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965B1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ust and user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ust and user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965B1
KR101495965B1 KR20120137801A KR20120137801A KR101495965B1 KR 101495965 B1 KR101495965 B1 KR 101495965B1 KR 20120137801 A KR20120137801 A KR 20120137801A KR 20120137801 A KR20120137801 A KR 20120137801A KR 101495965 B1 KR101495965 B1 KR 10149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bus
communication server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7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9924A (en
Inventor
송준화
이상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2013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965B1/en
Publication of KR20140069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9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9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2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mass transport vehicles, e.g. buses, trains or aircra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버스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이 제공된다.A method for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comprising the steps of: ac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the bus to a user terminal of the bus occupant; And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connected user terminal.

Description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ust and user terminal}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내 탑승객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버스 내부 기기를 조작, 제어하거나, 또는 버스 내에 구비된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원하는 대용량의 데이터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user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user terminal, To a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receiving a desired large-capacity data information through a bus.

최근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98982(2005.10.12 공개) 참조). 특히 이러한 사용자 단말을 버스 등과 같이 장시간 여행을 하는 사람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고속으로 이동하는 버스 내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한 다양한 인터렉션과, 사용자 단말을 통한 버스 내부 기기의 제어 방법과 장치는 아직 개시되지 못한 상황이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 user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come widespread (refer to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5-0098982 (published on October 12, 2005)). Particular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effectively use such a user terminal for a person traveling for a long time such as a bus. Especially, various interactions through a user terminal in a bus moving at high speed,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bus internal device through a user terminal have not yet been disclosed.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버스 내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한 다양한 인터렉션과, 사용자 단말을 통한 버스 내부 기기의 제어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various interactions through a user terminal in a bus moving at a high speed, an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bus internal device through a user termina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버스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nect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the bus to a user terminal of the bus occupant; And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connected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또한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버스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사용자 단말에 메시지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상기 버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을 제공한다.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nect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the bus to a user terminal of the bus occupant; And displaying the input message on a display provided on the bu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ccording to a message input to the connected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method further includes confirm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fter acces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an simultaneously access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승인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approved according to a code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상기 무선 통신 서버와 접속된 사용자 단말은 외부 인터넷 서버와 접속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is connected to an external Internet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는 상기 버스에 구비된 위성 TV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transmits data received from a satellite TV receiver provided on the bus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bus internal device control method described above are recorded.

본 발명은 또한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으로, 상기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가 확인된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버스 좌석의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bus internal device control method comprising: connect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the bus to a user terminal in the bus; Check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nd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of the bus seat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for which the positional information is confi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와 좌석번호를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is performed by matching the code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with the seat nu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는 와이파이 서버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is a Wi-Fi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an simultaneously access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승인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approved according to a code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bus internal device control method described above are recorded.

본 발명은 또한 버스 내부 무선서버로서, 상기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400); 및 상기 통신부(400)를 통하여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입력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메시지를 전송받는 제어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무선서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us internal wireless serv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400) for connecting to a user terminal in the bus; And a control unit (410)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or receiving a message input to the user terminal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전송받은 메시지를 상기 버스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로 상기 통신부(400)를 통하여 전송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10 transmits the received messag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as a display provided in the b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상기 무선 통신 서버는,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 입력에 따라 상기 통신부(400)와 사용자 단말의 접속 여부를 승인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to which a user terminal in the bus can connect permits the 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400 and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ode input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 내 탑승객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버스 기기를 조작, 제어하거나, 또는 버스 내에 구비된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원하는 대용량의 데이터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여행하는 버스 탑승자 각각은 영상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를 맞춤형으로 효과적으로 전송받아 즐길 수 있다. 더 나아가, 단말과 좌석 정보를 매칭하여, 단말의 조작신호에 따라 좌석 기기를 조작하거나, 운전자에게 자신의 메시지를 바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ssenger in a bus can operate and control a bus device through his or her own user terminal, or receive a desired large amount of data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provided in the bus. Therefore, each bus occupant traveling for a long time can receive and enjoy data such as image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 customized manner.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match the terminal with the seat information, manipulate the seat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terminal, or directly transmit the message to the dri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영상 등과 같은 데이터 정보를 버스 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승인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은 사용자 단말을 통한 버스 내 인터렉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의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such as an image, to a user terminal in a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bus internal device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mmunication appr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tra-bus interaction method through a user terminal.
9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sea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a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meth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equivalent invention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탑승객의 사용자 단말과 버스 내에 구비된 무선 통신 서버(예를 들어 와이파이 서버)를 이용하여, 운행 중인 버스 외부의 서버와 버스 내의 단말간의 통신 끊김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특히 복수 명의 승객의 사용자 단말을 독립적으로 분할된 방식으로 서버에 접속시켜, 각 좌석의 버스 기기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게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for example, a WiFi server) provided in a bus and a user terminal of a passenger, . In particular, the user terminals of a plurality of passengers are connected to the server in an independently divided manner so that the bus devices of each seat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은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버스 내의 좌석 기기를 탑승자 별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A bus internal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desired by a user to a user terminal in a bus or controlling a seat device in a bus for each passeng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영상 등과 같은 데이터 정보를 버스 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의 단계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such as an image, to a user terminal in a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탑승객의 사용자 단말)을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한다(S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접속은 개방형이 아닌, 보안 방식으로, 탑승객이 가지고 있는 버스 티켓에 표시된 별도의 비밀번호로 접속이 승인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버스 티켓에 표시된 비밀정보와 상기 버스 티켓의 좌석 번호의 조합에 따라 접속 승인과 단말 위치 확인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user terminal (for example, a user terminal of a passenger) in a bus is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the bus (S1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onnection is a security method, not an open type, and a connection can be granted with a separate password displayed on a bus ticket held by a passenger. Furthermore, connection approval and terminal position confirma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secre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bus ticket and the seat number of the bus ticket.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서버 접속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즉, 좌석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정보는 버스 티켓의 좌석 번호에 따라 확인될 수 있다. Therefore,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nal device of a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onfirming position information (i.e., a sea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after connec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seat number of the bus ticket.

