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391B1 -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 - Google Patents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391B1
KR101495391B1 KR20110068904A KR20110068904A KR101495391B1 KR 101495391 B1 KR101495391 B1 KR 101495391B1 KR 20110068904 A KR20110068904 A KR 20110068904A KR 20110068904 A KR20110068904 A KR 20110068904A KR 101495391 B1 KR101495391 B1 KR 101495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earphone
magnet
dampe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6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555A (ko
Inventor
요시오 아다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이 유 이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이 유 이 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이 유 이 겐큐쇼
Publication of KR20120022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4Special adaptations for subaqueous use, e.g. for hyd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과제] 골전도 이어폰을, 헤드 밴드를 없애고, 외이도 삽입식의 컴팩트한 간이 구성의 타입으로 하면서, 외계와 연통하게 하여, 통기성을 갖게 하고, 또한 장착시의 압박감을 없앤 개공형의 골전도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수중에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거나, 수륙 양용 타입으로 한 개공형의 골전도 이어폰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장착시에 외계와 연통이 가능한 통기구멍(6')을 축방향 중앙부에 가진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외주에 마련된 적어도 1 이상의 댐퍼(7)와, 상기 자성체의 외주에 마련되어, 상기 댐퍼(7)를 몸통부 내에 수납하고, 몸통부 외주에 코일(8)이 감기어 장착된 코일 보빈(4)을 가지며, 상기 통기구멍(6')를 가진 자성체를 통하여 개공형의 골전도 장치(3)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BONE VIBRATOR EARPHONE}
이 발명은, 소형으로서 장착감이나 사용에 편리한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외이도(外耳道) 내에 삽입하여 귀를 막는 타입의 종래부터 있어 왔던 이어폰과, 골전도 타입으로 마찬가지로 귀를 막는 타입의 것과, 이것과는 별도로 외이도 내에 삽입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한 골전도 이어폰으로 크게 구별된다.
전자의 이어폰으로서는, 예를 들면 문헌 1(마그네틱 이어폰 타입), 문헌 2(압전형)와 같은 것이 있다.
또한, 후자의 이어폰으로서는, 예를 들면 문헌 3(소위 외완형(外椀型))과 같은 것이 있다.
종래의 전자의 이어폰에서는, 사용시에, 외이도 내에 삽입한다. 따라서, 외이도를 막아버리기 때문에, 외이도가 압박을 받아 장시간 사용하고 있으면 위화감을 느껴 피로해지고, 통기성이 없기 때문에, 발한(發汗)하여 불쾌감을 느끼게 되며, 외계(外界)와 차단되므로, 고립감 등 정신적, 육체적 부담을 느끼게 되고, 위험시의 경보음이 잘 들리지 않아, 안전면에서 부족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한편, 후자 타입의 것으로서는, 외이도에 삽입하지 않고, 머리 부분에 닿게 하거나, 귀의 주위에 닿게 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전자 타입의 것과 같이, 외이도를 압박하는 경우는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0-1511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1182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49844호
그러나, 후자의 타입의 것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헤드 밴드의 행거 부분의 양단부에 이어폰이 마련되고, 헤드 밴드를 머리 부분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아, 조립이 번잡하고, 비용도 많이 든다. 장착 장치가 규모가 크고 중량도 있기 때문에, 체력을 필요로 하며, 또한, 장착시에는 머리부분이 압박을 받으므로, 중압감이 있고, 장시간 장착하면 피로해지기 쉽다. 수납시에 자리를 차지하는 등의 여러 가지 과제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에 비추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골전도 이어폰을, 헤드 밴드를 없애고, 외이도 삽입식의 컴팩트한 간이 구성의 타입으로 하면서, 외계와 연통시켜, 통기성을 갖게 하며, 또한 장착시의 압박감을 없앤 개공형의 골전도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수중에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거나, 수륙 양용 타입으로 한 개공형의 골전도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장착시에 외계와 연통하는 것이 가능한 통기구멍(6')을 중앙부에 가진 긴 부재로 이루어진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외주에 마련된, 적어도 1 이상의 댐퍼(7)와, 상기 자성체의 외주에 마련되어, 상기 댐퍼(7)를 내부에 수납하고, 외주에 코일(8)이 감겨 장착된 코일 보빈(4)을 가지며, 상기 통기구멍(6')을 가진 자성체에 의하여 개공형의 골전도 