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444B1 -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444B1
KR101493444B1 KR20140021419A KR20140021419A KR101493444B1 KR 101493444 B1 KR101493444 B1 KR 101493444B1 KR 20140021419 A KR20140021419 A KR 20140021419A KR 20140021419 A KR20140021419 A KR 20140021419A KR 101493444 B1 KR101493444 B1 KR 101493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weight
parts
physiologically active
polycaprolac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호
박고은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02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4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61K9/1647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제1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5 내지 30 중량부 및 폴록사머(Poloxamer) 0.5 내지 10 중량부를 용해시켜 제1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2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0.5 내지 5 중량부 및 생리활성물질을 용해시켜 제2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 및 교반시켜 제1용액에 제2용액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의 에멀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에멀전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나노섬유의 내부에 생리활성물질을 단일 전기방사를 통한 간단한 과정에 의하여 함유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생리활성물질의 변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여 생리활성물질의 방출속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Polycaprolactone nano-fibers comprising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물전달매체 및 조직재생용 지지체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생리활성물질의 변성을 최소화하고, 이의 방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단일공정의 전기방사를 통하여 제조가 가능하여 산업적 응용가능성이 향상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물전달매체 및 조직재생용 지지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세포외 기질의 구조 및 기능의 모방은 이상적인 목표이다.
최근,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성장인자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된 약물전달매체 및 조직재생용 지지체를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생리활성물질의 변성 및 특정조건 하에서 생분해성 고분자 분해속도의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관련기술의 실용화에 앞서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0-0058733호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와 약물을 혼합하고, 이를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한 다음, 상기 나노섬유에 방사선처리 및 불소처리를 하는 방식으로 나노섬유의 표면을 개질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약물 전달의 서방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는 우수하나 방사선 처리 및 불소처리의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지 않다는 약점이 있다.
또한 생리활성물질을 섬유의 내부에 함유시키기 위해서 이중노즐을 갖는 전기방사방법이 제안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된 내부용액과 외벽을 형성하는 외부용액을 서로 다른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이중노즐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내부용액과 외부용액의 유속, 농도 등과 같은 공정조건의 조절이 매우 어려워, 제조되는 섬유의 형태가 불안정하고, 그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약물전달매체 및 조직재생용 지지체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나노섬유의 내부에 함유되는 생리활성물질의 변성을 최소화하고, 이의 방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단일공정의 전기방사를 통하여 제조가 가능하여 산업적 응용가능성이 향상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제1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5 내지 30 중량부 및 폴록사머(Poloxamer) 0.5 내지 10 중량부를 용해시켜 제1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2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0.5 내지 5 중량부 및 생리활성물질을 용해시켜 제2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 및 교반시켜 제1용액에 제2용액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의 에멀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에멀전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제2용액에는 상기 제2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1 내지 10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용액은 유상용액(oil-phase solution)이고, 상기 제2용액은 수상용액(water-phase solutio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멀전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제조되는 나노섬유는 코어-쉘(Core-shell)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나노섬유의 코어(Core)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나노섬유의 내부에 생리활성물질을 단일 전기방사를 통한 간단한 과정에 의하여 함유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생리활성물질의 변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여 생리활성물질의 방출속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섬유의 물 접촉각 측정 결과 및 섬유 내부 첨가 물질 분포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섬유의 공초점 현미경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섬유를 한 시간 동안 물에 침지시키기 전과 후의 공초점 현미경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섬유를 한 시간 동안 인산완충생리식염수에 침지시키기 전과 후의 공초점 현미경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제1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5 내지 30 중량부 및 폴록사머(Poloxamer) 0.5 내지 10 중량부를 용해시켜 