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030B1 -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030B1
KR101501030B1 KR1020130083173A KR20130083173A KR101501030B1 KR 101501030 B1 KR101501030 B1 KR 101501030B1 KR 1020130083173 A KR1020130083173 A KR 1020130083173A KR 20130083173 A KR20130083173 A KR 20130083173A KR 101501030 B1 KR101501030 B1 KR 101501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weight
blend composition
polyamide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775A (ko
Inventor
이동성
전광훈
김기수
Original Assignee
현대이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이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이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0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0 ∼ 70 중량%; (B) 폴리아미드 10 ~ 70 중량%; (C) 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5 ~ 20 중량%; (D) 무기 충전제 5 ∼ 30 중량%; 및 (E) 변성 폴리프로필렌 1 ~ 10 중량%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은 강성, 고충격성, 내스크래치성, 우수한 성형성 및 열적 성질 등 우수한 물성을 갖고, 원가의 가격 경쟁력을 갖기에 자동차 외장 부품 및 가전제품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BLEND COMPOSITION COMPRISING POLYPROPYLENE AND POLYAMIDE}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폴리아미드에 스틸렌 공중합체, 무기 충전제 및 변성 폴리프로필렌를 소정량 함유시켜서, 강성, 고충격성, 내스크래치성, 우수한 성형성 및 열적 성질 등 우수한 물성을 갖고, 원가의 가격 경쟁력을 갖기에 자동차 외장 부품 및 가전제품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은 고무상 구체적으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부텐 고무, 에틸렌-옥텐 고무, 이피디엠 고무 등과 필러와의 컴파운딩을 통해 자동차 외장부품 특히, 범퍼나 라디에이터 그릴에 주로 사용되는 소재로 상온 및 저온에서의 우수한 충격강도와 높은 내열성, 도장성 및 도금성을 지녀야 한다. 저온 충격강도, 도금성 및 도장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높은 함량의 고무상이 첨가되어야 하고, 낮은 선팽창계수를 확보하기 위해 일정 함량의 필러를 첨가하여야 한다.
이는 박육화 및 경량화 추세로 진행되는 자동차 소재의 개발 방향과 부합하지 않으며, 폴리프로필렌에 다량의 고무상과 필러의 첨가는 강성 저하, 비중 증가, 표면 광택, 내스크래치성 감소 및 성형성 문제가 지니게 되어 자동차 외장 부품에는 적용되기가 쉽지 않다.
한편 폴리아미드는 우수한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성형성을 지니고 있으며, 장기 물성 또한 우수하지만,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취약하며, 특히, 충격강도 부족으로 인해 폴리아미드 단독으로는 자동차 외장소재로 적용되기가 쉽지 않다. 이에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스틸렌에 아크릴 고무, 부타디엔 고무 등이 공중합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수지(ABS), 아크릴레이트-스틸렌-아크릴로 니트릴 수지(ASA) 등과 블렌딩 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수지(ABS), 아크릴레이트-스틸렌-아크릴로 니트릴 수지(ASA)는 고강성, 고광택, 고충격성, 낮은 선팽창계수 등과 같은 우수한 물성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대비 비중이 높고, 원가적인 부담감 때문에 자동차 외장 부품으로써 더 이상 적용범위가 확장되기 어려운 실정에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로 한국 공개특허 제1998-055643호에서는 폴리아미드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에서 개질제로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불록공중합체를 첨가하여 개질제의 표면응집작용으로 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두 분자의 상호표면에 강한 상호인력을 작용하여 우수한 물성을 얻을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자동차 외장 부품에 적용하기에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1: 한국 공개특허 제1998-055643호, 1998년 9월 25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차량 경량화를 통한 자동차 연비 향상 및 친환경 추세와 발맞추며, 동시에 생산 원가 절감 및 작업성 향상을 이루기 위해 고가의 소재 대신 저가이면서 유사한 물성을 나타내는 소재 개발을 하던 중, 자동차 외장소재로 적용시키기에 적합한 물성을 지닌 상용화제가 첨가된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을 발명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 고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로 제조된 자동차 외장 부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0 ∼ 70 중량%; (B) 폴리아미드 10 ~ 70 중량%; (C) 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5 ~ 20 중량%; (D) 무기 충전제 5 ∼ 30 중량%; 및 (E) 변성 폴리프로필렌 1 ~ 10 중량%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로 제조된 자동차 외장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은 강성, 고충격성, 내스크래치성, 우수한 성형성 및 열적 성질 등 우수한 물성을 갖는다.
또한 원가의 경쟁력이 있기에 고가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어, 자동차 외장 부품 및 가전제품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0 ∼ 70 중량%; (B) 폴리아미드 10 ~ 70 중량%; (C) 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5 ~ 20 중량%; (D) 무기 충전제 5 ∼ 30 중량%; 및 (E) 변성 폴리프로필렌 1 ~ 10 중량%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A)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모노머 함량이 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 8 중량%이고, 공중합체 중 프로필렌의 아이소택틱 지수(isotactic index, 13C-NMR 측정 시) 96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7 ~ 99 % 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0 ~ 400,000 g/mol이며, 하중 2.16 kg 및 230 ℃의 온도에서 용융흐름지수가 0.5 ~ 100 g/10분, 바람직하게는 5 ~ 40 g/10분인 것을 사용한다.
