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151B1 -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 - Google Patents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151B1
KR101499151B1 KR20140083739A KR20140083739A KR101499151B1 KR 101499151 B1 KR101499151 B1 KR 101499151B1 KR 20140083739 A KR20140083739 A KR 20140083739A KR 20140083739 A KR20140083739 A KR 20140083739A KR 101499151 B1 KR101499151 B1 KR 101499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barge
main frame
dredg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3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익수
박정호
차경섭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20140083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adapted for working ground under 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027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coulters, ploughs, scraper plat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4Component parts for trench excavators, e.g. indicating devices travelling gear chassis, supports, skids
    • E02F5/145Component parts for trench excavators, e.g. indicating devices travelling gear chassis, supports, skids control and indic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호퍼 준설선에 의해 준설된 해저면에 쟁기를 설치하고, 쟁기를 바지선에 의해 견인하면서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고, 바지선에 설치된 모니터에 바지선 및 쟁기 위치와 해저면 지도를 디스플레이시키며, 수위에 따라 쟁기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SYSTEM AND METHOD FOR FLATTENING DREDGED SEA-BED USING PLOUGH}
본 발명은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호퍼 준설선에 의해 준설된 해저면에 쟁기를 설치하고, 쟁기를 바지선에 의해 견인하면서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고, 바지선에 설치된 모니터에 바지선 및 쟁기 위치와 해저면 지도를 디스플레이시키며, 수위에 따라 쟁기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준설이라 함은 육지의 하천, 호수, 강 등의 육지 준설과 바다 등을 대상으로 하는 해양 준설로 구분되며, 상기 해양 준설은 항로, 항만 등의 바닥의 깊이를 보다 깊게 하기 위해 그 바닥에 존재하는 흙, 모래, 자갈, 돌 등을 파내는 작업, 해저의 토양 등을 단순히 채취하는 작업, 해저 폐기물을 끌어 올려 제거하는 작업 등을 포함한다.
또한 준설 공법은 펌프 준설선을 이용한 비항식 펌프 준설 공법, 호퍼 준설선을 이용한 자항식 호퍼 준설 공법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준설 공법중 호퍼 준설선을 이용한 자항식 호퍼 준설 공법은 준설 해저면에 호퍼 준설선의 흡입관을 내리고, 흡입관의 끝단에 설치된 드래그 헤드(끌판)으로 해저면을 긁어서 준설토를 흡입하는 데, 드레그 헤드에 워터젯을 통하여 고압(약 13㎏f/㎠)으로 지반을 1~2m까지 교란후 고압(약 0.9㎏f/㎠)의 펌프로 물과 준설토를 약 1~1.5m의 두께로 흡입한다.
그러나, 이러한 호퍼 준설선을 이용하여 준설하는 경우 계획 수심을 확보하기 위하여 해저면을 긁어서 준설토를 흡입하는 경우 높은 지대와 드레그 헤드의 외곽부분에 굴곡 상태가 발생하고, 이를 호퍼 준설선을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경우 해결이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10-2010-0108360호 국내공개특허 10-2011-0079703호 국내공개특허 10-2000-00328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호퍼 준설선에 의해 준설된 해저면에 쟁기를 설치하고, 쟁기를 바지선에 의해 견인하면서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고, 바지선에 설치된 모니터에 바지선 및 쟁기 위치와 해저면 지도를 디스플레이시키며, 수위에 따라 쟁기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바지선과; 상기 바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과; 상기 바지선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는 쟁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바지선은 상기 쟁기를 제 1와이어로 인양하기 위해 선수에 설치되는 제 1윈치와; 상기 쟁기를 제 2와이어로 견인하기 위해 선미에서 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 2윈치와; 상기 제 1와이어로 상기 쟁기를 상기 바지선으로 인양하도록 상기 바지선의 선미에 한 쌍이 각각 설치되는 붐대; 및 상기 제 1윈치에서 상기 붐대를 통해 상기 쟁기에 상기 제 1와이어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 2윈치에서 상기 쟁기에 상기 제 2와이어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복수의 도드레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제 1와이어는 중간에 분기가 이루어져 각각의 붐대로 연장되도록 분기용 도르레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2와이어는 상기 제 2윈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선미에서 측면으로 인출된 후 상기 바지선의 측면을 따라 선수로 향한 다음, 선수 양측에 상기 쟁기와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바지선은 바지선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DGPS 장치와; 해저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수중 지형 및 수위를 측정하는 초음파 장치와; 각종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와; 상기 DGPS 장치와, 초음파 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킴과 동시에 작업 위치의 지도와 상기 바지선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수위에 따라 상기 제 1윈치 및 제 2윈치를 제어하여 상기 쟁기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컴퓨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쟁기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백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롤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정면 양단에서 돌출 형성되고, 복수의 조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2와이어와 연결된 견인 체인이 연결되는 견인 체인 고정 브라켓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백 플레이트의 배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와이어와 