제1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2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0.5 내지 5 중량부 및 생리활성물질을 용해시켜 제2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 및 교반시켜 제1용액에 제2용액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의 에멀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에멀전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나노섬유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고분자는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검증이 된 생분해성 고분자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본 발명의 완성과정에서의 반복된 실험결과 선택된 다른 성분과의 관계에서 폴리카프로락톤이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고, 생분해성 고분자로 폴리카프로락톤을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카프로락톤은 상기 제1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폴리카프로락톤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용액의 점도가 너무 낮아 나노섬유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폴리카프로락톤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액의 점도가 너무 높아 나노섬유가 아닌 마이크로 크기를 갖는 섬유가 형성되거나, 전기방사성이 나빠져 수율이 떨어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제1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제1용매는 이후 제조되는 에멀전 용액이 유중수형(Water in Oil, W/O)인 것을 고려할 때 유상의 용매여야 하며, 유상의 용매이면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과 폴록사머를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폴록사머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서,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에멀전 용액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유화제의 기능을 한다. 즉, 안정화된 에멀전 용액을 제조할 수 있게 하며,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생리활성물질의 방출능 및 섬유의 직경을 조절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폴록사머는 상기 제1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폴록사머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제조되는 에멀전 용액이 안정화되지 않을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폴록사머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화제로서의 기능은 상한치와 별반 다르지 않으면서 용액의 점도를 증가시켜, 제조되는 섬유의 직경을 증가시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제2용액에는 생리활성물질과 알긴산 나트륨이 함유되는데, 상기 제2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제2용매는 생리활성물질과 알긴산 나트륨을 용해시킬 수 있는 수상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목적하는 치료 효과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의 특별한 제한은 없다. 즉, 성장인자, 성장 호르몬, 펩타이드 의약품, 단백질 의약품, 소염진통제, 항암제, 항바이러스제, 성호르몬, 항생제, 항균제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2용액에 함유되는 생리활성물질의 함유량 역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즉 목적하는 치료 효과 및 기능과 선택되는 생리활성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양을 함유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만, 함유되는 생리활성물질은 제2용매에 완전히 용해될 수 있는 범위이어야 한다.
상기 알긴산 나트륨은 수용성 용매에는 녹으나 유기용매(유상용매)에는 불용이 성질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알긴산 나트륨은 내부의 제2용액에 함유되어 수상의 제2용액의 점도를 높여 에멀전 제조시 보다 작은 입자로의 분산을 유도시켜 안정적인 에멀전 용액을 형성하게끔 한다. 안정적인 에멀전 형성은 전기방사성을 향상시키게 되는데, 알긴산 나트륨은 폴록사머와 더불어 에멀전 용액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용액에는 상기 제2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염화칼슘(Calcium Chloride)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염화칼슘은 상기 알긴산 나트륨과 반응하여 알긴산 나트륨을 수용성 용매에 불용의 성질을 갖는 알긴산 칼슘 젤로 변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알긴산 나트륨이 알긴산 칼슘 젤로 변화하게 되면, 그 내부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이 외부의 용매에 직접적으로 장시간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염화칼슘의 사용여부 및 알긴산 나트륨과의 비율에 따라 다양한 조건에서 생리활성물질의 방출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알긴산 나트륨은 상기 제2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알긴산 나트륨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제조되는 에멀전이 불안정한 형태를 가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알긴산 나트륨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액의 점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원활한 전기방사가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염화칼슘은 상기 제2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염화칼슘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일 경우에는 그 함유량이 너무 적어 알긴산 나트륨을 알긴산 칼슘 젤로 변화시키기 어려울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염화칼슘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농도의 염의 첨가로 인하여 전기방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서명한다.
실시예 : 표지형광물질이 부착된 소혈청 알부민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의 제조
클로로포름(chloroform)과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를 부피비 4:1로 혼합한 용매 100g에 폴리카프로락톤(Polysciences, Mw 43,000-50,000) 18g 및 폴록사머(Sigma-aldrich, Pluronic F-127) 1g을 용해시켜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물 100g에 생리활성물질 모델 약물인 표지형광물질이 부착된 소혈청 알부민(fluorescein isocyanate conjugated bovine serum albumin, 이하 'FITC-BSA'라고 칭함) 3g과 알긴산 나트륨 1g 및 염화칼슘 5g을 용해시켜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상기 제1용액과 제2용액을 부피비 25:1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유상의 제1용액에 수상의 제2용액이 분산된 상태로 존재는 에멀전 용액을 제조하였다.
