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681B1 - Air umbrella device - Google Patents

Air umbrell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681B1
KR101495681B1 KR20140164632A KR20140164632A KR101495681B1 KR 101495681 B1 KR101495681 B1 KR 101495681B1 KR 20140164632 A KR20140164632 A KR 20140164632A KR 20140164632 A KR20140164632 A KR 20140164632A KR 101495681 B1 KR101495681 B1 KR 101495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exhaust
tube
ai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4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신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철 filed Critical 신영철
Priority to KR20140164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6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681B1/en
Priority to CN201580063492.1A priority patent/CN106998864B/en
Priority to US15/529,291 priority patent/US10852017B2/en
Priority to PCT/KR2015/012590 priority patent/WO201608521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6Centre-pole supported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umbrella device. The air umbrella device comprises: an air intake tube which is vertically arranged on the ground and includes an air intake hole on an upper part thereof; a water collecting tube which is arranged to accommodate the air intake tube therein concentrically to the air intake tube and includes a water guide tube formed on an upper part thereof to guide rain or snow downward; an exhaust gas tube which is arranged to accommodate the water collecting tube therein concentrically to the water collecting tube and includes an exhaust gas guiding tube coupled to an upper part thereof to guide air to the outside; a connection tube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arts of the air intake tube, the water collecting tube, and the exhaust gas and connects the air intake tube with the exhaust gas tube; and an air blower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exhaust gas tube and the water collecting tube and sucks the air through the air intake tube and exhausts the air through the exhaust tube. The air umbrella device can block rain and snow from falling to the lower part of the exhaust gas guiding tube by allowing the air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air guiding tube to form an air film of a predetermined area on an upper part of the exhaust gas guiding tube.

Description

공기우산장치{AIR UMBRELLA DEVICE}AIR UMBRELLA DEVICE}

본 발명은 공기우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지붕이 없는 개방된 공간에서 우천시 별도의 차단막 없이 공기의 흡입과 분사에 의해 일정면적을 비와 눈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공기우산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umbrella apparatus capable of blocking a certain area from rain and snow by an air suction and a spray without a separate shielding film in a rainy open space in a roofless manner.

버스정류장, 공공건물, 음식점 외부 등의 장소에는 눈, 비 등을 차단하기 위해 차양장치가 설치된다. 차양장치는 비나 눈이 오지 않는 경우 접혀진 상태로 유지하고, 비나 눈이 올 경우 펼쳐서 사용한다. In places such as bus stops, public buildings, and restaurants, an awning device is installed to block snow and rain. The awnings are kept folded when there is no rain or snow, and spread when rain or snow comes.