연결된 인양 체인이 연결되는 인양 체인 고정 브라켓;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일정 각도를 가지며 설치되고, 상단에 토사 유출 방지턱이 일정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블레이드는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백 플레이트와 볼트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블레이드는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저면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쟁기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백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롤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정면 양단에서 돌출 형성되고, 복수의 조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2와이어와 연결된 견인 체인이 연결되는 견인 체인 고정 브라켓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백 플레이트의 배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와이어와 연결된 인양 체인이 연결되는 인양 체인 고정 브라켓;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백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는 회전 커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회전 커터는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저면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의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호퍼 준설선에 의해 준설된 해저면을 예인선과 바지선으로 쟁기로 견인하면서 평탄화시키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공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에 따르면, 호퍼 준설선에 의해 준설된 해저면에 쟁기를 설치하고, 쟁기를 바지선에 의해 견인하면서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고, 바지선에 설치된 모니터에 바지선 및 쟁기 위치와 해저면 지도를 디스플레이시켜 작업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수위에 따라 쟁기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중 바지선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중 쟁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중 다른 실시예인 쟁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의 제어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중 바지선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중 쟁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중 다른 실시예인 쟁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는 도 6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의 제어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1)은 바지선(100)과, 예인선(200)과, 쟁기(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바지선(100)은 제 1윈치(110)와, 제 2윈치(120)와, 붐대(130)와, 도르레(140)와, DGPS 장치(150)와, 초음파 장치(160)와, 모니터(170)와, 컴퓨터(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윈치(110)는 하기에서 설명할 쟁기(300)를 제 1와이어(W1)로 인양하기 위해 선수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 1와이어(W1)에는 중간에 분기가 이루어져 하기에서 설명할 각각의 붐대(130)로 연장되도록 분기용 도르레(140)가 구비된다.
제 2윈치(120)는 쟁기(300)를 제 2와이어(W2)로 견인하기 위해 선미에서 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 2와이어(W2)는 제 2윈치(120)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선미에서 양측면으로 각각 인출된 후 바지선(100)의 양측면을 따라 선수로 향한 다음, 선수 양측에 쟁기(300)와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붐대(130)는 제 1와이어(W1)로 쟁기(300)를 바지선(100)으로 인양하도록 바지선(100)의 선미에 한 쌍이 각각 설치된다.
도르레(140)는 제 1윈치(110)에서 붐대(130)를 통해 쟁기(300)에 제 1와이어(W1)가 연결되도록 하고, 제 2윈치(120)에서 쟁기(300)에 제 2와이어(W2)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가 설치된다.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150)는 바지선(100)의 위치를 측정하여 지도 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여기에서, DGPS 장치(150)란 GPS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육상에 GPS 오차보정용 국을 따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위성항법보정시스템이다.
초음파 장치(160)는 해저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수중 지형 및 수위를 측정한다.
모니터(170)는 하기에서 설명할 컴퓨터(180)의 제어에 의해 각종 정보(위치, 조위, 수심, 작업 경로 등)가 디스플레이된다.
컴퓨터(180)는 DGPS 장치(150)와, 초음파 장치(16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모니터(170)에 디스플레이시킴과 동시에 작업 위치의 지도와 바지선(100)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수위에 따라 제 1윈치(110) 및 제 2윈치(120)를 제어하여 쟁기(30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컴퓨터(180)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여 제 1윈치(110) 및 제 2윈치(120)를 제어하여 쟁기(30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180)는 초음파 장치(160)를 통해 작업 지도 상에 해저면의 높이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등고선 형태로 디스플레이하여 작업자가 돌출 및 함몰 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예인선(200)은 바지선(100)을 견인하기 위하여 바지선(100)의 선수에 선미가 연결된다.
또한, 쟁기(3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310)과, 백 플레이트(320)와, 가이드 롤(330)과, 견인 체인 고정 브라켓(340)과, 인양 체인 고정 브라켓(350)과, 블레이드(360)로 이루어진다.
메인 프레임(310)은 강재 재질의 H빔으로 제작되어 틀을 이룬다.
백 플레이트(320)는 메인 프레임(310)의 배면에 결합되는데, 메인 프레임(31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일정 각도를 가지며 설치되고, 상단에 토사 유출 방지턱(321)이 일정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롤(330)은 전진이 용이해지도록 메인 프레임(310)의 정면에 형성된다.
