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016B1 -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016B1
KR101495016B1 KR20140050605A KR20140050605A KR101495016B1 KR 101495016 B1 KR101495016 B1 KR 101495016B1 KR 20140050605 A KR20140050605 A KR 20140050605A KR 20140050605 A KR20140050605 A KR 20140050605A KR 101495016 B1 KR101495016 B1 KR 10149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ver
protective
cap
perm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장환
이명재
천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그린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그린이십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그린이십일
Priority to KR2014005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2Subsoil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강변여과수의 수량을 확보하고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이 개시된다.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은 수직취수정 및 투수성 부재를 포함한다. 수직취수정은 하천수가 흐르는 강변 인근에 배치되고 포화대까지 삽입되어 강변여과수를 취수한다. 투수성 부재는 하천 바닥에 배치되고 충적층을 관통하여 포화대까지 삽입되어 하천수를 포화대까지 도달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충적층에 의해 하천수가 주대수층인 포화대로 침투하지 않더라도 투수성 부재는 양질의 하천수가 주대수층에 공급할 수 있는 연결 통로 역할을 수행하므로 강변여과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SYSTEM FOR INTAKING A RIVERBANK FILTRATE AND METHOD FOR INSTALLING A PERMEABILITY MEMBER}
본 발명은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변여과수의 수량을 확보하고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수자원의 수량과 수질의 문제가 국가적인 관심사로 대두되면서 양질의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지하수/지표수의 연계 이용으로 그 활용성이 증대되는 간접취수방식 중의 하나인 강변여과(RBF; RiverBank Filtration) 취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현재 국내 취수 방식인 지표수 취수는 계절별 수량 및 수질의 변화와 각종 수질사고에 민감하다. 특히, 낙동강 페놀 오염사고로 인하여 수돗물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어 강변여과수 등 취수원 다변화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높다. 특히, 강변여과수의 경우 이러한 국내 상황이 반영되어 창원, 김해 등의 지자체에서 강변여과수를 활용한 상수원 확보를 진행 및 상용화하고 있으며, 최근 한반도 대운하와 관련하여 원수 수질 악화를 방지하는 대안으로 강변여과 취수방식이 관심을 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강변여과수의 취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강변여과수의 취수는 강변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표면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으로 마련된 취수정을 마련하므로써 이루어진다. 강변(예를들어, 낙동강)의 하부에 존재하는 투수층을 통해 여과된 강변여과수는 취수용 배관을 통해 유입되어 취수정에 모아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아지는 강변여과수는 지표수에 비하여 수온이 일정하고, 미생물 작용으로 질산화가 일어나서 암모니아성 질소가 적으며, 수질의 변동이 적으며, 강물 오염시에도 미생물 분해, 흡착 등으로 인해 상당량 정화가 이루어져서 원수의 수질이 양호하다.
한편, 강변여과수 방식의 취수원 개발시 주대수층 지층에 입경이 75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세립토(예를들어, 입경이 2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점토(clay)나 입경이 2 내지 75 마이크로미터인 실트(silt)가 많이 포함되면 강변수는 이러한 세립토를 투과하지 못해 대수층에서 수량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농도 철/망간에 의한 수질문제가 심각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67161호 (발명의 명칭: 공기주입에 의한 지하수 용존 철과 망간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0979214호 (발명의 명칭: 강변여과수 수직정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0984320호 (발명의 명칭: 우물 통 포기조를 이용한 강변여과수 처리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0486168호 (발명의 명칭: 상수원수 확보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지하여과수 수평취수관 설치방법 및 그 장치)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변여과수에서 투수성 부재를 활용하여 수량을 확보할 수 있고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은 수직취수정 및 투수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취수정은 하천수가 흐르는 강변 인근에 배치되고 포화대까지 삽입되어 강변여과수를 취수한다. 상기 투수성 부재는 하천 바닥에 배치되고 충적층을 관통하여 상기 포화대까지 삽입되어 하천수를 상기 포화대까지 도달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투수성 부재는 복수의 투수성 팩들(packs)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투수성 부재는 상기 충적층 상부에 위치하는 불포화대를 관통하여 상기 충적층까지 삽입된 보호관정; 및 상기 보호관정의 상부 영역을 덮는 관정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보호관정의 측부중 상부 영역에는 하천수가 투과하도록 복수의 보호관정 스크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관정캡의 측부 영역에는 하천수가 투과하도록 복수의 관정캡 스크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관정캡 스크린은 상기 보호관정 스크린에 얼라인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은 상기 수직취수정의 하부에 연결되고 강변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배설되어 강변여과수를 취수하여 상기 수직취수정으로 공급하는 수평취수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평취수정은 복수개이고, 복수의 수평취수정들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에 따르면, 하천 바닥에서 충적층을 관통하여 포화대까지 굴착관정을 삽입한다. 이어, 측부중 상부 영역에 하천수가 투과되도록 복수의 보호관정 스크린들이 형성된 보호관정을 상기 굴착관정내에 상기 충적층까지 삽입한다. 이어, 상기 굴착관정내에 삽입된 상기 보호관정 내에 투수성 팩들을 투입하여 상기 보호관정의 상부영역까지 적재시킨다. 이어, 상기 굴착관정을 제거한다. 이어, 측부 영역에 하천수가 투과되도록 복수의 관정캡 스크린들이 형성된 관정캡을 상기 관정캡 스크린이 상기 보호관정 스크린에 얼라인되도록 상기 보호관정 상부에 덮는다.
