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883B1 -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883B1
KR101495883B1 KR20140088620A KR20140088620A KR101495883B1 KR 101495883 B1 KR101495883 B1 KR 101495883B1 KR 20140088620 A KR20140088620 A KR 20140088620A KR 20140088620 A KR20140088620 A KR 20140088620A KR 101495883 B1 KR101495883 B1 KR 10149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simulated target
vehicle
targ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8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88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14Indirect ai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32Devices for testing or che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001Devices or systems for testing or che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2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based on continuous observation of target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2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based on continuous observation of target position
    • F41G7/24Beam riding guidance systems
    • F41G7/26Optical guida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도비행체를 발사하는 발사관과 결합되어 상기 유도비행체로부터 표적을 향하는 광축을 고정시키는 광축검사본체부;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표적을 모의하는 모의표적이 형성된 모의표적부; 및 상기 유도비행체와 상기 모의표적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축의 정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모의표적을 상기 유도 비행체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축소시켜 보여주는 렌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및 방법{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optical axis of guided aircraft}
본 발명은 유도 비행체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도 비행체는 사용자가 표적을 인지하고 조준하면 표적을 포착하게 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유도 비행체는 사용자가 유도 비행체를 장착한 발사장비를 통해 표적을 포착한 후 이와 동시에 유도 비행체의 탐색기가 표적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게 되면 획득된 영상을 확인한 사용자에 의해 발사된다. 따라서 유도 비행체는 표적을 인지한 사용자가 유도 비행체를 즉시 발사하기 위해서 유도 비행체에 장착된 탐색기에 의해 신속하게 표적을 포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사장비를 통한 사용자의 시선과 탐색기의 시계(FOV:Field of View)중심이 일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유도 비행체는 발사 전 단계에서 발사관에 장입되고 발사관이 발사장비에 장착됨으로써 발사 준비 단계에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유도 비행체는 발사관에 장입시 유도 비행체의 탐색기 영상의 시계와 발사관의 발사 면에 수평이되어야 한다. 유도 비행체는 발사관에 장입 되고 발사장비에 장착 될 때 탐색기의 영상과 발사장비의 영상이 틀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탐색기의 영상으로 전환하였을 시 표적이 확인되지 않는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탐색기의 광축 정렬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광축 정렬이란 유도 비행체의 발사관과 결합된 발사장비의 영상과 유도 비행체의 탐색기가 획득한 영상이 일치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광축 정렬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는 유도 비행체에 있어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종래의 유도 비행체의 광축 정렬 검사는 광축 정렬 장비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1 을 참조하면, 이러한 유도 비행체(20)는 광축 정렬을 위해 유도 비행체의 각종 성능을 점검하는 종합점검장비에서 광축 정렬 장비(10)로 옮겨지게 된다. 이러한 광축 정렬 장비(10)는 광축 정렬을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운용컴퓨터(11), 유도 비행체가 거치되는 정렬 점검 장비(12) 및 각종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블조립체(13)를 포함한다. 유도 비행체(20)는 광축 정렬 장비(10)에서 광축 정렬을 마친 후 다시 종합점검장비로 이동되어 나머지 성능을 점검 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점검 시간이 늘어나고 불필요한 노동력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광축 정렬 장비(10)는 고정 설치형으로 휴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유도 비행체 발사시험 현장이나 실제 전장상황에서 유도 비행체의 광축 정렬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그리고 종래의 광축 정렬 장비(10)는 규모가 크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제작 및 관리에 드는 비용 또한 크다.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10-1368403호는 모의표적을 형성하는 표적모의기와 모의표적의 영상을 획득하는 광축정렬부와 광축정렬부에 빛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부를 포함하며, 광축정렬부에 광축의 정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개구된 슬롯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 정렬 장치로서, 휴대가 가능하고 유도 비행체와 결합되어 광축정렬 상태 확인이 가능한 본 발명과는 그 구성이 상이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 비행체의 발사관에 결합되어 유도 비행체의 광축 정렬 검사에 이용되는 휴대 가능한 광축 검사 치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는 유도비행체를 발사하는 발사관과 결합되어 상기 유도비행체로부터 표적을 향하는 광축을 고정시키는 광축검사본체부;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표적을 모의하는 모의표적이 형성된 모의표적부; 및 상기 유도비행체와 상기 모의표적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축의 정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모의표적을 상기 유도 비행체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축소시켜 보여주는 렌즈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의표적부와 상기 렌즈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 