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002B1 -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002B1
KR101492002B1 KR20110112220A KR20110112220A KR101492002B1 KR 101492002 B1 KR101492002 B1 KR 101492002B1 KR 20110112220 A KR20110112220 A KR 20110112220A KR 20110112220 A KR20110112220 A KR 20110112220A KR 101492002 B1 KR101492002 B1 KR 10149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formation
power consumption
mobile terminal
schedu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1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292A (ko
Inventor
최기만
곽승훈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10112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0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53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 H04L12/1482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use of telephony infrastructure for billing for the transport of data, e.g. call detail record [CDR] or intelligent network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력소모장치의 전력 상태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력소모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다수의 전력소모장치에서의 운전상태, 계측 및 적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전력 정보를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한 제1 전력 정보를 토대로 소정의 전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다수의 전력소모장치 각각에 대한 개별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관리 스케줄링 결과에 따른 제1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전력 제어 신호를 대응하는 전력소모장치로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of remote control power consumption device using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댁내 전력소모장치의 전력상태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력소모장치의 전원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에너지의 소비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조명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전기에너지 소비량의 20%에 달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기제품이 보급됨에 따라 전기에너지 소비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소비의 증가는 가계나 기업뿐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방안의 일 예로, 가정이나 회사 또는 공장 등에서 사용자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전자기기들의 전원을 ON/OFF 하거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도 소비되는 전력인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에너지 관리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 가전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으로, 사용하지 않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멀티 탭(multi tap)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방안은 손수 플러그를 분리하거나 멀티 탭의 스위치를 동작시켜줘야 한다는 등 사용자의 자발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불편함과 자동절전 멀티 탭을 사용하는 경우 멀티 탭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기제품의 전력을 일괄적으로 제어하여야 하고 전기제품에 대한 개별관리가 어렵다는 점에서 에너지 소비절감 효과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홈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에 따라 원격지에서도 전기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달 및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 휴대가 보편화되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 요구에 부응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단순 음성 통신 수단에서 벗어나 통신 가입자들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매체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이 항시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상에서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댁내 전력소모장치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전력소모장치의 전원 상태를 개별 스케줄링하여 제어함으로써, 실시간 효율적인 전원 관리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은, 홈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력소모장치의 전력 상태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력소모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다수의 전력소모장치에서의 운전상태, 계측 및 적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전력 정보를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한 제1 전력 정보를 토대로 소정의 전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다수의 전력소모장치 각각에 대한 개별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관리 스케줄링 결과에 따른 제1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전력 제어 신호를 대응하는 전력소모장치로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전력정보는, 상기 전력소모장치로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전력사용정보 및 홈 네트워크 접속시 할당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전원 스케줄링 정보는, 각 전력소모장치의 용도에 따른 시간대별 운전 여부, 운전 시간, 전원 ON/OFF, 에너지 출력 레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소모장치는, 상기 전력소모장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상기 제1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관리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관리 수행시, 상기 전력소모장치에 기 설정된 소정의 전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1 전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제어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소모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댁내 재실정보, 환경정보(댁내 온도 및 습도 등),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 또는 전력 요금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소모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전력 정보 및 상기 제2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상기 전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다수의 전력소모장치 각각에 대한 개별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관리 스케줄링 결과에 따른 제2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력 제어 신호를 대응하는 전력소모장치로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소모장치는, 상기 전력소모장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상기 제2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관리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관리 수행시, 상기 전력소모장치에 기 설정된 소정의 전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2 전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제어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상에서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댁내 전력소모장치를 원격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전력소모장치의 전원 상태를 개별 스케줄링하여 제어함으로써 실시간 효율적으로 전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전력소모장치의 구성요소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본 발명은 댁내 전력소모장치의 전력상태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력소모장치의 전원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홈 네트워크 서버(110),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전력소모장치(120) 및 홈 네트워크에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30)를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 서버(110)는 댁내 근거리 무선 통신과 외부의 이동통신망, 유무선 인터넷 망을 통한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다수의 전력소모장치(예, 통신모듈을 구비한 가전제품)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홈 PNA(Phone line Networking Alliance),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IEEE 1394 방식의 유선 또는 무선 홈 버스를 통해 접속되어 외부 네트워크 통신데이터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에 의하여 접속된 다수의 전력소모장치의 구동 여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네트워크 서버(110)는 홈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한 전력소모장치(12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홈 네트워크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장치(120)를 검색하고, 접속한 전력소모장치(120)로부터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위한 정보는 전력소모장치별로 제공하는 장치 식별정보, 위치정보, 전력사용정보, 네트워크 정보 등을 포함하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전력소모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정보를 '정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로 지칭한다. 이때, 정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에 포함되는 전력사용정보는 다수의 전력소모장치에서의 운전상태, 계측 및 적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서버(110)는 댁내 설치된 동작센서, 적외선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으로부터 재실정보 또는 환경정보(댁내 온도 및 습도 등) 등을 수신하고, 댁내 설치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미터기로부터 장치별 또는 장치 그룹별 소모 전력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이 전력소모장치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제외한 전력 관리를 위한 정보를 '동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라 지칭한다.
