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829B1 -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829B1
KR101494829B1 KR20130021417A KR20130021417A KR101494829B1 KR 101494829 B1 KR101494829 B1 KR 101494829B1 KR 20130021417 A KR20130021417 A KR 20130021417A KR 20130021417 A KR20130021417 A KR 20130021417A KR 101494829 B1 KR101494829 B1 KR 101494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ser device
unit
application means
driv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993A (ko
Inventor
은성배
전정호
이용만
윤창석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2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82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응용 수단이 연결되면 그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그 응용 수단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그 응용 수단의 제어에 이용되는 구동 정보가 그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기초하여 구동 정보 서버 또는 그 응용 수단으로부터 구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응용 수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 기능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탑재하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PDA 기능을 탑재한 기기에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환경을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플랫폼을 내장함으로써 원격지 사용자 간의 데이터 통신, 자바 기반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이용한 각종 서비스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PC 등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 경우에 각각의 전자 기기별로 별도의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응용 수단들에 대응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다운로드 받을 필요 없이 복수의 응용 수단들 각각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다운로드 받은 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복수의 응용 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응용 수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응용 수단이 연결되면 상기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용 수단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응용 수단의 제어에 이용되는 구동 정보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구동 정보 서버 또는 상기 응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구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응용 수단들의 제어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정보는 상기 응용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및 상기 응용 수단이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와 관련된 웹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용 수단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서버,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장치 또는 소정의 센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응용 수단이 상기 구동 정보 서버에 연결되면 상기 구동 정보 서버에 의해 상기 응용 수단에게 부여되어 상기 응용 수단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조시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응용 수단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응용 수단간의 정보를 중계하는 응용 수단 플랫폼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응용 수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장치는 상기 응용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상기 응용 수단이 연결되면 상기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응용 수단의 제어에 이용되는 구동 정보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정보를 저장하는 구동 정보 서버 또는 상기 응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구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응용 수단들의 제어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정보는 상기 응용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및 상기 응용 수단이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와 관련된 웹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용 수단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서버,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장치 또는 소정의 센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응용 수단이 상기 구동 정보 서버에 연결되면 상기 구동 정보 서버에 의해 상기 응용 수단에게 부여되어 상기 응용 수단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조시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응용 수단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응용 수단간의 정보를 중계하는 응용 수단 플랫폼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응용 수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장치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응용 수단이 연결되면 상기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응용 수단 ID 획득부; 복수의 응용 수단들 각각의 제어를 위한 복수의 구동 정보들을 저장하는 구동 정보 DB;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정보 DB에 상기 연결된 응용 수단에 대응되는 구동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구동 정보 서버 또는 상기 응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구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구동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응용 수단 ID 획득부, 상기 구동 정보 DB 및 상기 구동 정보 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응용 수단들에 대응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필요 없이 복수의 응용 수단들 각각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다운로드 받은 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복수의 응용 수단들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수단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는 어플리케이션(12), API 인터페이스 레이어(14), 텔레포니 모듈(16), 네트워킹 모듈(18), 보안 모듈(20), 사용자 인터페이스(22), 운영체제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이어(24) 및 하드웨어(26)를 포함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는 사용자 디바이스(미도시)에 탑재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컴퓨터, 휴대전화(cellular phone)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12)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텔레포니 모듈(16)은 통화 기능을 수행하고, 네트워킹 모듈(18)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보안 모듈(20)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 기능을 수행하고,사용자 인터페이스(22)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 등을 사용자 디바이스 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운영체제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이어(24)는 하드웨어(26)를 어플리케이션(12)이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인터페이스 레이어(14)는 어플리케이션(12)이 운영체제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이어(24)와 통신할 때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12)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응용 수단(미도시)이 연결되면 그 응용 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가 그 연결된 응용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그 응용 수단에 대응되는 구동 정보가 필요한데, 어플리케이션(12)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그 구동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그 구동 정보를 수신한 후, 그 구동 정보를 이용하여 그 연결된 응용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응용 수단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서버,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장치, 소정의 센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12)의 구조 및 세부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12)은 관리 모듈(121) 및 제어부(128)를 포함한다. 여기서, 관리 모듈(121)은 응용 수단 ID 획득부(123), 구동 정보 DB(125) 및 구동 정보 관리부(127)를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 정보 서버(50) 및 응용 수단(60)을 더 도시하였다.
