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985B1 - A Street Tree Protec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Street Tree Protec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985B1
KR101495985B1 KR20130020201A KR20130020201A KR101495985B1 KR 101495985 B1 KR101495985 B1 KR 101495985B1 KR 20130020201 A KR20130020201 A KR 20130020201A KR 20130020201 A KR20130020201 A KR 20130020201A KR 101495985 B1 KR101495985 B1 KR 101495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ain body
water
planting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0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6106A (en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김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환 filed Critical 김창환
Priority to KR20130020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985B1/en
Publication of KR2014010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1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9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체 또는 타원체를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벽에 고정되어 식재된 식물이 직립가능하게 버팀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망과, 분할되어 형성된 본체부와 다른 본체부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통공을 구비한 중간벽체가 구비되어 있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물식재부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부로 구분되어 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물식재부로 유입된 물이 중간벽체의 통공을 통해 물저장부로 이동되어 가로수 보호장치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가로수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nt, which comprises a main body part divided into at least two halves so as to take a round shape or an ellipsoid shape, a guide net which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part, And a fixing member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main body and the other main body to each other,
And an intermediate wal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plant can be divided into a planting planting portion capable of planting plants and a water storing portion capable of storing water, Th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part through the through-holes of the intermediate wall to continuously supply water to the aquatic trees protected by the roadside protection device.

Description

가로수 보호장치{A Street Tree Protecting Apparatus}{A Street Tree Pro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로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를 따라 식재되어 있거나 건물 등의 주변에 식재되어 있는 가로수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하고, 내측에는 물저장부가 구비되어 식재된 식물 및 가로수에 지속적인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가로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side tree protecting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o a roadside tree protecting apparatus, which is located along one side of a roadside planted along a roadway or planted around a building or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side protection apparatus that enables continuous water supply to plants and roadside trees that have been planted.

일반적으로 인도 또는 도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의 시설물(가로등, 신호 등)과 가로수 등은 별도의 고정수단 또는 버팀 수단을 통해 수직으로 기립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Generally, various facilities (street lamps, signals, etc.) and roadside trees installed on the roads or roads are vertically standing by means of separate fixing means or supporting means.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과 버팀 수단을 통해 인도 또는 도로상에 기립상태를 유지하며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과 가로수 등은 고정수단과 버팀 수단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있는 상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인도 또는 도로의 경관미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고정수단 및 버팀 수단에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facilities and the roadside trees, which are installed standing upright on the roadway or the road through the fixing means and the supporting means, ar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fixing means and the supporting means.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pedestrian hanging over the fixing means and the supporting means is caused.

또한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률이 높은 인도 또는 도로상에 설치되는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장비 및 이를 보호토록 하는 보호장비가 전혀 없어 사고 발생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심각한 부상을 제공하는 문제를 자주 발생시켰음은 물론이고, 시설물 또는 가로수가 인도 또는 도로상으로 전도되도록 하여 제 2의 대형 인사사고 및 교통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no means to cushion shocks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despite the fact that it is installed on a highway or a road with high incidence of accidents such as a vehicle collision, and there is no protective equipment to protect it.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t caused frequent problems of providing serious injuries and also causing the facilities or roadside trees to be turned over to the roads or roads leading to a second large personnel accident and traffic obstacle.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대한민국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출원을 하여 등록된 제 20-0354889호에 '도로의 가로수 보호를 위한 에프알피 지주대와 고밀도폴리에틸렌 보호대를 이용한 조경수목 보호시설'이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meet such a demand, the 20-1354889 filed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for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has been disclosed in "Registered Landscape Trees Protected with High-density Polyethylene Protective Zone and F-Alpinji for Protecting Roadside Roads".

상기 종래의 도로의 가로수 보호를 위한 에프알피 지주대와 고밀도폴리에틸렌 보호대를 이용한 조경수목 보호시설(9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경수목의 하부에 세워져 설치되는 한편, 원통형 형태로 일측이 절개되고, 절개 위치에 각각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몸체의 중앙에 철망(210)이 형성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내부 보강부(230)가 구비되며, 내부 보강부(230)의 사이에 지주대 연결부(240)가 구비되고, 지주대 연결부(240)에 관통홀(242)이 형성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호대(200)와,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호대(200)의 지주대 연결부(240)에 관통되는 한편 바 형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에프알피 지주대(300)와, 상기 에프알피 지주대(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한편 길이방향 양측에 관통홀(510)이 형성되어 에프알피 지주대(300)를 결합시키는 보호대 연결대(500)와, 및 상기 에프알피 지주대(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주대 고정캡(400)을 구비함으로써 설치 시공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미관을 위하여 여러 색상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아름다운 도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부식이 거의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조경수목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 the plant protection facility 900 using the Folff support band and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protector for the roadside tree protection of the conventional road is installed upright on the lower part of the landscape garden, And a plurality of inner reinforcing portions 230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reinforcing portions 230. The inner reinforcing portions 230 are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on each of the inner reinforcing portions 230, A high density polyethylene protector 200 having a through hole 242 formed in the support bar 240 and a support 240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240 of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protector 200, And a through hole 510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FP 300 to connect the FFP 300 to the FFP 300. [ Links 500 And a support stand fixing cap 40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 alpinzier 300. In addition to being easy to install and install,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there is little corrosion, it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and it also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landscape trees.