종래 차양장치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10-0662106호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된 바 있다.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hading devic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0662106 entitled " A shad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종래 차양장치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그 크기와 규모가 다양하며, 설치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차양장치를 펼치고 접기 위해 관리자가 수동으로 구동하거나, 별도의 구동모터를 이용해 자동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이에 차양장치의 구동과 관리에 상당한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Conventional shading apparatuses vary in size and size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they are installed, and a considerable cost is required for installation. In addition, the manager may manually drive the shading device to unfold and collapse the shading device, or may automatically drive the shading device using a separate driving motor. There is a drawback in that a considerable manpower and cost are required for driving and managing the shading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양막을 펼치거나 접을 필요 없이 공기의 흡입과 분사에 의해 공기막을 형성해 일정면적을 비와 눈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공기우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umbrella device capable of forming an air film by sucking and blowing air without exposing or folding the shade film to block a certain area from rain and snow.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우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공기흡입공이 형성된 공기흡입관과; 상기 공기흡입관과 동심원상으로 상기 공기흡입관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비나 눈을 하부로 안내하는 집수유도관이 결합된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과 동심원상으로 상기 집수관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안내관이 결합된 배기관과; 상기 공기흡입관과 상기 집수관 및 상기 배기관의 하부에 함께 결합되며, 상기 공기흡입관과 상기 배기관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관과; 상기 배기관과 상기 집수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흡입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기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안내관을 통해 배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관의 상부에 일정면적 공기막을 형성하여 상기 배기안내관의 하부로 비와 눈이 낙하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pneumatic umbrella apparatus. The air umbrell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ir intake pipe vertically disposed on a ground surface and having an air intake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water collecting pipe arranged to receive the air suction pipe in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air suction pipe and coupled with a collecting duct for guiding rain or snow to the upper part; An exhaust pipe dispos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pipe concentrically with the water collecting pipe and having an exhaust guide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to guide air to the outside; A communicating tube coupled to the air suction pipe, the collecting pi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xhaust pipe, the communicating pipe communicating the air suction pipe and the exhaust pipe; And a blower disposed between the exhaust pipe and the collecting pipe for allowing air to flow through the air suction pipe and exhausting the exhaust gas through the exhaust pipe, An area air film is formed to prevent rain and snow from falling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haust guide pip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흡입관의 상부에는 반구형상의 흡입헤드가 결합되고, 상기 흡입헤드의 표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공이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hemispherical suction head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ir suction pipe, and a plurality of air suction holes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ction hea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유도관과 상기 배기안내관은 각각 상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llecting conduit and the exhaust guide pipe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trumpet tube having a gradually widened diameter toward the upper par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통관의 하부에는 상기 집수관을 통해 하부로 이동된 비 또는 눈 녹은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가 구비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servoir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mmunicating tube for storing rain or snow melted water that has been moved downward through the collector pip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유도관의 표면에는 열선히터가 구비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collecting conduit is provided with a hot-wire heat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기안내관은 상기 집수관에 비해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배기안내관은 중심방향을 향해 접혀지게 구비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xhaust guide pipe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collector pipe, and the exhaust guide pipe is provided so as to be folded toward the center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풍기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기를 정역구동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er further includes an inverter coupled to the blower to forwardly drive the blower.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는 별도의 차단막 없이 공기의 흡입과 배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막으로 비와 눈으로부터 안전한 차단영역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공연장 등에 설치되어 급작스런 우천시에 관람객들의 대피처로 이용될 수 있고, 비닐하우스나 연약한 지붕 위에 설치하면 적설피해를 방지할 수도 있다. The air umbrell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film formed by suction and discharge of air without a separate shielding film, and forms a shielding region which is safe from rain and snow. As a result, it can be used as a place to evacuate visitors in case of a sudden rainy weather, and it can prevent snow damage by installing it on a plastic house or a soft roof.

또한, 축구경기장 관중석이나 도심의 노상 버스정류장에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가 설치될 경우 별도의 우산없이도 안전하게 비와 눈을 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ir umbrell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and of a soccer stadium or a bus stop in a city center, it is possible to safely avoid rain and snow without a separate umbrella.

또한, 저수조에 저장된 비와 눈은 깨끗한 상태로 포집되어 유용한 용처에서 재사용할 수도 있다.
Also, the rain and snow stored in the water tank can be collected in a clean state and reused in useful area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우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neumatic umbrella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air umbrella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air umbrella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ir umbrella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neumatic umbrella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which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100)가 설치되어 눈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공기우산장치(100)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umbrell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lock the eyes,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umbrell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air umbrella apparatus 100.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우산장치(100)는 공기흡입관(110), 집수관(120) 및 배기관(130)이 동심원상으로 서로 중첩적으로 배치된다. 공기흡입관(110)이 가운데 배치되고, 집수관(120)이 공기흡입관(110)을 수용하게 배치되고, 배기관(130)이 공기흡입관(110)의 외측에 배치된다. 공기흡입관(110)과 배기관(130)은 연통관(140)에 의해 하부가 연통되게 연결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ir umbrell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air suction pipe 110, the collector pipe 120, and the exhaust pipe 130 are concentrically disposed one on the other. The air suction pipe 110 is disposed in the center and the collector pipe 120 is disposed to receive the air suction pipe 110 and the exhaust pipe 130 is disposed outside the air suction pipe 110. The air suction pipe 110 and the exhaust pipe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mmunicating pipe 140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공기흡입관(11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수직하게 배치된다. 공기흡입관(110)의 상부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헤드(111)가 구비된다. 흡입헤드(111)는 구 형태 또는 반구 형태로 형성된다. 흡입헤드(111)의 표면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공(111a)이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The air suction pipe 110 is vertically arranged to have a constant height from the ground. A suction head 111 for sucking air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ir suction pipe 110. The suction head 111 is formed in a spherical or hemispherical shape. On the surface of the suction head 111,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11a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re formed.