홈 네트워크 서버(110)는 홈 네트워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130)로 정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 및 동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소모장치(120)는 홈 네트워크에 등록된 것으로, 블루투스, 지그비, UWB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PLC 통신 또는 유무선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서버(110)와 일정 주기 또는 이벤트 발생시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일정 주기 또는 이벤트 발생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력소모장치(120)는 소정의 전원 관리 에이전트(Agent)가 구비되어 홈 네트워크 서버(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장치의 전원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소모장치(120)의 일 예로, 댁내 설치되는 가전 제품이면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최신 IT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가전을 들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30)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외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댁내 홈 네트워크 서버(11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30)는 댁내에서는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력소모장치(120)와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30)는 홈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홈 네트워크 서버(110)로부터 댁내 전력소모장치(120)의 전원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전원 관리 스케줄링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댁내 전력소모장치(120)의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은, 종래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신호가 홈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댁내 복수의 전력소모장치로 전송되던 방식과 달리,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직접 댁내 전력소모장치의 전원 관리를 수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전력소모장치의 구성요소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소모장치(200)는 통신모듈(210), 출력부(220), 제어부(230), 전원 관리부(240) 및 메모리(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그 용도에 부합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10)은 이동통신 모듈(211), 유무선 인터넷 모듈(21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3) 등을 포함하여, 전력소모장치(200)가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즉, 통신 모듈(210)을 통해 블루투스, 지그비, UWB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PLC 통신 또는 유무선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서버(110)와 일정 주기 또는 이벤트 발생시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무선인터넷,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일정 주기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정적 전원 제어 신호 또는 동적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220)는 현재 전력소모장치(200)의 운전과 관련된 정보, 전력 소비에 관한 정보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전력소모장치(200)의 운전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전력소모장치(200)에 대한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위한 기본 정보를 생성하고 전원 관리부(240)와 연동하여 전력소모장치(200)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 관리 에이전트(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관리 에이전트(231)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관리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장치(200)의 전원 ON/OFF, 운전 시간, 운전시 출력하는 에너지 레벨 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원 관리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관리부(24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전력 제어 신호에 따른 전원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전력소모장치(200)의 식별정보(제품명, 제품코드, 제품위치 등) 및 전력소모장치(200)의 운전에 따라 소모되는 전력량, 운전 시간 정보, 운전에 따른 에너지 출력레벨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접속한 홈 네트워크 서버(110)로 전송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240)는 외부 전원, 즉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전력소모장치(200) 및 이를 구성하는 회로, 유닛 등을 구동하는 직류 전원을 출력하고, 제어부(230)로부터 수신하는 전원 ON/OFF, 운전 시간, 운전시 출력하는 에너지 레벨 등에 관한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25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저장하며, 이후 재스케줄링 정보 수신시엔 저장된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변경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310), 사용자 입력부(320), 출력부(330), 제어부(340) 및 메모리(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310)는 이동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300)와 이동 단말기(3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311),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312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을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0)는 미리 등록된 홈 네트워크 서버(11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댁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장치의 전원 관리에 이용되는 정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 또는 동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20)를 통해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 또는 이동 통신망이나 무선 인터넷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출력부(3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31)를 포함한다. 출력부(330)는 이동 단말기(300)가 홈 네트워크 서버(110)에 접속하여 서버(11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31)의 일면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제어부(34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장치들의 전원 관리를 위한 홈 네트워크 전력 관리 모듈(34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관리 모듈(341)은 무선 통신부(310)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댁내 전력소모장치의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전원 관리 어플리케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장치에 대한 정적 전원 관리 스케줄링 또는 동적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정적 전원 관리 스케줄링은 홈 네트워크 서버(110)에서 수집하여 전송한 전력소모장치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전력사용정보, 네트워크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해당 장치의 운전 시간, 전원 ON/OFF, 에너지 출력 레벨 등을 지정하는 것이다. 동적 전원 관리 스케줄링은 홈 네트워크 서버(110)에서 수집하여 전송한 댁내 재실정보 또는 환경정보(댁내 온도 및 습도 등) 등을 포함하는 동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와 미리 수신한 정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해당 장치의 운전 시간, 전원 ON/OFF, 에너지 출력 레벨 등을 지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원 스케줄링은 전원 관리 모듈(341) 에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프로세스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는 방식, 홈 네트워크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320)를 통해 수행하는 방식 또는 상기 두 방식을 절충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전원 관리 모듈(341)은 상술한 스케줄링 결과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전원 스케줄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장치로 무선 통신부(310)를 이용하여 전력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단말기(300) 상에서 수행한 전원 관리 스케줄링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력소모장치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댁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300)를 가전제어를 위한 리모콘 콘트롤러와 같이 사용하여, 무선 인터넷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력소모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각 전력소모장치를 원격조정할 수 있다.메모리(350)는 제어부(3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5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스케줄링 관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장치에 관하여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고, 전원 관리 모듈(341)에서 수행한 정적 전원 스케줄링 결과 또는 동적 전원 스케줄링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50)는 홈 네트워크 전원 관리를 위해 필요한 부가정보(예를 들어, 실시간 변동하는 전력 요금제 정보, 전력시장 정보, 장치별 전력사용 이력 및 평균 전력사용량 등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전원 관리 모듈(341)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4에서는 단일 전력소모장치만을 표시하고 있으나, 이는 다수개의 전력소모장치 또는 전력소모장치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서버는 홈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서버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장치를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탐색한다(S401).
