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046B1 -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 Google Patents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046B1
KR101499046B1 KR1020130045663A KR20130045663A KR101499046B1 KR 101499046 B1 KR101499046 B1 KR 101499046B1 KR 1020130045663 A KR1020130045663 A KR 1020130045663A KR 20130045663 A KR20130045663 A KR 20130045663A KR 101499046 B1 KR101499046 B1 KR 101499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coordinate value
impact point
archery
point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7092A (en
Inventor
권택렬
Original Assignee
권택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택렬 filed Critical 권택렬
Priority to KR1020130045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046B1/en
Publication of KR2014012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0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0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0Cinematographic hit-indic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3/00Targets for arrows or darts, e.g. for sporting or amusement purposes
    • F41J3/02Indicators or score boards for arrow or dart g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4Electric hit-indicating systems; Detecting hits by actuation of electric contacts 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 및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은, 표적틀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표적지 영상으로부터 화살 객체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화살 객체의 위치정보 및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원근법을 적용하여 화살의 탄착점 좌표값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영상 분석부, 그리고 상기 탄착점 좌표값을 토대로 득점 정보를 산출하는 득점 분석부를 포함한다.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The archery electronic target system extracts an arrow object from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input through a plurality of cameras mounted on a target frame, compare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ize of the arrow object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images with each other, An image analyzing unit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an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of the arrow, and a score analyzing unit for calculating score information based on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Description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 및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nd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본 발명은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 및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궁 경기의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 및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for providing results of an archery game in real time.

양궁은 활과 화살을 이용하여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표적을 겨냥하여 쏘아 득점을 겨루는 경기이다. 양궁에서는 화살이 표적의 어느 곳에 맞춰줬는지에 따라 채점되는 점수에 의해 등수가 결정된다. Archery uses a bow and arrows to shoot targets aimed at distant targets at a certain distance. In archery, the score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points scored, depending on where the arrow is positioned on the target.

한편, 양궁 경기에서는 선수가 규정된 화살을 모두 발사하면 심판이 화살의 득점을 일일이 확인하는 방식으로 채점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채점 방식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경기 결과를 관중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지 못하여 양궁 경기의 재미를 반감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스포츠 경기에 있어서 관중들의 흥미 유도는 스포츠 경기의 발전과 저변 확대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rchery competition, when the athlete fires all of the prescribed arrows, the referee scores the arrows in a way that confirms the score. Such scoring method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can not provide the spectator results to the crowd in real time, which serves as a factor to halve the fun of the archery game. The inducement of the spectator 's interest in the sports game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he sports game and expansion of the base.

따라서, 양궁의 발전과 저변 확대를 위해서 양궁 경기의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 to provide the results of archery games in real time in order to develop and expand archer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궁 경기의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 및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nd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for providing results of an archery game in real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은, 표적틀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복수의 표적지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표적지 영상으로부터 화살 객체를 각각 추출하며, 원근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적지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화살 객체의 위치정보 및 크기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화살의 탄착점 좌표값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영상 분석부, 그리고 상기 탄착점 좌표값을 토대로 득점 정보를 산출하는 득점 분석부를 포함한다. An archery electronic targe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acquiring a plurality of target image images through a plurality of cameras mounted on a target frame, extracting arrow objects from the plurality of target image images, An image analyzer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an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of an arrow by comparing positional information and size of an arrow object extracted from a plurality of target image images with each other, and a score analyzer for calculating score information based on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표적틀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복수의 표적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표적지 영상으로부터 화살 객체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원근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적지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화살 객체의 위치정보 및 크기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화살의 탄착점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탄착점 좌표값을 토대로 득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득점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controlling an archery electronic targe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cquiring a plurality of target image images photographed at different angles through a plurality of cameras mounted on a target frame, Calculating an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of the arrow by compa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ize of the arrow object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target spot images based on the perspective method to each other to obtain score information based on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And displaying the score information on a scree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양궁 전자표적 장치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되는 표적지 영상을 분석하여 탄착점의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획득한 탄착점 좌표값을 득점 정보 또는 득점 영상으로 변환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선수 또는 관중이 양궁 경기의 현재 진행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지원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chery electronic target apparatus can acquire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impact point in real time by analyzing the target image captured at different angles. In addition, the obtained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s are converted into score information or score images and displayed in real time, thereby enabling the athlete or the crowd to grasp the current progress of the archery game in real time.

