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121B1 - Pressure Sensor - Google Patents

Pressur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121B1
KR101499121B1 KR20140161032A KR20140161032A KR101499121B1 KR 101499121 B1 KR101499121 B1 KR 101499121B1 KR 20140161032 A KR20140161032 A KR 20140161032A KR 20140161032 A KR20140161032 A KR 20140161032A KR 101499121 B1 KR101499121 B1 KR 10149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ousing
measurement object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1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시몬
김회율
김강준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16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1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121B1/en
Priority to PCT/KR2015/012338 priority patent/WO201608073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01L19/10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mechanical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sensor that can visually figure out a certain level of pressure without using a complicated mechanical, electrical, and chemical device. A pressure sensor (100) includes a first member (110) that can be deformed by pressure of a fluid (200) in an object (300) of which pressure is measured, and a housing (120) that is placed opposite to the object (300), with the first member (110)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object and the housing. The housing is formed in a dome shape and has a second hole on the surface thereof. The second hole is formed on the top of the housing.

Description

압력지표계{Pressure Sensor}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압력지표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indicator system.

일반적으로 멤브레인 압력 센서는 압력 측정 장치(pressure measurement device)가 소정의한 이유 때문에 측정 대상 물질과 직접 연결이 되지 않을 때 측정 대상 물질의 압력을 압력 측정 장치로 전달하는데 사용된다.In general, a membrane pressure sensor is used to transfer the pressure of a measurement object to a pressure measurement device when the pressure measurement device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object for a certain reason.

종래의 멤브레인 압력 센서는 근본적으로 서로 멤브레인에 의해 구분되는 두개의 공간이나 챔버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두 개의 공간이나 챔버 중 어느 하나는 압력을 측정할 물질을 수용하고, 다른 하나는 충진 유체로 채워진다. 이때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해당 멤브레인의 움직임에 의해 충진 유체에 전달되므로, 물질이 직접적으로 압력 측정 장치에 연결되지 않아도, 물질의 압력을 탐지할 수 있다.Conventional membrane pressure sensors basically have two spaces or chambers separated by membranes, one of which accommodates the substance to be measured for pressure and the other is filled with a filling fluid. Sinc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filling fluid by the movement of the membrane, the pressure of the material can be detected even if the material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pressure measuring device.

한편, 자전거, 자동차 등의 타이어 압력 측정에 있어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압력계처럼 압력을 실시간 및 정량적으로 파악하기보다는,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였는지를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위험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ire pressure measurement of bicycles, automobiles, etc.,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risk immediately by immediately knowing whether the internal pressure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rather than grasping the pressure in real time or quantitatively like an analog or digital pressure gauge.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압력지표계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의 변화하는 곡률을 측정하여 압력을 측정하므로, 멤브레인이 변화한 정도를 측정할 구체적인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압력 측정 대상체 내부의 유체 압력이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였는지를 육안만으로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However, 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measures the pressure by measuring the changing curvature of the membrane a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so that the specific electrical, mechan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Is required.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immediately grasp only the naked eye whether the fluid pressure inside the pressure measuring objec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ressure.

