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949B1 -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 Google Patents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949B1
KR101498949B1 KR20140152147A KR20140152147A KR101498949B1 KR 101498949 B1 KR101498949 B1 KR 101498949B1 KR 20140152147 A KR20140152147 A KR 20140152147A KR 20140152147 A KR20140152147 A KR 20140152147A KR 101498949 B1 KR101498949 B1 KR 101498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laser
horizontal
measurement
las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규
정용남
Original Assignee
이창규
정용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규, 정용남 filed Critical 이창규
Priority to KR2014015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2Optical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djusting optical elements during the assembly of optical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 토목· 목공· 인테리어 작업 등에서 측정대상물의 일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타측으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현재 위치 뿐만 아니라 타측 위치에 대한 수직과 수평 측정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과 수평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정 바와,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레이저 빔 방사체로 이루어지는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바에는, 측정 대상물에 걸 수 있는 거치대와, 레이저 레벨의 자세가 수직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설치되는 수직상태 확인 판을 두고, 상기 레이저 빔 방사체에는, 상하부 지지판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추 설치 프레임과; 수직·수평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와 몸체의 저면에 자중이 작동하도록 중량재질의 하중부 내에 배치된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가 구비된 추 몸체와; 자석을 배치하여 형성된 수직 유도판과; 상기 상하부 u자 링크를 필요시 잡아주도록 고정 클러치부와; 추 몸체(30)의 하중부를 잡아서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홀더 링부와; 추 설치 프레임을 덮어 보호하도록 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LASER LEVEL FOR PERPENDICULARITY-HORIZONTALITY MEASUREMENT}
본 발명은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토목· 목공· 인테리어 작업 등에서 측정대상물의 일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타측으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현재 위치 뿐만 아니라 타측 위치에 대한 수직과 수평 측정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토목·조선의 대형구조물 용접· 대형조각 및 미술품작업 등의 각종 구조물 축조, 보수 및 기타 작업등에서 요구하는 수평 및 수직 측정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직·수평을 이루도록 시공하여 구조물의 성능이나 내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종래의 수직·수평 측정방법은, 줄에 추를 매달아 수직을 이룰 때 측정하거나 튜브내의 공기방울이 중심에 오도록 하여 수평을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즉, 실과 추·수준 수평계·측량계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위치변경시 재 설정에 상당한 시간과 세팅작업이 소요된다.
그리고, 측정 위치마다 수평계를 볼 수 있으나, 작업 대상이 거대할 경우 거시적 관찰이 힘들어 수평과 수직설정 작업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추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측정방법은 위치 변경시마다 장치의 세팅작업을 다시 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추를 매달거나 공기방울의 위치를 보고 눈 대중으로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음에 따라 직선 형태로 방사되는 레이저 빔을 보고 수직과 수평을 측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즉, 종래의 측정방법에 대한 불편을 해소하게 되고 측정의 편리성 및 신뢰성을 도모할 수 있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이저 수평 수직 측정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수직 수평 측정에 따른 편리성과 신뢰성을 반영한 등록특허 제10-0969601호의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는, 내부에 자유 진자운동을 하는 무게추를 수평 및 수직선 지시계 내부에 구비시킨 것으로, 수직 및 수평 설정 작업을 용이하도록 하나 측정 장소를 변경하는 경우 이동간에 주변 부품과의 충격을 피할 수 없고 부품간의 충돌시 부품이 손상되면 기기의 수명 단축과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에 수평 수직선 지시계 및 삼발이를 결합하여 원거리의 수평 및 수직선을 설정하는 경우, 미세한 움직임에도 피 대상물에 대한 수평 및 수직선의 이동범위가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미세한 조정이 요구되는 등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는, 측정대상물의 일측에 세팅한 후 일측 위치의 수직과 수평을 측정한 다음, 또 타측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측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세팅하고 나서 타측 위치에 대한 수직과 수평을 측정하게 되어 있다.