그러나 상기 조경수목 보호시설은 가로수 등의 수직 기립상태를 유지시킬 수는 있으나, 조경수목 보호시설을 통하여 가로수에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가 아니어서 가로수를 충분히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lthough the above-mentioned landscaping plant protection facility can maintain the vertical standing state of the roadside trees and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adside trees can not be sufficiently protected because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roadside trees through the landscaping tree protection facilities.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889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5488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부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통공을 구비한 중간벽체가 구비되어 있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물식재부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부로 구분되어 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물식재부로 유입된 물이 중간벽체의 통공을 통해 물저장부로 이동되어 가로수 보호장치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가로수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an intermediate wal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t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and is divided into a vegetable planting part capable of planting plants and a water storage part capable of storing wat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side protection device capable of constantly supplying water to roadside trees protected by the roadside protection device by mov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planting material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ave.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벽에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망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식물식재부에 식재하고 있는 식물이 가이드망을 타고 넝쿨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물식재부의 내측에는 지시턱이 형성되어 있어 식물식재부에 삽입되는 흙의 높이를 지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살수시 물의 투입량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하여 물을 과하게 살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iding net projecting upward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so that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plant parts can be roasted on the guide network, and an indicator jaw is formed inside the planting planting par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adside protection device which can prevent the water from overflowing by allowing the height of the soil to be inserted in the planting plant part to be specified.

또한, 본 발명은 중간벽체 및 내벽 등에 형성된 통공의 일측에는 스펀지나 우레탄 발포체 등의 다공체를 위치시켜 상기 통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adside protection device capable of positioning a porous body such as a sponge or a urethane foam on one side of a through hole formed in an intermediate wall, an inner wall, and the like, and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drained through the through-hol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형체 또는 타원체를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는 복수의 본체부와, 복수의 본체부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내벽과, 상기 내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외벽과, 상기 내벽의 양측 단부와 외벽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측벽과, 하단부를 밀폐하는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상향 개구되며 흙을 수용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인 식물식재부가 형성되며, 내벽 하단부에는 상기 식물식재부에 공급된 물을 배출되도록 측방으로 배수공이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내측에는 중간벽체가 더 구비되어, 상기 중간벽체의 상부로 상향 개구된 식물식재부가 형성되고 하부로 물저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벽체에는 식물식재부와 물저장부를 연통시키도록 상하로 관통된 중간배수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은 물저장부로 연통되며, 상기 배수공의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물저장부로 연통된 제1 배수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body portions divided into at least two halves so as to take a circle or an ellipsoid; and one or more holding members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plurality of body portions to each other; The body portion includes an inner wall, an outer wall spaced outwardly from the inner wall, side walls connecting both side ends of the inner wall with both side ends of the outer wall, and a bottom surface sealing the lower end, Wherein at least one drainage hol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so as to discharge the water supplied to the planting vegetation portion; An intermediate wall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in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 planting plant part upwardly op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termediate wall is formed, and a water storage part is formed as a lower part; Wherein the intermediate wall is formed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drain hole penetrating vertically so as to communicate the vegetation food portion and the water storage portion, the drain hole is communicated with the water storage portion, and the water supply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water storage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hole One or more drainage holes are formed.

삭제delete

상기에서 본체부의 내벽과 외벽은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벽의 높이는 외벽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내벽의 외측으로 식물식재부에 식재된 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망체인 가이드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are arcuate in cross section,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and the mesh chain guide net for supporting the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plant parts outside the inner wall And the roadside protection device is installed.

상기에서 본체부에는 내벽, 외벽 및 측벽의 내측 내면을 따라 연장되며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지시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보호장치를 제공한다.Wherein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inner side wall, an outer wall, and an inner side surface extending along an inner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pointing jaw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상기에서 내벽의 내측에 돌출된 격벽이 더 포함되며; 상기 격벽은 내벽의 내측에서 배수공을 둘러싸며 외벽을 향하여 돌출되어 구비되는 측면격벽과, 상기 측면격벽의 단부에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측면격벽으로부터 내향 연장되어 형성되며 배수공을 덮는 위치에 구비되는 세로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격벽에는 배수공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격벽과 내벽 사이에는 다공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wall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wall; The partition wall may include a lateral partition wall protruding from an inner side of the inner wall to protrude toward the outer wall, and a vertical wall extending inward from the lateral partition wall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at an end of the lateral partition wall. A partition wall; Wherein the vertical partition wall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hole and a porous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partition wall and the inner wall.

상기에서 중간배수공의 상부에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은 중간배수공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벽체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며 상기 중간벽체와 나란하게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가로격벽과, 상기 가로격벽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가로격벽과 중간벽체를 연결하는 측면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격벽은 중간배수공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가로격벽에는 중간배수공과 연통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벽체와 격벽 사이에 다공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를 제공한다.The partition wall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iddle drain hole. The partition wall has a horizontal partition wall spaced upward from the intermediate wall to be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iddle drain hole and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intermediate wall, And the side walls are spaced laterally from the middle drainage holes, and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s are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verticall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mediate drainage holes, And a porous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intermediate wall and the partition wall.

상기에서 가이드망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자형 걸림고리가 돌출 구비되어, 걸림고리가 내벽의 상단에 걸리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를 제공한다.Wherein the guide net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a plurality of '┏' -shaped hooks are protru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wall so that the hooks are hook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

상기에서 본체부의 외벽의 외측으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측방으로는 상하로 연장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판상의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를 제공한다.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are provided, guide grooves extending vertically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guide member, The roadside pro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인도 또는 차도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수에 설치하여, 가로수 등의 수직 기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식물이나 화초를 식재할 수 있도록 하여 도심의 경관미를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지닌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roadside tree installed in a roadway or a roadway so as to firmly maintain a vertical standing state such as a roadside tree and to effectively absorb and cushion impact energ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such as a vehicle collision And it is possible to plant various plants and plants, thereby improving the liveliness of the city.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 및 중간벽체에 구비된 통공의 일측에 다공체를 삽입하여 물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물의 양이 조절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뭄이나 외부환경에 의해 물을 적시에 공급하지 못하거나 과하게 공급되더라도 가로수 및 지반에 지속적으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ous body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a through hole provided in a body portion and an intermediate wall so that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portion can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to provide timely supply of water by drought or an external environment Water supply to the roadside and the ground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even if it is not supplied or overfilled.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의 외벽에 별도의 나부판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미관을 좋게 하고, 겨울에는 보온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nail plate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esthetic appearance can be improved and the warming effect can be achieved in winter.