응용 수단 ID 획득부(123)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응용 수단(60)이 연결되면 응용 수단(6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구동 정보 관리부(127)는 획득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정보 DB(125)에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된 응용 수단(60)에 대응되는 구동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구동 정보 서버(50) 또는 응용 수단(60)으로부터 구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여기서, 구동 정보 DB(125)에는 복수의 응용 수단들 각각의 제어를 위한 복수의 구동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반면, 응용 수단(60)에는 구동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응용 수단(60) 자신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구동 정보만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구동 정보는 상기 응용수단(60)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응용 수단(60)이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와 관련된 웹문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웹문서는 XML, HTML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응용 수단(60)이 체온 센서인 경우에 응용 서비스와 관련된 웹문서는 응급실, 24시간 약국 등의 연락처, 약도 등을 포함하는 진료 기관 정보 및 체온 측정 결과와 진료 기관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체온 측정 서비스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체온 센서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한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고, 사용자 디바이스는 체온 센서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체온 센서가 전송한 체온 측정 결과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에 사용자의 체온을 표시한다. 만일, 사용자의 체온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응용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웹문서에 포함된 진료 기관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실, 24시간 약국 등의 진료 기관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응용 서비스는 습도 측정 서비스, 체온 측정 서비스, 실온 측정 서비스, 음주 측정 서비스 등 다양한 종류의 응용 서비스를 포함한다.
제어부(129)는 응용 수단 ID 획득부(123), 구동 정보 DB(125) 및 구동 정보 관리부(127)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수단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를 탑재한 사용자 디바이스가 응용 수단 플랫폼(62)을 통해 응용 수단(60)에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응용 수단 플랫폼(62)은 사용자 디바이스와 응용 수단(60)간의 정보를 중계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에서는 응용 수단 플랫폼(62)이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를 탑재한 사용자 디바이스와 응용 수단(60) 사이를 유선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응용 수단 플랫폼(62)이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 또는 응용 수단(60)에 내장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410)는 어플리케이션(412), 수신부(414) 및 판단부(416)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응용 수단 플랫폼(420)과 응용 수단(430)을 더 도시하였다. 또한, 도 4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410)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어플리케이션(412)은 응용 수단(430)을 제어하여 사용자 디바이스(410)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410)를 탑재한 사용자 디바이스가 온도 센서에 연결이 되면, 어플리케이션(412)은 온도 센서가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 값을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온도 센서를 제어하고, 사용자 디바이스는 그 온도 측정 값을 화면에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412)은 응용 수단 플랫폼(420)을 통해 응용 수단(430)과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응용 수단(43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410)에 응용 수단 플랫폼(420)이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412)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조시에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거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수신부(414)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응용 수단(430)이 연결되면 응용 수단(43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수신부(414)는 수신한 식별 정보를 어플리케이션(412)에게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412)이 실행된다.
