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543B1 -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543B1
KR101499543B1 KR1020130088423A KR20130088423A KR101499543B1 KR 101499543 B1 KR101499543 B1 KR 101499543B1 KR 1020130088423 A KR1020130088423 A KR 1020130088423A KR 20130088423 A KR20130088423 A KR 20130088423A KR 101499543 B1 KR101499543 B1 KR 101499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temperature
user
temperature controll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648A (ko
Inventor
권기출
이상희
노홍일
송재호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8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5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조절기 내 온수 스위치가 "온"상태이면 사용자 설정한 온수 설정온도(S ℃)를 기억한 다음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이면 온수 운전을 실시하되,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니면 수류 스위치의 상태 검출을 통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중인지를 판단하여 온수를 사용하고 있는 중이면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이상이면 온수 설정온도를 화상안전 판단온도(T℃)로 세팅하고,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미만이면 온수 설정온도를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S ℃)로 세팅하고 온수 운전을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온도조절기의 이상 상태에서 온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온수 설정온도를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보일러의 사용에 따른 편리성과 안전성을 포함하여 제품 자체의 상품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hot water temperature when detecting breakdown of boiler thermostat}
본 발명은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도조절기의 고장이나 보일러 본체 간의 통신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게 된 경우에 있어서 온수온도가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 있을 정도로 높을 경우 화상 우려가 없을 정도로 낮은 온도로 온수 설정온도를 자동 변경한 다음 온수 운전을 실시하여 고온수의 방출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온도조절기가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 또는 연결될 경우에는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온수 설정온도로 자동 복귀시켜 온수 온도를 다시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해결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난방과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장치로, 각종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데우고, 데워진 물을 직접 이용하거나, 가정 또는 각종 건물들의 난방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크기에 따라 가정용으로 이용되는 소형 보일러에서부터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대형 보일러까지 널리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서 기름보일러 및 가스보일러 등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종류의 보일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보일러에는 통상 본체와 제어부, 물탱크, 열교환기, 순환펌프, 순환파이프, 난방배관 등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와 열교환기의 난방 및 온수 출탕측 배관을 포함하여 급기 배관에 온도검출용 써미스터들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난방 및 온수모드를 포함하여 각 모드에서 원하는 난방 및 온수온도 등을 설정하여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조절기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1995-0001242호로 제시된 가스 보일러의 리모콘 고장시 제어방법에서는 보일러의 본체에 별도의 비상 운전 스위치를 마련해 놓고 온도조절기의 고장이나 미 연결 상태 또는 정상 연결 상태에서도 어떠한 원인으로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통신이상 시, 사용자가 직접 상기한 비상 운전 스위치를 입력하면, 소정의 온수 설정 온도로 셋팅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온수 온도와는 별개의 온수 설정 온도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일러는 온도조절기의 고장이나 통신이상 등이 발생되었을 때 사용자기 직접 비상 운전 스위치를 조작해 주어야만 소정의 온수 온도가 설정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온도조절기의 상태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경우, 기존의 사용자가 설정한 온수 온도로 자동 복귀되지 않아, 온수 설정온도를 재설정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5-0001242호(1995년 01월 03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 온도조절기의 이상 유무를 상시로 판단하여 온도조절기에 이상이 발생(온도조절기의 고장이나 단선 또는 통신 불량 등)한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지를 계속 판단하되, 만약 상기와 같이 온도조절기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게 되면 온수 출탕온도를 자동으로 화상의 우려가 없는 온수 설정온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온도조절기가 다시 정상으로 작동될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온수 설정온도로 자동으로 복귀함으로써 온도조절기의 이상 상태에서 온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온수 설정온도를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해결할 