도 1은 종래의 조경수목 보호시설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가이드망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와 다른 본체부를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 및 고정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landscape gardening facility,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roadside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ain body of a roadsid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ody portion of a roadside tree pro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guide network of a roadside tree pro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and fixing a main body part of a roadsid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other body part by a fixing member,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body of a roadsid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ody portion of a roadside tree pro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body of the roadsid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body of a roadsid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가이드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가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adside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of a roadside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for explaining a main body of a roadsid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network of a roadsid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roadside tree pro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and fixed by the fixing member.

본 발명은 가로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 형태가 원형체 또는 타원체를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하며 가로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side tree protecting apparatus, which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halves so as to take a circle or an ellipsoid in a planar shape, so that various plants can be planted and the roadside tree can be protected.

상기 가로수 보호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2 내지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로 구비되는 가이드망(20)과, 복수의 본체부(10)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to 5, the roadside protec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bodies 10, a guide net 20 provid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10, And a fixing member 30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parts 10 to each other.

상기 본체부(10)는 상향 개구된 형태로서 가로수를 일측에 위치하여 감쌀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내벽(11)과, 상기 내벽(1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이격된 외벽(12)과, 상기 내벽(11)의 양측 단부로부터 외벽(12)의 양측 단부로 연결된 측벽(13)을 포함하며, 상기 내벽(11) 하단과 외벽(12) 하단은 바닥면(14)으로 연결되어 하부가 밀폐된 상태로 형성된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n inner wall 11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and a circular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11, And a side wall 13 connected to both side ends of the outer wall 12 from both side ends of the inner wall 11.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11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12 form a bottom surface 14 to form a closed state.

상기 본체부(10)의 내벽(11)과 외벽(12)은 동일한 원호각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벽(11)은 가로수를 향하도록 위치하고 외벽(12)은 내벽(11)과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되어 내벽(11)으로부터 외향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내벽(11)은 외벽(12)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벽(11), 외벽(12) 및 바닥면(14)에 의하여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상향 개구된 공간이 형성된다.The inner wall 11 and the outer wall 12 of the main body 1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having the same arc angle and the inner wall 11 is located so as to face the row of trees and the outer wall 12 is concentric with the inner wall 11 And is spaced outwardly from the inner wall 11. The inner wall (11) is formed to have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than the outer wall (12). The upwardly open space through which the plant can be planted is formed by the inner wall 11, the outer wall 12, and the bottom surface 14.

설치 후 살수차 등으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 외벽(12) 측에서 내벽(11)을 향하여 살수되므로, 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벽(11)의 높이는 외벽(1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from being released,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11 is set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12 when the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er wall 12 toward the inner wall 11 desirable.

상기 내벽(11)은 외벽(12) 및 측벽(13)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가이드망(20)은 내벽(11)의 외측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가이드망(20)은 내벽(11)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inner wall 11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12 and the side wall 13 and the guide net 20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inner wall 11, Respectively.

상기 본체부(10)에는 내벽(11), 외벽(12), 측벽(13) 및 바닥면(14)에 의하여 상향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지므로 흙을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물식재부(15)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15)에 흙이 수용되며 식물이 식재되어 가로수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되는 식물에 따라 주변환경을 미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upwardly opened by the inner wall 11, the outer wall 12, the side wall 13 and the bottom surface 14 so that the plant material portion 15 Is formed. The soil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15 and the plants are planted to protect the tre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plants to be planted.

상기 내벽(11) 하단부에 배수공(111)이 형성되어 식물식재부(15)에 공급되는 물이 배수되어 식재된 식물이 썩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바닥면(14)의 상측에는 자갈, 화산석 등과 같은 입경이 큰 재료를 먼저 충전된 후, 그 상부로 흙이 충전되고 식물이 식재된다. 이때, 상기 식물식재부(15)의 내측에는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내향 연장되어 충전되는 흙의 높이를 지정하고 공급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시턱(151)이 구비된다.A drain hole (111)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11) to drain the water supplied to the planting plant part (15), thereby preventing planted plants from being rotten.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14, a material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such as gravel, a volcanic stone or the like is first charged, and then the soil is filled up and the plants are planted.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planting plant part 15 is provided with an indicating jaw 151 which extends inwardly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end to designate the height of the soil to be filled and adjust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상기 지시턱(151)은 내벽(11), 외벽(12) 및 측벽(13)의 내측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는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되어 경사면을 형성하여 살수되는 물이 경사면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식물식재부(15)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시턱(151)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으로부터 하향되어 이격된 곳에 위치하여 식물식재부(15)에 내삽되는 흙이 지시턱(151)의 높이까지만 충진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흙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부(10)의 내주면을 따른 가장자리부분의 흙을 덮어줌으로써 살수시나 강우시 흙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식물식재부(15)에 공급되는 물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식재되는 식물은 중심부에 식재되고 가장자리를 노출되는 흙은 가장 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지시턱(151)이 덮게 되어 햇빛에 직접 노출되는 면적을 감소시키게 된다.The indicator jaw 151 is formed to protrude inwardly along the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11, the outer wall 12 and the side wall 13,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ner side,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splashing to the outside of the planting plant material portion 15. [ The indicator jaws 151 are locat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filled up to the height of the indicator jaws 151 so that the soil to be inserted into the vegetable foodstuffs 15 can be filled only with the soi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il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when it is sprinkled or rainfall by covering the edge of the edge por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Thereby preventing evaporation. The plants to be planted are planted in the center and the earth exposed to the edges is covered with the indicator jaws 151 provided along the edges to reduce the area directly exposed to the sunlight.

