 따라, 단말은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S-SFH/SP2 변경 계수를 확인한 후, S-SFH/SP1 정보의 실제 변경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S-SFH/SP3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18과 같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SP 변경 계수의 개수가 총 공통 제어 메시지 개수보다 하나 작은 경우의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8에서, 본 발명은 S-SFH/SP2 및 S-SFH/SP3 등 2개의 공통 제어 메시지가 사용됨을 가정한다.
상기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1801단계에서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변경치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변경치가 +3이면, 상기 단말은 1803단계로 진행하고, 변경치가 +2이면, 상기 단말은 1805단계로 진행하고, 변경치가 +1이면, 상기 단말은 18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변경치가 +3이면, 상기 단말은 1803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 S-SFH/SP2, 및 S-SFH/SP3가 모두 변경되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은 S-SFH/SP1, S-SFH/SP2, 및 S-SFH/SP3 각각을 수신 및 갱신한다.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변경치가 +2이면, 상기 단말은 180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를 디코딩하고, 1807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의 변경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S-SFH/SP1 내의 S-SFH/SP2 변경 계수 외의 정보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은 1809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및 S-SFH/SP3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S-SFH/SP2 및 S-SFH/SP3를 수신 및 갱신한다. 반면, S-SFH/SP1이 변경되었다면, 상기 단말은 1811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변경 계수의 변경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S-SFH/SP2 변경 계수가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813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 및 S-SFH/SP3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S-SFH/SP1 및 S-SFH/SP3를 수신 및 갱신한다. 반면, S-SFH/SP2 변경 계수가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81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 및 S-SFH/SP2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S-SFH/SP1 및 S-SFH/SP2을 수신 및 갱신한다.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변경치가 +1이면, 상기 단말은 1817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를 디코딩하고, 1819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의 변경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S-SFH/SP1이 변경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821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S-SFH/SP1를 갱신한다. 반면, S-SFH/SP1이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823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변경 계수의 변경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S-SFH/SP2 변경 계수 값이 변경되었으면, 상기 단말은 182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S-SFH/SP2을 수신 및 갱신한다. 반면, 상기 S-SFH/SP2 변경 계수가 증가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827단계로 진행하여 S-SFH/SP3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S-SFH/SP3를 수신 및 갱신한다.
상기 도 18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는 통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매 슈퍼 프레임마다 P-SFH를 디코딩해온 단말의 동작 절차이다. 만약, 단말이 임의의 시간 동안 아이들모드 또는 슬립모드였던 경우, 단말은 S-SFH/SP1의 정보의 변화를 계속 비교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경 계수를 해석하는 절차가 통신을 계속 수행하던 단말과는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고하여 아이들모드 또는 슬립모드였던 단말이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변화에 따른 S-SFH/SP1와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모드 또는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모드로 천이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9a 내지 상기 도 19c는 아이들모드 또는 슬립모드였던 단말이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확인한 경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변경치에 따른 S-SFH/SP1와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 여부 판단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9a 내지 상기 도 19c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1901단계에서 아이들모드 또는 슬립모드에서 페이징 여부 확인을 위해 웨이크업모드로 천이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1903단계로 진행하여 P-SFH를 통해 수신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이전에 비하여 증가하였는지 확인한다. 만일,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1 증가한 경우, 이는 S-SFH/SP1, S-SFH/SP2, S-SFH/SP3 중 하나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1 증가한 경우, 상기 단말은 1905단 계로 진행하여 S-SFH/SP1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S-SFH/SP1이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은 1907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를 갱신한다. 반면, S-SFH/SP1이 변경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은 1909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변경 계수가 1 증가하였는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S-SFH/SP2 변경 계수가 1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11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가 변화하였다고 판단하고, S-SFH/SP2을 수신 및 갱신한다. 반면, S-SFH/SP2 변경 계수가 증가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13단계로 진행하여 S-SFH/SP3가 변화하였다고 판단하고, S-SFH/SP3를 수신 및 갱신한다.