이에 따라, 선수는 자신의 경기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확인 파악하여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관중은 실시간으로 득점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여 양궁 경기에 대한 흥미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athlete can check his / her game results in real time, identify and correct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and allow the crowd to grasp the current score status in real time, thereby increasing the interest in the archery game .

또한, 탄착점 좌표값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가 표적들과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 카메라 위치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과정이 필요하나, 카메라를 표적틀에 고정시킴으로써 별도의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설치 시 번거로움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f the camera for acquiring an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targets,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calib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amera position, but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 separate calibration process by fixing the camera to the target fram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표적틀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에서 득점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n archery electronic targe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is mounted on a target frame of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of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for displaying score information in the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구성요소도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Whenever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n this document, it is meant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in this document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It should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표적틀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a)는 표적판의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표적판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에서 득점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n archery electronic targe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unted on a target frame of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rget plate viewed from the front, (B) is a sectional view of the target plate.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device of an archery electronic targe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score information in the archery electronic targe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10)은, 복수의 카메라(11), 제어장치(12), 메모리(13),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10)은 그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1,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11, a control device 12, a memory 13, at least one display 14, and the like. 1 are not essential, so that the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1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more or fewer components.

복수의 카메라(11)는 표적지가 장착되는 표적틀에 장착된다. 복수의 카메라(11)는 표적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어 서로 다른 각도에서 표적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표적 추적용 카메라와, 표적지로 날아드는 화살을 방송 중계하기 위한 방송용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ameras 11 are mounted on a target frame on which a target is mounted. The plurality of cameras 11 may include a target tracking camera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target frame to acquire images of the target at different angles, and a broadcast camera for relaying broadcasts of arrows flying to the target .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표적 추적용 카메라(11a, 11b, 11c, 11d)가 표적틀(1)의 서로 다른 에지 영역에 장착된다. 각 표적 추적용 카메라(11a, 11b, 11c, 11d)는 표적틀(1)에 고정된 표적지(2)를 소정의 각도로 촬영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표적지 영상을 획득한다. 한편, 도 2에서는 표적 추적용 카메라가 4개이고, 각 표적 추적용 카메라가 표적틀(1)의 서로 다른 에지 영역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적 추적용 카메라의 개수 및 장착 위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target tracking cameras 11a, 11b, 11c, and 11d are mounted in different edge areas of the target frame 1. Each of the target tracking cameras 11a, 11b, 11c, and 11d captures the target 2 fixed on the target frame 1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cquires the target image captured at different angles. In FIG. 2, there are four target tracking cameras, and each target tracking camera is mounted on different edge areas of the target frame 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target tracking cameras and their mounting positions can be variously modified.

방송용 카메라(11e)는 표적틀(1)에서 표적지(2)의 중심이 놓이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방송용 카메라(11e)는 화살이 화살에서 발사되어 표적지(2)로 날아와 박히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camera 11e for broadcasting can be moun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enter of the target 2 is placed in the target frame 1. [ The camera 11e for broadcasting is used to acquire an image in which an arrow is fired from an arrow and flied to the target 2.

다시, 도 1을 보면, 제어 장치(12)는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1, the controller 12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rchery electronic target system 10. [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2)는 영상 분석부(121), 득점 분석부(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 the controller 12 may include an image analysis unit 121, a score analysis unit 122, and the like.

영상 분석부(121)는 표적틀(1)에 장착된 복수의 표적 추적용 카메라(11a, 11b, 11c, 11e)를 통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복수의 표적지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또한, 각 표적지 영상을 분석하여 표적지(2)에 박힌 화살의 탄착점 좌표값을 산출한다. The image analyzing unit 121 acquires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photographed at different angles in real time through a plurality of target tracking cameras 11a, 11b, 11c, and 11e mounted on the target frame 1. [ In addition, each target image is analyzed to calculate an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of an arrow embedded in the target.