KR 10-1061488 B1KR 10-1061488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복잡한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장치가 없이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였는지를 육안만으로 즉각적으로 파악하는 압력지표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 indicator system capable of instantly grasping visually whether a predetermined pressure is reached without a complicated mechanical, electrical and chemical apparatus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압력 측정 대상체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mber which deforms under the pressure of a fluid inside a pressure measurement object and a second member which is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measurement membe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제1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hol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막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sure index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ember is formed of a film having elastic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부피는, 소정의 압력에서 상기 제1 부재가 팽창하는 부피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sure index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f the housing is equal to the volume of the first member which expands at a predetermined press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반구 형상이고,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제2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hemispherical, and a second hol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상기 제2 홀은 상기 하우징의 정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sure index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le is formed at the apex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측면에 제3 홀이 형성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index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ncludes a sensing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hole and having a third hole formed on a side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반구 형상이고, 상기 하우징 표면의 정점에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관측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hemispherical and an observation window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at the apex of the housing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부재를 밑면으로 하여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부피제어부, 및 상기 부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부피제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변형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는 상기 변형방지부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변형방지부를 관측할 수 있는 관측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index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 volume control unit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with the first member as a bottom surface, and a deforma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olume control unit, And an observation window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and to be able to observe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from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와 상기 제1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연결구의 일단을 밀봉하도록 상기 연결구의 상기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are open, and a connecting port for connecting the pressure measuring object and the first member, And is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를 덮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바디부, 및 압력 측정 대상체 내부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고, 상기 바디부와 구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ody portion covering the first member and fixed by being coupled to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And a second member including a distinguishable display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은 평면이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의 관측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s flat and an observation window made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에 있어서, 상기 관측창은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pressure index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servation window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at a predetermined pressure has been reached without a complicated mechanical, electrical and chemical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육안으로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였음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ntuitively grasped that a predetermined pressure is reached with the naked eye.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지표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지표계의 실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압력지표계의 실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의 단면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hotograph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B are sectional views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B are sectional views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B are sectional views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a fifth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소정의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certain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thereto.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hich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지표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지표계(100)는 압력 측정 대상체(300) 내부의 유체(200)의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제1 부재(110), 및 상기 제1 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300)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1A and 1B, a pressure indicator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mber 110 that receives pressure of fluid 200 in a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and deforms, And a housing 120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with the first member 110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300)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압력지표계(100)가 압력을 측정할 휴대용 정수용기 또는 자전거 및 자동차의 타이어 등이다. 상기 제1 부재(110)는, 유체(200)의 압력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였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 부재(110)는 압력 측정 대상체(300) 내부의 유체(200)의 압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유체(200)와 직접적으로 맞닿을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is, for example, a portable water purification container or a bicycle or an automobile tire in which 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pressure. The first member 110 is infl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so that the first member 110 can visually confirm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pressure has been reached. Here, the first member 110 is disposed so as to be directly affec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in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be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directly abut the fluid 200. [

또한, 제1 부재(110)는 유체(200)의 압력을 받아 팽창되어야 하므로,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진 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체(200)의 압력을 균일하게 받기 위해 평면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member 110 must be inflated under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and thus may be provided with a film having elasticity, for example.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luid 200 is provided in a planar shape to uniformly receive the pressure.

상기 하우징(120)은 제1 부재(110)가 일정부피 이상으로 팽창하는 것을 제어하고, 제1 부재(110)의 팽창한 형상을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부재(110)가 유체(200)의 압력에 따라 무한히 팽창을 하면 손상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하우징(120)은 제1 부재(110)의 부피 팽창을 제어한다. The housing 120 controls the expansion of the first member 110 to a predetermined volume or more and allows the expanded shape of the first member 110 to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The housing 120 controls the volume expansion of the first member 110 because there is a risk of damage if the first member 110 inflates infinitely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

여기서, 하우징(120)은 제1 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압력 측정 대상체(300)의 맞은편에 배치되면서, 제1 부재(110)를 덮는다. 또한, 하우징(120)의 테두리는 제1 부재(110)의 테두리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체(200)의 압력이 증가하면, 제1 부재(110)는 반구 또는 포물선 형태로 팽창하고, 하우징(120)의 내면에 접촉할 때까지 팽창할 수 있다.Here, the housing 120 covers the first member 110 while being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with the first member 110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rim of the housing 120 may be connected to the rim of the first member 110. Thus, as will be described below, as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increases, the first member 110 may expand in a hemispheric or parabolic fashion and expand until it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

또한, 하우징(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제1 부재(110)가 팽창하는 것을 관측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1 부재(110)가 팽창하는 것을 통해, 대상체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절한 대처를 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120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so that it is possible to observe that the first member 110 expands visually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object is increasing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first member 110, and accordingly, appropriate action can be taken.

추가적으로,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의 표면에는 제1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1A and 1B, a first hole 122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20.

상기 제1 홀(122)은 하우징(120) 내부와 외부 사이에 통기성을 확보하여, 하우징(120) 내부의 압력을 외부와 같이 대기압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팽창하는 부피는 내부 및 외부의 압력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제1 부재(110)의 팽창이 비록 밀폐된 하우징(120)내에서 이루어지지만, 대기압 하에서 팽창하는 것과 동일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육안으로 유체(200)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1 홀(122)은 하우징(120) 표면 어느 곳에나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부재(110)가 팽창하여 제1 홀(122)을 통해 돌출되지 않도록, 작게 형성하여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0.5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hole 122 secures air permeability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and serves to maintain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120 at atmospheric pressure like the outside. The expansion volume depends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s, which is equal to the expansion of the first member 110, although it occurs in the enclosed housing 120, but under atmospheric pressure. Accordingly,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at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ressure. At this time, the first hole 122 may be formed anywhere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20, and the first member 110 should be formed small so that the first member 110 does not protrude through the first hole 122, May have a diameter of 0.5 mm or less.

