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123B1 - 프록시 디바이스를 통한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간단한 연결 셋업 - Google Patents

프록시 디바이스를 통한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간단한 연결 셋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123B1
KR101494123B1 KR1020137027092A KR20137027092A KR101494123B1 KR 101494123 B1 KR101494123 B1 KR 101494123B1 KR 1020137027092 A KR1020137027092 A KR 1020137027092A KR 20137027092 A KR20137027092 A KR 20137027092A KR 101494123 B1 KR101494123 B1 KR 10149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ing
network
additional
proxy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027A (ko
Inventor
로렌스 더블유 3세 용지
시드니 비 슈럼
리차드 이 뉴만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37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33Interconnection of networks using encapsulation techniques, e.g. tunne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사용자가 다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개별적으로 연결 및/또는 구성할 필요를 경감시키는 단일의 간단한 동작으로 사용자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예를 들어,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 또는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선택적으로 갖는 디바이스들을 추가하는 것을 허용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대한 간단한 연결 셋업 기능이 제공된다. 간단한 연결 셋업 기능은 또한 사용자가 성공적인 간단한 연결 셋업을 위해 어느 디바이스들 상에서 간단한 연결 셋업 기능이 활성화되어야 하는지를 알 필요를 경감시킨다.

Description

프록시 디바이스를 통한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간단한 연결 셋업{HYBRID NETWORKING SIMPLE-CONNECT SETUP USING PROXY DEVICE}
본 실시형태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기술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솔루션들에 관한 것이다.
증가적으로, 고정 및 이동 디바이스들로 고품질 디지털 인코딩된 컨텐츠 (예를 들어, 데이터, 음성, 및 비디오) 를 분배하고 이들 디바이스들을 통해 컨텐츠 관련 서비스들의 풍부한 세트를 가능하게 하고 제어하는 희망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네트워크를 생성 및/또는 수정하는 사용자 친화적인 방법을 허용하면서 그러한 컨텐츠 관련 서비스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통합된 네트워크 솔루션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무선으로 및/또는 하드와이어 접속들을 통해 동작할 수도 있는 현존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들은 통상 여러 상이한 네트워킹 표준들 또는 프로토콜들에 기초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기술들 (예를 들어, Wi-Fi, HomePlug AV, 및 이더넷) 을 병합한다. 통상, 이들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의 구성, 동작 및 통신 프로토콜들은 상이한 그룹들에 의해 생성되고, 따라서 변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Wi-Fi, HomePlug AV, 및 이더넷 시스템들과 연관된 (예를 들어, 새로운 네트워크들을 생성하고, 디바이스들을 현존하는 네트워크에 추가하고,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발견하고, 다른 디바이스들/네트워크들로 브리징하는 등의) 네트워크 연결 셋업 절차들이 서로 상이할 뿐아니라, 이들 표준들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은 통상 브리징 디바이스들 및/또는 복잡한 연결 셋업 동작들의 사용 없이 이들 표준들의 다른 것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에 연결하는데 (및 따라서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다수의 상이한 네트워킹 기술들을 채용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셋업 및/또는 변경하는 단일의 간단한 절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브리드 네트워크가 사용자에게 완전히 투명한 방식으로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통합하는 단일의 심리스 (seamless) 네트워크로서 기능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상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기 전에, 디바이스는 먼저 네트워크에 조인할 필요가 있다.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Wi-Fi 및 HomePlug AV 와 같은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경우,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통상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의 대응하는 서브-네크워크에 조인하고, 차례로 다수의 네트워크 연결 셋업 동작들을 요구할 수도 있다.
Wi-Fi 및 HomePlug AV 네트워크 기술들 양자 모두는 네트워크들을 생성하고/생성하거나 현존하는 네트워크에 디바이스들을 추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들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서로의 범위 내에 있고 공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술을 공유하는 2 개의 디바이스들 상의 푸시버튼들을, 소정의 한정된 시간 주기 내에, 누름으로써 새로운 네트워크를 생성하고/생성하거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을 현존하는 네트워크에 추가하는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간단한 연결 셋업 프로토콜들은 통상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 사이에 변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로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을 조인하기 위해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을 사용하는 것은 통상 사용자가 디바이스들 상에서 다수의 및/또는 상이한 연결 셋업 동작들을 개시하는 것을 요구하며, 이것은 사용자에게 부적절한 짐을 부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다수의 네트워크 기술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디바이스들 및/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연결 및/또는 추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개별적으로 연결 및/또는 구성할 필요를 경감시키는 단일의 간단한 동작으로 사용자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형성하거나 현존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예를 들어,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 또는 표준들을 사용하는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을 추가하는 것을 허용하는 간단한 연결 셋업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사용자가 각각의 연결된 디바이스 및/또는 곧 연결될 디바이스가 어느 네트워크 기술들을 채용하는지에 대한 지식을 가질 것을 요구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때 디바이스를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및 그것의 대응하는 적용가능한 서브 네트워크들에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내에 병합된 Wi-Fi 및 HomePlug AV 네트워크들에) 자동적으로 연결하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푸시버튼 또는 다른 적당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 디바이스 상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의 현존하는 멤버는 추가 디바이스 및 조인 (join) 디바이스가 직접 통신할 수 없는 경우 프록시 디바이스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의 경우,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의 현존하는 멤버는 추가 디바이스와 조인 디바이스가 직접 통신할 수 없는 경우 추가 디바이스와 조인 디바이스 사이의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들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포워딩 디바이스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른 실시형태들의 경우, 포워딩 디바이스는 상이한 네크워크 기술들에 따라 동작하는 네크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일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들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제한으로써가 아닌 예시로써 도시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도 1a 는 본 실시형태들이 구현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의 블록도이다.
도 1b 는 본 실시형태들에 따른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을 갖는 디바이스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1c 는 도 1a 의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들 중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a 는 본 실시형태들에 따른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도 1a 의 네트워크에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2b 는 본 실시형태들에 따른 포워딩 (예를 들어, 인캡슐레이팅/디캡슐레이팅) 디바이스을 사용하여 도 1a 의 네트워크에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간단한 연결 프록시 기술을 사용하여 현존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PLC 디바이스을 추가하는 것과 연관된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4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간단한 연결 프록시 기술을 사용하여 현존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Wi-Fi 디바이스을 추가하는 것과 연관된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5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간단한 연결 프록시 기술을 사용하여 현존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Wi-Fi 디바이스 및 PLC 디바이스을 추가하는 것과 연관된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6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간단한 연결 프록시 기술을 사용하여 현존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파워라인 통신 (powerline communication: PLC) 및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디바이스을 추가하는 것과 연관된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7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간단한 연결 메시지 인캡슐레이션/디캡슐레이션 기술들을 사용하여 현존하는 네트워크에 Wi-Fi 디바이스을 추가하는 것과 연관된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동일한 기술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디바이스들, 상이한 기술들의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디바이스들, 및/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술들을 갖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보안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개시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의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 프로세스들의 예들과 같은 다수의 특정의 상세들이 진술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그리고 설명의 목적으로, 본 실시형태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의 명칭들이 진술된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이들 특정의 상세들이 본 실시형태들을 실시하는데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잘 알려진 회로들 및 디바이스들은 본 개시를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커플링된" 은 직접 연결되거나 하나 이상의 개재하는 컴포넌트들 또는 회로들을 통해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기술된 여러 버스들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들의 임의의 것은 다른 신호들과 시간 멀티플렉싱되고 하나 이상의 공통 버스들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용어 "버스" 는 유선 및 무선 통신 기술들 양자 모두를 포함하고, 통신 매체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수에 의존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회로 엘리먼트들 또는 소프트웨어 블록들 사이의 상호연결은 버스들로서 또는 단일의 신호 라인들로서 도시될 수도 있다. 버스들 각각은 대안적으로 단일의 신호 라인일 수도 있고, 단일의 신호 라인들 각각은 대안적으로 버스들일 수도 있으며, 단일의 라인 또는 버스는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무수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메커니즘들의 임의의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들은 여기에 기술된 특정의 예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모든 실시형태들을 그의 범위 내에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Wi-Fi 디바이스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를 통해 다른 Wi-Fi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용어들 Wi-Fi 및 WLAN 은 IEEE 802 표준 패밀리, 블루투스, 하이퍼랜 (유럽에서 처음에 사용된, IEEE 802.11 표준에 견줄만한 무선 표준들의 세트), 및 상대적으로 짧은 라디오 전파 거리를 갖는 다른 기술들에 의해 통제되는 통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용어들 "Wi-Fi 디바이스" 및 "WLAN 디바이스" 는 본 개시에서 상호교환가능하고, 모두가 IEEE 802 표준 패밀리, 블루투스, 하이퍼랜 및 상대적으로 짧은 라디오 전파 거리를 갖는 다른 기술들에 의해 통제되는 통신들을 허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을 지칭한다.
