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301B1 -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301B1
KR101496301B1 KR1020130021305A KR20130021305A KR101496301B1 KR 101496301 B1 KR101496301 B1 KR 101496301B1 KR 1020130021305 A KR1020130021305 A KR 1020130021305A KR 20130021305 A KR20130021305 A KR 20130021305A KR 101496301 B1 KR101496301 B1 KR 101496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fuel
fuel
heavy oil
moto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955A (ko
Inventor
손창진
김범진
Original Assignee
(주)티제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제이테크 filed Critical (주)티제이테크
Priority to KR102013002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301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32Liquid carbonaceous fuels consisting of coal-oil suspensions or aqueous emulsions or oil emulsions
    • C10L1/328Oil emulsions containing water or any other hydrophilic pha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생산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은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연료보관 용기 내에 고루 섞여 담길 수 있도록 혼합비를 기설정한 후, 점성을 떨어뜨리는 대신 유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바이오 연료가 담긴 제 1 히터와 중유가 담긴 제 2 히터에 일정온도의 열이 가해지도록 기구비된 제 1, 2 온도조절기로 조절하고, 단위시간당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기설정된 혼합비에 맞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2 모터제어기로 바이오 연료의 분사율과 중유의 분사율을 제어해 비중이 서로 다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연료보관 용기에 고루 섞여 담기는 신산업용 연료를 대량 생산해 냄으로써, 연료가격과 대비해 열효율면에 전혀 뒤떨어지지 않으면서 오히려 상대적으로 우수한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혼합된 신산업용 연료를 대다수 국민들뿐만 아니라, 연료집약형 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기업체 및 이와 연관되어 업을 영위하는 사업장에 제공하고, 연료수입에 대한 부담감을 최대한 줄이면서 이를 필요로 구매하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많은 사업체 및 대다수 국민들의 연료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시켜 주어 원유를 수입해야 하는 차원에서의 에너지 절약은 물론 국가기간 산업발전 및 신동력 산업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Uniformity Mixture System of Bio Fuel and Heavy Oil and Manufactur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생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위시간당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기설정된 혼합비에 맞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2 모터제어기로 바이오 연료의 분사율과 중유의 분사율을 제어해 비중이 서로 다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연료보관 용기에 고루 섞인 신산업용 연료를 대량 생산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및 디젤 연료와 같은 석유를 원천으로 하는 연료에 대한 대체 연료를 모색하는 노력은 바이오디젤 연료의 개발을 가져왔다. 종래의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오일 또는 지방의 에스테르 교환반응(transesterification)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한 공정에서, 식물성 지방 또는 오일은, 촉매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통상 대기압 하에 추가적 에너지를 공급하면서, 전형적으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인 에스테르화제와 반응한다. 상기 반응의 시간은 온도에 따라서 0.5시간 내지 8시간 범위일 수 있다.
원재료 가격을 기준으로, 바이오디젤은 예를 들면 현재 유럽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했을 때, 통상적 디젤 연료보다 현저히 비싸다. 현재는 비-석유계 연료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인센티브가 있기 때문에, "주유소에서의(at the pump)" 최종 가격은 동등할 수 있다.