이후,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정보를 서버가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메시지를 전송받아 이를 버스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운전수 등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한다(S120). 또한, 달리는 버스에서의 외부 서버 또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서 발생하는 문제, 특히 복수 개의 단말이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 발생하는 통신 접속 불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 단말이 와이파이로 버스 내의 무선 통신 서버에 연결되었을 때 인터넷 연결을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버스 내에 구비된 무선 통신 서버와 단말간의 연결을 통하여 상술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Thereafter, the server transmits data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receives the message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driver through a display And visually transmits it (S12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ccurring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server or the base station on the running bus,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failure which occurs when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used at the same time, You can fix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connect to the Internet when connected to the serve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rough connection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nd a terminal provided in a bus.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2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bus internal device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버스에는 탑승객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100)과,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버스에 구비된 무선 통신 서버(200)가 구비된다. 상기 무선 통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bus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owned by a passeng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equipped with the bus.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may include communication means for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0, as well as 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현재의 주행중인 버스의 정보(위치, 속도, 교통상황) 또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상기 무선 통신 서버와 접속된 사용자 단말은 외부 인터넷 서버와 접속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버스에 구비된 위성 TV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3,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can transmit data such as a moving picture to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furthermore, Location, speed, traffic conditions)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Internet server or receive data received from a satellite TV receiver provided on the bu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 통신 서버(200)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즉 탑승객의 좌석정보)가 상기 접속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 서버(200)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으며, 이로써 버스 좌석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사용자 단말(100)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도 4 참조).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i.e., the passenger's seat information) is confirm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simultaneously with the connection Whereby control of the device of the bus seat can be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00 (see FIG. 4).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은 무선 통신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을, 탑승객이 구매한 티켓으로 승인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nal device of a b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allowing a connection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and a user terminal 100 as a ticket purchased by a passeng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승인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mmunication appr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탑승객이 구매한 버스 티켓에는 무선 통신 서버(200)로의 액세스를 승인하는 액세스 코드(코드)가 표시되며, 상기 코드 입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통신 서버(200)의 접속 여부가 승인된다. 이때 상기 코드는 통신 접속을 위한 고유의 코드거나, 기존에 티켓에 표시된 일반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코드가 될 수 있다. 5, an access code (code) for approving access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is displayed on the bus ticket purchased by the passenger, and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Is approved. At this time, the code may be a code unique to a communication connection or a general information displayed on a ticket.