수 있는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전에 제어부에 기억된 온수모드는 "온" 상태인데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지 않고 있을 시에는 제어부에서 온수 "오프"신호를 출력하여 온도조절기가 다시 정상적으로 연결되더라도 온수운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강제로 제어함으로써 온도조절기가 자주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온수운전이 실시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고온의 온수공급에 따른 화상 우려 등을 완벽히 배제할 수 있어 보일러의 사용에 따른 편리성과 안전성을 포함하여 제품 자체의 상품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 온도조절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온수 스위치가 "온"상태이면 사용자 설정한 온수 설정온도(S ℃)를 기억한 다음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이면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와; 온수 운전 중 수류 스위치를 통해 온수 사용이 중지되는지를 계속 검출하여 온수 사용중이면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온수 사용이 끝났으면 종료하는 단계와;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한 결과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니면 비상 온수운전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니면 실시되는 비상 온수운전 서브루틴은, 수류 스위치의 상태 검출을 통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중인지를 판단하여 온수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온수 사용중이면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이상이면 온수 설정온도를 화상안전 판단온도(T℃)로 세팅하고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미만이면 온수 설정온도를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S ℃)로 세팅하고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니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중인지를 판단하기에 앞서, 이전에 제어부에서 기억하고 있는 온수모드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온수모드가 "온"이 아니면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온수모드가 "온" 상태이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와 같이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온수모드가 "온" 상태인 가운데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 중인지를 판단한 결과, 온수 사용중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온수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이면 온수 운전을 실시하기에 앞서, 이전에 제어부에서 기억하고 있는 온수모드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온수모드가 "온"이 아니면 온수모드 "온"신호를 출력하고 온수모드 "온"상태에서와 마찬가지로 온수 설정온도를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S ℃)로 세팅하고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에 의하면,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 온도조절기의 이상 유무를 상시로 판단하여 온도조절기의 고장이나 단선 또는 통신 불량 등과 같은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지를 계속 판단하되, 만약 상기와 같이 온도조절기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게 되면 온수 출탕온도를 자동으로 화상의 우려가 없는 온수 설정온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온도조절기가 다시 정상으로 작동될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온수 설정온도로 자동으로 복귀함으로써 온도조절기의 이상 상태에서 온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온수 설정온도를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전에 제어부에 기억된 온수모드는 "온" 상태인데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지 않고 있을 시에는 제어부에서 온수 "오프"신호를 출력하여 온도조절기가 다시 정상적으로 연결되더라도 온수운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강제로 제어함으로써 온도조절기가 자주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온수운전이 실시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고온의 온수공급에 따른 화상 우려 등을 완벽히 배제할 수 있어 보일러의 사용에 따른 편리성과 안전성을 포함하여 제품 자체의 상품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일러 내 제어부(2)에서 온도조절기(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온수 스위치(11)가 "온"상태이면(S1) 사용자 설정한 온수 설정온도(S ℃)를 기억(S2)한 다음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와;
상기 제어부(2)에서 판단한 결과 온도조절기(1)가 정상 연결상태이면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S4)와;
온수 운전 중 수류 스위치(3)를 통해 온수 사용이 중지되는지를 계속 검출(S5)하여 온수 사용중이면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가고 온수 사용이 끝났으면 종료하는 단계와;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한 결과 온도조절기(1)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니면(S3에서 No) 비상 온수운전 서브루틴(EOS)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단계(S3)에서 판단한 결과 온도조절기(1)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니면 실시되는 비상 온수운전 서브루틴(EOS)은,
수류 스위치(3)의 상태 검출을 통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중인지를 판단(S6)하여 온수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S6)에서 판단한 결과 온수 사용중이면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7)와;