비행체로부터 상기 모의표적을 향하는 광축의 정렬상태를 눈금좌표 상에 보여주는 눈금좌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의표적부는 상기 유도 비행체가 감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을 발산하는 표적을 모의한 모의표적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의 밑면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모의표적에 대응되는 구멍이 중앙에 형성된 판(P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의 밑면과 상기 모의표적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모의표적이 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모의표적부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의 밑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모의표적부를 감싸서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의 밑면 중앙에 고정시키며 상기 유도 비행체가 상기 모의표적을 인지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고정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축검사본체부는 상기 발사관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발사관에 끼워 맞춰져 상기 몸체부와 결합시켜 상기 광축을 고정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유도 비행체의 광축이 향하는 모의표적이 형성된 상기 모의표적부가 중앙에 거치되는 밑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상기 렌즈부는 상기 유도 비행체가 상기 모의표적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모의표적을 축소시켜 보여주는 배율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의 밑면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 비행체가 상기 모의표적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빛을 전달하여 상기 모의표적의 밝기를 조절하는 램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방법은 유도 비행체를 발사하는 발사관에 모의표적을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유도 비행체에 장착된 탐색기를 이용하여 적외선을 발산하는 상기 모의표적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모의표적이 표시되는 눈금좌표를 통해 상기 유도 비행체로부터 상기 모의표적을 향하는 광축 정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의표적이 위치하는 눈금좌표 값으로부터 상기 영상의 중심점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광축 정렬 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광축 정렬 상태가 이상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의표적이 위치하는 눈금좌표 값에 대응되게 상기 탐색기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점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체형의 단일 장비로 휴대가 가능하여 유도 비행체 발사시험 현장이나 실제 전장상황에서 유도 비행체 광축의 정렬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간적 이점이 있으며, 기존의 정렬 장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제작 및 관리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종합점검장비에서 유도 비행체와 결합되어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광축 정렬 상태 확인을 위한 종래의 광축 정렬 장치로의 이동이 없어 노동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1 은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를 간략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축 검사 치구와 유도 비행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축 정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방법을 간략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유도 비행체는 목표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비행경로의 유도가 이루어진다. 탐색기(미도시)는 비행경로의 유도를 위하여 유도 비행체에 구비되어, 목표 지점 즉, 표적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표적의 인식은 표적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영상화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도 비행체는 발사 전 구성품 조립 단계에서 조립에 따른 문제 등으로 광축이 흐트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비행체는 발사관에 장입되어 발사장비에 장착된다. 이 과정에서 유도 비행체는 광축이 흐트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비행체는 광축의 비정렬 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초기 발사장비에서 보는 영상과 탐색기가 획득한 영상의 지향점이 달라지게 되어 빠른 표적포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유도 비행체는 광축 정렬 상태의 이상 여부에 대한 사전 검사가 필요하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 광축 검사 치구를 간략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축 검사 치구(100)는 유도 비행체에 장착되는 탐색기의 광축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유도 비행체의 발사관에 장착되어 유도 비행체의 광축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광축검사본체부(110), 모의표적부(120), 렌즈부(130), 눈금좌표부(140), 램프부(150), 고정막(160), 발열부(170), 전원부(180)를 포함한다.
광축검사본체부(110)는 발사관에 장입된 유도 비행체의 광축 정렬을 위해 발사관과 결합되는 장치이다. 광축검사본체부(110)는 발사관에 장입된 유도 비행체와 대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광축검사본체부(110)는 발사관과 결합되어 유도비행체로부터 표적을 향하는 광축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축검사본체부(110)는 몸체부(111), 결합부(112) 및 밑판부(113)를 포함한다.
몸체부(111)는 유도 비행체의 광축 정렬을 위한 장치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이다. 이러한 몸체부(111)는 유도 비행체가 장입된 발사관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유도 비행체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12)는 유도 비행체가 장입된 발사관과 몸체부(111)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합부(112)는 몸체부(111) 내부에 위치하여 유도 비행체가 장입된 발사관의 홈과 결합되는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12)는 발사관에 형성된 홈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유도 비행체가 장입된 발사관과 몸체부(111)를 결합시킬 수 있다.