또한,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지표계(100)는,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300)와 상기 제1 부재(110)를 연결하는 연결구(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110)는 상기 연결구(150)의 일단을 밀봉하도록 상기 연결구(150)의 상기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1A and 1B, the pressure gaug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gauge 100 having both ends opened and a connecting port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and the first member 110 The first member 110 may be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connector 150 to seal one end of the connector 150.

제1 부재(110)를 직접적으로 압력 측정 대상체(300)에 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내부 유체(200)의 압력의 증가로 제1 부재(110)가 팽창하면, 제1 부재(110)와 압력 측정 대상체(300)의 결합이 약하여, 제1 부재(110)가 분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연결구(150)를 구비하여, 압력 측정 대상체(300), 연결구(150) 및 제1 부재(110)를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member 11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When the first member 110 expands due to an increase in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fluid 200, The coupling of the object 300 is weak, and the first member 110 may be separated. Therefore,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the connector 150, and the first member 110 can be coupled by providing a separate connection port 150. FIG.

예를 들어, 연결구(150)의 외벽에 나사선을 형성하여 볼트 체결 방식으로 연결구(150)와 압력 측정 대상체(300)를 결합할 수 있으며, 다만, 권리범위는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는다.
For example,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connector 150 so that the connector 150 and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can be coupled by a bolt fastening method. However, the scope of the righ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지표계의 실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하우징(120)의 부피는, 소정의 압력에서 제1 부재(110)가 팽창하는 부피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확인하고자 하는 소정의 압력하에서, 제1 부재(110)의 재질에 따른 탄성률을 고려하여 제1 부재(110)가 팽창하는 부피를 계산하고, 그 팽창 부피와 하우징(120)의 부피를 동일하게 하여 하우징(120)을 제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olume of the housing 120 can be made equal to the volume of the first member 110 expanding at a predetermined pressure. Therefore, the volume at which the first member 110 expands i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elasticity of the first member 110 under a predetermined pressure to be confirmed, and the volume of the first member 110 is equal to the volume of the housing 120 So that the housing 120 can be manufactured.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은 반구 형상이고, 하우징(120)의 표면에 제2 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2, the housing 120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a second hole 124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20. As shown in FIG.

상기 제2 홀(124)은 유체(200)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면 제1 부재(110)가 팽창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제1 부재(110)를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hole 124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first member 110 expands and protrudes outward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exceeds a predetermined pressure so that the first member 110 can be visually observed .

구체적으로, 제1 부재(110)가 유체(200)의 압력을 받으면, 제1 부재(110)의 테두리는 고정이 되어 있으므로, 반구 또는 포물선 형태로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부재(110)가 하우징(120)의 내면에 밀착하면, 제1 부재(110)의 팽창부피와 하우징(120)의 부피가 동일한 것이고, 소정의 압력에 도달했음을 알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first member 110 receives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since the rim of the first member 110 is fixed, it expands in a hemispherical or parabolic shape. Therefore, when the first member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t can be seen that the expansion volume of the first member 110 and the volume of the housing 120 are the same and a predetermined pressure is reached.

이때, 유체(200)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면, 제1 부재(110)는 더욱 팽창하게 되므로, 제2 홀(124)을 통해 제1 부재(110)의 일부가 돌출된다. 이러한 돌출된 제1 부재(110)를 육안으로 인식하여, 사용자는 대상체의 내부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였음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exceeds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first member 110 is further expanded so that a part of the first member 110 protrudes through the second hole 124. By recognizing the protruded first member 110 with the naked eye, the user can know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object has exceeded the predetermined pressure.

결국, 제1 부재(110)가 팽창하여 하우징(120)의 내면에 접촉하게 되면,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first member 110 expands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ressur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홀(124)은 반구 형상의 하우징(120)의 정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재(110)가 압력을 받으면 반구 또는 포물선 형태로 팽창하고, 제1 부재(110)의 중심부부터 부풀어 오른다. 또한, 제1 부재(110)가 하우징(120)의 내부에 완전히 밀착한 후에,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여 계속 팽창할 때도, 제1 부재(110)의 중심부부터 부풀어 오른다. 따라서, 제2 홀(124)도 이에 맞추어 하우징(120)의 최상단인 정점에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hole 124 may be formed at a vertex of the hemispherical housing 12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member 110 undergoes pressure, it expands in a hemispherical or parabolic shape, and swells up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member 110. Further, the first member 110 swells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member 110 even when the first member 110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and then continues to expand beyond a predetermined pressure. Accordingly, the second hole 124 may also be formed at the apex which is the uppermost end of the housing 120.