또, 용어 HomePlug AV 는 TV, 게임, 인터넷 액세스의 가정내 배포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 뿐아니라 전기 시스템들 및 가전제품들 사이의 가정내 통신들 및 스마트 전력 미터들을 위한 (예를 들어, HomePlug 표준 패밀리 및 IEEE 1901 표준 패밀리에 기술된 바와 같은) HomePlug Powerline Alliance 에 의해 개발된 표준들의 컬렉션 및 IEEE 1901 표준들 그룹에 의해 개발된 표준들의 컬렉션을 지칭한다. 파워라인 통신 (Powerline Communications: PLC) 표준들로서도 여기에서 지칭될 수도 있는 Plug AV (HPAV) 표준들은 현존하는 가정 전기 배선이 여러 가정내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고/용이하게 하거나 인터넷에 연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용어 "HomePlug AV 디바이스" 및 "PLC 디바이스" 는 본 개시에서 상호교환가능하며, 양자 모두는 PLC 표준들 및/또는 여러 HomePlug 표준들 (예를 들어, HomePlug 1.0, HomePlug AV, HomePlug AV2 등) 에 의해 통제되는 통신들을 허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을 지칭한다.
본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개별적으로 연결 및/또는 구성할 필요를 경감시키는 단일의, 간단한 동작으로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예를 들어,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 또는 표준들을 사용하는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을 추가하는 것을 허용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들을 위한 단일의 연결 셋업 기능이 제공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사용자가 각각의 연결된 디바이스 및/또는 곧 연결될 디바이스가 어느 네트워크 기술들을 채용하는지에 대한 지식을 가질 것을 요구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때 디바이스를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및 그것의 대응하는 적용가능한 서브 네트워크들에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내에 병합된 Wi-Fi 및 HomePlug AV 네트워크들에) 자동적으로 연결하는 단일의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푸시버튼 또는 다른 적당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 디바이스 상에 제공된다.
여기에서의 토의 목적으로, 용어 "푸시버튼" 은 활성화될 때 연관된 디바이스로 하여금 네트워크 연결 셋업 동작들을 개시하게 하는 임의의 버튼, 스위치, 터치, 스와이프 (swipe), 또는 다른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도 있다. 또,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조인 디바이스" 는 현재 네트워크의 멤버가 아니지만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조인하기 위해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들을 개시하는 것을 허용하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푸시버튼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조인 상태" 로 진입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용어 "추가 디바이스" 는 현재 네트워크의 멤버이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의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어, 조인 디바이스) 의 추가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허용하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푸시버튼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추가 상태" 로 진입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그것이 이미 네크워크의 멤버이거나, 그것이 이전에 넌-디폴트 네트워크의 일부였고 리셋되지 않은 경우 추가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고, 디바이스는 그것이 결코 넌-디폴트 네트워크가 아니었고 리셋된 경우 조인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사용자는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거나 직접 통신할 수 없을 수도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 각각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함으로써 간단한 연결 셋업 기능을 사용하여 새로운 네크워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 각각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가 이미 멤버인 현존하는 네트워크에 제 1 디바이스를 조인할 수 있어,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이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고/통신하거나 (예를 들어 그들이 서로의 범위 내에 있지 않기 때문에) 직접 통신할 수 없을지라도 제 2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의 제 1 디바이스의 추가를 관리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실시형태들은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들을 지원하거나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네트워크 기술에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들에 따라 구성된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때, 간단한 연결 셋업을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에서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들을 개시할 수 있는 푸시버튼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Wi-Fi 가능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스마트폰들, 랩탑들, 태블릿들 등) 의 경우, 푸시버튼의 활성화는 ("Wi-Fi Simple Config" 로도 알려져 있는) "Wi-Fi Protected Setup" 을 개시할 수도 있는 반면, HomePlug AV 호환성 디바이스들의 경우, 푸시버튼의 활성화는 "Simple Connect" 동작을 개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들은 또한 MoCA (Multimedia over Coax Alliance) 네트워킹 표준들 및 다른 네트워킹 표준들을 지원한다.
본 실시형태들의 이점들은 상이한 네트워킹 기술들을 통한 간단한 연결 셋업 프로토콜들을 단일화하고/단일화하거나 본 실시형태들에 따른 셋업 프로토콜들이 구비되지 않은 레거시 디바이스들과의 후방 호환성 (backwards compatibility) 을 제공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 기술된 본 실시형태들은 예를 들어 "간단한 연결 프록시 디바이스" 기법들 및/또는 "간단한 연결 메시지 인캡슐레이션/디캡슐레이션" 기법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기법들을 사용하여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간단한 연결 프록시 디바이스 기법의 경우, 현재 네크워크의 멤버들이고, 조인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조인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은 프록시 디바이스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원래의 추가 디바이스에 의해 프록시 디바이스로서 지정된 후, 프록시 디바이스는 조인 동작의 제어를 맡고, 그 후 조인 디바이스를 위해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을 완료한다. 간단한 연결 메시지 인캡슐레이션/디캡슐레이션 기법의 경우,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포워딩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추가 디바이스가 WLAN 디바이스이고 조인 디바이스가 PLC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없는 추가 디바이스와 조인 디바이스 사이의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들의 교환을 용이하게 한다. 포워딩 디바이스는 프록시 디바이스로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추가 디바이스와 조인 디바이스 사이에서 메시지들을 포워딩함으로써 추가 디바이스 및 조인 디바이스 그들 자신이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을 완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들 "포워딩 디바이스" 및 "릴레이 디바이스" 양자 모두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의 추가 디바이스와 조인 디바이스 사이에서 메시지들을 포워드하는 디바이스들을 지칭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포워딩 디바이스는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에 따라 동작하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추가 디바이스와 조인 디바이스 사이에 포워딩될 메시지들을 인캡슐레이트 및/또는 디캡슐레이트하는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하며; 릴레이 디바이스는 단일의 네트워크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추가 디바이스와 조인 디바이스 사이에서 메시지들을 릴레이하여, 추가 및 조인 디바이스들이 메시지 인캡슐레이션 및/또는 디캡슐레이션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포워딩 디바이스는 메시지 인캡슐레이션 및 디캡슐레이션을 구현할 수도 있는 브리징 디바이스 또는 넌-브리징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이하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들은 종래의 기법들보다 더 간단하고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i-Fi 디바이스 및 하이브리드 Wi-Fi/PLC 디바이스 양자 모두 상에서 간단한 연결 푸시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Wi-Fi 네트워크가 그 두 디바이스들 사이에 현성될 수도 있다. 그 후, 푸시버튼들의 원래의 활성화가 타임 아웃된 후,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PLC 디바이스를 추가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Wi-Fi 디바이스 및 PLC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들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그것에 대한 응답으로, 하이브리드 Wi-Fi/PLC 디바이스 상의 PLC 인터페이스 및 PLC 디바이스 상의 PLC 인터페이스는 본 실시형태들에 따라 PLC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Wi-Fi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하는 것이 PLC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조인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종래의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들과 대조적이다.
본 실시형태들에 따른 간단한 연결 프록시 디바이스 기법을 사용하여 현존하는 네트워크에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예시적인 동작이 이하에 도 1a 내지 도 1c 의 예시적인 블록도들 및 도 2a 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a 는 본 실시형태들이 구현될 수도 있는 네트워크 (100) 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100) 는 조인 디바이스 (J1), 추가 디바이스 (A1), 및 2 개의 이웃 디바이스들 (N1 및 N2) 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b 는 조인 디바이스 (J1), 추가 디바이스 (A1), 및 이웃 디바이스들 (N1 및 N2) 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110) 를 도시한다.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이동 디바이스, 고정 디바이스, 홈 가전제품, 소비자 전자 제품, 또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는 디바이스 (110) 는 본 실시형태들에 따른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들을 개시하는데 사용될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수도 있는 푸시버튼 (112) 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a 의 디바이스들 각각은 예를 들어 Wi-Fi 프로토콜들, HPAV 프로토콜들, MoCA 프로토콜들 및/또는 이더넷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는 셀 폰, PDA,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 모뎀, 라우터, PLC 네트워크 어댑터, 인터넷 프로토콜 (IP) 텔레비젼,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Wi-Fi 인터페이스들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100) 의 (간단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WLAN 서브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통신할 수도 있고,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PLC 인터페이스들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100) 의 (간단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PLC 서브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는 등이다.
도 1c 는 도 1a 의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인 디바이스 (150) 를 도시한다. 디바이스 (150) 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60), PL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70), 프로세서 (180), 및 메모리 (190) 를 포함한다.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60) 는 Wi-Fi (즉, WLAN)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100) 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간단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수신기/송신기 회로를 포함한다. PL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70) 는 HPAV 및/또는 다른 PLC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100) 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간단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수신기/송신기 회로를 포함한다.
메모리 (190) 는 여러 디바이스 정보 (예를 들어, 네트워크 (100) 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들과 보안 링크들을 확립하고, 네트워크 (100) 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들을 인증하며, 네트워크 (100) 에 디바이스 (150) 의 조인을 용이하게 하고/하거나 네트워크 (100) 에 다른 디바이스들의 조인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MAC 어드레스들, 프로토콜 타입들, 패스워드들, 패스프레이즈들, 키들 및/또는 PIN 들) 을 저장하는 디바이스 ID 테이블 (192) 를 포함한다.
