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928B1 - Application device of automotive vehicle waste heat for high-storied building - Google Patents

Application device of automotive vehicle waste heat for high-storied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928B1
KR101498928B1 KR1020130078335A KR20130078335A KR101498928B1 KR 101498928 B1 KR101498928 B1 KR 101498928B1 KR 1020130078335 A KR1020130078335 A KR 1020130078335A KR 20130078335 A KR20130078335 A KR 20130078335A KR 101498928 B1 KR101498928 B1 KR 10149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storage
storage unit
energy
ut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5068A (en
Inventor
임용훈
이재용
강새별
장진영
이동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78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928B1/en
Publication of KR20150005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0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9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6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sol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02A30/274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using waste energy, e.g.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용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잉여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열저장 유닛과, 상기 열저장 유닛 다수개가 착탈가능한 다수의 열사용 모듈로 이루어진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로 구성되되, 상기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를 공동주택,업무용 및 상업용 건물 등 고층 건물의 고용주자장 등과 같은 인접공간에 설치하고, 이러한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가 건물의 냉난방 시설과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열저장 유닛의 활성화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기존의 냉난방 시설 및 폐열 시스템에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차량에서 열에너지를 저장한 열저장 유닛을 세대까지 직접 운반하지 않아도 되고, 세대별로 열저장 활용장치를 개별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다수세대의 활용장치를 체계적으로 관리 또한 가능한 고층건물용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utilizing a surplus array of vehicles for a high-rise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an adjacent space such as an employer's field of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 multi-storey building, a commercial building, and a commercial building, and such a joint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is associated with the heating / It is not necessary to directly transport the heat storage unit storing heat energy from the vehicle to the household while having the structure that the heat energy necessary for activation of the storage unit can be easily obtained in the existing heating and cooling system and the waste heat system, It is not necessary to individually install a plurality of uni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urplus arrangement utilizing apparatus for a high-rise building.

Figure R1020130078335
Figure R1020130078335

Description

고층건물용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APPLICATION DEVICE OF AUTOMOTIVE VEHICLE WASTE HEAT FOR HIGH-STORIED BUILD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본 발명은 공동주택, 업무용 및 상업용 건물 등 고층건물에 이용한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urplus arrangement utilizing device for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 multi-house, business, and commercial building.

전 세계적인 에너지 수급 불균형으로 인해 초유가 기조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차량용 유류비용 부담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Due to the unbalanced energy supply and demand globally, colostrum is expected to be prolonged, fuel costs for automobiles are becoming increasingly burdensome.

국내 전체 1차 에너지소비량 중 수송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20% 내외이며, 전 세계적으로도 국가 에너지 소비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수송 분야의 에너지 이용 효율 개선을 통한 에너지절감 및 이에 상응하는 온실가스 감축 잠재력이 매우 높은 분야이다. Of the total primary energy consumption in Korea, the transportation sector accounts for about 20% of the total, and it accounts for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national energy consumption worldwide. Thus, energy efficiency through transport efficiency improvement and corresponding GHG reduction potential This is a very high field.

수송 분야의 대표적인 적용기술이라 할 수 있는 자동차 엔진의 유효 에너지 이용 효율은 엔진 타입 및 기술 방식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겠으나 대략 30% 내외에 불과하며, 따라서 70%에 달하는 가용한 유효 에너지가 잉여배열로 낭비되고 있어서, 수송 분야, 특히 차량에서 낭비되고 있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안 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 effective energy utilization efficiency of an automobile engine, which is considered as a typical application technology in the transportation field, is about 30%, though it may be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engine type and the technique. Therefore, the available energy of 70%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lternatives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the energy that is being wasted in the transportation field, especially in the vehicle, is emerging.

그러나 운송 및 이동을 주목적으로 하는 수송분야(차량)의 경우, 이용 목적, 공간적 제약 및 기능 측면 등에서, 이용 가능한 유효 잉여 배열이 운행 중에 다량 발생한다 하더라도 극히 일부의 배열을 활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마땅한 수요처가 없어, 열역학적 측면에서 상당한 유효 에너지를 대기 중으로 방출함으로써 에너지 낭비와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ransportation (vehicles) whose main purpose is transport and movement, there is a need for the use of a limited number of available arrangements, There is no consumer demand, and it is being pointed out as a main cause of waste of energy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by releasing considerable effective energy into the atmosphere in terms of thermodynamics.

종래의 차량 운행 중 히터를 이용한 난방 이외에는 마땅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차량 잉여 배열을 활용하여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고안은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영국 Atmos Heating System에서 고안한 차량용 배열을 이용한 세대 난방 시스템 등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nergy utilization by utilizing the surplus arrangement of the vehicle which is not utilized in heating other than the heating using the heater during the conventional vehicle operation, various designs have been tried. Generation heating system.