상기 식물식재부(15)로 물을 계속 공급하게 되면 일정량 이상의 물은 식재된 식물에 흡수되고 그 이상으로 공급된 물은 월류하여 식물식재부(15)의 외측으로 넘치게 되므로 살수시나 강우시 과도한 물이 식물식재부(15)로 공급되는 것이 방지된다.When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lanting plant parts 15,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absorbed by the planted plants, and the water supplied thereto is overflowed to the outside of the planting plant parts 15 so that excessive water Is prevented from being fed to the planting plant parts (15).

상기 배수공(111)은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11)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식물식재부(15)에 공급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11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한꺼번에 대량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공(111)의 내측으로 스폰지나 우레탄 발포체 등의 다공체(113)를 위치시킨다. 다만, 상기 다공체(113)는 식물식재부(15)에 충진되는 흙이나 배수되는 물에 의해 고정되지 못하고 배수공(11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내벽(11)의 내측에 외부로 돌출된 격벽(115)이 더 포함되어 구비된다. 상기 내벽(11)과 격벽(115)의 사이에는 공간부(117)가 형성되므로 상기 공간부(117)에 다공체(113)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격벽(115)에는 통공(11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1155)은 배수공(111)과 연통되어 식물식재부(15)로 공급되는 물은 통공(1155), 다공체(113), 배수공(111)을 차례로 통과하여 가로수를 향하여 배출된다. 4, the drainage hole 111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ner wall 11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drainage hole 111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vegetated planting portion 15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 porous body 113 such as a sponge or a urethane foam is placed inside the drain hole 111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111 from being discharged at a time. However, since the porous article 113 can be detached from the drain hole 111 without being fixed by the earth or the water to be filled in the planting plant material 15, And further includes a protruding partition wall 115. The porous member 113 is inserted into the space 117 because the space 117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11 and the partition wall 115. The through hole 1155 is communicated with the drain hole 111 and water supplied to the plant food portion 15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55 and the porous body 113, And the drain hole 111,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avenue.

상기 격벽(115)은 상기 내벽(11)의 내측에서 배수공(111)을 둘러싸며 외벽(12)을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측면격벽(1153)과, 상기 측면격벽(1153)의 단부에 내벽(11)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측면격벽(1153)으로부터 내향 연장되어 형성되며 배수공(111)을 덮는 위치에 구비되는 세로격벽(115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격벽(1151)에는 배수공(111)과 연통되는 통공(1155)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격벽(1153)은 배수공(111)으로부터 외향 이격된 위치에서 외벽(12)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세로격벽(1151)과 내벽(11) 사이에는 다공체(113)를 삽입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되며, 다공체(113)는 세로격벽(1151)과 내벽(11)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구비된다. 상기 세로격벽(1151)의 내측에 형성된 통공(1155)의 하단이 바닥면(14)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통공(1155)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식물식재부(15)에 잔재할 수 있도록 하며, 잔재된 물은 다시 식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The partition 115 includes a lateral partition wall 1153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wall 12 and surrounding the drain hole 111 from the inner side of the inner wall 11, And a vertical partition wall 1151 extending inwardly from the side partition wall 115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partition wall 115 and covering the drain hole 111. The vertical partition wall 1151 is connected to the drain hole 111 A through hole 1155 is formed. The side wall 1153 is extended toward the outer wall 12 at a position spaced outwardly from the drain hole 111. Therefore, a gap for inserting the porous body 113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partition 1151 and the inner wall 11, and the porous body 113 is provided at a spac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partition 1151 and the inner wall 11 .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hole 1155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partition 1151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14 and can 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55, , And the remnant water can be absorbed back into the plant.

상기 가이드망(20)은 지시턱(151)의 상부로 내벽(11)의 외측에 구비되며, 가이드망(20)의 상단은 내벽(11)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어 상기 식물식재부(15)에 식재되는 식물이 상기 가이드망(20)을 따라 넝쿨지거나 고정되어 식물이 직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망(20)은 금속재나 합성수재로 이루어지는 막대부재가 가로 세로로 그물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망(20)의 하단에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도록 하고, 지시턱(151)에 오목한 홈이나 통공을 형성하여 가이드방(20)의 돌기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망(20)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내벽(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자형 걸림고리를 구비하도록 하고, 걸림고리가 내벽(11)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guide net 2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wall 11 on the upper side of the indicator jaw 151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net 20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11, So that the plant can be uprighted or fixed along the guide net 20. The guide net (20) is formed in a net shape in the form of a rod member made of a metal material or synthetic w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guide net 20 and to provide a protrusion of the guide chamber 20 by inserting a recess or a through hole in the indicator jaw 151. The guide nets 20 are formed in an arc shape and include a plurality of '┏' -shaped hook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inner wall 11, and hooks are hook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11 It is possible.

