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181B1 -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열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열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181B1
KR101495181B1 KR20080113673A KR20080113673A KR101495181B1 KR 101495181 B1 KR101495181 B1 KR 101495181B1 KR 20080113673 A KR20080113673 A KR 20080113673A KR 20080113673 A KR20080113673 A KR 20080113673A KR 101495181 B1 KR101495181 B1 KR 101495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u
temperature
control signal
signal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13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669A (ko
Inventor
김양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13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1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6Cooling means comprising thermal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영 체제(OS)와 같은 소프트웨어에 의존하지 않고, 중앙처리장치(CPU)의 온도상승에 따른 열관리 동작을 하드웨어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앙 처리 장치(CPU)와, 상기 CPU의 온도 또는 그 CPU의 주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된 온도가 특정 온도 범위이면 팬(Fan)을 제어하여 단말기를 냉각시키고, 상기 검출된 온도가 특정 온도를 넘으면 상기 CPU에 동작 클럭과 코어 전압을 낮추는 제어신호를 직접 인가하여 상기 CPU를 냉각시키는 내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적으로 CPU의 동작 주파수와 동작 전압을 즉각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CPU의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열관리 방법{MOBILE TERMINAL AND THERMAL MANAGEMENT METHOD FOR CPU THEREOF}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운영 체제(OS)와 같은 소프트웨어에 의존하지 않고, 중앙처리장치(CPU)의 온도상승에 따른 열관리 동작을 하드웨어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 분야에서 열 관리의 중요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장치의 크기는 축소되는 반면 기능은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발산되는 열원의 증가로 인한 장치의 고장 또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산되는 열을 모니터링라고 그 열의 양을 제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컴퓨터 시스템은 각 장치들의 전원관리(Power Management)를 수행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관리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에는 APM(Advanced PowerManagement), ACPI(Advanced Configuration & Power Interface) 등이 있다.
특히, 상기 ACPI는 여러 단말기 관련 제조 회사(예 : 휴렛 패커드, 인텔, 마 이크로소프트, 피닉스, 도시바)의 주도하에 개발된 전력관리용 규격으로서,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에서 각 장치들의 전원관리를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표준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ACPI는 중앙처리장치(CPU)에 대한 능동적 열관리 방식(Active Thermal Management)과 수동적 열관리 방식(Passive Thermal Management)을 정의하고 있다.
상기 능동적 열관리 방식은 냉각 팬을 구동하여 강제적으로 열을 식히는 방식으로서, 냉각 팬의 구동에 따른 소음의 발생하는 단점과 전력이 추가로 소모되는 단점이 있지만, 중앙처리장치(CPU)의 동작속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반면, 상기 수동적 열관리 방식은 중앙처리장치의 동작 주파수(Clock)를 감소시켜 발열량 자체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서, CPU의 성능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지만, 냉각 팬을 구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음과 추가적인 전력 소모가 없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에 따라서는 능동적 열관리 방식과 수동적 열관리 방식을 병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열관리 방식은 운영체제(OS)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열관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운영체제가 부팅을 수행하고 있는 중이거나, 운영체제를 변경하거나, 소프트웨어의 변경을 수행하는 중에는 열관리에 공백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열관리 소프트웨어가 완전하게 활성화되기 전에는 즉각적인 열관리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CPU)의 온도상승에 따른 열관리 동작을 하드웨어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열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CPU)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동작 주파수와 아울러 동작 전압을 제어하므로서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열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 처리 장치(CPU)와, 상기 CPU의 온도 또는 그 CPU의 주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된 온도가 특정 온도 범위이면 팬(Fan)을 제어하여 단말기를 냉각시키고, 상기 검출된 온도가 특정 온도를 넘으면 상기 CPU에 동작 클럭과 코어 전압을 낮추는 제어신호를 직접 인가하여 상기 CPU를 냉각시키는 내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CPU의 온도 또는 CPU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온도를 기설정된 특정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온도가 특정 온도 범위이면 팬(Fan)을 제어하여 단말기를 냉각시키고, 상기 검출된 온도가 특정 온도를 넘으면 동작 클럭과 코어 전압을 낮추는 제어신호를 CPU에 직접 인가하여 상기 CPU를 냉각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는 CPU의 온도상승에 따라 열관리 동작이 필요할 경우에, 운영 체제와 같은 응용 소프트웨어의 동작 상태에 관계없이, 하드웨어적으로 CPU의 동작 주파수와 동작 전압을 즉각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 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컴퓨터와 다름없는 고속의 작업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성능을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수준으로 높여야 한다. 즉, 비디오칩을 고속화하고, 메모리 용량을 늘리고, 대용량 하드디스크를 장착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인 것은 CPU의 동작 클럭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CPU의 동작 클럭을 높일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비전력이나 발열이 증가한다는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구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고밀도의 케이스(본체)에 CPU를 내장하기 때문에, CPU의 발열을 최소 한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고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저소비전력으로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열관리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이 소비전력을 낮추면서 고성능을 유지하는 방법은 CPU의 동작 클럭과 CPU 코어의 동작 전압을 동시에 낮춤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왜냐하면, CPU의 소비전력은 동작 클럭, 그리고 CPU 코어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동작 클럭을 낮추는 것보다, CPU 코어 전압을 낮추는 것이 소비전력을 쉽게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CPU에 대한 동작 클럭이 최고 650MHz 에 CPU 코어 전압이 1.6V 에서 최고 성능모드(Maximum Performance Mode)로 동작한다고 가정할 때, 열관리를 위해 CPU의 동작 클럭을 500MHz 로 낮추고(약23%감소) CPU 코어 전압을 1.35V로 낮출 경우(약29%감소), 비록 약간의 속도 저하는 있지만, 소비전력이 고성능 대비 55% 정도 감소되어 배터리 사용시간을 더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동일한 소비 전력 감소 효과를 얻으려면, 동작 클럭을 356MHz 까지 감소시켜야 한다. 