상기 단계(S7)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이상이면 온수 설정온도를 화상안전 판단온도(T℃)로 세팅(S8)하고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S4)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단계(S7)에서 판단한 결과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미만이면 온수 설정온도를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S ℃)로 세팅(S9)하고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S4)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단계(S3)에서 온도조절기(1)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니면(S3에서 No)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중인지를 판단(S6)하기에 앞서,
이전에 제어부(2)에서 기억하고 있는 온수모드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를 더 실시하여, 온수모드가 "온"이 아니면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가고,
온수모드가 "온" 상태이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와 같이 온도조절기(1)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닌 상태(S3에서 No)에서 온수모드가 "온" 상태(S10에서 Yes)인 가운데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 중인지를 판단(S6)한 결과 온수 사용중이 아니면(S6에서 No),
상기 제어부(2)에서는 온수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가는 단계(S11)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S3에서 Yes)이면 온수 운전을 실시(S4)하기에 앞서,
이전에 제어부(2)에서 기억하고 있는 온수모드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를 더 실시하여, 온수모드가 "온"이 아니면(S12에서 No) 온수모드 "온"신호를 출력(S13)하고 온수모드 "온"상태(S12에서 Yes)에서와 마찬가지로 온수 설정온도를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S ℃)로 세팅(S14)하고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S4)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4는 점화기 구동부이며, 5는 가스밸브 구동부이고, 6은 송풍팬 구동부이며, 7은 순환펌프 구동부이고, 8은 삼방변 구동부이며, 9는 표시부이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발명의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온수 스위치(11)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난방 및 온수온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조절기(1)와,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2),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수류 스위치(3)를 포함하여 점화기 구동부(4), 가스밸브 구동부(5), 송풍팬 구동부(6), 순환펌프 구동부(7), 삼방변 구동부(8) 및 표시부(9) 등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것으로, 보일러 내 제어부(2)에서 통상시 온도조절기(1)의 출력신호를 계속 입력받아 사용자가 온수 사용을 위해 온도조절기(1)에 구비된 온수 스위치(11)를 "온"시키는지를 계속 검출(S1)하여 온수 스위치(11)가 "온" 상태이면 사용자 온도조절기(1)를 통해 설정한 온수 설정온도(S ℃)를 읽어들여 기억(S2)한 다음 계속해서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S3)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2)에서 판단한 결과 온도조절기(1)가 정상 연결상태이면 사용자의 온수 설정온도(S ℃)에 따른 온수 운전을 실시(S4)하면서, 수류 스위치(3)의 출력상태를 계속 확인하여 사용자가 온수 사용을 완료하고 수도꼭지를 닫음으로 인해 상기 수류 스위치(3)가 "오프"되는지를 계속 판단(S5)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온수의 사용 중 상기 수류 스위치(3)에서 계속 "온"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온수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으로 인식하고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가고 사용자의 온수 사용 완료로 인해 상기 수류 스위치(3)에서 "오프"가 입력되면 온수 사용이 끝난 것으로 인식하고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S3)에서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한 결과, 온도조절기(1)가 고장이나 단선 또는 통신 불량 등으로 인해 정상 연결상태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2)에서는 온수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비상 온수운전 서브루틴(EOS)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상 온수운전 서브루틴(EOS)은, 수류 스위치(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고 있는 중인지를 판단(S6)하여, 만약 온수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상태(즉, 수류 스위치(3)에서 "오프"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일 경우, 상기 제어부(2)에서는 기본적으로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곧바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고 있는 중인지를 판단(S6)하고 그 결과 만약 온수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조치 없이 즉시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게 될 경우, 계속해서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때 전술한 과정이 계속 반복되게 됨은 물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만약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게 될 경우 과열된 온수에 의해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계(S3)에서 온도조절기(1)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니어서(S3에서 No) 비상 온수운전 