상기 본체부(10)는 원호각이 180°인 반원호 형상, 원호각이 120°인 ⅓원호 형상, 원호각이 90°인 ¼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원호 형상인 경우 서로 내벽(11)과 측벽(13)이 서로 마주하도록 2개가 설치되며, ⅓원호 형상인 경우 3개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¼원호 형상인 경우 4개가 설치되어 원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main body 10 can be form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having a circular arc angle of 180, a circular arc circular arc having a circular arc angle of 120, and a circular arc arc having a circular arc angle of 90 DEG. In the case of a semicircular arc shape, two pieces are provided so that the inner wall 11 and the side wall 13 face each other. In the case of the circular arc shape, three pieces are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

상기 고정부재(30)는 가로수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본체부(10)를 서로 하나의 원형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이웃하는 본체부(10)와 다른 본체부(10)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의 측벽(13)과 이웃하여 서로 마주하는 다른 본체부(10)의 측벽(13)의 상부로부터 가압하여 측벽(13)이 삽입되어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본체부(10)의 측벽(13)에 고정시키거나, 외벽(12)의 측방으로 양측 단부에 오목한 홈(121)이 형성되도록 하고, 형성된 홈(12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xing member 30 fixes the main body 10 and the body 10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row of trees may be formed as a single circular body, As shown in Fig. 6, is pressuriz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13 of the other main body portion 10 facing the side wall 13 of the main body portion 10, 13 are inserted and fixed to each other. The fixing member 30 may be fixed to the side wall 13 of the main body 10 or may be formed with recesses 121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outer wall 12, So that it can be fix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파단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7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ody portion of a roadside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ody portion of the roadside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lin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는 도7 내지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는 가이드망(20)과, 복수의 본체부(1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7 to 8, the roadside tree pro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body portions 10, a guide net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a fixing member 30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main body 10 to each other.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본체부(10)는 일 실시예의 본체부(10)와 달리 내측에 중간벽체(16)를 형성하여 상기 중간벽체(16)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식물식재부(15)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물저장부(17)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망(20) 및 본체부(10)와 다른 본체부(10)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30) 및 지시턱(151)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Unlike the main body 1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the intermediate wall 16 on the inner side, And a water storage part 17 is formed at a lower part thereof. A guide member 20 and an indicator jaw 151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to each other,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본체부(10)는 상향 개구된 형태로서 가로수를 일측에 위치하여 감쌀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내벽(11)과, 상기 내벽(11)으로부터 일정간격 외향 이격되어 위치하며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이격된 외벽(12)과, 상기 내벽(11)의 양측 단부로부터 외벽(12)의 양측 단부로 연결된 측벽(13)을 포함하며, 상기 내벽(11) 하단과 외벽(12) 하단은 바닥면(14)으로 연결되어 하부가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14)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중간벽체(16)를 더 포함한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n inner wall 11 formed in an upwardly open form and having an arcuate cross section so as to surround and wrap a row of trees at one side thereof, And a side wall 13 connected to both side ends of the outer wall 12 from both side ends of the inner wall 11.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11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12 form a bottom surface (14),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a closed state, and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wall (16)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14).

상기 지시턱(151)의 상부로 외벽(12)에는 측방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지시턱(151)의 상부로 외벽(12)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장마철에 과다하게 내리는 경우 우수가 충분하게 식물식재부(15)에 수용된 흙에 흡수되고 물저장부(17)로 배수되면서 나머지 물은 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laterally on the outer wall 12 above the indicator jaws 15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outer wall 12 at the upper part of the indicator jaw 151 so that the rainwater is absorbed by the soil contained in the planting plant part 15 sufficiently and the water is drained to the water storage part 17 The remain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상기 외벽(12)에 측방으로 형성되는 통공은 상하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아래쪽의 통공은 크기가 작게, 위쪽의 통공은 크기가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초기에는 배수량을 적게하고 상부로 채워질수록 빨리 배수를 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된 슬릿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슬릿의 형태는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게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rough holes formed laterally in the outer wall 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s on the lower side may be small in size and the holes on the upper side may be formed to be large in size. By forming the through hole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drainage in the initial stage and drain more quickly as the drainage is filled in the upper stage. The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lit shape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toward the lower end and a wider width toward the upper end.

상기 중간벽체(16)에 의하여 내벽(11), 외벽(12), 측벽(13) 및 바닥면(14)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이 상하 분할되어, 중간벽체(16)의 상부로 식물식재부(15)가 형성되며 중간벽체(16)의 하부로 물저장부(17)가 형성된다. 상기 식물식재부(15)는 내벽(11), 외벽(12), 측벽(13) 및 중간벽체(16)에 의하여 상향 개구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물저장부(17)는 내벽(11), 외벽(12), 측벽(13) 및 바닥면(14)에 의하여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다.The space defined by the inner wall 11, the outer wall 12, the side wall 13 and the bottom surface 14 is vertically divided by the intermediate wall 16 so that the plant material 15 And a water storage portion 17 is formed below the intermediate wall 16. [ The vegetated plant material portion 15 is formed as a space upwardly opened by the inner wall 11, the outer wall 12, the side wall 13 and the intermediate wall 16. The water reservoir 17 is formed as a space in which water can be stored by the inner wall 11, the outer wall 12, the side wall 13, and the bottom surface 14.

상기 중간벽체(16)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식물식재부(15)와 물저장부(17)를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중간배수공(161)이 형성되어, 중간벽체(16)의 상부에 구비된 식물식재부(15)에 투입된 물이 중간배수공(161)을 통해 중간벽체(16)의 하부에 위치하는 물저장부(17)로 유입되어 저장된다.One or more intermediate drain holes 161 are formed in the intermediate wall 16 so as to penetrate the plant wall 15 and the water reservoir 17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portion 15 flows into the water storage portion 17 located under the intermediate wall 16 through the middle drain hole 161 and is stored.