상기 1903단계에서,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1 증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1915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2 증가하였는지 확인한다.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2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17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S-SFH/SP1이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은 1919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변경 계수가 1 증가하였는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S-SFH/SP2 변경 계수가 1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21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 및 S-SFH/SP2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S-SFH/SP1 및 S-SFH/SP2을 수신 및 갱신한다. 반면, S-SFH/SP2 변경 계수가 증가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23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S-SFH/SP1이 변경되었고 S-SFH/SP2이 증가되지 않았다면, 단말은 S-SFH/SP1이 2회 변경되었는지 또는 S-SFH/SP1 및 S-SFH/SP3가 1회씩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1923단계로 진행하여 S-SFH/SP3를 수신함으로써 S-SFH/SP3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S-SFH/SP1만을 갱신하 거나 또는 S-SFH/SP1 및 S-SFH/SP3 모두를 갱신한다.
상기 1917단계에서, S-SFH/SP1이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2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변경 계수가 2 증가하였는지 확인한다. 만일,S-SFH/SP2 변경 계수가 2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27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만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S-SFH/SP2을 수신 및 갱신한다. 반면, S-SFH/SP2 변경 계수가 2 증가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29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변경 계수가 1 증가하였는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기 S-SFH/SP2 변경 계수가 1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31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및 S-SFH/SP3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S-SFH/SP2 및 S-SFH/SP3를 수신 및 갱신한다. 반면, 상기 S-SFH/SP2 변경 계수가 증가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33단계로 진행하여 S-SFH/SP3 만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S-SFH/SP3를 수신 및 갱신한다.
상기 1915단계에서,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2 증가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35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N 증가하였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N은 3 이상의 정수를 의미한다. 만일,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N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37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고, S-SFH/SP1이 변경되었으면, 1939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변경 계수가 N-1 증가하였는지 확인한다. 만일, S-SFH/SP2 변경 계수가 N-1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41단계로 진행하여 S-SFH/SP1 및 S-SFH/SP2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S-SFH/SP1 및 S-SFH/SP2을 수신 및 갱신한다. 반면, S-SFH/SP2 변경 계수가 N-1 증가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43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변경 계수가 동일한지 확 인한다. 만일, S-SFH/SP2 변경 계수가 동일하면, 이는 S-SFH/SP1 만이 변경되었거나, 또는, S-SFH/SP1 및 S-SFH/SP3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194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3를 수신함으로써 S-SFH/SP3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S-SFH/SP1 만을 갱신하거나 또는 S-SFH/SP1 및 S-SFH/SP3를 갱신한다. 반면, S-SFH/SP2 변경 계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즉, S-SFH/SP2 변경 계수가 1 내지 N-2 증가하였으면, 이는 S-SFH/SP1 및 S-SFH/SP2가 변경되었거나, 또는, S-SFH/SP1, S-SFH/SP2 및 S-SFH/SP3 모두 변경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1947단계로 진행하여 S-SFH/SP3를 수신함으로써 S-SFH/SP3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S-SFH/SP1 및 S-SFH/SP2을 갱신하거나 또는 S-SFH/SP1, S-SFH/SP2 및 S-SFH/SP3 모두를 갱신한다.
상기 1937단계에서, S-SFH/SP1이 변경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49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변경 계수가 N 증가하였는지 확인한다. 만일, S-SFH/SP2 변경 계수가 N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51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만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S-SFH/SP2을 수신 및 갱신한다. 반면, S-SFH/SP2 변경 계수가 N 증가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53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변경 계수가 동일한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S-SFH/SP2 변경 계수가 동일하면, 상기 단말은 1955단계로 진행하여 S-SFH/SP3 만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S-SFH/SP3를 수신 및 갱신한다. 반면, S-SFH/SP2 변경 계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즉, S-SFH/SP2 변경 계수가 1 내지 N-1 증가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957단계로 진행하여 S-SFH/SP2 및 S-SFH/SP3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S-SFH/SP2 및 S-SFH/SP3을 수신 및 갱신한다.