그러나 해당 기술은 열저장 유닛을 차량에 부착(고정)하여 운행 중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저장하고, 차량을 주차한 후에는 열 사용처에(세대 내)에 별도로 마련되는 2차 열저장 유닛에 열을 저장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차량에 설치된 열저장 유닛과 세대 내에 설치된 2차 열저장 유닛은 열 이송을 위한 한 쌍의 호스로 연결하게 된다. 2차 열저장 유닛에 저장된 열 에너지는 세대(건물)에서 발생하는 급탕 및 난방 등의 열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형태로서, 이러한 종래 기술은 해외에서 일반화되어 있는 주거형태, 즉 주차장이 구비된 단독의 개별주택을 대상으로는 사용이 용이하다고 볼 수 있으나, 주차장을 확보하지 못해 차량의 주차지역과 세대가 멀리 떨어지게 되는 경우 및 개별세대가 아닌 다수의 거주인이 모여 사는 빌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열 수요가 발생하는 세대공간(주거지)과 주차장이 멀리 분리되어 있으므로 실용성에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is technology stores the heat energy generated during operation by attaching (fixing) the heat storage unit to the vehicle and stores the heat in the secondary heat storage unit separately provided in the heat use place (within the household) aft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is case, the heat storage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secondary heat storage unit installed in the household are connected by a pair of hoses for heat transfer. The heat energy stored in the secondary heat storage unit is utilized as a heat energy source such as hot water and heating generated in a household (building). Such conventional technology is a type of residential which is generalized overseas, that is, It is easy to use for an individual house, but it can be seen that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can not secure a parking lot, and when a parking lot and a household are far away from each other, or when a plurality of residents There was a problem in practicality because the household space (residential area) where the heat demand is generated and the parking lo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수단 운행시 발생되는 유효 잉여 열에너지를, 열저장 밀도가 높아 적은 부피로 저장하여 운송이 용이하면서 열손실이 없는 열화학적 방식으로 저장하되,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에 인접해 있는 공동장소(ex: 공용 주차장)에 공동 열저장 장치를 설치하여 활용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각 세대까지 직접 열저장 유닛을 이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고, 기존의 건물 냉난방 시설과의 연계운전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는 고층건물용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effective effective thermal energy generated when a conveying means is operated, , But there is no need to transfer the heat storage unit directly from the vehicle to each household by using the common heat storage device in a common place (ex: public parking lot) adjacent to the apartment house and the high-ris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utilizing a surplus array of vehicles for a high-rise building, in which user's convenience can be greatly increased by being able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xisting building heating and cooling faciliti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and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the combination shown in the clai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송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수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열교환되어 배기가스 열에 의해 가열되는 열저장물질(31)이 저장되어 있는 열저장 유닛(30); 상기 열 저장 유닛(30)이 탈착가능한 다수의 열사용 모듈(41)로 구성되며, 고층건물의 열원수단과 연결되도록 고층건물에 인접설치됨으로써, 상기 열저장 유닛(30)에서 모아지는 잉여 열에너지가 냉/난방 및 급탕의 열에너지로 사용되도록 하는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 exchanger which is detachably mounted on a conveying means and which is provided with a heat storage material (31) which is heat-exchanged with the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conveying means and heated by the exhaust gas heat A storage unit (30); The heat storage unit 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eat use modules 41 that are detachable,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igh-rise building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eat source unit of the high-rise building. Thus, surplus heat energy collected in the heat storage unit 30 A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0 for use as thermal energy for cooling /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별 세대까지 사용자가 직접 열저장 유닛을 이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크게 개선시켜, 차량 잉여배열 장치 사용에 대한 유인도를 증대시켜 전체 시스템 이용과 관련한 사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troubles that the user has to transfer the heat storage unit directly to individual households, thereby improving the attractiveness of the use of the vehicle surplus array device, There is an effect.

또한, 기존의 개별세대별 열회수 장치를 이용할 시에는, 별도의 열원(예> 보일러)을 가동하여 이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공급해주어야 하는데, 개별세대별로 별도의 열공급 시스템을 설치할 경우, 설치 비용 측면이나, 시스템 설치에 따른 사용자의 번거로움 등으로 인해 소비자의 이용 욕구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를 이용할 경우, 공동주택의 난방 및 냉방 등을 위해 기 설치 운영되고 있는 열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각 세대별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의 설치기 불필요하여 소비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기존 냉난방 설비로써 열병합발전 설비와 같이 폐열이 발생하는 설비가 적용되고 있는 건물의 경우 열병합발전 설비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여 열화학 열에너지 활성화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전체 에너지 이용 효율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a conventional heat recovery system for each household, a separate heat source (for example, a boiler) must be operated to supply the necessary heat energy. In the case of installing a separate heat supply system for each household, The user's hassle due to the installation, and the like, can greatly reduce the desire of the consumer. However, when using the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heat source which is installed and operated for the heating and cooling of the apartment house as much as possible,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the consume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uilding in which waste heat generation facilities such as cogeneratio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used as existing heating and cooling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energy required for activation of thermochemical thermal energy by using the waste heat generated from the cogeneration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열저장 밀도가 높을수록 열화학적으로 저장된 열 에너지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열 에너지의 수준, 즉, 활성화에 투입되어야 하는 매체의 공급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개별세대 열회수장치를 고려할 경우에는 일정 온도 수준(ex: 100℃)을 상회하는 온도가 필요한 열저장물질을 사용하는데 안정성 측면에서 제약으로 작용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의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를 이용할 경우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므로 고온, 고압 조건의 활성화 조건이 필요한 고밀도의 열화학 열저장물질을 활용하기에 훨씬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general, the higher the thermal storage density, the higher the level of thermal energy required to activate thermo-chemically stored thermal energy, i.e.,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medium to be supplied to the activation. A heat storage material which requires a temperature higher than a certain temperature level (ex: 100 ° C) is used. However, since the system can be systematically managed by using the heat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much easier to utilize high density thermochemical thermal storage material which requires activation conditions under high pressure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잉여배열 열저장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잉여 열에너지 저장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저장 모듈의 배기가스 배출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의 이용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를 통한 열에너지 사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 및 에너지 메터의 사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개념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view of a vehicle surplus array heat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surplus heat energy is stored in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n exhaust gas exhaust structure of a heat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one embodiment illustrating the use of a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use of thermal energy through a joint heat storage ut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use of an indicator and an energy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Before describing in detail several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back,""up,""down,""top,""bottom,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for terms such as "left,"" right, "" lateral, " and the like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the element has to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Also, terms such as " first "and" second "are used herein for the purpose of the description and the appended claims,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their relative importance or purpose.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이송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수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열교환되어 배기가스 열에 의해 가열되는 열저장물질(31)이 저장되어 있는 열저장 유닛(30); 상기 열저장 유닛(30)이 탈착가능한 다수의 열사용 모듈(41)로 구성되며, 고층건물의 열원수단과 연결되도록 고층건물에 인접설치됨으로써, 상기 열저장 유닛(30)에서 모아지는 잉여 열에너지가 냉/난방 및 급탕의 열에너지로 사용되도록 하는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storage unit (not shown) is provided, which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conveying means and stores a heat storage material 31 which is heat-exchanged with the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conveying unit and heated by the exhaust gas heat 30); The heat storage unit 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eat use modules 41 that are detachable,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igh-rise building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eat source unit of the high-rise building. Thus, surplus heat energy collected in the heat storage unit 30 A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0 for use as thermal energy for cooling /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

