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199B1 -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 - Google Patents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199B1
KR101493199B1 KR20140091918A KR20140091918A KR101493199B1 KR 101493199 B1 KR101493199 B1 KR 101493199B1 KR 20140091918 A KR20140091918 A KR 20140091918A KR 20140091918 A KR20140091918 A KR 20140091918A KR 101493199 B1 KR101493199 B1 KR 101493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ckrest
side wings
wing
back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인
Original Assignee
이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인 filed Critical 이규인
Priority to KR2014009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5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a single strap around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의 종류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은, 견착자의 등부분에 접촉 지지되는 부분으로 상단 중앙에 상부 링이 설치되어 있는 등받이, 등받이의 양측에서 각기 후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날개, 등받이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는 바닥날개, 등받이에 연결되어 좌우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어깨끈, 한 쌍의 측면날개 및 바닥날개를 한 쌍의 측면날개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견착 캐리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Backpack for easy separation and carriage and extraction by using classification of articles}
본 발명은 등산, 여행, 낚시, 트래킹, 사이클링, 스키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배낭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품의 종류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은 하이킹, 등산, 여행 및 스키와 같은 레크레이션 활동에 있어서 옷, 음식, 물, 취사 장비 및 다른 여러 물품들을 운반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배낭은 일상 생활에서 책, 노트, 필기구 등과 같은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배낭은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품이 저장되어 착용자에 의해 운반이 이루어진다. 예들 들어 등산의 경우 겉옷, 속옷, 양말, 수건 등의 의류 물품, 코펠, 버너, 수저, 저분, 취사연료 등의 취사 용품, 쌀, 고기류, 야채, 통조림, 생수 등의 식자재 및 부자재 물품, 칫솔, 치약, 면도기 등의 개인위생 물품, 피부연고, 소화제, 해열제 등의 구급물품 등의 물품이 운반된다. 따라서 등산 배낭은 이러한 다양한 물품이 수납된다.
이같이 다양한 물품은 그 목적과 용도에 따른 분류가 가능하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유사 분류에 따른 물품 순서대로 채워 넣는다 하더라도 운반 도중에 원하는 어떤 것을 꺼내려면 헤집어야 하며,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 내부에 채워진 물품을 모두 꺼내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찾고자 하는 물품이 배낭의 중간이나 아래 쪽에 있는 경우에는 불편함이 더욱 커지게 된다.
이같이 배낭에 물품이 뒤죽박죽 채워 넣어진 경우는 물론이고 숙련자에 의해 분류가 잘되어 있더라도 안쪽이나 맨 아래쪽 찾고자 하는 물품이 있을 때에 용이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143399호(배낭)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백팩, 냅색 또는 룩색과 같은 배낭은 바닥이 갖추어진 백 부분과, 사용자의 어깨부에서 매달리도록 채택되고 백 부분의 신체 접촉부상에 형성된 한 쌍의 어깨 스트랩과 , 사용자의 엉덩이뼈를 둘러싸는 백부분의 신체 접촉부의 하부에서 신장하는 힙 벨트를 갖는다.
