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246B1 - 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 - Google Patents

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246B1
KR101495246B1 KR20140032589A KR20140032589A KR101495246B1 KR 101495246 B1 KR101495246 B1 KR 101495246B1 KR 20140032589 A KR20140032589 A KR 20140032589A KR 20140032589 A KR20140032589 A KR 20140032589A KR 101495246 B1 KR101495246 B1 KR 101495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hinge
pair
brackets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주
정주원
이창호
임재혁
김경원
김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4003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2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for deploying structures between a stowed and deployed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10Artificial satellites; Systems of such satellites; Interplanetar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2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for deploying structures between a stowed and deployed state
    • B64G1/2221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for deploying structures between a stowed and deployed stat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deployment
    • B64G1/2227Inf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64Systems for coupling or separating cosmonautic vehicles or parts thereof, e.g. doc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전개장치의 일 실시예는, 하나는 인공위성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전개형 구조물에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전개형 구조물을 전개하도록 벤딩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힌지부;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상기 힌지부의 탄성체가 벤딩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소성변형하면서 상기 힌지부의 전개속도를 줄이는 감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Structure Deploying Apparatus and Satellite Equipping i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개 거동의 불안정성 및 전개시 충격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은 발사체에 실려 우주공간으로 이동한다. 발사체의 제한된 수용공간으로 인하여 인공위성에 부착되는 태양전지판, 안테나, 계측 센서 등은 대부분 전개 가능한 구조물로 제작되며, 이러한 구조물의 전개 및 배치는 전개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전개장치는 관절형 전개장치와 유연체 전개장치 등이 있다. 관절형 전개장치는 마찰이 발생하는 핀 조인트 구조를 포함하므로, 극심한 온도 변화와 진공 등을 특징으로 하는 우주 환경에서도 신뢰성을 보장하려면 상당한 시험과 기술을 요한다. 그러나 대표적인 유연체 전개장치인 탄성체(110) 전개장치는 본질적으로 탄성체(110)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마찰이 없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그 비용이 저렴하고 신뢰성이 높아 중소형 인공위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탄성체(110) 전개장치의 구조 및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탄성체(110) 전개장치는 한 쌍의 브라켓(120)과 양단이 브라켓(120)에 각각 결합기구(130)에 의해 결합된 탄성체(110)를 포함한다. 탄성체(110)의 탄성에 의해 브라켓(120)은 서로 회전하고, 브라켓(120)에는 인공위성의 구조물, 본체 등이 결합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탄성체(110)가 대략 180°, 90°각도로 벤딩되어 구속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탄성체(110)의 구속이 해제되면 전개장치는 전개되고, 이에 따라 구조물은 전개되어 정해진 형상 및 위치로 배열된다.
그러나 탄성체(110) 전개장치의 전개는 탄성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전개 거동이 불안정하다.
또한, 전개장치를 전개한 후에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탄성체(110)의 강성이 높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탄성체(110)의 강성을 높게 설계하면 전개장치의 전개시 큰 충격이 유발되어 인공위성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110) 전개장치의 전개 거동의 불안정성 및 전개시 충격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개 거동의 불안정성 및 전개시 충격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개장치의 일 실시예는, 하나는 인공위성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전개형 구조물에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전개형 구조물을 전개하도록 벤딩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힌지부;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상기 힌지부의 탄성체가 벤딩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소성변형하면서 상기 힌지부의 전개속도를 줄이는 감쇠부; 및 일측이 상기 감쇠부와 상기 브라켓이 결합하는 부위에 결합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부가 벤딩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힌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힌지부의 전개로 인해 상기 힌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위성의 일 실시예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전개형 구조물; 및 상기 본체와 상기 구조물을 연결하거나 상기 구조물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조물을 전개하여 정해진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전개장치를 포함하는 인공위성에 있어서, 상기 전개장치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구조물에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전개형 구조물을 전개하도록 벤딩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힌지부;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상기 힌지부의 탄성체가 벤딩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소성변형하면서 상기 힌지부의 전개속도를 줄이는 감쇠부; 및 일측이 상기 감쇠부와 상기 브라켓이 결합하는 부위에 결합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부가 벤딩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힌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힌지부의 전개로 인해 상기 힌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에 의하면, 전개장치의 전개시 발생하는 충격을 감쇠부와 완충부가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개장치의 탄성체의 강성을 높게 설계하여 전개장치를 전개한 후에 전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위성의 성능향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탄성체 전개장치의 구조 및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장치의 구조 및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장치의 구조 및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장치의 전개각도에 따른 탄성체의 전개토크와 감쇠부 및 완충부의 소성변형 모멘트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장치를 구비하는 인공위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장치를 구비하는 인공위성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장치(10)의 구조 및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장치(10)의 구조 및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장치(10)는 힌지부(100), 감쇠부(200) 및 완충부(300)를 포함한다.