흡입헤드(111)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흡입관(110)을 경유하여 배기관(130)을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공기흡입관(110)과 흡입헤드(111)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head 111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exhaust pipe 130 via the air suction pipe 110. The air suction pipe 110 and the suction head 111 may be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ly detachably coupled.

집수관(120)은 공기흡입관(110)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집수관(120)은 공기흡입관(110)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된다. 집수관(120)은 연통관(140)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집수관(120)의 상부에는 점차 직경이 커지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된 집수유도관(121)이 구비된다. The collector pipe 120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air suction pipe 110. The water collecting pipe 120 is arranged to receive the air suction pipe 110 therein. The water collection tube 12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ng tube 140. The collecting water pipe 121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collecting water pipe 120 in the form of a trumpet tube having a gradually increasing diameter.

집수유도관(121)은 눈 또는 비를 집수관(120)으로 안내한다. 집수유도관(121)의 경사면을 따라 눈과 비가 집수관(120) 내부로 유입된다. 집수관(120)으로 유입된 눈과 비는 연통관(140)을 관통하여 하부로 이동된 후 저수조(160)로 이동된다.The collecting conduit 121 guides the snow or rain to the collecting pipe 120. The snow and rain flow into the water collecting pipe 120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duct 121. The snow and rain flowing into the collector pipe 120 pass through the communicating pipe 140 and are moved to the lower portion and then to the water storage tank 160.

여기서, 집수유도관(121)의 내부에는 열선히터(125)가 내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절기에 눈이 집수유도관(121)의 표면에 부착된 후 얼어붙어 눈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동절기에 열선히터(125)가 구동되어 집수유도관(121)의 표면에서 눈이 녹아서 집수관(120)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hot water heater 125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conduit 121.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snow from being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llecting duct 121 and freezing and blocking the path of the snow during the winter season. That is, in the winter season, the hot-wire heater 125 is driven to melt the snow on the surface of the collecting duct 121 and flow to the collector pipe 120.

배기관(130)은 집수유도관(121)의 외측에 배치된다. 배기관(130)의 상부에는 나팔관형태로 배치되어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기안내관(131)이 배치된다. The exhaust pipe 130 is disposed outside the collecting conduit 121. An exhaust guide pipe 131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exhaust pipe 130 to guide the exhaust of air.

배기관(130)은 연통관(140)을 통해 이동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하여 일정 두께의 공기벽이 형성되도록 한다. 공기벽에 의해 눈 또는 비가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배기안내관(131)의 하부에 눈과 비를 피할 수 있는 차폐영역(L)이 형성될 수 있다. The exhaust pipe 130 discharges the air moved through the communicating pipe 140 to the atmosphere to form an air wal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now or rain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lower part by the air wall, and the shielding area L can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exhaust guide pipe 131 to avoid snow and rain.

여기서, 배기안내관(131)의 길이는 집수유도관(121)에 비해 길게 형성되는 것이 공기벽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exhaust guide pipe 131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llecting oil conduit 121 because the length of the air wall can be extended.

집수관(120)과 배기관(130)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llector pipe 120 and the exhaust pipe 13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or a metal material.

연통관(140)은 공기흡입관(110)과 집수관(120) 및 배기관(130)을 서로 결합하며, 공기흡입관(110)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기관(13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The communication pipe 140 connects the air suction pipe 110 with the collector pipe 120 and the exhaust pipe 130 and connects the air flow path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uction pipe 110 can be discharged to the exhaust pipe 130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관(140)은 공기흡입관(110)과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연통관본체(141)와, 연통관본체(141)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집수관(120)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공기이동관(145)을 포함한다. 3, the communicating tube 140 includes a communicating tube main body 141 disposed coaxially with the air suction tube 110, and a communicating tube body 141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ng tube main body 141 and inserted through the collector tube 120, And an air flow pipe 145 connected to the air flow pipe 145.