상기 전자의 배경기술에서는 사용자가 그의 엉덩이뼈 주위의 신체적 특성에 충분히 부합되도록 힙 벨트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전체 몸에 걸쳐 백에 있는 물품의 하중이 균일하게 분산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배낭에 채워 넣을 물품을 용도나 목적에 따른 분류별로 보관 및 저장하고, 분류별로 쉽게 꺼낼 수 있는 수단이나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62591호(배낭 서스펜션 시스템 및 배낭)가 있다. 이는 배낭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는 로커 암과, 상기 로커 암의 제 1 단부에 연결된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에 대향하는 제 2 단부를 갖는 제 1 힙 스테이와, 상기 로커 암의 제 2 단부에 연결된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에 대향하는 제 2 단부를 갖는 제 2 힙 스테이와, 상기 제 1 힙 스테이의 제 2 단부에 그리고 상기 제 2 힙 스테이의 제 2 단부에 부착된 허리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힙 스테이는 각각 상기 로커 암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로커 암은 고정된 선회점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상기 허리 벨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힙 스테이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 1 힙 스테이의 제 1 단부는 상기 로커 암의 제 1 단부에 유연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힙 스테이의 제 1 단부는 상기 로커 암의 제 2 단부에 유연하게 연결되는 배낭용 서스펜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후자의 배경기술은 하중을 착용자의 신체에 역학적으로 분배하는 효과를 갖는데 반해, 배낭에 채워 넣을 물품을 용도나 목적에 따른 분류별로 보관 및 저장하고, 분류별로 쉽게 꺼낼 수 있는 수단이나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143399호(배낭) 2)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62591호(배낭 서스펜션 시스템 및 배낭)
본 발명은 물품의 종류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은,
견착자의 등부분에 접촉 지지되는 부분으로 상단 중앙에 상부 링이 설치되어 있는 등받이, 등받이의 양측에서 각기 후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날개, 등받이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는 바닥날개, 등받이에 연결되어 좌우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어깨끈, 한 쌍의 측면날개 및 바닥날개를 한 쌍의 측면날개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견착 캐리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일측 측면날개의 가장자리 상부 및 중간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암버클 및 타측 측면날개에 연결되어 해당 위치의 암버클에 착탈되는 수버클이 각기 끼워져 있는 복수개의 측면날개 연결끈, 측면날개의 하부측에 각기 연결된 레더락, 일단이 바닥날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더락에 각기 연결되는 바닥날개 지지끈, 상기 상부 링을 삽통하여 양단이 측면 날개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되어 있는 레더락에 설치되어 있는 날개 상향 조임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착 캐리어의 등받이, 바닥날개 및 한 쌍의 측면날개로 에워싸진 공간부에 수납 보관 및 분리 취출되는 물품 보관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착 캐리어에는 한 쌍의 측면 날개의 외측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는 텐션줄이 더 설치되고, 상기 텐션줄은 양단이 등받이쪽의 상,하부측 연결고리를 빠져나와 코드락에 연결되고, 코드락의 고정위치에 따라 텐션줄의 장력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착 캐리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한 허리부착겸용 헤드백이 더 구비되고;
상기 헤드백은 지퍼에 의해 물품 수납이 가능한 포켓과, 등받이의 전면 상부 양측에 설치된 암 버클과 결합되는 수 버클이 연결되어 있는 허리겸용 등받이 연결끈, 바닥날개의 중앙에 연결된 바닥날개 연결끈에 연결된 수버클과 잠금 및 해제되는 암버클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품 보관수단은 견착 캐리어의 등받이의 최대 높이가 허용하는 구간내에서 적정한 개수로 적층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팩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납팩은,
등받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를 갖는 수납통, 수납통에 연결되어 물품 보관 용량을 증가시키는 확장용 주머니, 확장용 주머니의 중간에 포설되어 있는 중간 묶음줄, 확장용 주머니의 상단에 포설되어 있는 상단 묶음줄, 중간 묶음줄과 상단 묶음줄에 각기 연결되어 묶음 위치를 고정시키는 코드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통의 상단측에는 최대로 확장된 확장용 주머니를 높이 방향에서 암수 버클의 결합을 통해 묶어주는 수납팩 잠금끈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품 보관수단은 견착 캐리어의 등받이의 최대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높이 방향으로 펼쳐져 최대 용량을 갖고 보관 용량에 따라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원통형 방수백으로 구성되고,
방수백은 상단에 포설된 조임끈과, 조임끈의 조임 위치를 고정하는 코드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는 견착 캐리어를 허리에 지지시키기 위해 암수 버클을 통해 착탈되는 허리벨트가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측면날개는 둘레를 미관의 고려와 함께 측면날개 연결끈으로 조임시 주름이 지지 않도록 S자 곡선으로 형성되고, 암버클과 측면날개 연결끈은 측면날개의 S자 곡선에서 돌출되는 부분에 연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에 따르면, 견착 캐리어와 이에 분리된 물품 보관수단으로 구성되고, 물품 보관수단은 예로 하나 이상의 수납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개별적인 수납팩마다 유사 분류된 물품을 저장시킨 후 견착 캐리어에 수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착용자는 견착 캐리어로 물품의 운반을 쉽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시 어느 때나 견착 캐리어를 쉽게 열고 해당 수납팩을 들어낸 후 필요한 물품을 쉽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수납팩은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어 유사물품의 수량이 많더라도 수납의 어려움이 없다. 또한 방수백을 사용하는 경우 견착 캐리어로부터 분리시키면 물건을 담거나 빼내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견착 캐리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한 허리부착겸용 헤드백을 견착 캐리어로부터 분리시켜 허리에 착용하면 귀중품 등의 보관을 더욱 안전하게 할 수 있고, 수시로 사용하는 물품의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해진다.
