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950B1 - Elevator car structure for rail construction of elevator - Google Patents

Elevator car structure for rail construction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950B1
KR101498950B1 KR20140113160A KR20140113160A KR101498950B1 KR 101498950 B1 KR101498950 B1 KR 101498950B1 KR 20140113160 A KR20140113160 A KR 20140113160A KR 20140113160 A KR20140113160 A KR 20140113160A KR 101498950 B1 KR101498950 B1 KR 101498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e
car
holes
eleva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3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희
정연진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11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9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9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7Mounting means therefor for mounting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structure for rail construction of an elevato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ar structure for rail construction of an elevator to reduce time and materials required for installing and disassembling a separate temporary car by replacing the function of the temporary car used for a process such as elevator rail installation with the material of a main car. For this, a car structure for rail constructi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e for securing a clear view at a point with a preset height in the stile of a car frame of a bar with a preset length. The hole can be opened/closed by the medium of a cover member which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and combin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ELEVATOR CAR STRUCTURE FOR RAIL CONSTRUCTION OF ELEVATOR}[0001] DESCRIPTION [0002] ELEVATOR CAR STRUCTURE FOR RAIL CONSTRUCTION OF ELEVATOR [0003]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 등의 작업에 사용하는 임시카의 역할을 본카의 자재로 대체할 수 있도록 설계 변경하여 임시카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 및 자재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 structure for rail installation of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l structure for an elevator, which is designed to replace a temporary car used in an elevator rail installation, And a rail structure for a rail installation of an elevator.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어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돕게 된다.      Generally, elevators are installed in various kinds of high-rise buildings such as residential and commercial roads to assist the passengers looking for the buil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해당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승강로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에 수직방향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승강장으로부터 탑승하는 승객을 승객의 버튼입력에 따른 목적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That is, each floor of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n elevator platform, and a vertical elevation passageway is formed inside the building. The elevator car is moved up and down through a guide rail install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istway, The passenger is moved to the destination floor according to the button input of the passenger.

한편, 상기 승강로에 수직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레일의 설치작업 시, 본카를 사용할 시에는 카프레임의 스타일(stile)로 인해 작업자의 시야 및 작업공간에 제약을 받게 되므로, 원활한 작업을 위해 본카 상부에 임시카를 따로 설치하여 레일 설치작업을 행하게 된다(도 1 참조).      Meanwhile, when the main body is used for installing the rails provid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hoistway, the visual field of the operator and the work space are restricted due to the stile of the car frame. Therefore, The temporary car is separately installed to perform the rail installation work (see Fig. 1).

그러나, 상기 레일의 설치를 위해 별도의 임시카를 설치하여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임시카의 설치 및 해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임시카의 설치를 위해 불필요한 자재들이 사용됨에 따라, 작업 효율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However, when a separate temporary car is install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ail, it takes a lot of time to install and disassemble the temporary car. In addition, unnecessary materials are used for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car, And the like.

또한, 임시카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방호천장이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방호천장은 안전상으로 검증되지 않은 자재로 설치되거나, 방호천장의 역할을 거의 할 수 없는 그물망 등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심지어는 방호천장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게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In addition, in the temporary car, a protective ceiling is installed for the safety of the operator. The protective ceiling is often installed as a safety-unproven material, or replaced by a mesh that can hardly serve as a protective ceiling. In some cases, the safety ceiling may not be installed, so that the safety of the operator is not sufficiently secured.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834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7834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 등의 작업에 사용하는 임시카의 역할을 본카의 자재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별도의 임시카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 및 자재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mporary car capable of replacing the role of a temporary car used for an elevator rail installation with a material of the main ca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l installation vehicle structure of an elevator which can reduce time and materials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는,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카프레임의 스타일(stile)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시야확보를 위한 홀이 천공되고, 상기 홀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커버부재를 매개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il installation car structure for an elevator, comprising: a sti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a bar shape; And the hole is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via a cover member that is selectively engaged and disengaged.

바람직하게, 상기 카프레임의 스타일은 그 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홀 형성지점의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홀이 천공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판형의 부재 양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스타일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타일의 결합홀과 연통되도록 몸체 측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홀이 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tyle of the car frame is such that its cross-section has a shape of "┓", and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are drilled on both sides of the hole forming point, and the cover member is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plate-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engagement holes of the style.

더 바람직하게, 상기 스타일의 상단부 측에는 다수 개의 설치홀이 천공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몸체 전면에는 다수 개의 설치홀이 천공되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스타일의 설치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스타일의 상단 측에 결합된 커버부재를 매개로 방호천장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style, and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member so that the cover member is laterally coupled to the style installation holes. And a protection ceiling is installed via a cover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side of the ceiling.