도 6 내지 8은 사용자 단말을 통한 버스 내 인터렉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tra-bus interaction method through a user terminal.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 내에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소정의 메시지(예를 들어 추워요)가 입력된다. Referring to FIG. 6, a predetermined message (for example, cold)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bus.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입력된 메시지는 상기 버스 내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접속된 무선 통신 서버(200)로 전송된다. Referring to FIG. 7, a message input to the user terminal 100 is provided in the bus, and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 서버(200)로 전송된 메시지는 상기 버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춥다는 메시지가 들어오는 경우, 버스 운전수는 실내 온도를 올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messag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300 provided on the bus. For example, if a message of coldness comes in, the bus driver can raise the room temperature.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무선 통신 서버(200)와 상기 무선 통신 서버(200)와 통신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와 인터렉션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interaction with various services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and the user terminal 100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as described abov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각 좌석에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을 좌석 위치가 확인된 사용자 단말로 제어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Still 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service function provided to each seat to a user terminal whose seating position is confirmed.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석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9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sea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200)에 접속하며, 상기 접속은 버스 티켓 등에 표시된 코드를 통하여 승인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 승인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탑승객 좌석 위치)가 바로 확인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 user terminal 100 in a bus connect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of the bus, and the connection can be approved through a code such as a bus ticket or the like. The position (occupant seat position) can be checked immediately.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접속과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확인된다(도 10 참조). 이러한 위치 정보 확인은,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와 좌석번호를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is confirmed simultaneously or continuously (refer to FIG. 10). Such posi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may be performed by matching the code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with the seat number.

이후, 상기 위치 정보가 확인된 사용자 단말(100)의 조작 신호에 따라 버스 좌석의 주변기기를 제어하여, 음향 세기, 공조 온도 또는 조명의 밝기 등을 조작할 수 있다(도 11 참조). 이 경우, 탑승객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로, 좌석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나 공조 기기 등을 독립적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서버(200)에 동시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는 각각의 위치 정보에 따라 식별되므로, 이를 통하여 독립적인 좌석 제어가 가능하다.Then, the peripherals of the bus seat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100 hav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confirmed (see FIG. 11), thereby controlling the sound intensity, the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or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In this case, the passenger can control the display, the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seat in his / her own user terminal in an independent manner. In addition, since the user terminals 100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200 a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pective position information, independent seat control can be performed through them.

본 발명은 상술한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서버를 제공하는데, 이는 도 12에서 도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as shown in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의 블록도이다. 1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a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서버는, 상기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400); 및 상기 통신부(400)를 통하여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입력신호에 따라 데이터 등을 전송하거나, 메시지 등을 버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등에 표시하는 제어부(41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2,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400 for connecting with a user terminal in the bus; And a controller 410 for transmitting data or the like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or displaying a message or the like on a display provided on the b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 서버의 통신부(400)는,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비밀번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접속 여부를 승인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can approve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assword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사용자 단말간 인터렉션용 무선 통신 서버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 시스템을 포함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for inter-bus-user terminal inte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y system for storing data from outside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a user terminal.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내부 무선통신 서버의 블록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of a bus in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서버는, 외부 통신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500); 상기 무선서버에 접속된 버스 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10);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5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부(520)을 포함한다. 즉, TV나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버스 내에 구비된 무선통신 서버의 데이터 저장장치(510)에 일시 또는 영구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예를 들어 동영상, 음악 등)는 이후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저장은 상기 설명한 사용자 단말-버스 무선통신 서버 간의 인터렉션 방식을 따른다. 또한 상기 외부 데이터는 TV 기지국이나, 또는 외부 인터넷 서버 등으로부터 상기 버스 내에 구비된 무선통신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13,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500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server; A data storage unit (510) for storing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communication server according to a request signal from a user terminal in a bus connected to the wireless server; And a relay unit 520 for transmitt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510 to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V or the Internet is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ed in the data storage device 51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provided in the bus, and the stored data (for example, video, music, etc.) do. The data transfer / storage follows the interaction scheme between the user terminal-bus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data may be transmitted from a TV base station or an external Internet server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provided in the bus.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버스-사용자 단말간 인터렉션 기반 내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program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device based interactions between buses and user terminal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nstructions are recorded includes, for example,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media storage, and the lik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recorded may be distributed to a computer apparatus connected via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this case,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computers may execute some of the functions presented above and send the results of the execution to one or more of the other distributed computers, The computer may also perform some of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provide the results to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s well.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computer capable of reading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performing an interaction method according to each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d may be a general PC such as a general desktop or a notebook computer,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ssistants, and mobile terminals,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ll devices capable of comput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지능형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지능형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ntelligent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ntelligent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adable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realiz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or the like can be included.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버스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는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승인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와 좌석번호를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In a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method,
Connect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the bus to a user terminal of the bus occupant;
Check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nd
And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connected user terminal,
Wherein the step of connect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includes a step of accepting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code displayed on a bus boarding pass,
Wherein the check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is performed by matching the code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with the seat number.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으로,
상기 버스 탑승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메시지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상기 버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는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승인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와 좌석번호를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In a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method,
Connect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the bus to a user terminal of the bus occupant;
Check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nd
And displaying the input message on a display provided on the bu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ccording to a message input of the connected user terminal,
Wherein the step of connect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includes a step of accepting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code displayed on a bus boarding pass,
Wherein the check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is performed by matching the code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with the seat nu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서버를 통하여, 상기 무선 통신 서버와 접속된 사용자 단말은 외부 인터넷 서버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is connected to an external Internet ser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서버는 상기 버스에 구비된 위성 TV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transmits data received from a satellite TV receiver provided on the bus to the user terminal.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스-사용자 단말 인터렉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6.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a bus-user terminal inte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으로,
상기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스의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가 확인된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신호에 따라 버스 좌석의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는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승인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와 좌석번호를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
As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inside a bus,
Connect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of the bus to a user terminal in the bus;
Check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And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of a bus seat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f a user terminal for which the positional information is confirmed,
Wherein the step of connect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includes a step of accepting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code displayed on a bus boarding pass,
Wherein the check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is performed by matching the code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with the seat nu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8항에 따른 버스 내부 기기 제어방법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a bus internal apparatu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re recorded. 버스 내부 무선서버로서,
상기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과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400); 및
상기 통신부(400)를 통하여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입력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메시지를 전송받는 제어부(410)를 포함하고,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 입력에 따라 상기 통신부(400)와 사용자 단말의 접속 여부를 승인하고,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와 좌석번호를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무선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버스 내부 무선서버.
As a wireless server inside a bus,
A communication unit 400 for connecting with a user terminal in the bus; And
And a control unit (410)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or receiving a message input to the user terminal,
Accepts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ode input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server is confirmed by matching the code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with the seat numb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전송받은 메시지를 상기 버스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로 상기 통신부(400)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무선서버.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410) transmits the received message to the display provided in the bu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삭제delete 버스 내부 기기 무선서버로서,
외부 통신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500);
상기 무선서버에 접속된 버스 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10);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5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부(520)을 포함하고,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 입력에 따라 상기 무선서버와 사용자 단말의 접속 여부를 승인하고,
상기 버스 탑승권에 표시된 코드와 좌석번호를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무선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버스 내부 기기 무선서버.
Bus internal device As a wireless server,
A communication unit 500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server;
A data storage unit (510) for storing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communication server according to a request signal from a user terminal in a bus connected to the wireless server; And
And a relay unit 520 for transmitt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510 to the user terminal,
Accepts whether or not the wireless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are connected according to a code input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server is checked by matching the code displayed on the bus boarding pass with the seat numbe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 서버는 인터넷 또는 TV 중계용 통신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기기 무선서버.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external communication server is a communication server for Internet or TV relay.
KR20120137801A 2012-11-30 2012-11-30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ust and user terminal KR1014959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7801A KR101495965B1 (en) 2012-11-30 2012-11-30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ust and 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7801A KR101495965B1 (en) 2012-11-30 2012-11-30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ust and user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924A KR20140069924A (en) 2014-06-10
KR101495965B1 true KR101495965B1 (en) 2015-02-26