즉, 종래의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는 측정대상물에 대하여 일측 위치에서 먼저 측정한 다음 다시 타측 위치로 이동시켜 타측 위치를 측정하게 되어 있어서, 하나의 측정대상물에 대한 세팅 시간이 중복되고 일측과 타측으로 오가며 측정을 해야 함에 따라 측정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37152호의 "레이저를 이용한 수평 수직 표시장치"는 하우징의 가이드홈 형성체에 자석의 영향을 받도록 가이드 돌기를 상부에 설치하고 여기에 다이오드 설치몸체를 설치하여 추기능을 하도록 한 것으로, 제어기의 신호시 다이오드 설치몸체에 설치된 수평 및 수직 다이오드가 수평과 수직을 표시하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수평 수직 표시장치는, 자력의 영향을 받는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홈 내에 유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이오드 설치몸체가 매달리도록 한 구조임에 따라 장치를 들고 다음 측정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다이오드 설치몸체가 흔들려 하우징과 부딪칠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이저를 이용한 수평 수직 측정장치들이 중량을 갖는 돔형과 박스 형태인 경우 휴대가 불편하고, 바 형태인 경우 길이가 길어 휴대와 이동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 형태를 한 수평 수직 측정장치는 측정대상물에 대한 측정시 작업자외에 다른 작업자의 손을 빌려야 하는 불편이 있고 작업자 한 사람은 장치를 계속 붙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측정 대상물의 높이가 높은 경우 바 형태의 수평 수직 측정장치외에 또 다른 보조 측정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돔 형태나 박스 타입의 측정장치는 바닥에 설치하거나 삼발이에 탑재시켜 사용하는 경우, 측정 대상물을 정면에서 수평 측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수직 상태는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창호 섀시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일측과 타측을 이동하면서 수직과 수평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측정세팅을 반복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7152호 "레이저를 이용한 수평과 수직 표시장치" (2007.11.08 공고) 등록특허 제10-0969601호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 (2010.07.1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 토목· 목공· 인테리어 작업 등에서 측정대상물의 일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타측으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현재 위치 뿐만 아니라 타측 위치에 대한 수직과 수평 측정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호 섀시구조물의 설치시 수평을 잡은 후 미리 세팅시켜 놓은 도트형 수직·수평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사되는 레이저 빔이 섀시구조물의 직각부위를 정확히 비추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 만으로 섀시구조물의 수직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이저 레벨에 구비된 추 몸체를 고정 클러치부와 홀더 링부를 이용하여 상하부를 견고히 잡아주기 때문에 휴대 및 이동하는 중 라인형 및 도트형 레이저 다이오드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이저 레벨을 형성하는 길이가 긴 측정 바의 중간부분을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휴대와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이저 레벨에 보조 측정자를 더 구비함으로써, 높이가 높은 측정대상물이나 바닥에서 천정까지를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정대상물에 걸어 두고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대를 더 구비함으로써, 측정 작업시 작업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의 둘레에 다수의 모서리각을 두고 단면이 형성되고 수직과 수평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정 바와, 자중에 의하여 중심이 잡힐 때 제어기의 신호로 수직과 수평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하면서 측정 바에 설치되는 레이저 빔 방사체로 이루어지는 수직 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바에는,
상단부에 양측으로 접거나 펼쳐 측정 대상물에 걸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거치대와,
레이저 레벨의 자세가 수직 상태임을 도트형 레이저 빔과 십자표시의 중심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설치되는 수직상태 확인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거치대는,
측정 바의 상단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로드 가이드홈이 형성된 고정체와, 고정체 상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이격로드에 자석으로 형성된 로드홀과 양단에 자석을 부착시켜 형성되는 거치지지판과, 상기 거치지지판의 좌우 양측에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힌지핀으로 연결되고 이 부분에 자석을 부착시켜 형성된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의 내측면에 측정대상물의 상단에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첨예한 형태로 돌출되는 지지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의 둘레에 다수의 모서리각을 두고 단면이 형성되고 수직과 수평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정 바와, 자중에 의하여 중심을 잡고 제어기의 신호로 수직과 수평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하면서 측정 바에 설치되는 레이저 빔 방사체로 이루어지는 수직 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방사체는,
추 몸체를 매달 수 있도록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일정 길이인 지지로드의 상하단에 상하부 지지판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추 설치 프레임과;
상기 추 설치 프레임의 상부 지지판에 형성된 상부 u자 링크에 하부 u자 링크로 매달리게 설치되고, 측면 상하에 수직과 수평의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가 ㅂ배치되면서 저면에 중량재질로 형성되어 자중이 작용하는 하중부 내에 배치된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가 구비된 추 몸체와;
상기 하부 지지판의 상부에 추 몸체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자력에 의하여 중심을 신속히 잡을 수 있도록 자석을 배치하여 형성된 수직 유도판과;
상기 상하부 u자 링크를 필요시 잡아주도록 상부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고정 클러치부와;
상기 수직 유도판의 상부에 조작노브의 조작시 추 몸체의 하중부를 잡아서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홀더 링부와;
상기 조작레버와 조작노브가 노출되도록 하고 추 설치 프레임을 덮어 보호하며 전면 상측에 수직구멍, 전면 하측에 수평구멍과, 하부에 하향 수직구멍을 형성하여 레이저 빔이 방출되도록 하되, 측면에 레이저 빔 방사 각도 조정용 구멍이 뚫려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추 몸체에는,
수직을 측정하게 전면 상측에 설치되는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와, 수평을 측정하게 전면 하측에 설치되는 수평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와, 측정 바에 설치된 수직 상태 확인판의 십자 표시를 비추게 추 몸체의 하중부 내에 설치된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클러치부는,
커버를 받침으로 이용하여 젖힐 수 있도록 설치되는 조작레버와, 조작레버가 연결되는 샤프트를 형성한 리프트판과, 상기 리프트판의 하부에 상부 지지판을 관통하고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다수 연결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아래 끝단에 상하부u자 링크를 감싸도록 형성된 클러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의 둘레에 다수의 모서리각을 두고 단면이 형성되고 수직과 수평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정 바와, 자중에 의하여 중심을 잡고 제어기의 신호로 수직과 수평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하면서 측정 바에 설치되는 레이저 빔 방사체로 이루어지는 수직 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에 있어서,
섀시구조물의 수직과 직각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를 도트형 수직 레이저 다이오드로 교체하여 설치하되,
상기 도트형 수직 레이저 다이오드는,
육각홈핀에 의하여 추 몸체의 설치홀에 설치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베이스와, 상기 육각홈핀을 돌려 레이저 빔 방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레이저 다이오드 베이스의 수직홈에 삽입 설치되어 설정된 레이저 빔 방사각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의 둘레에 다수의 모서리각을 두고 단면이 형성되고 수직과 수평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정 바와, 자중에 의하여 중심을 잡고 제어기의 신호로 수직과 수평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하면서 측정 바에 설치되는 레이저 빔 방사체로 이루어지는 수직 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바에는,