장치(3)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통기구멍(6')을 중앙부에 가진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무브먼트(6)와, 이 무브먼트(6)의 일단부에 마련된 마그넷(5)의 구조체, 또는 자성 분말을 성형하여, 상기 무브먼트(6)와 상기 마그넷(5)을 일체화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코일 보빈(4)은 가로 분할 또는 세로 분할의 2분할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장치(3)를 방수성의 커버로 피복하여, 수중용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장치(3)의 중앙부의 통기구멍(6')에 탈착이 자유로운 방수성의 덮개 형상의 마개를 마련하여, 수륙 양용 타입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2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에 의하면, 통기구멍(6')에 의해 외부와 고막측을 연통시켜, 장착시에 외이도를 막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외이도의 압박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발한하여도 그 수분을 외기로 방출할 수 있고, 또한, 외계와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고립감, 육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으며, 게다가 위험시의 경보음도 감지할 수 있어, 신변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인, 난청자 등도 사용할 수 있고, 보청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이크와 스피커의 관련은 없기 때문에, 하울링이 생기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립시에, 용이하게 댐퍼(7)를 코일 보빈(4)의 몸통부 내에 수납할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방수형으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호우나 수중에서의 사용도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압전형의 것은, 압전 소자 자신의 강성(스티프니스 콘트롤) 때문에, 저음 영역을 전달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마그넷을 포함한 무브먼트가 질량(매스 콘트롤)을 가지고 있으므로, 진동을 직접 뼈에 전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b)는 조합되는 커버의 일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본 발명에 관한 골전도장치의 조립 순서의 예를 나타낸다.
[도 3] 본 발명에 관한 골전도 장치의 조립 완성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본 발명의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의 완성 상태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5]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을 귀에 장착한 상태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6] (a), (b)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발생하는 자계의 설명도.
[도 7] 무브먼트와 마그넷으로 이루어진 자성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8] (a), (b)는 발생한 자계에 의해 자성체에 관한 힘(F).
[도 9] (a), (b)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 자계 Φa, Φb와 마그넷의 자계 Φm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0] 본 발명의 골전도 이어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 (a)는 본 발명의 골전도 이어폰의 제2 실시예의 완성 상태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 (b)는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2] 본 발명의 골전도 이어폰의 제3 실시예의 조립 순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3] 본 발명의 골전도 이어폰의 제3 실시예의 완성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 (a)는 본 발명의 골전도 이어폰의 제3 실시예의 완성 상태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 (b)는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5] 본 발명의 골전도 이어폰의 제4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 (a)은 제4 실시예의 완성 상태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 (b)는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7] 본 발명의 골전도 이어폰의 제5실시예로서 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 중에서 1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머 등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하우징으로서, 이 하우징(1)은, 외이도 내에 삽입되는 거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원통부(1a)와, 이 원통부(1a)의 한쪽의 외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소정의 두께를 가진 거의 원판 형상의 플랜지부(1b)로 구성된다. 사용시에 원통부(1a)는 외이도에 삽입되고, 또한 플랜지부(1b)도 마찬가지로 외이도에 삽입된다. 또한, 하우징의 재질로서는 진동 전달 효율이 좋은 재질, 경도가 선택된다.