메모리 (190) 는 또한 다음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를 들어,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등) 를 포함한다:
Figure 112013092707306-pct00001
본 실시형태들에 따라 프록시 메시지들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프록시 메시지 소프트웨어 (SW) 모듈 (194); 및
Figure 112013092707306-pct00002
인캡슐레이션 및/또는 디캡슐레이션 기법들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메시지들의 포워딩을 용이하게 하는 인캡슐레이션/디캡슐레이션 소프트웨어 (SW) 모듈 (196).
각 소프트웨어 모듈은, 프로세서 (180) 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 (150) 로 하여금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메모리 (190) 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도 2a 및 도 2b 에 대해 이하에 기술되는 방법들의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60), PL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70) 및 메모리 (190) 에 커플링되는 프로세서 (180) 는 디바이스 (150) 내에 저장된 (예를 들어, 메모리 (190) 내의)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의 스크립트들 또는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80) 는 도 2a 에 대해 이하에 기술되는 방식으로 프록시 메시지들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프록시 메시지 소프트웨어 (SW) 모듈 (194) 을 실행할 수 있고, 도 2b 에 대해 이하에 기술되는 방식으로 인캡슐레이션 및/또는 디캡슐레이션 기법들을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메시지들의 포워딩을 용이하게 하는 인캡슐레이션/디캡슐레이션 소프트웨어 (SW) 모듈 (196) 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논의되는 Wi-Fi 디바이스들 및 PLC 디바이스들의 실시형태들은 네크워크 인터페이스들의 수 및/또는 타입을 제외하고, 도 1c 의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150) 와 유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i-Fi 디바이스들의 실시형태들은 PL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70) 를 제외하고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150) 의 모든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반면, PLC 디바이스들의 실시형태들은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60) 를 제외하고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150) 의 모든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여기에 기술된 추가 및/또는 조인 디바이스들의 하나 이상은 프록시 메시지 SW 모듈 (194) 또는 인캡슐레이션/디캡슐레이션 SW 모듈 (196) 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들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들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이 이제 도 2a 의 예시적인 흐름도에 대해 기술된다. 도 1a 내지 도 1b 를 또한 참조하여, 사용자는 우선 조인 디바이스 (J1) 로 하여금 조인 상태에 진입하게 하기 위해 조인 디바이스 (J1) 상의 푸시버튼 (112) 을 활성화한다 (201). 사용자는 또한 추가 디바이스 (A1) 로 하여금 추가 상태에 진입하게 하기 위해 추가 디바이스 (A1) 상의 푸시버튼 (112) 을 (소정의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동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화한다 (202). 사용자는 대신에 추가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하고, 그 후 조인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하거나, 추가 및 조인 디바이스들 상의 푸시버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계 (201 및 202) 가 도 2a 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그들의 순서는 역전되거나 대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는 디바이스 제조자, 표준체 (standards body), 벤더,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될 수도 있다.
조인 상태에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조인 디바이스 (J1) 는 그것이 네트워크 (100) 의 멤버들인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전송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팅) 함으로써 네트워크 (100) 에 조인하기를 추구한다는 것을 광고한다 (203).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추가 디바이스가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Wi-Fi 및 PLC) 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인 경우, 추가 디바이스 (A1) 는 각각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대한 (예를 들어, Wi-Fi 및 PLC 에 대한) 개별적인 연결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이미 네트워크 (100) 의 멤버인 추가 디바이스 (A1) 는 그것이 조인 디바이스 (J1) 로부터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204).
205 에서 테스트될 때, 추가 디바이스 (A1) 가 조인 디바이스 (J1) 로부터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추가 디바이스 (A1) 는 조인 디바이스 (J1) 가 네트워크 (100) 에 조인하는 것을 허용하는 간단한 연결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206). 역으로, (예를 들어, 조인 디바이스 (J1) 가 추가 디바이스 (A1) 의 무선 범위 내에 있지 않기 때문에 및/또는 추가 및 조인 디바이스들이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때문에) 추가 디바이스 (A1) 가 조인 디바이스 (J1) 와 직접 통신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추가 디바이스 (A1) 가 간단한 연결 메지시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추가 디바이스 (A1) 는 (또한 네트워크 (100) 의 멤버들인) 이웃 디바이스들 (N1 및 N2) 로 프록시 연결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207). 이것에 응답하여, 추가 디바이스 (A1) 로부터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 각각의 이웃 디바이스 (N1/N2) 는 추가 상태로 진입하고, 그 후 그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것 같이 동작한다 (208). 따라서, 본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일단 이웃 디바이스 (N1/N2) 가 원래의 추가 디바이스 (A1) 로부터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추가 상태로 진입하면, 이웃 디바이스 (N1/N2) 는 네트워크 (100) 로의 조인 디바이스 (J1) 의 추가를 용이하게 하는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로서 작용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추가 상태로 진입한 직후, 원래의 추가 디바이스 (A1) 는 그것이 조인 디바이스 (J1) 로부터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먼저 결정하지 않고 이웃 디바이스들 (N1/N2) 로 프록시 연결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원래의 추가 디바이스 (A1) 가 (예를 들어, 이웃 디바이스(들) (N1 및/또는 N2) 이 이미 추가 상태로 진입했고 따라서 이미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들로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조인 디바이스 (J1) 로부터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를 궁극적으로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조인 동작을 완료할 시간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2a 를 다시 참조하면, 추가 상태로 진입한 각 이웃 디바이스 (N1/N2) 는 그것이 조인 디바이스 (J1) 와 직접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209). 210 에서 테스트되는 바와 같이, 그렇다면, 이웃 디바이스 (N1/N2) 는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로서 작용하고 네트워크 (100) 에 조인 디바이스 (J1) 를 조인하기 위한 간단한 연결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211).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211 에서 조인 디바이스 (J1) 가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에 의해 현존하는 네트워크 (100) 에 성공적으로 추가되는 경우,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는 원래의 추가 디바이스 (A1) 에게 네트워크 (100) 에 조인 디바이스 (J1) 를 조인하기 위한 간단한 연결 동작이 완료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212). 이러한 능력은 조인 디바이스 (J1) 가 네트워크 (100) 에 성공적으로 조인했을 때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데, 그리고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불량 (rogue)"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조인했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유용할 수도 있다.
역으로, 210 에서 테스트되는 바와 같이, 이웃 디바이스 (N1/N2) 가 조인 디바이스 (J1) 와 직접 통신할 수 없는 경우, 이웃 디바이스 (N1/N2) 는 (도 1a 에는 간단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다른 이웃 디바이스들에게, 그러한 다른 이웃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추가 상태로 진입하게 하는 프록시 연결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213), 그 후 셋업 동작이 208 에서 계속된다. 또,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추가 상태로 진입한 직후에, 각각의 이웃 디바이스 (N1/N2) 는 그것이 조인 디바이스 (J1) 와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먼저 결정하지 않고 다른 이웃 디바이스들로 프록시 연결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원래의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 (N1/N2) 가 조인 디바이스 (J1) 로부터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를 궁극적으로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조인 동작을 완료할 시간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의 경우, 이웃 디바이스 (N1/N2) 는 그것이 조인 디바이스 (J1) 와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네트워크의 모든 멤버들에게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또,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네트워크에 조인한 디바이스들의 수가 (예를 들어, 이전에 네트워크의 멤버들이 아니지만 그들의 푸시버튼들이 활성화되었던 디바이스들의 수에 기초하여) 예상보다 큰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추가되도록 의도되지 않은) 비인가 "불량"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조인했을 수도 있다고 경보를 받을 수 있다. 이것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활성화 해제하고 재확립하기 위해) 개선적인 액션들을 취하도록 명령받을 수도 있다.