결국, 내부 유체(200)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는 즉시, 제1 부재(110)의 일부가 제2 홀(12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는 이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으므로,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였음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as soon as the pressure of the inner fluid 200 exceeds a predetermined pressure, a part of the first member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hole 124, and the user can observe this with the naked eye, It can be clearly recognized that the predetermined pressure has been exceeded.

도 3은 압력지표계의 실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의 사시도이다.FIG. 3 is a photograph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추가적으로,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제2 홀(124)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부면은 폐쇄되며 측면에 제3 홀(132)이 형성된 감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120 may include a sensing unit 130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hole 124 and having an upper surface closed and a third hole 132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에서 관측시, 유체(200)의 압력이 증가하여도, 제1 부재(110)가 부풀어오르는 형상이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부에서 관측시, 유체(200)의 압력이 어느 정도 증가하였는지 파악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As shown in FIG. 3, even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increases at the time of observation from above, the shape of the first member 110 is very simila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how much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has increased when the user observes from above.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은 폐쇄되고, 측면에 제3 홀(132)을 형성된 감지부(130)를 구비하여, 제1 부재(110)가 제3 홀(132)을 통해서 측면으로 팽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200)의 압력이 증가하면, 제1 부재(110)의 팽창이 측면의 제3 홀(132)을 통해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상부에서 육안으로 관측시, 유체(200)의 압력이 증가한 정도를 더욱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4, the upper surface is closed, and the sensing member 130 having the third hole 132 formed on the side thereof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member 110 passes through the third hole 132 It can be inflated to the side. Accordingly,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increases, the expansion of the first member 110 is formed through the third hole 132 on the side, so that when the user observes from the top with the naked eye,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The degree of increase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의 단면도이다.5A to 5B are sectional views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하우징(120)은 반구 형상이고, 하우징(120)의 표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관측창(1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앞선 실시예와 달리, 하우징(120)에 개방된 홀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120) 내부의 제1 부재(110)의 팽창을 관측할 수 있도록 관측창(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110)는 팽창하더라도, 하우징(120)이 밀폐되어 있으므로, 제1 부재(110)가 하우징(120) 외부로 돌출될 수 없다. 또한, 제1 부재(110)는 반구 또는 포물선 형태로 팽창하므로, 관측창(140)은 하우징(120)의 정점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housing 120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a viewing window 14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20, which is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That is,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observation window 140 may be formed so that the opening of the housing 120 is not formed, but the expansion of the first member 110 inside the housing 120 can be observed. have. At this time, even if the first member 110 expands, the first member 110 can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because the housing 120 is sealed. In addition, the first member 110 expands in a hemispherical or parabolic shape, so that the observation window 140 can be formed at the apex of the housing 120.

또한, 하우징(120)에서 관측창(140) 외 부분을 불투명하게 하면, 제1 부재(110)가 팽창하여 관측창(140)의 내면에 접촉하였을 때, 제1 부재(110)와, 하우징(120)의 관측창(140) 외 부분이 서로 더욱 명확히 대비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유체(200)가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였음을 육안으로 더욱 명확히 식별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member 110 is inflated and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observation window 140, the first member 110 and the housing (not shown) 120 may be more clearly contrasted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identify visually that the fluid 200 inside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ressure.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의 단면도이다.6A to 6B are sectional views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지표계(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부재(110)를 덮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300)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바디부(162), 및 상기 바디부(162)와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16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부재(110)의 맞은 편에 배치되며, 압력 측정 대상체(300) 내부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고, 상기 바디부(162)와 구별되는 표시부(164)를 포함하는 제2 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6A and 6B, in 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20 is made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nd covers the first member 110, A body part 162 fixed to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and connected to the body part 162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part 110 with the body part 16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member 160 which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side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and includes a display part 164 distinguished from the body part 162. [