중간 부분을 경첩이나 힌지구조 등으로 연결하여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측정 바의 후면에 치수를 표시해 부착되는 측정자와;
상기 측정 바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체에 자석으로 형성된 로드 홀과, 추 설치 프레임의 상하부 지지판에 자석으로 형성된 반원형 로드가이드홈을 미끄러져 이동하게 삽입 설치된 측정 로드와;
상기 측정자와 나란히 형성되는 장공에 측정자의 치수를 가리키도록 모양이 형성되고, 이 장공을 따라 연결된 측정로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공에 삽입 설치되는 이동손잡이를 구비한 보조 측정자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구 및 인테리어 등 측정대상물의 일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현재 위치와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측 위치에 대한 수직과 수평 측정까지 마칠 수 있어 측정대상물에 대한 측정작업을 간단히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섀시구조물의 수직과 수평을 측정하는 경우 미리 세팅된 수직 도트형 레이저 다이오드의 레이저 빔이 섀시구조물의 코너에 정확히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면 섀시구조물의 수직상태를 간단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추 몸체의 상하부를 잡아주도록 고정 클러치부와 홀더 링부를 구비시킴으로써, 레이저 레벨의 이동시 레이저 다이오드 및 추 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 레벨의 측정 바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이저 레벨의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 레벨에 구비시킨 보조 측정자를 사용하면 측정대상물의 높이가 높더라도 높이 측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 레벨에 구비된 거치대는 측정대상물에 걸어 두고 측정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측정 작업시 두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레이저 빔 방사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A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낸 고정 클러치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홀더 링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보조측정자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레이저 레벨로 가구들의 측정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나타낸 레이저 다이오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에 나타낸 레이저 레벨로 섀시구조물의 측정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둘레에 다수의 모서리각을 두고 단면이 형성되고 수직과 수평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정 바(4)와, 제어기(6)의 신호로 수직 및 수평의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가 작동하고 자중에 의하여 중심이 잡힐 때 방사된 레이저 빔에 의하여 수직과 수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레이저 다이오드(L)가 설치된 레이저 빔 방사체(8)가 측정 바(4)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측정 바(4)에는, 상단부에 양측으로 접거나 펼쳐 측정 대상물에 걸 수 있게 설치되는 거치대(10)와, 레이저 레벨(2)의 자세가 수직 상태임을 레이저 빔과 십자표시(12)의 중심이 일치하는 것을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설치되는 수직상태 확인 판(1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10)는, 측정 바(4)의 상단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로드 가이드홈(15a)이 형성된 고정체(16)와, 고정체(16) 상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이격로드(18G)에 자석으로 형성된 로드홀(20)과 양단에 자석을 부착시켜 형성되는 거치지지판(22)과, 상기 거치지지판(22)의 좌우 양측에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힌지핀으로 연결되고 연결되는 부분에 자석을 부착시켜 형성된 거치판(24)과, 상기 거치판(24)의 내측면에 측정대상물의 상단에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첨예한 형태로 돌출되는 지지침(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빔 방사체(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 몸체(30)를 매달 수 있도록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일정 길이인 지지로드(R)의 상하단에 상하부 지지판(P1)(P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추 설치 프레임(F)과, 상기 추 설치 프레임(F)의 상부 지지판(P1)에 형성된 상부 u자 링크(32)에 하부 u자 링크(34)로 매달리게 설치되고, 측면 상하에 수직과 수평의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L2)가 배치되면서 저면에 중량재질로 형성되어 자중이 작용하는 하중부(36) 내에 배치된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L3)가 구비된 추 몸체(30)와; 상기 하부 지지판(P2)의 상부에 추 몸체(30)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자력에 의하여 중심을 신속히 잡을 수 있도록 자석(M)을 배치하여 형성된 수직 유도판(38)과, 상기 상하부 u자 링크(32)(34)를 필요시 잡아주도록 중간에 위치한 상부 지지판(P1)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조작레버(40)의 조작에 의하여 승강하게 되는 고정 클러치부(42)와, 상기 수직 유도판(38)의 상부에 조작노브(44)의 조작시 추 몸체(30)의 하중부(36)를 잡아서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홀더 링부(4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빔 방사체(8)에는, 조작레버(40)와 조작노브(44)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수직·수평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L2)의 레이저 빔이 방사되도록 뚫려 형성되는 전면 상측의 수직구멍(H1) 및 전면 하측의 수평구멍(H2)과, 상기 수직구멍(H1)이 형성되는 동일 선상의 측면에 형성된 레이저 빔 방향 각도 조정용 구멍(48)과,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L3)의 레이저 빔이 방사되도록 하부에 뚫려 형성되는 하향 수직구멍(H3)을 구비하고 추 설치 프레임(F)을 덮어 보호하도록 하는 커버(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추 몸체(3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을 측정하게 전면 상측에 설치되는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와, 수평을 측정하게 전면 하측에 설치되는 수평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2)와, 측정 바(4)에 설치된 수직 상태 확인판(14)의 십자 표시(12)를 비추게 추 몸체(30)의 하중부(36) 내에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L3)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하부 지지판(P1)(P2)에는 측정로드(18)를 안내하고 이동시킨 상태로 정지시켜 측정이 용이하도록 자석으로 형성된 로드 가이드홈(1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 클러치부(4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C)를 받침으로 이용하게 설치되는 조작레버(40)와, 조작레버(40)가 연결되는 샤프트를 형성한 리프트판(60)과, 상기 리프트판(60)의 하부에 상부 지지판(P1)을 관통하고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다수 연결되는 연결봉(62)과, 상기 연결봉(62)의 아래 끝단에 상하부u자 링크(32)(34)를 감싸도록 형성된 클러치판(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홀더 링부(4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 하부지지판(P2)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대칭시켜 힌지로 설치되어 추 몸체(30)의 하부를 파지하게 형성된 핑거(66)와, 핑거(66)간 마주하는 면의 돌기에 핑거(66)를 당기에 설치된 수축스프링(68)과, 상기 핑거(66)사이에 수축스프링(68)을 팽창시키도록 노우즈(70)가 돌출되고 커버(C)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부지지판(P2)에 설치되는 조작노브(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 링부(46)가 설치된 하부 지지판(P2)에는, 배터리와 회로기판을 구비한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전원스위치(72)(74)가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전원스위치(72)는 홀더 링부(46)의 조작시 핑거(66)에 의하여 터치시 온(On)되어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와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L3)를 작동시키고 핑거(66)의 복귀시 오프(Off)된다.