따라서, 비-석유계 연료, 구체적으로는 재생가능한 식물 공급원을 기재로하는 연료 분야에서의 가일층 개선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 석유 자원의 한계성에 따라 국제 유가는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고유가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자원이 부족한 국내에서는 에너지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환경오염물질 해결에 대한 연구가 동시에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 산업체에서는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중유인 벙커 C유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벙커 C유는 국내 정유시설의 상압증류과정에서 발생하는 약 40% 정도의 중질유분으로부터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정유사는 고급 경질유의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정유시설의 고도화 설비를 통한 경질유 생산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중유의 판매 가격은 크게 상승하였다. 또한, 제도적으로 환경규제 강화등의 복합적인 요인들은 중유의 연료 이용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산업현장에서는 중유 가격 상승에 따라 증가된 연료비를 절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연소성 향상방안 및 오염물질 발생 저감에 대한 기술적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로서 대두유, 유채유, 카놀라유, 팜유, 자트로파유 등으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기술과, 옥수수나 카사바, 감자, 고구마 등의 전분작물로부터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기술들이 폭넓게 연구되고, 실제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식용작물들로부터 오일을 얻는 것으로 전 세계 식량자원의 고갈에 따른 책임을 회피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바이오매스로서 농작물의 줄기, 야자수나 팜, 카놀라, 자트로파에서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껍질 등의 목질계 탄화수소, 해양에서 얻는 조류 등의 바이오매스로부터 오일을 얻으려고 시도되고 있으며, 폐플라스틱 등록특허 10-1162612이나 유기폐기물로부터 오일을 얻으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나 방법으로는 국제공개 WO 2009/095693 A2에서와 같이 150 내지 200℃의 스팀으로 가열하여 바이오에탄올이나 바이오디젤을 생성하는 방법이 있으며, 미국특허 제5,190,226호에서와 같이 증기를 사용하여 오토클레이브에서 배치식으로 바이오디젤을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6,752,337호에는 증기를 사용한 연속식 바이오디젤 제조공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285171호, 일본공개특허 제2002-121571호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2-088379호에는 바이오매스를 가스화하는 방법과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연료보관 용기 내에 고루 섞여 담길 수 있도록 혼합비를 기설정한 후, 점성을 떨어뜨리는 대신 유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바이오 연료가 담긴 제 1 히터와 중유가 담긴 제 2 히터에 일정온도의 열이 가해지도록 기구비된 제 1, 2 온도조절기로 조절하고, 단위시간당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기설정된 혼합비에 맞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2 모터제어기로 바이오 연료의 분사율과 중유의 분사율을 제어해 비중이 서로 다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연료보관 용기에 고루 섞여 담기는 신산업용 연료를 대량 생산함으로써, 연료가격과 대비해 열효율면에 전혀 뒤떨어지지 않으면서 오히려 상대적으로 우수한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혼합된 신산업용 연료를 대다수 국민들뿐만 아니라, 연료집약형 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기업체 및 이와 연관되어 업을 영위하는 사업장에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연료수입에 대한 부담감을 최대한 줄이면서 이를 필요로 구매하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많은 사업체 및 대다수 국민들의 연료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원유를 수입해야 하는 차원에서의 에너지 절약은 물론 국가기간 산업발전 및 신동력 산업에 크게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는, 바이오 연료를 담은 제 1 용기를 가열하는 제 1 히터; 상기 제 1 용기에 가해지는 열을 온도 조절하는 제 1 온도조절기; 상기 바이오 연료를 펌핑(pumping) 동작으로 이동 공급하는 제 1 공급수단; 상기 제 1 공급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바이오 연료의 제 1 분사율을 제어하는 제 1 모터 제어기; 중유를 담은 제 2 용기를 가열하는 제 2 히터; 상기 제 2 용기에 가해지는 열을 온도 조절하는 제 2 온도조절기; 상기 중유를 펌핑(pumping) 동작으로 이동 공급하는 제 2 공급수단; 상기 제 2 공급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중유의 제 2 분사율을 제어하는 제 2 모터 제어기; 및 상기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기설정된 혼합비에 맞게 고루 섞인 혼합물을 담는 연료보관 