최종적으로 상기 에멀전 용액을 통상의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방사하여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전기방사 조건은 전압 12kV, 유량 0.5㎖/h, 방사기 팁과 컬렉터 사이의 거리(TCD)는 8cm이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를 실시예 1로 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과 폴록사머의 함유량만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나노섬유를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2 및 실시예 3으로 하였다(표 1 참조).
비교예 1 내지 4
클로로포름(chloroform)과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를 부피비 4:1로 혼합한 용매 100g에 폴리카프로락톤(Polysciences, Mw 43,000-50,000) 18g 및 첨가량을 달리한 폴록사머(Sigma-aldrich, Pluronic F-127)를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비교예 1 내지 4로 선정하였다. 각 비교예의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의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5 내지 8
제2용액에 알긴산 나트륨과 염화칼슘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나노섬유를 제조하였고, 이를 비교예 5 내지 8로 선정하였다.
비교예 9
폴록사머를 첨가하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나노섬유를 제조하였고, 이를 비교예 9로 선정하였다.
[표 1]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
Figure 112014017970643-pat00001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섬유의 표면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를 측정하여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로부터 폴록사머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섬유가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섬유의 직경 또한 폴록사머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가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폴록사머의 함량 조절을 통하여 제조되는 나노섬유 형태 및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촉각 관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의 물 접촉각 측정 결과 및 섬유 내 첨가물질 분포에 대한 모식도이다. 폴록사머가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과 폴록사머가 첨가된 비교예 4의 결과로부터 폴록사머의 첨가가 나노섬유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변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폴록사머의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부분은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섬유 부분과 접촉해 있으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부분은 섬유 표면에 분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폴록사머 5g이 첨가된 나노섬유(비교예 4, 비교예 8, 실시예 3)의 결과로부터 생리활성물질과 알긴산 나트륨 및 염화칼슘의 첨가에 의해 친수성으로 개질되었던 나노섬유의 표면이 소수성 성질을 가지도록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주로 섬유 표면에 분포하고 있던 폴록사머가 섬유 내부에 친수성 물질을 도입함으로 인해 섬유 표면에 분포하는 비율보다 섬유 내부에 분포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접촉각 결과로부터 각 조성에 대한 섬유 내 첨가물질의 분포는 도 3의 하단부에 도시된 모식도와 같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즉, 폴록사머와 알긴산 나트륨의 첨가는 보다 안정적인 에멀전을 형성시켜 섬유 내부에 함유되는 친수성 코어의 함유량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초점 현미경 관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섬유 내의 FITC-BSA의 도입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공초점 현미경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3의 공초점 현미경 분석 결과로부터 폴록사머의 양이 용액 내에 증가할수록 FITC-BSA가 보다 효과적으로 섬유 내부에 함유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의 (가)에서 보이는 결과와 같이 폴록사머가 없는 경우, 알긴산 나트륨의 첨가는 나노섬유 내 FITC-BSA의 함량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알긴산 나트륨에 의해 안정화된 FITC-BSA가 함유된 실시예 1 내지 3은 알긴산 나트륨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6 내지 8보다 함유된 입자의 크기가 작았으며, 이로부터 알긴산 나트륨의 첨가는 에멀전 형성 시 수상 용액을 보다 작은 입자로 분산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TC - BSA 용출거동
도 4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내 함유된 FITC-BSA의 용출거동을 관찰하기 위해 각 조성별로 제조된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비교예 5-9, 실시예 1-3)들을 물에 한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표지형광물질의 밝기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4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 시간 침지 후 폴록사머의 양이 적은 군의 경우, 많은 양의 FITC-BSA가 방출되어 형광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으며, 폴록사머를 다량으로 첨가한 경우(비교예 8, 실시예 3)에는 다량의 FITC-BSA가 섬유 내에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폴록사머의 첨가가 나노섬유 내 생리활성물질의 함유량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친수성 분위기와 내부의 친수성 생리활성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방출능을 