그리고 제2전원스위치(74)는, 커버(C) 외부에 노출되며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보다 사용 빈도가 적은 수평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2)를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즉, 제1,2전원스위치(72)(74)의 조작시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는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와 도트형 하향 레이저 포인터(L3)를 작동시키거나 수평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2)를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측정 바(4)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을 경첩이나 힌지구조 등으로 연결하여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76)와, 측정 바(4)의 후면에 치수를 표시해 부착되는 측정자(78)와, 상기 측정 바(4)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체(16)에 자석으로 형성된 로드 홀(20)과 추 설치 프레임(F)의 상하부 지지판(P1)(P2)에 자석으로 형성된 반원형 로드 가이드홈(15b)을 미끄러져 이동하게 삽입 설치된 측정로드(18)와, 상기 측정자(78)와 나란히 형성되는 장공(80)에 측정자(78)의 치수를 가리키도록 모양이 형성되고, 이 장공(80)을 따라 연결된 측정로드(18)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공(80)에 삽입 설치되는 이동손잡이(82)를 구비한 보조 측정자(84)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레이저 레벨(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개의 가구(FU)를 세팅하는 경우 일측에 거치대(10)를 사용해 걸어 둔 다음 십자표시(12)에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L3)의 레이저 빔을 일치시키고, 가구(FU) 같은 측정대상물에 기억자형 자(90)를 거치시켜 가면서 수평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2)의 레이저 빔이 닿는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수직 및 수평 측정 작업을 간단히 완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는, 창호 섀시구조물(S)의 직각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트형 수직 레이저 다이오드(L4)로 교체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도트형 수직 레이저 다이오드(L4)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홈핀(58)에 의하여 추 몸체(30)의 설치홀(54)에 설치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베이스(52)와, 상기 육각홈핀(58)을 돌려 레이저 빔 방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레이저 다이오드 베이스(52)의 수직홈(50)에 삽입 설치되어 설정된 레이저 빔 방사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도트형 수직 레이저 다이오드(L4)는, 추 몸체(30)에 설치할 때 레이저 다이오드 베이스(52)를 추 몸체(30)의 설치홀(54)에 삽입한 다음, 추 몸체(30)와 레이저 다이오드 베이스(52)의 핀홀(56)을 통해 육각홈핀(58)을 삽입시키면 고정하면 된다.
육각홈핀(58)은 추 몸체(30)의 양측에 노출되어 있고 커버(C)에는 육각홈핀(58)을 확인을 할 수 있는 레이저 빔 방사각도 조정용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수직 측정시>
먼저, 측정 바(4)를 준비한 후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의 제1 전원스위치(72)를 온(On)시켜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과 하향 도트형 레이저 다이오드(L3)를 각각 작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가구 및 벽체, 인테리어 구조물등의 측정대상물에 대한 수직을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 바(4)의 상단에 구비된 거치대(10) 중 이용할 거치판(24)을 펼친 다음, 거치판(24)의 지지침(26)을 이용하여 측정대상물의 상단에 거치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침(26)을 사용해 측정대상물에 측정 바(4)를 걸쳐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이 자유로워 수직 측정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추 몸체(30)가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려고 하는데 상하부 u자 링크(32)(34)에 의하여 전, 후, 좌, 우로 부드럽게 움직임으로써 추 몸체(30)가 원활하게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그리고 추 몸체(30)가 움직일 때 좀더 빨리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추 설치 프레임(F)의 하부 지지판(P2)에는 원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자석(M)이 설치되어 있어서 추 몸체(30)는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빨리 중심을 잡게 된다.
상기한 지지침(26)을 이용하여 측정 바(4)가 측정대상물에 걸쳐 있는 상태에서 수직 레이저 빔(Ⅰ)과 하향 레이저 빔(Ⅲ)이 방출된다. 이후, 수직 레이저 빔(Ⅰ)을 보고 측정대상물의 수직 상태를 수정하여 맞춰주면 측정대상물에 대한 측정작업이 끝난다.
