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163B1 - 비파괴 검사 장치 및 그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파괴 검사 장치 및 그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163B1
KR101499163B1 KR1020130030969A KR20130030969A KR101499163B1 KR 101499163 B1 KR101499163 B1 KR 101499163B1 KR 1020130030969 A KR1020130030969 A KR 1020130030969A KR 20130030969 A KR20130030969 A KR 20130030969A KR 101499163 B1 KR101499163 B1 KR 101499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detection
module
contact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806A (ko
Inventor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0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163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vibrating st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배관을 검사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 장치 및 그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을 검사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로서, 상기 배관에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관을 검사하는 검출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검출부를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된 비파괴 검사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비파괴 검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 장치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전력공급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기, 접촉매질공급 모듈에 접촉매질을 공급하는 접촉매질 공급기, 유압공급 모듈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공급기 및 검출 프로브에서 배관을 검사한 데이터를 제어부로부터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른 처리명령을 상기 제어부, 상기 전력 공급기, 상기 접촉매질 공급기 및 상기 유압 공급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주 처리기를 포함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비파괴 검사 장치 및 그의 제어 시스템{NONDESTRUCTIVE INSPECTING DEVICE AND ITS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비파괴 검사 장치 및 그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수요의 증가와 원가의 상승으로 심해(深海) 유전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심해의 유정(油井)에서 육상이나 해상의 생산설비(Offshore platform)로 원유를 이송하는 배관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고온, 고압을 견뎌야 하며, 육상에 비해 부식의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원유 누출 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9-0124804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정으로부터 원유를 이송하는 배관을 비파괴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을 검사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로서, 상기 배관에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관을 검사하는 검출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검출부를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검출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검출부는 원호 형상의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와 힌지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호 형상의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 상기 검출부 및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몸체를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관을 고정하는 고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모듈은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에 밀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누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검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관을 검사하는 검출 프로브 및 상기 검출 프로브를 상기 검출부의 내주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검출 프로브의 회전 방향으로 접촉매질을 분사하는 접촉매질공급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검출부를 관통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유압유가 유출 또는 유입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가 신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검출부를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모듈, 상기 접촉매질공급 노즐에 상기 접촉매질을 공급하는 접촉매질공급 모듈 또는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구동부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유압유공급 모듈로 제어신호를 전송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된 비파괴 검사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비파괴 검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 장치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전력공급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기, 접촉매질공급 모듈에 접촉매질을 공급하는 접촉매질 공급기, 유압공급 모듈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공급기 및 검출 프로브에서 배관을 검사한 데이터를 제어부로부터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른 처리명령을 상기 제어부, 상기 전력 공급기, 상기 접촉매질 공급기 및 상기 유압 공급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주 처리기를 포함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를 이용하면 배관의 용접부위를 비파괴 검사로써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의 지지부, 검출부가 개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의 지지부, 검출부가 폐쇄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에서 지지부, 검출부에 설치된 제1, 2액추에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에서 검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에서 검출부의 내주면 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의 검출부에서 검출모듈과 회전레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의 검출부에서 검출모듈과 제어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가 스캔을 대기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가 배관을 스캔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가 스캔 후 이동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의 지지부(10), 검출부(20)가 개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의 지지부(10), 검출부(20)가 폐쇄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에서 지지부(10), 검출부(20)에 설치된 제1, 2액추에이터(12, 22)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에서, 도 2 내지 도 4는 지지부(10)와 검출부(20)의 공통된 도면으로서, 중복 도시를 피하기 위해 하나의 도면으로 나타내었으며, 도면 내에 도면부호를 ´지지부의 도면부호(검출부의 도면부호)´의 형식으로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는 배관(2)의 용접부위 혹은 내부의 결함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비파괴 검사 장치이다.
배관(2)은 심해의 유정에서 육상 또는 해상의 생산설비(offshore platform)로 원유를 이송하기 위하여 고온고압을 견뎌야 하며, 해상에 위치되는 경우, 육상에 비해 부식의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까닭에, 배관(2)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원유 누출 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에 따르면, 배관(2)의 용접부위 혹은 내부의 결함을 비파괴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는 지지부(10), 검출부(20), 구동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지지부(10)는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검출부(20)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0)에는 내부에 배관이 삽입될 수 있는 통공부(13)가 형성된다.