밑판부(113)는 몸체부(111)의 밑 바닥에 형성되어 내부 장치들을 거치시키는 것으로서, 일부 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plate)일 수 있다. 밑판부(113)는 유도 비행체의 광축 정렬 상태 확인을 위한 모의표적부(120)를 중앙에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밑판부(113)는 램프부(150), 고정막(160) 및 발열부(170)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밑판부(113)는 전원부(180)를 내부에 수용하는 장소일 수 있다.
모의표적부(120)는 광축검사본체부(110) 내에 위치하여 유도 비행체의 광축 정렬 상태 확인을 위한 모의표적이 형성된 판(plate)이다. 모의표적부(120)는 광축 정렬 상태 확인을 위해 결합되는 유도 비행체와 대향하는 밑판부(113)에 거치될 수 있다. 모의표적부(120)는 방사율이 높은 소재의 판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율이란 물체가 외부 광 에너지를 흡수한 후 일부 재 방사하거나 혹은 표면 반사 현상이 일어날 때 재 복사하는 에너지 비율을 말한다. 방사율이 높은 소재의 판을 사용하는 이유는 모의표적부(120)가 발열부(170)를 통해 열을 전달받아 적외선을 발산하여 유도 비행체가 표적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모의표적부(120)는 유도 비행체가 유도되는 표적을 모의하는 모의표적(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의표적(121)은 모의표적부(12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모의표적(121)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은 유도 비행체의 광축 정렬 상태 확인을 위한 것임이 자명하다. 또한, 모의표적(121)은 유도 비행체의 광축 정렬시 유도 비행체가 지향해야 할 표적이다.
렌즈부(130)는 모의표적(121)을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 비행체가 모의표적(121)을 바라 볼 때 그 크기를 축소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렌즈부(130)는 모의표적부(120)와 광축검사본체부(110)에 결합된 유도 비행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130)는 표적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배율 조절이 가능한 배율조정렌즈일 수 있다. 렌즈부(130)는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유도 비행체의 탐색기가 모의표적(121)을 인식하게 도와준다.
눈금좌표부(140)는 모의표적부(120)와 렌즈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모의표적(121)을 눈금좌표 상에 나타내기 위한 장치이다. 눈금좌표부(140)는 유도 비행체의 탐색기가 모의표적(121)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눈금좌표부(140)는 중앙에 위치하는 모의표적(121)을 기준으로 유도 비행체의 광축 정렬 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서, 유도 비행체의 탐색기는 눈금좌표를 포함하는 모의표적(121)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모의표적(121)이 포함된 영상은 광축 정렬 상태 확인에 이용된다.
램프부(150)는 유도 비행체의 발사관에 장착되어 빛이 차단된 광축검사본체부(110) 내부에 빛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램프부(150)는 유도 비행체가 모의표적을 정확히 볼 수 있도록 모의표적부(120)에 빛을 전달 하여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램프부(150)는 빛을 제공하기 위해 전원부(18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램프부(150)는 밑판부(113)에 의해 거치되며 모의표적부(120)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램프부(150)는 LED램프일 수 있다.
고정막(160)은 모의표적부(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밑판부(113)에 거치될 수 있다. 고정막(160)은 유도 비행체의 탐색기가 모의표적(121)을 인지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막(160)은 밑판부(113)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모의표적부(12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170)는 모의표적(121)에서 적외선이 발산될 수 있도록 모의표적부(120)에 열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발열부(170)는 모의표적부(120)와 밑판부(113) 사이에 위치하며 투명막(1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발열부(170)는 전원부(18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170)는 펠티에 효과에 의해 발열하는 열전소자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열전소자(TE Cooler)는 사용자의 이동형 설계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소형 및 경량화된 적외선 에너지원이다. 따라서, 발열부(170)는 일종의 적외선 발생장치이다.
