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784B1 -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784B1
KR101496784B1 KR1020130070849A KR20130070849A KR101496784B1 KR 101496784 B1 KR101496784 B1 KR 101496784B1 KR 1020130070849 A KR1020130070849 A KR 1020130070849A KR 20130070849 A KR20130070849 A KR 20130070849A KR 101496784 B1 KR101496784 B1 KR 101496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otation period
emitting device
w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491A (ko
Inventor
조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엠
조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엠, 조철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엠
Priority to KR102013007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7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수단에 장착된 발광수단의 점멸에 의거 발생되는 시각 잔상 효과를 이용하여 광고정보 등을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모리부에 시각 잔상이 유지될 수 있는 날개의 기준 회전주기가 미리 설정되는 단계;회전주기검출부가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를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거 상기 검출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를 만족하는지를 확인한 결과에 의거 상기 검출된 날개의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보다 커서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다른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들이 추가적으로 동작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풍속에 따른 회전날개의 회전주기와 상관없이 시각 잔상 효과를 유지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ing LED embeded at rotation blad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회전날개에 장착된 발광수단의 점멸에 의거 발생되는 시각 잔상 효과를 이용하여 광고 등의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소자의 점멸(ON/OFF)을 통해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또는/및 이미지등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요즘에는 풍력에 의거 회전되는 장치의 일종인 날개 등을 구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 발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전기를 생산하지 않더라도 바람 또는 전기에 의거 회전되는 날개를 가진 장치를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에 점멸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장착하여 정보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람에 의거 회전되는 날개의 회전주기는 바람의 속도 (풍속)에 종속되며, 그로 인해 날개의 회전주기가 일정하지 않게 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날개에 장착된 조명장치의 점멸위치가 가변 되므로, 가독성이 부족하거나 아예 시각 잔상 효과를 유지할 수 없어 (광고)정보 출력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되는 날개에 발광소자를 탑재하여 정보를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가변되는 풍속에 종속되지 않는 장치와 방법이 필요하다.
등록특허 제10-1061210호(2011.09.01)
본 발명은 풍속에 종속되는 회전날개의 회전주기와 상관없이 시각 잔상 효과를 유지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와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는,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를 검출하는 회전주기 검출부 (72) ; 상기 검출되는 날개의 회전주기와 미리 설정된 날개의 기준 회전주기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 모듈 중에서 동작 될 발광소자 모듈 정보 및 출력될 정보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74); 상기 회전주기 검출부가 날개의 회전주기를 검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검출된 회전주기와 기준 회전주기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1개의 발광소자모듈 또는 미리 정한 갯수의 발광소자모듈들이 동작 되도록 발광소자 구동부(75)를 제어하는 제어부 (71); 및 상기 발광소자 모듈을 통해 출력될 정보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입력부 (73);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은, 메모리부에 시각 잔상이 유지될 수 있는 날개의 기준 회전주기가 미리 설정되는 단계; 발광소자가 구성된 제 1 발광소자모듈이 탑재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를 회전주기검출부가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거 상기 검출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를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검출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제 2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들이 추가적으로 동작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가변되는 풍속에 따른 회전날개의 회전주기와 상관없이 시각 잔상 효과를 유지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수단인 날개에 장착된 발광소자의 점멸에 따른 시각 잔상 효과가 유지될 수 있는 날개의 기준회전주기와 현재 측정된 회전주기를 비교한 결과에 의거, 현재 동작되고 있던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들 이외의 다른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들도 추가적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시각 잔상 효과를 계속 유지시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a,1b,1c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바람에 의거 회전되는 장치 및 여러 종류(원형, 수직, 수평등)로 구성된 회전날개에 발광소자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회전날개(20)에 발광소자모듈(40)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1개의 회전날개(20)에 복수개의 발광소자모듈(40,44)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회전날개에 장착된 발광소자 모듈이 회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풍력에 의거 동작되는 회전날개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회전날개에 장착된 발광소자 모듈의 점멸 및 회전에 의거 시각 잔상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의 블록도
도 8은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회전되는 수단(이하 회전수단)으로써 날개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날개 이외의 회전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수단에 장착되는 발광소자로써 LED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점멸(ON/OFF) 동작이 가능한 모든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각 도면을 인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a,1b,1c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바람에 의거 회전되는 장치 및 여러 종류(원형, 수평, 수직등)로 구성가능한 회전날개에 발광소자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회전날개(20)에 발광소자모듈(40)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1개의 회전날개(20)에 복수개의 발광소자모듈(40,44)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회전날개에 장착된 발광소자 모듈이 회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풍력에 의거 동작되는 회전날개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회전날개에 장착된 발광소자 모듈의 점멸 및 회전에 의거 시각 잔상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8은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풍력을 이용하여 동작되는 장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며 풍력에 따른 동작 및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 구성들이 포함되어 있는 몸체(30)와, 상기 몸체와 결합된 회전축(15)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날개(20,21,22)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또한 도 1a 는 상기 회전되는 각 날개(20,21,22)중에서, 날개(20)에 발광소자 일종인 LED 모듈(40)이 장착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1a 는 상기 회전되는 각 날개(20,21,22)에 발광소자 일종인 LED 모듈(40,41,42)들이 장착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 1 발광소자 모듈(40), 제 2 발광소자 모듈(41), 제 3 발광소자 모듈(42)이 3개의 날개에 각각 장착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의 날개가 구성될 수도 있고, 4개 이상의 날개가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동작의 제 1 순서는 제 1 발광소자 모듈(40), 제 2 순서는 제 2 발광소자 모듈(41), 제 3순서는 제 3 발광소자 모듈(42)로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발광소자 모듈을 전원이 인가시 디폴트(제 1 순위)로 동작되는 것으로 설정한다.