용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제 1 히터가 바이오 연료를 담은 제 1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제 1 온도조절기가 상기 제 1 용기에 가해지는 열을 온도 조절하는 단계; 제 1 공급수단이 상기 바이오 연료를 펌핑(pumping) 동작으로 이동 공급하는 단계; 제 2 히터가 중유를 담은 제 2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제 2 온도조절기가 상기 제 2 용기에 가해지는 열을 온도 조절하는 단계; 제 2 공급수단이 상기 중유를 펌핑(pumping) 동작으로 이동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터 제어기가 상기 제 1 공급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바이오 연료의 제 1 분사율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 2 모터 제어기가 상기 제 2 공급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중유의 제 2 분사율을 제어하는 단계; 및 연료보관 용기가 상기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기설정된 혼합비에 맞게 고루 섞인 혼합물을 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은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연료보관 용기 내에 고루 섞여 담길 수 있도록 혼합비를 기설정한 후, 점성을 떨어뜨리는 대신 유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바이오 연료가 담긴 제 1 히터와 중유가 담긴 제 2 히터에 일정온도의 열이 가해지도록 기구비된 제 1, 2 온도조절기로 조절하고, 단위시간당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기설정된 혼합비에 맞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2 모터제어기로 바이오 연료의 분사율과 중유의 분사율을 제어해 비중이 서로 다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연료보관 용기에 고루 섞여 담기는 신산업용 연료를 대량 생산함으로써, 연료가격과 대비해 열효율면에 전혀 뒤떨어지지 않으면서 오히려 상대적으로 우수한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혼합된 신산업용 연료를 대다수 국민들뿐만 아니라, 연료집약형 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기업체 및 이와 연관되어 업을 영위하는 사업장에 제공하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수입에 대한 부담감을 최대한 줄이면서 이를 필요로 구매하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많은 사업체 및 대다수 국민들의 연료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시켜 주는 제 2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원유를 수입해야 하는 차원에서의 에너지 절약은 물론 국가기간 산업발전 및 신동력 산업에 크게 이바지하는 제 3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을 좀더 실물적으로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을 좀더 실물적으로 나타낸 다른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1000)은 단위시간당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기설정된 혼합비에 맞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2 모터제어기로 바이오 연료의 분사율과 중유의 분사율을 제어해 비중이 서로 다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연료보관 용기에 고루 섞인 신산업용 연료를 대량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제 1, 2 용기(100, 700), 제 1, 2 히터(110, 710), 제 1, 2, 3 온도조절기(120, 720, 420), 제 1, 2 공급수단(200, 500), 제 1, 2 모터 제어기(300, 600), 항온기(410) 및 연료보관 용기(400)를 포함한다.
제 1 히터(110)는 바이오 연료를 담은 제 1 용기(100)를 가열하는 장치이며, 제 2 히터(710)는 중유를 담은 제 2 용기(700)를 가열하는 장치인 것으로, 제 1, 2 히터(110, 710)가 60 내지 80도의 열을 제 1, 2 용기(100, 700)에 각각 인가함에 따라, 0.967의 비중을 갖는 바이오 연료와 0.954의 비중을 갖는 중유는 기준 점도보다 낮게 하락하는 반면 기준 유동율보다 높게 상승한다.
이때, 제 1 온도조절기(120)는 제 1 용기(100)에 가해지는 열을 60 내지 80도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 조절한다.
제 1 공급수단(200)은 바이오 연료를 펌핑(pumping) 동작으로 이동 공급하는 수단인 것으로,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모터(M1), 제 1 펌프(210) 및 제 1, 2 파이프관(130, 220)을 포함한다.
제 1 모터 제어기(300)는 제 1 공급수단(200)을 통해 입력된 바이오 연료의 제 1 분사율(바이오 연료 중 단위시간당 연료보관 용기 내 뿌려지는 할당% 일컫음)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즉, 제 1 모터 제어기(300)가 제 1 공급수단(200) 중 하나인 제 1 모터(M1)를 제어함에 따라, 제 1 모터(M1)는 제 1 펌프(210)를 펌핑(pumping)시켜 제 1 용기(100) 내 삽입된 제 1 파이프관(130)을 통해 올라온 바이오 연료를 제 2 파이프관(220)으로 이송한다.
제 2 파이프관(220)의 종단에 구비된 제 1 노즐은 바이오 연료를 단위시간당 제 1 분사율로 연료보관 용기(400) 내 분사시켜 연료보관 용기(400) 내에 동시 분사되는 중유와 충돌시킨다.
이때, 제 2 온도조절기(720)는 상기 제 1 온도조절기(120)와 마찬가지 동일사항으로 제 2 용기(700)에 가해지는 열을 60 내지 80도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 조절한다.