바람직하게, 상기 스타일의 홀이 천공된 지점 양측에는 홀에 의한 스타일의 강도약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es where the holes of the style are perforated to compensate for weakening of the style by the holes.

바람직하게, 상기 홀이 천공된 지점과 인접한 스타일의 중간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착탈 가능한 상태로 가이드 슈가 부착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guide shoe is detachably attached to a point having a middle height in a style adjacent to the hole at which the hole is punctured.

또한, 상기 카 프레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스타일의 상호 마주보는 내면을 통해 그 평면이 "┏┓" 형상을 갖는 안전바가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되, 상기 안전바는 그 폭이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Further, at least one safety bar having a flat shape is provided through mutually opposing inner surfaces of a pair of styles constituting the car frame, and the safety ba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thereof is adjustable .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 등의 작업에 사용하는 임시카의 역할을 본카의 자재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별도의 임시카 설치에 필요한 자재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또한 임시카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불필요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ole of the temporary car used for the work such as the elevator rail installation can be replaced by the material of the main ca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car, There is also an effect of reducing unnecessary work time due to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temporary car.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에 적용되는 카프레임의 스타일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에 적용되는 커버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에 적용되는 커버부재가 스타일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에 적용되는 안전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installation car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levato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structure for a rail installati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a front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yle of a car frame applied to a rail installation car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ver member applied to a rail installation car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member applied to a rail mounting car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a styl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afety bar applied to a rail installation car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에 적용되는 카프레임의 스타일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에 적용되는 커버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에 적용되는 커버부재가 스타일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에 적용되는 안전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 structure for rail installati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a front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yle of a car frame applied to a rail installation car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the cover member applied to the rail mounting car structur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a styl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afety bar applied to a rail installation car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는,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 등의 작업에 사용하는 임시카의 역할을 본카의 자재로 대체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First, the car structure for rail installati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role of a temporary car used for an operation such as an elevator rail installation can be replaced by the material of the main car.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는,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면서 카프레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스타일(stile)(10)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한 쌍의 스타일(10) 상단은 횡부재(30)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스타일(10) 하단에는 작업공간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사각판 형태의 플렛폼(40)이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스타일(stile)(10)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시야확보를 위한 홀(12)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천공되어 구성되고, 상기 홀(12)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소정 형상의 커버부재(20)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A rail installation car structur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stiles 10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stituting a car frame, ,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style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transverse member 30 and a platform 40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work space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styles 10 A hole 12 for securing a view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t a poin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f each of the stiles 10 and the hole 12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The cover member 20 can be opened selectively.

이때, 상기 스타일(10)의 홀(12)이 천공된 지점의 양측으로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의 보강부재(26)가 스타일(10)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홀(12)에 의한 스타일(10)의 강도약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a reinforcing member 26 in the form of a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ixedly coupl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style 10 at both sides of the hole 12 of the style 10, 12) of the style (10).

또한, 상기 스타일(10)의 홀(12) 천공지점의 하측에 해당하는 일정 지점에는 가이드 슈(28)가 부착 설치되어, 레일 작업 시 상기 가이드 슈(28)가 레일의 일정 지점에 단속되면서 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guide shoe 28 is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side of the hole 12 of the style 10 so that the guide shoe 28 is locked at a certain point on the rail,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aken.

그리고, 상기 카프레임의 스타일(10)은 그 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홀(12)이 천공된 지점의 양측면에는 상기 커버부재(20)의 결합을 위한 다수 개의 결합홀(14)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style 10 of the car frame is formed so as to have a substantially "cross-section" shape, a plurality of holes (not shown) And the engagement hole 14 is formed by punching.

또한, 상기 커버부재(20)는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는 부재의 양단이 절곡 형성되어 그 단면이 상기 스타일(1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로 구성되며, 그 몸체 측면에는 상기 스타일(10)의 결합홀(14)과 연통되도록 다수 개의 결합홀(22)이 천공되어, 상기 스타일(10)의 홀(12) 천공지점에 고정 결합되어 해당 홀(12)을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20 is formed of a body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a member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ving an end face corresponding to the end face of the style 10,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22 are drilled into the holes 12 of the style 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engaging holes 14 of the engaging holes 10 so as to close the holes 12.

한편, 상기 횡부재(30)의 하측에 해당하는 스타일(10)의 상단부 측에는 다수 개의 설치홀(16)이 천공되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20)의 몸체 전면에는 그와 대응되는 다수 개의 설치홀(24)이 천공되어,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스타일(20)의 설치홀(16) 형성지점에 횡방향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16 ar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style 10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transverse member 30 and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holes 16 are formed in the entire body of the cover member 20. [ The installation hole 24 is pierced so that the cover member 20 is configured to be laterally engageable with the formation hole 16 of the style 20.

