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646B1 - 분수용 노즐 - Google Patents

분수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646B1
KR101494646B1 KR20140126045A KR20140126045A KR101494646B1 KR 101494646 B1 KR101494646 B1 KR 101494646B1 KR 20140126045 A KR20140126045 A KR 20140126045A KR 20140126045 A KR20140126045 A KR 20140126045A KR 101494646 B1 KR101494646 B1 KR 101494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ap
water
intermediate sleev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철영
원종성
Original Assignee
(유)일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유)일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40126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in which a valve member forms part of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Landscapes

  • Nozzl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수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장치가 없이 낮은 수압에서도 노즐의 자동개폐가 가능하고, 물줄기가 갈라지거나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투명한 물줄기를 분출할 수 있는 분수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인 노즐케이싱; 상기 노즐케이싱의 상부에 장착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상단에는 개방날개가 구비되어 있는 중간슬리브; 상기 중간슬리브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단에는 상부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싱 및 외주면에 상부로 이동하면 개방되고 하부로 이동하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부력캡과, 상기 부력캡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통수판과, 상기 통수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용캡과, 상기 수용캡의 상부에 구비되는 속노즐로 구성되어 상기 노즐케이싱과 상기 중간슬리브의 내측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분수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수용 노즐{FOUNTAIN NOZZLE}
본 발명은 분수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장치가 없이 낮은 수압에서도 노즐의 자동개폐가 가능하고, 물줄기가 갈라지거나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투명한 물줄기를 분출할 수 있는 분수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분수는 물줄기를 분사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공원, 정원, 광장, 교량의 측면 등 다양한 공간에 설치되어 물줄기를 이용한 공간연출을 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를 말한다.
분수는 펌프를 이용하여 공급된 강한 수압의 물이 노즐을 통하여 분출되면서 작동하는데, 복수의 노즐을 다양한 모양으로 배열하고 각 노즐에서 분출되는 물줄기의 높이와 속도 및 분출시각 등을 조절함으로써 시원하면서도 아름다운 공간연출을 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노즐에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설치하여 물줄기의 색상을 조절함으로써 분수의 연출미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한편, 분수의 주요구성 중에 하나인 노즐은 물줄기가 분출되지 않는 때에는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사람들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은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바닥분수와 같이 어린 아이들이 뛰어놀도록 만들어지는 분수의 경우에는 노즐의 은폐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분수의 노즐은 물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초기에는 용이하게 작동하던 것이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작은 이물질이 끼이거나 부식이 발생하여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047026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력캡을 이용하여 작은 수압에서도 분수조절부가 상승하면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고, 수압이 제거되면 분수조절부의 무게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방날개가 폐쇄되도록 하는 분수용 노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인 노즐케이싱; 상기 노즐케이싱의 상부에 장착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상단에는 개방날개가 구비되어 있는 중간슬리브; 상기 중간슬리브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단에는 상부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싱 및 외주면에 상부로 이동하면 개방되고 하부로 이동하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부력캡과, 상기 부력캡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통수판과, 상기 통수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용캡과, 상기 수용캡의 상부에 구비되는 속노즐로 구성되어 상기 노즐케이싱과 상기 중간슬리브의 내측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분수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노즐케이싱은 하부에는 축관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확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부력캡의 외주면이 상기 축관부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결합되고, 상기 통수판의 제2 관통홀을 통하여 흐르는 물이 상기 수용캡의 내측으로 통해서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용캡의 외주면은 상기 확관부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통수판은 가장자리가 상기 수용캡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속노즐의 내측에는, 원통형상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안내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개방날개는 한 쌍의 날개노즐로 구성되어, 각 날개노즐은 하단부의 양측이 중간슬리브의 상부에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 되고, 각 날개노즐의 상부는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내측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내측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되 경사면은 평면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중간슬리브의 측면에는 상기 날개노즐의 외측으로 유출된 공기나 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노즐에 의하면 부력캡이 일정수준 이상 상승하여 제1 관통홀이 개방될 때까지 모든 수압이 부력캡에 전달되기 때문에 수압이 낮아도 문수조절부가 원활하게 작동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날개노즐과 속노즐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분수조절부의 자체무게와 수압만으로도 날개노즐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안내관이 물줄기의 흐름을 균일하게 해 주어 분수의 물줄기가 투명하고 깨끗하게 분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노즐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노즐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노즐에 물이 공급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슬리브의 개방날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노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노즐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노즐에 물이 공급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노즐은 노즐케이싱(110), 중간슬리브(130), 상부케이싱(150) 및 분수조절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즐케이싱(110)은 내부가 중공이고, 하부(도면을 기준으로 한 방향표시임, 이하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동일한 기준으로 결정됨)에는 축관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확관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축관부(113)는 확관부(11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부지름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축관부(113)와 확관부(115)의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한편, 노즐케이싱(110)의 하부 내측에는 암나사(1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펌프(미도시)에서 연장되는 파이프(미도시)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일 뿐, 펌프와 노즐을 연결하는 파이프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노즐케이싱(110)의 상부에는 중간슬리브(130)가 장착된다.