상기 LED 모듈은 각 날개에 1개씩 각각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의 날개에만 장착되거나 일부 날개에는 복수 개의 LED모듈이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동작 순서를 정함에 있어서도, 1개의 날개에 복수개의 발광소자 모듈이 구성된 경우에는 고려될 수 있다.
한편, 도 1b는 날개(20,21)가 수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날개 20 또는/및 날개 21에 발광소자 모듈(40)이 구성된 것을 나타낸 다른 실시 예 도면이다.
도 1c는 날개(20,21)가 수평으로 형성된 상태에서,날개 20 또는/및 날개 21에 발광소자 모듈(40,41)이 구성된 것을 나타낸 다른 실시 예 도면이다.
즉, 상기의 여러 실시 예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떤 타입, 어떤 구성에 의하든 회전가능한 날개에 발광소자를 구성하고, 풍속에 의거 추가적으로 다른 날개에 있는 발광소자 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날개(20)에 1개의 발광소자 모듈(40)이 장착되며, 발광소자(45)가 구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1개 날개(20)에 복수 개의 발광소자 모듈(40,,44)이 장착되며, 발광소자(45,46)가 각각 구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에서 각 발광소자 모듈에 구성된 발광소자는 복수 개가 구성되며, 각 발광소자의 점멸 및 점멸위치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출력될 (광고)정보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발광소자가 점멸될 것이고, 또한 광고 정보의 위치정보에 의거 점멸시간도 다르게 설정될 것이다.
예를 들어, 출력될 정보가 "가"인 경우, 상기 "가"에 대한 위치정보가 메모리부에 저장될 것이며,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발광소자가 ON되며, 또한 ON 시간이 유지되도록 제어부가 점멸을 제어할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구성된 발광소자 모듈(40)이 각각 장착된 날개(20,21,22)가 회전시에 잔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로써, 복수의 발광소자가 구성된 발광소자 모듈(40)이 각각 장착된 날개(20,21,22)가 회전 및 발광소자들의 점멸에 의거 시각 잔상효과에 따른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인용하여 본 발명의 동작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8은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1a,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한 날개 (20,21,22)에 발광소자 모듈(40,41,42)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소자의 점멸(ON/OFF)에 의거 (광고)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는 다음을 포함하여 동작한다.
날개의 회전주기를 검출하는 회전주기 검출부 (72);와 상기 검출되는 날개의 회전주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 모듈 중에서 동작 될 발광소자 모듈 정보 또는 출력될 정보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74); 와 상기 회전주기 검출부가 날개의 회전주기를 검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검출된 회전주기와 기준 회전주기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발광소자모듈이 동작 되도록 발광소자 구동부(75)를 제어하는 제어부 (71); 및 상기 발광소자 모듈을 통해 출력될 정보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입력부 (73);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상기에서, 발광소자 모듈이 탑재된 날개의 회전주기를 검출하기 위해, 몸체(30) 내부 또는 외부에는 회전축(15)의 회전주기에 따라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수단 및 그에 의거 ON/OFF되는 광센서가 구성되거나 다른 수단에 의거 회전주기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시각 잔상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기준회전주기를 미리 실험을 통해 설정하여 메모리부(74)에 저장한다.