상기 바디부(162)는 압력 측정 대상체(300) 또는 제1 부재(110)와 결합되어 테두리가 고정되고, 유체(200)의 압력이 가해져도 팽창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64)는 유체(200)의 압력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탄성막 등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체(200)의 압력이 증가하여 표시부(164)가 팽창되면, 외부에서 표시부(164)를 명확하게 관측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64)는 발광물질 등으로 구성하여 바디부(162)와 명확히 구별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압력지표계(100)의 권리범위는 반드시 이러한 예시에 한하지 않는다.
The body part 162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coupled with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or the first member 110 and has a fixed rim and does not expand even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is applie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portion 164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n elastic film that can be expand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 Therefore,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increases and the display portion 164 expands, the display portion 164 can be clearly observed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display portion 164 may be formed of a light emitting material or the like so as to be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the body portion 162. However,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구체적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측정 대상체(300) 내부의 유체(200)의 압력이 증가하면, 제1 부재(110)가 팽창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표시부(164)도 팽창한다. 여기서, 하우징(120)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비되어 외부에서 표시부(164)의 관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육안으로 표시부(164)를 식별함으로써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64)의 탄성률을 고려하여 소정의 압력에 따른 표시부(164)의 위치를 미리 예측하고, 표시부(164)가 그 위치에서 육안으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유체(200)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6B,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in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300 increases, the display portion 164 also expa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first member 110 . Here, the housing 120 is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display portion 164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internal pressure has increased by visually identifying the display portion 164. It is also possible to pre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ortion 164 in accordance with the predetermined pressure in consideration of the elasticity of the display portion 164 and to check whether the display portion 164 is visually recognized at that pos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pressure has been reached.

도 7은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의 단면도이다.7 is a sectional view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제1 부재(110)를 하부면으로 하여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부피제어부(126), 및 상기 부피제어부(126)와 연결되어 상기 부피제어부(126)의 상부에 변형방지부(128)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변형방지부(128)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변형방지부(128)를 관측할 수 있도록 관측창(1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피제어부(126) 및 변형방지부(12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관측창(14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7, the housing 120 includes a volume control unit 126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with the first member 110 as a lower surface, and a volume control unit 126 connected to the volume control unit 126, The housing 120 is connected to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128 and is connected to the observation window 140 so that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128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Can be formed. Here, the volume control unit 126 and the deformation prevention unit 128 refer to a certain spac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observation window 14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도 2를 참조하면, 제1 부재(110)가 유체(200)의 압력을 받아 팽창할 때, 좁은 제2 홀(124)을 통과하면서 급격하게 팽창된다. 이로 인하여, 제1 부재(110)가 소성 변형될 우려가 있고, 만일 소성 변형되면, 압력지표계(100)에서의 재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110)의 소성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부재(110)의 급격한 팽창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first member 110 expands under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it expands abruptly while passing through the narrow second hole 124. As a result, the first member 110 may be plastically deformed, and if plastically deformed, reuse in the pressure indicator system 100 may not be possibl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member 110, it is necessary to suppress the abrupt expansion of the first member 110. [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제1 부재(110)의 팽창을 억제하는 부피제어부(126) 외에, 부피제어부(126)의 상부에 반구 형상의 변형방지부(128)를 구비할 수 있다.7, in addition to the volume control portion 126 that primarily suppresses the expansion of the first member 110, a hemispherical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128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olume control portion 126 can do.

이로 인하여, 제1 부재(110)의 단계적인 팽창을 유도함으로써, 제1 부재(110)가 급격히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부재(110)의 소성변형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팽창한 것을 관측창(140)을 통하여 관찰함으로써, 유체(200)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0)의 표면 중 관측창(140)외의 부분을 불투명한 재질로 구비하면, 제1 부재(110)의 팽창 여부를 더욱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by inducing the gradual expansion of the first member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member 110 from rapidly expanding,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p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member 110. In addition, by observing the expansion through the observation window 14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pressure of the fluid 200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ressure. At this time, if the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housing 120 other than the observation window 140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the swelling of the first member 110 can be more clearly confirmed.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압력지표계의 단면도이다.8A to 8B are sectional views of a pressure indicator system according to a fifth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의 상부면은 평면이고, 상기 하우징(120)의 상부면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의 관측창(140)이 형성될 수 있다.8A,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s flat, and an observation window 140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may be formed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to the outside.