영상 분석부(121)는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카메라(11a, 11b, 11c, 11e)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표적지(2)에 박힌 화살 객체를 실시간으로 추출한다. 또한, 각 카메라(11a, 11b, 11c, 11d)의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화살 객체의 위치정보 및 크기를 획득한다. 영상 분석부(121)는 각 카메라(11a, 11b, 11c, 11e)의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화살 객체의 위치정보 및 크기를 상호 비교하고 원근법을 적용함으로써 화살 객체의 탄착점 좌표값을 획득한다. The image analysis unit 121 extracts the arrow objects embedded in the target 2 from the images captured through the cameras 11a, 11b, 11c, and 11e in real time using the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Also,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ize of the arrow object extracted from the images of the cameras 11a, 11b, 11c, and 11d are acquired. The image analysis unit 121 acquires the impact point coordinates of the arrow object by compa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ize of the arrow object obtained from the images of the cameras 11a, 11b, 11c, and 11e with each other and applying a perspective method.

한편, 양궁의 특성 상 하나의 표적지에 복수의 화살이 박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분석부(121)는 이전에 발사된 화살 객체와 새롭게 발사된 화살 객체를 구분하여 탄착점 좌표값을 획득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ery are that multiple arrows can be struck on a single target. Accordingly, the image analysis unit 121 needs to distinguish the previously fired arrow object from the newly fired arrow object to acquire an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영상 분석부(121)가 이전에 발사된 화살 객체와 새롭게 발사된 화살 객체를 구분하는 방법은 다양한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A method for the image analysis unit 121 to distinguish a previously fired arrow object from a newly fired arrow objec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예를 들어, 영상 분석부(121)는 각 카메라(11a, 11b, 11c, 11d) 별로 화살 객체가 인지될 때마다 촬영되는 표적지 영상을 메모리(13)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롭게 발사된 화살 객체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영상 분석부(121)는 새로운 화살이 표적지에 박히면, 기 저장된 표적지 영상과 현재 입력되는 표적지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새롭게 발사된 화살 객체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mage analysis unit 121 stores the target image captured in the memory 13 for each of the cameras 11a, 11b, 11c, and 11d for each arrow object recognized, You can distinguish objects. That is, if a new arrow is embedded in the target, the image analyzer 121 can selectively extract only the newly launched arrow object by comparing the previously stored target image with the currently input target image.

또한, 예를 들어, 영상 분석부(121)는 각 카메라(11a, 11b, 11c, 11d) 별로 추출된 화살 객체의 정보(위치 정보, 크기 등)를 메모리(13)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롭게 발사된 화살 객체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영상 분석부(121)는 새로운 화살이 표적지에 박히면, 이전에 저장된 화살 객체의 정보 또는 영상을 현재 획득한 화살 객체의 정보 또는 영상과 비교함으로써, 새롭게 박힌 화살 객체의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image analysis unit 121 stores the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size, etc.) of the arrow objects extracted for each of the cameras 11a, 11b, 11c, and 11d in the memory 13, Newly fired arrow objects can be distinguished. That is, if a new arrow is embedded in the target, the image analyzer 121 selectively extracts only the information of the newly embedded arrow object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or image of the previously stored arrow object with the information or image of the currently obtained arrow object You may.

또한, 예를 들어, 영상 분석부(121)는 탄착점 좌표값이 산출되면 메모리(13)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롭게 발사된 화살 객체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영상 분석부(121)는 새로운 화살이 표적지에 박히면, 기 저장된 탄착점 좌표값을 현재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탄착점 좌표값과 비교함으로써, 새롭게 박힌 화살 객체의 탄착점 좌표값을 획득할 수도 있다. Also, for example, when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is calculated, the image analysis unit 121 stores the acquired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in the memory 13, and can distinguish the newly launched arrow object using the stored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That is, when the new arrow is put on the target, the image analyzer 121 may obtain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of the newly embedded arrow object by comparing the previously stored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with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obtained from the currently photographed image .