또한, 상기 열사용 모듈(41)은 상기 열저장 유닛(3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냉/난방 및 급탕의 열원수단과 연결되어, 열저장 유닛(30)의 열에너지와 열교환되는 공급수가 유동되는 열교환부(43); 상기 각 열사용 모듈(41)의 사용가능유무에 따라, 열교환부(43)로의 공급수 공급여부 및 각 열저장 유닛(30)이 활성화되기 위한 열에너지의 공급여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 2, 3 제어수단(V2, V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eat storage unit 30 and connected to the heat source unit of the cooling /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A heat exchanging part 43 which flows; The second and third controls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supply of the water to the heat exchanging unit 43 and the supply of the thermal energy for activating the respective heat storing units 30 are controlled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the respective heat using modules 41 Means (V2, V3) ar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는 고층건물이 사용하고 있는 냉/난방 및 급탕의 열원수단(71) 또는 히팅수단(72)에 의해, 장착된 열저장 유닛(30)이 활성화되기 위한 열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0 may be constructed by a heat source means 71 or a heating means 72 of a cooling / heating / hot water supply used in a high-rise building, And is supplied with thermal energy.

또한, 상기 열저장 유닛(30)은 활성화된 이후, 스팀용 냉수 공급라인(L4) 및 제 4제어수단(V4)를 통해 상기 열사용 모듈(41)에 공급된 물이 열저장 유닛(30) 활성화에 따른 열사용 모듈(41)에서 발생되는 일부 열에너지에 의해 고온스팀 형태가 되어, 열저장 유닛(30)의 추가 활성화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the heat storage unit 30 is activated, the water supplied to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through the cold water supply line L4 for steam and the fourth control means V4 is supplied to the heat storage unit 30, The steam is generated by the heat energy generated by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according to the activation and is used for further activation of the heat storage unit 30. [

또한, 상기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는 상기 열사용 모듈(41)마다 설치되어, 회수가능한 열에너지의 사용가능 유/무를 표시해줌으로써, 열저장 유닛(30)의 교체시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50); 상기 열저장 유닛(30)이 장착된 다수의 열사용 모듈(41)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되어지는 열에너지양을 누적합산하는 에너지 메터(Energy Meter, 6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0 is provided for each of the thermal utilization modules 41 to display the availability of recoverable heat energy so as to identify the replacement time of the heat storage unit 30. [ An indicator 50; An energy meter (60) detachably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heat using modules (41) equipped with the heat storing unit (30) and cumulatively adding the amount of supplied heat energy; Is provided.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50)는 상기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의 내부에서, 냉수를 열교환에 의해 고온수가 되도록 하는 열교환부(43)의 전, 후단 온도차이가 사전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열저장 유닛(30)에 회수할 열에너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heat exchanging unit 43 for causing the hot water to be hot water by the heat exchang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indicator 50 is heated in the hea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heat energy to be recovered in the storage unit (30).

또한, 상기 다수의 열사용 모듈(41)은 고층건물의 세대마다 사전에 동일하게 할당되거나, 또는 희망세대에 한해 할당하여, 상기 각 에너지 메터(60)의 누적합산량만큼, 해당세대에서 사용한 에너지사용 비용을 차감시켜주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thermal utilization modules 41 may be previously allocated to each of the high-rise buildings in the same way or may be allocated to only the desired households, and the energy used in the households may be increased by the accumulated amount of the energy meters 60 And is used to deduct the use cost.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용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utilizing a surplus arrangement for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용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는 열저장 유닛(30),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 상기 인디케이터(Indicator, 50), 에너지 메너(Energy Meter, 6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apparatus for utilizing excess arrangement of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storage unit 30, a heat storage device 40, an indicator 50, an energy meter 60, .

상기 열저장 유닛(30)은 이송수단(ex: 차량 등)의 엔진(E) 등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매니폴드(P1)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져 이송수단이 구동되는 동안 배기가스의 열을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The heat storage unit 30 is installed in an exhaust gas manifold P1 through which exhaust gas generated in an engine E or the like of a conveying means (ex. A vehicle or the like) is discharged. The heat storage unit 30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storage units 30 To heat the exhaust gas.

즉, 다수의 열저장 유닛(30)에 배기가스의 열 충전이 완료되면 이송수단에서 열저장 유닛(30)이 장착되는 열저장 모듈(10)에서 탈거된 후, 사용대상처(후술될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에 체결되어 사용됨)에서 사용하고, 이후 충전한 열을 다 사용하고 나면 다시 이송수단의 열저장 모듈(10)에 장착되어 배기가스의 열이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heat storage of the exhaust gas in the plurality of heat storage units 30 is completed, the transfer unit is removed from the heat storage module 10 in which the heat storage unit 30 is mounted, The heat storage module 10 of the transfer means is used again to fill the heat of the exhaust gas.