한편, 본 발명은 레크레이션 활동시 필요한 배낭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책이나 노트 그 밖의 필기도구 등을 운반시킬 수 있는 학생용 가방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작된 배낭과 관련된 사진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배낭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낭을 일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허리부착겸용 헤드백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착용상태도이고,
도 6은 도 2의 배낭에 수납팩이 수납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배낭에 적용되는 수납팩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수납팩이 최대로 확장된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수백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방수백이 헤드레스트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견착 캐리어에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방수백이 헤드레스트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견착 캐리어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낭은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보관 및 추출이 용이하도록 어깨에 견착되는 견착 캐리어(10)와, 도 6 및 도 8과 같이 견착 캐리어(10)에 수납 보관(운반) 및 분리 취출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팩(50)이나 도 9의 원통형 방수백(70) 등의 물품 보관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견착 캐리어(10)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허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허리부착겸용 헤드백(4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견착 캐리어(10)는 견착자의 등부분에 접촉 지지되는 부분으로 상단 중앙에 상부 링(11)이 설치되어 있는 등받이(12), 등받이(12)의 양측에서 각기 후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날개(14,14), 등받이(12)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는 바닥날개(16), 등받이(12)에 연결되어 좌우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어깨끈(18,18), 한 쌍의 측면날개(14,14) 및 바닥날개(16)를 한 쌍의 측면날개(14,14)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이 구비된다(도 1 내지 도 3, 도 10 및 도 11 참조).
연결수단은, 일측 측면날개(14)의 가장자리 상부 및 중간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암버클(20) 및 타측 측면날개(14)에 연결되어 해당 위치의 암버클(20)에 착탈되는 수버클(22)이 각기 끼워져 있는 복수개의 측면날개 연결끈(24,24), 측면날개(14,14)의 하부측에 각기 연결된 레더락(26,26), 일단이 바닥날개(16)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더락(26,26)에 각기 연결되는 바닥날개 지지끈(28), 상기 상부 링(11)을 삽통하여 양단이 측면 날개(14,14)의 상부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는 레더락(30)에 연결되어 있는 날개 상향 조임끈(32)이 구비되어 있다.
등받이(12), 측면날개(14,14) 및 바닥날개(16)는 모두 방수처리되어 제작된다. 등받이(12)는 쿠션감을 가지며 그 내부에 알루미늄 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날개(14,14)는 등받이(12)의 뒷 부분에 열린 수납 공간을 만들어 하나 이상의 수납팩(50)이나 원통형 방수백(70) 등의 물품 보관수단을 포획시키는 기능과 함께 선택 층의 수납팩(50)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11과 같이 한 쌍의 측면날개(14,14)는 둘레를 미관의 고려와 함께 측면날개 연결끈(24,24)으로 조임시 주름이 지지 않도록 S자 곡선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암버클(20)과 측면날개 연결끈(24,24)은 측면날개(14,14)의 S자 곡선에서 돌출되는 부분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암버클(20)에 수버클(22)을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측면날개(14,14)를 닫을 수 있다. 이때 측면날개 연결끈(24)을 더욱 조이게 되면, 한 쌍의 측면날개(14,14)의 사이에 수납된 도 6 및 도 8의 수납팩(50)이나 도 9의 원통형 방수백(70)을 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견착 캐리어(10)에는 한 쌍의 측면 날개(14,14)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고리(13)를 삽통하여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는 텐션줄(3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텐션줄(34)은 양단이 등받이(12)쪽의 상,하부측 연결고리(13)를 빠져나와 코드락(36)이 연결되고, 코드락(36)의 고정위치에 따라 텐션줄(34)의 장력이 조정되게 되어 있다. 이같이 텐션줄(34)에 장력이 걸려 있는 경우 각기 측면 날개(14,14)는 텐션줄(34)에 지지되어 수납팩(50)이나 원통형 방수백(70)의 수납시 전체적으로 고른 볼륨이 생기도록 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바닥날개(16)는 레더락(26,26)에 각기 연결되는 바닥날개 지지끈(28)으로 조이게 되면 수납 물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발생된다.