상기한 레이저 레벨(2)을 이용한 측정대상물에 대한 수직 측정 작업은 일측과 타측에 대한 측정위치 최초 측정 위치에서 양측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처음 위치에서 수직 측정시 세팅시켜 놓은 장치를 옮기지 않아도 타측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 바(4)를 사용하여 수직을 측정하는 경우, 먼저 측정 바(4)의 수직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추 몸체(30)의 하부에 설치된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L3)에서 발생한 하향 레이저 빔(Ⅲ)이 측정 바(30)의 하단에 설치된 수직상태 확인판(14)의 십자 표시(12)에 일치하는지 확인되면, 측정 바(4)는 수직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레이저 레벨(2)을 사용해 측정대상물에 대한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에서 방출되는 수직 레이저 빔(Ⅰ)을 보고 측정대상물의 수직을 간단히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평 측정시>
수평 측정 작업이 요구되면, 제2전원스위치(74)를 온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는 수평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2)를 작동시켜 수평 레이저 빔(Ⅱ)을 방출시킨다.
수평 레이저 빔(Ⅱ)이 방출되면, 작업자는 이를 보고 측정대상물의 수평을 잡아 주면 되고, 레이저 레벨(2)의 측정 위치를 옮기지 않고서도 타측의 수평 측정 작업을 쉽게 마무리할 수 있다.
<거치대 사용시>
한편, 레이저 레벨(2)에 구비된 거치대(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구(FU) 및 벽체, 인테리어 구조물 등 측정대상물에 대한 수직과 수평 측정시 측정 바(4)의 상단에 구비된 거치판(24)을 펼친다.
그리고 나서, 펼친 거치판(24)을 지지침(26)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의 상단에 수직이 유지되도록 걸쳐 놓는다.
측정 바(4)는 지지침(26)에 의하여 측정대상물에 안정되게 걸려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레이저 레벨(2)을 상시 잡고 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양손을 사용해 수직 수평작업을 신속히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 수평 측정시 거치대(10)를 이용하여 측정대상물 중 하나인 가구(FU)를 레이저 레벨(2)로 측정하는 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여러개의 가구(FU)를 세팅할 때, 일측 가구(FU)에 거치대(10)를 사용해 작동 상태인 레이저 레벨(2)을 가구(FU)에 걸어둔다.
거치시킨 레이저 레벨(2)의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L3)에서 하향 레이저 빔(Ⅲ)을 십자표시(12)에 일치시켜 레이저 레벨(2)이 수직 상태가 되도록 세팅한다.
이후, 가구(FU)에 기억자형 자(90)를 (a)처럼 거치시킨 상태에서 수평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2)의 수평 레이저 빔(Ⅱ)이 자(90)의 어느 위치에 닿는지 눈금을 보고 확인한 후, 먼저 세팅시킨 가구(FU)와의 오차를 수정하면 가구(FU)는 정확하게 수평상태가 된다.
그리고 나서, 가구(FU)의 정면에 (b)처럼 자(90)를 직각으로 댄 후 수직 레이저 빔(Ⅰ)이 어디에 닿는지 눈금을 확인한 다음, 먼저 세팅한 가구(FU)와의 오차를 수정하면, 가구(FU)는 수직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측 가구(FU)에 레이저 레벨(2)을 거치시켜 두고 자유로운 양손을 이용해 자(90)를 (a)처럼 또는 (b)처럼 가구(FU)에 대어 봄으로써, 많이 배치된 가구(FU)의 수직 수평 상태도 간단히 세팅시킬 수 있다.
<높이 측정시>
또한, 레이저 레벨(2)보다 키가 높은 측정대상물의 높이를 측정하여야 하는 경우, 배면에 설치된 이동손잡이(82)를 잡고 위로 올리면 측정로드(18)는 자석으로 형성된 로드 가이드홈(15a)(15b)과 로드 홀(20)을 따라 위로 상승하여 길이를 연장하게 된다.
길이가 연장된 측정로드(18)는 측정대상물의 상단 또는 측정대상물이 설치되는 곳의 천장에 닿게 된다.
이때, 측정로드(18)가 측정대상물에 닿게 되었을 때 낮은 위치에 있는 이동손잡이(82)가 가리키고 있는 측정자(78)의 눈금을 확인만 하면 되기 때문에 바닥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레이저 레벨(2)로 간단히 잴 수 있다.
또한, 측정로드(18)를 밀어 올린 상태로 두거나 내린 상태로 두더라도 자석으로 형성된 로드 가이드홈(15a)(15b)과 로드 홀(20)에 의하여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창호 섀시구조물 측정시>
먼저, 레이저 레벨(2)의 추 몸체(30)에 레이저 빔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와 수평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2)를 분리한 후, 여기에 도트형 수직 레이저 다이오드(L4)와 도트형 수평 레이저 다이오드(L5)로 교체한다.
도트형 수직 레이저 다이오드(L4)와 도트형 수평 레이저 다이오드(L5)가 교체되면, 도트형 수직 레이저 다이오드(L4)를 지지하고 있으면서 도트형 레이저 빔 방향각도 조정용 구멍(48)을 통해 추 몸체(30)의 측면에 노출된 육각홈핀(58)을 육각렌치(도시하지 않음)로 돌려 도트형 수직 레이저 빔(Ⅳ)의 방사각도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레이저 레벨(2)을 창호 섀시구조물(S)의 일측에 배치한 후 조작노브(44)와 제2전원스위치(74)를 온(On)시킨다.