이때 프로필렌의 아이소택틱 지수(isotactic index, 13C-NMR 측정시)가 96 % 미만이면 성형품의 강성 및 표면경도가 만족스럽지 않고, 99 % 초과이면 충격강도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용융흐름지수가 0.5 g/10분 미만이면 유동성 및 성형성이 저하되고, 100 g/10분 초과이면 사출성형과정 중 플래쉬 발생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10 ∼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 65 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10 중량% 미만이면 성형성이 저하 및 수축 증가 문제가 발생되고, 70 중량% 초과의 경우 충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B)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고, 상대점도가 2 ~ 4(20 ℃, 96 % 황산 용액(1 g/100 mL 농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상대점도가 2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감소하며, 4 초과인 경우 유동성의 저하로 인해 외관 불량 및 성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폴리아미드 수지는 평균 중합도가 200 ~ 20,000을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5,000 ~ 1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평균 중합도가 5,000 ~ 1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경우 최종 수지 조성물의 우수한 기계적 강성, 치수안정성, 표면 특성 및 내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흡습 특성이 있으므로 펠렛(PELLET) 형태로 가공하여 제급 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는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및 스틸렌-부타디엔-부틸렌-스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을 사용하며, 스틸렌의 함량은 0.5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3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는 무니점도가 5 ∼ 50 ML1 +4 (121℃), 바람직하게는 20 ~ 40 ML1 +4, 유리전이온도는 -65 ∼ -5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무니점도가 5 ML1 +4 미만인 경우 물성이 저하되며, 50 ML1 +4 초과인 경우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65 ℃ 미만의 경우 강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고, -50℃ 초과의 경우 저온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기에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는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에 대해 5 ~ 20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8 ~ 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충격 강도가 떨어지며, 20 중량% 초과이면 강도 및 내열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D) 무기 충전제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탈크, 올라스토나이트, 황산바륨, 탄산칼슘 및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1 종의 단일화합물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5 ∼ 30 중량%로 사용한다. 상기 무기 충전제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강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고, 30 중량% 초과인 경우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무기 충전제는 평균 입자 크기가 0.5 ~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의 크기가 0.5 ㎛ 미만이면 분산성 저하로 인한 물성 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10 ㎛를 초과인 경우 강성보강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E) 변성 폴리프로필렌는 폴리프로필렌 왁스에 메탈로센계 촉매를 이용하여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와 프탈릭언하이드라이드를 반응시켜 얻은 오쏘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가 0.5 ~ 10 중량% 범위로 그라프트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그라프트율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두 수지간의 충분한 상용성을 얻기 어렵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 미반응 잔류물 발생으로 인한 물성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 ∼ 3,000 g/mol, 바람직하기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 2,000 g/mol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 g/mol 미만의 경우 빛과 열에 의해 표면으로 흘러나올 수 있으며, 3,000 g/mol 초과할 경우 왁스의 성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함량은 폴리프로필렌-폴리스틸렌 블렌드 조성에 대하여 1 ∼ 1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3 ∼ 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1 중량% 미만이면 상용화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10 중량% 초과하면 물성 저하 및 경제성 측면에서의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를 단독 사용할 때와 대비하여, 기계적 물성의 저하 없이 폴리프로필렌와 폴리아미드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두 수지간의 상용성을 발휘하는데 기여하며, 스크래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주요성분 이외에도 성형품의 성능 및 가공 상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차 및 2차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안료, 분산제, 핵제, 가공윤활제 및 커플링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의 제조하기 위하여 구성 성분들을 슈퍼 믹서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1축 및 2축 압출기, 반바리 믹서, 니드 등의 용융 혼련기에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180 ~ 220 ℃ 온도 하에서, 회전수 100 ~ 300 RPM 조건으로 교반하여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강성, 충격강도, 열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물성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범퍼, 라디에이터 그릴 등과 같은 자동차 외장 부품 등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청소기 등 가전용 제품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4
하기 표 1 내지 표 5에 나타낸 원료를 사용하여, 다음 표 6의 조성 비율에 따라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을 제조하고,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실린더 온도 220 ℃ 및 금형온도 50 ℃에서 사출 성형하여 실시예 1 ~ 4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성분(A) :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구 분 A-1 A-2
용융흐름지수(g/10min) 10 30
중량평균 분자량(g/mol) 350,000 170,000
에틸렌 함유량(중량%) 4.6 4.5
성분(B) : 폴리아미드
구 분 B
평균 중합도 9,000
성분(C) : 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구 분 C-1 C-2
스틸렌 함량 20 30
성분(D) : 무기 충진제
구 분 D-1
평균 직경(㎛) 3
성분(E) : 변성 폴리프로필렌
구 분 E-1 E-2
그라프트율(%) 3 5
중량평균 분자량(g/mol) 1,000
비교예 1 ~ 5
상기 실시예 1 ~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표 1 내지 표 5에 나타낸 원료를 사용하여, 다음 표 6의 조성 비율에 따라 비교예 1 ~ 5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5에 따라 제조된 시험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 및 물성 값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 및 물성 값
조성
(중량%)
실 시 예 비 교 예
1 2 3 4 1 2 3 4 5