간단한 연결 메시지 인캡슐레이션/디캡슐레이션 기법의 경우, 추가 디바이스는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연결 동작을 완료한다. 조인 디바이스 및 추가 디바이스가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경우, 조인 디바이스는 그의 네트워크 기술에 "본래의 (native)" 간단한 연결 메시지들을 생성하고, 그 간단한 연결 메시지들을 추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기술에 본래의 (예를 들어, 추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기술과 호환가능한) 포맷으로 인캡슐레이트할 수 있다. 추가 디바이스 및 조인 디바이스 양자 모두의 네트워트 기술들과 호환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포워딩 디바이스는 조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인캡슐레이트된 간단한 연결 메시지들을 디캡슐레이트하고, 그 후 결과의 "본래의" 간단한 메시지들을 추가 디바이스로 포워딩하는 것에 의해 추가 및 조인 디바이스들 사이의 프로토콜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포워딩 디바이스는 또한 추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응답 메시지들을 인캡슐레이트하고, 그 후 인캡슐레이트된 응답 메시지들을 조인 디바이스로 포워드할 수도 있고, 그 조인 디바이스는 차례로 응답 메시지들을 디캡슐레이트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포워딩 디바이스가 추가 디바이스 및 조인 디바이스 양자 모두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하나 이상의 브리징 디바이스(들) 이 조인 및 추가 디바이스들 사이에 메시지들의 포워딩을 완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들에 따른 "간단한 연결 메시지 인캡슐레이션/디캡슐레이션" 기법들과 함께, 동일한 서브 네트워크 상에 있지 않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상이한 네트워크 프로토콜들 및/또는 표준들에 따라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들),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다른 분리된 PLC 네트워크에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브리징되는 하우스 내의 PLC 네트워크가 발전기에 연결된 와이어들 상에서 운용되는 경우) 동일한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하지만 하나의 서브네트워크의 디바이스들이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없는 2 개의 서브네트워크들에서의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들 사이에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들을 전달하기 위해 인캡슐레이션이 사용될 수도 있다. 간단한 연결 셋업 프로토콜 협상이 실행될 수 있도록 간단한 연결 메시지들이 포워딩 디바이스들을 통해 포워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인캡슐레이션이 수행된다. 목표 디바이스 또는 포워딩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는 재송신 또는 프로세싱 이전에 인캡슐레이트된 메시지들을 디캡슐레이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IEEE 1905.1 추상화 계층 메시지 컨테이너 포맷 프레임이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들을 인캡슐레이트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TLV (Type-Length-Valve) 인코딩이 TLV 값 필드가 인캡슐레이션 메시지를 포함한다는 것, 및 인캡슐레이트된 메시지의 네트워크 기술 (예를 들어, HomePlug AV, Wi-Fi, MoCA 등) 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지원되는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고유의 타입의 필드 값이 존재한다. 본 실시형태들에 따라 HomePlug AV 프레임을 인캡슐레이트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의 인캡슐레이션 프레임 포맷이 표 1 에서 이하에 도시된다.
DA
(6 옥텟들)
SA
(6 옥텟들)
1905.1
이더타입
(2 옥텟들)
메시지 컨테이너 헤더
(8 옥텟들)
타입 필드 [HPAV encap. 프레임]
(1 옥텟)
길이 필드 [HPAV MAC 프레임 길이]
(2 옥텟들)
HPAV
MAC
프레임
(가변)
타입 필드 [=0=End of Message]
(1 옥텟)
길이 필드 = 0
(2 옥텟들)
다른 실시형태들의 경우, 공통 TLV 타입은 모든 인캡슐레이트된 메시지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고, 프레임의 포맷은 검사에 의해 또는 단순히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이 예상되는 포맷을 가정하는 메시지를 파싱하기를 시도하는 "시행착오" 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이더타입 (EtherType) 인코딩 또는 다른 적절한 프로토콜 식별자들은 프레임이 인캡슐레이트된 메지시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인캡슐레이트된 프레임들의 포맷은 네트워크 기술에 특정적이고,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알려져 있다. 통상, 포맷은 네트워크 기술 "MAC 프레임" 포맷과 일치하며, PHY 계층 헤더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에 수반되는 2 개의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디바이스들은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들의 인캡슐레이션 및 디캡슐레이션을 수행한다. 본 실시형태들에 따른 인캡슐레이션 기법들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이 이제 도 2b 의 예시적인 흐름도에 대해 기술된다. 도 1 및 도 1b 를 또한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조인 디바이스 (J1) 로 하여금 조인 상태로 진입하게 하기 위해 조인 디바이스 (J1) 상의 푸시버튼 (112) 을 활성화한다 (251). 사용자는 또한 추가 디바이스 (A1) 로 하여금 추가 상태로 진입하게 하기 위해 추가 디바이스 (A1) 상의 푸시버튼 (112) 을 (소정의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동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화한다 (252). 사용자는 대신에 추가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하고, 그 후 조인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하거나, 추가 및 조인 디바이스들 상의 푸시버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계들 (251 및 252) 이 도 2b 에서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들의 순서는 역전되거나, 대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는 디바이스 제조자, 표준체, 벤더,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될 수도 있다.
조인 상태로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조인 디바이스 (J1) 는 그것이 네트워크 (100) 의 멤버들인 디바이스들로 "본래의 (native)" 넌-인캡슐레이트된 간단한 연결 프로토콜 교환 개시 메시지들을 먼저 전송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팅) 함으로써 네트워크 (100) 에 조인하기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광고한다 (253). 254 에서 테스트되는 바와 같이, 조인 디바이스로서 동일한 서브 네트워크에 어태치된 (그리고 그의 푸시버튼이 활성화되게 한) 멤버 디바이스 (예를 들어, 추가 디바이스 (A1)) 가 "본래의" 넌-인캡슐레이트된 간단한 연결 메시지에 응답하는 경우, 간단한 연결 셋업 프로토콜 교환은 인캡슐레이션 없이 그리고 포워딩 디바이스들을 통한 메시지들의 포워딩 없이 완료될 수도 있다 (255).
역으로, (최근에 그의 푸시버튼이 활성화되게 한 추가 디바이스 (A1) 가 조인 디바이스 (J1) 로서 동일한 서브네트워크 상에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는) 254 에서 테스트된 바와 같이, 응답이 조인 디바이스 (J1) 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조인 디바이스 (J1) 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각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인캡슐레이트된 간단한 셋업 메시지를 생성 및 송신한다 (256). 이들 메시지들은 "브로드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의 경우, 조인 디바이스 (J1) 는 넌-인캡슐레이트된 및 인캡슐레이트된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들 양자 모두를 동시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조인 디바이스로서 동일한 서브네트워크 상에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추가 디바이스로서 동일한 서브네트워크 상에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웃 디바이스들 (N1-N2) 중 하나 이상일 수도 있는 포워딩 디바이스는 추가 디바이스 (A1) 로 인캡슐레이트된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들을 포워드한다 (257). 브로드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전송된 간단한 연결 셋업 개시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100) 내의 모든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로 전달된다.
다음에, 추가 디바이스 (A1) 는 인캡슐레이트된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를 디캡슐레이트하고 메시지를 파싱하기를 시도한다 (258). 259 에서 테스트되는 바와 같이, 추가 디바이스 (A1) 가 간단한 연결 셋업 프로토콜 개시 메시지를 파싱할 수 있는 경우, 추가 디바이스 (A1) 는 인캡슐레이션 프레임을 사용하여, 간단한 연결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응답 메시지를 생성 및 송신함으로써 응답한다 (260).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이러한 메시지는 간단한 연결 셋업을 개시한 디바이스의 유니캐스트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이후에, 조인 디바이스 (J1) 및 추가 디바이스 (A1) 는 간단한 연결 셋업이 완료할 때까지 응답 메시지와 일관된 네트워크-기술-특정 프로토콜 및 프레임 포맷들을 사용하여 포워딩 디바이스를 통해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것을 계속한다 (261).
역으로, 259 에서 테스트되는 바와 같이, 추가 디바이스 (A1) 가 간단한 연결 셋업 프로토콜 개시 메시지를 파싱할 수 없는 경우, 포워딩 디바이스는 인캡슐레이트된 메시지를 디캡슐레이트하고 결과의 본래의 메시지를 조인 디바이스 (J1) 로 포워드할 수도 있다 (262). 이후에, 포워딩 디바이스는 추가 디바이스 (A1) 와 조인 디바이스 (J1) 사이의 메시지들의 포워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추가 디바이스 (A1) 와 조인 디바이스 (J1) 사이에 교환되는 메시지들을 인캡슐레이트 및 디캡슐레이트하기를 계속할 수도 있고 (263), 이것은 차례로 조인 디바이스 (J1) 와 추가 디바이스 (A1) 사이의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의 완료를 허용한다 (261). 이러한 예의 경우, 추가 디바이스 (A1) 및 조인 디바이스 (J1) 는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을 완료하며, 포워딩 디바이스는 단지 추가 디바이스 (A1) 와 조인 디바이스 (J1) 사이의 메시지들의 교환을 용이하게 한다.
개시 디바이스 (예를 들어, 조인 디바이스) 및 응답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추가 디바이스 및/또는 임의의 포워딩 디바이스들) 양자 모두가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구현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리고 간단한 연결 푸시버튼이 2 보다 많은 디바이스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개시 메시지의 다수의 카피들이 응답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고, 따라서 다수의 응답들이 개시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 및 수신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개시 디바이스는 단지 제 1 응답 메시지에만 응답하고, 그 후 모든 후속하는 응답들을 무시 및/또는 폐기할 수도 있다.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이롭게도 추가적인 소프트웨어 또는 디바이스 업데이트들 없이 포워딩 디바이스가 메시지 포워딩 동작들을 구현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예를 들어, 추가 디바이스 및/또는 조인 디바이스가 메시지들을 인캡슐레이트 및/또는 디캡슐레이트하는 능력을 갖지 않는 경우) 그것은 레거시 디바이스들과 상호동작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형태들의 경우, 포워딩 디바이스들은 메시지들을 재송신하기 전에 인캡슐레이트된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들을 디캡슐레이트하고, 보통의 메시지 라우팅에 따라 넌-인캡슐레이트된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들을 인캡슐레이트하며, 동일한 네트워크 기술 타입의 서브네트워크들 사이에 넌-인캡슐레이트된 메시지들을 인캡슐레이션 또는 디캡슐레이션 없이 포워드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른 실시형태들의 경우, 디캡슐레이션은 목표 디바이스가 송신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서브네트워크에 어태치되고 서브 네트워크가 인캡슐레이션 메시지에서 나타낸 네트워크 기술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인캡슐레이트된 메시지는 보통의 프레임 라우팅에 따라 포워드되거나 폐기된다. 브로드캐스트 인캡슐레이션 간단한 연결 셋업 매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인캡슐레이트된 메시지는 임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와 동일하게 포워드된다. 또, 네트워크 기술이 인캡슐레이션 메시지에서 나타낸 네트워크 기술과 일치하는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경우, 디캡슐레이트된 메시지의 카피가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밖으로 송신된다. 포워딩 디바이스들이 디캡슐레이트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간단한 연결 셋업 프로토콜에 의해 요구될 때 메시지의 발원자 (originator) 가 암호화, 논스 (nonce) 생성 등을 수행하기 때문에, 암호화 인코딩이 수행되지 않는다.