힌지부(100)는 판형 탄성체(110)와 탄성체(1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결합하고 인공위성 또는 전개형 구조물(20)에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120)을 포함하며, 탄성체(110)의 변형에 따라 브라켓(120)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탄성체(110)는 판형으로 그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그 길이방향 양단에는 각각 브라켓(120)이 결합하며, 벤딩된 상태에서 전개되어 구조물(20)을 전개하는 역할을 한다. 판형 탄성체(110)는 그 폭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소 변할 수 있고, 폭방향으로 직선형, 곡선형, 굴곡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120)과 탄성체(110)는 결합기구(130)에 의해 결합하고, 결합기구(130)는 브라켓(120)과 탄성체(110)를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탄성체(110)는 벤딩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벤딩된 상태에서 구속되고, 구속이 해제되면 탄성체(110)의 복원력에 의해 직선형으로 전개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탄성체(110)가 대략 180°, 90°각도로 벤딩되어 구속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또한, 도 2c에서는 탄성체(110)의 구속이 해제되어 직선형으로 전개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이때, 탄성체(110)가 벤딩된 상태로 구속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구속장치(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브라켓(120)은 일측부위가 탄성체(1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탄성체(110)가 벤딩된 상태에서 전개됨에 따라 서로 회전하게 된다. 브라켓(120)의 타측은 인공위성을 이루는 본체(30) 또는 구조물(20)에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개장치(10)에 의해 구조물(20)은 본체(30)에 결합되고, 구조물(20)은 전개장치(10)에 의해 전개되어 정해진 형상 및 위치로 배열될 수 있다.
감쇠부(200)는 일측이 한 쌍의 브라켓(120)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탄성체(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소성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감쇠부(200)와 완충부(300)는 한 쌍의 탄성체(110)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부위에 배치되고, 탄성체(110)와 완충부(300) 사이에 감쇠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감쇠부(200)는 탄성체(110)가 벤딩되거나 직선형으로 전개됨에 따라 함께 벤딩되거나 직선형으로 전개된다.
감쇠부(200)는 벤딩과 전개가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 파손, 성능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교체가능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감쇠부(200)는 브라켓(120)에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탈착 가능한 체결수단은 예를 들어,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브라켓(120)에는 각각 결합부(4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400)는 감쇠부(200) 또는 완충부(300)와 브라켓(120)을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감쇠부(200)의 타측은 전개장치(10)의 변형, 성능의 저하, 내구성의 저하 등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 결합부(400)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둘 수 있다. 다만, 외력에 의한 감쇠부(200)의 진동을 줄이기 위해, 감쇠부(200)의 타측은 결합부(400)와 슬라이딩만을 허용할 수 있는 체결수단(미도시) 또는 가이드(미도시)를 사용하여 결합부(400)와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체결수단 또는 가이드는 예를 들어, 밴드, 소성 또는 탄성 유연체 힌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감쇠부(200)는 소성재질로 형성되고 정해진 값 이상의 모멘트가 가해져야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벤딩되거나 전개된다. 이러한 정해진 모멘트 값을 소성변형 모멘트라 칭하고, 소성변형 모멘트는 재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한편, 탄성체(110)는 벤딩된 상태에서 직선형으로 전개되는 경우 복원력으로 인해 토크가 발생하고, 이를 전개토크라 칭하며, 전개토크는 감쇠부(200)에 가해진다.
감쇠부(200)는 탄성체(110)가 벤딩된 상태에서 직선형으로 전개되는 경우 감쇠부(200)에 가하는 전개토크보다 작은 소성변형 모멘트를 가지는 재질, 폭방향 단면적 또는 폭방향 형상 등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감쇠부(200)의 재질, 폭방향 단면적, 폭방향 형상 등은 탄성체(110)의 재질, 폭방향 단면적, 폭방향 형상 등에 의해 상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탄성체(110)에 의한 전개토크와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감쇠부(200)에 의한 소성변형 모멘트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장치(10)의 회전토크는 감쇠부(200)가 없는 경우에 비해 줄어들게 된다.