도 1과 같이 등받이(12)의 하부에는 견착 캐리어(10)를 착용자의 허리에 지지시키기 위해 암수 버클(19a,19b)을 통해 착탈되는 허리벨트(17)가 더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허리벨트(17)가 설치되는 경우 견착 캐리어(10)의 착용시 등받이(12)가 착용자의 등에 밀착 고정되어 운반시 견착 캐리어(10)가 불안정되게 들썩들썩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깨끈(18,18)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어깨끈 잠금벨트(15)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어깨끈 잠금벨트(15)는 양단이 각기 어깨끈(18)의 중간에 연결되어 암수 버클을 통해 벨트 풀림 및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11과 같이 허리부착겸용 헤드백(40)은 견착 캐리어(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헤드백(40)은 지퍼에 의해 물품 수납이 가능한 포켓(42)과, 등받이(12)의 전면 상부 양측에 설치된 암 버클(23a,23a)과 결합되는 수 버클(23b,23b)이 연결되어 있는 허리겸용 등받이 연결끈(42,42), 바닥날개(16)의 중앙에 연결된 바닥날개 연결끈(38)에 연결된 수버클(39a)과 잠금 및 해제되는 암버클(39b)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암 버클(23a,23a)과 수 버클(23b,23b)의 결합 및 수버클(39a)과 암버클(39b)의 결합을 각기 분리시켜 허리부착겸용 헤드백(40)을 견착 캐리어(10)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또한 분리된 허리부착겸용 헤드백(40)을 허리겸용 등받이 연결끈(42,42)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허리에 건 후 암 버클(23a,23a)과 수 버클(23b,23b)을 재결합시킴으로서 허리부착겸용 헤드백(40)의 허리 착용이 이루어진다.
물품 보관수단은 견착 캐리어(10)의 등받이(12), 바닥날개(16) 및 한 쌍의 측면날개(14,14)로 에워싸진 공간부에 용이하게 수납 보관되고 또한 쉽게 분리 취출되게 되어 있다.
물품 보관수단의 일 형태는 도 6 및 도 8과 같이 견착 캐리어(10)의 등받이(12)의 최대 높이가 허용하는 구간 내에서 적정한 개수로 적층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팩(50)으로 구성된다. 수납팩(50)이 방수 처리됨은 물론이다.
수납팩(50)은 등받이(1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를 갖는 수납통(52), 수납통(52)에 연결되어 물품 보관 용량을 증가시키는 확장용 주머니(54), 확장용 주머니(54)의 중간에 포설되어 있는 중간 묶음줄(56), 확장용 주머니(54)의 상단에 포설되어 있는 상단 묶음줄(58), 중간 묶음줄(56)과 상단 묶음줄(56)에 각기 연결되어 묶음 위치를 고정시키는 코드락(58)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팩(50)은 수납되는 물품의 분류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도 6과 같이 견착 캐리어(10)에 적층 수납되어 운반될 수 있다. 더욱이, 도 8과 같이 확장용 주머니(54)의 확장에 따라 수납통(52)의 용량을 넘는 물품도 쉽게 채워넣어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수납통(52)의 상단측에는 최대로 확장된 확장용 주머니(54)를 높이 방향에서 암수 버클(62a,62b)의 결합을 통해 묶어주는 수납팩 잠금끈(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팩(50)은 수납팩 잠금끈(60)을 이용하여 최대 용량의 물품을 안정되게 수납 및 저장할 수 있다.
물품 보관수단의 다른 형태로, 견착 캐리어(10)의 등받이의 최대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높이 방향으로 펼쳐져 최대 용량을 갖고 보관 용량에 따라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원통형 방수백(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수백(70)은 상단에 포설된 조임끈(72)과, 조임끈(72)의 조임 위치를 고정하는 코드락(74)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견착 캐리어(10)로 방수백(70)을 운반시킨 후 방수백(70)을 견착 캐리어(10)로부터 분리하여 쉽게 짐을 풀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낭의 사용 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견착 캐리어(10)를 내려 놓은 상태에서, 여러 개의 수납팩(50)에 종류 또는 용도별로 분류된 물품을 수납시킨다. 물론 하나의 수납팩(50)에 모든 물품이 수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류, 화장품 및 위생류, 식자재, 코펠, 침구류와 같이 동종 및 유사한 것까지 물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물품을 여러 개의 수납팩(50)에 각기 수납시킬 수 있다.
