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047B1 -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047B1
KR101493047B1 KR20080119886A KR20080119886A KR101493047B1 KR 101493047 B1 KR101493047 B1 KR 101493047B1 KR 20080119886 A KR20080119886 A KR 20080119886A KR 20080119886 A KR20080119886 A KR 20080119886A KR 101493047 B1 KR101493047 B1 KR 101493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nductive
conductive pattern
layer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19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017A (ko
Inventor
김주형
강창석
장성일
박영우
최정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1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047B1/ko
Priority to US12/622,594 priority patent/US8546870B2/en
Publication of KR2010006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harge-trapp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유전 패턴, 정보 저장 패턴 및 제2 유전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유전 패턴 상에 제1 도전 패턴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도전 패턴 상에 상기 제1 도전 패턴보다 큰 폭을 갖는 제2 도전 패턴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도전성 패턴들을 구비하는 게이트 구조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도체 소자는 디램 소자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플래쉬 메모리 소자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전원이 차단될지라도 플래쉬 기억 셀들 내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유지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도전성 패턴들을 구비하는 게이트 구조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도전 패턴들을 구비하는 반도체소자를 제공한다. 이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유전 패턴, 정보 저장 패턴 및 제2 유전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유전 패턴 상에 제1 도전 패턴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도전 패턴 상에 상기 제1 도전 패턴보다 큰 폭을 갖는 제2 도전 패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전 패턴은 상기 제1 도전 패턴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은 서로 다른 도전성 물질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유전 패턴의 측벽들은 수직 정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전 패턴은 상기 제2 도전 패턴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저장 패턴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차지 트랩층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은 게이트 전극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도전 패턴은 상기 제1 도전 패턴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유전막, 정보 저장막 및 제2 유전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유전막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도전막 및 제2 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정보 저장막, 상기 제2 유전막,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전막들을 패터닝하여, 차례로 적층된 정보 저장 패턴, 제2 유전 패턴, 제1 예비 도전 패턴 및 제2 도전 패턴을 형성한다. 산화 공정 또는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예비 도전 패턴의 폭을 감소시키어 상기 제2 도전 패턴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1 도전 패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서로 다른 폭의 도전 패턴들을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유전막, 정보 저장막 및 제2 유전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유전막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도전막 및 제2 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막들을 패터닝하여, 차례로 적층된 제1 예비 도전 패턴 및 제2 도전 패턴을 형성한다. 산화 공정 또는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예비 도전 패턴의 폭을 감소시키어 상기 제2 도전 패턴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1 도전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도전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2 유전막 및 상기 정보 저장막을 식각 하여, 차례로 적층된 정보 저장 패턴 및 제2 유전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유전 패턴은 상기 제1 도전 패턴보다 큰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전막 및 상기 정보 저장막을 식각하기 전에,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의 측벽들 상에 절연성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는, 상기 제2 유전막 및 상기 정보 저장막을 식각하는 동안에, 식각 마스크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례로 적층된 정보 저장 패턴, 블로킹 유전 패턴, 제1 도전 패턴 및 제2 도전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 패턴은 상기 제2 도전 패턴 및 상기 블로킹 유전 패턴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지우기 동작 시에, 제1 도전 패턴의 엣지(edge)에서의 전기장에 의한 전자 백-터널링(electron back-tunneling)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지우기 동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여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나타낸 단면도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나타낸 단면도들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우선, 도 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필드영역 및 활성영역을 갖는 기판(1)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기판(1)은 실리콘 등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한 반도체 웨이퍼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은 단결정 반도체 기판 또는 단결정 반도체 바디층을 갖는 에스오아이(SOI; Silicon On Insulator)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단결정 반도체 기판 또는 상기 단결정 반도체 바디층은 실리콘층, 저마늄층 또는 실리콘 저마늄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기판(1)의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필드영역에 형성된 소자분리 영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소자분리 영역은 STI(shallow trench isolation) 공정에 의해 형성된 소자분리막일 수 있다.