상기 도 19a 내지 상기 도 19c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 중 상기 1923단계, 상기 1945단계 및 상기 1947단계에서, S-SFH/SP3의 변경 여부 판단의 곤란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S-SFH/SP3의 변경 여부 판단이 곤란한 경우, 단말은 S-SFH/SP3를 수신함으로써 직접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상기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S-SFH/SP3가 실제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단말은 S-SFH/SP3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하지 않더라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S-SFH/SP3 변경 여부 판단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 S-SFH/SP3의 변경 여부 판단이 곤란한 경우, 단말은 S-SFH/SP3는 변경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왜냐하면, 실제 공통 제어 정보가 아이들모드 또는 슬립모드로 동작하는 사이에 여러 번 변화하는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므로, S-SFH/SP3가 변경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더라도 시스템에 치명적인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시스템정보관리기(2010), 변경계수관리기(2020), 데이터처리기(2030), 제어정보처리기(2040), 프레임매핑기(2050), OFDM변조기(2060), RF송신기(20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정보관리기(2010)는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 한 시스템 제어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 정보 송신이 필요한 경우, 상기 시스템정보관리기(2010)는 저장된 시스템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정보처리기(2040)로 제공한다. 또한, 저장된 시스템 제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정보관리기(2010)는 상기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상기 변경계수관리기(2020)로 통지한다.
*상기 변경계수관리기(2020)는 단말에게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알리기 위한 그룹 구성 변경 계수, SP 변경 계수들 및 SP 변경 비트맵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 및 관리한다. 즉, 상기 변경계수관리기(2020)는 상기 시스템정보관리기(2010)로부터 통지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에 따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상기 SP 변경 계수들 및 상기 SP 변경 비트맵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정보관리기(2010)로부터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이 통지되면, 상기 변경계수관리기(2020)는 변경된 시스템 제어 정보가 S-SFH/SP1를 통해 송신되는지, 또는 S-SFH/SPx를 통해 송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변경된 시스템 제어 정보가 S-SFH/SP1를 통해 송신되면, 상기 변경계수관리기(2020)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증가시킨다. 반면, 변경된 시스템 제어 정보가 S-SFH/SPx를 통해 송신되면, 상기 변경계수관리기(2020)는 변경된 S-SFH/SPx에 대응되는 SP 변경 계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SP 변경 비트맵을 변경한다.
상기 SP 변경 비트맵을 변경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SFH/SPx 당 하나의 비트가 할당되는 SP 변경 비트맵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변경계수관리 기(2020)는 전체 SP 변경 비트맵을 0으로 초기화한 후,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S-SFH/SPx에 대응되는 비트를 1로 설정한다. 즉, 상기 SP 변경 비트맵의 각 비트가 각 S-SFH/SPx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변경계수관리기(2020)는 특정 S-SFH/SPx가 변경되면 해당 비트를 '1'로, 변경되지 않으면 해당 비트를 '0'으로 설정한다. 반면, S-SFH/SPx 당 다수의 비트들이 할당되는 SP 변경 비트맵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변경계수관리기(2020)는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S-SFH/SPx에 대응되는 N(>1)개의 비트들을 미리 정해진 값만큼 증가시킨다.
상기 데이터처리기(2030)는 단말로 송신될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데이터처리기(2030)는 단말로 송신될 데이터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complex symbol)들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처리기(2030)는 상기 복소 심벌들을 상기 프레임매핑기(205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정보처리기(2040)는 단말로 송신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어정보처리기(2040)는 단말로 송신될 제어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정보처리기(2040)는 상기 복소 심벌들을 상기 프레임매핑기(205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정보처리기(2040)는 S-SFH/SP1생성기(2041), P-SFH생성기(2043), S-SFH/SPx생성기(2045), 맵생성기(2047), 메시지생성기(20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SFH/SP1생성기(2041)는 상기 시스템정보관리기(2010)로부터 제공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퍼 프레임 단위의 주기로 전송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S-SFH/SP1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S-SFH/SP1생성기(2041)는 설정된 S-SFH/SP1 전송 주기에 따라 S-SFH/SP1를 생성하며, 상기 S-SFH/SP1 전송 주기는 1 수퍼프레임 이상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S-SFH/SP1생성기(2041)는 SP 변경 계수 또는 SP 변경 비트맵을 포함하는 S-SFH/SP1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S-SFH/SP1생성기(2041)는 상기 변경계수관리기(202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SP 변경 계수 또는 SP 변경 비트맵을 포함하는 S-SFH/SP1를 생성한다.