연통관본체(141)는 공기흡입관(110)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연통관본체(141)에는 흡입관연결공(143)이 관통형성된다. 연통관본체(141)는 공기흡입관(110)과 동축상에 배치되어 공기흡입관(110)으로 유입된 공기가 흡입관연결공(143)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연통관본체(141)의 하부는 막혀 있어 유입된 공기가 모두 공기이동관(145)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The communicating tube body 141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air suction pipe 110. A suction pipe connecting hole 143 is 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ng tube body 141. The communicating tube body 141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air suction pipe 110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uction pipe 110 flows into the suction pipe connecting hole 143. The lower portion of the communicating tube body 141 is clogged so that all of the introduced air moves to the air moving tube 145.

공기이동관(145)은 연통관본체(141)의 측면으로 연장형성되어 집수관(120) 하부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집수관(120)의 하부에는 제1개구(123)가 관통형성된다. The air moving pipe 145 extend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ommunicating pipe body 141 and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pipe 120. A first opening 123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collector pipe 120.

공기이동관(145)은 제1개구(123)로 삽입되어 공기를 배기관(130)으로 이송한다. 이 때, 공기이동관(145) 단부의 배기관연결공(145a)이 개방형성되어 공기를 배기관(130)으로 공급한다.
The air moving pipe 145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123 to transfer air to the exhaust pipe 130. At this time, the exhaust pipe connecting hole 145a at the end of the air moving pipe 145 is opened to supply air to the exhaust pipe 130.

송풍기(150)는 배기관(130)과 집수관(120)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어 강제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한다. 송풍기(150)는 집수관(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형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회전날개(151)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The blower 150 is coupled to the space between the exhaust pipe 130 and the collector pipe 120 to apply a driving force for forced air movement. The blower 150 is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lector pipe 120, and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151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집수관(120)과 송풍기(150)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송풍관(150)의 내부에는 회전자(미도시)가 구비되고, 집수관(120)에는 회전자(미도시)에 대응되는 구동자(미도시)가 구비된다. 전원의 공급에 의해 회전자(미도시)가 구동자(미도시)를 따라 회전하면서 송풍관(150)이 베어링(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bearing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collector pipe 120 and the blower 150. A rotor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blowing pipe 150 and a driver (not shown) corresponding to a roto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collector pipe 120. As the power is supplied, the blower pipe 150 rotates about the bearing (not shown) while the rotor (not shown) rotates along the driver (not shown).

송풍기(150)가 회전되면, 공기흡입관(11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배기관(130)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공기막(air curtain)이 형성된다. When the blower 150 is rotated, air flows through the air suction pipe 110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ipe 130 to form an air curtain.

여기서, 송풍기(150)에는 인버터(미도시)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인버터(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관리자는 송풍기(150)를 정역 회전할 수 있다. 송풍기(150)의 정방향 구동은 비와 눈을 차폐하는 공기우산으로 기능할 때이고, 역방향 구동은 초기 구동시 공기흡입관(110)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공기흡입관(110)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Here, an inverter (not shown)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blower 150. By the coupling of the inverter (not shown), the manager can rotate the blower 15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forward drive of the blower 150 functions as a air umbrella that shields the rain and the snow and the reverse drive is us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air suction pipe 110 by discharging air to the air suction pipe 110 hav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air umbrella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설치를 위해 사용자는 직경이 서로 다른 공기흡입관(110), 집수관(120), 배기관(130)을 서로 동심원 상으로 배치하고, 하부에 연통관(140)을 결합시킨다. 공기흡입관(110)을 연통관본체(141)와 동축상으로 배치한 후 고정한다. 고정은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거나, 용접을 할 수 있다. For installation, the user arranges the air suction pipes 110, the collector pipes 120 and the exhaust pipes 130 having different diameters concentrically with each other and the communication pipe 140 at the bottom. The air suction pipe 110 is arranged coaxially with the communicating tube body 141 and fixed. The fastening can be done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nut or by welding.

그리고, 공기이동관(145)을 집수관(120)의 제1개구(123)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Then, the air moving pipe 145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123 of the collector pipe 120 to be engaged.

그리고, 공기우산장치(100)를 설치하는 지면 아래에 저수조(160)를 설치하여 집수관(120)으로 유입된 눈과 비가 저장되도록 한다. A water tank 160 is provided below the ground on which the air umbrella apparatus 100 is installed to store snow and rain that have flowed into the water collector pipe 120.