이 때, 도 1에서는, 지지부(10)가 링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내부에 통공부가 형성된 다른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지지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부(11)를 중심으로 제1몸체(14)와 제2몸체(15)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1몸체(14)와 제2몸체(15)가 동일한 크기로 구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각각 상이한 크기로 구분될 수도 있다.
지지부(10)의 통공부(13)는 배관의 크기에 따라 그 내경이 일부 축소되거나 확대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힌지부(11)를 중심으로 제1몸체(14)와 제2몸체(15)가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몸체(14)와 제2몸체(15)의 회전 각도에 따라 도 2와 같이 통공부(13)가 개방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통공부(13)가 폐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후술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제1힌지부(11)에 공급됨으로써 통공부(13)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0)의 내주면은 배관의 외주면과 밀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이 때, 배관의 크기는 경우에 따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부(10)는 도 4와 같이, 제1고정모듈(12)을 구비하여 배관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밀착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고정모듈(12)은 제1누름부재(122)와 상기 제1누름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액추에이터(121)가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제1누름부재(122)와 제1액추에이터(121)는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도 4와 같이, 지지부(10)의 양 측에 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넷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후술되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고정모듈(12)의 제1액추에이터(121)가 제1누름부재(122)에 척력(斥力)을 제공함으로써, 배관(2)을 지지부(10)에 보다 밀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액추에이터(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와 연결된 유압유공급 모듈(43)로부터 유압유가 공급 또는 회수됨으로써 구동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후술되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고정모듈(12)의 제1액추에이터(121)가 제1누름부재(122)에 인력(引力)을 제공함으로써 배관(2)을 지지부(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때에도, 제1액추에이터(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와 연결된 유압유공급 모듈(43)로부터 유압유가 공급 또는 회수됨으로써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부(10)의 측부에는 검출부(20)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검출부(20)는 배관의 외부에 설치되어 배관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20)에도 지지부(10)와 마찬가지로 배관이 삽입될 수 있는 통공부(25)가 형성된다.
이 때에도,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후술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제2힌지부(21)에 공급됨에 따라 도 2와 같이, 통공부(13)가 개방되거나 도 3과 같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20)의 내주면은 배관의 외주면과 밀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검출부(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모듈(22)이 구비된다.
제2고정모듈(22)의 제2액추에이터(221)와 제2누름부재(222)에 의하여, 검출부(20)의 내주면과 배관(2)의 외주면이 밀착되거나 분리되는 메커니즘은 앞서 설명된 지지부(10)에서의 제1고정모듈(12)의 구동원리와 동일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검출부(20)의 구성 중 지지부(10)와 공통된 구성을 위주로 도시하였으며, 배관을 검사하기 위하여 검출부(20)에만 구비되는 구성은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10)와 검출부(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각 통공부(13, 25)의 양 옆으로 구동부(30)가 설치된다.
구동부(30)는 전술된 지지부(10)와 검출부(20)를 배관의 길이 방향, 즉, 구동부(30)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을 참조하면, 구동부(30)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유압유 등과 같은 구동원이 유입 또는 유출될 때, 유압 실린더의 로드(31)를 신장 또는 단축시킴으로써, 지지부(10)와 검출부(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구동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지지부(1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검출부(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0)에는 구동원을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하는 밸브(33), 지지부(10)와 검출부(2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32), 및 지지부(10)와 검출부(20)가 가이드 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부(10)와 검출부(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1) 등이 부가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밸브(33)에는, 후술되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유압유 등과 같은 구동원이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지지부(10), 검출부(20) 및 구동부(30)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구성요소에 전력이나 유압유, 혹은 접촉매질 등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지지부(10) 및 검출부(20)에 배관(2)을 밀착 또는 분리하기 위하여 제1, 제2고정모듈(12, 22)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거나 구동부(30)의 로드(31)를 신장 또는 단축하기 위하여 유압유 등을 유입 또는 유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40)는 그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된 전력공급 모듈(미도시), 접촉매질공급 모듈(미도시), 유압유공급 모듈(43)과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하기에서는, 검출부(20)의 구성 중, 전술된 지지부(10)와의 공통된 구성을 제외하고, 검출부(20)에만 부가된 구성을 위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에서 검출부(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에서 검출부(20)의 내주면 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의 검출부(20)에서 검출모듈(23)과 회전레일(24)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의 검출부(20)에서 검출모듈(23)과 제어부(40)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검출부(20)에는 지지부(10)와 달리, 배관을 검사하기 위하여 검출모듈(23)이 구비된다.