제 2 공급수단(500)은 중유를 펌핑(pumping) 동작으로 이동 공급하는 수단인 것으로, 제 2 모터(M2), 제 2 펌프(510) 및 제 3, 4 파이프관(730, 520)을 포함한다.
제 2 모터 제어기(600)는 제 2 공급수단(500)을 통해 입력된 중유의 제 2 분사율(중유 중 단위시간당 연료보관 용기 내 뿌려지는 할당%을 일컫음)을 제어한다.
제 2 모터 제어기(600)가 기연결된 제 2 모터(M2)를 제어함에 따라, 제 2 모터(M2)는 제 2 펌프(510)를 펌핑(Pumping)시켜 제 2 용기(700) 내 삽입된 제 3 파이프관(730)을 통해 올라온 중유를 제 4 파이프관(520)으로 이송한다.
제 4 파이프관(520)의 종단에 구비된 제 2 노즐은 중유를 단위시간당 제 2 분사율로 연료보관 용기(400) 내 분사시켜 연료보관 용기(400) 내에 동시 분사되는 바이오 연료와 충돌시킨다.
연료보관 용기(400)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기설정된 혼합비에 맞게 고루 섞인 혼합물을 담을 수 있는 장치로, 각기 다른 비중치를 갖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혼합물인 신산업용 연료를 대량으로 보관한다.
9,900 내지 10,100kcal/l의 열량을 갖는 중유와 9,200 내지 9,400kcal/l의 열량을 갖는 바이오 연료가 단위시간당 약 1: 9의 혼합비로 고루 섞임에 따라, 혼합물인 신산업용 연료는 9400 내지 9600kcal/l의 열량을 갖는다.
여기서, 바이오 연료 대비 중유 혼합비는 0.5 내지 0.15 : 0.85 내지 0.95 범주 내 속해 있음에 유의한다.
이어서,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연료보관 용기(400) 하단에 배치된 항온기(410)는 15 내지 20도의 열을 연료보관 용기(400)에 인가함에 따라, 신산업용 연료는 기준 점도치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갖는 반면 기준 유동치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항온기(410)와 기연결된 제 3 온도조절기(420)는 연료보관 용기(400)가 15 내지 20도의 열을 일정기간 동안 제공받도록 온도 조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단위시간당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기설정된 혼합비에 맞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2 모터제어기로 바이오 연료의 분사율과 중유의 분사율을 제어해 비중이 서로 다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연료보관 용기에 고루 섞인 신산업용 연료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이다.
먼저, 제 1 히터는 바이오 연료를 담은 제 1 용기를 60 내지 80도의 열로 가열한다(S100).
제 1 온도조절기는 제 1 용기에 가해지는 열을 온도 조절한다(S110).
제 1 공급수단은 바이오 연료를 펌핑(pumping) 동작으로 이동 공급한다(S120).
제 2 히터는 중유를 담은 제 2 용기를 60 내지 80도의 열로 가열한다(S130).
여기서, 제 1, 2 히터가 제 1, 2 용기를 가열함에 따라, 0.967의 비중을 갖는 바이오 연료와 0.954의 비중을 갖는 중유는 기준 점도보다 낮게 하락하는 반면 기준 유동율보다 높게 상승함에 유의한다.
제 2 온도조절기는 제 2 용기에 가해지는 열을 온도 조절한다(S140).
제 2 공급수단은 중유를 펌핑(pumping) 동작으로 이동 공급한다(S150).
제 1 모터 제어기는 제 1 공급수단을 통해 입력된 바이오 연료의 제 1 분사율을 제어한다(S160).
좀 더 구체적으로, 제 1 공급수단이 제 1 모터, 제 1 펌프 및 제 1, 2 파이프관을 포함하는 수단임을 전제로, 제 1 모터 제어기가 제 1 공급수단 중 하나인 제 1 모터를 제어함에 따라, 제 1 모터는 제 1 펌프를 펌핑(pumping)시켜 제 1 용기 내 삽입된 제 1 파이프관을 통해 올라온 바이오 연료를 제 2 파이프관으로 이송한다.