서브루틴(EOS)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중인지를 판단(S6)하기에 앞서, 이전에 제어부(2)에서 기억하고 있는 온수모드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를 더 실시하고, 그 결과 온수모드가 "온"이 아니면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가도록 하고, 온수모드가 "온" 상태이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온도조절기(1)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닌 상태(S3에서 No)에서 온수모드가 "온" 상태(S10에서 Yes)인 가운데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 중인지를 판단(S6)한 결과 온수 사용중이 아니면(S6에서 No), 전술과 같이 곧바로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가지 않고, 상기 제어부(2)에서는 온수 "오프"신호를 출력(S11)한 다음,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가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온도조절기(1)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닌 상태(S3에서 No)에서 상기 제어부(2)에서 온수모드가 "온" 상태인지를 재차 판단하게 될 경우에는, 이미 온수 "오프"신호가 출력된 상태(즉, 한번 이상 이미 온도조절기(1)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닌 것을 인식한 가운데 사용자 역시 온수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한 상태)이므로 이 온수 "오프"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6) 이후는 전혀 수행하지 않고 곧바로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로 되돌아가게 되므로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온수운전이 완전히 차단되어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온수를 사용하더라도 가열된 온수가 출탕되지 않고 직수가 직접 공급되므로 고온의 온수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온도조절기(1)가 비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S3에서 No)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 제어부(2)에서 온수 "오프"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되게 될 경우를 감안하여, 상기 제어부(2)에서 계속해서 온도조절기(1)의 연결상태를 판단한 결과 정상 연결된 상태로 판단(S3에서 Yes)될 경우, 전술과 같이 즉시 온수 운전을 실시(S4)하지 않고 그에 앞서, 이전에 제어부(2)에서 기억하고 있는 온수모드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를 더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온수모드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한 결과, 만약 온수모드가 "온"이 아니면(S12에서 No; 이전이 온도조절기가 비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어부(2)에서 강제 온수 "오프"신호를 출력한 상태이면) 강제로 온수모드 "온"신호를 출력(S13)하고, 온도조절기(1)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온수모드 "온" 상태(S12에서 Yes)에서와 마찬가지로 온수 설정온도를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S ℃)로 세팅(S14)하고 정상적으로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S4) 이후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S6)에서 수류 스위치(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고 있는 중인지를 판단한 결과, 온수 사용중이면(즉, 수류 스위치(3)에서 "온"신호가 입력되면) 이전에 기억해 놓은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 이상인지를 판단(S7)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 이상인지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이상이면 온수 사용중인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기 설정해 놓았던 온수 설정온도(S ℃)를 무시하고 온수 설정온도를 화상안전 판단온도(T℃)로 자동 세팅(S8)하고 온수 운전을 실시(S4)하게 됨에 따라 온도조절기의 이상 상태에서 온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단계(S7)에서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 이상인지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미만이면 화상의 우려가 없으므로 온수 설정온도를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S ℃)로 자동 세팅(S9)하고 온수 운전을 실시(S4)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온도조절기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게 되면 자동으로 화상의 우려가 없는 온수 설정온도를 세팅하고, 온도조절기가 다시 정상으로 작동될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온수 설정온도로 자동 복귀함으로써 온도조절기의 이상 상태에서 온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수 설정온도를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해결할 수 있어 보일러의 사용에 따른 편리성과 안전성을 포함하여 제품 자체의 상품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온도조절기 11 : 온수 스위치
2 : 제어부
3 : 수류 스위치
4 : 점화기 구동부
5 : 가스밸브 구동부
6 : 송풍팬 구동부
7 : 순환펌프 구동부
8 : 삼방변 구동부
9 : 표시부

Claims (7)

  1.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 온도조절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결과 온수 스위치가 "온"상태이면 사용자 설정한 온수 설정온도(S ℃)를 기억한 다음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이면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와;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한 결과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니면 비상 온수운전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니면 실시되는 비상 온수운전 서브루틴은,