이후, 여러 개의 수납팩(50)의 짐 무게를 고려하여 분산시키거나 자주 사용되는 것을 윗부분으로 위치토록 하여 견착 캐리어(10)에 수납 적층시킨다. 그 다음 도 10과 같이 한 쌍의 측면날개(14,14)를 암버클(20)과 수버클(22)을 결합시키고 측면날개 연결끈(24,24)을 조여 적층된 수납팩(50)들이 견착 캐리어(10)에 일체되도록 한다. 이때 바닥날개 받침끈(28)을 더욱 조일 수 있다.
또한, 필요시 허리부착겸용 헤드백(40)을 견착 캐리어(10)의 상부에 설치 한 후 작은 물품을 보관시킬 수 있다.
다음, 한 쌍의 어깨끈(18,18)을 이용하여 견착 캐리어(10)를 착용하고, 추가적으로 허리벨트(17)를 착용하게 되면 안정적으로 짐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같이 본 발명은 용도별 또는 유사한 종류별도 물품을 분류시켜 수납팩(50)을 이용하여 짐을 싸게 되므로 필요할 때 원하는 물품을 용이하고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별도의 물품 분류가 필요없는 경우 도 9의 방수백(70)을 이용하여 물품을 채워넣은 후 견착 캐리어(10)에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견착 캐리어
34: 텐션줄
40: 헤드백
50: 수납팩
54: 확장용 주머니
70: 방수백

Claims (10)

  1. 삭제
  2. 견착자의 등부분에 접촉 지지되는 등받이(12); 등받이(12)의 양측에서 각기 후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날개(14,14); 등받이(12)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는 바닥날개(16); 등받이(12)에 연결되어 좌우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어깨끈(18,18); 한 쌍의 측면날개(14,14) 및 바닥날개(16)를 한 쌍의 측면날개(14,14)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견착 캐리어(1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일측 측면날개(14)의 가장자리 상부 및 중간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암버클(20) 및 타측 측면날개(14)에 연결되어 해당 위치의 암버클(20)에 착탈되는 수버클(22)이 각기 끼워져 있는 복수개의 측면날개 연결끈(24,24); 측면날개(14,14)의 하부측에 각기 연결된 레더락(26,26); 일단이 바닥날개(16)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더락(26,26)에 각기 연결되는 바닥날개 지지끈(28); 상기 상부 링(11)을 삽통하여 양단이 측면 날개(14,14)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되어 있는 레더락(30)에 설치되어 있는 날개 상향 조임끈(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
  3. 삭제
  4. 삭제
  5. 견착자의 등부분에 접촉 지지되는 등받이(12); 등받이(12)의 양측에서 각기 후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날개(14,14); 등받이(12)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는 바닥날개(16); 등받이(12)에 연결되어 좌우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어깨끈(18,18); 한 쌍의 측면날개(14,14) 및 바닥날개(16)를 한 쌍의 측면날개(14,14)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견착 캐리어(10); 및 상기 견착 캐리어(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한 허리부착겸용 헤드백(40);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백(40)은,
    지퍼(41)에 의해 물품 수납이 가능한 포켓(42); 등받이(12)의 전면 상부 양측에 설치된 암 버클(23a,23a)과 결합되는 수 버클(23b,23b)이 연결되어 있는 허리겸용 등받이 연결끈(42,42); 바닥날개(16)의 중앙에 연결된 바닥날개 연결끈(38)에 연결된 수버클(39a)과 잠금 및 해제되는 암버클(39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
  6. 삭제
  7. 견착자의 등부분에 접촉 지지되는 등받이(12); 등받이(12)의 양측에서 각기 후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날개(14,14); 등받이(12)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는 바닥날개(16); 등받이(12)에 연결되어 좌우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어깨끈(18,18); 한 쌍의 측면날개(14,14) 및 바닥날개(16)를 한 쌍의 측면날개(14,14)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견착 캐리어(10); 상기 견착 캐리어(10)의 등받이(12), 바닥날개(16) 및 한 쌍의 측면날개(14,14)로 에워싸진 공간부에 수납 보관 및 분리 취출되는 물품 보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 보관수단은 견착 캐리어(10)의 등받이(12)의 최대 높이가 허용하는 구간내에서 적정한 개수로 적층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팩(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납팩(50)은,