이러한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에 의하면, 강변여과수 취수를 위해 구비되는 수직취수정 외에 강변 하상에 충적층을 관통하여 포화대까지 투수성 부재를 삽입하여 하천수가 상기 포화대까지 도달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충적층에 의해 하천수가 주대수층인 포화대로 침투하지 않더라도 투수성 부재는 양질의 하천수가 주대수층에 공급할 수 있는 연결 통로 역할을 수행하므로 강변여과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강변여과수의 취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투수성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투수성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관정캡이 보호관정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도 2에 도시된 투수성 부재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은 수직취수정(100) 및 투수성 부재(200)를 포함하고, 토양의 자정능력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여과/제거된 물을 취수한다.
상기 수직취수정(100)은 하천수가 흐르는 강변 인근에 배치되고 주대수층인 포화대(saturated zone, SAZ)까지 삽입되어, 포화대(SAZ)에서 함양된 강변여과수를 취수한다. 일반적으로, 하천수가 장기간 동안 강변의 하상 바닥 또는 측면으로 침투되어 포화대(SA)까지 함양된 후 상기 수직취수정(100)까지 도달하는데 보통 50일 내지 60일 정도가 소요된다.
상기 투수성 부재(200)는 하천 바닥에 배치되고 충적층(fine-grained soil layer, FGS)을 관통하여 상기 포화대(SAZ)까지 삽입되어 하천수를 상기 포화대(SAZ)까지 도달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도 2에서 충적층(FGS)이 불포화대(unsaturated zone, USZ)와 포화대(SAZ) 사이에 전면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충적층(FGS)은 불포화대(USZ)와 포화대(SAZ) 사이에 렌즈상(lens shape)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즉, 특정 영역에만 충적층(FGS)이 렌즈상으로 존재하고 나머지 영역에는 충적층(FGS)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충적층(FGS)은 하천수가 불포화대(USZ)를 경유하여 포화대(SAZ)로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의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투수성 부재(200)가 배치되어 하천수가 포화대(SAZ)로 도달하는 경로를 제공하므로 강변여과수의 수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투수성 부재(200)에는 포화대(SAZ)까지 연장된 공기주입배관(미도시)이 더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배관이 더 삽입되는 경우 지상에는 별도의 콤프레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배관을 통해 공기가 포화대(SAZ)에 주입되어 포화대(SAZ)에 도달된 하천수에서 철/망간이 제거될 수 있도록 산화대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향후 취수되는 강변여과수에 용존하는 철/망간의 농도를 낮추어 강변여과수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은 수평취수정(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취수정(300)은 상기 수직취수정(100)의 하부에 연결되고 강변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배설되어 강변여과수를 취수하여 상기 수직취수정(100)으로 공급한다.