비와 눈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송풍기(15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갑자기 비와 눈이 오는 경우, 관리자는 송풍기(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송풍기(150)가 회전하면서 공기흡입관(110)으로 공기가 흡입된다. When the rain and snow do not come, the blower 150 is kept in a state of not supplying power. In the event of sudden rain and snow, the manager supplies power to blower 150. Air is sucked into the air suction pipe 110 while the blower 150 rotate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헤드(111)의 흡입공(111a)으로 흡입된 공기(A)는 공기흡입관(110)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연통관본체(141)로 유입된 후 공기이동관(145)을 따라 배기관(130)으로 이동된다. 공기는 배기관(130)에서 상부로 이동된 후 배기안내관(131)을 따라 비스듬하게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The air A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111a of the suction head 111 is moved along the air suction pipe 110 as shown in FIG. The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mmunicating tube body 141 and then moved to the exhaust pipe 130 along the air moving pipe 145. The air is moved upward from the exhaust pipe 130 and then discharged obliquely into the atmosphere along the exhaust guide pipe 131.

이 때,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관(130)과 집수관(120) 사이의 이격 공간 만큼의 두께로 배출되며, 공기막을 형성한다. 공기막의 압력에 의해 공기막으로 낙하되는 눈과 비는 집수관(120) 측으로 유도되어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discharged air is discharged to a thickness equal to the space between the exhaust pipe 130 and the collector pipe 120, and an air film is formed. The snow and rain falling into the air film due to the pressure of the air film are guided to the collector pipe 120 side and moved.

즉, 집수관(120)의 상부에는 공기흡입관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량 만큼의 저기압 흡입기장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공기나 비가 공기막 내부에 도달하면 집수유도관(121)으로 인해 형성된 저기압 흡입기장 쪽으로 휘어져 들어와서 중력에 의해 집수관(120)으로 유도되며, 배기관(130) 상부에 형성된 공기막 둘래만큼의 공간 아래쪽에는 비나 눈의 노출에서 안전한 차폐영역(L)이 형성된다. That i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ng pipe 120, a low-pressure inhaler intestine as much as the amount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air suction pipe occurs. Accordingly, when the air or rain reaches the inside of the air membrane, it is bent toward the low pressure suction pipe formed by the water collecting conduit 121 and guided to the collector pipe 120 by gravity, And a shielding region L is formed on the lower side to protect against exposure to rain or snow.

이에 의해 공기막이 형성되는 배기안내관(131)의 하부에는 눈과 비가 차단되는 차단영역(L)이 형성된다. 보행자는 비가 오는 경우 배기안내관(131)의 하부에 멈춰 서서 비와 눈을 피할 수 있게 된다. Thereby, a blocking region L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xhaust guide pipe 131 where the air film is formed. The pedestrian can stop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xhaust guide pipe 131 to avoid rain and snow when it rains.

이 때, 송풍기(150)의 회전속도를 가감하여 공기막의 길이를 증가할 경우 차단영역(L)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비와 눈의 량에 따라 송풍기(150)의 회전속도를 가감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f the rotating speed of the blower 150 is increased or decreased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air film, the area of the blocking region L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15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now and the amount of snow.

한편, 집수관(120)으로 유입된 비와 눈은 하부로 이동된 후 저수조(160)에 저장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ain and snow that have flowed into the collector pipe 120 are moved downward and then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60.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는 별도의 차단막 없이 공기의 흡입과 배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막으로 비와 눈으로부터 안전한 차단영역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공연장 등에 설치되어 급작스런 우천시에 관람객들의 대피처로 이용될 수 있고, 비닐하우스나 연약한 지붕 위에 설치하면 적설피해를 방지할 수도 있다. The air umbrell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film formed by suction and discharge of air without a separate shielding film, and forms a shielding region which is safe from rain and snow. As a result, it can be used as a place to evacuate visitors in case of a sudden rainy weather, and it can prevent snow damage by installing it on a plastic house or a soft roof.

또한, 축구경기장 관중석이나 도심의 노상 버스정류장에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가 설치될 경우 별도의 우산없이도 안전하게 비와 눈을 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ir umbrell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and of a soccer stadium or a bus stop in a city center, it is possible to safely avoid rain and snow without a separate umbrella.