이후, 제 2 파이프관의 종단에 탑재된 제 1 노즐은 바이오 연료를 단위시간당 제 1 분사율로 연료보관 용기 내 분사시켜 연료보관 용기 내에 동시 분사되는 중유와 충돌되도록 유도한다.
제 2 모터 제어기는 제 2 공급수단을 통해 입력된 중유의 제 2 분사율을 제어한다(S170).
제 2 공급수단이 제 2 모터, 제 2 펌프 및 제 3, 4 파이프관을 포함하는 수단임을 전제로 둘 경우, 제 2 모터 제어기는 기연결된 제 2 모터를 제어함에 따라, 제 2 모터는 제 2 펌프를 펌핑(Pumping)시켜 제 2 용기 내 삽입된 제 3 파이프관을 통해 올라온 중유를 제 4 파이프관으로 이송한다.
이후, 제 4 파이프관의 종단에 탑재된 제 2 노즐은 중유를 단위시간당 제 2 분사율로 연료보관 용기 내 분사시켜 연료보관 용기 내에 동시 분사되는 바이오 연료와 충돌시킨다.
연료보관 용기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기설정된 혼합비에 맞게 고루 섞인 혼합물을 담음에 따라(S180), 각기 다른 비중치를 갖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혼합물인 신산업용 연료를 대량으로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9,900 내지 10,100kcal/l의 열량을 갖는 중유와 9,200 내지 9,400kcal/l의 열량을 갖는 바이오 연료는 단위시간당 약 1: 9의 혼합비로 고루 섞여 신산업용 연료로 변환된다.
이때, 혼합물인 신산업용 연료는 9400 내지 9600kcal/l의 열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이 추가동작을 더 실시한다.
즉, 연료보관 용기 하단에 배치된 항온기는 15 내지 20도의 열을 연료보관 용기에 인가하며, 항온기와 기연결된 제 3 온도조절기는 15 내지 20도의 열을 일정기간 동안 제공받는 연료보관 용기를 온도 조절한다.
여기서, 신산업용 연료는 기준 점도치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갖는 반면 기준 유동치보다 작은 값을 갖음에 유의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100, 700 : 제 1, 2 용기 110, 710 : 제 1, 2 히터
120, 720, 420 : 제 1, 2, 3 온도조절기
200, 500 : 제 1, 2 공급수단 400 : 연료보관 용기
300, 600 : 제 1, 2 모터 제어기 410 : 항온기

Claims (18)

  1. 바이오 연료를 담은 제 1 용기를 가열하는 제 1 히터;
    상기 제 1 용기에 가해지는 열을 온도 조절하는 제 1 온도조절기;
    상기 바이오 연료를 펌핑(pumping) 동작으로 이동 공급하는 제 1 공급수단;
    상기 제 1 공급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바이오 연료의 제 1 분사율을 제어하는 제 1 모터 제어기;
    중유를 담은 제 2 용기를 가열하는 제 2 히터;
    상기 제 2 용기에 가해지는 열을 온도 조절하는 제 2 온도조절기;
    상기 중유를 펌핑(pumping) 동작으로 이동 공급하는 제 2 공급수단;
    상기 제 2 공급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중유의 제 2 분사율을 제어하는 제 2 모터 제어기; 및
    상기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기설정된 혼합비에 맞게 고루 섞인 혼합물을 담는 연료보관 용기를 포함하고,
    9,900 내지 10,100kcal/l의 열량을 갖는 중유와 9,200 내지 9,400kcal/l의 열량을 갖는 바이오 연료가 단위시간당 1: 9의 혼합비로 고루 섞임에 따라, 혼합물인 신산업용 연료는 9400 내지 9600kcal/l의 열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보관 용기는 각기 다른 비중치를 갖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혼합물인 신산업용 연료를 대량으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연료 대비 중유 혼합비는 0.5 내지 0.15 : 0.85 내지 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히터가 60 내지 80도의 열을 제 1, 2 용기에 각각 인가함에 따라, 0.967의 비중을 갖는 바이오 연료와 0.954의 비중을 갖는 중유는 기준 점도보다 낮게 하락하는 반면 기준 유동율보다 높게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보관 용기 하단에 배치된 항온기는 15 내지 20도의 열을 상기 연료보관 용기에 인가함에 따라, 상기 신산업용 연료는 기준 