예를들어, 상기 수평취수정(300)이 복수개라면, 복수의 수평취수정(300)들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채꼴 형상은 평면상에서 관찰할 때 강변을 향해 펼쳐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적층에 의해 하천수가 주대수층인 포화대로 침투하지 않더라도 투수성 부재는 양질의 하천수가 주대수층에 공급할 수 있는 연결 통로 역할을 수행하므로 강변여과수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에 의하면, 하천수가 강변의 대수층을 통하여 여과되는 동안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탁도, 세균, 유해물질이 자연 감소하고, 돌발적인 수질 사고시에도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계절에 따라 수질(수온, 탁도) 변화가 적고 균질하므로 정수장에서 상수처리 및 수질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일시적인 가뭄 시에도 대수층에 체류된 여과수를 취수하므로써 안정적인 취수 및 급수가 가능하고, 하천수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이 적으므로 상수원 보호구역 규제 필요성이 적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투수성 부재(2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투수성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관정캡(230)이 보호관정(220)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투수성 부재(200)는 불포화대(USZ)와 충적층(FGS)을 관통하여 포화대(SAZ)까지 형성되어, 불포화대(USZ) 위의 하천수가 불포화대(USZ) 및 충적층(FGS)을 경유하여 포화대(SAZ)까지 도달하도록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투수성 부재(200)는 복수의 투수성 팩들(packs)(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투수성 팩들(210) 각각에는 모래나 콩자갈, 자갈과 같이 하천수를 투과할 수 있는 재질들이 배치된다. 예를들어, 입경 2mm미만의 크기의 입자는 모래이고, 입경 4mm 내지 6mm 크기의 입자는 자갈이고, 입경 30mm 내지 50cm 크기의 입자는 콩자갈이다. 하나의 투수성 팩(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모래나 다수의 콩자갈 등을 그물망 구조로 묶는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수성 부재(200)는 보호관정(220) 및 관정캡(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관정(220)은 상기 충적층(FGS) 상부에 위치하는 불포화대(USZ)를 관통하여 상기 충적층(FGS)의 상부면까지 삽입된다. 불포화대를 관통하도록 일정 직경의 구멍을 뚫은 후 투수성 팩들(210)을 직접적으로 배치하면 불포화대의 토양 입자들이 투수성 팩들(210)에 채워져 투수 효율을 저감시킨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관정(220)이 배치되므로 불포화대의 토양 입자들이 투수성 팩들(210)에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보호관정(220)은 하천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예를들어, 1.5 미터 가량 돌출되도록 배치한다. 왜냐하면, 하천의 바닥에는 각종 슬러지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슬러지 역시 투수성 팩들(210)의 투수 효율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일정 높이만큼 하천의 바닥에서 돌출되도록 보호관정을 배치하므로써 하천의 바닥에 존재하는 슬러지가 투수성 팩들(210)에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관정캡(230)은 상기 보호관정(220)의 상부 영역을 덮는다. 상기 관정캡(230)의 상부 영역은 상기 투수성 팩들(210)이 노출되도록 개구된다. 이에 따라 하천수가 상기 관정캡(230)의 개구된 영역을 통해 상기 투수성 팩들(210)에 제공된다.
상기 보호관정(220)의 측부중 상부 영역에는 불포화대(USZ) 위에 존재하는 하천수가 투과하도록 복수의 보호관정 스크린들(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정캡(230)의 측부 영역에는 불포화대(USZ) 위에 존재하는 하천수가 투과하도록 복수의 관정캡 스크린들(2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보호관정 스크린들(222)의 형상과 상기 관정캡 스크린들(232)의 형상은 원형상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형상일 수도 있다. 예를들어, 관정캡의 외주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관정캡 스크린(232)은 상기 보호관정 스크린(222)에 얼라인될 수 있다. 이처럼 보호관정 스크린(222)과 관정캡 스크린(232)이 얼라인됨에 따라, 불포화대(USZ) 위에 존재하는 하천수는 관정캡 스크린(232)과 보호관정 스크린(222)을 경유하여 투수성 팩들(210)에 제공되고, 투수성 팩들(210)에 제공된 하천수는 불포화대(USZ) 및 충적층(FGS)을 경유하여 포화대(SAZ)까지 도달한다. 