또한 출력될 각 정보 (예를 들어 문자, 숫자, 기호등)에 대한 각각의 위치 정보 (가로,세로등)가 메모리부에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발광소자가 점멸될 것이고, 또한 점등유지시간도 제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시각의 잔상이 유지될 수 있는 날개의 기준 회전주기정보는 미리 설정되며 빛의 밝기 및 색도에 의거 가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발광소자가 장착된 1개의 발광소자 모듈이 동작되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주기 검출부에 의거 검출된 날개의 회전주기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회전주기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제어부가 판단하여,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발광소자 모듈의 동작 순서에 의거 다른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가 추가적으로 점멸 되도록 제어될 것이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발광소자 모듈이 구성된 상태에서, 제 1 발광소자 모듈에 구성된 발광소자들만의 점멸에 의거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 상기와 같이 현재 회전주기와 기준회전주기를 비교하여, 현재 회전주기가 기준회전주기보다 큰 경우에는, 현재 동작되고 있는 제 1 발광소자 모듈 바로 다음의 날개에 구성되어 있는 제 2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들도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될 정보의 위치에서 점멸되도록 제어부가 제어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되는 정보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으로 동작될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 점멸 위치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될 정보의 위치정보에 의거 이미 동작되고 있었던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 점멸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발광소자가 점멸되도록 제어부가 LED 구동부(75)를 제어한다.
도 8은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발광소자 모듈(40,41,42)의 발광소자 중에서, 발광소자 모듈(40)의 발광소자들이 제 1 순서로 동작되도록 설정되고, 날개의 회전주기와 기준회전주기와의 비교에 의거 제 2 발광소자 모듈(41), 제 3발광소자모듈(42)의 순서에 의거 각각 또는 동시에 동작 되도록 설정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3 발광소자모듈(42)이 제 2 발광소자모듈(41)보다 먼저 동작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동작될 조합 발광소자모듈에 있어서도 (40 ONLY), (40 및 41), (40 및 42), (40,41 및 42)와 같은 조합에 의거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발광소자 모듈(40)의 발광소자들이 동작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먼저 현재 회전주기와 기준회전주기를 확인하여, 그 결과에 의거 제 1 발광소자 모듈(40)의 발광소자들만 동작하게 하거나, 추가적으로 제 2,3 발광소자모듈(41,42)들도 함께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각 잔상이 유지될 수 있는 날개의 기준 회전주기를 메모리부(74)에 미리 설정한다. (S 801)
회전주기검출부에 의거 검출될 날개의 회전주기와 상기 설정된 기준회전 주기와의 비교에 의거, 복수 개의 각 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 모듈 중에서 다른 발광소자 모듈이 추가적으로 동작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동작 될 발광소자 모듈의 동작 순서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S 803).
예를 들어, 현재 동작되고 있는 발광소자 모듈의 바로 다음에서 회전되고 있는 날개에 장착된 발광소자 모듈이 추가적으로 동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회전주기검출부에 의거 현재 동작 중인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가 검출된다. (S 805)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를 만족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상기 검출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보다 크지 않아 만족한 경우에는, 현재 동작되고 있는 발광소자 모듈만에 의거 정보출력동작이 반복된다.(S 807, S 809).
한편,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를 만족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상기 검출된 날개의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보다 커서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동작 순서의 날개에 구비된 제 2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가 추가적으로 동작되도록 제어되는 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 1 동작 순서(예를 들어 현재 동작되고 있는 제 1 발광소자 모듈의 바로 다음의 날개에 구성된 제 2 발광소자 모듈)의 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들이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점멸되는 발광소자의 위치 (예를 들어 각 모듈에 구성되어 있는 발광소자에는 위치별로 번호가 부여될 수 있으며, 출력될 정보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제어부가 해당 번호의 발광소자를 제어하여 점멸 동작이 이루어짐)는 제어부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출력될 정보의 위치정보에 의거 추가적으로 동작될 발광소자 모듈에서의 해당 발광소자가 선택적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출력될 정보의 위치에서 제 1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가 먼저 점멸된 후, 추가적으로 동작되는 제 2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가 상기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점멸되어 시각 잔상효과를 유지함과 동시에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바람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동작될 발광소자 모듈 및 발광소자모듈의 갯수를 다음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예를 들어 3초)를 시각 잔상을 유지할 수 있는 기준회전주기(예를 들어 2초)와의 비교를 통해 추가적으로 동작될 발광소자 모듈의 갯수를 결정하기 위해 미리 정한 수(예를 들어 2)로 나눈 현재 회전주기(1.5초)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2초)를 만족한 경우에는, 현재 동작되고 있는 제 1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들 이외 추가적으로 1 개 이상의 발광소자모듈(예를 들어 제 2 동작순서인 제 2 발광소자모듈)에 구성된 발광소자들이 출력될 정보의 위치에서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S 807, S 811).