이러한, 상기 배기가스 매니폴드(P1)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본 발명의 이러한 열저장장치(열저장 유닛(30) 및 열저장 유닛(30)이 장착되는 열저장 모듈(10))를 거친 후, 배기가스 내 유해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촉매컨버터(Catalytic Converter), 배기음을 줄이기 위한 머플러(Muffler), 배기 소음을 줄이기 위한 레조네이터(Resonator, 공명기), 테일 파이프(Tail Pipe) 등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The exhaust ga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gas manifold P1 passes through the heat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torage module 30 in which the heat storage unit 30 and the heat storage unit 30 are mounted) A catalytic converter for removing harmful components in the exhaust gas, a muffler for reducing exhaust noise, a resonator for reducing exhaust noise, a tail pipe, and the like are sequentially mounted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열저장 유닛(30)이 장착되도록 이송수단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열저장 모듈(10)을 살펴보면, 상기 열저장 모듈(10)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단이 개구된 관체 형상이며, 상부면에는 제 1 제어수단(ex: 제어밸브(삼방밸브) 등, 이러한 제어수단은 후술될 제 2, 3, 4 제어수단(V2, 3, 4)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V1)가 설치되어, 상기 제 1 제어수단(V1)의 개폐유무에 따라 열저장 모듈(10) 내부에 배기가스가 유입되거나 또는 유입차단되도록 한다.Referring to the thermal storage module 10 installed in the transfer means to mount the thermal storage unit 30, the thermal storage module 10 is hollow and has a tubular shape with an open upper end, This control means is also applied to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ontrol means V2, 3 and 4 to be described later, such as a control means (ex: control valve (three-way valve) So that the exhaust gas flows into the heat storage module 10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rol means V1 is open or closed or is blocked.

이러한, 상기 열저장 모듈(10)은 배기가스 매니폴드(P1)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유동관 주변에 연통되어 다수 설치됨으로써, 상기 유동관으로 유동되어 빠져나가는 배기가스가 다수의 열저장 유닛(30) 내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heat storage module 10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storage modules 10 communic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flow pipe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gas manifold P1 flows, (30).

또한, 이러한 열저장 모듈(10)의 저면에는 열저장 모듈(10)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켜, 내부에 채워지게 되는 배기가스를 저면에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배출홀(22)이 다수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배출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열저장 모듈(10)의 저면에는 유동체(24)가 내설되어 있도록 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동체(24)는 배출홀(22)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열저장 모듈(10)의 저면 내부에서 상, 하 유동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유동체(24)의 하단부에는 탄성부재(35)(ex: 스프링)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압착돌기(23)를 돌출형성하고 있다.The heat storage module 10 has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22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heat storage module 10 with the outside and exhausting the exhaust gas to the outside, And a fluid 24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storage module 10 in which the discharge hole 22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More specifically, the fluid body 24 is installed to flow upward and downwar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storage module 10 in which the discharge hole 22 is formed. The fluid body 24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35 (ex: spring), and a compression projection 2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즉, 상기 배출수단(20)의 작동되기 전 대기상태를 보면, 상기 열저장 모듈(10)의 저면에 내설되어 있는 유동체(24)는 탄성부재(35)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위치의 유동체(24)에 의해, 열저장 모듈(10)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홀(22)이 막히는 형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discharging means 20 is in a waiting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ing means 20, the fluid 24 in the bottom of the heat storage module 10 is lifted by the elastic member 35,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storage module 10 are clogged by the fluid 24 at the position.

이후, 후술될 열저장 유닛(30)에 의해 유동체(24)의 압착돌기(23)가 눌려 하강하게 되면, 상기 열저장 모듈(10)의 저면 내에서 다수의 배출홀(22)을 막고 있던 유동체(24)가 탄성부재(35)를 압착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로써, 다수의 배출홀(22)이 개방되는 형태가 되어, 상기 열저장 모듈(10) 내부의 배기가스가 배출홀(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When the compression protrusions 23 of the fluid 24 are pressed down by the heat storage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fluid that has blocked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2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storage module 10 The exhaust gas from the inside of the heat storage module 10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22 through the discharge hole 22,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와 같이 배출수단(20)이 형성되어 있는 열저장 모듈(10)의 저면에는 배출관(P2)이 연통연결되어 있도록 하는데, 상기 배출관(P2)은 열저장 모듈(10)를 차량의 EGR 배관과 상호간 연통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엔진(E)에서 배출되되 상기 열저장 모듈(10)에서 사용된 일부 배기가스를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배기가스 재순환)을 통해 새로 유입되는 외기와 함께 엔진(E)으로 바이패스(Bypass)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discharge pipe P2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heat storage module 10 having the discharge means 20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pipe P2 connects the heat storage module 10 to the EGR (Exhaust gas recirculation) to exhaust the exhaust gas, which is exhausted from the engine E and used in the heat storage module 10, together with the fresh air introduced through the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E).

즉, 이러한 열저장 유닛(30)은 전술된 열저장 모듈(10)의 개구된 상부에 끼워져, 상기 열저장 모듈(10)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열저장 유닛(30)은 내부에는 열저장 모듈(10) 내부의 배기가스 열이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열저장물질(31)(ex: MgSO4.7H2O - Magnesium Sulfate)이 내설되어 있도록 한다.That is, the heat storage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open top of the heat storage module 10 and inserted into the heat storage module 10, A heat storage material 31 (ex: MgSO 4 .7H 2 O - Magnesium Sulfate) is installed so that exhaust gas heat inside the heat storage module 10 can be transferred and stored.