즉, 종래의 동작 클럭만을 제어하는 열관리 방법은 CPU의 성능까지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동작 클럭과 CPU 코어 전압을 제어하는 열관리 방법은 전력 소모는 거의 최고 소비전력 대비 1/2 수준으로 감소시키만, CPU의 성능은 크게 감소되지 않고(약23% 감소) 거의 최고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열관리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110), 내부 제어부(EC : Embedded Controller)(120), 온도 센서(130), 냉각 장치(140), 전원부(150), 입력부/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열관리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컨대, 메모리(미도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기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및 열관리를 위한 펌웨어 프로그램의 저장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 처리 장치(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온도센서(130)는 상기 CPU(110)의 발열에 의한 CPU 자체의 온도 또는 CPU의 주변 온도(단말기의 내부 온도)를 검출한다. 상기 온도센서(130)는 CPU(110)의 외부에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10)의 내부에 내장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내부 제어부(120)는 중앙 처리 장치(CPU)에서 수행하지 않는 부가적인 동작(예 : 전원 관리동작, 입/출력 관리 동작, 열관리 동작 등)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온도센서(130)를 통해 검출된 CPU(110)의 온도가 열관리 동작이 필요한 경우, 상기 냉각장치(140)를 제어하여 열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CPU(110)의 동작 클럭이나 CPU 코어 전압을 제어하여 열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작 클럭이나 CPU 코어 전압을 제어하여 열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각 장치(140)는 상기 내부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냉각 팬(미도시)을 구동하여 CPU(110)를 강제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 제어부(120)는 CPU 는 CPU의 주변온도(단말기의 내부 온도)가 기설정된 특정 범위에서는 상기 냉각 장치(140)를 제어하여 CPU 및 단말기를 강제로 냉각시킬 수 있다.
전원부(150)는 단말기 내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150)는 AC전원을 입력받아 특정 DC 전압을 변환하고 그 변환된 DC 전압을 단말기에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미도시)를 충전시키고 그 충전된 DC 전압을 단말기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50)는 단말기(100)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부/출력부(160)는 단말기에 구비된 버튼이나 키패드와 같은 입력수단 및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모듈과 같은 출력수단을 의미한다.
도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열관리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일 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온도센서(130)가 CPU(110)에 내장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온도센서(130)가 CPU(110)에 내장될 경우, 내부 제어부(120)는, CPU(110)의 특정 단자(예 : 온도 정보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온도 정보를 입력받고, 그 온도 정보에 의해 열관리 동작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상기 열관리 동작이 필요한지 여부는 내부 제어부(120)의 펌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 로직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다. 상기 펌웨어 프로그램은 내부 제어부(120)의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운영 체제(OS) 소프트웨어와는 관계없이 별도로 동작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온도센서(130)를 이용해 검출된 온도가 기설정된 특정 온도(기준 온도)를 넘으면, 내부 제어부(120)는 CPU 또는 단말기의 열관리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내부 제어부(120)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에 관계없이 직접적으로 기설정된 제어신호를 CPU(11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CPU(110)의 동작 클럭 및 CPU 코어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열관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제어부(120)는 CPU(110)의 열관리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CPU(110)의 동작 클럭 및 CPU 코어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 예의 도면에서는 내부 제어부(120)에서 CPU(110)로 직접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즉, CPU(110)에 클럭을 제어할 수 있는 단자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단자와 내부 제어부(120)의 제어단자가 직접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PU(110)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 클럭과 CPU코어 전압을 내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클럭 구동부(미도시)와 CPU 코어 전압 구동부(미도시)가 CPU(110)의 외부에 별도의 칩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내부 제어부(120)에서 그 클럭 구동부(미도시) 및 CPU 코어 전압 구동부(미도시)를 직접 제어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동작 클럭과 CPU 코어 전압으로 변경한 후, 그 변경된 동작 클럭과 CPU 코어 전압이 직접 CPU(110)에 인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열관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10)의 내부에는 동작 클럭과 CPU코어 전압을 변 경할 수 있는 클럭/전압 제어부(111)를 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럭/전압 제어부(111)는 외부에 구비된 하나의 입력단자를 통해 특정 레벨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기설정된 동작 클럭과 CPU 코어 전압으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회로의 구성에 따라서, 하이 레벨(H) 또는 로우 레벨(L)로 입력될 수 있고, 상승 에지(Rising Edge) 신호 또는 하강 에지(Falling Edge) 신호로 입력될 수도 있으며, 또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임펄스 형태로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신호의 출력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CPU(110)도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신호 규격이 별도로 존재한다.