상기 기판(1)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유전 패턴(5a), 정보 저장 패턴(10a) 및 제2 유전 패턴(15a)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전 패턴(5a)은 터널 유전막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널 유전막은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산질화막(SiON layer), 질소 도핑된 실리콘산화막(nitrogen doped Si oxide layer) 및 고유전막 그룹(high-k dielectric group)으로 구성된 일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전막은 알루미늄 산화막 (AlO layer), 지르코늄 산화막(ZrO layer), 하프늄 산화막(HfO layer) 및 란타늄 산화막(LaO layer) 등과 같이 실리콘 산화막보다 높은 유전 상수를 갖는 유전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 패턴(10a)은 플래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정보 저장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 패턴(10a)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트랩들을 갖는 막일 수 있다. 즉, 상기 정보 저장 패턴(10a)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차지 트랩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저장 패턴(10a)은, 소자의 동작 조건에 따라, 상기 반도체기판(1)으로부터 상기 제1 유전 패턴(5a)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를 트랩하여 보유(retention) 하거나, 트랩된 전자를 소거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 패턴(10a)은 실리콘산질화막(SiON), 실리콘질화막 및 고유전막 그룹으로 구성된 일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 패턴(10a)은 실리콘 퀀텀 돗(silicon quantum do), 저마늄 퀀텀 돗(germanium quantum dot), 금속 퀀텀 돗(metal quantum dot) 및 나노 크리스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 크리스탈은 텅스텐(W), 타이타늄(Ti), 탄탈륨(Ta), 구리(Cu), 몰리브덴(Mo) 및 니켈(Ni)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거나, 이들의 질화물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크리스탈은 지르코늄(Zr), 하프늄(Hf), 이트륨(Y), 알루미늄(A) 중세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나노크리스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크리스탈은 실리콘 나노크리스탈, 저마늄(Ge) 나노크리스탈, 질화실리콘 나노크리스탈, 보론 나노크리스탈 또는 질화보론 나노크리스탈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 패턴(10a)은 실리콘막, 저마늄막, 또는 실리콘-저마늄막 등과 같이 전자를 보유할 수 있는 물질막일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 패턴(15a)은 블로킹 유전막일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 패턴(15a)은 고유전막 그룹으로 구성된 일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 패턴(15a)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도전 패턴(20b) 및 제2 도전 패턴(25a)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 패턴(20a)은 금속막, 금속 실리사이드막, 금속질화막, 도우프트 실리콘막, 도우프트 저마늄막 및 도우프트 실리콘-저마늄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 패턴(25a)은 금속막, 금속 실리사이드막, 금속질화막, 도우프트 실리콘막, 도우프트 저마늄막 및 도우프트 실리콘-저마늄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20b, 25a)은 서로 다른 도전성 물질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20b, 25a)은 티타늄 막, 탄 탈륨막, 텅스텐막, 니켈 막, 하프늄 막, 니오븀 막, 몰리브덴 막, 이리듐 막, 백금 막, 코발트 막, 크롬 막, 팔라듐 막, 티타늄 질화막, 탄탈륨 질화막, 텅스텐 질화막, 몰리브덴 질화막, 루테늄 산화막(RuO layer), 티타늄 알루미늄 질화막(TiAlN layer), 텅스텐 실리사이드막, 니켈 실리사이드막, 코발트 실리사이드막, 탄탈륨 실리사이드막, 도우프트 실리콘막, 도우프트 저마늄막 및 도우프트 실리콘-저마늄막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 막들 중 선택된 서로 다른 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동일한 산화 공정 조건에서 상기 제1 도전 패턴(20b)으로부터 성장하는 산화막이 상기 제2 도전 패턴(25a)으로부터 성장하는 산화막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20b, 25a)의 물질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도전 패턴(20b)을 티타늄막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 패턴(25a)을 텅스텐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도전 패턴(20b)을 폴리 실리콘막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 패턴(25a)을 금속막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도전 패턴(20b)은 상기 제2 도전 패턴(25a)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막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도전 패턴(20b)의 측벽 상에 측벽 절연막(35)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측벽 절연막(35)은 상기 제1 도전 패턴(20b)의 측벽으로부터 성장하여 형성된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 패턴(15a)은 상기 제1 도전 패턴(20b)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과물을 플래쉬 메모리 셀에 이용하는 경우에,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지우기 