원통부(1a)의 외주부에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원통 형상의 패드(2)를 씌울 수 있다. 이 패드(2)는 연질인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외이도의 형상은 사람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골전도 이어폰을 외이도에 삽입했을 때, 패드 부분이 변형하여, 밀착시키는 작용을 한다. 플랜지부(1b)도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원통부(1a)와 패드(2)를 일체 형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원통부(1a)나 플랜지부(1b)의 내부의 중공부에는, 트랜스듀서(전기-기계 변환기)인 본 발명의 주요 부재인 개공형의 골전도 장치(3)가 마련되어 있다.
골전도 장치(3)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외주부에 적어도 1 이상의 홈(6a)이 형성된 기다란 형상의 원통 본체 및 이 본체의 일단부에 일체 형성되어 본체 원통부보다 확대된 지름으로서 내부에 수납용 공간이 형성된 마그넷 지지부(6b)를 가지며, 진동 가능하고, 또한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무브먼트(6)와, 이 무브먼트(6)의 마그넷 지지부(6b) 내에 수납된 링 형상의 마그넷(5)으로 이루어진 자성체와, 이 자성체를 구성하는 무브먼트(6)의 홈(6a)에 마련된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댐퍼(7)와, 내주면에 댐퍼 수용용의 홈을 가지며, 댐퍼(7)를 사이에 두고 본체 원통부와 이간하여 비접촉 상태로 마련된 코일 보빈(4)과, 이 코일 보빈(4)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4a) 사이에 감겨 장착된 코일(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마그넷 지지부(6b)로서는, 도시한 예와 같이 반드시 통 형상이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원판 형상 혹은 기타 적절한 형상이면 된다.
이들 무브먼트(6)의 본체 원통부, 댐퍼(7)는 코일 보빈(4)의 중공 형상의 몸통부의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에서, 마그넷(5)은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또는 코킹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무브먼트(6)의 마그넷 지지부(6b) 내에 마련된다. 그리고, 마그넷(5)의 중앙부의 개공(5a)과 무브먼트(6)의 본체 원통부 내의 구멍과는 동축 형상을 이루며 연통하고, 또한, 하우징(1)의 원통부(1a)의 내단부측(외이도에 삽입되었을 경우, 고막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1a')에 대해서도 동축 형상을 이루며, 연통하고 있다.
마그넷(5)은 플랜지(1b)에 형성된 공간(a) 내에 마련되고, 마그넷 지지부 (6b)는 플랜지부(1b)의 내면과는 무브먼트(6)의 진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비접촉으로 되어 있다. 또한, 댐퍼(7)의 내주면측은 무브먼트(6)의 홈(6a)에 위치하고, 댐퍼(7)의 외주면측은 코일 보빈(4)의 코일이 감기는 몸통부의 내주면측에 위치하며, 코일 보빈(4)과 무브먼트(6)의 본체 원통부의 사이에는 무브먼트(6)가 진동하기 쉽도록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 무브먼트(6)는 고투자율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예를 들면 철이나 스렌레스와 같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무브먼트(6)와 마그넷(5)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별체(別體)의 구조를 이루고 있지만, 예를 들면 육방정 페라이트 자성 분말, 소결용 스테인리스강 분말과 같은 합금 분말 등을 성형하여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자성체로 하여도 좋다.
기타, 도 1에서, 부호 1c는 플랜지부(1b)의 바깥측에 형성된 개공부이다.