상기한 제2전원스위치(74)의 온(On) 조작으로 작동하는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L3)는, 수직 상태확인판(14)의 십자표시(12) 상에 도트형 하향 레이저 빔(Ⅵ)을 표시해 십자표시(12)와 도트형 하향 레이저 빔(Ⅵ)이 일치되도록 하여 레이저 레벨(2)이 수직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레이저 레벨(2)이 수직 상태가 되면, 도트형 수평 레이저 다이오드(L5)는 도트형 수평 레이저 빔(Ⅴ)을 타측에 형성된 섀시구조물(S)에 표시하고, 도트형 수직 레이저 다이오드(L4)는 도트형 수직 레이저 빔(Ⅳ)을 타측에 있는 섀시구조물(S)의 하단 코너 위치에 표시하여 직각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창호 섀시구조물(S)의 설치에 따른 수직과 수평 상태 측정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창호 섀시구조물(S)의 설치를 정확히 할 수 있다.
<휴대 및 보관시>
그리고 레이저 레벨(2)을 보관하거나 장소를 이동하는 경우, 먼저 조작레버(44)를 젖혀 세우면 샤프트로 연결된 리프트판(60)은 상승하게 된다. 리프트판(60)이 상승하면 여기에 다수의 연결봉(62)으로 연결된 클러치판(64)고 상승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판(64)이 상승함에 따라 상하부 u자 링크(32)(34)는 클러치판(64)에 의하여 감싸이게 된다. 상하부 u자 링크(32)(34)가 클러치판(64)에 의하여 감싸이게 되면, 상하부 u자 링크(32)(34)는 클러치판(64)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조작노브(44)를 사용시 돌렸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벌어져 있던 홀더 링부(46)의 핑거(66)들은, 수축스프링(68)에 의하여 당겨짐에 따라 추 몸체(30)의 하단부를 파지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추 몸체(30)에 설치된 레이저 다이오드(L)들은 파손이 방지되어 레이저 레벨(2)의 내구성이 증대된다.
또한, 레이저 레벨(2)을 다시 사용하는 경우, 조작레버(40)와 조작노브(44)를 고정할때의 역순으로 조작하게 되면, 추 몸체(30)는 자유상태가 되고 자중에 의하여 수직을 잡게 되면서 측정작업을 다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정 바(4)의 사용이 끝나면, 추 몸체(30)를 고정하고 연결부재(76)를 기준으로 접으면 측정 바(4)의 길이를 1/2 정도로 축소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C:커버 F: 추 설치 프레임
L: 레이저 다이오드 L1: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
L2: 수평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 L3: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
L4: 도트형 수직 레이저 다이오드 L5: 도트형 수평 레이저 다이오드
H1: 수직구멍 H2: 수평구멍
H3: 하향 수직구 M: 자석
P1: 상부 지지판 P2: 하부 지지판
S: 창호 섀시구조물
2: 수직 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4: 측정 바 8: 레이저 빔 방사체
10: 거치대 12: 십자표시
14: 수직상태 확인 판 15a,15b: 로드 가이드홈
16: 고정체 18: 측정로드
18G: 이격로드 20: 로드홀
22: 거치지지판 24: 거치판
26: 지지침 30: 추 몸체
32: 상부 u자 링크 34: 하부 u자 링크
36: 하중부 38: 수직 유도판
40: 조작레버 42: 고정 클러치
44: 조작노 46: 홀더 링부
50: 수직홈 52: 레이저 다이오드 베이스
54: 설치홀 60: 리프트판
62: 연결봉 64: 클러치판
76: 연결부재 78: 측정자
80: 장공 82: 이동손잡이
84: 보조 측정자

Claims (7)

  1. 중공의 둘레에 다수의 모서리각을 두고 단면이 형성되고 수직과 수평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정 바(4)와, 자중에 의하여 중심이 잡힐 때 제어기의 신호로 방사되는 수직과 수평의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를 구비하면서 측정 바(4)에 설치되는 레이저 빔 방사체(8)로 이루어지는 수직 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바(4)에는,
    상단부에 양측으로 접거나 펼쳐 측정 대상물에 걸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거치대(10)와,
    레이저 레벨(2)의 자세가 수직 상태임을 도트형 레이저 빔과 십자표시(12)의 중심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설치되는 수직상태 확인 판(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치대(10)는, 측정 바(4)의 상단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로드 가이드홈(15a)이 형성된 고정체(16)와, 고정체(16) 상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이격로드(18G)에 자석으로 형성된 로드홀(20)과 양단에 자석을 부착시켜 형성되는 거치지지판(22)과, 상기 거치지지판(22)의 좌우 양측에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힌지핀으로 연결되고 이 부분에 자석을 부착시켜 형성된 거치판(24)과, 상기 거치판(24)의 내측면에 측정대상물의 상단에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첨예한 형태로 돌출되는 지지침(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3. 중공의 둘레에 다수의 모서리각을 두고 단면이 형성되고 수직과 수평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정 바(4)와, 자중에 의하여 중심을 잡고 제어기의 신호로 방사되는 수직과 수평의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를 구비하면서 측정 바(4)에 설치되는 레이저 빔 방사체(8)로 이루어지는 수직 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2)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방사체(8)는,
    추 몸체(30)를 매달 수 있도록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된 일정 길이인 지지로드(R)의 상하단에 상하부 지지판(P1)(P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추 설치 프레임(F)과;
    상기 추 설치 프레임(F)의 상부 지지판(P1)에 형성된 상부 u자 링크(32)에 하부 u자 링크(34)로 매달리게 설치되고, 측면 상하에 수직과 수평의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L2)가 배치되면서 저면에 중량재질로 형성되어 자중이 작용하는 하중부(36) 내에 배치된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L3)가 구비된 추 몸체(30)와;