감쇠부(200)가 구비되지 않은 전개장치(10)가 전개되는 경우 탄성체(110)의 전개토크에 의해 전개장치(10)가 급격하게 전개되고, 이로 인해 전개장치(10) 및 이와 결합되는 본체(30), 구조물(20)에 충격이 발생한다. 감쇠부(200)는 전개장치(10)의 전개속도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충격발생을 줄이고, 구조물(20)과 전개장치(10)의 전개 거동을 안정화할 수 있다.
완충부(300)는 일측이 감쇠부(200)와 브라켓(120)이 결합하는 부위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적어도 일부는 힌지부(100)가 벤딩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힌지부(100)와 접촉하여 힌지부(100)의 전개로 인해 힌지부(100) 및 구조물(20)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고, 연결부(310) 및 소성변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10)는 완충부(300)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하기 위해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일측이 결합부(4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소성변형부(320)는 연결부(310)와 일측이 결합하고, 소성재질로 형성되며, 탄성체(110)가 벤딩된 상태에서 직선형으로 전개되는 경우 힌지부(100)와 접촉하여 소성변형한다. 구체적으로, 소성변형부(320)는 일측단부에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힌지부(100)와 접촉하는 만곡부(321)를 포함하는 소성부재(320-1, 320-2)로 형성된다. 소성변형부(320)는, 소성부재(320-1, 320-2)가 복수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소성부재(320-1, 320-2)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소성변형부(320)의 소성변형 모멘트가 증가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 실시예로 소성부재(320-1, 320-2)의 개수가 2개로 개시되었으나 소성부재(320-1, 320-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체(110)의 전개토크는 탄성체(110)가 전개되어 직선형에 근접할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탄성체(110)가 전개되어 직선형에 근접하는 경우, 소성변형부(320)의 만곡부(321)가 힌지부(100)와 접촉하고, 소성변형부(320)가 소성변형되면서 감쇠부(200)와 함께 탄성체(110)의 전개토크와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소성변형 모멘트를 더욱 증가시킨다. 따라서, 탄성체(110)가 전개되어 직선형에 근접하는 경우, 감쇠부(200)와 완충부(300)는 함께 전개장치(10)의 회전토크를 줄여 전개장치(10), 본체(30) 및 구조물(20)에 발생하는 충격을 줄이고, 구조물(20)과 전개장치(10)의 전개거동을 안정화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장치(10)의 전개각도에 따른 탄성체(110)의 전개토크와 감쇠부(200) 및 완충부(300)의 소성변형 모멘트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이해를 위해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장치(10)가 180˚로 벤딩된 상태에서 도 2c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장치(10)가 직선형으로 전개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전개장치(10)가 전개되면 탄성체(110)의 전개토크는 그래프 상 C점에서 D점으로 변화한다. 이때, C점과 B점 사이에서 전개토크가 A점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구간이 발생하는데 이는 탄성체(110)가 벤딩되면서 좌굴(buckling)이 발생하여 전개토크가 현저히 작아지기 때문이다. 탄성체(110)가 더욱 벤딩되고 좌굴로부터 회복되는 경우 BD구간처럼 전개토크는 다시 커질 수 있다. CBD구간의 전개토크의 변화양상은 탄성체(110)의 재질, 단면적, 단면적의 형상, 좌굴의 발생여부 등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다.
전개장치(10)가 전개된 상태에서 벤딩되려면 탄성체(110)의 전개토크는 O점에서 A점으로 변화한 뒤 일정한 벤딩 각도를 넘어가면 A점에서 B점으로 급격하게 작아지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탄성체(110)에 좌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개장치(10)는 직선형으로 전개되면 OA 구간에서 벤딩에 대한 높은 강성을 유지하므로, 전개장치(10)에 의해 전개된 구조물(20)의 형상 및 위치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래프에서 소성변형 모멘트는 감쇠부(200)와 완충부(300) 각각의 소성변형 모멘트를 합한 값이다. 또한, 전개장치(10)의 회전토크는 탄성체(110)의 전개토크에서 감쇠부(200)와 완충부(300) 각각의 소성변형 모멘트를 뺀 값이다.
소성변형 모멘트는 벤딩 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거의 일정한 값을 유지하다가 전개장치(10)가 직선형에 근접할수록 즉, 그래프 상에서 O점에 근접할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한다. 그래프에서 단계적 증가구간에서 2단계로 증가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완충부(300)의 소성부재(320-1, 320-2)가 2개로 구비되었기 때문이다.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완충부(300)는 전개장치(10)의 전개구간 중 DB구간 즉, 전개장치(10)가 직선형에 근접하는 구간에서의 탄성체(110)의 전개토크의 증가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한편, 감쇠부(20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원래의 형상을 기억하고 변형된 후 가열되어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기억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실시예를 개시한다.