동작 시에, 상기 게이트 구조체의 상기 제1 도전 패턴(20b)의 엣지(edge)에서의 전기장에 의한 전자 백-터널링(electron back-tunneling)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기판(1)으로부터의 정공 터널링(hole tunneling)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지우기 동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 패턴(25a)은 상기 제1 도전 패턴(20b)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도전 패턴(25a)의 두께는 상기 제1 도전 패턴(20b)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즉, 폭 및/또는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2 도전 패턴(25a)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반도체소자의 신호 전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구조에 대하여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4b에서의 실시예는 도 1c의 상기 제2 유전 패턴(15a), 상기 제1 도전 패턴(20b)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25a)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유전 패턴(215a), 상기 제1 도전 패턴(220b)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225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c에서, 상기 제2 유전 패턴(15a)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25a)의 측벽들은 수직 정렬될 수 있다. 즉, 도 1c에서, 상기 제2 유전 패턴(15a)과 상기 제2 도전 패턴(25a)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유전 패턴(215a)은 상기 제2 도전 패턴(225a)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220b, 225a)의 측벽들 상에 형성된 절연성 스페이서(235)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기판(1)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기판(1)은 실리콘 등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한 반도체 웨이퍼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은 단결정 반도체 기판 또는 단결정 반도체 바디층을 갖는 에스오아이(SOI; Silicon On Insulator)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단결정 반도체 기판 또는 상기 단결정 반도체 바디층은 실리콘층, 저마늄층 또는 실리콘 저마늄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에 소자분리 영역(미도시)을 형성하여 활성영역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소자분리 영역(미도시)은 STI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판(1)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유전막(5), 정보 저장막(10) 및 제2 유전막(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전막(5)은 터널 유전막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널 유전막은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산질화막(SiON layer), 질소 도핑된 실리콘산화막(nitrogen doped Si oxide layer) 및 고유전막 그룹(high-k dielectric group)으로 구성된 일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전막은 알루미늄 산화막 (AlO layer), 지르코늄 산화막(ZrO layer), 하프늄 산화막(HfO layer) 및 란타늄 산화막(LaO layer) 등과 같이 실리콘 산화막보다 높은 유전 상수를 갖는 유전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막(10)은 플래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정보 저장 영역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저장막(10)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트랩들을 갖는 막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막(10)은 실리콘산질화막(SiON), 실리콘질화막 및 고유전막 그룹으로 구성된 일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막(10)은 실리콘 퀀텀 돗(silicon quantum do), 저마늄 퀀텀 돗(germanium quantum dot), 금속 퀀텀 돗(metal quantum dot) 및 나노 크리스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노 크리스탈은 텅스텐(W), 타이타늄(Ti), 탄탈륨(Ta), 구리(Cu), 몰리브덴(Mo) 및 니켈(Ni)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거나, 이들의 질화물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크리스탈은 지르코늄(Zr), 하프늄(Hf), 이트륨(Y), 알루미늄(A) 중세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나노크리스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크리스탈은 실리콘 나노크리스탈, 저마늄(Ge) 나노크리스탈, 질화실리콘 나노크리스탈, 보론 나노크리스탈 또는 질화보론 나노크리스탈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막(10)은 실리콘막, 저마늄막, 또는 실리콘-저마늄막 등과 같이 전자를 보유할 수 있는 물질막일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막(15)은 블로킹 유전막일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막(15)은 고유전막 그룹으로 구성된 일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막(15)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도전막(20) 및 제2 도전막(2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막(20)은 