상기 중간벽체(16)에는 상하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중간배수공(161)이 형성되어 식물식재부(15)에 공급된 물이 물 저장부(17)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되 식물 뿌리의 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일정 기간 공급되지 않더라도 식물식재부(15)에 저장된 물이 식물 뿌리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한꺼번에 많은 양이 배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중간배수공(161)의 상부로 중간배수공(161)을 덮는 위치에 다공체(163)가 구비된다.One or more intermediate drainage holes 161 are formed in the intermediate wall 16 so as to allow the water supplied to the vegetation planting section 15 to be drained to the water storage section 17, Even if water is not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water stored in the planting section 15 can supply the necessary moisture to the plant roots, and the intermediate drainage hole 161 is provided in order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water from being discharged at a time. A porous body 163 is provided at a position covering the intermediate drain hole 16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다공체(163)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간배수공(161)의 상부에 격벽(165)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165)은 중간배수공(161)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벽체(16)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며 상기 중간벽체(16)와 나란하게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가로격벽(1651)과, 상기 가로격벽(1651)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가로격벽(1651)과 중간벽체(16)를 연결하는 측면격벽(16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격벽(1653)은 중간배수공(161)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A partition wall 165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drain hole 161 to fix the porous body 163 and the partition wall 165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intermediate wall body 16 to the upper A horizontal barrier rib 1651 spaced apart from the barrier rib 1651 and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intermediate wall 16 and a plurality of barrier ribs 1630 extending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rrier rib 1651 and connecting the barrier rib 1651 to the intermediate barrier wall 16 And a lateral barrier rib 1653 formed on the barrier ribs. The side partition walls 1653 are laterally spaced from the intermediate drain 161.

상기 가로격벽(1651)에는 중간배수공(161)과 연통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제1 통공(1654)이 형성되며, 측면격벽(1653)에도 측방으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제2 통공(1655)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통공(1654)과 제2 통공(1655)을 통해 물이 중간벽체(16)의 하부에 위치한 물저장부(17)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측면격벽(1653)에 형성되는 제2 통공(1655)은 중간벽체(16)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여 물의 일부는 상기 제2 통공(1655)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식물식재부(15)에 잔재할 수 있도록 하며, 잔재된 물이 식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공체(163)는 격벽(165)과 중간벽체(16) 사이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다공체(163)는 판상의 스폰지나 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다.A first through hole 1654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65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mediate drain hole 161 and 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1655 is formed in the side partition wall 1653 .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storage part 17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termediate wall 16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65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655. The second through holes 1655 formed in the side wall 1653 are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wall 16 so that part of the water can 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s 1655 So that it can be remained in the planting plant part (15), and the remnant water can be absorbed by the plant. The porous body 163 is inserted between the barrier rib 165 and the intermediate wall 16. The porous body 163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such as a plate-like sponge or a urethane foam.

상기 물저장부(17)는 상기 식물식재부(15)로부터 유입된 물이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물저장부(17)에 유입된 물은 본체부(10)의 내벽(11)의 하부에 위치하여 물저장부(17)로 연통된 배수공(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저장부(17)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가로수로 공급되어 일정기간 가로수에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상기 물저장부(17)에 저장된 물에 의해 가로수에 필요한 물이 공급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part 17 is a space in which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vegetated plant part 15 is stored an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storage part 17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inner wall 11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drain hole (111) communicated with the water storage part (17).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torage part 17 is supplied as a row of trees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part 17 can be supplied with water necessary for the roadside even if the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trees.

상기 배수공(11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한꺼번에 대량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공(111)의 내측으로 스폰지나 우레탄 발포체 등의 다공체(113)를 위치시킨다. 다만, 상기 다공체(113)는 식물식재부(15)에 충진되는 흙이나 배수되는 물에 의해 고정되지 못하고 배수공(11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내벽(11)의 내측에 외부로 돌출된 격벽(115)이 더 포함되어 구비된다. 상기 내벽(11)과 격벽(115)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공간부에 다공체(113)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격벽(115)에는 통공(11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1155)은 배수공(111)과 연통되어 식물식재부(15)로 공급되는 물은 통공(1155), 다공체(113), 배수공(111)을 차례로 통과하여 가로수를 향하여 배출된다. 상기 격벽(115)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A porous body 113 such as a sponge or a urethane foam is placed inside the drain hole 111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111 from being discharged at a time. However, since the porous article 113 can be detached from the drain hole 111 without being fixed by the earth or the water to be filled in the planting plant material 15, And further includes a protruding partition wall 115. Since the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11 and the partition wall 115, the porous body 113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The through hole 1155 is communicated with the drain hole 111 and water supplied to the plant food portion 15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55 and the porous body 113, And the drain hole 111,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avenue. The description of the partition 115 is omitted because it is duplicated.

상기 배수공(111)의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내벽(11)에는 물저장부(17)로 연통된 제1 배수공(112)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제1 배수공(112)은 중간벽체(16)의 하부로 형성되어 물저장부(17)로 연통된다.At least one first drain hole 112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torage part 17 is formed on the inner wall 11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drain hole 111. The first drain hole 112 is formed as a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wall 16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torage portion 17.

상기 제1 배수공(11)은 외벽(1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장마철과 같이 물저장부(17)로 물이 과다하게 공급되는 경우 식물식재부(15)를 통하여 물저장부(17)로 공급된 물은 배수공(111)을 통하여 배출되나 배수공(111)을 덮도록 다공체(113)가 구비되므로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식물식재부(15)에는 장시간 물이 고여있게 되고 지시턱(151)의 상부 공간으로 물이 채워지는 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식물식재부(15)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 썩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수공(11)이 형성됨으로써 물은 제1 배수공(11)의 높이까지만 저장되고, 물이 과다하게 공급되는 경우에도 식물식재부(15)에 물이 장시간 지체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first drain hole 11 may be formed in the outer wall 12. When water is excessively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part 17 like the rainy season,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part 17 through the plant food part 15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age hole 111, Therefore, the discharge is not smooth, so that water is stored in the planting portion 15 for a long time and the period of filling water in the upper space of the indicating jaws 151 becomes longer, 15) can be decayed. By forming the first drain hole 11, water is stored only up to the height of the first drain hole 11, and water is prevented from being delayed for a long time in the planting plant part 15 even when water is supplied excessively.