상기에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를 나눌 미리 정한 수(예를 들어 2)는, 상기 나눔을 통해 시각 잔상효과를 위해 기준회전주기보다는 낮은 수가 나와야 되고 또한 추가적으로 동작될 적절한 발광소자 모듈의 수를 정하기 위해 최초에는 적어도 1보다는 크고 2보다는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동작되는 1개의 발광소자 모듈은 나누는 수가 1 이 될 것이고, 풍속이 느려져 날개가 천천히 회전됨에 따라 상기 1개의 발광소자모듈만의 동작으로는 시각잔상효과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1차적으로는 2개의 발광소자모듈에 구성된 각 발광소자들이 동작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도 시각잔상효과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점점 나눌 숫자의 크기를 크게 하여 동작 될 발광소자모듈의 갯수를 3개,4개, 5개...로 하여 발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나눌 숫자와 동작 될 발광소자모듈의 숫자는 대응관계에 있다.
한편, 측정된 현재 회전주기가 5초인 경우, 미리 정한 수 (예를 들어 2)로 나눈 회전주기(2.5초)값이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2초)를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추가적으로 동작되는 제 2 발광소자 모듈과 함께 새로운 발광소자 모듈(제 3 발광소자 모듈)이 동작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추가적으로 동작되는 발광소자 모듈(제 2 발광소자 모듈) 및 새롭게 동작되는 발광소자 모듈(제 3 발광소자 모듈)에서의 각 발광소자들의 점멸 동작 위치는, 제어부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출력될 정보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해당 모듈의 발광소자가 선택적으로 점멸(ON/OFF)되도록 제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의 풍속에 종속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현재 회전주기를 검출하여 기준 회전주기와의 비교를 통해 추가적으로 발광소자 모듈을 동작시킴으로써 풍속에 영향없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지지대, 15 : 회전축, 20,21,22 : 날개, 30 : 몸체, 40,41,42 : LED 발광소자 모듈 1, 44 : LED 발광소자 모듈 2, 45,46 : 발광소자, 71 : 제어부, 72 : 회전주기 검출부, 73 : 사용자명령 입력부, 74 : 메모리부, 75 : LED 구동부

Claims (7)

  1. 회전되는 날개에 발광소자 모듈을 구비하고 발광소자의 점멸(On/Off)에 의거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를 검출하는 회전주기 검출부 (72) ;
    상기 검출되는 날개의 회전주기와 미리 설정된 날개의 기준 회전주기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 모듈 중에서 동작 될 발광소자 모듈 정보 및 출력될 정보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74);
    상기 회전주기 검출부가 날개의 회전주기를 검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검출된 회전주기와 기준 회전주기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어느 한 날개에 구비된 제1 발광소자모듈 및 다른 날개에 구비된 제2 발광소자모듈이 동작되도록 발광소자 발광소자 구동부(75)를 제어하는 제어부 (71); 및
    상기 발광소자 모듈을 통해 출력될 정보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입력부 (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주기 검출부에 의거 검출된 날개의 회전주기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회전주기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발광소자 모듈의 동작 순서에 의거 상기 제2 발광소자모듈의 발광소자도 추가적으로 동작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으로 동작될 제 2 발광소자 모듈에 구성된 발광소자들의 점멸 위치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될 정보의 위치정보에 의거 이미 동작되고 있었던 제 1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 점멸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발광소자가 점멸되도록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3. 메모리부에 시각 잔상이 유지될 수 있는 날개의 기준 회전주기가 미리 설정되는 단계;
    발광소자가 구성된 제 1 발광소자모듈이 탑재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를 회전주기검출부가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거 상기 검출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를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검출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제 2 발광소자 모듈의 발광소자들이 추가적으로 동작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4. 시각 잔상이 유지될 수 있는 날개의 기준 회전주기가 메모리부에 미리 설정되는 단계;
    회전주기검출부에 의거 검출될 날개의 회전주기와 상기 설정된 기준회전 주기와의 비교에 의거, 복수 개의 각 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 모듈 중에서 동작될 발광소자 모듈의 동작 순서가 미리 설정되는 단계;