도 2는, 개공형 골전도 장치(3)의 조립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조립시에는, 아래측의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긴 거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무브먼트(6)의 마그넷 지지부(6b)에 마그넷(5)을 세트한다. 도시예에서는, 마그넷 지지부(6b)의 부분을, 마그넷(5)의 장착 상태를 알 수 있기 쉽게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가운데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한 쌍으로 된 홈(6a)에 댐퍼(7)를 장착하고, 바람직하게는 가로 분할형으로 한 2분할 구조의 한 쌍의 코일 보빈 반체(半體)(4')를 각각 대향 배치하고, 양측에서 댐퍼 (7)의 외주부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하여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용착에 의해 코일 보빈 반체(4')의 접합부를 일체화시켜, 맨 위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보빈(4)을 형성한다. 코일 보빈(4)을 이와 같이 가로 분할의 2분할 구조로 함으로써, 내부에 댐퍼(7) 등을 용이하게 내장시키는 구조로 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코일 보빈(4)은, 도시 상태에서 좌우 가로 분할형으로 했지만, 상하 2분할의 세로 분할 구조의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마그넷(5)은 최종 공정에서 조립해도 좋고, 어느 단계에서 조립할 것인지는 임의이다. 또한, 마그넷 지지부(6b)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 형상이 아니어도 좋고, 원판 형상, 그 외의 것으로 해도 좋다.
코일 보빈(4)의 몸통부의 외주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8)이 감겨 장착되어 도 1(a)에 나타내는 개공형의 골전도 장치(3)가 완성된다. 한편, 도 3에서, 8a, 8b는 음성 신호 통전용의 코일(8)의 인출선이다.
이 골전도 장치(3)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중공부 내에 삽입법 또는 장전법에 의해서 마련된다. 이 경우, 마그넷(5)은 바깥측{하우징 (1)의 플랜지부(1b) 내}에 위치한다. 삽입법이란, 문자 그대로, 하우징(1)의 중앙부에 삽입하여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로 고정하는 방법이다. 장전법도 동일하다.
도 4는 조립된 개공형의 골전도 이어폰(3A)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플랜지부(1b)의 외주면과 패드(2)의 외주면의 단차는 약간이거나, 단차가 없고, 사용시에, 플랜지부(1b)의 부분도 외이도에 삽입된다. 그러나, 이 골전도 이어폰에 의하면 귀삽입부인 패드(2) 부분을 외이도에 삽입했을 때, 마그넷의 중앙부의 구멍, 무브먼트(6)의 통기구멍(6')나 하우징(1)의 구멍(1a') 등에 의해서 외이도가 막히는 경우는 없다.
사용시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3A)을 외이도(A)에 삽입한다. 그리고, 인출선(8a,8b)(도 3 참조, 도 5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개공형 골전도 장치의 코일(8)에 음성 전류를 통전한다. 도 5는, 외이(A'), 중이(B'), 내이(C') 등의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D'는 고막, E'는 이관, F'는 달팽이관, G'는 추골 a, 치골 b, 등골 c 등의 이소골을 나타낸다.
도 6(a), (b)∼도 9(a), (b)는 골전도 장치(3)의 진동의 원리를 나타낸다. 도 6 (a), (b)는, 코일(8)에 흐르는 전류와 그것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 Φa, Φb의 설명도, 도 7은 자성체의 예, 도 8(a), (b)는 발생한 자계에 의한 F가 자성체에 작용하는 설명도, 도 9(a), (b)는 발생하는 자계 Φa, Φb와 마그넷의 자계 Φm의 관계를 나타낸다.
즉, 도 6(a), (b)에서, 인출선(8a,8b)을 통하여 코일(8)에 교류의 음성 전류가 흐르면, 암페어의 오른 나사의 법칙에 의해, 그 전류 ia, ib의 방향에 따라서, 발생한 자속 Φa, Φb의 방향이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교대로 변화한다. 암페어의 오른 나사의 법칙이란, 전류와 그 주위에 생기는 자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류의 방향을 오른 나사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하여, 오른 나사가 도는 방향으로 자장이 생기는 것이다. 한편, 도면 중에서 4는 코일 보빈, 6은 무브먼트, 7은 댐퍼이다. 이 예의 무브먼트(6)는, 일단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넷(5)을 마련한 구성의 자성체로 하고 있다.