또, 상술된 2 개의 실시형태들은 단일의 연결 셋업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디바이스들을 조인하는데 성공을 위한 최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간단히 말하면, 포워딩 디바이스들은 인캡슐레이트된 간단한 셋업 메시지들을 포워드하고, 목적지 디바이스로 포워드될 필요가 있는 수신된 간단한 셋업 메시지들을 인캡슐레이트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목표 디바이스의 서브네트워크에 어태치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밖으로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디캡슐레이트한다.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디바이스들은 인캡슐레이트된 그리고 디캡슐레이트된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들을 수신, 디코딩, 및 그 메시지들에 응답하고, 의도된 수신인들의 네트워크에서의 로케이션에 따라 인캡슐레이트된 그리고 넌-인캡슐레이트된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는, 간단한 연결 프로토콜을 완료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서 이용가능한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조인 및 추가 디바이스들이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구현하는 레거시 디바이스들인 때에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이 완료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경우,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디바이스는 조인 레거시 디바이스로부터 조인 광고 요청들을 관찰한다. 소정의 시간 주기 후에 응답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디바이스는 (관찰된 요청에 대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제외하고) 그것이 지원하는 간단한 연결 프로토콜들에서 조인 광고 요청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그 후, 하이브리드 디바이스가 그의 조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그것은 "추가" 상태에 진입하고 제 1 디바이스와 간단 연결 셋업 프로토콜을 완료한다.
포워딩 디바이스 기법을 통한 간단한 연결 메시지 인캡슐레이션의 하나의 이점은 포워딩 디바이스가 간단한 연결 프록시 기법에서 사용되는 프록시 디바이스 보다 덜 복잡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포워딩 디바이스 기법에서 사용되는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들이 다수의 간단한 연결 프로토콜들 (예를 들어, 지원되는 각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수행되는 하나의 간단한 연결 프로토콜) 을 수행할 수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프록시 기법에서의 디바이스들 보다 더 복잡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여러 예시적인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들이 이하에 도 3 내지 도 7 에 대해 설명되며, 여기서 거리는 수평 방향으로 묘사되고, 시간은 수직 방향으로 묘사된다 (시간은 아래 방향으로 증가함).
도 3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라 간단한 연결 프록시 기법을 사용하여 현존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300) 에 PL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PLC 디바이스를 추가하는 것과 연관된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네트워크 (300) 는 각각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2 개의 Wi-Fi 디바이스들 (WL2 및 WL3), PL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PLC 디바이스 (PL2), 및 PLC 및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양자 모두를 갖는 PLC/Wi-Fi 디바이스 (PL1/WL1) 을 포함하여, 다수의 멤버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PLC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들 (PL1-PL3) 은 PLC 서브 네트워크 (301) 을 통해 서로 커플링된다.
도 3 의 예의 겨우, PLC 디바이스 (PL3) 는 조인 디비이스이고, Wi-Fi 디바이스 (WL3) 는 추가 디바이스이며, PLC/Wi-Fi 디바이스 (PL1/WL1) 는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로서 작용한다. 도 1b 및 도 2a 의 예시적인 흐름도 (200) 을 또한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PLC 조인 디바이스 (PL3) 상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을 누르며, PLC 조인 디바이스 (PL3) 는 이에 응답하여 조인 상태에 진입한다 (201). 사용자는 또한 Wi-Fi 디바이스 (WL3) 상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을 (동시적으로 또는 소정의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누루며, Wi-Fi 디바이스 (WL3) 는 이것에 응답하여 추가 상태로 진입한다 (202).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대신에 추가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하고, 그 후 조인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하거나, 추가 및 조인 디바이스들 상의 푸시버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도 있다.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는 디바이스 제조자, 표준체, 벤더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될 수도 있다.
조인 상태에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조인 디바이스 (PL3) 는 그것이 네트워크 (300) 의 멤버들인 모든 디바이스들에게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네트워크 (300) 에 조인하기를 추구하고 있다고 모든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광고한다 (203). 더욱 상세하게는, 도 3 의 예의 경우, 조인 디바이스 (PL3) 의 (간단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PLC 인터페이스가 그것이 네트워크 (300) 의 PLC 서브네트워크 (301) 에 조인하기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간단한 연결 메시지들을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예의 경우, 추가 상태로 진입 시, Wi-Fi 추가 디바이스 (WL3) 는 PLC 조인 디바이스 (PL3) 로부터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따라서 그것이 조인 디바이스 (PL3) 와 직접 통신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것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디바이스 (WL3) 는 또한 동일한 서브네트워크의 멤버들인 이웃 디바이스들에게 간단한 프록시 연결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207). 이러한 예의 경우, 이웃 PLC/Wi-Fi 디바이스 (PL1/WL1) 는 네트워크 (300) 의 WLAN 서브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원래의 Wi-Fi 추가 디바이스 (WL3) 와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이웃 디바이스 (PL1/WL1) 는 추가 상태에 진입하고, 그 후 그것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이 활성화된 것처럼 거동한다 (208). PLC 서브네트워크를 통해 조인 디바이스 (PL3) 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이웃 디바이스 (PL1/WL1) 는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로서 작용하고, 네트워크 (300) 의 PLC 서브네트워크 (301) 에 조인 디바이스 (PL3) 를 연결하기 위한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을 수행한다 (211). 그 후,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 (PL1/WL1) 는 원래의 추가 디바이스 (WL3) 에게 조인 디바이스 (PL3) 가 PLC 서브네트워크에 조인했다는 것을 알린다 (212).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프록시 디바이스 (PL1/WL1) 는 또한 그의 이웃 디바이스들에게 그들로 하여금 조인 상태에 진입하게 하는 프록시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또,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 (PL1/WL1) 는 조인 디바이스 (PL3) 에게 NMPP (Network Master Pass Phrase) 정보를 패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마스터 패스프레이즈는 사용자가 단일의 마스터 패스프레이즈를 사용하여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확실하게 형성 및/또는 확장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일의 통합된 인증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여러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 또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을 위한 패스워드 기반 인증 및 셋업 동작들을 통합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들을 생성 및/또는 변경할 때 사용자의 경험을 이롭게 개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디바이스들로 다수의 상이한 기술 특정 패스워드들을 입력하는 것을 요구하기 보다는, 단일의 마스터 패스프레이즈가 심리스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에 따라 동작하는 여러 디바이스들을 인증 및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라 단일 연결 프록시 기법을 사용하여 현존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400) 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Wi-Fi 디바이스를 추가하는 것과 연관된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네트워크 (400) 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Wi-Fi 디바이스 (WL3), 각각 PL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2 개의 PLC 디바이스들 (PL2 및 PL3), 및 PLC 및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양자 모두를 갖는 PLC/Wi-Fi 디바이스 (PL1/WL1) 를 포함하여 다수의 멤버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PLC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들 (PL1-PL3) 은 PLC 서브네트워크 (401) 를 통해 서로 커플링된다.
도 4 의 예의 경우, Wi-Fi 디바이스 (WL2) 는 조인 디바이스이고, PLC 디바이스 (PL3) 는 추가 디바이스이며, PLC/Wi-Fi 디바이스 (PL1/WL1) 는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로서 작용한다. 도 1b 및 도 2a 의 예시적인 흐름도 (200) 을 또한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Wi-Fi 조인 디바이스 (WL2) 상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을 누르고, Wi-Fi 조인 디바이스 (WL2) 는 이것에 응답하여 조인 상태로 진입한다 (201). 사용자는 또한 PLC 추가 디바이스 (PL3) 상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을 (동시적으로 또는 소정의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누르고, PLC 추가 디바이스 (PL3) 는 그에 응답하여 추가 상태로 진입한다 (202).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대신에 추가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하고, 그 후 조인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하거나, 추가 및 조인 디바이스들 상의 푸시버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도 있다.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는 디바이스 제조자, 표준체, 벤더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될 수도 있다.