본 실시 예와 같이 CPU(110) 내부에 클럭/전압 제어부(111)를 내장하고, 하나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구비할 경우, 열관리를 담당하는 내부 제어부(120)와의 인터페이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내부 제어부(120)에서 열관리를 위한 하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되므로 인터페이스가 더욱 용이하다.
도5는 도4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을 보인 일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제어부(120)는 CPU(110)의 열관리가 필요한 경우 하나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클럭/전압 제어부(111)에서는 특정 규격의 제어신호를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한 논리신호의 입력을 요구될 수도 있고, 특정 전압 레벨 이상을 갖는 제어신호의 입력이 요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CPU(110)의 클럭/전압 제어부(111)에서 요구하는 제어신호의 규격을 맞추기 위하여 내부 제어부(12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의 특성을 CPU의 인가할 수 있는 특정 규격에 맞도록 변환하기 위한 신호 변환부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변환부는, 본 실시 예와 같이, 풀업 저항(R1)과 스위칭부(121)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열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 제어부(120)는 스위칭부(121)를 통해 하이 레벨 신호(H)가 클럭/전압 제어부(111)에 인가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열관리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121)를 통해 로우 레벨 신호(L)가 인가되도록 제어신호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신호 변환부는 CPU에 인가할 수 있는 신호의 규격에 따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121)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와 같은 트랜지스터 스위칭 소자(Q1)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의 회로 특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이오드(D1)와 같은 소자들을 추가로 구비한 스위칭 회로부를 추가로 부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위칭부(121)는 상기 내부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베이스에 인가받는 스위칭 소자(Q1)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Q1)가 온/오프됨에 따라, 특정 전압 레벨(H/L)을 갖는 제어신호가 CPU(110)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 또는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클럭/전압 제어부(111)에서 요구하는 제어신호의 특성에 따라 회로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6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열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로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온도센서(130)는, CPU(110) 자체의 온도 또는 CPU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 정보를 출력한다(S101).
상기 온도 정보를 입력받은 내부 제어부(120)는 상기 온도 정보와 기설정된 특정 온도(기준온도)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온도 정보가 특정 온도 이상이면(S102의 예), 기설정된 특정 형식의 제어신호를 특정 제어신호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한다(S103).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는 단말기 운영체제의 소프트웨어에 관계없이 내부 제어부(120)에서 직접적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특정 온도는 복수로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온도 범위에서는 냉각 장치를 제어하여 강제 냉각을 수행하고, 상기 검출된 온도가 또 다른 특정 온도를 넘을 경우에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CPU의 동작 클럭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CPU 코어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로서, 각 신호가 별도로 출력될 수 있고 하나의 제어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클럭과 CPU 코어 전압은 한가지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두 가지 값(예 : 제1동작클럭, 제1코어전압, 제2동작클럭, 제2코어전압) 이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만약, 두 가지 값 이상으로 설정될 경우에는 그 두 가지 값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신호를 추가로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CPU(110)는 기설정된 동작 클럭 및 CPU 코어 전압으로 변경한다(S104). 상기와 같이 동작 클럭과 CPU 코어 전압이 변경됨으로써 CPU(110)의 발열량이 감소된다(S105).
이상으로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 요소의 명칭은 동일한 의미를 갖는 다른 명칭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열관리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열관리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일 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열관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열관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시도.