코일(8)의 중심에, 도 7에 나타내는, 일단부에 마그넷(5)을 가진 고투자율의 재질의 무브먼트(6)가 배치되어 있으면, 프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의해 발생한 힘 F를 받는다. 도 8(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힘 F는, 코일 보빈(4)의 중공부에 댐퍼(7)에 의해서 틈을 두고 배치된 무브먼트(6)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화살표는 전류 ia, ib의 방향에 의해서 생기는 F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9(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그넷(5)이 일체화된 무브먼트(6)로 이루어진 자성체를 유지 댐퍼(7)가 기계적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음성 신호에 의해 Φa 및 Φb가 마그넷(5)의 자속 Φm에 영향을 주어 자성체의 상하동작을 야기한다. 이 진동이 코일 보빈(4)에 전달되고, 계속해서 진동체 자신을 덮는 부재를 통하여 뼈에 전달되어 청감 신경에 전달된다. 이 경우, 진동체를 덮는 부재는 외이도의 딱딱함과 유사하며, 장전 주변과의 밀착성이 중요시된다. 한편, 유지 댐퍼(7)는, 무브먼트(6)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으면 1개여도 좋다. 또한, 댐퍼(7)는 무브먼트(6)를 신속하게 진동시키기 위해서는 경도는 낮은 것이 좋다.
마그넷(5), 무브먼트(6), 댐퍼(7), 코일 보빈(4), 코일(8) 등으로 이루어진 진동체로서 기능하는 골전도 장치(3)는, 하우징(1) 내에 마련되고, 진동은 하우징 (1)에 전달된다.
일반적인 기도음(氣道音)은, 소리가 공기 중을 진동하여 전달되어 고막이 진동하고, 달팽이관이라 불리는 청각기관에 전해진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골전도 장치(3)의 진동이, 도 5에서 이소골 G'로부터 달팽이관 F' 이후의 청각신경에 직접 전달되어 뇌에 소리로서 인식된다.
[실시예 2]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체의 외형을 축방향으로 약간 긴 거의 원통 형상으로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1(a)는 외관을 나타내는 설명도, (b)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무브먼트(6)의 형상을 단순하게 하고 있다. 즉 무브먼트(6)를 가늘고 긴 원통 형상으로 하고, 그 일단부(외이도에 삽입한 경우, 외이도의 외측 위치에 상당)의 외주상에 링 형상의 마그넷(5)을 장치하여 개공형의 골전도 장치(3)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 예에서는, 무브먼트(6)의 일단부가 마그넷(5)의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실시예 3]
도 12는 골전도 장치(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무브먼트(6)의 단부에 마그넷(5)을 장착하고, 댐퍼(7), 홈(6a)을 하나로 하고, 또한 무브먼트(6)나 코일 보빈(4)의 축방향의 치수를 짧게 한 것으로, 그 외에는 상술의 골전도 장치(3)와 기본 구성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조립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a)는 완성 상태의 설명도, (b)는 정면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4]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골전도 장치(3)의 기본 구성은, 도 10의 것과 동일하다. 도 16(a)은 그 외관측면도, (b)는 정면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특징적인 것은, 골전도 이어폰을 귀마개 타입으로 하고, 외이도에 삽입되는 골전도 장치(3)를 방수성을 가진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커버(1d)로 피복하여 수중에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경우, 마그넷(5)의 외주와 방수 커버(1d)의 내면의 사이에는 진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틈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댐퍼(7)가 하나의 타입이지만,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댐퍼(7)를 더블 타입으로 한 골전도 장치를 이용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커버(1d)의 형상은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커버(1d)를 바꾸어, 골전도 장치(3)의 중앙부의 축방향의 통기구멍(6') 내에 내부에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수성의 덮개 형상의 마개(도시하지 않음)를 탈착 자유로이 하고, 거의 원기둥형상 또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마개를 삽입할 경우, 수중에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마개를 뗄 경우, 통기구멍(6')이 외기와 연통하여, 육상에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수륙 양용 타입으로 해도 좋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3A)의 바깥측에, 외이도(A)의 바깥측에 위치하는 플랜지(3a)를 마련하고, 이 플랜지(3a)의 외표면에, 예를 들면 적절한 일러스트를 실시하거나, 보석을 마련하거나 하여, 적절한 장착 부재를 마련하여 액세서리 효과를 부여한 것에 특징이 있다. 플랜지(3a)의 외형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기타 다각형, 직사각형이다. 접착제, 초음파 용착, 적절한 요철 구조에 의한 끼워맞춤 수단 등에 의해서, 골전도 장치(3A)에 대하여 장착된다. 끼워맞춤 수단에 의하면 탈착을 자유로이 할 수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플랜지(3a)의 중앙부에 통기구멍(6')과 연통하는 구멍을 뚫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을 통기성을 가진 베와 같은 부재로 덮어도 좋다.