이에, 상기 스타일(10) 상단 측의 설치홀(16)을 통해 커버부재(20)를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하고, 한 쌍의 스타일(10)에 설치된 커버부재(20)를 매개로 방호천장(50)을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The cover member 20 is fix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6 on the upper side of the style 10 and the cover member 20 provided in the pair of styles 10, 50 can be installed.

또, 카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플렛폼(40)의 상측으로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스타일(10) 내면을 통해 그 평면이 대략 "┏┓" 형상을 갖는 안전바(60)가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구성된다.      At least one safety bar 60 having a substantially "flat" shap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form 40 constitut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car through an inner surface of a pair of mutually facing styles 10 Installed and configured.

이때, 상기 안전바(60)는 대략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부재가 바(bar) 형상을 갖는 폭조절부재(62)를 매개로 일체로 결합 형성되어, 그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safety bar 60 is formed integrally with a pair of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 shape and a "┓" shape through a width adjusting member 62 having a bar shape, .

또한, 상기 안전바(60)는 레일 설치작업 완료 후, 본카 상부의 횡부재(30)에 형성된 안전바 설치홀(32)에 고정 설치되어, 공지의 세이프 가드로 활용될 수가 있게 된다.
The safety bar 60 is fixed to the safety bar installation hole 32 formed in the transverse member 3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ail installation work and can be utilized as a known safeguard.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레일 설치용 카 구조에 따라, 엘리베이터 레일 등의 작업 시에 별도의 임시카 설치 없이, 본카의 자재를 매개로 임시카의 역할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levator rail installation car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role of the temporary car through the material of the main car without installing a temporary car in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rail or the like.

즉, 엘리베이터 레일 작업 시에는 상기 스타일(10)에 결합된 커버부재(20)를 스타일(10)로부터 분리하여 홀(12)이 개방되도록 하므로서,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레일 설치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elevator rail is being operated, the cover member 20 coupled to the style 10 is separated from the style 10 so that the hole 12 is opened, thereby ensuring the view of the operator and smoothly performing the rail installation work You can do it.

또한, 상기 스타일(10)의 홀(12)로부터 분리한 각 커버부재(20)는 한 쌍의 스타일(10) 상단부 측에 구비된 설치홀(16)을 매개로 상기 커버부재(20)가 각각 가로방향을 이루도록 설치한 후, 상기 커버부재(20)를 이용하여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카 천장을 구성하는 자재를 방호천장(50)으로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Each of the cover members 20 separated from the holes 12 of the style 10 is inserted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s 16 provid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pair of styles 10, And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eiling of the car is installed in the protective ceiling 50 so that the safety of the operator can be ensured.

이때, 상기 커버부재(20)의 분리에 따라 개방된 스타일(10)의 홀(12) 주변은 홀(12)의 양측으로 제공되는 보강부재(26)를 통해 홀(12)에 의한 강도약화가 보상되는 한편, 상기 카는 레일 작업 시 레일의 일정 위치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슈(28)를 통해 임의적인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round the hole 12 of the style 10 opened by the separation of the cover member 20, strength weakening by the hole 12 through the reinforcing member 26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le 12 While the car can be prevented from arbitrary flow through the guide shoe 28 guided along a certain position of the rail during the rail operation.

상기 가이드 슈(28)는 레일 설치 작업 후, 간편하게 제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Needless to say, the guide shoe 28 can be easily removed after the rail installation work.

그리고, 상기 카에는 바닥부를 구성하는 플렛폼(40) 상측으로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안전바(60)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안전바(60)는 그 폭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업 완료 후에는 기존에 엘리베이터 카 천장의 횡부재(탑빔)(30)에 설치되는 세이프 가드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At least one safety bar 60 for preventing fall of an operator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platform 40 constitut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car, and the safety bar 60 has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its width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safeguard installed in the transverse member (top beam) 30 of the elevator car roof after the completion of the work.

즉, 기존의 엘리베이터 카 천장에 설치되는 세이프 가드를 구성하는 자재를 임시카의 안전바(60)로 활용하는데 있어서는 너비차이로 인해 호환이 불가능 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바(60)를 분할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므로서, 임시카 작업 공간의 너비 및 카 천장 설치 시의 너비를 호환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safety bar 60 of the temporary car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safeguard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existing elevator car, the safety bar 60 is not compatible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width. The width of the temporary car work space and the width of the car ceiling can be used in a compatible manner.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인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스타일, 12: 홀,
14,22: 결합홀, 16,24: 설치홀,
20: 커버부재, 26: 보강부재,
28: 가이드 슈, 30: 횡부재,
32: 안전바 설치홀, 40: 플렛폼,
50: 방호천장, 60: 안전바,
62: 폭조절부재.
10: style, 12: hall,
14, 22: coupling hole, 16, 24: installation hole,
20: cover member, 26: reinforcing member,
28: guide shoe, 30: transverse member,
32: safety bar installation hole, 40: platform,
50: protection ceiling, 60: safety bar,
62: Width adjustment member.