중간슬리브(130)는 내부가 중공으로 구성되어 후술하여 설명할 분수조절부(170)가 상하운동을 할 때 속노즐(185)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분수를 개폐시키는 개방날개(140)가 장착된다. 중간슬리브(130)의 중공부는 후술하여 설명할 속노즐(18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속노즐(185)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구성되며, 노즐케이싱(110)의 확관부(115) 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속노즐(185)의 외측이 중간슬리브(130)의 중공부 내측에 밀착하면서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중간슬리브(130)의 중공부 내측은 내마모성이 우수하면서 마찰력이 작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중간슬리브(130)의 중공부 내측에는 수중용 플랜지베어링(131)이 장착될 수도 있다. 중간슬리브(130)의 측면에는 개방날개(14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공기나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133)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배출공(133)은 중간슬리브(130)의 상부면 중 개방날개(140)의 외측에서 상기 중간슬리브(130)의 외측면으로 연통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간슬리브(130)의 역할과 날개노즐(143)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간슬리브(130)의 상부에는 상부케이싱(150)이 결합된다.
상부케이싱(150)은 내부가 중공이고 상부 중앙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속노즐(185)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의 상부배수공(1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배수공(153)의 주변은 밀폐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싱(150)의 내부 중공부는 개방날개(140)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50)이 중간슬리브(130)에 결합되는 경우에 개방날개(140)의 외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개방날개(140)가 개폐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개방날개(140)의 외측으로 물이나 공기가 유출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개방날개(14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물이나 공기는 전술하여 설명한 중간슬리브(130)의 외측에 구비된 배출공(13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싱(15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어깨부(155)가 구비되어 상기 어깨부(155)의 하부나 외측에 LED조명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분수조절부(170)는 노즐케이싱(110)과 중간슬리브(13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며, 부력캡(171), 통수판(175), 수용캡(180) 및 속노즐(185)로 구성된다.