1 하우징
1a 원통부
1a' 구멍
1b 플랜지부
1c 플랜지 개공부
2 패드
3 골전도 장치
3A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
3a 장식 효과를 가져오는 플랜지
4 코일 보빈
4a 플랜지
5 마그넷
5a 마그넷 개공
6 무브먼트
6a 홈
6b 마그넷 지지부
6' 통기구멍
7 댐퍼
8 코일

Claims (5)

  1. 장착시에 외계(外界)와 연통이 가능한 통기구멍(6')을 중앙부에 가진 긴 부재로 이루어진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외주에 마련된 적어도 1 이상의 댐퍼(7)와, 상기 자성체의 외주에 마련되어, 상기 댐퍼(7)를 내부에 수납하고, 외주에 코일(8)이 감겨 장착된 코일 보빈(4)을 가지며, 상기 통기구멍(6')을 가진 자성체에 의하여 개공형의 골전도 장치(3)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통기구멍(6')을 중앙부에 가진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무브먼트(6)와, 이 무브먼트(6)의 일단부에 마련된 마그넷(5)의 구조체, 또는 자성 분말을 성형하여, 상기 무브먼트(6)와 상기 마그넷(5)을 일체화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보빈(4)은 가로 분할 또는 세로 분할의 2분할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장치(3)를 방수성의 커버로 피복하여, 수중용으로서도 사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장치(3)의 중앙부의 통기구멍(6')에 탈착이 자유로운 방수성의 덮개 형상의 마개를 마련하여 수륙 양용 타입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
KR20110068904A 2010-08-12 2011-07-12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 KR101495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80863 2010-08-12
JP2010180863A JP5455839B2 (ja) 2010-08-12 2010-08-12 開孔型骨伝導イヤホ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555A KR20120022555A (ko) 2012-03-12
KR101495391B1 true KR101495391B1 (ko) 2015-02-24

Family

ID=4582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68904A KR101495391B1 (ko) 2010-08-12 2011-07-12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55839B2 (ko)
KR (1) KR101495391B1 (ko)
CN (1) CN102387435B (ko)
TW (1) TWI5597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5461B2 (en) 2011-03-16 2013-10-22 Cochlear Limited Bone conduction device including a balanced electromagnetic actuator having radial and axial air gaps
JP5886126B2 (ja) * 2012-05-02 2016-03-16 リオン株式会社 イヤホンと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WO2014061646A1 (ja) * 2012-10-15 2014-04-24 京セラ株式会社 イヤホン
JP5591314B2 (ja) * 2012-12-18 2014-09-17 京セラ株式会社 骨伝導振動素子を具えた電子機器
US9716953B2 (en) * 2013-03-15 2017-07-25 Cochlear Limited Electromagnetic transducer with specific internal geometry
JP6253162B2 (ja) * 2015-02-25 2017-12-27 義雄 安達 骨伝導イヤホン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102012860B1 (ko) 2015-06-17 2019-08-21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이어폰
CN105025412B (zh) * 2015-08-19 2018-10-19 深圳市源创尚品工业设计有限公司 多用途运动耳机
CN105100995A (zh) * 2015-08-20 2015-11-25 张元伟 一种防耳膜损伤的耳机
JP6835093B2 (ja) * 2016-09-15 2021-02-24 ヤマハ株式会社 耳栓およびイヤーセット
TWI653896B (zh) 2017-02-10 2019-03-11 華邦電子股份有限公司 骨導式助聽裝置及骨導式揚聲器