전원부(180)는 각종 전기로 구동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원부(180는 거치부(113) 내부에 위치하며 휴대 가능한 배터리이다. 또한, 전원부(180)는 램프부(150)와 발열부(1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축 검사 치구와 유도 비행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는 먼저 거치대(300)에 유도 비행체가 장입된 발사관(200)을 거치하고, 거치된 발사관에 광축 검사 치구(100)를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300)는 종래의 종합점검장비를 통해 유도 비행체의 종합 점검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이는 통해 유도 비행체의 종합 점검 과정에서 광축 검사를 위한 이동이 필요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축 정렬 상태 확인을 위해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광축 검사를 위한 장소는 종합점검장비가 있는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발사시험 현장이나 실제 전장상황에서 광축 검사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축 정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 를 참조하면, 도4 의 (a)는 광축 정렬된 모습이고, 도4 의(b)는 광축 정렬이 되지 않은 비정렬 상태를 보여준다.
모의표적(410)은 눈금좌표 상의 정중앙에 위치하며 모의표적(410)을 지향하는 유도 비행체의 탐색기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점(420)은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영상의 중심점(420)이 다양하게 위치하는 것은 유도 비행체가 발사관에 장입될 시 잘 못 장입되는 경우 또는 외부 환경 요소 등으로 인해 광축에 오차가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탐색기의 모의표적에 대한 초점을 수정함으로써 광축을 정렬하는 것이 필요하다.
광축 정렬은 모의표적(410)의 눈금좌표 값을 기반으로 가능하다. 광축 정렬은 영상의 중심점(420)의 눈금좌표 값을 모의표적(410)의 눈금좌표 값으로 수정하는 것으로서 가능하다.
이러한 광축 정렬은 외부에서 탐색기가 획득한 영상을 시청하는 점검자에 의해 가능하거나 광축 정렬 프로그램을 탑재한 종래의 종합점검장비를 통해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렇게 손쉽게 광축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종래의 정렬점검장비를 통한 광축 정렬에 이용되는 비용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표적을 모의한 모의표적과 유도비행체를 결합시킨다(S501). 여기서, 유도 비행체와 결합되는 것은 모의표적을 내부에 수용하는 광축검사본체부(110)이다. 또한, 유도 비행체는 발사관에 장입된 상태이며 광축검사본체부(110)는 발사관과 결합된다.
다음으로, 유도 비행체에 장착된 탐색기를 이용하여 적외선을 발산하는 모의표적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한다(S503). 여기서, 탐색기는 적외선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적외선 영상 탐색기이다.
그 다음에, 획득된 영상에서 모의 표적이 표시되는 눈금좌표를 통해 유도 비행체로부터 모의표적을 향하는 광축 정렬상태를 확인한다(S505). 여기서, 광축 정렬상태는 눈금좌표 상에 위치하는 모의표적과 탐색기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점의 위치관계를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광축 정렬 상태의 이상여부를 판단한다(S507). 여기서, 광축의 정렬상태의 정상상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눈금좌표 상에 위치하는 모의표적과 탐색기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점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광축의 정렬상태가 이상이 있는 경우는 그 외의 경우라 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일정한 범위에 한해서는 정상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광축의 정렬 상태가 이상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모의표적이 위치하는 눈금좌표 값에 대응되게 탐색기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점을 변경시켜 광축을 정렬시킨다(S509). 여기서, 중심점을 변경시키는 것은 광축 정렬 프로그램을 탑재한 종래의 종합점검장비 또는 영상을 시청하는 점검자에 의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광축 검사 치구
110: 광축검사본체부
111: 몸체부
112: 결합부
113: 밑판부
120: 모의표적부
130: 렌즈부
140: 눈금좌표부
150: 램프부
160: 고정막
170: 발열부
180: 전원부

Claims (10)

  1. 유도비행체를 발사하는 발사관과 결합되어 상기 유도비행체로부터 표적을 향하는 광축을 고정시키는 광축검사본체부;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표적을 모의하는 모의표적이 형성된 모의표적부; 및
    상기 유도비행체와 상기 모의표적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축의 정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모의표적을 상기 유도 비행체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축소시켜 보여주는 렌즈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축검사본체부는
    상기 발사관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발사관에 끼워 맞춰져 상기 몸체부와 결합시켜 상기 광축을 고정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유도 비행체의 광축이 향하는 모의표적이 형성된 상기 모의표적부가 중앙에 거치되는 밑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표적부와 상기 렌즈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 비행체로부터 상기 모의표적을 향하는 광축의 정렬상태를 눈금좌표 상에 보여주는 눈금좌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표적부는