판단부(416)는 수신부(414)를 통해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응용 수단(430)을 제어할 때 필요한 정보인 구동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수신부(414)는 판단부(416)의 판단에 기초하여 구동 정보 서버(미도시) 또는 응용 수단(430)으로부터 구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즉, 사용자 디바이스에 응용 수단(430)에 대응되는 구동 정보가 저장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구동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응용 수단(430)에 대응되는 구동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구동 정보 서버 또는 응용 수단(430)으로부터 구동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412)은 판단부(416)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동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 결과를 수신하게 되면, 응용 수단 플랫폼(420)을 통해 응용 수단(430)에게 구동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응용 수단(430)은 응용 수단 플랫폼(420)을 통해 수신부(414)에게 요청한 구동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412)은 판단부(416)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동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 결과를 수신하게 되면, 구동 정보 서버에게 구동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구동 정보 서버는 수신부(414)에게 요청한 구동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410)는 구동 정보 서버에게 구동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는 구동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410)가 응용 수단(430)별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응용 수단(430)에 대응되는 구동 정보만을 다운로드 받아서 응용 수단(430)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은,어플리케이션(412)에 복수의 응용 수단들의 제어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컴포넌트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습도 센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체온 센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습도 측정과 체온 측정이라는 기능적인 차이점은 있지만, 측정 명령을 입력하고 측정 값을 출력하기 위한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큰 차이가 없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응용 수단들이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공유할 수 있는 경우에는,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습도 측정 서비스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만의 고유한 구성 요소 및 체온 측정 서비스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만의 고유한 구성 요소만을 다운로드 받아 습도 센서와 체온 센서를 제어하게 되면, 센서별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필요 없이, 습도 센서의 구동 정보와 체온 센서의 구동 정보만을 수신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습도 센서와 체온 센서를 모두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응용 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해 응용 수단별로 어플리케이션 전체를 수신해야 했던 종래 기술에 비해, 어플리케이션 용량보다 훨씬 작은 용량을 가지는 구동 정보만을 다운로드를 받은 후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복수의 응용 수단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다운로드 받을 정보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410)는 응용 수단별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필요로 하지 않아 사용자 디바이스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저장하면 되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어플리케이션 저장 공간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응용 수단이 연결되면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가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52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가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그 연결된 응용 수단의 제어에 필요한 구동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530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응용 수단에 대응되는 구동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가 구동 정보 서버 또는 응용 수단으로부터 구동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54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구동 정보를 이용하거나, 구동 정보 서버 또는 응용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구동 정보를 이용하여 응용 수단을 제어한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는 응용 수단의 구동 정보를 이용하여 응용 수단으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호출하고, 호출된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브라우징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가 연결되는 응용 수단들(60)이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서버들(60)이고, 도 6b에서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장치들(60)이고, 도 6c에서는 센서들(60)이다.
도 6a에서 USN 서버들(60)이 최초에 구동 정보 서버(50)에 연결되면, 구동 정보 서버(50)는 USN 서버들(60) 각각에게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부여하고, USN 서버들(60) 각각은 자신들에게 부여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USN 서버들(60)이 최초에 구동 정보 서버(50)에 연결되면, USN 서버들(60)이 자신의 MAC 주소를 구동 정보 서버(50)에 전송하고, 구동 정보 서버(50)는 USN 서버들(60) 각각의 MAC 주소를 식별 정보로서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USN 서버들(60)이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를 탑재한 사용자 디바이스에 연결되면, USN 서버들(60)이 인터넷(70)을 통해 USN 서버들(60) 각각에게 부여된 식별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를 탑재한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USN 서버들(60) 각각에 대한 구동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 후,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어하고자 하는 USN 서버(60)에 대한 구동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그 USN 서버(60)에 대응되는 구동 정보를 구동 정보 서버(50)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구동 정보 또는 구동 정보 서버(50)로부터 수신한 구동 정보를 이용하여 USN 서버들(60)을 제어한다.
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에 USN 서버 B(60)에 대한 구동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가 구동 정보 서버(50)에게 USN 서버 B(60)에 대한 구동 정보인 구동 정보 B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구동 정보 서버(50)로부터 구동 정보 B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는 구동 정보 서버(50)로부터 수신한 구동 정보를 이용하여 USN 서버 B(60)를 제어한다.