금속막, 금속 실리사이드막, 금속질화막, 도우프트 실리콘막, 도우프트 저마늄막 및 도우프트 실리콘-저마늄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막(25)은 금속막, 금속 실리사이드막, 금속질화막, 도우프트 실리콘막, 도우프트 저마늄막 및 도우프트 실리콘-저마늄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막들(20, 25)은 서로 다른 도전성 물질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도전막들(20, 25)은 티타늄 막, 탄탈륨막, 텅스텐막, 니켈 막, 하프늄 막, 니오븀 막, 몰리브덴 막, 이리듐 막, 백금 막, 코발트 막, 크롬 막, 팔라듐 막, 티타늄 질화막, 탄탈륨 질화막, 텅스텐 질화막, 몰리브덴 질화막, 루테늄 산화막(RuO layer), 티타늄 알루미늄 질화막(TiAlN layer), 텅스텐 실리사이드막, 니켈 실리사이드막, 코발트 실리사이드막, 탄탈륨 실리사이드막, 도우프트 실리콘막, 도우프트 저마늄막 및 도우프트 실리콘-저마늄막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 막들 중 선택된 서로 다른 막들로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한 산화 공정 조건에서, 상기 제1 도전막(20)으로부터 성장하는 산화막이 상기 제2 도전막(25)으로부터 성장하는 산화막보다 두껍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도전막들(20, 25)의 물질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도전막(20)을 티타늄막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막(25)을 텅스텐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도전막(20)을 폴리 실리콘막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막(25)을 금속막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도전막(20)은 상기 제2 도전막(25)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도전막(25)은 상기 제1 도전막(20)에 비하여 전기 전도성이 높은 도전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도전막(25)은 상기 제1 도전막(20)의 제1 두께(t1) 보다 큰 제2 두께(t2)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막(25) 상에 마스크(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30)는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 등과 같은 절연성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30)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2 도전막(25), 상기 제1 도전막(20), 상기 제2 유전막(15) 및 상기 정보 저장막(10)을 차례로 식각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례로 적층된 정보 저장 패턴(10a), 제2 유전 패턴(15a), 제1 예비 도전 패턴(15a) 및 제2 도전 패턴(25a)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 패턴(10a)과 상기 기판(1) 사이의 상기 제1 유전막은 제1 유전 패턴(5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예비 도전 패턴(20a)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25a) 중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예비 도전 패턴(20a)의 측벽에서 보다 두꺼운 산화막을 성장시킬 수 있는 산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O 등과 같은 산화성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분위기에서 산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NO 등과 같은 산화성 가스와 더불어 상기 제2 도전 패턴(25a), 예를 들어 금속막에 대한 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 수소 등과 같은 금속 산화 억제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분위기에서 상기 제1 도전 패턴(20a), 예를 들어 도우프트 폴리 실리콘막으로부터 산화막을 성장시킬 수 있는 선택적 산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예비 도전 패턴(20a)의 측벽 상에 측벽 산화막(3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벽 산화막(35)은 상기 제1 예비 도전 패턴(20a)으로부터 성장하기 때문에, 산소와 상기 제1 예비 도전 패턴(20a)을 구성하는 원소(element)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예비 도전 패턴(15a)은 그 폭이 감소하여 제1 도전 패턴(20b)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20b)은 상기 제2 도전 패턴(25a) 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 패턴(20b)은 상기 제2 유전 패턴(15a)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c에서, 상기 제1 도전 패턴(20a)을 형성하기 위해 산화 공정을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예비 도전 패턴(도 1b의 2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도전 패턴(25a) 및 상기 정보 저장 패턴(15a) 보다 폭이 좁은 제1 도전 패턴(20c)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식각 공정은 상기 제1 예비 도전 패턴(도 1b의 20)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는 등방성 식각 공정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기판(100) 상에 차례로 적층 된 제1 유전막(105), 정보 저장막(110), 제2 유전막(1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막(115)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도전막, 제2 도전막 및 마스크(1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130)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전막들을 식각하여, 차례로 적층된 예비 도전 패턴(120a) 및 제2 도전 