도 5는 도4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을 보인 일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열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10)

  1. 중앙 처리 장치(CPU)와;
    상기 CPU의 온도 또는 그 CPU의 주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된 온도가 특정 온도 범위이면 팬(Fan)을 제어하여 단말기를 냉각시키고, 상기 검출된 온도가 특정 온도를 넘으면 상기 CPU에 동작 클럭과 코어 전압을 낮추는 제어신호를 직접 인가하여 상기 CPU를 냉각시키는 내부 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CPU에 인가할 수 있는 특정 규격으로 변환할 수 있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특정 전압 레벨의 신호로 변경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CPU에 내장되거나 그 CPU의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제어부는,
    상기 CPU의 동작 클럭과 코어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하나의 신 호, 또는 별도의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CPU의 동작 클럭과 코어 전압을 각각 기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클럭/전압 제어부;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베이스에 인가받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오프됨에 따라, 특정 전압 레벨의 신호가 CPU에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CPU의 온도 또는 CPU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온도를 기설정된 특정온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온도가 특정 온도 범위이면 팬(Fan)을 제어하여 단말기를 냉각시키고, 상기 검출된 온도가 특정 온도를 넘으면 동작 클럭과 코어 전압을 낮추는 제어신호를 CPU에 직접 인가하여 상기 CPU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스위칭 회로부에서 상기 CPU에 인가할 수 있는 특정 전압 레벨의 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열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CPU의 동작 클럭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와, CPU의 코어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각기 별도의 제어신호로서 출력하거나, 또는 하나의 제어신호로서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열관리 방법.
  10. 삭제
KR20080113673A 2008-11-14 2008-11-14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열관리 방법 KR101495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3673A KR101495181B1 (ko) 2008-11-14 2008-11-14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열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3673A KR101495181B1 (ko) 2008-11-14 2008-11-14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열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669A KR20100054669A (ko) 2010-05-25
KR101495181B1 true KR101495181B1 (ko) 2015-02-24

Family

ID=4227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13673A KR101495181B1 (ko) 2008-11-14 2008-11-14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열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673A1 (en) * 2018-12-14 2020-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temperature control management in electronic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282B1 (ko) * 2011-07-29 2018-09-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온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840852B1 (ko) 2011-10-10 2018-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의 표면 온도 관리 방법 및 멀티칩 패키지의 메모리 열관리 방법
KR101942027B1 (ko) 2012-03-28 2019-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의 온도 예측 방법
KR102160909B1 (ko) * 2013-12-03 2020-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94819B1 (ko) * 2019-04-16 2019-09-30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립칩 본딩 패키지 기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클럭 주파수 할당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시스템
CN112363594A (zh) * 2020-10-26 2021-02-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风扇控制方法、装置及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9575A (ja) * 1994-05-16 1995-12-08 Symbios Logic Inc 電力浪費調整方法および調整システム
JPH08179846A (ja) * 1994-09-02 1996-07-12 Advanced Micro Devicds Inc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内のcpuクロック信号の周波数を調整する方法
KR960010911B1 (ko) * 1994-04-27 1996-08-13 김주용 컴퓨터 장치
JP2004310785A (ja) * 2004-05-31 2004-11-04 Toshiba Corp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911B1 (ko) * 1994-04-27 1996-08-13 김주용 컴퓨터 장치
JPH07319575A (ja) * 1994-05-16 1995-12-08 Symbios Logic Inc 電力浪費調整方法および調整システム
JPH08179846A (ja) * 1994-09-02 1996-07-12 Advanced Micro Devicds Inc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内のcpuクロック信号の周波数を調整する方法
JP2004310785A (ja) * 2004-05-31 2004-11-04 Toshiba Corp 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673A1 (en) * 2018-12-14 2020-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temperature control management in electronic devices
US11714469B2 (en) 2018-12-14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mperature control management of electronic device based on number of heat-emitting components in compar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669A (ko) 201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181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열관리 방법
US67148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management of a power supply to a high performance processor in a computer system
US8479031B2 (en) System switching unit having a switch to switch on/off a channel for data interaction between a first system and the bus interface of a second system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cond system
US10802736B2 (en) Power down mode for universal flash storage (UFS)
US7882383B2 (en) System on a chip with RTC power supply
US75266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ed by a computer system
US8937460B2 (en) Dual-interface card reader module
US7624291B2 (en) Power optimized multi-mode voltage regulator
US6693412B2 (en) Power savings in a voltage supply controlled according to a work capability operating mode of an integrated circuit
US9263098B2 (en) Voltage regulator, memory controller and voltage supplying method thereof
US9471140B2 (en) Valid context status retention in processor power mode management
US7408816B2 (en) Memory voltage generating circuit
US7834599B2 (en) Rapid supply voltage ramp using charged capacitor and switch
EP2947536B1 (en) Voltage regulator and voltage regulating method and chip using the same
JP526921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及び電子機器
TW202125976A (zh) 非線性鉗位強度協調方法及設備
TWI534600B (zh) 觸控系統之電源管理裝置
US20130124886A1 (en) Power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013644B2 (en) Power supply circuit for south bridge chip
WO2022060503A1 (en) Dual-folded boot-strap based buck-boost converter
US20230409105A1 (en) Avoiding damage to universal serial bus sink switch device
US67846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voltage regulator based on operation of a timer
JP6838123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KR201300633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126774B2 (en) Semiconductor chip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