A-1
A-2
35
14
30
22
51.5
-
42
9
35
21
30
-
31
31
35
12
30
25
B 11 13 10 12 13 12 15 11 12
C-1
C-2
12
-
6
6
10
-
-
12
2
-
7
7
-
15
5
5
8
5
D-1 25 20 25 20 25 40 4 20 20
E-1
E-2
3
-
3
-
3.5
-
5
-
4
-
2
2
4
-
6
6
-
-
굴곡 탄성율
(kgf/cm2)

25800

25300

25100

24800

23500

25600

19900

21700

17100
IZOD충격(23℃) 17.7 18.8 16.0 15.4 9.9 5.8 15.5 10.1 6.8
열변형 온도 130 132 128 128 126 132 112 122 120
내스크래치성 4급 4.5급 3.5급 4급 2급 1.5급 3급 2.5급 2급
실험예 : 시편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5에 따라 제조된 시험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6에 나타낸 물성 결과는 7개의 시편을 측정하여 상한치와 하한치를 제외한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며, 이에 대한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굴곡탄성률 : ASTM D 790 규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편두께는 6.2 mm이고, 측정 속도는 10 mm/min로 하였으며, 측정단위는 kgf/cm2로 하였다.
(2) 아이조드 충격강도 : ASTM D256 규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편두께는 6.3 mm이고, 노치기를 이용하여 노치를 내어 측정하였으며, 측정단위는 kgf·cm/cm로 하였다.
(3) 열변형온도 : ASTM D648 규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편두께는 6.2 mm이고, 4.6 kgf 응력 하에서 측정하였으며, 측정단위는 ℃로 하였다.
(4) 내스크래치성: JIS K3718 규정에 따라 측정하였다. 내스크래치 측정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시험편의 표면을 하기 표 7의 조건으로 긁은 후 표면 상태를 하기 표 8에 의해 평가한다.
내스크래치성 측정조건
항 목 조 건
하중 (N {kgf}) 4.9 {0.5}
STROKE (㎜) 100±5
마찰 속도 (mm/초) 100