포화대(SAZ)까지 도달한 물은 포화대(SAZ)에서 철이나 망간이 제거된 후 수직 취수정(도 2에 도시됨)에서 취수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도 2에 도시된 투수성 부재(200)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하천 바닥에서 불포화대(USZ)와 충적층(FGS)을 관통하여 포화대(SAZ)까지 굴착관정(400)을 삽입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측부중 상부 영역에 하천수가 투과되도록 복수의 보호관정 스크린들(222)이 형성된 보호관정(220)을 상기 굴착관정(400)내에 상기 충적층(FGS)의 상부면까지 삽입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굴착관정(400)내에 삽입된 상기 보호관정(220) 내에 투수성 팩들(210)을 투입하여 상기 보호관정(220)의 상부영역까지 적재시킨다. 상기한 투수성 팩들(210)에는 모래나, 콩자갈, 자갈과 같이 하천수를 투과할 수 있는 재질들이 배치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굴착관정(400)을 제거한다. 이러한 굴착관정(400)이 제거됨에 따라 굴착관정(400)의 관경의 두께에 상응하는 만큼 공극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투수성 팩들(210)에 포함된 모래나 콩자갈, 자갈 등이 해당 공극에 메꿔질 수 있다. 이러한 공극이 메꿔짐에 따라 투수성 팩들(210)이 배치된 영역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으나, 투수성 팩들(210)을 추가적으로 투입하여 투수성 팩들(210)의 충진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굴착관정(400)을 제거하면서 이와 동시에 투수성 팩들(210)을 가압하고 추가적으로 투수성 팩들(210)을 투입할 수도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측부 영역에 하천수가 투과되도록 복수의 관정캡 스크린들(232)이 형성된 관정캡(230)을 상기 관정캡 스크린(232)이 상기 보호관정 스크린(222)에 얼라인되도록 상기 보호관정(220) 상부에 덮는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관정(220) 내에 투수성 팩들(210)을 투입한 후 굴착관정(400)을 제거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굴착관정(400)을 제거하지 않고 남겨둘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굴착관정(400)에는 상기 보호관정(220)에 형성된 보호관정 스크린들(222)에 대응하여 스크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변여과수 취수를 위해 구비되는 수직취수정 외에 강변 하상에 충적층을 관통하여 포화대까지 투수성 부재를 삽입하여 하천수가 상기 포화대까지 도달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충적층에 의해 하천수가 주대수층인 포화대로 침투하지 않더라도 투수성 부재는 양질의 하천수가 주대수층에 공급할 수 있는 연결 통로 역할을 수행하므로 강변여과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100 : 수직취수정 200 : 투수성 부재
210 : 투수성 팩들 220 : 보호관정
222 : 보호관정 스크린 230 : 관정캡
232 : 관정캡 스크린들 300 : 수평취수정
400 : 굴착관정 SAZ : 포화대
FGS : 충적층 USZ : 불포화대

Claims (9)

  1. 하천수가 흐르는 강변 인근에 배치되고 포화대까지 삽입되어 강변여과수를 취수하는 수직취수정; 및
    하천 바닥에 배치되고 충적층을 관통하여 상기 포화대까지 삽입되어 하천수를 상기 포화대까지 도달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투수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투수성 부재는,
    상기 충적층 상부에 위치하는 불포화대를 관통하여 상기 충적층 상부면까지 삽입된 보호관정;
    하천수를 투과하도록 선택된 다수의 모래, 다수의 콩자갈 및 다수의 자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들과 상기 재질들을 그물망 구조로 묶는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관정 내에 투입되어 적재되는 복수의 투수성 팩들(packs); 및
    상기 보호관정의 상부 영역을 덮고 상기 투수성 팩들이 노출되도록 상부 영역이 개구된 관정캡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관정의 측부중 상부 영역에는 하천수가 투과하도록 복수의 보호관정 스크린들이 형성되고, 상기 관정캡의 측부 영역에는 하천수가 투과하도록 복수의 관정캡 스크린들이 형성되며, 상기 관정캡 스크린은 상기 보호관정 스크린에 얼라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취수정의 하부에 연결되고 강변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배설되어 강변여과수를 취수하여 상기 수직취수정으로 공급하는 수평취수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취수정은 복수개이고, 복수의 수평취수정들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9. 하천 바닥에서 충적층을 관통하여 포화대까지 굴착관정을 삽입하는 단계;
    측부중 상부 영역에 하천수가 투과되도록 복수의 보호관정 스크린들이 형성된 보호관정을 상기 굴착관정내에 상기 충적층까지 삽입하는 단계;
    상기 굴착관정내에 삽입된 상기 보호관정 내에 하천수를 투과하도록 선택된 다수의 모래, 다수의 콩자갈 및 다수의 자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들과 상기 재질들을 그물망 구조로 묶는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투수성 팩들을 투입하여 상기 보호관정의 상부영역까지 적재시키는 단계;