견인 체인 고정 브라켓(340)은 메인 프레임(310)의 정면 양단에서 돌출 형성되고, 복수의 조정홀(341)이 형성되어 제 2와이어(W2)와 연결된 견인 체인(C1)이 연결된다. 이때, 제 2와이어(W2)의 각도는 쟁기(300)를 수평하게 유지시키도록 27~33˚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견인 체인(C1)이 사용되는 이유는 해저에서 마찰이 발생하게 될 경우 쟁기(200) 주위의 마찰 발생 조건에 대해 더 강한 저항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인양 체인 고정 브라켓(350)은 메인 프레임(310)의 상면과 백 플레이트(320)의 배면에 각각 설치되어 제 1와이어(W1)와 연결된 인양 체인(C2)이 연결된다. 이때, 인양 체인(C2)이 사용되는 이유는 해저에서 마찰이 발생하게 될 경우 쟁기(100) 주위의 마찰 발생 조건에 대해 더 강한 저항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블레이드(360)는 백 플레이트(320)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며 설치되는데,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고, 백 플레이트(320)와 볼트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블레이드(360)는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도록 메인 프레임(310)의 저면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쟁기(300)는 블레이드(360)를 대신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으로 회전되는 회전 커터(370)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회전 커터(370)는 메인 프레임(310)과 백 플레이트(3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킨다. 이때, 회전 커터(370)는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도록 메인 프레임(310)의 저면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1)은 바지선(100)의 붐대(130)를 크레인(미도시)으로 대처하고, 크레인에 쟁기(300)를 설치한 후 크레인으로 쟁기(300)를 해저면에 투입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퍼 준설선을 이용하여 설계 수심까지 해저면을 준설한다.
그리고, 쟁기(300)의 견인 체인 고정 브라켓(340)과 인양 체인 고정 브라켓(350)에 제 2와이어(W2)와 연결된 견인 체인(C1)이 연결하고, 제 1와이어(W1)와 연결된 인양 체인(C2)을 각각 연결하여 바지선(100)에 쟁기(300)를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인선(200)과 바지선(100)을 견인줄로 연결하여 예인선(200)으로 바지선(100)을 준설 해저면으로 이동시킨다.
바지선(100)이 작업하고자 하는 준설 해저면에 도착하면, 작업자는 모니터(170)를 통해 준설 해저면의 수심을 파악하고, 컴퓨터(180)를 통해 제 1윈치(110) 및 제 2윈치(120)를 제어하여 쟁기(300)를 준설 해저면으로 투입시킨 후 각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인선(200)이 바지선(100)을 이동시키면 바지선(100)의 선미에서 붐대(130)에 의해 준설 해저면으로 투하된 쟁기(300)가 준설 해저면을 지나가면서 굴곡 상태의 해저면을 평탄화시킨다.
즉, 쟁기(300)가 돌출 부위를 깎아 내고, 깎아낸 부분의 토사를 백 플레이트(320) 내부에 모아 두어 이후 이동하면서 함몰 부분에 모아진 토사를 채워 넣게 된다.
한편, 작업자는 모니터(170)에 디스플레이되는 해저면 지도를 통해 돌출 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쟁기(300)를 해당 지역으로 이동시켜 돌출 부위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바지선 110, 120 : 제 1, 2윈치
130 : 붐대 140 : 도르레
150 : DGPS 장치 160 : 초음파 장치
170 : 모니터 180 : 컴퓨터
200 : 예인선 300 : 쟁기
310 : 메인 프레임 320 : 백 플레이트
330 : 가이드 롤 340 : 견인 체인 고정 브라켓
350 : 인양 체인 고정 브라켓 360 : 블레이드
W1, W2 : 제 1, 2와이어

Claims (12)

  1. 바지선과;
    상기 바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과;
    상기 바지선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는 쟁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지선은,
    상기 쟁기를 제 1와이어로 인양하기 위해 선수에 설치되는 제 1윈치와;
    상기 쟁기를 제 2와이어로 견인하기 위해 선미에서 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 2윈치와;
    상기 제 1와이어로 상기 쟁기를 상기 바지선으로 인양하도록 상기 바지선의 선미에 한 쌍이 각각 설치되는 붐대; 및
    상기 제 1윈치에서 상기 붐대를 통해 상기 쟁기에 상기 제 1와이어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 2윈치에서 상기 쟁기에 상기 제 2와이어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복수의 도드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와이어는,
    중간에 분기가 이루어져 각각의 붐대로 연장되도록 분기용 도르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와이어는,
    상기 제 2윈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선미에서 측면으로 인출된 후 상기 바지선의 측면을 따라 선수로 향한 다음, 선수 양측에 상기 쟁기와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은,
    바지선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DGPS 장치와;
    해저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수중 지형 및 수위를 측정하는 초음파 장치와;
    각종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 및
    상기 DGPS 장치와, 초음파 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킴과 동시에 작업 위치의 지도와 상기 바지선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수위에 따라 상기 제 1윈치 및 제 2윈치를 제어하여 상기 쟁기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쟁기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백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롤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정면 양단에서 돌출 형성되고, 복수의 조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2와이어와 연결된 견인 체인이 연결되는 견인 체인 고정 브라켓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백 플레이트의 배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와이어와 연결된 인양 체인이 연결되는 인양 체인 고정 브라켓;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일정 각도를 가지며 설치되고, 상단에 토사 유출 방지턱이 일정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백 플레이트와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저면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쟁기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백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롤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정면 양단에서 돌출 형성되고, 복수의 조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2와이어와 연결된 견인 체인이 연결되는 견인 체인 고정 브라켓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백 플레이트의 배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 1와이어와 연결된 인양 체인이 연결되는 인양 체인 고정 브라켓;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백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는 회전 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터는,
    준설된 해저면을 평탄화시키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저면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12. 제 1 항의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호퍼 준설선에 의해 준설된 해저면을 예인선과 바지선으로 쟁기로 견인하면서 평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공법.