제1실시예는 감쇠부(200)가 벤딩된 형상을 기억하는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1실시예는 전개장치(10)가 벤딩과 전개를 반복하는 경우, 전개된 상태의 전개장치(10)를 벤딩된 형상으로 용이하게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형상기억합급이 원래 기억된 형상 즉, 벤딩된 형상을 회복하는 회복온도는 전개장치(10)가 전개되는 환경에서의 온도보다 높을 것이 요구된다.
제2실시예는 감쇠부(200)가 직선인 형상을 기억하는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감쇠부(200)의 소성변형 모멘트는 탄성체(110)의 전개토크보다 클 것이 요구된다. 제2실시예의 경우, 전개장치(10)의 전개 과정은 형상기억합금이 원래의 기억된 형상을 회복하는 과정이고, 매우 안정적인 준정적 과정(quasi-static process)이므로, 전개장치(10)의 전개에 의한 충격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성변형부(320)도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소성변형부(320)는 제1실시예의 경우 전개장치(10)가 벤딩된 형상을 기억하는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형성되고, 제2실시예의 경우 전개장치(10)가 직선인 형상을 기억하는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형상기억합금 재질의 감쇠부(200) 및 소성변형부(320)를 원래 기억된 형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가열수단이 필요하다. 가열수단은 예를 들어, 감쇠부(200) 또는 완충부(300)에 부착되는 유연성 있는 히터, 감쇠부(200) 또는 완충부(300)에 감기는 절연처리가 된 열선 등이 있다. 이때, 히터, 열선 등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장치(10)를 구비하는 인공위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장치(10)를 구비하는 인공위성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인공위성은 본체(30), 전개장치(10) 및 구조물(20)을 포함하고, 구조물(2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구조물(20)과 구조물(20) 간 결합 또는 구조물(20)과 본체(30)가 결합은 전개장치(10)에 의해 이루어지고, 전개장치(10)는 대략 180˚ 및 90˚로 벤딩되어 구속된 상태가 개시된다. 이때, 구조물(20)은 태양전지판, 안테나, 계측 센서, 태양 돛 등일 수 있다.
인공위성은 발사체에 실려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면 발사체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인공위성은 전개장치(10)의 구속이 해제되면 전개장치(10)의 작동에 의해 구조물(20)을 전개한다. 구조물(20)들은 각각 전개장치(10)에 의해 서로 결합하거나 몸체와 결합하고, 전개장치(10)에 의해 전개되어 정해진 형상 및 위치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 전개장치 20: 구조물
30: 본체 100: 힌지부
110: 탄성체 120: 브라켓
130: 결합기구 200: 감쇠부
300: 완충부 310: 연결부
320: 소성변형부 320-1, 320-2: 소성부재
321: 만곡부 400: 결합부

Claims (14)

  1. 하나는 인공위성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전개형 구조물에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전개형 구조물을 전개하도록 벤딩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힌지부;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상기 힌지부의 탄성체가 벤딩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소성변형하면서 상기 힌지부의 전개속도를 줄이는 감쇠부; 및
    일측이 상기 감쇠부와 상기 브라켓이 결합하는 부위에 결합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부가 벤딩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힌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힌지부의 전개로 인해 상기 힌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전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감쇠부는 상기 한 쌍의 탄성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완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상기 탄성체가 벤딩되거나 직선형으로 전개됨에 따라 함께 벤딩되거나 직선형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상기 탄성체가 벤딩된 상태에서 직선형으로 전개되는 경우 상기 감쇠부에 가하는 전개토크보다 작은 소성변형 모멘트를 가지는 재질, 폭방향 단면적 또는 폭방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일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일측이 결합하고, 소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가 벤딩된 상태에서 직선형으로 전개되는 경우 상기 힌지부와 접촉하여 소성변형하는 소성변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변형부는,
    일측단부에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와 접촉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소성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변형부는,
    상기 소성부재가 복수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소성부재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소성변형부의 소성변형 모멘트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벤딩된 형상을 기억하는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길이방향으로 직선인 형상을 기억하는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상기 탄성체가 벤딩된 상태에서 직선형으로 전개되는 경우 상기 감쇠부에 가하는 전개토크보다 큰 소성변형 모멘트를 가지는 재질, 폭방향 단면적 또는 폭방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장치.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소성재질 부위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쇠부 및 상기 완충부에는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장치.