상기 내벽(11), 외벽(12) 및 측벽(13)이 중간벽체(16)의 하부에서 분할되도록 하여, 본체부(10)가 상하로 분할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the inner wall 11, the outer wall 12 and the side wall 13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wall 16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be divided vertically.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장치의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body of a roadsid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view of a main part of a roadsid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본체부(10)는 외벽(12)의 외측에 보호부재(19)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10)는 일실시예의 본체부(10)와 동일하게 식물식재부(15) 만을 구비하거나 다른 실시예의 본체부(10)와 같이 중간벽체(16)를 구비하여 식물식재부(15)와 물저장부(17)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Th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member 19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wall 12 and the main body 10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10 of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clude only the planting portion 15 or the intermediate wall 16 like the body portion 10 of another embodiment to include the planting plant portion 15 and the water storage portion 17. [

상기 본체부(10)의 외벽(12)에는 단면 형상이 "ㄱ"자형이나 "T"자형으로 상하로 연장된 가이드부재(18)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8)의 측방으로는 상하로 연장된 가이드홈(18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81)을 따라 판상의 보호부재(19)가 슬라이딩 삽입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8)는 상기 외벽(12)과 일체로 성형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The outer wall 12 of the main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18 having a "U" shape in cross section and extending vertically in a "T" shape. A guide groove 181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guide member 18 and a plate-shaped protective member 19 is slidably inserted along the guide groove 181. The guide member 18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wall 12 or may be fixed using an adhesive.

상기 보호부재(19)는 재단된 나무판재를 사용하여 주변환경과 미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부재(19)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호부재(19)는 보온효과를 도모할 수 있어 겨울철에 가로수 및 본체부(10)에 식재되는 식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otective member 19 is made of a cut wood plate material so that it can be worn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rotective member 19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or the like. The protection member 19 can provide a warming effect, thereby protecting the trees planted in the aquatic plants and the trees in winter.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in.

10 : 본체부 11 : 내벽
12 : 외벽 13 : 측벽
14 : 바닥판 15 : 식물식재부
16 : 중간벽체 17 : 물저장부
18 : 가이드부재 19 : 보호부재
20 : 가이드망 30 : 고정부재
10: main body part 11: inner wall
12: outer wall 13: side wall
14: bottom plate 15: planting plant part
16: intermediate wall 17: water reservoir
18: guide member 19: protective member
20: Guide net 30: Fixing member

Claims (8)

원형체 또는 타원체를 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는 복수의 본체부(10)와, 복수의 본체부(1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는 내벽(11)과, 상기 내벽(11)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외벽(12)과, 상기 내벽(11)의 양측 단부와 외벽(12)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측벽(13)과, 하단부를 밀폐하는 바닥면(14)으로 이루어져, 상향 개구되며 흙을 수용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인 식물식재부(15)가 형성되며, 내벽(11) 하단부에는 상기 식물식재부(15)에 공급된 물을 배출되도록 측방으로 배수공(111)이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내측에는 중간벽체(16)가 더 구비되어, 상기 중간벽체(16)의 상부로 상향 개구된 식물식재부(15)가 형성되고 하부로 물저장부(17)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벽체(16)에는 식물식재부(15)와 물저장부(17)를 연통시키도록 상하로 관통된 중간배수공(161)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11)은 물저장부(17)로 연통되며, 상기 배수공(111)의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물저장부(17)로 연통된 제1 배수공(112)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A plurality of body portions 10 divided into at least two halves so as to take a circle or an ellipsoid and at least one fixing member 30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plurality of body portions 10 to each other; The body 10 includes an inner wall 11, an outer wall 12 spaced outwardly from the inner wall 11, and an outer wall 12 connecting both ends of the inner wall 11 and both ends of the outer wall 12 And a bottom surface 14 sealing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11. The planting material portion 15 is upwardly opened and houses the soil and is capable of planting plants. At least one drainage hole (111) is formed through the drainage hole (sidewise) so as to discharge the water supplied to the planting plant material (15); An intermediate wall body 16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in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art 10 so as to form a planting plant part 15 upwardly op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termediate wall body 16, A storage portion 17 is formed; One or more intermediate drain holes 161 are formed in the intermediate wall 16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vegetation planting portion 15 and the water storage portion 17. The drain holes 111 are formed in the water storage portion 17 , And at least one first drain hole (112)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torage part (17)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drain hole (1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내벽(11)과 외벽(12)은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벽(11)의 높이는 외벽(1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내벽(11)의 외측으로 식물식재부(15)에 식재된 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망체인 가이드망(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wall (11) and the outer wall (12) of the main body (10) have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11)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20) for supporting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plant parts (15) outside the planting area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에는 내벽(11), 외벽(12) 및 측벽(13)의 내측 내면을 따라 연장되며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지시턱(15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part (10) is formed to have an inner side surface (11), an outer side wall (12) and a side wall (13) And an indicator jaw (151) is further provided.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11)의 내측에 돌출된 격벽(115)이 더 포함되며; 상기 격벽(115)은 내벽(11)의 내측에서 배수공(111)을 둘러싸며 외벽(12)을 향하여 돌출되어 구비되는 측면격벽(1153)과, 상기 측면격벽(1153)의 단부에 내벽(11)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측면격벽(1153)으로부터 내향 연장되어 형성되며 배수공(111)을 덮는 위치에 구비되는 세로격벽(115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격벽(1151)에는 배수공(111)과 연통되는 통공(1155)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격벽(1151)과 내벽(11) 사이에는 다공체(1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wall (115) protruding inside the inner wall (11); The partition 115 includes a side wall 1153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wall 11 and surrounding the drain hole 111 toward the outside wall 12 and an inner wall 11 formed at an end of the side wall 1153. [ And a vertical partition wall 1151 form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side partition wall 115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partition wall 1153 and covering the drain hole 111;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1155)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hole (111) is formed in the vertical partition wall (1151) and a porous body (113) is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partition wall (1151) and the inner wall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배수공(161)의 상부에 격벽(165)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165)은 중간배수공(161)의 상부로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벽체(16)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며 상기 중간벽체(16)와 나란하게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가로격벽(1651)과, 상기 가로격벽(1651)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가로격벽(1651)과 중간벽체(16)를 연결하는 측면격벽(165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격벽(1653)은 중간배수공(161)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가로격벽(1651)에는 중간배수공(161)과 연통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제1 통공(1654)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벽체(16)와 격벽(165) 사이에 다공체(16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partition wall (165)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drain hole (161), and the partition wall (165) is spaced upward from the intermediate wall (16) A horizontal barrier rib 1651 disposed horizontally in parallel to the intermediate wall 16 and a lateral barrier rib 1630 locat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rier rib 1651 and connecting the horizontal barrier rib 1651 to the intermediate wall 16, And the side partition walls 1653 are spaced laterally from the intermediate drain holes 161.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s 1651 are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Characterized in that a porous body (163) is provided between the intermediate wall (16) and the partition wall (165). 제2 항에 있어서, 가이드망(20)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벽(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자형 걸림고리가 돌출 구비되어, 걸림고리가 내벽(11)의 상단에 걸리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guide net (20)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a plurality of '┏' -shaped hooks protrud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inner wall (11) And the roadside protection device is installed rearward. 제1 항 내지 제3 항 및 제5 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외벽(12)의 외측으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가이드부재(18)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8)의 측방으로는 상하로 연장된 가이드홈(18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81)에 삽입된 판상의 보호부재(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장치.8.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18)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utside the outer wall (12) of the main body (10) And a plate-shaped protective member 19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81. The protective member 19 may be formed of a metal or a metal, Roadside protection.
KR20130020201A 2013-02-26 2013-02-26 A Street Tree Protecting Apparatus KR101495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0201A KR101495985B1 (en) 2013-02-26 2013-02-26 A Street Tree Prot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0201A KR101495985B1 (en) 2013-02-26 2013-02-26 A Street Tree Protec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06A KR20140106106A (en) 2014-09-03
KR101495985B1 true KR101495985B1 (en) 2015-02-26