득점 분석부(122)는 영상 분석부(121)를 통해 획득한 화살 객체의 탄착점 좌표값을 기 저장된 표적지 정보에 대응시킴으로써 득점 정보를 산출한다. 즉, 영상 분석을 통해 획득한 탄착점 좌표값이 표적지 내 어느 위치에 대응하는지를 계산하고, 계산된 표적지 내 위치를 토대로 득점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score analyzing unit 122 calculates score information by associating an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of an arrow object acquired through the image analyzer 121 with previously stored target informa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which position in the target spot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obtained through image analysis corresponds to, and calculate the score inform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position in the target spot.

득점 정보는 표적지를 향해 발사된 각 화살의 점수 정보, 각 화살의 점수 정보를 누적 계산한 득점 현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양궁 경기가 진행 중인 경우, 해당 표적지에 경기 중인 선수의 득점 순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core information may include score information of each arrow fired toward the target, and score status information obtained by cumulatively calculating score information of each arrow. In addition, if the current archery game is in progress, the target site may further include the score ranking information of a running player.

득점 분석부(122)는 영상 분석부(121)를 통해 획득한 화살 객체의 탄착점 좌표값을 토대로, 기 저장된 표적지 영상에 탄착점의 위치를 표시하여 득점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The score analyzing unit 122 may display the position of the impact point on the pre-stored target image based on the impact point coordinates of the arrow object acquired through the image analyzer 121 to obtain the goal image.

메모리(13)는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10)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The memory 13 stores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10,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10, and the like.

예를 들어, 메모리(13)는 각 표적틀에서 경기 중인 선수의 선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메모리(13)는 각 표적틀에 대응하는 득점 정보와 득점 영상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득점 정보 및 득점 영상은 각 표적틀에서 경기 중인 선수 정보를 토대로 선수 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emory 13 may store the player information of the athlete playing in each target frame. In addition, for example, the memory 13 may store the score information and the score image corresponding to each target frame in a database. Scoring information and score images can be stored separately for each athlete based on the athlete information in each target frame.

디스플레이(14)는 양궁 경기, 실시간 득점 현황 등을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14)는 관중에게 양궁 경기를 중계하는 관중용 디스플레이, 선수에게 자신의 경기 내용을 화면으로 보여주는 선수용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14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an archery game, a real time score, and the like on the screen. The display 14 may include a display for a spectator relaying an archery game to a spectator, a player display for showing the player his or her game content on a screen, and the like.

디스플레이(14)는 방송용 카메라(11e)를 통해 획득되는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The display 14 can display a competition image obtained through the broadcasting camera 11e on a screen in real time.

또한, 디스플레이(14)는 득점 분석부(122)를 통해 획득한 득점 정보 또는 득점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Also, the display 14 may display the score information or the score image obtained through the score analyzing unit 122 on the screen in real time.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4)는 표적지에 박힌 각 화살의 점수 정보(141), 각 화살의 점수를 누적 계산한 득점 현황 정보(142), 선수의 득점 순위 정보(143) 등을 포함하는 경기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4, the display 14 includes score information 141 of each arrow put on the target, score status information 142 which cumulatively calculates the score of each arrow, score information 143 of the athlete, and the like The game screen can be displayed.

또한, 표적지 영상(144)에 현재 표적지에 박힌 화살의 위치(145)를 표시한 득점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score image in which the position 145 of the arrow embedded in the current target is displayed on the target image 144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양궁 표적 장치(10)는 양궁 경기 또는 훈련이 시작되면(S101), 표적틀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11a, 11b, 11c, 11d)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복수의 표적지 영상을 지속적으로 실시간 획득한다(S102). 5, when the archery game or the training is started (S101), the archery target device 10 is photographed at different angles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11a, 11b, 11c, and 11d mounted on the target frame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are continuously acquired in real time (S102).

양궁 표적 장치(10)는 영상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복수의 표적지 영상으로부터 화살 객체를 각각 추출하고, 추출한 화살 객체의 위치정보 및 크기를 획득한다(S103). The archery target device 10 extracts an arrow object from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photographed at different angles through image analysis, and acquires positional information and size of the extracted arrow object (S103).