부력캡(171)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밀폐된 중공형상으로 개방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부력캡(171)의 외주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1 관통홀(173)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관통홀(173)은 부력캡(171)의 외주면의 하부에 인접하게 복수개가 구비되도록 한다. 부력캡(171)의 외면은 노즐케이싱(110)의 축관부(113)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도 2a와 같이 상기 부력캡(171)이 하강한 때에는 상기 제1 관통홀(173)이 축관부(113)의 내측면에 의하여 폐쇄되고, 도 2b와 같이 상기 부력캡(171)이 상승한 때에는 제1 관통홀(173)이 확관부(115)에 노출되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통수판(175)은 부력캡(171)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구조이다. 통수판(175)의 구체적인 형상은 노즐케이싱(110) 및 수용캡(18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케이싱(110)과 수용캡(180)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수판(175)은 원판형상으로 구성되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노즐케이싱(110)과 수용캡(180)이 다각형의 중공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수판(175) 또한 다각형의 판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구성은 원형을 예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동일하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통수판(175)은 부력캡(171)의 상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통수판(175)에는 상하방향으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2 관통홀(177)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2 관통홀(177)은 통수판(175)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구비된다. 통수판(175)의 상부에는 수용캡(180)이 구비된다. 다만, 이러한 형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일 뿐 부력캡(171)을 통과한 물이 수용캡(180)으로 전달될 수 있는 구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용캡(180)은 내부가 중공이고, 상하방향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이 확관부(115)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수용캡(180)의 외측면이 확관부(115)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은 제2 관통홀(177)을 통하여 흘러들어온 물이 수용캡(180)의 내측을 통해서만 통과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캡(180)이 확관부(115) 내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수용캡(180)과 노즐케이싱(110)의 확관부(115)가 접촉면적이 커질수록 마찰력과 표면장력 등에 의하여 분수조절부(170)을 밀어 올리는데 필요한 수압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캡(180)과 확관부(115)의 접촉면은 상기 수용캡(18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범위에서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용캡(18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의 일부 특정구간만 확관부(115)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하고, 그 외의 부분은 확관부(115)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종(鐘) 형상은 이러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접촉부가 가운데 부분이나 상부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통수판(175)은 확관부(115)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장자리가 수용캡(180)의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용캡(180)과 통수판(175)은 제2 관통홀(177)을 통하여 유출된 물이 상기 통수관의 내측으로 통하여 속노즐(185)로 전달되면서 상기 통수판(175) 및 속노즐(185)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변형이 가능 한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수판(175)의 가장자리가 상부로 절곡되면서 확관부(115)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통수판(175)의 절곡된 원통형상의 내측면에 수용캡(180)이 삽입되면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용캡(180)의 상부에는 속노즐(185)이 구비되어 있다.
속노즐(185)은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분출하고자 하는 물줄기의 굵기에 따라 크기가 결정된다. 즉, 물줄기의 굵기는 10mm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속노즐(185)의 내부지름이 10mm가 되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속노즐(185)의 형상 또는 분출하고자 하는 물줄기의 형상에 따라 다각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속노즐(185)의 상부는 일부 구간이 끝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속노즐(185)이 개방날개(140)의 내측으로 밀고 올라가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한편, 속노즐(185)의 내측에는 원통형상의 안내관(18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안내관(187)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중심부방향으로 곧게 돌출된 리브(188)가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제1 관통홀(173)과 제2 관통홀(177)을 통과하면서 흐르는 물은 휘어지면서 흐르기 때문에 와류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이 속노즐(185)을 통과하여 그대로 분출되면 상기 속노즐(185)의 입구에서 물줄기와 공기가 섞여서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분수의 물줄기는 가급적 맑고 투명하여야 미관을 극대화할 수 있고, 조명을 받을 때도 좀더 선명한 색상이 나올 수 있다. 그런데 물줄기가 와류 하면 공기와 쉽게 섞이면서 탁하고 불투명한 흰색의 물줄기가 분출되게 된다. 따라서 속노즐(185)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리브(188)가 곧게 구비된 안내관(187)을 장착하면, 제2 관통홀(177)을 통과하여 소용돌이치던 물줄기가 상기 리브(188)에 의하여 곧게 안내되면서 맑고 투명한 물줄기가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슬리브의 개방날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방날개(140)는 중간슬리브(130)의 상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한 쌍의 날개노즐(143)로 구성된다. 각 날개노즐(143)은 하단부의 양측이 중간슬리브(130)의 상부에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다. 