KR20140083739A 2014-07-04 2014-07-04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 KR101499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3739A KR101499151B1 (ko) 2014-07-04 2014-07-04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3739A KR101499151B1 (ko) 2014-07-04 2014-07-04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151B1 true KR101499151B1 (ko) 2015-03-06

Family

ID=5302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3739A KR101499151B1 (ko) 2014-07-04 2014-07-04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7676A1 (en) * 2021-12-09 2023-06-15 Cashman Dredging And Marine Contracting, Co., Llc Submersible drag bar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576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선양 부유물에 의한 2차 오염이 없는 준설 시스템
JP2007023694A (ja) * 2005-07-20 2007-02-01 Kojimagumi:Kk 水底の堆積土砂に対する浚渫システム
KR20100108360A (ko) * 2007-11-29 2010-10-06 드레징 인터내셔널 엔. 브이. 트레일링 호퍼 준설선의 드래그 헤드 및 이 드래그 헤드를 이용한 준설 방법
KR20110079703A (ko) * 2008-09-29 2011-07-07 드레징 인터내셔널 엔. 브이. 자항 호퍼 준설선용 드래그 헤드 및 이 드래그 헤드를 이용해 준설하기 위한 준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576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선양 부유물에 의한 2차 오염이 없는 준설 시스템
JP2007023694A (ja) * 2005-07-20 2007-02-01 Kojimagumi:Kk 水底の堆積土砂に対する浚渫システム
KR20100108360A (ko) * 2007-11-29 2010-10-06 드레징 인터내셔널 엔. 브이. 트레일링 호퍼 준설선의 드래그 헤드 및 이 드래그 헤드를 이용한 준설 방법
KR20110079703A (ko) * 2008-09-29 2011-07-07 드레징 인터내셔널 엔. 브이. 자항 호퍼 준설선용 드래그 헤드 및 이 드래그 헤드를 이용해 준설하기 위한 준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7676A1 (en) * 2021-12-09 2023-06-15 Cashman Dredging And Marine Contracting, Co., Llc Submersible drag bar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38426B (zh) 辅助海底采矿的方法和装置
US3952532A (en) Underwater trenching and cable laying apparatus
CN112627267A (zh) 一种埋设犁及其工作方法
HUE030692T2 (en) Pumping tool for towing by towed self-loading suction dredger and towed self-loading suction dredger equipped with such a pumping device
DK3205778T3 (en) EXCAVATOR AND RELATED PROCEDURE FOR PREPARING A BALL IN A SEA SOUND
EP2981657A1 (en) Trench cutting apparatus
US471437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nching subsea pipelines
US9611621B2 (en) Cutting dredger
WO2017017599A1 (en) Trenching assembly for laying in a trench a continuous pipeline and trenching method
JP4700761B1 (ja) 水底均し装置
CN112600130A (zh) 一种埋设犁及其工作方法
JPH07231528A (ja) 海底ケーブル敷設機
KR101782456B1 (ko)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및 그 방법
KR101499151B1 (ko) 쟁기를 이용한 준설 해저면 평탄화 시스템 및 공법
EP2386001B1 (en) Excavating device for excavating ground under water, and method for excavating ground
KR101455373B1 (ko) 준설 해저면 평탄화 작업용 쟁기
EP3108069B1 (en) Bottom leveller system during dredging
KR101140789B1 (ko)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JP2961212B2 (ja) 水中浚渫ロボットによる浚渫方法
US10519625B2 (en) Dredger actuated from land
NL1041384B1 (nl) Werkwijze, zuiginrichting en zuigvaartuig voor het onderzuigen van een leiding.
US20230183939A1 (en) Submersible drag barge
EP06555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edging a trench in a water bed
AU2006200517A1 (en) Trenc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