    상기 하부 지지판(P2)의 상부에 추 몸체(30)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자력에 의하여 중심을 신속히 잡을 수 있도록 자석(M)을 배치하여 형성된 수직 유도판(38)과;
    상기 상하부 u자 링크(32)(34)를 필요시 잡아주도록 상부 지지판(P1)을 사이에 두고 조작레버(40)의 조작에 의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고정 클러치부(42)와;
    상기 수직 유도판(38)의 상부에 조작노브(44)의 조작시 추 몸체(30)의 하중부(36)를 잡아서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홀더 링부(46)와;
    상기 조작레버(40)와 조작노브(44)가 노출되도록 하고, 추 설치 프레임(F)을 덮어 보호하며, 전면 상측에 수직구멍(H1), 전면 하측에 수평구멍(H2) 및 하부에 하향 수직구멍(H3)을 형성하여 레이저 빔이 방출되도록 하되, 측면에 레이저 빔 방사 각도 조정용 구멍(48)이 뚫려 형성되는 커버(C);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 몸체(30)에는,
    수직을 측정하게 전면 상측에 설치되는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와, 수평을 측정하게 전면 하측에 설치되는 수평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2)와, 측정 바(30)에 설치된 수직 상태 확인판(14)의 십자 표시(12)를 비추게 추 몸체(30)의 하중부(36) 내에 설치된 도트형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L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러치부(42)는,
    상기 커버(C)를 받침으로 이용하여 젖힐 수 있도록 설치되는 조작레버(40)와, 상기 조작레버(40)가 연결되는 샤프트를 형성한 리프트판(60)과, 상기 리프트판(60)의 하부에 상부 지지판(P1)을 관통하고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다수 연결되는 연결봉(62)과, 상기 연결봉(62)의 아래 끝단에 상하부u자 링크(32)(34)를 감싸도록 형성된 클러치판(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6. 중공의 둘레에 다수의 모서리각을 두고 단면이 형성되고 수직과 수평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정 바(4)와, 자중에 의하여 중심을 잡고 제어기의 신호로 방사되는 수직과 수평의 레이저 빔을 형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를 구비하면서 측정 바(4)에 설치되는 레이저 빔 방사체(8)로 이루어지는 수직 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2)에 있어서,
    창호 섀시구조물(S)의 직각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라인형 레이저 다이오드(L1)를 도트형 수직 레이저 다이오드(L4)로 교체하여 설치하되,
    상기 도트형 수직 레이저 다이오드(L4)는,
    육각홈핀(58)에 의하여 추 몸체(30)의 설치홀(54)에 설치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베이스(52)와, 상기 육각홈핀(58)을 돌려 레이저 빔 방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레이저 다이오드 베이스(52)의 수직홈(50)에 삽입 설치되어 설정된 레이저 빔 방사각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7. 중공의 둘레에 다수의 모서리각을 두고 단면이 형성되고 수직과 수평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정 바(4)와, 자중에 의하여 중심을 잡고 제어기의 신호로 수직과 수평의 레이저 빔(8)을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를 구비하면서 측정 바(4)에 설치되는 레이저 빔 방사체(8)로 이루어지는 수직 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2)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바(4)에는,
    중간 부분을 경첩이나 힌지구조 등으로 연결하여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76)와;
    상기 측정 바(4)의 후면에 치수를 표시해 부착되는 측정자(78)와;
    상기 측정 바(4)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체(16)에 자석으로 형성된 로드 홀(20)과, 추 설치 프레임(F)의 상하부 지지판(P1)(P2)에 자석으로 형성된 반원형 로드 가이드홈(15a)(15b)을 미끄러져 이동하게 삽입 설치된 측정 로드(18)와;
    상기 측정자(78)와 나란히 형성되는 장공(80)에 측정자(78)의 치수를 가리키도록 모양이 형성되고, 이 장공(80)을 따라 연결된 측정로드(18)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공(80)에 삽입 설치되는 이동손잡이(82)를 구비한 보조 측정자(84)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KR20140152147A 2014-11-04 2014-11-04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KR101498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2147A KR101498949B1 (ko) 2014-11-04 2014-11-04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2147A KR101498949B1 (ko) 2014-11-04 2014-11-04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949B1 true KR101498949B1 (ko) 2015-03-05

Family

ID=5302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2147A KR101498949B1 (ko) 2014-11-04 2014-11-04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94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3254A (zh) * 2016-11-04 2017-01-11 东莞欧达电子有限公司 一种激光水平测试仪
CN109811417A (zh) * 2019-03-18 2019-05-28 江苏恒力化纤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环吹校正装置
KR101991890B1 (ko) * 2018-10-19 2019-06-21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교량에 설치되는 받침의 고무재 높이 및 변형량 측정장치