양궁 표적 장치(10)는 서로 다른 복수의 표적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화살 객체의 위치정보 및 크기를 상호 비교하고 원근법을 적용함으로써 탄착점 좌표값을 자동으로 획득한다(S104). The archery target device 10 automatically obtains an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by compa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ize of the arrow object extracted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target images and applying a perspective method (S104).

또한, 양궁 표적 장치(10)는 기 저장된 표적지 정보 및 표적지 영상에 탄착점 좌표값을 각각 대응시킴으로써 득점 정보 및 득점 영상을 획득한다(S105). In addition, the archery target device 10 obtains the goal information and the goal image by associating the pre-stored targe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mage with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s, respectively (S105).

메모리(13)는 상기 S105 단계를 통해 획득한 득점 정보 및 득점 영상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4)는 상기 S105 단계를 통해 획득한 득점 정보 및 득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여 선수 또는 관중에게 경기 현황을 보여준다(S106). The memory 13 stores the score information and the score image obtained through the step S105 in a database. Also, at least one display 14 displays the score information and the score image obtained through the step S105, and displays the game status to the athlete or the spectator (S106).

상기 S102 단계 내지 상기 S106 단계는 양궁 경기 또는 양궁 훈련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해서 수행될 수 있다(S107). Steps S102 to S106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archery game or the archery training is finished (S107).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양궁 전자표적 장치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되는 표적지 영상을 분석하여 탄착점의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획득한 탄착점 좌표값을 득점 정보 또는 득점 영상으로 변환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선수 또는 관중이 양궁 경기의 현재 진행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지원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chery electronic target apparatus can acquire the coordinates of the impact point in real time by analyzing the target image captured at different angles. In addition, the obtained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s are converted into score information or score images and displayed in real time, thereby enabling the athlete or the crowd to grasp the current progress of the archery game in real time.

이에 따라, 선수는 자신의 경기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확인 파악하여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관중은 실시간으로 득점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여 양궁 경기에 대한 흥미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athlete can check his / her game results in real time, identify and correct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and allow the crowd to grasp the current score status in real time, thereby increasing the interest in the archery game .

또한, 탄착점 좌표값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가 표적들과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 카메라 위치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과정이 필요하나, 카메라를 표적틀에 고정시킴으로써 별도의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설치 시 번거로움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f the camera for acquiring an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targets,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calib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amera position, but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 separate calibration process by fixing the camera to the target frame,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Claims (5)

표적틀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복수의 표적지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표적지 영상으로부터 화살 객체를 각각 추출하여 추출한 화살 객체의 위치정보 및 크기를 획득하며, 복수의 표적지 영상 각각에서 획득한 위치정보 및 크기를 상호 비교하고 원근법을 적용함으로써 화살의 탄착점 좌표값을 산출하는 영상 분석부, 그리고
상기 탄착점 좌표값을 토대로 득점 정보를 산출하는 득점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탄착점 좌표값을 산출하면 이전에 저장된 탄착점 좌표값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 산출한 탄착점 좌표값을 새로운 화살 객체의 좌표값으로 판단하는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
Acquiring a plurality of target images through a plurality of cameras mounted on a target frame, extracting an arrow object from the plurality of target images, acquiring positional information and size of the extracted arrow object, An image analysis unit for calculating the coordinates of an impact point of the arrow by compa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ize with each other and applying a perspective, and
And a score analyzing unit for calculating score information based on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Wherein the image analyzing unit compares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with the previously stored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and determines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calculated as a coordinate value of the new arrow object when the difference is pres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며, 서로 다른 각도에서 표적지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의 표적지 영상을 획득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plurality of cameras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target frame and acquiring the plurality of target images by photographing the target at different ang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득점 분석부는 상기 탄착점 좌표값을 토대로 기 저장된 표적지 영상에 상기 화살의 위치를 표시하여 득점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ore analyzing unit obtains a score image by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arrow on a pre-stored target image based on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득점 정보 또는 상기 득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score information or the score image.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표적틀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복수의 표적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표적지 영상으로부터 화살 객체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원근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적지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화살 객체의 위치정보 및 크기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화살의 탄착점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탄착점 좌표값을 산출하면 이전에 저장된 탄착점 좌표값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 산출한 탄착점 좌표값을 새로운 화살 객체의 좌표값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탄착점 좌표값을 토대로 득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득점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rchery electronic targeting system,
Acquiring a plurality of target image images photographed at different angles through a plurality of cameras mounted on a target frame,
Extracting an arrow object from the plurality of target images,
Calculating an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of the arrow by compa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ize of the arrow object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target image images based on the perspective,
If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is calculated,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to determine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a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new arrow object,
Acquiring score information based on the impact point coordinate value,
And displaying the score information on a screen.
KR1020130045663A 2013-04-24 2013-04-24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KR1014990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663A KR101499046B1 (en) 2013-04-24 2013-04-24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663A KR101499046B1 (en) 2013-04-24 2013-04-24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92A KR20140127092A (en) 2014-11-03
KR101499046B1 true KR101499046B1 (en) 2015-03-10