상기 P-SFH생성기(2043)는 상기 시스템정보관리기(2010)로부터 제공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 중 변하지 아니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P-SFH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P-SFH생성기(2043)는 매 수퍼 프레임의 수퍼 프레임 헤더 송신 시마다 P-SFH를 생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P-SFH생성기(2043)는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P-SFH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P-SFH생성기(2043)는 상기 변경계수관리기(2020)로부터 제공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P-SFH를 생성한다.
상기 S-SFH/SPx생성기(2045)는 데이터 영역을 통해 송신되는 공통 제어 메시지, 즉, S-SFH/SPx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S-SFH/SPx생성기(2045)는 S-SFH/SP1를 포함하지 않는 수퍼 프레임 헤더 송신 시, 또는, S-SFH/SPx의 송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때에 상기 S-SFH/SPx를 생성한다. 상기 맵생성기(2047)는 단말에게 자원 할당 정보를 알리기 위한 맵을 생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맵생성기(2047)는 SP 변경 계수 또는 SP 변경 비트맵을 포함하는 변경 계수 맵을 생성한다. 이 경우, 상기 맵생성기(2047)는 상기 변경 계수 맵에 특유한 스크램블링 코드로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스크램블링한다. 또는, 상기 맵생성기(2047)는 상기 변경 계수 맵에 상기 변경 계수 맵임을 나타내는 특유한 파라미터를 포함시킨다.
상기 메시지생성기(2049)는 데이터 영역을 통해 단말로 송신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메시지생성기(2049)는 상기 SP 변경 계수 또는 상기 SP 변경 비트맵을 포함하는 변경 계수 버스트를 생성한다.
상기 프레임매핑기(2050)는 상기 데이터처리기(2030) 및 상기 제어정보처리기(2040)로부터 제공되는 복소 심벌들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자원에 매핑한다. 즉, 상기 프레임매핑기(2050)는 상기 S-SFH/SP1, 상기 P-SFH를 수퍼 프레임 헤더에 매핑하고, 상기 S-SFH/SPx들 중 일부는 수퍼 프레임 헤더에, 나머지는 데이터 영역에 매핑한다. 이때, 상기 수퍼 프레임 헤더 내에서, 상기 P-SFH 및 상기 S-SFH/SP1의 다중화 및 상기 P-SFH 및 상기 S-SFH/SPx의 다중화는 시분할 또는 주파수분할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OFDM변조기(2060)는 IFFT 연산을 통해 상기 프레임매핑기(2050)로부터 제공되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들을 시간 영역의 신호들로 변환하고, CP를 삽입함으로써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상기 RF송신기(2070)는 상기 OFDM변조기(206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OFDM 심벌들을 RF 대역 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RF수신기(2110), OFDM복조기(2120), 프레임디매핑기(2130), 데이터처리기(2140), 제어정보처리기(2150), 갱신제어기(2160), 시스템정보관리기(2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수신기(2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상기 OFDM복조기(2120)는 상기 RF수신기(21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구분하고, CP를 제거한 후,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들을 복원한다. 상기 프레임디매핑기(2130)는 상기 OFDM복조기(2120)로부터 제공되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들을 처리 단위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디매핑기(2130)는 데이터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데이터처리기(2140)로 제공하고, 수퍼 프레임 헤더 등과 같은 제어 영역 또는 데이터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 신호들을 상기 제어정보처리기(2150)로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처리기(2140)는 상기 프레임디매핑기(21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데이터 비트열을 복원한다. 즉, 상기 데이터처리기(2140)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함으로써 데이터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제어정보처리기(2150)는 상기 프레임디매핑기(213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로부터 제어 정보들을 복원 및 확인한다. 즉, 상기 제어정보처리기(2150)는 상기 제어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함으로써 제어 정보를 복원한다. 상기 제어정보처 리기(2150)는 S-SFH/SP1디코더(2151), P-SFH디코더(2153), S-SFH/SPx디코더(2155), 맵디코더(2157), 메시지디코더(21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SFH/SP1디코더(2151)는 상기 갱신제어기(2160)의 제어에 따라 S-SFH/SP1의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시스템 제어 정보 중 자주 변경되지 않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복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S-SFH/SP1디코더(2151)는 상기 S-SFH/SP1에 포함된 SP 변경 계수 또는 SP 변경 비트맵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S-SFH/SP1디코더(2151)는 상기 SP 변경 계수 또는 상기 SP 변경 비트맵을 상기 갱신제어기(2160)로 제공한다.