또한, 이러한, 상기 열저장 유닛(30)의 저면에는 하단을 향해 돌출부(11)가 돌출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저장 유닛(30)이 열저장 모듈(10)에 수직하방으로 완전히 체결하게 되면, 상기 열저장 유닛(30)의 돌출부(11)가 열저장 모듈(10) 내 저면에 돌출되어 있는 배출수단(20)의(더욱 자세히는 유동체(24)의 압착돌기(23)를 하단으로 밀며 압착하는 구조가 되도록 하여, 열저장 모듈(10) 내의 배기가스가 다수의 배출홀(2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When the heat storage unit 30 is completely vertically downwardly coupled to the heat storage module 10 by projecting the protruding portion 11 toward the lowe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storage unit 30, (More precisely, the pressing projection 23 of the fluid body 24 is pushed to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ing means 20, in which the projection 11 of the heat storage unit 30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heat storage module 10, So that the exhaust gas in the heat storage module 1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2. [

상기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는 차량의 배기가스 열에너지가 저장되어진 열저장 유닛(30)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를 공동주택, 업무용 및 상업용 건물 등 고층건물 등의 인접 공동장소, 예를 들어 공용주차장 등에 설치하여 사용토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heat storage and utilization device (40) is used for a heat storage unit (30) in which exhaust gas thermal energy of a vehicle is stored. It should be installed in adjacent public places such as commercial buildings, such as high-rise buildings, for example public parking lots.

이러한 상기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는 건물의 다세대가 동시에 열저장 활용장치 하나를 공용으로 사용토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는 전술된 각 세대별로 차량에 열에너지를 저장한 열저장 유닛(30)이 각각 착탈결합가능한 다수의 열사용 모듈(41)을 구비하고 있도록 한다.The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0 allows a plurality of generations of buildings to commonly use a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at the same time. To this end, the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0 is provided with thermal energy And the stored heat storage units 3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 use modules 41 that can be detachably combined.

즉, 상기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가 공용 주차장에 설치된 건물의 경우, 건물 내의 모든 세대에 동일하게 열사용 모듈(41)이 할당되도록 하거나, 또는 차량 잉여배열의 활용을 희망하는 세대에 한해서, 다수의 열사용 모듈(41) 중 일부를 할당함으로써, 할당된 열사용 모듈(41)에 각 세대가 열에너지를 저장한 열저장 유닛(30)을 장착(또는 탈착) 및 활용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각각의 세대는 사전에 지정된 열사용 모듈(41)에만 열사용 모듈(41)을 장착할 수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public heat storage utilization apparatus 40 is installed in the public parking lot,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is equally allocated to all the generations in the building, or only the generation (Or detachably) the thermal storage unit 30 storing thermal energy in each of the households by allocating a part of the plurality of thermal utilization modules 41 to the allocated thermal utilization module 41. [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each generation should be able to mount the thermal use module 41 only to the previously designated thermal usage module 41. [

이러한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는 차량 잉여배열을 활용하고자 설치한 건물 내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건물의 냉난방 등의 설비 또는 열병합발전 설비 등과 같은 열원수단(71)과 연계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각 세대에서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에 각각의 열저장 유닛(30)을 장착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열저장 유닛(30)의 열에너지를 기존의 냉난방 설비 또는 열병합발전 설비와 함께, 난방, 급탕, 별도의 세대 냉방장치(흡착식 냉동기 가동을 위한 온수 공급으로 활용의 에너지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Such a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0 is associated with a heat source means 71 such as a heating / cooling facility of a building or a cogeneration / power generation facility that has been used in a building installed to utilize the vehicle surplus arrangement, The heat energy of the heat storage unit 30 can be supplied to the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0 through the heating / , And a separate household air-conditioning unit (to be used as energy for utilization of hot water for operation of the adsorption refrigerator).

이러한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열사용 모듈(41), 열교환부(43), 반응유발수단(70)으로 이루어진다.The heat utilization module 40 includes a heat utilization module 41, a heat exchange unit 43, and a reaction induction unit 70.

상기 열사용 모듈(41)은 전술된 열저장 유닛(30)이 장착되는 것으로, 열저장 모듈(10)와 마찬가지로, 상면 일부가 개구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 형상을 가지며, 열저장 유닛(30) 개구된 상면에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물론 이러한 열저장 유닛(30)은 전술된 열저장 모듈(10) 및 상기 열사용 모듈(41)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호간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Like the heat storage module 10,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is mounted with the heat storage unit 30 described above.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has a tube shape with an open top part and an empty interior, ) Is inserted from the opened upper surface to the inside and is mounted. Of cours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such a heat storage unit 30 should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heat storage module 10 and the heat use module 41 by a variety of methods.

상기 열교환부(ex: 열교환기 등, 43)은 열교환 파이프가 열사용 모듈(41)에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원을 그리며 내설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열저장 유닛(30)의 둘레를 이격되어 둘러싸고 있는 형태가 된다. 이로써, 상기 열교환부(43)의 일단으로 냉수가 유입되면, 상기 열교환부(43)를 흐르는 냉수는 열저장 유닛(30)에서 발산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온수 형태가 되며 이러한 온수가 열사용 모듈(41)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열사용 모듈(41)은 건물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열원수단(건물의 냉난방 등의 설비 또는 열병합발전 설비 등, 7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활용수단(냉/난방, 온수 장치 등)과 사전 연결(또는 연계)되어 있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교환부(43)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하다.The heat exchanging part (ex. A heat exchanger, etc.) 43 is constructed such that a heat exchanging pipe is installed in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in the form of a large number of circ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heat storage unit 30 It becomes a form to surround. When the cold water flows into one end of the heat exchanging unit 43, the cold water flowing through the heat exchanging unit 43 is heated by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 storing unit 30 and becomes hot water.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through utilization of heat source means (such as a heating / cooling facility of a building or a cogeneration facility 70) Cooling / heating, hot water system, etc.).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ing part 43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user.