CN108419194B (zh) 2017-02-10 2021-04-30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骨导式助听装置及骨导式扬声器
US11035830B2 (en) 2017-06-23 2021-06-15 Cochlear Limited Electromagnetic transducer with dual flux
US11778385B2 (en) 2017-06-23 2023-10-03 Cochlear Limited Electromagnetic transducer with non-axial air ga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959A (ja) 1998-12-04 2000-06-20 Temuko Japan:Kk 骨導スピ−カ
JP2004208220A (ja) 2002-12-26 2004-07-22 Tdk Corp イヤフォン、音声伝達装置
JP2008109599A (ja) 2006-10-25 2008-05-08 Junichi Suzuki 骨伝導受話器と気道受話器の複合動作をする受話器
JP2008177705A (ja) 2007-01-16 2008-07-31 Ntt Docomo Inc 音出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5193A (en) * 1992-01-22 1994-03-15 Hiroshi Ono Device for picking up bone-conducted sound in external auditory me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CN2219572Y (zh) * 1994-09-21 1996-02-07 中国科学院东海研究站 水下耳机
JP2009111820A (ja) * 2007-10-31 2009-05-21 Nippon Mmi Technology Kk 骨伝導イヤホン
CN101978704A (zh) * 2008-03-17 2011-02-16 株式会社坦姆科日本 骨传导扩音器及使用骨传导扩音器的听取装置
CN101355823A (zh) * 2008-09-18 2009-01-28 陈奚平 采用骨传导扬声器的耳塞式耳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959A (ja) 1998-12-04 2000-06-20 Temuko Japan:Kk 骨導スピ−カ
JP2004208220A (ja) 2002-12-26 2004-07-22 Tdk Corp イヤフォン、音声伝達装置
JP2008109599A (ja) 2006-10-25 2008-05-08 Junichi Suzuki 骨伝導受話器と気道受話器の複合動作をする受話器
JP2008177705A (ja) 2007-01-16 2008-07-31 Ntt Docomo Inc 音出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555A (ko) 2012-03-12
CN102387435B (zh) 2015-01-21
JP5455839B2 (ja) 2014-03-26
CN102387435A (zh) 2012-03-21
TWI559785B (zh) 2016-11-21
JP2012044245A (ja) 2012-03-01
TW201215174A (en) 201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391B1 (ko) 개공형 골전도 이어폰
US9025795B2 (en) Opening type bone conduction earphone
US10212525B2 (en) Universal earpiece
JP4069294B2 (ja) イヤフォン、音声伝達装置
US8213663B2 (en) Earphone via drumhead
KR100937159B1 (ko) 골전도 헤드폰
JP2012529835A (ja) 震動型イヤホン
US9014403B2 (en) Earphone and ear-worn bone conduction device
US8103031B2 (en) Hearing device sound emission tube with a 2-component design
JP2007184722A (ja) 骨導補聴器及び骨導スピーカ
JP6246949B2 (ja) イアバッド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補聴器並びにイヤホン
JP2006174432A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ドフォン、ヘッドレスト、枕
JP5897413B2 (ja) イヤホン装置
KR20110010033A (ko) 골전도(骨傳導) 이어폰
JP6253162B2 (ja) 骨伝導イヤホン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6835093B2 (ja) 耳栓およびイヤーセット
JP6454934B1 (ja) 音響装置
CN111988696A (zh) 耳机
JP6296999B2 (ja) 携帯端末用骨伝導アダプター
JP7347927B2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機器
KR20110014759A (ko) 골전도(骨傳導) 이어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