상기 P-SFH디코더(2153)는 상기 갱신제어기(2160)의 제어에 따라 P-SFH의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변하지 아니하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복원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P-SFH디코더(2153)는 상기 P-SFH에 포함된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P-SFH디코더(2153)는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상기 갱신제어기(2160)로 제공한다. 상기 S-SFH/SPx디코더(2155)는 데이터 영역을 통해 수신된 공통 제어 메시지, 즉, S-SFH/SPx를 디코딩함으로써, 시스템 제어 정보를 복원한다.
상기 맵디코더(2157)는 맵을 디코딩함으로써 자원 할당 정보를 복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맵디코더(2157)는 변경 계수 맵에 포함된 상기 SP 변경 계수 또는 상기 SP 변경 비트맵을 확인한다. 이 경우, 상기 맵디코더(2157)는 상기 변경 계수 맵에 특유한 스크램블링 코드로 상기 변경 계수 맵을 디스크램블링한다. 또는, 상기 맵디코더(2157)는 상기 변경 계수 맵에 포함된 상기 변경 계수 맵임을 나타내는 특유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다수의 맵들 중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식별한다.
상기 메시지디코더(2159)는 데이터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디코딩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메시지해석기(2159)는 상기 SP 변경 계수를 포함하는 변경 계수 버스트를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SP 변경 계수 또는 상기 SP 변경 비트맵을 확인한다.
상기 갱신제어기(2160)는 상기 제어정보처리기(2150)로부터 제공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적어도 하나의 SP 변경 계수를 이용하여 S-SFH/SP1 및 S-SFH/SPx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증가함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갱신제어기(2160)는 S-SFH/SP1 또는 S-SFH/SPx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됨을 판단하고, SP 변경 계수들 또는 SP 변경 비트맵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SP 변경 계수가 증가하거나 또는 상기 SP 변경 비트맵이 변경됨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갱신제어기(2160)는 변경된 S-SFH/SPx를 식별하고, 상기 변경된 S-SFH/SPx를 디코딩하도록 상기 S-SFH/SPx디코더(2155)를 제어하고, 저장된 해당 S-SFH/SPx를 상기 S-SFH/SPx디코더(2155)에 의해 디코딩된 S-SFH/SPx로 갱신하도록 상기 시스템정보관리기(2170)를 제어한다. 반면, 모든 SP 변경 계수들이 증가하지 아니하거나 또는 상기 SP 변경 비트맵이 변경되지 아니함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갱신제어기(2160)는 S-SFH/SP1이 변경됨을 판단하고, S-SFH/SP1를 디코딩하도록 상기 S-SFH/SP1디코더(2151)를 제어하고, 저장된 해당 S-SFH/SP1를 상기 S-SFH/SP1디코더(2151)에 의해 디코딩된 S-SFH/SP1로 갱신하도록 상기 시스템정보관 리기(2170)를 제어한다.
상기 SP 변경 비트맵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갱신제어기(2160)는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가 동일한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S-SFH/SPx들 및 S-SFH/SP1 중 하나의 변경에 따라 1씩 증가한다고 할 때, 상기 S-SFH/SP1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가 동일한지 판단하고, 상기 S-SFH/SP1이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가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보다 1 작은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가 동일하면, 상기 갱신제어기(2160)는 상기 SP 변경 비트맵을 통해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S-SFH/SPx를 갱신한다. 반면, 상기 SP 변경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의 증가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S-SFH/SPx의 개수가 동일하지 아니하면, 상기 갱신제어기(2160)는 모든 S-SFH/SPx을 수신한 후, 저장된 정보를 새로이 수신된 S-SFH/SPx들로 갱신한다.