상기 반응유발수단(70)은 전술된 열사용 모듈(41)에 열저장 유닛(30)을 장착한 후, 열저장 유닛(30)에 저장된 열에너지를 활성화(Activate)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열저장 유닛(30)에 열이 저장되는 열저장방식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2가지를 제시한다. 첫번째는 전술된 바와 같이,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와 연계되어 있는 건물 내의 기존 냉난방 설비(또는 이와 연결되도록 Steam Boiler를 별도로 설치하여) 또는 열병합발전 설비(CHP, Combined Heat & Power)과 같은 열원수단(71)을 통해 스팀(Steam)을 열사용 모듈(41) 내부에 공급해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며, 두번째는 각각의 열사용 모듈(41)마다 히팅수단(ex: 전기히팅장치 등, 72)을 설치하여 상기 열사용 모듈(41) 내부를 가열하는 것이다. The reaction inducing means 70 is for activating the thermal energy stored in the thermal storage unit 30 after the thermal storage unit 30 is mounted on the thermal utilization module 41 described above, The heat storage method in which the heat is stored in the heat storage unit 30 may be somewhat different. First,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heating / cooling equipment (or a steam boiler connected to the heating / cooling equipment) in the building connected with the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0 or the combined heat and power (CHP) The steam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eat using module 41 through the heat source means 71 and the hea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eat using module 41. Secondly, the heating means (ex: electric heating device etc.) And the inside of the heat using module 41 is heated.

즉, 상기와 같이, 처음 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충분히 공급된 이후에는, 열저장 유닛(30)에서 방열되는 열에너지를 통해 열사용 모듈(41) 내부의 온도가 충분이 올라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에너지 공급(스팀 또는 전기히팅)이 필요하지는 않는 구조를 가지며, 이후로는 충분이 승온된 내부 온도 조건을 이용, 상기 열사용 모듈(41) 하부에서 별도로 액상의 물을 공급하여, 공급된 물이 승온된 열사용 모듈(41) 내부 온도에 의해 증발하여 스팀형태로 공급되면서, 열저장물질(31)과 결합하여 지속적인 발열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사용 모듈(41)은 열교환부(43)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공급라인(L2)에 분기되어 열사용 모듈(41) 내부와 연결되는 스팀용 냉수 공급라인(L4)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That is, after sufficient energy is supplied to cause the first reac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heat using module 41 may be sufficiently increased through the heat energy dissipated in the heat storing unit 30, (Not steam or electric heating), and thereafter, liquid water is separately suppli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heat using module 41 by using an internal temperature condition of which the temperature is sufficiently raised so that the supplied water The steam is evaporated by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ed use module 41, and the steam is supplied to the heat storage material 31 to cause a continuous exothermic reaction. For this purpose,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is branched to a cold water supply line L2 for supplying cold water to the heat exchanger 43, and a cold water supply line L4 for steam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is formed .

물론, 상기 각 열사용 모듈(41)마다 분기되어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공급라인(L2)에는, 각각의 열사용 모듈(41)마다 제 2 제어수단(V2)이 설치되어, 각 열사용 모듈(41)의 사용가능유무(열저장 유닛(30)의 장착여부, 열저장 유닛(30)에서 회수할 에너지가 남아있는지의 여부 등)에 따라 냉수의 공급여부가 제어되도록 하고, 더불어,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라인(L3)에도 다수의 제 3 제어수단(V3)이 설치되어, 각 열사용 모듈(41)의 사용가능유무에 따라, 각 열저장 유닛(30)이 활성화되기 위한 열에너지의 공급여부가 제어되도록 하며, 이와 함께 각 열사용 모듈(41)의 스팀용 냉수 공급라인(L4) 각각에도 제 4 제어수단(V4)이 설치되어, 상기 열사용 모듈(41)이 충분이 승온된 내부 온도 조건을 가지는 지의 여부에 따라 물의 공급 여부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러한, 상기 제 2, 3, 4 제어수단(V2, V3, V4)의 경우,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되어 제어될 수 있음이다.Of course, the second control means V2 is provided for each of the thermal utilization modules 41 in the cold water supply line L2 branched for each of the thermal utilization modules 41 to supply the cold water, (Whether or not the heat storage unit 30 is mounted, whether or not there is energy left to be recovered in the heat storage unit 30, and the like)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ird control means V3 are also provided in the steam supply line L3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mal energy for supplying heat to the respective thermal storage units 30 is supplied The fourth control means V4 is also provided in each of the cold water supply lines L4 for steam of the respective heat use modules 41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 use module 41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the water is supplied or no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is a con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ontrol means (V2, V3, V4), they can be controlled through a separate control unit or can be monitored and controlled.

또한, 이러한 다수의 열사용 모듈(41) 각각을 거친 고온수는 하나의 헤더부(Hearder Unit, 42)를 통해 모아져, 냉방, 난방, 또는 급탕용 온수를 필요로 하는 세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high temperature water passing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 using modules 41 is gathered through one header unit 42 so that it can be supplied to a household requiring cooling, heating, or hot water for hot water supply .

상기 인디케이터(Indicator, 50)는 전술된 다수의 열사용 모듈(41) 외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각 열사용 모듈(41)마다 회수 가능한 열저장에너지의 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장치이다.The indicator 50 is provided outside the plurality of heat utilization modules 41 and i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state of heat storage energy recoverable for each heat utilization module 41.

예를 들어, 열저장 유닛(30)이 열사용 모듈(41)에 탈착되어 장착된 상태가 아니거나, 또는 열사용 모듈(41)이 장착되어 있지만 더 이상 회수할 열에너지가 열사용 모듈(41)에 남아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외부에서 알기 쉽게 표시해 주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heat storage unit 30 is not detached from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and is not mounted, or if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is mounted, The user is able to display it from outside easily.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는 공용 주자장에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의 각 열사용 모듈(41)마다 열저장 유닛(30)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열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열저장 유닛(30)이 장착되어 있는 열사용 모듈(41)을 그렇지 않은 열사용 모듈(41)을 색상의 차이 또는 ON/OFF 상태 등을 통해,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heat storage unit 30 is installed in each heat using module 41 of the heat storing and utilizing devic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use module 41 in which the heat storage unit 30 capable of using heat energy is mounted is distinguished from the heat use module 41 in the case where the heat use module 41 is not present through color difference or ON / I will do it.