이때, 날개노즐(143)이 회동할 때 상단의 높이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날개노즐(143)의 힌지부(141)는 내측(서로 면접하는 방향)에 최대한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날개노즐(143)에는 토션스프링(147)이 구비되어 상기 날개노즐(143)의 상부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토션스프링(147)은 코일부가 힌지부(141)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일단은 중간슬리브(130)의 상단 또는 상기 힌지부(141)의 측면에 지지 또는 고정되고, 타단은 날개노즐(143)의 상부 외측에 지지 또는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토션스프링(147)의 타단은 항상 날개노즐(143)의 상부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날개노즐(143)의 내측은 하부가 중간슬리브(130)의 중공부와 동일하거나 다소 넓게 구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경사면(149)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면이 원통형상의 속노즐(185)의 외측에 접촉하는 경우에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날개노즐(143)의 내측 경사면이 속노즐(185)의 외측면과 많이 접촉할수록 표면장력이나 마찰력 등에 의하여 속노즐(185)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날개노즐(143)의 내측 경사면 또는 속노즐(185)의 외측면은 서로 간의 접촉면적을 작게 하면서 접촉하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면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폭이 좁은 리브를 복수개가 구비되도록 하거나 속노즐(185)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나란하게 복수개의 리브를 형성하더라도 속노즐(185)과 날개노즐(143)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접촉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속노즐의 외측을 다각형으로 하여 날개노즐(143)의 경사면(149)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노즐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외부에서 펌프를 통하여 노즐로 물이 공급되면 노즐케이싱(1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물이 유입된다. 이때, 물이 유입되는 초기에는 분수조절부(170)가 도 2a와 같이 하강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 관통홀(173)은 노즐케이싱(110)의 축관부(113)에 의하여 막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노즐케이싱(110)으로 유입된 물의 압력은 전부 부력캡(171)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부력캡(171)이 낮은 수압에도 쉽게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부력캡(171)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이동하여 도 2b와 같이 제1 관통홀(173)이 축관부(113)의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제1 관통홀(173)을 통하여 물이 유출되어 노즐케이싱(110)의 확관부(115)로 흘러가게 된다. 이때 부력캡(171)의 상승으로 분수조절부(170)가 상승하면 속노즐(185)이 날개노즐(143)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밀고 올라가게 되고, 속노즐(185)이 올라가면 날개노즐(143)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개방되게 된다.
제1 관통홀(173)을 통과하여 확관부(115)로 흘러들어간 물은 다시 제2 관통홀(177)을 통하여 수용캡(180)으로 흘러가고, 수용캡(180)의 물은 다시 속노즐(185)을 통과하여 상부캐이싱의 상부배수공(153)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게 된다. 이때, 제1 관통홀(173)과 제2 관통홀(177)을 통과하면서 뒤섞이던 물줄기는 속노즐(185)의 내부에 장착된 안내관(187)을 통과하면서 곧게 나아가서 외부로 분출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 분출되는 물줄기에는 기포가 섞이지 않아서 물줄기가 맑고 투명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완전히 차단되면 부력캡(171)에 가해지는 수압도 사라지기 때문에 분수조절부(170)가 자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분수조절부(170)와 함께 속노즐(185)이 하강하면 날개노즐(143)이 토션스프링(147)에 의하여 가운데로 가압되어 개방날개(140)가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노즐케이싱 113: 축관부
115: 확관부 130: 중간슬리브
133: 배출공 140: 개방날개
141: 힌지부 143: 날개노즐
147: 토션스프링 149: 경사면
150: 상부케이싱 153: 상부배수공
155: 어깨부 170: 분수조절부
171: 부력캡 173: 제1 관통홀
175: 통수판 177: 제2 관통홀
180: 수용캡 185: 속노즐
187: 안내관

Claims (6)

  1. 내부가 중공인 노즐케이싱;
    상기 노즐케이싱의 상부에 장착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상단에는 개방날개가 구비되어 있는 중간슬리브;
    상기 중간슬리브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단에는 상부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싱; 및
    외주면에 상부로 이동하면 개방되고 하부로 이동하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부력캡과, 상기 부력캡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통수판과, 상기 통수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용캡과, 상기 수용캡의 상부에 구비되는 속노즐로 구성되어 상기 노즐케이싱과 상기 중간슬리브의 내측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분수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수용 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케이싱은 하부에는 축관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확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부력캡의 외주면이 상기 축관부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결합되고, 상기 통수판의 제2 관통홀을 통하여 흐르는 물이 상기 수용캡의 내측으로 통해서 흐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노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캡의 외주면은 상기 확관부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통수판은 가장자리가 상기 수용캡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분수용 노즐.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속노즐의 내측에는, 원통형상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안내관이 더 구비되는 분수용 노즐.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개방날개는 한 쌍의 날개노즐로 구성되어, 각 날개노즐은 하단부의 양측이 중간슬리브의 상부에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 되고, 각 날개노즐의 상부는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내측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내측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되 경사면은 평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노즐.