제1 부재(110)가 팽창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포물선 또는 반구 형상으로 팽창한다. 따라서, 제1 부재(110)의 중심부가 하우징(120)의 중심부에 가장 먼저 접촉하게 된다. 그 후, 내부 압력이 증가할수록 제1 부재(110)는 계속적으로 팽창하는데, 하우징(120)은 관측창(140)에 의하여 밀폐되었으므로, 제1 부재(110)의 중심부는 더 이상 팽창할 수 없고, 측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팽창부위가 점차적으로 넓어져, 제1 부재(110)가 하우징(120)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진다. 따라서, 제1 부재(110)의 팽창이 진행될수록, 하우징(120)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제1 부재(110)는 하우징(120) 상부면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진행된다. When the first member 110 expands, it expands in a parabolic or hemispherical shape as described above. Thus,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110 is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enter portion of the housing 120. Thereafter, as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the first member 110 continuously expands. Since the housing 120 is sealed by the observation window 140,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110 can no longer expand , And expan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refore, as shown in Fig. 8A, the expanding portion gradually widens outward, and the area in which the first member 11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s widened. The first member 110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advances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as the expansion of the first member 110 progresses.

따라서, 제1 부재(110)가 하우징(120)의 내면에 접촉하는 현상을 관측을 할 수 있도록, 하우징(120) 상부면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관측창(1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재(110)은 반구 또는 포물선 형태로 팽창하여, 중심부부터 팽창하므로, 하우징(12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관측창(140)을 형성할 수 있고, 명확한 대비를 위해, 관측창(140) 외의 부분을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10)의 이러한 팽창을 더욱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우징(120)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기둥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an observation window 140 made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so as to observe the phenomenon that the first member 110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ember 110 expands in a hemispheric or parabolic shape and expands from the central portion, so that an observation window 140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can be forme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120 , The portion other than the observation window 140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for a clear contrast. In order to more clearly observe such expansion of the first member 110, the housing 120 may be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as shown in FIGS. 8A and 8B.

따라서, 유체(200)의 압력증가를 육안으로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적절한 대처를 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sure increase of the fluid 200 can be visually recognized step by step, and the user can take appropriate measures.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측창(140)은 이격되어 복수 개가 내부에서 외측으로 배열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0)의 상부면의 내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복수의 관측창(140)을 형성하고, 복수의 관측창(140) 사이의 이격부분을 포함한 관측창(140) 외의 부분을 불투명하게 함으로써, 앞선 실시예처럼 관측창(140)을 1개로 구성했을 때보다, 더욱 세밀화하여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재(110)의 팽창 형상을 고려하여, 하우징(120)의 중심부터 외측으로 관측창(14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관측창(140)에 제1 부재(110)가 접촉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내부 유체(200)의 압력을 단계적으로 더욱 세분화하여 파악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8B, the observation window 140 may be spaced apart, and a plurality of the observation windows 140 may be arrang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observation windows 140 are formed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and a portion other than the observation window 140 including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observation windows 140 is opaque It is possible to further refine and distinguish the observation window 140 from the case where the observation window 140 is formed as on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observation window 140 can be formed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120 to the outside in consideration of the expansion shape of the first member 1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fluid 200 stepwise further by grasping visually whether the first member 110 is in contact with the predetermined observation window 140.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100: 압력지표계 110: 제1 부재
120: 하우징 122: 제1 홀
124: 제2 홀 126: 부피제어부
128: 변형방지부 130: 감지부
132: 제3 홀 140: 관측창
150: 연결구 160: 제2 부재
162: 바디부 164: 표시부
200: 유체 300: 압력 측정 대상체
100: pressure indicator system 110: first member
120: housing 122: first hole
124: second hole 126: volume control section
128: Deformation prevention part 130:
132: Third hole 140: Observation window
150: connector 160: second member
162: Body part 164: Display part
200: fluid 300: pressure measuring object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압력 측정 대상체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반구 형상이고,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제2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표계.
A first member deforming under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the pressure measuring object; And
And a housing disposed opposite to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with the first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housing is hemispherical and a second hole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housin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홀은 상기 하우징의 정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표계.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second hole is formed at the apex of the housin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부면은 폐쇄되며, 측면에 제3 홀이 형성된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표계.
The method of claim 6,
The housing includes:
And a sensing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hole, the upper surface being closed and the third hole being formed on the side surface.
압력 측정 대상체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반구 형상이고, 상기 하우징 표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관측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표계.
A first member deforming under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the pressure measuring object; And
And a housing disposed opposite to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with the first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housing is hemispherical and an observation window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압력 측정 대상체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부재를 하부면으로 하여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부피제어부; 및
상기 부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부피제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변형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는 상기 변형방지부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변형방지부를 관측할 수 있는 관측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표계.
A first member deforming under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the pressure measuring object; And
And a housing disposed opposite to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with the first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housing includes:
A volume control unit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with the first member as a lower surface; And
And a deformation preventing part connected to the volume control part and formed on the volume control part,
Wherein a surface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n observation window connected to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and capable of observing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from the outside.
압력 측정 대상체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하우징; 및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와 상기 제1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연결구의 일단을 밀봉하도록 상기 연결구의 상기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표계.
A first member deforming under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the pressure measuring object;
A housing disposed opposite to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with the first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d a connection port for connecting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first member is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connector to seal one end of the connector.
압력 측정 대상체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부재를 덮고, 상기 압력 측정 대상체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부재의 맞은 편에 배치되며, 압력 측정 대상체 내부의 압력에 따라 변형되고, 상기 바디부와 구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표계.
A first member deforming under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the pressure measuring object;
A housing disposed opposite to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with the first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body covering the first member and fixed to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body unit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member with the body part interposed therebetween, the display unit being deformed according to a pressure inside the pressure measurement object and being distinguished from the body part, Including,
Wherein the housing is made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40161032A 2014-11-18 2014-11-18 Pressure Sensor KR101499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1032A KR101499121B1 (en) 2014-11-18 2014-11-18 Pressure Sensor
PCT/KR2015/012338 WO2016080730A1 (en) 2014-11-18 2015-11-17 Pressur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1032A KR101499121B1 (en) 2014-11-18 2014-11-18 Pressure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121B1 true KR101499121B1 (en) 2015-03-06