점도치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갖는 반면 기준 유동치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온기와 기연결된 제 3 온도조절기는 상기 연료보관 용기가 상기 15 내지 20도의 열을 일정기간 동안 제공받도록 온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터 제어기가 기연결된 제 1 모터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제 1 모터는 상기 제 1 펌프를 펌핑(pumping)시켜 상기 제 1 용기 내 삽입된 제 1 파이프관을 통해 올라온 상기 바이오 연료를 제 2 파이프관으로 이송하며,
    상기 제 1 공급수단은 상기 제 1 모터, 제 1 펌프 및 제 1, 2 파이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이프관의 종단은,
    상기 바이오 연료를 단위시간당 상기 제 1 분사율로 상기 연료보관 용기 내 분사시켜 상기 연료보관 용기 내에 동시 분사되는 상기 중유와 충돌하도록 제 1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터 제어기가 기연결된 제 2 모터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제 2 모터는 제 2 펌프를 펌핑(Pumping)시켜 상기 제 2 용기 내 삽입된 제 3 파이프관을 통해 올라온 상기 중유를 제 4 파이프관으로 이송하며,
    상기 제 2 공급수단은 상기 제 2 모터, 제 2 펌프 및 제 3, 4 파이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파이프관의 종단은,
    상기 중유를 단위시간당 상기 제 2 분사율로 상기 연료보관 용기 내 분사시켜 상기 연료보관 용기 내에 동시 분사되는 상기 바이오 연료와 충돌하도록 제 2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12. 제 1 히터가 바이오 연료를 담은 제 1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제 1 온도조절기가 상기 제 1 용기에 가해지는 열을 온도 조절하는 단계;
    제 1 공급수단이 상기 바이오 연료를 펌핑(pumping) 동작으로 이동 공급하는 단계;
    제 2 히터가 중유를 담은 제 2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제 2 온도조절기가 상기 제 2 용기에 가해지는 열을 온도 조절하는 단계;
    제 2 공급수단이 상기 중유를 펌핑(pumping) 동작으로 이동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터 제어기가 상기 제 1 공급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바이오 연료의 제 1 분사율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 2 모터 제어기가 상기 제 2 공급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중유의 제 2 분사율을 제어하는 단계; 및
    연료보관 용기가 상기 바이오 연료와 중유가 기설정된 혼합비에 맞게 고루 섞인 혼합물을 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의 구동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보관 용기가 각기 다른 비중치를 갖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혼합물인 신산업용 연료를 대량으로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의 구동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히터가 60 내지 80도의 열을 제 1, 2 용기에 각각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0.967의 비중을 갖는 바이오 연료와 0.954의 비중을 갖는 중유는 기준 점도보다 낮게 하락하는 반면 기준 유동율보다 높게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의 구동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9,900 내지 10,100kcal/l의 열량을 갖는 중유와 9,200 내지 9,400kcal/l의 열량을 갖는 바이오 연료가 단위시간당 1: 9의 혼합비로 고루 섞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혼합물인 신산업용 연료는 9400 내지 9600kcal/l의 열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의 구동방법.