긁힘자
Figure 112013063684599-pat00001
긁힘 횟수 1회
내스크래치성 판정기준
등 급 판정 기준
스크래치 폭(㎛) 외 관
5 < 20 표면손상이 거의 없음
4 100 ∼ 200 분명한 표면손상이 인지되지 않음
3 200 ∼ 300 미세한 표면손상이 인지됨
2 300 ∼ 400 분명한 표면손상으로 백화발생
1 > 400 매우 심한 표면 손상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4의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은 각 성분들 간의 적절한 사용으로 본 발명의 구성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1 ~ 5와 대비하여, 강성, 충격강도,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에 우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범퍼, 라디에이터 그릴 등과 같은 자동차 외장 부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청소기 등 가전용 제품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A)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0 ~ 70 중량%;
    (B) 상대점도가 2 ~ 4(20 ℃, 96 % 황산 용액(1 g/100 mL 농도))이고, 평균 중합도가 200 ~ 20,000인 폴리아미드 10 ~ 70 중량%;
    (C) 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5 ~ 20 중량%;
    (D) 무기 충전제 5 ∼ 30 중량%; 및
    (E) 변성 폴리프로필렌 1 ~ 10 중량%;
    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모노머 함량이 1 ~ 10 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 400,000 g/mol, 프로필렌의 아이소택틱 지수(isotactic index, 13C-NMR 측정시)가 96 % 이상, 용융흐름지수가 0.5 ~ 100 g/10분(230 ℃, 2.16 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는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및 스틸렌-부타디엔-부틸렌-스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는 무니점도가 5 ∼ 50 ML1+4 (121℃), 유리전이온도는 -65 ∼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제는 입자 크기가 0.5 ∼ 10 ㎛인 탈크, 올라스토나이트, 황산바륨, 탄산칼슘 및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1 종의 단일화합물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왁스에 오쏘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가 0.5 ~ 10 중량% 범위로 그라프팅 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 ~ 3,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에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안료, 분산제, 핵제, 가공윤활제 및 커플링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로 제조된 자동차 외장 부품.
KR1020130083173A 2013-07-15 2013-07-15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KR101501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73A KR101501030B1 (ko) 2013-07-15 2013-07-15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173A KR101501030B1 (ko) 2013-07-15 2013-07-15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75A KR20150008775A (ko) 2015-01-23
KR101501030B1 true KR101501030B1 (ko) 2015-03-18

Family

ID=5257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173A KR101501030B1 (ko) 2013-07-15 2013-07-15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9155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친환경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679A1 (ko) * 2019-09-18 2021-03-25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8764A (en) 1987-09-29 1991-01-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mpact-resistant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KR20050008394A (ko) * 2003-07-15 2005-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미드/폴리올레핀 블렌드 수지 조성물
KR100792867B1 (ko) 2006-07-05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용융강도가 우수한 폴리아미드/폴리올레핀 블렌드 수지조성물
KR100909099B1 (ko) * 2008-02-15 2009-07-23 현대이피 주식회사 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폴리스티렌블렌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8764A (en) 1987-09-29 1991-01-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mpact-resistant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KR20050008394A (ko) * 2003-07-15 2005-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미드/폴리올레핀 블렌드 수지 조성물
KR100792867B1 (ko) 2006-07-05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용융강도가 우수한 폴리아미드/폴리올레핀 블렌드 수지조성물
KR100909099B1 (ko) * 2008-02-15 2009-07-23 현대이피 주식회사 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폴리스티렌블렌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9155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친환경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022359B1 (ko) * 2015-10-28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친환경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75A (ko) 201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0151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KR101947230B1 (ko) 무도장용 메탈릭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JPS625186B2 (ko)
KR20130017837A (ko) 자동차 도어 트림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952012B1 (ko) 고충격성 및 저수축 특성을 지닌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복합 조성물
KR101526586B1 (ko) 자동차 내장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01030B1 (ko)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블렌드 조성물
KR101836627B1 (ko) 촉감과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20160064389A (ko)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성형품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80103570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20020077396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KR100909099B1 (ko) 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폴리스티렌블렌드 조성물
KR101467683B1 (ko)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76021B1 (ko)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80957B1 (ko)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5584079A (zh) 具有高刚性和低线性热膨胀系数的热塑性树脂组合物及包含该热塑性树脂组合物的模制品
KR102022359B1 (ko) 친환경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02775683A (zh) 一种汽车内饰件用耐划伤pp/hdpe塑料及其制备方法
KR100842161B1 (ko) 흐름성과 무광 특성이 우수한 고충격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20110116293A (ko) 재활용 가능한 충격 및 유동성이 우수한 자동차 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품
KR100708315B1 (ko)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60069047A (ko) 발포 블로우 성형용 폴리올레핀 복합재 수지 조성물
KR20070048992A (ko) 자동차 트림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51019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