Family

ID=5302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1032A KR101499121B1 (en) 2014-11-18 2014-11-18 Pressure Sens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9121B1 (en)
WO (1) WO2016080730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670A (en) * 1990-01-15 1993-10-26 Lomholt Vagn N F Air reservoir
JP2014524014A (en) * 2011-06-11 2014-09-18 パスカル・リュシーナ Pressure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6338C1 (en) * 1985-12-30 1987-06-04 Rainer Achterholt Valve cap for pneumatic tires providing a pressure reduction indicator
JPH08219913A (en) * 1995-02-10 1996-08-30 Hosiden Corp Fluid pressure sensor
KR101037593B1 (en) * 2009-04-23 2011-05-27 주식회사 아이베이지디쓰리 Medical data measuring device and member for use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670A (en) * 1990-01-15 1993-10-26 Lomholt Vagn N F Air reservoir
JP2014524014A (en) * 2011-06-11 2014-09-18 パスカル・リュシーナ Pressure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0730A1 (en)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3180B2 (en) Vented reservoir for medical pump
ES2752398T3 (en) Pressure indicator
EP2995921B1 (en) Pen-type pressure indicator for air compressor
EP3001165B1 (en) Pressure indicator with pressure-relief function
EP2998583B1 (en) Pressure indicator for air compressor
ES2938912T3 (en) Pressure indicator
WO2011014798A3 (en) Pressure relief device integrity sensor
KR101499121B1 (en) Pressure Sensor
CN110114267A (en) The monitoring system of inflating type protective balk
WO2005012863A3 (en)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an interface between two bodies
JP2010043946A (en) Method for determining presence or absence of gas leak
JP4882369B2 (en) Air pressure detection system
TWI519785B (en) Wireless subsoil tension sensor
US20220412830A1 (en) Relative-pressure sensor comprising a reference-pressure supply
CN109436231A8 (en) Inflatable paddle board
CN209225357U (en) A kind of inflation paddle board
JP2008058284A (en) Pneumatic indicating device
JP2013234986A5 (en) Pressure detector
CN200975931Y (en) Pressure alarm
US10641674B2 (en) Sensor device particularly for maritime applications
EP2537545A1 (en) Vented reservoir for medical pump
CN207270208U (en) Cup with temperature display function
EP3026413A1 (en) Determining an internal pressure in a pressurized hose
CN103420038A (en) Biological test block containing barrel with dehumidification capacity detection device
IT201800000829A1 (en) PRESSURE MEASURING GRO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