Family

ID=5175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0201A KR101495985B1 (en) 2013-02-26 2013-02-26 A Street Tree Protec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9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265A (en) 2018-12-11 2020-06-19 하태욱 An assembled water supply device for tree prot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5110B (en) * 2021-04-25 2023-10-03 深圳技师学院(深圳高级技工学校) Do benefit to two arc devices of side slope greening plant maintenance
KR102342824B1 (en) * 2021-06-15 2021-12-22 윤석균 water supply device for tre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378Y1 (en) * 1994-08-12 1997-03-21 강광호 Protecting device for plant
KR19980087886A (en) * 1998-09-25 1998-12-05 유도형 Roadside guard
KR19990036445U (en) * 1998-02-21 1999-09-27 백종진 Roadside protection support
KR100902957B1 (en) 2007-05-31 2009-06-15 이창훈 Protective frame for tre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378Y1 (en) * 1994-08-12 1997-03-21 강광호 Protecting device for plant
KR19990036445U (en) * 1998-02-21 1999-09-27 백종진 Roadside protection support
KR19980087886A (en) * 1998-09-25 1998-12-05 유도형 Roadside guard
KR100902957B1 (en) 2007-05-31 2009-06-15 이창훈 Protective frame for tre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265A (en) 2018-12-11 2020-06-19 하태욱 An assembled water supply device for tree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106A (en)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672B1 (en) Tree protector for vegetation
EP2845464A2 (en) Plant cultivating container
KR101495985B1 (en) A Street Tree Protecting Apparatus
KR100804575B1 (en) Street tree protection block for road in pro-environment
KR100644148B1 (en) Tree Root Guide Plate
KR100822057B1 (en) Cover protecting roadside tree of type keeping water
JP5042779B2 (en) Tree planting protection panel
KR100648884B1 (en) Sand and gardening plant loss preventive constructure of an rock incline
KR100627575B1 (en) Flower bed structure for road
KR100678376B1 (en) Protection equipment for guard rail of Plant bring up make short work
KR20150055370A (en) Protection Plate for Roadside Trees
KR20070087942A (en) Protecting installation for planting the other plant under the street tree and shatter -proofing the dust
KR200401368Y1 (en) Protector for tree on the road
KR20110082388A (en) Separation tool for road of evergreen plantation
KR101120112B1 (en) A flower pot for guardrail
KR20160059848A (en) Water and nutritional supplements supply equipment for tree
KR100515503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protective wall using Recycled polyolefine
KR200371639Y1 (en) Water supply structure of street tree for road
KR101127630B1 (en) Box for planting
KR101325944B1 (en) Guardrail
KR200439703Y1 (en) a flowerpot
US20160081284A1 (en) A modular drainage system
KR102318575B1 (en) Eco-friendly urban walkway system based on the Low-Impact Development
JP6811447B2 (en) Parking lot greening structure
ES2446817B1 (en)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TALUDES AGAINST ERO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