늦춰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알긴산 나트륨과 염화칼슘을 첨가한 경우(비교예 9, 실시예 1 내지 3)에는 폴록사머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염화칼슘의 첨가로 인해 알긴산 나트륨이 알긴산 칼슘화되어 물에 대해 불용성을 가지므로 침지 전후의 형광 밝기의 차이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에 반해 폴록사머 5g을 첨가하였으나, 알긴산 나트륨과 염화칼슘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8의 경우 침지 전에 비해 한 시간 침지 후 형광 밝기가 확연히 줄었음을 도 4의 (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결과로부터 폴록사머와 알긴산 나트륨 및 염화칼슘의의 첨가는 나노섬유 내 함유된 친수성 단백질의 방출속도를 늦춰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폴록사머 5g을 첨가한 실시예 3의 인산완충생리식염수(phosphate buffer solution, pH 7.4) 하에서의 용출거동을 공초점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Na+ 존재 하에서 알긴산 칼슘은 알긴산 나트륨으로의 역치환 반응이 일어나므로 물에서 안정하던 거동과 달리 인산완충생리식염수에서는 한 시간 침지 후 섬유 외부로 FITC-BSA가 용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는 염이 존재하지 않는 친수성 환경에서는 안정하며 인체와 유사한 조성을 지닌 유체 내에서는 내부의 생리활성물질이 방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는 폴록사머, 알긴산 나트륨 및 염화칼슘의 조성비의 조절에 의하여 다양한 조건의 용액에서 선택적으로 생리활성물질을 방출하도록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Claims (6)

  1. 제1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5 내지 30 중량부 및 폴록사머(Poloxamer) 0.5 내지 10 중량부를 용해시켜 제1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2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0.5 내지 5 중량부 및 생리활성물질을 용해시켜 제2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 및 교반시켜 제1용액에 제2용액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의 에멀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에멀전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된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액에는 상기 제2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1 내지 10 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액은 유상용액(oil-phase solution)이고, 상기 제2용액은 수상용액(water-phase solu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전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제조되는 나노섬유는 코어-쉘(Core-shell)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나노섬유의 코어(Core)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KR20140021419A 2014-02-24 2014-02-24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493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1419A KR101493444B1 (ko) 2014-02-24 2014-02-24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1419A KR101493444B1 (ko) 2014-02-24 2014-02-24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444B1 true KR101493444B1 (ko) 2015-02-16

Family

ID=5259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1419A KR101493444B1 (ko) 2014-02-24 2014-02-24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44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7859A (zh) * 2015-03-16 2015-07-29 浙江大学 低温原位生长纳米结构半导体金属氧化物的方法及应用
CN113373595A (zh) * 2021-05-19 2021-09-10 济南大学 一种FeOOH/PVDF纤维支架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917478A4 (en) * 2019-01-28 2022-12-14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WOUND DRESSINGS BASED ON ELECTROSPUNN NANOFIB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11738116B2 (en) 2017-06-09 2023-08-29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Expanded nanofiber structures comprising electrospun nanofibers and a plurality of ho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reof
US11813377B2 (en) 2014-09-29 2023-11-14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Microfiber structures and methods of synthesis and use thereof
US11946164B2 (en) 2017-09-19 2024-04-02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Nanofiber structur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951227B2 (en) 2016-09-28 2024-04-09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Nanofiber structur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511A (ko) * 2004-07-26 2006-02-01 김학용 나노섬유로 구성된 고강력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US20100013126A1 (en) 2006-08-21 2010-01-21 Michael Ishaque Process for producing nano- and mesofibers by electrospinning colloidal dispersions