    수류 스위치의 상태 검출을 통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중인지를 판단하여, 온수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온수 사용중이면,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이상이면, 온수 설정온도를 화상안전 판단온도(T℃)로 세팅하고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이전의 사용자 온수 설정온도(S ℃)가 화상안전 판단온도(T℃) 미만이면,
    온수 설정온도를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S ℃)로 세팅하고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니어서 실시되는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중인지를 판단하기에 앞서,
    이전에 제어부에서 기억하고 있는 온수모드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온수모드가 "온"이 아니면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온수모드가 "온" 상태이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가 아닌 상태이고, 온수모드가 "온" 상태인 가운데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 중인지를 판단한 결과,
    온수 사용중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온수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온도조절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기가 정상 연결상태이면 온수 운전을 실시하기에 앞서,
    이전에 제어부에서 기억하고 있는 온수모드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온수모드가 "온"이 아니면 온수모드 "온"신호를 출력하고 온수모드 "온"상태에서와 마찬가지로 온수 설정온도를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S ℃)로 세팅하고 온수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KR1020130088423A 2013-07-26 2013-07-26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KR101499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423A KR101499543B1 (ko) 2013-07-26 2013-07-26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423A KR101499543B1 (ko) 2013-07-26 2013-07-26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648A KR20150012648A (ko) 2015-02-04
KR101499543B1 true KR101499543B1 (ko) 2015-03-09

Family

ID=5248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423A KR101499543B1 (ko) 2013-07-26 2013-07-26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5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616A (ja) * 1992-05-29 1994-10-18 Noritz Corp 自動給湯装置
JPH085158A (ja) * 1994-06-24 1996-01-12 Harman Co Ltd リモコン付き給湯装置
JP3758221B2 (ja) * 1995-12-04 2006-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給湯機の制御装置
KR20090008822A (ko) * 2007-07-19 2009-01-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 운전모드 전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616A (ja) * 1992-05-29 1994-10-18 Noritz Corp 自動給湯装置
JPH085158A (ja) * 1994-06-24 1996-01-12 Harman Co Ltd リモコン付き給湯装置
JP3758221B2 (ja) * 1995-12-04 2006-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給湯機の制御装置
KR20090008822A (ko) * 2007-07-19 2009-01-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 운전모드 전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648A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043B1 (ko) 보일러 환수온도를 이용한 각방제어 시스템의 난방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90855B1 (ko) 저탕식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보일러의 온수 및 난방 자동 전환방법
EP3312523B1 (en) Gas water heater and safety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1976646B1 (ko)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난방전용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고장 검지방법
US10488078B2 (en) Method of ensuring safety of exhaust of water heater
KR101459278B1 (ko) 보일러의 삼방변 고착 및 오동작 검출방법
KR101514896B1 (ko) 히트펌프 난방시스템
KR101499543B1 (ko)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이상 검지시 온수온도 제어방법
KR101582083B1 (ko) 보일러 온도조절기의 스위치 온 고장 시 안전 제어방법
KR101731533B1 (ko) 보일러의 온수 과열 방지방법
KR101824026B1 (ko) 난방공급 온도센서와 난방환수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난방연소 제어방법
KR100679818B1 (ko) 보일러의 과열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906218B1 (ko) 보일러의 급속 난방운전 제어방법
KR101209962B1 (ko) 드레인 방지를 위한 보일러의 순환펌프 유량 제어방법
KR101890607B1 (ko) 보일러의 자동모드 작동 시 외부화재 방지를 위한 안전정지방법
JP2011106735A (ja) 浴室暖房装置における誤配管検知システム
JP6045108B2 (ja) 一缶二水路燃焼装置
KR101797649B1 (ko) 배기 온도 기반의 난방 제어방법
KR101906220B1 (ko) 보일러의 배기가스온도 제어방법
KR101488182B1 (ko) 보일러의 초기 운전시 써미스터 오결선 검출방법
KR101635897B1 (ko) 유량조절밸브를 가진 보일러 및 온수기의 온수누수 차단방법
KR20140128591A (ko) 초기전원 공급시 보일러의 완전동결 판단방법
KR101832890B1 (ko) 보일러의 난방운전 중 조기소화 시 난방운전 제어방법
JP2012047422A (ja) 貯湯システム
KR101769838B1 (ko) 보일러의 과열방지를 위한 순환펌프 유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