Family

ID=5112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7801A KR101495965B1 (en) 2012-11-30 2012-11-30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ust and user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9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750B1 (en) * 2016-12-09 2018-07-23 주식회사 티노스 Emergency reaction apparatus of passenger transporting means
KR102473051B1 (en) * 2021-03-25 2022-12-02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Network server and method to communicate with client terminal disposed in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0009A (en) * 2000-11-16 2002-05-24 Hitachi Ltd Movable body-mounted information system and its ser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0009A (en) * 2000-11-16 2002-05-24 Hitachi Ltd Movable body-mounted information system and its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924A (en)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66013A1 (en) Portable and personalized passenger infotainment system in connected car
CN104115087B (en) Aviation electronics gateway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20140094143A1 (en) Passenger mobile station registration with a passenger communications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itons
KR101020948B1 (en) Network gateway and network system for a vehicle
US988344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s
EP2728938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necting devices via wi-fi network
US20120254428A1 (en) Server device and service provision method
EP2770787B1 (en) Passenger mobile station registration with a passenger communications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CN104641622A (en)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uter using a mobile telephone
KR20150144774A (en) Remote user interface for self-service computing device
US20130339073A1 (en)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resources in a circumscribed venue
EP29114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electronic device
EP3139319A1 (en)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cancelling ticket, ticket cancel guid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JP2018524620A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specifying sound generation position
KR10223956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access point in local area network at electronic device
KR1014959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ust and user terminal
KR102431306B1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12543431A (en) Account synchronization method, medium and server
US119349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ones as a service
JP2020191573A (e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101928294B1 (en) System for managing reservation of counseling service based on tex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723980B1 (en) System for beauty management and cosmetic visit sa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31303B1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490933B1 (en) Group ticket network system of offline event and method for managing thereof
US20240188182A1 (en) In-vehicle control of wireless connection den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