조인 상태로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조인 디바이스 (WL2) 는 그것이 네트워크 (400) 의 멤버들인 모든 디바이스들에게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네트워크 (400) 에 조인하기를 추구하고 있다고 모든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광고한다 (203). 더욱 상세하게는, 도 4 의 예의 경우, 조인 디바이스 (WL2) 의 (간단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Wi-Fi 인터페이스가 그것이 네트워크 (400) 의 WLAN 서브네트워크에 조인하기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간단한 연결 메시지들을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예의 경우, 추가 상태로 진입 시, PLC 추가 디바이스 (PL3) 는 Wi-Fi 조인 디바이스 (WL2) 로부터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따라서 그것이 조인 디바이스 (WL2) 와 직접 통신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것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디바이스 (PL3) 는 또한 동일한 서브네트워크의 멤버들인 이웃 디바이스들에게 간단한 프록시 연결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207). 이러한 예의 경우, 이웃 PLC/Wi-Fi 디바이스 (PL1/WL1) 는 PLC 서브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원래의 PLC 추가 디바이스 (PL3) 와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이웃 디바이스 (PL1/WL1) 는 추가 상태에 진입하고, 그 후 그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이 활성화된 것처럼 거동한다 (208). WLAN 서브네트워크를 통해 조인 디바이스 (WL2) 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이웃 디바이스 (PL1/WL1) 는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로서 작용하고, 네트워크 (400) 의 WLAN 서브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을 수행한다 (211). 그 후,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 (PL1/WL1) 는 원래의 추가 디바이스 (PL3) 에게 조인 디바이스 (WL2) 가 WLAN 서브네트워크에 조인했다는 것을 알린다 (212).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프록시 디바이스 (PL1/WL1) 는 또한 그의 이웃 디바이스들에게 그들로 하여금 조인 상태에 진입하게 하는 프록시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또,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 (PL1/WL1) 는 조인 디바이스 (WL2) 에게 NMPP (Network Master PassPhrase) 정보를 패스할 수도 있다.
도 5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라 단일 연결 프록시 기법을 사용하여 현존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500) 에 Wi-Fi 디바이스 및 PLC 디바이스를 추가하는 것과 연관된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네트워크 (500) 는 PL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PLC 디바이스 (PL3), 및 PLC 및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양자 모두를 갖는 PLC/Wi-Fi 디바이스 (PL1/WL1) 를 포함하여 다수의 멤버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PLC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들 (PL1-PL3) 은 PLC 서브네트워크 (501) 를 통해 서로 커플링된다.
도 5 의 예의 경우, PLC 디바이스 (PL2) 및 Wi-Fi 디바이스 (WL2) 양자 모두가 조인 디바이스들이고, PLC 디바이스 (PL3) 는 추가 디바이스이며, PLC/Wi-Fi 디바이스 (PL1/WL1) 는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로서 작용한다. 도 1b 및 도 2a 의 예시적인 흐름도 (200) 을 또한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Wi-Fi 조인 디바이스 (WL2) 상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을 누르고, Wi-Fi 조인 디바이스 (WL2) 는 이것에 응답하여 조인 상태로 진입한다 (201). 사용자는 또한 PLC 조인 디바이스 (PL2) 상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을 누르고, PLC 조인 디바이스 (PL2) 는 이것에 응답하여 조인 상태로 진입한다 (201). 사용자는 또한 추가 디바이스 (PL3) 상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을 (동시적으로 또는 소정의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누르고, 추가 디바이스 (PL3) 는 그에 응답하여 추가 상태로 진입한다 (202).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대신에 추가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하고, 그 후 조인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하거나, 추가 및 조인 디바이스들 상의 푸시버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도 있다.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는 디바이스 제조자, 표준체, 벤더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될 수도 있다.
조인 상태로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조인 디바이스들 (PL2 및 WL2) 는 그들이 네트워크 (500) 의 멤버들인 모든 디바이스들에게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네트워크 (500) 에 조인하기를 추구하고 있다고 모든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광고한다 (203). 더욱 상세하게는,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조인 디바이스 (PL2) 는 네트워크 (500) 의 PLC 서브네트워크 (501) 에의 연결을 요청하는 모든 멤버 디바이스들에게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고, 조인 디바이스 (WL2) 는 네트워크 (500) 의 WLAN 서브네트워크에의 연결을 요청하는 모든 멤버 디바이스들에게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예의 경우, 추가 상태로 진입 시, 추가 디바이스 (PL3) 는 PLC 조인 디바이스 (PL2) 로부터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지만, Wi-Fi 조인 디바이스 (WL2) 로부터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추가 디바이스 (PL3) 는 PLC 조인 디바이스 (PL2) 에 대해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을 완료하고 (206), 그것이 Wi-Fi 조인 디바이스 (WL2) 와 직접 통신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것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디바이스 (PL3) 는 또한 동일한 서브네트워크의 멤버들인 이웃 디바이스들에게 간단한 프록시 연결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207). 이러한 예의 경우, 이웃 디바이스 (PL1/WL1) 는 PLC 서브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원래의 PLC 추가 디바이스 (PL3) 와 통신할 수 있고, 원래의 추가 디바이스 (PL3) 에 의해 전송된 프록시 연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PLC/Wi-Fi 디바이스 (PL1/WL1) 는 추가 상태에 진입하고, 그 후 그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이 활성화된 것처럼 거동한다 (208). Wi-Fi 조인 디바이스 (WL2) 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이웃 디바이스 (PL1/WL1) 는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로서 작용하고, Wi-Fi 조인 디바이스 (WL2) 를 위한 간단한 연결 셋업을 수행한다 (211). 또, 원래의 추가 디바이스 (PL3) 는 조인 디바이스 (PL2) 에 NMPP 정보를 패스할 수 있고,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 (PL1/WL1) 는 조인 디바이스 (WL2) 에 NMPP 정보를 패스할 수 있다. 그 후,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 (PL1/WL1) 는 원래의 추가 디바이스 (PL3) 에게 조인 디바이스 (WL2) 가 WLAN 서브네트워크에 조인했다는 것을 알린다 (212).
도 6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라 단일 연결 프록시 기법을 사용하여 현존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600) 에 PLC 및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디바이스를 추가하는 것과 연관된 메시지 교환들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네트워크 (600) 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Wi-Fi 디바이스 (WL2), 각각 PL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2 개의 파워 라인 통신 (PLC) 디바이스들 (PL2 및PL3), 및 PLC 및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양자 모두를 갖는 하나의 PLC/Wi-Fi 디바이스 (PL1/WL1) 를 포함하여 다수의 멤버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PLC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들 (PL1-PL4) 은 PLC 서브네트워크 (601) 를 통해 서로 커플링된다.
도 6 의 예의 경우, PLC/Wi-Fi 디바이스 (PL4/WL4) 는 조인 디바이스이고, PLC 디바이스 (PL3) 는 추가 디바이스이며, PLC/Wi-Fi 디바이스 (PL1/WL1) 는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로서 작용한다. 도 1b 및 도 2a 의 예시적인 흐름도 (200) 을 또한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조인 디바이스 (PL4/WL4) 상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을 누르고, 조인 디바이스 (PL4/WL4) 는 이것에 응답하여 조인 상태로 진입한다 (201). 사용자는 또한 추가 디바이스 (PL3) 상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을 (동시적으로 또는 소정의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누르고, 추가 디바이스 (PL3) 는 그에 응답하여 추가 상태로 진입한다 (202).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대신에 추가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하고, 그 후 조인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하거나, 추가 및 조인 디바이스들 상의 푸시버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도 있다.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는 디바이스 제조자, 표준체, 벤더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될 수도 있다.