  13.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전개형 구조물; 및
    상기 본체와 상기 구조물을 연결하거나 상기 구조물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조물을 전개하여 정해진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전개장치
    를 포함하는 인공위성에 있어서,
    상기 전개장치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구조물에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전개형 구조물을 전개하도록 벤딩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힌지부;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고, 상기 힌지부의 탄성체가 벤딩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소성변형하면서 상기 힌지부의 전개속도를 줄이는 감쇠부; 및
    일측이 상기 감쇠부와 상기 브라켓이 결합하는 부위에 결합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부가 벤딩상태에서 전개되는 경우 상기 힌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힌지부의 전개로 인해 상기 힌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전개장치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전개장치에 의해 전개되어 정해진 형상 및 위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KR20140032589A 2014-03-20 2014-03-20 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 KR101495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2589A KR101495246B1 (ko) 2014-03-20 2014-03-20 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2589A KR101495246B1 (ko) 2014-03-20 2014-03-20 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246B1 true KR101495246B1 (ko) 2015-02-25

Family

ID=5259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2589A KR101495246B1 (ko) 2014-03-20 2014-03-20 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997A (ko) * 2016-11-21 2018-05-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충격 감쇄 테이프 스프링 힌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597A (ja) * 1994-02-08 1995-08-22 Mitsubishi Electric Corp 二次元展開構造物
US6175989B1 (en) 1998-05-26 2001-01-23 Lockheed Corp Shape memory alloy controllable hinge apparatus
KR101008047B1 (ko) 2008-07-21 2011-01-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 전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KR20120063091A (ko) * 2010-12-07 2012-06-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 전개용 힌지 및 그 힌지를 이용하여 태양전지판을 전개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597A (ja) * 1994-02-08 1995-08-22 Mitsubishi Electric Corp 二次元展開構造物
US6175989B1 (en) 1998-05-26 2001-01-23 Lockheed Corp Shape memory alloy controllable hinge apparatus
KR101008047B1 (ko) 2008-07-21 2011-01-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 전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KR20120063091A (ko) * 2010-12-07 2012-06-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 전개용 힌지 및 그 힌지를 이용하여 태양전지판을 전개시키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997A (ko) * 2016-11-21 2018-05-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충격 감쇄 테이프 스프링 힌지
KR101869167B1 (ko) * 2016-11-21 2018-06-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충격 감쇄 테이프 스프링 힌지
US10641320B2 (en) 2016-11-21 2020-05-05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Shock reducing tape spring hi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5032B1 (en) Resilient joint for deployable structures
KR101869167B1 (ko) 충격 감쇄 테이프 스프링 힌지
JP5050247B2 (ja) フレキシブルで伸長可能な薄板による宇宙機器の要素用支持装置
US8757553B2 (en) Active tie-rod system for holding and smoothly releasing space appendages
CN102658871B (zh) 大型刚性可展开结构和这种结构的展开与锁定的方法
KR101008047B1 (ko) 태양전지판 전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EP1783051A1 (en) Combination actuator latch mechanism
JP2013177117A (ja) 軸方向の空隙増幅装置を含む発射ロック組立体およびこの組立体を含む宇宙機分離システム
JP5994242B2 (ja) 展開可能な宇宙空間構造物用トルクモータリゼ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6520479A (ja) 宇宙物体上の圧力要素および少なくとも2つの再閉可能要素を含む、宇宙物体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KR101495246B1 (ko) 구조물 전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
JP2010112404A (ja) 緩衝装置および着陸装置
JP2020506848A (ja) 展開可能な支柱構造体
JP6212356B2 (ja) フレキシブル・ローリング・トラックをもつヒンジのための駆動システム
US20050156083A1 (en) Sequencing device for deploying a structure as a function of the kinematics of one mobile body thereof
KR101468997B1 (ko) 테잎 스프링 힌지와 코일 스프링 힌지를 이용한 인공위성용 전개장치
KR101300516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저충격 및 고강성 인공위성용 힌지 장치 및 그 힌지장치가 결합된 인공위성
EP2743187B1 (en) Spacecraft with at least one deployable panel structure and deployable panel structure
US20160041361A1 (en) Mounting apparatus
JP2011152919A (ja) 着陸装置
Amend et al. A novel approach for a low-cost deployable antenna
Narayanan et al. REACCH-Reactive electro-adhesive capture cloth mechanism to enable safe grapple of cooperative/non-cooperative space debris
JPH11321799A (ja) アンテナ反射器
Lytal et al. Spacecraft common deployable boom hinge deploy and latching mechanisms
JP7091317B2 (ja) 可動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