Claims (6)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카프레임의 스타일(stile)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시야확보를 위한 홀이 천공되고,
상기 홀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커버부재를 매개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프레임의 스타일은 그 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홀 형성지점의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홀이 천공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판형의 부재 양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스타일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타일의 결합홀과 연통되도록 몸체 측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홀이 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
In the style of a car frame made up of a bar of a certain length, a hole for securing a view is drilled at a poin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Wherein the hole is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via a cover member selectively engaged and disengaged,
The car frame is formed so that its cross section has a shape of "┏ ┓",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are drilled on both sides of the hole forming point,
Wherein the cover member is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a plate-like member and corresponding to an end surface of the styl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holes of the style. Of rail mounting structur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의 상단부 측에는 다수 개의 설치홀이 천공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몸체 전면에는 다수 개의 설치홀이 천공되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스타일의 설치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스타일의 상단 측에 결합된 커버부재를 매개로 방호천장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end side of the style,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member so that the cover members are laterally coupled to the installation holes of the style,
And a protection ceiling is installed via a cover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ty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의 홀이 천공된 지점 양측에는 홀에 의한 스타일의 강도약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es where the holes of the style are perforated to compensate for the weakening of the style by hol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천공된 지점과 인접한 스타일의 중간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착탈 가능한 상태로 가이드 슈가 부착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shoe is detachably attached to a point having a middle height in a style adjacent to the hole at which the hole is perfor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 프레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스타일의 상호 마주보는 내면을 통해 그 평면이 "┏┓" 형상을 갖는 안전바가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되, 상기 안전바는 그 폭이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safety bar having a flat shape is provided through mutually opposing inner surfaces of a pair of styles constituting the car frame, and the safety ba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thereof is adjustable Features of the elevator rail installation car structure.
KR20140113160A 2014-08-28 2014-08-28 Elevator car structure for rail construction of elevator KR1014989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3160A KR101498950B1 (en) 2014-08-28 2014-08-28 Elevator car structure for rail construction of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3160A KR101498950B1 (en) 2014-08-28 2014-08-28 Elevator car structure for rail construction of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950B1 true KR101498950B1 (en) 2015-03-06

Family

ID=5302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3160A KR101498950B1 (en) 2014-08-28 2014-08-28 Elevator car structure for rail construction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9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51A1 (en) * 2018-09-20 2020-03-2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Jump elevator rail lift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223A (en) * 1991-07-04 1993-02-22 김성열 How to Install Rails for Elevator Cars
JPH1072177A (en) * 1996-08-30 1998-03-17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Counter rail centering device for elevator
JPH10120329A (en) * 1996-10-17 1998-05-12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Work scaffolding device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223A (en) * 1991-07-04 1993-02-22 김성열 How to Install Rails for Elevator Cars
JPH1072177A (en) * 1996-08-30 1998-03-17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Counter rail centering device for elevator
JPH10120329A (en) * 1996-10-17 1998-05-12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Work scaffolding device for elev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51A1 (en) * 2018-09-20 2020-03-2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Jump elevator rail lif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3435B2 (en) Hoisting apparatus with enclosure and lifting platform
KR20170012354A (en) Elevator threshold
KR101193724B1 (en) A curtain wall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EP3330449A1 (en) A building component
KR101498950B1 (en) Elevator car structure for rail construction of elevator
KR101968755B1 (en) Tunnel exit shaft smart gate
KR101065090B1 (en) The ceiling and wall panel
CN107108168B (en) Elevator system
KR200472490Y1 (en) Window frame
US20110103893A1 (en) Tunnel multi floor
CN101992995A (en) Elevator car
KR200493995Y1 (en) Device for preventing departure of the elevator platform
EP2239223A1 (en) Elevator hall door
KR20090083544A (en)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JP6436740B2 (en) Escape door device for escape from the ground
JP2008013356A (en) Elevator entrance device and its attaching method
JP2011084385A (en) Door device for elevator
JP7135680B2 (en) How to replace an elevator threshold
KR20220085957A (en) Slide type gang-form covering system
KR101260384B1 (en) Fit interception structure for highrise elevator fit
KR20140055269A (en) Fireproof door structure of elevator
KR20160001040U (en) Frame for platform door apparatus of elevator
JP6088353B2 (en) Elevator plate
CN104891295B (en) Protective plate for elevator
CA3007164A1 (en) A building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