상기 시스템정보관리기(2170)는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스템 제어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특히, 상기 시스템정보관리기(2170)는 상기 갱신제어기(216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시스템 제어 정보를 갱신한다. 즉, 상기 갱 신제어기(2160)로부터 시스템 제어 정보의 갱신이 지시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정보관리기(2170)는 저장된 시스템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정보처리기(2150)로부터 제공되는 시스템 제어 정보로 갱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전송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퍼 프레임 헤더의 운영 시 P-SFH, S-SFH/SP1 및 공통 제어 메시지의 전송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변경 계수 전송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변경 계수 전송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변경 계수 전송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메시지의 전송 주기와 공통 제어 메시지의 오프셋 간 상관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변경 비트맵을 사용하는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변경 비트맵을 통해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판단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변경 계수의 개수가 총 공통 제어 메시지 개수보다 하나 작은 경우의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모드(idle mode) 또는 슬립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모드(normal mode)로 천이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 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42)

  1.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퍼프레임들의 범위에서 송신 주기가 변화 가능한 S-SFH/SP1(Secondary-Super Frame Header/Sub-Packet1)의 변경 시, 그룹 구성 변경 계수(GCCC : Group Configuration Change Counter)를 변경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 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는.
    공통 제어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계수들, 및, 적어도 하나의 비트가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와 대응되는 비트맵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며, 매 프레임 송신되는 P-SFH(Primary-Super Frame Header)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P-SFH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S-SFH/SP1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S-SFH/SP1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변경 계수 맵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변경 계수 맵에 특유한 스크램블링(scrambling) 코드로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스크램블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변경 계수 맵에 상기 변경 계수 맵임을 나타내는 특유한 파라미터를 포함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버스트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맵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맵 및 상기 버스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내에서, 하나의 비트가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와 대응되며,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비트맵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하는 과정과,
    상기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들을 1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내에서, 다수의 비트들로 이루어진 비트열이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와 대응되며,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열들 각각의 값을 미리 정해진 값만큼 증가시키는 과 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GCCC : Group Configuration Change Counter)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퍼프레임들의 범위에서 송신 주기가 변화 가능한 S-SFH/SP1(Secondary-Super Frame Header/Sub-Packet1) 및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증가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 변경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는.
    공통 제어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계수들, 및, 적어도 하나의 비트가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와 대응되는 비트맵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며, 매 프레임 송신되는 P-SFH(Primary-Super Frame Header)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P-SFH에 포함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SFH/SP1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S-SFH/SP1에 포함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변경 계수 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 계수 맵에 포함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 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변경 계수 맵에 특유한 스크램블링(scrambling) 코드로 상기 변경 계수 맵을 디스크램블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변경 계수 맵임을 나타내는 특유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맵을 통해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트의 자원 할당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버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버스트에 포함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변경되었으나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가 변경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S-SFH/SP1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를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공통 제어 메시지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공통 제어 메시지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비트맵을 통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를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공통 제어 메시지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공통 제어 메시지의 개수가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모든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퍼프레임들의 범위에서 송신 주기가 변화 가능한 S-SFH/SP1(Secondary-Super Frame Header/Sub-Packet1)의 변경 시 그룹 구성 변경 계수(GCCC : Group Configuration Change Counter)를 변경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 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변경하는 관리기와,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는.
    공통 제어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계수들, 및, 적어도 하나의 비트가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와 대응되는 비트맵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며, 매 프레임 송신되는 P-SFH(Primary-Super Frame Header)를 생성하는 P-SFH 생성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S-SFH/SP1를 생성하는 S-SFH/SP1 생성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변경 계수 맵을 생성하는 맵 생성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맵 생성기는, 상기 변경 계수 맵에 특유한 스크램블링(scrambling) 코드로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스크램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맵 생성기는, 상기 변경 계수 맵에 상기 변경 계수 맵임을 나타내는 특유한 파라미터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트를 생성하는 제어 메시지 생성기와,
    상기 버스트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맵을 생성하는 맵 생성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내에서, 하나의 비트가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와 대응되며,
    상기 관리기는, 상기 비트맵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한 후, 상기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 트들을 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내에서, 다수의 비트들로 이루어진 비트열이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와 대응되며,
    상기 관리기는, 상기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열들 각각의 값을 미리 정해진 값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그룹 구성 변경 계수(GCCC : Group Configuration Change Counter)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퍼프레임들의 범위에서 송신 주기가 변화 가능한 S-SFH/SP1(Secondary-Super Frame Header/Sub-Packet1) 및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변경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기와,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 변경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경우, 적어도 하나 의 공통 제어 메시지를 갱신하는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는.