    상기 굴착관정을 제거하는 단계; 및
    측부 영역에 하천수가 투과되도록 복수의 관정캡 스크린들이 형성된 관정캡을 상기 관정캡 스크린이 상기 보호관정 스크린에 얼라인되도록 상기 보호관정 상부에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
KR20140050605A 2014-04-28 2014-04-28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 KR10149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0605A KR101495016B1 (ko) 2014-04-28 2014-04-28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0605A KR101495016B1 (ko) 2014-04-28 2014-04-28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016B1 true KR101495016B1 (ko) 2015-02-25

Family

ID=5259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0605A KR101495016B1 (ko) 2014-04-28 2014-04-28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0363A (zh) * 2015-12-31 2017-07-07 廖理纯 一种开口井及其建造方法
CN117069172A (zh) * 2023-08-22 2023-11-17 衢州市美丽乡村建设中心 一种高地质背景地区重金属污染源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855B1 (ko) * 2005-02-23 2005-10-25 주식회사 현진기업 계곡수를 이용한 음용수 취수 장치 및 방법
KR100562740B1 (ko) * 2001-08-03 2006-03-23 배영길 지표면의 물을 지하수화 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21802A (ko) * 2010-08-17 2012-03-09 이승영 토양의 치환을 통한 지하수 함양 구조 및 그 방법
KR101160678B1 (ko) * 2012-02-15 2012-06-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수 취수정 막힘 수류 회복 시설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740B1 (ko) * 2001-08-03 2006-03-23 배영길 지표면의 물을 지하수화 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23855B1 (ko) * 2005-02-23 2005-10-25 주식회사 현진기업 계곡수를 이용한 음용수 취수 장치 및 방법
KR20120021802A (ko) * 2010-08-17 2012-03-09 이승영 토양의 치환을 통한 지하수 함양 구조 및 그 방법
KR101160678B1 (ko) * 2012-02-15 2012-06-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수 취수정 막힘 수류 회복 시설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0363A (zh) * 2015-12-31 2017-07-07 廖理纯 一种开口井及其建造方法
CN117069172A (zh) * 2023-08-22 2023-11-17 衢州市美丽乡村建设中心 一种高地质背景地区重金属污染源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0510A (en) Underground drainage system
JP3104969B2 (ja) 広域集水型地下貯水槽
KR101511366B1 (ko) 녹지 및 도로 유출수 분리 여과 기능을 갖는 빗물 저류 시스템 및 빗물 저류 방법
JPWO2008142879A1 (ja) 除塵管理枡
KR101622222B1 (ko) 가뭄과 수해대비와 싱크홀 예방을 위한 빗물이용장치
KR20160022140A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JP2009150076A (ja) 取水システム及び淡水貯留取水システム
JP6621653B2 (ja) 貯留浄化システム
CN211285806U (zh) 一种渗滤取水装置以及渗滤取水结构
KR101207293B1 (ko) 초기우수의 지하침투 처리시설
KR101977695B1 (ko) 침투측구구조
JP2013117167A (ja) 淡水貯留システム
KR101495016B1 (ko) 강변여과수 취수 시스템 및 이에 채용되는 투수성 부재 설치 방법
KR101547900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저영향 개발 기법 시설
JP2015183493A (ja) 雨水貯留浸透設備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KR20120021802A (ko) 토양의 치환을 통한 지하수 함양 구조 및 그 방법
KR101038336B1 (ko) 도로 l형 측구에 저류조 방식을 이용한 빗물분산과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비점 오염 저감 여과 장치
JP4386952B2 (ja) 雨水桝の施工構造
JP2006322148A (ja) 雨水の地下貯留浸透施設
KR101145836B1 (ko) 하상 취수 수평, 수직 터널 장치 및 방법
KR101874562B1 (ko)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3806B1 (ko) 경사 주입관을 활용한 강변여과수 현장 처리 시스템
JP2915389B1 (ja) 濾過式貯水槽装置
KR20110006341A (ko) 지층수를 상수원 원수로 사용하는 우물통 구조의 취수원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