    상기 유도 비행체가 감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을 발산하는 표적을 모의한 모의표적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의 밑면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모의표적에 대응되는 구멍이 중앙에 형성된 판(Plate)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의 밑면과 상기 모의표적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모의표적이 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모의표적부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의 밑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모의표적부를 감싸서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의 밑면 중앙에 고정시키며 상기 유도 비행체가 상기 모의표적을 인지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고정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유도 비행체가 상기 모의표적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모의표적을 축소시켜 보여주는 배율렌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검사본체부 내의 밑면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 비행체가 상기 모의표적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빛을 전달하여 상기 모의표적의 밝기를 조절하는 램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9. 삭제
  10. 삭제
KR20140088620A 2014-07-14 2014-07-14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및 방법 KR10149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8620A KR101495883B1 (ko) 2014-07-14 2014-07-14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8620A KR101495883B1 (ko) 2014-07-14 2014-07-14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883B1 true KR101495883B1 (ko) 2015-02-25

Family

ID=5259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8620A KR101495883B1 (ko) 2014-07-14 2014-07-14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8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096B1 (ko) * 1994-04-29 2001-09-17 윌리암 씨. 스튜어트, 제이알. 소형 병기용 레이저 송신기
KR101368403B1 (ko) * 2013-11-08 2014-02-28 국방과학연구소 표적 모의기의 광축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탄의 광축 정렬 시스템
KR101415144B1 (ko) * 2013-03-13 2014-07-04 국방과학연구소 원거리 광축 정렬장치 이를 이용한 원거리 광축 정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096B1 (ko) * 1994-04-29 2001-09-17 윌리암 씨. 스튜어트, 제이알. 소형 병기용 레이저 송신기
KR101415144B1 (ko) * 2013-03-13 2014-07-04 국방과학연구소 원거리 광축 정렬장치 이를 이용한 원거리 광축 정렬방법
KR101368403B1 (ko) * 2013-11-08 2014-02-28 국방과학연구소 표적 모의기의 광축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탄의 광축 정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7307B2 (en) Apparatus for inspecting alignment of optical device
CN109407335B (zh) 一种用于透镜组调整的调整装置和调整方法
KR101495883B1 (ko) 유도 비행체의 광축 검사 치구 및 방법
EP2896942B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controlling testing optical fire detector
CN102207543B (zh) 一种用于自主移动设备的定位导航系统及方法
JP7213392B2 (ja) 視準校正装置および視準校正方法
KR102136759B1 (ko) 유도비행체의 정렬 상태 측정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렬 상태 측정시스템
US7812932B2 (en) Universal laser range evaluation and verification system
CN111986257A (zh) 一种支持可变距离的弹点识别自动校准方法及系统
CN105910627A (zh) 用于空间视觉导航敏感器的动态模拟器
CN207460398U (zh) 用于测试镜头解析力的测试工装
CN114967022B (zh) 基于双经纬仪的自准直动态靶标光学装校方法
CN106033147B (zh) 一种光学目标模拟器与球形整流罩中心对准系统
CN109892034B (zh) 一种基于五轴转台的多模复合目标模拟装置
CN211783857U (zh) 一种空间分布光学测量装置
KR101604321B1 (ko) 배열 안테나의 지상 정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12051241B (zh) 一种基于无人机的调光玻璃的调光方法、无人机及系统
KR102284121B1 (ko) 디스플레이 검사용 스마트 비전 검사 모듈
KR20180097260A (ko) 탐색기의 추적성능시험을 위한 모의표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험준비방법
CN106054493A (zh) 光学系统和扫描枪
US20150365652A1 (en) Depth camera system
CN205725977U (zh) 一种手机摄像头在线测试设备
US8970708B2 (en) Automatic device alignment mechanism
CN110568704A (zh) 一种超短焦镜头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220690806U (zh) 一种火工品药柱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