조인 상태로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조인 디바이스 (PL4/WL4) 는 그것이 네트워크 (600) 의 멤버들인 모든 디바이스들에게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네트워크 (600) 에 조인하기를 추구하고 있다고 모든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광고한다 (203). 도 6 의 예의 경우,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 디바이스 (PL4/WL4) 의 (간단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Wi-Fi 인터페이스는 그것이 네트워크 (600) 의 WLAN 서브네트워크에 조인하기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연결 메시지들을 다른 디바이스에게 전송하고, 조인 디바이스 (PL4/WL4) 의 (간단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PLC 인터페이스는 그것이 네트워크 (600) 의 PLC 서브네트워크에 조인하기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연결 메시지들을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예의 경우, 추가 상태로 진입 시, 추가 디바이스 (PL3) 는 조인 디바이스 (PL4/WL4) 의 Wi-Fi 인터페이스로부터 WLAN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따라서 그것이 조인 디바이스 (PL4/WL4) 와 직접 통신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것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디바이스가 이웃 디바이스 (PL1/WL1) 로 "추가 상태로 진입" 을 패스함에 따라,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디바이스 (PL3) 는 또한 추가 디바이스 (PL3) 와 동일한 서브네트워크의 멤버들인 이웃 디바이스들에게 간단한 프록시 연결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207). 이러한 예의 경우, 이웃 디바이스들 (PL2 및 PL1/WL1) 은 PLC 기술을 사용하여 원래의 PLC 추가 디바이스 (PL3) 와 통신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한 응답으로, 이들 이웃 디바이스들 (PL2 및 PL1/WL1) 은 추가 상태에 진입하고, 그 후 그들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이 활성화된 것처럼 거동한다 (208). WLAN 서브네트워크를 통해 조인 디바이스 (PL4/WL4) 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이웃 디바이스 (PL1/WL1) 는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로서 작용하고, 네트워크 (600) 의 WLAN 서브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 (PL4/WL4) 를 연결하기 위한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을 수행한다 (211). 그 후,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 (PL1/WL1) 는 원래의 추가 디바이스 (PL3) 에게 조인 디바이스 (PL4/WL4)가 WLAN 서브네트워크에 조인했다는 것을 알리고 (212), 또한 조인 디바이스 (PL4/WL4) 에 NMPP 를 패스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의 경우, 이웃 디바이스 (PL1/WL1) 는 또한 그의 이웃 디바이스들에게 그들로 하여금 추가 상태로 진입하게 할 수도 있는 프록시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추가 디바이스 (PL3) 는 조인 디바이스 (PL4/WL4) 의 PLC 인터페이스로부터 간단한 연결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고, 따라서 (예를 들어,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크 (600) 의 PLC 서브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 (PL4/WL4) 를 연결하기 위한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라 HPAV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들을 실행하는 레거시 PLC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현존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700) 에 Wi-Fi 딥디바이스가 조인될 수 있도록 포워딩 디바이스가 인캡슐레이션 및 디캡슐레이션을 수행하는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네트워크 (700) 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하나의 Wi-Fi 디바이스 (WL2), 각각 PL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2 개의 PLC 디바이스들 (PL2 및PL3), 및 PLC 및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양자 모두를 갖는 Wi-Fi/PLC 디바이스 (WL1/PL1) 를 포함하여 다수의 멤버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PLC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들 (PL1-PL3) 은 PLC 서브네트워크 (701) 를 통해 서로 커플링된다.
도 7 의 예의 경우, Wi-Fi 디바이스 (WL3) 는 조인 디바이스이고, PLC 디바이스 (PL3) 는 추가 디바이스이며, Wi-Fi/PLC 디바이스 (WL1/PL1) 는 포워딩 디바이스로서 작용한다. 도 1b 및 도 2b 의 예시적인 흐름도 (200) 을 또한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Wi-Fi 조인 디바이스 (WL3) 상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을 누르고, Wi-Fi 조인 디바이스 (WL3) 는 이것에 응답하여 조인 상태로 진입한다 (251). 사용자는 또한 PLC 추가 디바이스 (PL3) 상의 간단한 연결 셋업 푸시버튼 (112) 을 (동시적으로 또는 소정의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누르고, PLC 추가 디바이스 (PL3) 는 그에 응답하여 추가 상태로 진입한다 (252).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대신에 추가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화하고, 그 후 조인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을 활성하거나, 추가 및 조인 디바이스들 상의 푸시버튼들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도 있다.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는 디바이스 제조자, 표준체, 벤더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될 수도 있다.
조인 상태로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조인 디바이스 (WL3) 는 그것이 네트워크 (700) 의 멤버들인 모든 디바이스들에게 본래의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트함으로써 네트워크 (700) 에 조인하기를 추구하고 있다고 모든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광고한다 (253). 254 에서 응답이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조인 디바이스 (WL3) 는 Wi-Fi 프로토콜 및 HPAV 프로토콜 양자 모두를 사용하여 인캡슐레이트된 메시지들을 브로드캐스트한다 (256). 포워딩 디바이스 (WL1/PL1) 는 추가 디바이스 (PL3) 로 인캡슐레이트된 Wi-Fi 메시지를 포워드하고 (257), 추가 디바이스 (PL3) 는 그 메시지를 디캡슐레이트하고 메시지를 파싱하기를 시도한다 (258). 포워딩 디바이스 (WL1/PL1) 는 또한 조인 디바이스 (WL3) 로부터 수신된 인캡슐레이트된 HPAV 메시지를 디캡슐레이트하고, 그 디캡슐레이트된 HPAV 메시지를 추가 디바이스 (PL3) 로 포워드한다 (262).
조인 디바이스 (WL3) 에 의해 전송된 연결 메시지들에 응답하여, 추가 디바이스 (PL3) 는 포워딩 디바이스 (WL1/PL1) 를 사용하여 조인 디바이스 (WL3) 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포워딩 디바이스 (WL1/PL1) 는 그 응답 메시지를 인캡슐레이트할 수도 있다 (263). 그 후, 포워딩 디바이스 (WL1/PL1) 는 추가 디바이스 (PL3) 와 조인 디바이스 (WL3) 사이에 교환되는 메시지들을 인캡슐레이트 및 디캡슐레이트하기를 계속하여 조인 디바이스 (WL3) 와 추가 디바이스 (PL3) 사이의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의 완료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261). 도 7 의 예의 경우, 추가 디바이스 (PL3) 및 조인 디바이스 (WL3) 는 프록시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연결 셋업 동작을 완료하며, 포워딩 디바이스 (WL1/PL1) 는 단지 추가 디바이스 (PL3) 와 조인 디바이스 (WL3) 사이의 메시지들의 교환을 용이하게 한다.
위의 명세서에서, 본 실시형태들은 특정의 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첨부된 청구항들에 진술된 본 개시의 더 넓은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에 여러 수정 및 변경이 행해질 수도 있다. 명세서 및 도면은 이에 따라 제한적인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실시형태들은 명령들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본 실시형태들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 을 프로그래밍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플로피 디스켓, 광 디스크, CD-ROM, 자기 광디스크, ROM, RAM, EPROM, EEPROM, 자기 또는 광학 카드, 플래시 메모리, 또는 전자 명령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다른 타입의 매체들/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3)

  1. 추가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며, 적어도 상기 추가 디바이스 및 프록시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복수의 멤버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조인 디바이스는 아직 상기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의 멤버가 아니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를 추가 상태로 진입시키기 위해 상기 추가 디바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로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조인 디바이스로부터의 연결 메시지에 대해 리스닝 (listening) 하는,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서, 연결 메시지가 상기 조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연결 메시지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되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 메시지가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 후에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추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의 상기 조인 디바이스의 조인을 용이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메시지가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 후에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추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 제 2 통신 프로토콜에서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하고,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파워라인 통신 프로토콜들, 무선 프로토콜들, 및 유선 프로토콜들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조인 디바이스를 상기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가 상기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상기 조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연결 메시지를 수신할지라도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 상기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멤버 디바이스들 모두에게 상기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 디바이스는 활성화될 때 상기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상기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방법.
  6. 적어도 추가 디바이스 및 프록시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복수의 멤버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조인 디바이스는 아직 상기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의 멤버가 아니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를 추가 상태로 진입시키기 위해 상기 추가 디바이스를 활성화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조인 디바이스로부터의 연결 메시지에 대해 리스닝 (listening) 하는, 상기 활성화하는 수단;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서, 연결 메시지가 상기 조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연결 메시지는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되는, 상기 결정하는 수단;
    상기 연결 메시지가 상기 활성화 이후에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추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의 상기 조인 디바이스의 조인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
    상기 연결 메시지가 상기 활성화 이후에 상기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추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 제 2 통신 프로토콜에서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상기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연결 메시지가 상기 활성화 이후에 상기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조인 디바이스를 상기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파워라인 통신 프로토콜들, 무선 프로토콜들, 및 유선 프로토콜들로부터 선택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가 상기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상기 조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연결 메시지를 수신할지라도 상기 프록시 디바이스로 상기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멤버 디바이스들 모두에게 상기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 및 상기 조인 디바이스는 각각의 디바이스들 상의 푸시버튼들을 활성화함으로써 활성화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상기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 조인 디바이스를 조인하는 시스템.