이 때, 검출모듈(23)이 회전 이동하면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검출부(20)의 내주부에는 회전레일(24)이 형성되며, 그 회전레일(24)을 따라 검출모듈(23)이 이동하도록 한다.
검출부(20)의 통공부에 배관(2)이 삽입되고, 검출모듈(23)이 배관(2)의 외주면에 밀착된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검출모듈(23)의 상면은 검출부(20) 내주부에 형성된 회전레일(24) 상에 위치되고, 검출모듈(23)의 하면은 배관(2)에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출모듈(23)의 상면 및 하면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모듈(23)의 세부구성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송신부(231), 수신부(232), 검출 프로브(233), 회전부재, 그리고 접촉매질공급 노즐(236)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송신부(231)와 수신부(232)의 일 측은 제어부(40)와 연결되어, 제어부(40)와 제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송신부(231)와 수신부(232)의 타 측은 검출 프로브(233)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명령을 검출 프로브(233)에 전달하거나, 검출 프로브(233)로부터 출력된 결과를 제어부(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회전부재는 검출모듈(23)을 회전레일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34)와 기어(235)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모터(234)와 기어(235)는 제어부(4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전력공급 모듈(4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할 수 있다.
전력공급 모듈(41)은 제어부(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되어 제어부(40)의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한다.
한편, 검출모듈(23)의 일측에는 접촉매질을 공급할 수 있는 겁촉매질공급 노즐(236)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매질은 검출 프로브(233)가 배관과의 밀착 접촉되어 비파괴 검사를 수행할 때, 접촉면의 검사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도포 또는 분사되는 것이다.
이 때, 겁촉매질공급 노즐(236)은 제어부(4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겁촉매질공급 모듈(42)로부터 접촉매질을 공급받아 배관의 외면에 접촉매질을 도포 또는 분사할 수 있다.
겁촉매질공급 모듈(42)은 제어부(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되어 제어부(40)의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가 스캔을 대기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가 배관을 스캔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가 스캔 후 이동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32), 지지부재(321) 및 밸브(33)가 미도시되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부(30)의 로드(31)가 신장과 단축을 반복하여 지지부(10)와 검출부(20)를 연동운동과 같은 형태로 구동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검사에 앞서 비파괴 검사 장치(1)를 준비하는 과정으로서, 지지부(10)와 검출부(20)에 형성된 통공부로 배관(2)을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도 10과 같이, 구동부(30)의 몸체로 로드(31)를 삽입되도록 하여, 구동부(30)의 길이를 단축시킴으로써 지지부(10)를 배관(2)의 일측에 고정하고, 검출부(20)를 구동하여 배관(2)의 검사를 수행한다.
이 때, 지지부(10)는 배관(2)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어야 하며, 검출부(20)도 검출모듈이 회전할 수 있는 소정 간격을 제외하고는 배관(2)의 외주면에 어느 정도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관(2)의 일부분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구동부(30)의 길이를 서서히 신장시켜, 도 11에서와 같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에는 지지부(10)는 고정시킨 채로 두고, 검출부(2)의 통공부를 일부 개방하거나 배관(2)의 외주면을 지지부(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일부 분리하여 전진하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부(30)가 최대로 신장되면, 다시 도 10과 같이, 지지부(10)를 검출부(20) 측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 때에는 검출부(20)를 고정시키고, 지지부(10)의 통공부를 일부 개방하거나 배관(2)의 외주면을 지지부(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일부 분리하여, 지지부(10)를 검출부(20)의 측부로 이동시킨 후, 배관(2)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수 회 반복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2에는, 해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 장치(1)를 해상에서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 시스템(10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의 제어 시스템(100)은 비파괴 검사 장치(1)의 제어부(40)와 연결되어, 비파괴 검사 장치(1)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게 된다.