또한, 저수조에 저장된 비와 눈은 깨끗한 상태로 포집되어 유용한 용처에서 재사용할 수도 있다.
Also, the rain and snow stored in the water tank can be collected in a clean state and reused in useful areas.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배기관(130)의 다른 실시예(130a)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관(130)은 배기관(130)과 배기안내관(131)이 일체로 형성되어 형상이 고정된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130a of the exhaust pip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haust pipe 13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exhaust pipe 130 and the exhaust guide pipe 131 are integrally formed and fixed in shape.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관(130a)은 사용여부에 따라 접혀질 수 있게 구비된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우산으로 사용할 때는 펼쳐져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4의 (b)와 같이 상부를 접어서 사용한다. 이에 의해 미사용시에 공기흡입관(110)과 집수관(12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xhaust pipe 13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foldable depending on whether it is used or not. That is, as shown in Fig. 4 (a), the air umbrella is unfolded when it is used, and when not used, the upper portion is folded as shown in Fig. 4 (b).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air suction pipe 110 and the collector pipe 120 at the time of non-use.

접혀지는 구조를 위해 배기관(130a)의 배기안내관(135)은 우산과 같이 방수가 되는 섬유로 형성된다. 그리고, 일정 간격으로 수직프레임(137)이 배치되고, 가로방향으로 수평프레임(137a)가 형성된다. 수직프레임(137)은 수평프레임(137a)를 중심으로 내측방향으로 접혀지게 구비된다. 즉, 수직프레임(137)은 수평프레임(137a)을 중심으로 상하로 링크 형태로 구비된다. For the folded structure, the exhaust guide pipe 135 of the exhaust pipe 130a is formed of a waterproof fiber such as an umbrella. Then, the vertical frame 137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horizontal frame 137a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ertical frame 137 is folded inward about the horizontal frame 137a. That is, the vertical frame 137 is provided as a vertical link around the horizontal frame 137a.

수직프레임(137)에는 길이가 가변되는 유압실린더(미도시)가 결합되어 유압실린더(미도시)의 길이에 따라 절첩되게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수평프레임(137a)을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시켜 수직프레임(137)이 내측으로 접혀지게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수직프레임(137)은 다양한 구동방식에 의해 접혀질 수 있다.
A hydraulic cylinder (not shown) having a variable length may be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37 and may be driven to be folded along the length of the hydraulic cylinder (not shown). In some cases, the horizontal frame 137a may be rotated by a driving motor (not shown) so that the vertical frame 137 is folded inward. In addition, the vertical frame 137 can be folded by various driving methods.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우산장치(100a)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우산장치(100)는 송풍기(150)가 배기관(130)과 집수관(12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이 경우 송풍기(150)의 회전날개(151)에 의해 공기의 이송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neumatic umbrella apparatus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 umbrell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lower 150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exhaust pipe 130 and the collector pipe 120. In this case, the flow of air may not be smooth due to the rotating blades 151 of the blower 150.

반면,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우산장치(100a)는 외부송풍기(170)가 지면 아래에 설치된다. 그리고, 송풍관(173)과 분기관(175)에 의해 송풍관(173)에서 발생된 기류가 배기관(130) 내부로 공급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ir umbrella apparatus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external blower 170 is installed below the ground.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air blowing pipe 173 and the branch pipe 175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130.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우산장치(100a)는 지반이 흙과 같이 무른 경우에 설치가 용이하고, 지반이 보도블럭 또는 아스팔트와 같이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경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우산장치(100)의 형태가 용이할 수 있다.
The air umbrella device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easily when the ground is loose like earth and the ground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such as a sidewalk block or asphalt. Can be easily formed.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기우산장치는 공기흡입관과 집수관이 각각 한 개가 사용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공기흡입관과 집수관은 복수개가 사용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air umbrella apparatus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air intake pipe and one collector pipe are used, but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air intake pipes and collecting pipes may be used.