패턴(125a)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예비 도전 패턴(도 3a의 120a)의 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1c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산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도전 패턴(125a)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1 도전 패턴(120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도전 패턴(120b)의 측벽 상에 측벽 산화막(13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130)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2 유전막(도 3b의 115) 및 상기 정보 저장 막(110)을 차례로 식각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례로 적층된 정보 저장 패턴(110a) 및 제2 유전 패턴(11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막(도 3b의 115) 및 상기 정보 저장막(도 3b의 110)을 식각하는 동안에, 상기 측벽 산화막(135)의 일부가 식각되어 잔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 패턴(110a)과 상기 기판(100) 사이의 상기 제1 유전막은 제1 유전 패턴(105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전막(도 3b의 115) 및 상기 정보 저장막(도 3b의 110)을 식각하는 동안에, 상기 측벽 산화막(135)은 상기 제2 유전 패턴(115a)의 폭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 산화 막(135)과 상기 제1 도전 패턴(120b)의 전체 폭이 상기 제2 도전 패턴(125a) 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2 유전 패턴(115a)은 상기 제2 도전 패턴(125a)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기판(200)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유전막(205), 정보 저장막(210), 제2 유전막(2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막(215)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도전막, 제2 도전막 및 마스크(2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230)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전막들을 식각하여, 차례로 적층된 예비 도전 패턴 및 제2 도전 패턴(225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예비 도전 패턴의 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1c에서 설명한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산화 공정을 진행하거나, 도 2에서 설명한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예비 도전 패턴을 선택적으로 등방성 식각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도전 패턴(225a)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1 도전 패턴(220b)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차례로 적층된 상기 제1 도전 패턴(220b), 상기 제2 도전 패턴(225a) 및 상기 마스크(230)의 측벽들 상에 절연성 스페이서(235)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235)를 형성하는 것은 생략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230) 및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235)를 식각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2 유전막(도 4a의 215) 및 상기 정보 저장 막(도 4a의 210)을 차례로 식각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례로 적층된 정보 저장 패턴(210a) 및 제2 유전 패턴(21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 패턴(215a)은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220b, 225a)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 패턴(210a)과 상기 기판(200) 사이의 상기 제1 유전막은 제1 유전 패턴(205a)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235)를 생략하는 경우, 상기 마스크(230)를 식각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2 유전막(도 4a의 215) 및 상기 정보 저장 막(도 4a의 210)을 차례로 식각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Claims (10)

  1. 반도체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유전 패턴, 정보 저장 패턴 및 제2 유전 패턴;
    상기 제2 유전 패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유전 패턴과 접촉하는 제1 도전 패턴;
    상기 제1 도전 패턴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1 도전 패턴보다 큰 폭을 갖는 제2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 상에 배치되며 절연성 물질로 형성된 마스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유전 패턴은 상기 제1 도전 패턴의 폭 보다 큰 폭을 갖는 반도체소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은 서로 다른 도전성 물질막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유전 패턴의 측벽들은 수직 정렬된 반도체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 패턴은 상기 제2 도전 패턴 보다 큰 폭을 갖는 반도체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패턴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차지 트랩층인 반도체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 패턴은 상기 제1 도전 패턴보다 두꺼운 반도체소자.