CN110207660A (zh) * 2019-06-28 2019-09-06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测量钢梁水平度、钢柱垂直度的测量器具
CN113418504A (zh) * 2021-05-31 2021-09-21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水暖施工的水平度检测设备
CN116499391A (zh) * 2023-06-30 2023-07-28 北京亿联星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钢结构形变检测装置
CN116834066A (zh) * 2022-08-02 2023-10-03 刘付善 一种用于机器人装配抓具的平衡测试装置
CN116858190A (zh) * 2023-06-28 2023-10-10 中煤科工集团武汉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施工用的智能化垂直检测设备
CN117516476A (zh) * 2023-11-23 2024-02-06 山西清泰恒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工程质量检测器垂直度检测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022B1 (ko) * 1997-08-16 1999-11-01 김형국 대형축의 수직도 측정장치
JP2007064779A (ja) * 2005-08-31 2007-03-15 Masahiro Matsunaga 水平測定補助器具及びその方法
JP2011027696A (ja) * 2009-07-21 2011-02-10 Haruo Shigei レベルやトランシットの測量機を1人ででも測量できるよう測量機の望遠鏡の筒に調整ネジで微調整できるような構造でレーザーポイントターを組み込んだレベルとトランシット。それに目標物のスタッフやロッドが垂直に立つ様な構造に作られたスタッフやロッドと三脚の台。
KR200465282Y1 (ko) * 2011-05-12 2013-02-15 박귀련 수고측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022B1 (ko) * 1997-08-16 1999-11-01 김형국 대형축의 수직도 측정장치
JP2007064779A (ja) * 2005-08-31 2007-03-15 Masahiro Matsunaga 水平測定補助器具及びその方法
JP2011027696A (ja) * 2009-07-21 2011-02-10 Haruo Shigei レベルやトランシットの測量機を1人ででも測量できるよう測量機の望遠鏡の筒に調整ネジで微調整できるような構造でレーザーポイントターを組み込んだレベルとトランシット。それに目標物のスタッフやロッドが垂直に立つ様な構造に作られたスタッフやロッドと三脚の台。
KR200465282Y1 (ko) * 2011-05-12 2013-02-15 박귀련 수고측정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3254A (zh) * 2016-11-04 2017-01-11 东莞欧达电子有限公司 一种激光水平测试仪
KR101991890B1 (ko) * 2018-10-19 2019-06-21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교량에 설치되는 받침의 고무재 높이 및 변형량 측정장치
CN109811417B (zh) * 2019-03-18 2024-02-06 江苏恒力化纤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环吹校正装置
CN109811417A (zh) * 2019-03-18 2019-05-28 江苏恒力化纤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环吹校正装置
CN110207660A (zh) * 2019-06-28 2019-09-06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测量钢梁水平度、钢柱垂直度的测量器具
CN113418504A (zh) * 2021-05-31 2021-09-21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水暖施工的水平度检测设备
CN116834066A (zh) * 2022-08-02 2023-10-03 刘付善 一种用于机器人装配抓具的平衡测试装置
CN116858190A (zh) * 2023-06-28 2023-10-10 中煤科工集团武汉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施工用的智能化垂直检测设备
CN116858190B (zh) * 2023-06-28 2024-04-09 中煤科工集团武汉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施工用的智能化垂直检测设备
CN116499391A (zh) * 2023-06-30 2023-07-28 北京亿联星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钢结构形变检测装置
CN116499391B (zh) * 2023-06-30 2023-09-08 北京亿联星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钢结构形变检测装置
CN117516476A (zh) * 2023-11-23 2024-02-06 山西清泰恒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工程质量检测器垂直度检测仪
CN117516476B (zh) * 2023-11-23 2024-03-22 山西清泰恒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工程质量检测器垂直度检测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949B1 (ko) 수직·수평 측정용 레이저 레벨
US11378872B2 (en) Projector stand
EP3309510A1 (en) Height-adjustable laser level apparatus
CN104415549B (zh) 遥控飞行器重心调校装置
JP2015152581A (ja) ゲージ検査機、ゲージ検査方法およびゲージをゲージの検査機にセットするための治具
KR100921537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철골기둥 수직도 측정장치
KR101709679B1 (ko) 측량 데이터의 오차 보정을 위한 수준측량기기
US9766306B2 (en) Setting apparatus
JP6613195B2 (ja) 墨出し用装置
KR101012399B1 (ko) 레이저 수평 수직조사장치
KR200491947Y1 (ko) 양 방향 레이저 거리 측정기
KR100618173B1 (ko) 골리앗 크레인의 중심점 측정장치
KR20150000376U (ko) 휴대용 기울기 측정장치
KR101256203B1 (ko) 자동으로 수직위치 측정이 가능한 광파 측량용 프리즘 장치
KR20180037657A (ko) 고소작업차 붐의 3차원 자동안착 시스템
CN201297572Y (zh) 光线产生装置、光束产生装置和手工工具
JP2017040641A (ja) 測定機器用保持具と、これを用いた距離測定装置および基準線表示装置
KR20130141063A (ko) 레이저를 이용한 직진도 체크 기구
CN219607955U (zh) 便携式位移测量装置
CN209533416U (zh) 虚拟盒
CN217716187U (zh) 自动扶尺装置
CN213599030U (zh) 一种工程造价用激光测距仪固定装置
KR20170003249U (ko) 광학적 처리 시스템을 위한 광학 헤드 및 섀시
CN115143994B (zh) 一种纵横定点式塔尺垂直度自动校准设备
JP2019002685A (ja) 高さ測定器及び高さ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