또한, 공기우산장치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서로 이웃하게 복수개가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차폐영역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he air umbrella device may be used alone, or a plurality of the air umbrella device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shielded area may be expand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공기우산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air umbrell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공기우산장치 110 : 공기흡입관
111 : 흡입헤드 111a : 흡입공
120 : 집수관 121 : 집수유도관
123 : 제1개구 125 : 열선히터
130 : 배기관 131 : 배기안내관
140 : 연통관 141 : 연통관본체
143 : 흡입관연결공 145 : 공기이동관
145a : 배기관연결공 150 : 송풍기
151 : 회전날개 160 : 저수조
170 : 외부송풍기
100: air umbrella device 110: air suction pipe
111: suction head 111a: suction hole
120: House water tube 121: House feeding tube
123: first opening 125: hot wire heater
130: Exhaust pipe 131: Exhaust guide pipe
140: communicating tube 141: communicating tube body
143: Suction tube connection hole 145: Air flow tube
145a: exhaust pipe connection hole 150: blower
151: rotating blade 160: water tank
170: External blower

Claims (8)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공기흡입공이 형성된 공기흡입관과;
상기 공기흡입관과 동심원상으로 상기 공기흡입관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비나 눈을 하부로 안내하는 집수유도관이 결합된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과 동심원상으로 상기 집수관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안내관이 결합된 배기관과;
상기 공기흡입관과 상기 집수관 및 상기 배기관의 하부에 함께 결합되며, 상기 공기흡입관과 상기 배기관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관과;
상기 배기관과 상기 집수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흡입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기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안내관을 통해 배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관의 상부에 일정면적 공기막을 형성하여 상기 배기안내관의 하부로 비와 눈이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우산장치.
An air suction pipe vertically disposed on the ground and having an air suction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water collecting pipe arranged to receive the air suction pipe in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air suction pipe and coupled with a collecting duct for guiding rain or snow to the upper part;
An exhaust pipe dispos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pipe concentrically with the water collecting pipe and having an exhaust guide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to guide air to the outside;
A communicating tube coupled to the air suction pipe, the collecting pi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xhaust pipe, the communicating pipe communicating the air suction pipe and the exhaust pipe;
And a blower disposed between the exhaust pipe and the collecting pipe for allowing air to flow through the air suction pipe and exhaust through the exhaust pipe,
Wherein the air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guide pipe forms an air layer of a predetermined area on the exhaust guide pipe to block rain and snow falling downward from the exhaust guide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관의 상부에는 반구형상의 흡입헤드가 결합되고,
상기 흡입헤드의 표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공이 복수개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우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mispherical suction hea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suction pipe,
Wherein a plurality of air suction holes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re form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suction hea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유도관과 상기 배기안내관은 각각 상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우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ater collecting conduit and the exhaust guide pipe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trumpet tube having a gradually widened diameter toward the upper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하부에는 상기 집수관을 통해 하부로 이동된 비 또는 눈 녹은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우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mmunicating tube is provided with a water storage tank in which a rain or snow melted water moved downward through the water collection tube is stor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유도관의 표면에는 열선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우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heat ray heater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duc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안내관은 상기 집수관에 비해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배기안내관은 중심방향을 향해 접혀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우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xhaust guide pipe is longer than the collector pipe,
Wherein the exhaust guide pipe is folded toward the cen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기를 정역구동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우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n inverter coupled to the blower to forwardly drive the blower.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공기흡입공이 형성된 공기흡입관과;
상기 공기흡입관과 동심원상으로 상기 공기흡입관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비나 눈을 하부로 안내하는 집수유도관이 결합된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과 동심원상으로 상기 집수관을 내부에 수용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안내관이 결합된 배기관과;
상기 공기흡입관과 상기 집수관 및 상기 배기관의 하부에 함께 결합되며, 상기 공기흡입관과 상기 배기관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관과;
지하에 매립되며, 송풍관에 의해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며, 상기 공기흡입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기되도록 하는 외부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안내관을 통해 배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관의 상부에 일정면적 공기막을 형성하여 상기 배기안내관의 하부로 비와 눈이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우산장치.
An air suction pipe vertically disposed on the ground and having an air suction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water collecting pipe arranged to receive the air suction pipe in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air suction pipe and coupled with a collecting duct for guiding rain or snow to the upper part;
An exhaust pipe dispos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pipe concentrically with the water collecting pipe and having an exhaust guide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to guide air to the outside;
A communicating tube coupled to the air suction pipe, the collecting pi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xhaust pipe, the communicating pipe communicating the air suction pipe and the exhaust pipe;
And an external blower which is buried in the ground and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by a blowing pipe to allow air to flow through the air suction pipe to be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ipe,
Wherein the air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guide pipe forms an air layer of a predetermined area on the exhaust guide pipe to block rain and snow falling downward from the exhaust guide pipe.
KR20140164632A 2014-11-24 2014-11-24 Air umbrella device KR1014956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4632A KR101495681B1 (en) 2014-11-24 2014-11-24 Air umbrella device
CN201580063492.1A CN106998864B (en) 2014-11-24 2015-11-23 Air umbrella device
US15/529,291 US10852017B2 (en) 2014-11-24 2015-11-23 Air umbrella device
PCT/KR2015/012590 WO2016085215A1 (en) 2014-11-24 2015-11-23 Air umbrell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4632A KR101495681B1 (en) 2014-11-24 2014-11-24 Air umbrella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681B1 true KR101495681B1 (en) 2015-02-25