Family

ID=5245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663A KR101499046B1 (en) 2013-04-24 2013-04-24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0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551B1 (en) * 2016-05-13 2018-03-16 옥철식 Minimal archery shooting range and minimal archery shooting system
KR101896592B1 (en) * 2016-11-25 2018-09-0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time monitoring apparatus of hybrid type archery using shock detection sensing signal and instant image capturing image
KR101919342B1 (en) * 2017-03-31 2018-11-19 주식회사 원우이엔지 Digital Target Observing Equipment with Built-in Monitor
KR101865186B1 (en) * 2017-11-13 2018-06-07 주식회사 알텍 System for recognizing archery score
KR101897116B1 (en) * 2017-11-14 2018-09-10 최우석 Target System for Archery
KR102098290B1 (en) * 2018-09-05 2020-04-07 권택건 Archery electronics sco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1037326A1 (en) * 2019-08-25 2021-03-04 Archery Analytics Gmbh System and process for optical detection and measurement of arrow posi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1696A1 (en) * 2009-08-06 2011-02-10 Steel Su Automatically scoring structure of a dartboard
KR101185068B1 (en) * 2012-04-03 2012-09-20 신명호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1696A1 (en) * 2009-08-06 2011-02-10 Steel Su Automatically scoring structure of a dartboard
KR101185068B1 (en) * 2012-04-03 2012-09-20 신명호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92A (en)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046B1 (en)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Archery electronic scoring system
US96059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moving subject by means of camera, and acquiring actual movement trajectory of subject based on photographed image
US9162132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sensing device and method used for the same
JP5799442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40301601A1 (en) True space tracking of axisymmetric object flight using diameter measurement
CN107543530B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easuring rotation of ball
KR101495961B1 (en) System and method of correcting golf pose
CN103106654A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N103100204B (en) Method, equipment and program
US9333412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sensing device and method used for the same
US118234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action with a video stream
JP2020500489A (en)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 golf game
US10864424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soccer players
KR20170092929A (en) Apparatus for base-ball practice,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ed to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07635627B (en) Billiard ball hitting assisting method, billiard ball hitting assisting system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RU2736259C1 (en) Sensor device for reading information on a golf throw and a measurement method using a system
KR20150001268U (en) Auditory sensor for activation of golf simulation system with multiple processor
KR102095647B1 (en) Comparison of operation using smart devices Comparison device and operation Comparison method through dance comparison method
KR101078954B1 (en) Apparatus for virtual golf simulation, and sensing device and method used to the same
CN114584680A (en) Motion data display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896592B1 (en) Real-time monitoring apparatus of hybrid type archery using shock detection sensing signal and instant image capturing image
CN111282241A (en) Virtual reality system, golf gam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103763B2 (en) Basketball shooting game using smart glasses
CN114584683A (en) Motion data display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40002406A (en) Hybrid golf system and automatic scoring method of controller in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