  16. 제 12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보관 용기 하단에 배치된 항온기가 15 내지 20도의 열을 상기 연료보관 용기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항온기와 기연결된 제 3 온도조절기가 상기 15 내지 20도의 열을 일정기간 동안 제공받는 상기 연료보관 용기를 온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산업용 연료는 기준 점도치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갖는 반면 기준 유동치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의 구동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터 제어기가 기연결된 제 1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터가 제 1 펌프를 펌핑(pumping)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모터가 상기 제 1 용기 내 삽입된 제 1 파이프관을 통해 올라온 상기 바이오 연료를 제 2 파이프관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파이프관의 종단에 탑재된 제 1 노즐이 상기 바이오 연료를 단위시간당 상기 제 1 분사율로 상기 연료보관 용기 내 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노즐이 상기 연료보관 용기 내에 동시 분사되는 상기 중유와 충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의 구동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터 제어기가 기연결된 제 2 모터를 제어하는 단게;
    상기 제 2 모터가 제 2 펌프를 펌핑(Pumping)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모터가 상기 제 2 용기 내 삽입된 제 3 파이프관을 통해 올라온 상기 중유를 제 4 파이프관으로 이송하는 단계;
    제 4 파이프관의 종단에 탑재된 제 2 노즐이 상기 중유를 단위시간당 상기 제 2 분사율로 상기 연료보관 용기 내 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노즐이 상기 연료보관 용기 내에 동시 분사되는 상기 바이오 연료와 충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30021305A 2013-02-27 2013-02-27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1496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305A KR101496301B1 (ko) 2013-02-27 2013-02-27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305A KR101496301B1 (ko) 2013-02-27 2013-02-27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955A KR20140106955A (ko) 2014-09-04
KR101496301B1 true KR101496301B1 (ko) 2015-03-02

Family

ID=5175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305A KR101496301B1 (ko) 2013-02-27 2013-02-27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3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731A (ko) * 2002-05-11 2002-05-30 그린텍 주식회사 연료유 히팅 및 믹싱 분사장치
KR100443429B1 (ko) * 2001-07-27 2004-08-09 강현구 중유믹싱 및 공급장치
KR20070091716A (ko) * 2006-03-07 2007-09-12 주식회사 유런바이텍 바이오 연료의 혼합 공급장치
JP2007255773A (ja) * 2006-03-22 2007-10-0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バイオマス混合燃料燃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429B1 (ko) * 2001-07-27 2004-08-09 강현구 중유믹싱 및 공급장치
KR20020040731A (ko) * 2002-05-11 2002-05-30 그린텍 주식회사 연료유 히팅 및 믹싱 분사장치
KR20070091716A (ko) * 2006-03-07 2007-09-12 주식회사 유런바이텍 바이오 연료의 혼합 공급장치
JP2007255773A (ja) * 2006-03-22 2007-10-0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バイオマス混合燃料燃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955A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ka et al. Alternative fuels: an overview of current trends and scope for future
US202201481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listic low carbon intensity fuel production
Demirbas Recent developments in biodiesel fuels
Balat Production of biodiesel from vegetable oils: a survey
US9080117B2 (en) Biofuel production method and system
US76226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bio-diesel
Luna et al. Technological challenges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in arid lands
US1199375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verting renewable feedstocks into intermediate hydrocarbon blend stocks and transportation fuels
Demirbas Present and future transportation fuels
KR101496301B1 (ko) 바이오 연료와 중유의 균일교반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Mirus et al. A short review on biodiesel production and costing
Hymavathi et al. Biodiesel production from vegetable oils: an optimization process
Schulte Biodiesel production from tall oil and chicken fat via supercritical methanol treatment
Shote Biofuel: an environmental friendly fuel
Ashri et al. Effective Process Parameters of Mustard Oil Biodiesel-A Review and Analysis
Nwaigwe et al. Development and measured performance of a batch reactor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fresh and waste vegetable oils
Walpita et al. Production of biodiesel in pilot-scale using locally available feedstock materials
KR101331785B1 (ko) 프로톤 전도성물질을 이용한 탄화수소 고급화방법
Liman et al. Biotechnology of biofuels: bioethanol and biodiesel
Attahiran et al. Optimiz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Biodiesel Production by Double-Pipe Static Mixer Reactor
KR20110011092A (ko) 유화 혼합장치
CN117285967A (zh) 一种石油醚裂变转气制备方法
CN103820181A (zh) 一种甲醇转化为天然气的方法及其装置
Dalal Green Support for fuel Use-Blends to Extend Deadlines of Comfort
CN201362702Y (zh) 小批量生产合成生物柴油系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