  12. 서로 상이한 제 1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로서,
    조인 상태로 선택적으로 진입하고, 그 후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에서 간단한 연결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현재 상기 하이브리드 네트워트의 멤버가 아닌 조인 디바이스;
    추가 상태로 선택적으로 진입하고,
    상기 간단한 연결 메시지가 상기 추가 상태로 진입한 후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는 경우, 상기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의 상기 조인 디바이스의 조인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간단한 연결 메시지가 상기 미리결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에서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현재 상기 하이브리드 네트워트의 멤버인 추가 디바이스; 및
    상기 프록시 연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추가 상태로 선택적으로 진입하고, 그 후 상기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에의 상기 조인 디바이스의 조인을 용이하게 하는,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의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의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현재 상기 하이브리드 네트워트의 멤버인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WLAN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파워라인 통신 (powerline communication: PLC) 프로토콜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파워라인 통신 (PLC) 프로토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WLAN 프로토콜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 디바이스는 상기 조인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의 사용자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조인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 상의 푸시버튼의 사용자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추가 상태로 진입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추가 상태로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의 모든 다른 멤버들로 상기 프록시 연결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37027092A 2011-03-14 2012-03-14 프록시 디바이스를 통한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간단한 연결 셋업 KR101494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52306P 2011-03-14 2011-03-14
US61/452,306 2011-03-14
US13/420,144 US8745137B2 (en) 2011-03-14 2012-03-14 Hybrid networking simple-connect setup using proxy device
US13/420,215 US8743903B2 (en) 2011-03-14 2012-03-14 Hybrid networking simple-connect setup using forwarding device
US13/420,144 2012-03-14
PCT/US2012/029099 WO2012125743A1 (en) 2011-03-14 2012-03-14 Hybrid networking simple-connect setup via proxy device
US13/420,215 2012-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027A KR20130137027A (ko) 2013-12-13
KR101494123B1 true KR101494123B1 (ko) 2015-02-16

Family

ID=4682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092A KR101494123B1 (ko) 2011-03-14 2012-03-14 프록시 디바이스를 통한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간단한 연결 셋업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743903B2 (ko)
EP (1) EP2687000B1 (ko)
JP (1) JP5657815B2 (ko)
KR (1) KR101494123B1 (ko)
CN (2) CN103430515B (ko)
WO (1) WO2012125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3903B2 (en) * 2011-03-14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networking simple-connect setup using forwarding device
US8849949B1 (en) * 2012-01-05 2014-09-30 Google Inc. Providing proxy service during access switch control plane software upgrade
US9490887B2 (en) 2013-03-28 2016-11-08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providing beamforming for two or more transmission channels
US9432990B2 (en) * 2013-08-23 2016-08-30 Airties Kablosuz Iletisim San. Ve Dis Tic. A.S. Hybrid mesh network
US9143512B2 (en) 2013-10-04 2015-09-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mmunication devices, computer readable storage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e multi-path communication
FR3021829A1 (fr) * 2014-05-30 2015-12-04 Orange Technique de mediation dans un reseau residentiel
US9674043B2 (en) * 2014-07-14 2017-06-06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lustering devices
CN104980282A (zh) * 2015-05-22 2015-10-14 万高(杭州)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集线器系统
US10848992B2 (en) * 2017-02-21 2020-11-24 Sony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by virtual network boosting using proxy nodes in wireless networks
IT202000000892A1 (it) 2020-01-17 2021-07-17 St Microelectronics Srl Procedimento per fare funzionare una rete di comunicazione, rete di comunicazione e dispositivi corrispondenti
EP4369616A2 (en) 2020-03-31 2024-05-15 STMicroelectronics S.r.l. Apparatus and methods for g3-plc bootstrap in hybrid networks
US11968247B2 (en) 2022-01-27 2024-04-23 Panduit Corp. Using a web proxy to provide a secure remotely controlled system, device,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3852B1 (en) * 1997-12-15 2002-11-19 Inria 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En Informatique Et En Automatiqu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network segments
US20060173978A1 (en) * 2005-02-01 2006-08-03 Palm Stephen R Minimum intervention authentication of heterogeneous network technologies (MIAHNT)
US20090303926A1 (en) * 2006-06-06 2009-12-10 Frank Theodoor Henk Den Hartog Proxy-bridge for connecting different types of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3512A (en) * 1992-03-27 1994-08-30 Motorola, Inc. Call setup method for use with a network having mobile end users
US6523696B1 (en) 1996-10-15 2003-02-25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for realizing uniform service providing environment
US6130896A (en) 1997-10-20 2000-10-10 Intel Corporation Wireless LAN segments with point coordination
US6272551B1 (en) 1998-04-08 2001-08-07 Intel Corporation Network adapter for transmitting network packets between a host device and a power line network
US6947736B2 (en) * 2001-11-20 2005-09-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niversal broadband home network for scalable IEEE 802.11 based wireless and wireline networking
US7113763B2 (en) 2002-06-03 2006-09-26 Nokia Corporation Bluetooth access point and remote bluetooth modules for powerline based networking
EP1678897A2 (en) * 2003-09-23 2006-07-12 Arkados, Inc. Integrated universal network adapter
CA2548290C (en) * 2003-12-05 2013-10-01 Cardinal Health 303, Inc. Discovery and connection management with mobile systems manager
FI116497B (fi) * 2004-02-06 2005-11-30 Nokia Corp Verkotettujen laitteiden välisen datansiirron optimoiminen
US7269403B1 (en) 2004-06-03 2007-09-11 Miao George J Dual-mode wireless and wired power line communications
US7391317B2 (en) 2004-09-08 2008-06-24 Satiu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over various communication media
US7675923B2 (en) 2004-11-24 2010-03-0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Home network bridge-based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US7262695B2 (en) 2004-12-15 2007-08-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nc. Network interface device
CN1829165A (zh) * 2005-02-01 2006-09-06 美国博通公司 异构网络技术的最小干涉鉴定
US7349325B2 (en) 2005-05-07 2008-03-25 Motorola, Inc. Broadband over low voltage power line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KR100651737B1 (ko) 2005-06-17 2006-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lc 망과 무선망을 연동하는 액세스 포인터 및 그 방법
US8213895B2 (en) 2005-10-03 2012-07-03 Broadcom Europe Limited Multi-wideband communications over multiple mediums within a network
EP1770870B1 (en) 2005-10-03 2019-04-03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Powerlin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8406239B2 (en) 2005-10-03 2013-03-26 Broadcom Corporation Multi-wideband communications over multiple mediums
US20070076666A1 (en) 2005-10-03 2007-04-05 Riveiro Juan C Multi-Wideband Communications over Power Lines
US7783771B2 (en) * 2005-12-20 2010-08-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for universal plug and play and internet multimedia subsystems networks
EP1816824A1 (en) 2006-02-07 2007-08-08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device insertion into a community of network devices
US8619623B2 (en) * 2006-08-08 2013-12-31 Marvell World Trade Ltd. Ad-hoc simple configuration
JP5298391B2 (ja) * 2006-09-18 2013-09-25 マーベ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多数のデバイス間の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構築
KR100823737B1 (ko) 2006-09-29 2008-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로 다른 QoS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들을 위한 브리지장치
KR100809261B1 (ko) 2006-09-29 2008-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QoS를 지원하는 고속 전력선 네트워크와 이더넷 간의브리지 시스템
US9565561B2 (en) 2007-11-14 2017-02-07 Belkin International, Inc. Alert for adding client devices to a network
KR20090062664A (ko) 2007-12-13 2009-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내부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9392437B2 (en) * 2008-10-17 2016-07-12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IP multimedia bearer path optimization through a succession of border gateways
CN101729451B (zh) * 2008-10-24 2012-07-25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立异构型网络设备之间互连互通的方法
JP5483985B2 (ja) * 2008-12-22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01662772A (zh) * 2009-09-01 2010-03-03 北京星谷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Zigbee网络的一键对码入网控制方法
JP5333076B2 (ja) * 2009-09-04 2013-1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に接続可能なデバイス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70559B2 (ja) * 2010-01-21 2012-07-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US8743903B2 (en) * 2011-03-14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networking simple-connect setup using forward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3852B1 (en) * 1997-12-15 2002-11-19 Inria 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En Informatique Et En Automatiqu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network segments
US20060173978A1 (en) * 2005-02-01 2006-08-03 Palm Stephen R Minimum intervention authentication of heterogeneous network technologies (MIAHNT)
US20090303926A1 (en) * 2006-06-06 2009-12-10 Frank Theodoor Henk Den Hartog Proxy-bridge for connecting different types of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30515B (zh) 2016-06-29
US20120236758A1 (en) 2012-09-20
CN103430515A (zh) 2013-12-04
US20120239744A1 (en) 2012-09-20
KR20130137027A (ko) 2013-12-13
CN106130770A (zh) 2016-11-16
WO2012125743A1 (en) 2012-09-20
EP2687000B1 (en) 2017-03-08
EP2687000A1 (en) 2014-01-22
JP5657815B2 (ja) 2015-01-21
CN106130770B (zh) 2018-04-20
US8745137B2 (en) 2014-06-03
US8743903B2 (en) 2014-06-03
JP2014518023A (ja)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123B1 (ko) 프록시 디바이스를 통한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간단한 연결 셋업
US2011003949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connec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N110636483A (zh) 一种配网方法及系统
EP2556693B1 (en) Inter-working of efm-oam and cfm-oam for mobile backhaul networks
US2013017690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 Session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WO2020092971A1 (en) Device provisioning protocol with enrollee feedback
WO2016027960A1 (ko) 무선 도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70048788A1 (en) Service Discover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4124618B (zh) 一种报文传输方法及电子设备
WO2014183404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终端
KR20200039306A (ko) 5g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파라미터를 단말과 네트워크에 프로비져닝하는 방법
CN102201846A (zh) 基于soft AP技术的无线数据传输系统及其方法
CN104283858A (zh) 控制用户终端接入的方法、装置及系统
EP2879461B1 (en) Protocol processing method under control and data forwarding decoupling
EP23697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s with a plurality of virtual networks
US20120099574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relay method using same
CN105187387B (zh) 一种服务发现方法及终端
CN113645298A (zh) 物联网设备的通信方法及装置
CN113645301A (zh) 通信方法及装置
WO2022007749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WO2022166755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设备、存储介质
JP6802530B2 (ja) 通信方法
US20140092774A1 (en) Channel reuse among communication networks sharing a communication channel
WO2013075336A1 (zh) 通信系统、方法及设备
CN110620999B (zh) 用户面数据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