  8. 반도체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유전막, 정보 저장막 및 제2 유전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유전막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도전막 및 제2 도전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막상에 마스크를 형성하되, 상기 마스크는 절연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막, 상기 제2 유전막,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전막들을 패터닝하여, 차례로 적층된 정보 저장 패턴, 제2 유전 패턴, 제1 예비 도전 패턴 및 제2 도전 패턴을 형성하고,
    산화 공정 또는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예비 도전 패턴의 폭을 감소시키어 상기 제2 도전 패턴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2 유전 패턴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1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9. 반도체기판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유전막, 정보 저장막 및 제2 유전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유전막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1 도전막 및 제2 도전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막들을 패터닝하여, 차례로 적층된 제1 예비 도전 패턴 및 제2 도전 패턴을 형성하고,
    산화 공정 또는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예비 도전 패턴의 폭을 감소시키어 상기 제2 도전 패턴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1 도전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2 유전막 및 상기 정보 저장막을 식각하여, 차례로 적층된 정보 저장 패턴 및 제2 유전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유전 패턴은 상기 제1 도전 패턴보다 큰 폭을 갖고,
    상기 제2 유전막 및 상기 정보 저장막을 식각하기 전에,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의 측벽들 상에 절연성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는 상기 제2 유전막 및 상기 정보 저장막을 식각하는 동안에, 식각 마스크로 이용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10. 삭제
KR20080119886A 2008-11-28 2008-11-28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493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9886A KR101493047B1 (ko) 2008-11-28 2008-11-28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2/622,594 US8546870B2 (en) 2008-11-28 2009-11-20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gate structures with conductive patterns of different width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uch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9886A KR101493047B1 (ko) 2008-11-28 2008-11-28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017A KR20100061017A (ko) 2010-06-07
KR101493047B1 true KR101493047B1 (ko) 2015-02-13

Family

ID=4222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19886A KR101493047B1 (ko) 2008-11-28 2008-11-28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46870B2 (ko)
KR (1) KR101493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1123A (ja) * 2011-04-15 2012-11-2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基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8866212B2 (en) * 2011-05-13 2014-10-21 Globalfoundries Singapore Pte Ltd Structures and methods of improving reliability of non-volatile memory devices
KR20130117130A (ko) * 2012-04-17 201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구조물
KR20160148795A (ko) * 2015-06-16 2016-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1916A1 (en) * 2004-09-09 2006-04-20 Woong-Hee Sohn Methods of forming gate structures for semiconductor devices and related structures
KR20070090352A (ko) * 2006-03-02 2007-09-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100759845B1 (ko) 2006-09-11 2007-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80061360A1 (en) * 2006-09-08 2008-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072A (ja) * 1999-07-16 200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259552B (en) * 2003-06-30 2006-08-01 Macronix Int Co Ltd Self-aligned process for flash memo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1916A1 (en) * 2004-09-09 2006-04-20 Woong-Hee Sohn Methods of forming gate structures for semiconductor devices and related structures
KR20070090352A (ko) * 2006-03-02 2007-09-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US20080061360A1 (en) * 2006-09-08 2008-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59845B1 (ko) 2006-09-11 2007-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33604A1 (en) 2010-06-03
KR20100061017A (ko) 2010-06-07
US8546870B2 (en)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472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978766B1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electrically isolated support pillar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9754963B1 (en) Multi-tier memory stack structure containing two types of support pillar structures
EP3210235B1 (en) Methods of forming three dimensional nand string memory devices
KR100755410B1 (ko) 게이트 구조물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 비휘발성 메모리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355099B2 (en) Semiconductor device
US7341912B2 (en) Split gate flash memory device having self-aligned control g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99672B2 (en) Methods of forming nonvolatile memory devices
US8674429B2 (en) Gate structure in non-volatile memory device
JP4901729B2 (ja) ナノクラスタ電荷蓄積デバイスの形成方法
US20210242241A1 (en) Three-dimensional nor array including vertical word lines and discrete memory ele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130175604A1 (en) Nonvolatile charge trap memory device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blocking region
US20020079533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its manufacture
JP200908116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34612A (ko) 3차원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TW200805506A (en) Method for making a raised vertical channel transistor device
US20060118899A1 (en) Schottky barrier tunnel single electron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28189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9045808A1 (en) RANDOM ACCESS RESISTIVE MEMORY DEVICE CONTAINING PARTS OF DISCRETE MEMORY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200908237A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electronic systems comprising floating gate transisto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0855557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444100B2 (en) Vertical memory device with tri-layer channel
US7645663B2 (en) Method of producing non volatile memory device
KR101493047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3282748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