종래에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USN 서버 A 내지 서버 C(60)을 모두 제어하기 위해서는 3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필요로 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으로도 USN 서버 A 내지 서버 C(60)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
도 6b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는 도 6a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상세한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c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가 세 개의 센서들(온도 및 습도 센서, 체온 센서, 음주 센서)(60)과 USB 케이블(80)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구동 문서 서버(50)와는 인터넷(7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6c에서도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10)에는 센서마다 별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 없이, 온도 및 습도 센서에 대응되는 구동 정보, 체온 센서에 대응되는 구동 정보, 음주 센서에 대응되는 구동 정보만을 구동 정보 서버(50)로부터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이 그 수신한 구동 정보를 이용하여 세 개의 센서들(60) 모두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응용 수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용 수단이 연결되면 상기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용 수단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응용 수단의 제어에 이용되는 구동 정보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구동 정보 서버 또는 상기 응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구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응용 수단이 상기 구동 정보 서버에 연결되면 상기 구동 정보 서버에 의해 상기 응용 수단에게 부여되어 상기 응용 수단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응용 수단들의 제어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정보는
    상기 응용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및 상기 응용 수단이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와 관련된 웹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수단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서버,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장치 또는 소정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조시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7.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응용 수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용 수단이 연결되면 상기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용 수단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응용 수단의 제어에 이용되는 구동 정보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구동 정보 서버 또는 상기 응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구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응용 수단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응용 수단간의 정보를 중계하는 응용 수단 플랫폼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8.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응용 수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용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상기 응용 수단이 연결되면 상기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응용 수단의 제어에 이용되는 구동 정보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정보를 저장하는 구동 정보 서버 또는 상기 응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구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는 상기 응용 수단이 상기 구동 정보 서버에 연결되면 상기 구동 정보 서버에 의해 상기 응용 수단에게 부여되어 상기 응용 수단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응용 수단들의 제어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정보는
    상기 응용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및 상기 응용 수단이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와 관련된 웹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수단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서버,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장치 또는 소정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조시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14. 사용자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응용 수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용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상기 응용 수단이 연결되면 상기 응용 수단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응용 수단의 제어에 이용되는 구동 정보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정보를 저장하는 구동 정보 서버 또는 상기 응용 수단으로부터 상기 구동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응용 수단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응용 수단간의 정보를 중계하는 응용 수단 플랫폼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15. 삭제
KR20130021417A 2013-02-27 2013-02-27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494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1417A KR101494829B1 (ko) 2013-02-27 2013-02-27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1417A KR101494829B1 (ko) 2013-02-27 2013-02-27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993A KR20140106993A (ko) 2014-09-04
KR101494829B1 true KR101494829B1 (ko) 2015-02-24

Family

ID=5175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1417A KR101494829B1 (ko) 2013-02-27 2013-02-27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8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229B1 (ko) * 2010-07-16 2011-11-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의 필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기록 매체
JP2012199887A (ja) * 2011-03-23 2012-10-18 Panasonic Corp センサ、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設備端末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229B1 (ko) * 2010-07-16 2011-11-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의 필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기록 매체
JP2012199887A (ja) * 2011-03-23 2012-10-18 Panasonic Corp センサ、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設備端末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993A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2201B1 (en)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router
US8973014B2 (en) Inter-devi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392868B1 (ko)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EP27064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external apparatus
US9501100B2 (en) Communicating sensor data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91792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elivering, displaying and interacting with contextual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KR101397471B1 (ko)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KR20140073243A (ko) Http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20136924A1 (en) Server device in thin-client system
CN101416159B (zh) 通信终端、用户数据移动系统及用户数据移动方法
EP27530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CN104580019A (zh) 网络服务提供方法及装置
CN106933636B (zh) 启动插件服务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JP2014509804A (ja) ユニバーサルプラグアンドプレイホーム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ける連絡先情報を管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938734B1 (ko) 게이트웨이 기반의 m2m 디바이스들 기능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494829B1 (ko) 어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N110209339B (zh) 一种存储空间的管理方法、安全元件以及终端
KR10134476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사이의 파일 공유 방법
KR101465704B1 (ko) 응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08027179A (ja) 携帯電話用の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端末
KR101536206B1 (ko)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101804022B1 (ko) LTE 단말기를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86638A (ko) 무선망에서 유비 쿼터스 컴퓨팅 실현을 위한 유비에이전트 방법 및 시스템
CN112799857B (zh) 一种应用访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561524B1 (ko)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