    공통 제어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계수들, 및, 적어도 하나의 비트가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와 대응되는 비트맵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포함하며, 매 프레임 송신되는 P-SFH(Primary-Super Frame Header)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P-SFH에 포함된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를 확인하는 P-SFH 디코더(decod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S-SFH/SP1에 포함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하는 S-SFH/SP1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변경 계수 맵에 포함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하는 맵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맵 디코더는, 상기 변경 계수 맵에 특유한 스크램블링(scrambling) 코드로 상기 변경 계수 맵을 디스크램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맵 디코더는, 상기 변경 계수 맵임을 나타내는 특유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변경 계수 맵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맵을 통해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트의 자원 할당 정보를 확인하는 맵 디코더와,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버스트를 추출하는 디매핑기와,
    상기 버스트에 포함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하는 메시지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는,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가 변경되었으나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가 변경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S-SFH/SP1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는,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공통 제어 메시지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공통 제어 메시지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비트맵을 통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메시지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는, 상기 비트맵으로부터 판단되는 변경된 공통 제어 메시지의 개수 및 상기 그룹 구성 변경 계수에 의해 판단되는 변경된 공통 제어 메시지의 개수가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모든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0059732A 2008-07-03 2009-07-01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01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97,309 US8310987B2 (en) 2008-07-03 2009-07-02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change of system control inform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9/003651 WO2010002222A2 (en) 2008-07-03 2009-07-03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change of system control inform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4336 2008-07-03
KR1020080064336 2008-07-03
KR1020090020037 2009-03-10
KR1020090020037A KR20100004846A (ko) 2008-07-03 2009-03-10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73A KR20100004873A (ko) 2010-01-13
KR101501152B1 true KR101501152B1 (ko) 2015-03-12

Family

ID=418143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037A KR20100004846A (ko) 2008-07-03 2009-03-10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090059732A KR101501152B1 (ko) 2008-07-03 2009-07-01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037A KR20100004846A (ko) 2008-07-03 2009-03-10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0048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3539B2 (en) 2010-04-14 2014-1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access system
KR101674418B1 (ko) * 2010-04-27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시스템 대역폭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6190A1 (en) * 2000-06-16 2002-01-17 Alcatel Method to transport a reference clock signal
US20030202541A1 (en) * 2002-04-24 2003-10-30 Chae-Man Lim Cell search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search func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23221A1 (en) * 2002-12-20 2004-06-24 Huffman Amber D. CRC calculation for data with dynamic header
US20070237107A1 (en) * 2006-03-03 2007-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s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 st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6190A1 (en) * 2000-06-16 2002-01-17 Alcatel Method to transport a reference clock signal
US20030202541A1 (en) * 2002-04-24 2003-10-30 Chae-Man Lim Cell search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search func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23221A1 (en) * 2002-12-20 2004-06-24 Huffman Amber D. CRC calculation for data with dynamic header
US20070237107A1 (en) * 2006-03-03 2007-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s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 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73A (ko) 2010-01-13
KR20100004846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09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change of system control inform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734676B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EP21901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ap IE using reduced CID in Broadband OFDMA system
US77293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using the same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28679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레인징 장치 및 방법
KR10146434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정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0950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200800436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90662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8768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system
KR101501152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39847A (ko)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98232B2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97607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영역을 인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53643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 채널 전송 장치 및 방법
US87372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ifferent frame structures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36399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51579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AU201120337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system
KR20090088287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정보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
CN109039554B (zh) 一种被用于窄带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US20090232072A1 (en) Resource al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04279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맵 메시지 크기 정보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1414709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00049442A (ko) 다중 홉 중계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분리 코딩 기반 맵 전송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