이렇게, 각 열저장 유닛(30)의 잔여 열에너지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실시예로, 열교환부(43)의 입/출구 상호간 온도차가 사전설정수준 이하(ΔT(in-out)<T*)(여기서, ΔT( in - out )는 측정되는 열교환기 입구와 출구의 온도차, T* 는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열교환기 입구와 출구의 온도차)의 조건인 경우, 잔여 열저장 밀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알려주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이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각 열교환부(43)의 입/출구 각각에는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 후, 별도의 제어부에서 이를 판단하여 인디케이터(50)를 작동하도록 할 수 있음이다.
As a method for grasping the state of the residual heat energy of each heat storage unit 30 in this wa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heat exchange unit 43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 T (in-out) <T * ) where ΔT ( in - out ) i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heat exchanger being measured, and T * i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heat exchanger preset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use a method of notifying the user that there is no such information. Of course, a temperature sensor may be installed at each of the inlet and the outlet of each of the heat exchanging units 43, and the temperature may be sensed by a separate controller to operate the indicator 50.

상기 에너지 메터(Energy Meter, ex: 열량계 등, 60)는 전술된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의 각 열사용 모듈(41)마다 설치되는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각 열사용 모듈(41)의 열교환부(43) 입/출구에 양단이 연결설치되는 것이다. The energy meter 60 is provided for each heat using module 41 of the heat storing and utilizing device 40 described above and more specifically,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inlet / outlet of the portion 43.

물론,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에 형성된 다수의 열사용 모듈(41)은 사전에 세대별 또는 사용자별로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에너지 메터(60)는 이렇게 사용되는 열사용 모듈(41)에 탈착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Of course, since the plurality of heat using modules 41 formed in the heat storing device 40 are previously allocated to each generation or each user, the energy meter 60 is used in the heat using module 41 So as to have a detachable structure.

이로써, 상기 열사용 모듈(41)별로,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의 전체 열공급에 기여한 부분이 계측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건물의 세대별 에너지 비용 정산시(ex: 월별 고지서 등) 기여 부분만큼 비용을 차감해주는 운영시스템 등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us, the portion contributing to the total heat supply of the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0 can be measured for each of the thermal utilization modules 41, so that the cost of the energy consumption cost portion And the like.

더불어, 본 발명에서 잉여 배열이 사용되고 난 후, 차량의 EGR 배관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열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스팀을 포함한 포화증기 형태이므로, EGR를 위해 EGR 배관을 통해 EGR 밸브로 유입되는 다른 배기가스와 합류되기 전에, 콘덴싱 유닛을 통해 콘덴싱(Condensing) 과정을 거쳐 배기가스에 포함된 물을 제거해주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exhaust gas discharged into the EGR pipe of the vehicle after the surplus arrangement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saturated steam including steam generated by the thermochemical reaction,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EGR pipe through the EGR pipe It is natural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must be removed through a condensing process through the condensing unit before joining with the exhaust ga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열저장 모듈 11: 돌출부
20: 배출수단 22: 배출홀
23: 압착돌기 24: 유동체
25: 탄성부재 30: 열저장 유닛
31: 열저장물질 40: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
41: 열사용 모듈 42: 헤더부
43: 열교환부 50: 인디케이터
60: 에너지 메터 70: 반응유발수단
71: 열원수단 72: 히팅수단
L2: 냉수 공급라인 L3: 스팀 공급라인
L4: 스팀용 냉수 공급라인 V1: 제 1 제어수단
V2: 제 2 제어수단 V3: 제 3 제어수단
V4: 제 4 제어수단
10: heat storage module 11: protrusion
20: discharge means 22: discharge hole
23: compression protrusion 24: fluid body
25: elastic member 30: heat storage unit
31: heat storage material 40: cavity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1: thermal use module 42: header portion
43: heat exchanger 50: indicator
60: energy meter 70: reaction inducing means
71: heat source means 72: heating means
L2: Cold water supply line L3: Steam supply line
L4: cold water supply line for steam V1: first control means
V2: second control means V3: third control means
V4: fourth control means

Claims (6)