  6.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중간슬리브의 측면에는 상기 개방날개의 외측으로 유출된 공기나 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분수용 노즐.
KR20140126045A 2014-09-22 2014-09-22 분수용 노즐 KR101494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6045A KR101494646B1 (ko) 2014-09-22 2014-09-22 분수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6045A KR101494646B1 (ko) 2014-09-22 2014-09-22 분수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646B1 true KR101494646B1 (ko) 2015-02-23

Family

ID=5259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6045A KR101494646B1 (ko) 2014-09-22 2014-09-22 분수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6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625B1 (ko) * 2015-10-21 2016-05-03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미로형 바닥분수
KR102607067B1 (ko) * 2022-09-27 2023-11-29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회전 분사 기능을 갖는 바닥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식 노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793Y1 (ko) 2001-11-05 2002-02-09 신건수 분수용 안전노즐
KR100752130B1 (ko) 2006-07-18 2007-08-29 플러스파운틴(주) 분수용 안전 노즐
KR20090067783A (ko) * 2007-12-21 2009-06-25 대도하이텍 주식회사 분수용 안전노즐
KR101048187B1 (ko) 2011-04-11 2011-07-08 장병천 분수용 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793Y1 (ko) 2001-11-05 2002-02-09 신건수 분수용 안전노즐
KR100752130B1 (ko) 2006-07-18 2007-08-29 플러스파운틴(주) 분수용 안전 노즐
KR20090067783A (ko) * 2007-12-21 2009-06-25 대도하이텍 주식회사 분수용 안전노즐
KR101048187B1 (ko) 2011-04-11 2011-07-08 장병천 분수용 노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625B1 (ko) * 2015-10-21 2016-05-03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미로형 바닥분수
KR102607067B1 (ko) * 2022-09-27 2023-11-29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회전 분사 기능을 갖는 바닥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식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4115B2 (en) Showerhead capable of discharging residual water
US8056836B2 (en) Swinging switching structure of outlet device
EP2459316B1 (en) Foam pump
CN103118797A (zh) 泡沫泵
KR101494646B1 (ko) 분수용 노즐
US20200096213A1 (en) Humidifier with a top water-feeding structure
CN109894289A (zh) 花洒
KR100632932B1 (ko)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JP2009515093A (ja) 改良された空気源を備える供給ユニット
CA2498110A1 (en) Trickle waterfall for spa
JP2009154064A (ja) 液滴塗布ディスペンサ
US20160221007A1 (en) Outlet device with hollow water curtain function
CN110856833A (zh) 淋浴喷头
US20200206761A1 (en) Water outlet mechanism and shower head comprising the water outlet mechanism
EP3088615B1 (en) Water-flow-adjustable water-saving bubbler
US10125894B2 (en) System for preventing reverse flow
KR101667213B1 (ko) 퇴수밸브를 구비한 분수장치
JP3167339U (ja) 泡発生用のポンプ構造
KR200385767Y1 (ko) 조명등이 구비된 분수노즐
KR100402596B1 (ko) 배수배출장치
JP5264536B2 (ja) 吐出器
KR100883760B1 (ko) 에어젯 공기방울 노즐을 갖는 바닥 분수대
KR20050030945A (ko) 조명등이 구비된 분수노즐
KR100891102B1 (ko) 유량조절카트리지
CN208757827U (zh) 一种喷头及喷雾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