Family

ID=5259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4632A KR101495681B1 (en) 2014-11-24 2014-11-24 Air umbrella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68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57B1 (en) * 2015-11-11 2016-06-27 신영철 Air umbrella device
CN106418948A (en) * 2015-12-31 2017-02-22 深圳市山顶自行车科技有限公司 Air umbrella
CN108625622A (en) * 2018-01-12 2018-10-09 福建省雾精灵环境科技有限公司 A kind of bus stop exhaust treatment system
KR20190050448A (en) * 2017-11-03 2019-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Eco-friendly Outside Relaxing Table including foldable canopy
US10852017B2 (en) 2014-11-24 2020-12-01 Sang Ho Shin Air umbrella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305U (en) * 2011-03-25 2011-05-02 임태영 Pagora for Providing Rain Water to a Planter Using Rain Wa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305U (en) * 2011-03-25 2011-05-02 임태영 Pagora for Providing Rain Water to a Planter Using Rain Wat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2017B2 (en) 2014-11-24 2020-12-01 Sang Ho Shin Air umbrella device
KR101633257B1 (en) * 2015-11-11 2016-06-27 신영철 Air umbrella device
CN106418948A (en) * 2015-12-31 2017-02-22 深圳市山顶自行车科技有限公司 Air umbrella
CN106418948B (en) * 2015-12-31 2023-08-15 吨吨健康科技集团有限公司 Air umbrella
KR20190050448A (en) * 2017-11-03 2019-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Eco-friendly Outside Relaxing Table including foldable canopy
KR102019968B1 (en) * 2017-11-03 2019-09-11 대한민국 Eco-friendly Outside Relaxing Table including foldable canopy
CN108625622A (en) * 2018-01-12 2018-10-09 福建省雾精灵环境科技有限公司 A kind of bus stop exhaust treatment system
CN108625622B (en) * 2018-01-12 2020-02-21 福建省雾精灵环境科技有限公司 Bus station tail gas treat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681B1 (en) Air umbrella device
US10852017B2 (en) Air umbrella device
KR101751106B1 (en) Dust removal apparatus for illumination lamp and a traffic light or security camera
CN111034491A (en) Roof greening system of green building
JP2019533127A (en) Inundation protection for underground vents
CA2496512C (en) Free fall simulator
KR200466098Y1 (en) Tunnel Typed Dryer For Umbrella
US20150107050A1 (en) Gutter Cleaning Attachment for Leaf Blowers
KR101249900B1 (en) Umbrella Dryer
KR102017179B1 (en) Dust collection apparatus for work place
CN112546772B (en) Dust removal bubble generator and dust removal method thereof
CN109555278B (en) Snow removing system
KR101633257B1 (en) Air umbrella device
KR20170025899A (en) Hood cap for ventilation
US9175477B1 (en) Gutter cleaning apparatus
JP2006022549A (en) Air purifying apparatus in tunnel
CN208924347U (en) A kind of Portable safety protection video camera
CN210067266U (en) Accumulated snow removing system
CN110608397A (en) Urban road lighting street lamp
JP6147121B2 (en) Ventilation structure of building
KR20170003900U (en) Streetlight for removing harmful insect
KR101282424B1 (en) Fence with advertisement device
CN107233045A (en) It is a kind of to be used for indoor garbage cleaning device
CN210768094U (en) Be suitable for fender device that encloses of ground reconnaissance
KR101048323B1 (en) Cleaning apparatus for ventilator of sub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