이송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수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열교환되어 배기가스 열에 의해 가열되는 열저장물질(31)이 저장되어 있는 열저장 유닛(30);
상기 열저장 유닛(30)이 탈착가능한 다수의 열사용 모듈(41)로 구성되며, 고층건물의 열원수단과 연결되도록 고층건물에 인접설치됨으로써, 상기 열저장 유닛(30)에서 모아지는 잉여 열에너지가 냉/난방 및 급탕의 열에너지로 사용되도록 하는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는 고층건물이 사용하고 있는 냉/난방 및 급탕의 열원수단(71) 또는 히팅수단(72)에 의해, 장착된 열저장 유닛(30)이 활성화되기 위한 열에너지를 공급받되, 활성화된 이후, 상기 열사용 모듈(41)에 공급된 물이 열사용 모듈(41)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고온스팀 형태가 되어, 열저장 유닛(30)의 활성화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
A heat storage unit (30) detachably installed in the transfer means and storing a heat storage material (31) heat-exchanged with the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transfer means and heated by the exhaust gas heat;
The heat storage unit 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eat use modules 41 that are detachable,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igh-rise building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eat source unit of the high-rise building. Thus, surplus heat energy collected in the heat storage unit 30 And a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0) for use as thermal energy for cooling /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The common heat storage utilization apparatus 40 is constructed by the heat source unit 71 or the heating unit 72 of the cooling /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used in the high-rise building, so that the heat storage unit 30, The water supplied to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is supplied to the heat storage unit 30 after being supplied and activated by the heat energy generated by the heat utilization module 41, Of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사용 모듈(41)은
상기 열저장 유닛(3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냉/난방 및 급탕의 열원수단과 연결되어, 열저장 유닛(30)의 열에너지와 열교환되는 공급수가 유동되는 열교환부(43);
상기 각 열사용 모듈(41)의 사용가능유무에 따라, 열교환부(43)로의 공급수 공급여부 및 각 열저장 유닛(30)이 활성화되기 위한 열에너지의 공급여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 2, 3 제어수단(V2, V3);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ermal utilization module (41)
The heat storage unit 30 is detachably coupled,
A heat exchange unit 43 connected to the heat source unit of the cooling /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and flowing the supply water to be heat-exchanged with the thermal energy of the heat storage unit 30;
The second and third controls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supply of the water to the heat exchanging unit 43 and the supply of the thermal energy for activating the respective heat storing units 30 are controlled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the respective heat using modules 41 Means (V2, V3);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nsors arranged on the vehicle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는
상기 열사용 모듈(41)마다 설치되어, 회수가능한 열에너지의 사용가능 유/무를 표시해줌으로써, 열저장 유닛(30)의 교체시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50);
상기 열저장 유닛(30)이 장착된 다수의 열사용 모듈(41)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되어지는 열에너지양을 누적합산하는 에너지 메터(Energy Meter, 6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vity heat storage utilization device 40
An indicator (50) provided for each of the thermal utilization modules (41)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heat storage unit (30) can be replaced by indicating the availability of recoverable heat energy;
An energy meter (60) detachably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heat using modules (41) equipped with the heat storing unit (30) and cumulatively adding the amount of supplied heat energy;
Wherein the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compris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50)는
상기 공동 열저장 활용장치(40)의 내부에서, 냉수를 열교환에 의해 고온수가 되도록 하는 열교환부(43)의 전, 후단 온도차이가 사전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열저장 유닛(30)에 회수할 열에너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dicator (50)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heat exchanging part 43 for causing the hot water to be hot water by heat exchang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heat is recovered to the heat storage unit 30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re is no thermal energ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열사용 모듈(41)은
고층건물의 세대마다 사전에 동일하게 할당되거나, 또는 희망세대에 한해 할당하여, 상기 각 에너지 메터(60)의 누적합산량만큼, 해당세대에서 사용한 에너지사용 비용을 차감시켜주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thermal utilization modules (41)
And is used to deduct the energy use cost used by the household by the same amount as the cumulative sum of the energy meters 60, Vehicle surplus arrangement for high - rise buildings.
삭제delete
KR1020130078335A 2013-07-04 2013-07-04 Application device of automotive vehicle waste heat for high-storied building KR1014989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335A KR101498928B1 (en) 2013-07-04 2013-07-04 Application device of automotive vehicle waste heat for high-storied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335A KR101498928B1 (en) 2013-07-04 2013-07-04 Application device of automotive vehicle waste heat for high-storied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068A KR20150005068A (en) 2015-01-14
KR101498928B1 true KR101498928B1 (en) 2015-03-04

Family

ID=5247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335A KR101498928B1 (en) 2013-07-04 2013-07-04 Application device of automotive vehicle waste heat for high-storied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9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0159B2 (en) 2020-05-15 2023-09-1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building integrate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1778U (en) * 1979-10-13 1981-05-25
JP4617505B2 (en) * 2005-11-09 2011-01-26 三機工業株式会社 Latent heat storag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1778U (en) * 1979-10-13 1981-05-25
JP4617505B2 (en) * 2005-11-09 2011-01-26 三機工業株式会社 Latent heat storag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0159B2 (en) 2020-05-15 2023-09-1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building integrate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068A (en)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74730A (en) A kind of vehicle exhaust cyclic processing device
CN108915916A (en) Temperature control fuel oil switching valve
KR101498928B1 (en) Application device of automotive vehicle waste heat for high-storied building
CN203116135U (en) Solar boiler heat supply system
KR101045005B1 (en) Solar heatimg complex apparatus
KR20120058070A (en) Heating system for a vehicle using pcm
KR101168538B1 (en) Apartment house solar thermal energy hot water system equipped communal heat storage tank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8348758U (en) Waste heat recovery device and recovery system for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1598361B (en) Heating system with the combination of solar water heater and wall-mounted boiler
KR101331621B1 (en) Application device of waste heat for automotive vehicle and appl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3017234B (en) Heat supply system of solar boiler
KR101913265B1 (en) Self-sufficient solar fresh air heating and water preheating hybrid system
CN101915437A (en) Hydro-thermal recovery system in shower
CN205245306U (en) Supplementary air source heat pump&#39;s of phase change energy storage equipment heating system
CN201368525Y (en) Heat storage device with common heat source for domestic hot water and heating water
KR102303398B1 (en) heating apparatis using anti-start heater
CN104975921A (en) Heat-storage energy-saving preheating device
CN2929578Y (en) Pressure bearing type double system solar water heater
CN201589427U (en) Integral heat exchanging device with a buffer water box
KR101530981B1 (en) Heat storage unit and apparatus for storaging waste heat of vehicle using the same
CN210320616U (en) Water heater equipment utilizing waste heat of 10KW fuel cell
KR101577352B1 (en) Solar hot water heater with auxiliary heater for thermosyphon improvement and its operation method
CN209008344U (en) Air conditioning warm air system
CN220180510U (en) Ground heating device for motor home
CN211177405U (en) Heat accumulating type electric bo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