    등받이(1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를 갖는 수납통(52); 수납통(52)에 연결되어 물품 보관 용량을 증가시키는 확장용 주머니(54); 확장용 주머니(54)의 중간에 포설되어 있는 중간 묶음줄(56); 확장용 주머니(54)의 상단에 포설되어 있는 상단 묶음줄(58); 중간 묶음줄(56)과 상단 묶음줄(56)에 각기 연결되어 묶음 위치를 고정시키는 코드락(59);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통(52)의 상단측에는 최대로 확장된 확장용 주머니(54)를 높이 방향에서 암수 버클(62a,62b)의 결합을 통해 묶어주는 수납팩 잠금끈(6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140091918A 2014-07-21 2014-07-21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 KR101493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1918A KR101493199B1 (ko) 2014-07-21 2014-07-21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1918A KR101493199B1 (ko) 2014-07-21 2014-07-21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199B1 true KR101493199B1 (ko) 2015-02-13

Family

ID=5259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1918A KR101493199B1 (ko) 2014-07-21 2014-07-21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967B1 (ko) * 2018-11-08 2019-02-22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수준측량의 정밀측정 및 수집이 가능한 표척기구
KR101951718B1 (ko) * 2018-11-08 2019-02-25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야간수준측량 기능의 정밀측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1209B2 (ja) * 2001-09-21 2004-03-29 錦足袋株式会社 リュックサック
JP2006087858A (ja) * 2004-09-21 2006-04-06 Ever New Inc 登山用リュックサック
KR100790023B1 (ko) 2006-08-25 2008-01-16 박우경 조난 구조 겸용의 등산용 배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1209B2 (ja) * 2001-09-21 2004-03-29 錦足袋株式会社 リュックサック
JP2006087858A (ja) * 2004-09-21 2006-04-06 Ever New Inc 登山用リュックサック
KR100790023B1 (ko) 2006-08-25 2008-01-16 박우경 조난 구조 겸용의 등산용 배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967B1 (ko) * 2018-11-08 2019-02-22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수준측량의 정밀측정 및 수집이 가능한 표척기구
KR101951718B1 (ko) * 2018-11-08 2019-02-25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야간수준측량 기능의 정밀측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2035B2 (en) Collapsible travel neck support tube
US4881684A (en) Wrapper for articles with improved securing arrangement
US7673777B2 (en) Backpack frame system
US9775428B2 (en) Portable container holder
US10010159B1 (en) Backpack for carrying collapsible chairs
US9756920B2 (en) Backpack with removable straps and adjustable belts
KR101870018B1 (ko) 팩 내의 격실용 자동 개구
US20180008024A1 (en) Clip and webbing system to join multiple bags and avoid multiple carrying straps by utilizing the structure of one bag or by joining them together
US20210315365A1 (en) Combination backpack and baby carrier
US20110017793A1 (en) Adaptable wearable flexible tubular carrier and travel pillow
EP3804556B1 (en) Travel strap system
KR101493199B1 (ko) 물품의 용도 분류에 따른 분리 운반 및 추출이 용이토록 한 배낭
WO1995001112A2 (en) Expanded carrying system
US78413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houlder bag attachment
US10506867B2 (en) Configurable bag having faceplates
US20050035169A1 (en) Recreational bag
US20210227956A1 (en) Running pack
US11969076B2 (en) Convertible shoulder bag and backpack
EP0281478A2 (fr) Perfectionnement apporté aux articles de bagagerie pour le rangement et le transport d'articles quelconques en particulier à usage domestique de voyage ou scolaire
KR101495703B1 (ko) 여행용 가방
CN201640799U (zh) 组合式书包
JP3225961U (ja) 収容バッグ
KR101674409B1 (ko) 배낭
JP3239584U (ja) バック
CN211870072U (zh) 外送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