    회전주기검출부에 의거 제 1 발광소자모듈이 장착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가 검출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를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검출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보다 커서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날개의 현재 회전주기를 미리 정한 수로 나누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나누어진 날개의 회전주기 값이 기준 회전주기값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나누어진 날개의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를 만족한 경우에는, 상기 설정된 동작순서의 제 2 발광소자 모듈에 구성된 발광소자들이 추가적으로 동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나누어진 날개의 회전주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 회전주기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 1,2 및 3 발광소자 모듈에 구성된 발광소자들이 정보를 출력할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되는 제 2 발광소자 모듈 및 제 3 발광소자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모듈에서의 각 발광소자들의 점멸 동작 위치는, 제어부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출력될 정보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발광소자가 점멸(ON/OFF)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7. 삭제
KR1020130070849A 2013-06-20 2013-06-20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49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849A KR101496784B1 (ko) 2013-06-20 2013-06-20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849A KR101496784B1 (ko) 2013-06-20 2013-06-20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91A KR20140147491A (ko) 2014-12-30
KR101496784B1 true KR101496784B1 (ko) 2015-03-02

Family

ID=5267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849A KR101496784B1 (ko) 2013-06-20 2013-06-20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7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623B1 (ko) 2018-01-17 2018-11-08 주식회사 청우이디에스 도로용 회전 경광 장치
KR102067007B1 (ko) * 2017-08-18 2020-03-02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자가발전이 가능한 IoT 기반의 시설물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180A (ko) * 2006-03-24 2006-04-14 강용기 문양을 구현하기 위한 선풍기의 구동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장치
KR20090000457A (ko) * 2007-06-28 2009-01-07 송영웅 선풍기의 발광다이오드 어셈블리를 통해 다양한 문자 표현 방식을 이루는 문자 구현 장치
KR101061210B1 (ko) * 2010-12-10 2011-09-01 주식회사 코비스 풍력 발전을 이용한 회전 전광판 및 구동방법
KR20130048432A (ko) * 2011-11-02 2013-05-10 김미경 다중 발전구조를 갖는 풍력발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180A (ko) * 2006-03-24 2006-04-14 강용기 문양을 구현하기 위한 선풍기의 구동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장치
KR20090000457A (ko) * 2007-06-28 2009-01-07 송영웅 선풍기의 발광다이오드 어셈블리를 통해 다양한 문자 표현 방식을 이루는 문자 구현 장치
KR101061210B1 (ko) * 2010-12-10 2011-09-01 주식회사 코비스 풍력 발전을 이용한 회전 전광판 및 구동방법
KR20130048432A (ko) * 2011-11-02 2013-05-10 김미경 다중 발전구조를 갖는 풍력발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007B1 (ko) * 2017-08-18 2020-03-02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자가발전이 가능한 IoT 기반의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916623B1 (ko) 2018-01-17 2018-11-08 주식회사 청우이디에스 도로용 회전 경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91A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33801A5 (ko)
JP2011023288A5 (ko)
WO2014130997A1 (en) Luminaire having multiple sensors and independantly-controllable sources
KR200490728Y1 (ko) 컴퓨터 오버클록의 제어 장치
CN106672224B (zh) 一种无人机及其控制方法
KR101496784B1 (ko) 회전날개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60363470A1 (en) Airflow Sensor and Airflow Detecting Module
KR20170053016A (ko) 동작상태의 파악이 용이한 감성 에어벤트
EP3220538A3 (en) Motor controller
CN113163240A (zh) 电视机的控制方法、装置、电视机和存储介质
CN101408712B (zh) 投影机提示系统
RU2017118873A (ru) Светодиодная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US8989937B2 (en) Emergency stee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20210349480A1 (en) Operable wall assembly control using voice commands
US20150167684A1 (en) Fan testing system and method
KR101574938B1 (ko) 무대 장치의 가상 위치 운전 시스템
JP2014168317A (ja) モータ駆動装置
KR101962548B1 (ko) 회전형 엘이디 삼각대
JP2007003477A (ja) 風速情報提供装置
CN105588252A (zh) 一种主动热释电红外智能开关
WO2018072693A1 (zh) 飞行器的控制方法、装置及飞行器
EP3422821B1 (en) Lighting device and method in connection with a lighting device
JP6943132B2 (ja) インバータ
JP6587754B2 (ja) 空気調和機
KR20160082888A (ko) 모터 회전방향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