이 때, 해상의 제어 시스템(100)과 비파괴 검사 장치(1)의 제어부(40)는 엄빌리컬(Umbilical)에 의해 연결이 된다.
여기에서, ´엄빌리컬´이란, 수중장비와 수상 저장 플랫폼에 연결되어 원격제어를 하거나 전원, 화학제 등을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해양구조물에 사용되는 복합 케이블의 통칭이다.
제어 시스템(100)은 크게 전력 공급기(110), 접촉매질 공급기(120), 유압 공급기(130) 및 주 처리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전력 공급기(110)는 전술된 전력공급 모듈이나 전력 공급이 요구되는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접촉매질 공급기(120)는 검출모듈의 일측에 위치되는 접촉매질공급 노즐에 접촉매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압 공급기(130)는 지지부와 검출부의 통공부의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제1, 제2액추에이터를 구동한다거나 구동부를 신장 또는 단축시키기 위하여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유공급 모듈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주 처리기(14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기(141)와 제어기(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분석기(141)는 비파괴 검사 장치(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등을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어기(142)는 분석기(141)에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어명령을 제어신호의 형태로써 후술되는 엄빌리컬 분기관(150)을 통해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엄빌리컬 분기관(分岐管)(150)은 엄빌리컬의 다발체로서, 전력 공급기(110)로부터 전력이, 접촉매질 공급기(120)로부터 접촉매질이, 유압 공급기(130)로부터 유압유가, 주 처리기(140)의 제어기(142)로부터 신호가 각각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된 전력, 접촉매질, 유압유, 신호 각각은 엄빌리컬을 통해 비파괴 검사 장치(1)의 제어부(40) 혹은 제어부(40)에 인접한 전력공급 모듈, 접촉매질공급 모듈, 유압유공급 모듈 등의 구성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엄빌리컬 분기관(150)에는 엄빌리컬을 통해 비파괴 검사 장치(1)의 제어부(40)로부터 데이터 등이 유입될 수도 있으며, 유입된 데이터는 주 처리기(140)의 분석기(141)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 비파괴 검사 장치 2 : 배관
10 : 지지부 11 : 제1힌지부
12 : 제1고정모듈 121 : 제1액추에이터
122 : 제1누름부재 13, 25 : 통공부
14, 26 : 제1몸체 15, 27 : 제2몸체
20 : 검출부 21 : 제2힌지부
22 : 제2고정모듈 221 : 제1액추에이터
222 : 제2누름부재 23 : 검출모듈
231 : 송신부 232 : 수신부
233 : 검출 프로브 234 : 모터
235 : 기어 236 : 접촉매질공급 노즐
24 : 회전레일 30 : 구동부
31 : 로드 32 : 가이드 플레이트
321 : 지지부재 33 : 밸브
40 : 제어부 41 : 전력공급 모듈
42 : 접촉매질공급 모듈 43 : 유압유공급 모듈
100 : 제어 시스템 110 : 전력 공급기
120 : 접촉매질 공급기 130 : 유압 공급기
140 : 주 처리기 141 : 분석기
142 : 제어기 150 : 엄빌리컬 분기관

Claims (14)

  1. 배관을 검사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로서,
    상기 배관에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관을 검사하는 링 형상의 검출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검출부를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지지부, 상기 검출부 및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관을 고정 가능한 고정모듈과, 내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검출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배관의 검사 시, 상기 고정모듈에 의해 상기 배관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검출모듈이 상기 배관의 외부 및 상기 검출부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배관을 검사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비파괴 검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검출부는 원호 형상의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와 힌지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호 형상의 제2몸체를 포함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몸체를 회전 가능한 비파괴 검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관을 고정하는 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모듈은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에 밀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누름 부재를 포함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관을 검사하는 검출 프로브; 및
    상기 검출 프로브를 상기 검출부의 내주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검출 프로브의 회전 방향으로 접촉매질을 분사하는 접촉매질공급 노즐을 더 포함하는 비파괴 검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검출부를 관통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된 비파괴 검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유압유가 유출 또는 유입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가 신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검출부를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비파괴 검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모듈;
    상기 접촉매질공급 노즐에 상기 접촉매질을 공급하는 접촉매질공급 모듈;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구동부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유압유공급 모듈로 제어신호를 전송 가능한 비파괴 검사 장치.