KR20120048149A (ko) * 2010-11-05 2012-05-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케이폭 섬유 복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511A (ko) * 2004-07-26 2006-02-01 김학용 나노섬유로 구성된 고강력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US20100013126A1 (en) 2006-08-21 2010-01-21 Michael Ishaque Process for producing nano- and mesofibers by electrospinning colloidal dispersions
KR20120048149A (ko) * 2010-11-05 2012-05-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케이폭 섬유 복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3377B2 (en) 2014-09-29 2023-11-14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Microfiber structures and methods of synthesis and use thereof
CN104807859A (zh) * 2015-03-16 2015-07-29 浙江大学 低温原位生长纳米结构半导体金属氧化物的方法及应用
US11951227B2 (en) 2016-09-28 2024-04-09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Nanofiber structur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738116B2 (en) 2017-06-09 2023-08-29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Expanded nanofiber structures comprising electrospun nanofibers and a plurality of ho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reof
US11946164B2 (en) 2017-09-19 2024-04-02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Nanofiber structur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917478A4 (en) * 2019-01-28 2022-12-14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WOUND DRESSINGS BASED ON ELECTROSPUNN NANOFIB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CN113373595A (zh) * 2021-05-19 2021-09-10 济南大学 一种FeOOH/PVDF纤维支架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444B1 (ko)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Cheng et al. Mechanically enhanced lipo-hydrogel with controlled release of multi-type drugs for bone regeneration
US20180133149A1 (en) Drug-delivering composite structures
Xu et al. Controlled dual release of hydrophobic and hydrophilic drugs from electrospun poly (l-lactic acid) fiber mats loaded with chitosan microspheres
EP2644191B1 (en) Nonwoven membrane as a drug delivery system
Xiao et al. Direct formation of silk nanoparticles for drug delivery
Wu et al. Control of silk microsphere formation using polyethylene glycol (PEG)
DE69734060T2 (de) Zubereitungen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oder prävention von krankheiten der körperpassagewege
KR100718329B1 (ko) 다당류로 기능화된 수화젤막을 가지는 나노입자와 이를포함하는 서방형 약물전달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Bruggeman et al. Temporally controlled growth factor delivery from a self-assembling peptide hydrogel and electrospun nanofibre composite scaffold
Zhang Injectable biomaterials for stem cell delivery and tissue regeneration
CN108136068A (zh) 中空多孔微球的制造方法
Agrahari et al. Electrospun nanofibers in drug delivery: fabrication, advances, and biomedical applications
Liu et al. Hierarchically electrospraying a PLGA@ chitosan sphere-in-sphere composite microsphere for multi-drug-controlled release
Wang et al. Conventional electrospinning vs. emulsion electrospinn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nofibrous drug/biomolecule delivery vehicles
He et al. Sequence-controlled delivery of peptides from hierarchically structured Nanomaterials
Woodring et al. Drug delivery systems for localized cancer combination therapy
Erdal et al. Electrospun nanofibers as carriers in dermal drug delivery
Rezeki et al. Optimization of PVA-Arabic gum–honey-based electrospun nanofibers as candidate carrier for peptide and protein delivery
Adpekar et al. Electrospun nanofibres and their biomedical applications
Chiasson et al. The use of silk in nanomedicine applications
Lim et al. Drug loading, drug release and in vitro degradation of poly (caprolactone) electrospun fibers
Chaparro Biocompatible Electrospun Vehicl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nti-Fertility Strategies And Their Biomimetic Properties As Blood Vessel Scaffolds
Miao et al. Electrospun Biopolymer Nanofibers and Their Composites for Drug Delivery Applications
Elsayed Novel manufacturing of drug delivery devices using soft processing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