  14. 삭제
KR1020130030969A 2013-03-22 2013-03-22 비파괴 검사 장치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149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969A KR101499163B1 (ko) 2013-03-22 2013-03-22 비파괴 검사 장치 및 그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969A KR101499163B1 (ko) 2013-03-22 2013-03-22 비파괴 검사 장치 및 그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806A KR20140115806A (ko) 2014-10-01
KR101499163B1 true KR101499163B1 (ko) 2015-03-05

Family

ID=5199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969A KR101499163B1 (ko) 2013-03-22 2013-03-22 비파괴 검사 장치 및 그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1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541B1 (ko) * 2015-11-16 2016-03-03 한국검사엔지니어링(주) 비파괴 검사 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23A (ko) * 2003-08-28 2005-03-10 한국원자력연구소 가압 중수로용 원자로용 급수배관 검사장치
KR200406125Y1 (ko) * 2005-11-03 2006-01-24 세안기술 주식회사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 초음파 검사장치
JP2010060476A (ja) * 2008-09-05 2010-03-18 Sumiju Shiken Kensa Kk 配管の検査方法
KR20100080101A (ko) * 2008-12-31 2010-07-08 한국가스안전공사 배관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23A (ko) * 2003-08-28 2005-03-10 한국원자력연구소 가압 중수로용 원자로용 급수배관 검사장치
KR200406125Y1 (ko) * 2005-11-03 2006-01-24 세안기술 주식회사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 초음파 검사장치
JP2010060476A (ja) * 2008-09-05 2010-03-18 Sumiju Shiken Kensa Kk 配管の検査方法
KR20100080101A (ko) * 2008-12-31 2010-07-08 한국가스안전공사 배관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806A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5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nically inspecting pipes
CA2685294C (en) Boiler tube inspection probe with center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602045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ubsea flow device
US20140218501A1 (en) Pipeline Inspection System
US95750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mersion ultrasound inspection including within downwardly opening cavities
US20230113290A1 (en) Modular underwater vehicle with modules that can be oriented relative to each other
CN113237766B (zh) 一种可同时加载多种载荷的管道压力舱加载系统
JPH0280949A (ja) 蒸気発生器の管の内側の円形溶接部の非破壊的超音波試験装置
CA2238588C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together two assemblies which can move one with respect to the other, especially in underwater installations
JP6760727B2 (ja) 実質的に丸い穴についての検査システム用のプローブ
EP2635836B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stiné à se raccorder à au moins une canalisation
KR101499163B1 (ko) 비파괴 검사 장치 및 그의 제어 시스템
US201502857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tubes in a boiler
KR20150052617A (ko) 파이프 라인 검사 장치
US8848857B2 (en) Preventive maintenance/repair device and preventive mainenance/repair method for cylindrical structure
KR101915769B1 (ko) 비파괴 내부 회전 검사 시스템용 보조 장치
KR101215901B1 (ko) 열교환기 전열관의 초음파 부식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KR20150062916A (ko)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CN117329456A (zh) 一种无轨道式的海底管道无损检测装置
KR101762654B1 (ko) 무어링체인의 모니터링 로봇
CN105806939B (zh) 一种压力容器接管内壁水浸超声检查装置
US20230160518A1 (en) Inspection tool
KR20140001764U (ko) 탐촉자용 거리조절장치
Lirola et al. Technical assessment and qualification of local and distributed active heating technologies
RU172466U1 (ru) Ремонтный аппарат,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оперативный ремонт трубопровода для доставки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сырь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