탐색 결과, 홈 네트워크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장치로부터 장치 식별정보, 위치정보, 전력사용정보, 네트워크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S402). 상기 전력소모장치는 홈 네트워크에 미리 등록된 것으로, 서버에서는 전력소모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토대로 각 장치의 종류, 위치 등을 도출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버는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장치로부터 수신한 정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S403).
한편, 홈 네트워크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홈 네트워크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다(S404).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로 사용자 단말기는 홈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고 홈 네트워크 서버로 전원 스케줄링을 위해 필요한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S405). 이때,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보 유출 방지 및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시스템 접속시 소정의 인증 확인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로 요청된 하나 이상의 전력소모장치에 대응하는 정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도출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S406).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한 정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전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력소모장치의 종류, 위치, 전력 소모량 등을 고려하여 전원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때, 미리 저장한 전력 사용 과 관련된 부가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전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S407).
예를 들어, 실시간 전력을 사용하는 냉장고의 경우 피크 전력 사용 시간대에서는 전력 사용 레벨을 낮추도록 설정하고, 그 외 전력소모장치들에 대해서는 각 장치의 특성에 따라 운전 시간대, 전원 ON/OFF 등을 설정하는 등 전력소모장치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정적 전원 스케줄링 결과에 따른 제1 전력 제어신호를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로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해당 전력소모장치로 전송한다(S408).
각 전력소모장치는 제1 전력 제어신호에 따른 전원 관리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S409),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전원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제1 전력 제어신호에 따른 전원 관리를 수행한다(S410).
이때,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전력소모장치는 수신한 제1 전력 제어신호에 포함된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전력 제어신호가 전송되기 이전까지 동일한 스케줄링에 따라 전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마찬가지로, 도 5에서는 단일 전력소모장치만을 표시하고 있으나, 이는 다수개의 전력소모장치 또는 전력소모장치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도 4에서 상술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된 전력소모장치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별도로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댁내 설치된 동작센서, 적외선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으로부터 수신한 재실정보, 환경정보(댁내 온도 및 습도 등),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 또는 전력 요금제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S501). 이와 같이 수집된 정보를 포함하는 동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후, 홈 네트워크 서버는 전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S502),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요청된 동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도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503).
이때, 홈 네트워크 서버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달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동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S501에서 수행한 동적 전원 스케줄링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한 동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동적 전원 스케줄링을 수행하거나 상기 도 4에서 상술한 정적 전원 스케줄링 정보도 함께 고려하여 동적 전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S504).
예를 들어, 댁내 재실인원이 0명인 경우에는 실시간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전력소모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전력소모장치들에 대해서 전원을 차단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재실인원에 따라 실내 온도 레벨을 지정하여 냉난방 시스템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동적 전원 스케줄링 결과에 따른 제2 전력 제어신호를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해당 전력소모장치로 전송한다(S505).
마찬가지로, 각 전력소모장치는 제2 전력 제어신호에 따른 전원 관리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S506),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전원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제1 전력 제어신호에 따른 전원 관리를 수행한다(S507).
이때,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전력소모장치는 수신한 제2 전력 제어신호에 포함된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전력 제어신호가 전송되기 이전까지 동일한 스케줄링에 따라 전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홈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력소모장치의 전력 상태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력소모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다수의 전력소모장치에서의 운전상태, 계측 및 적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전력 정보를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한 제1 전력 정보를 토대로 소정의 전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다수의 전력소모장치 각각에 대한 개별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관리 스케줄링 결과에 따른 제1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전력 제어 신호를 대응하는 전력소모장치로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직접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소모장치는 상기 제1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스스로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정보는,
    상기 전력소모장치로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전력사용정보 및 홈 네트워크 접속시 할당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스케줄링 정보는,
    각 전력소모장치의 용도에 따른 시간대별 운전 여부, 운전 시간, 전원 ON/OFF, 에너지 출력 레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소모장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상기 제1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관리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관리 수행시, 상기 전력소모장치에 기 설정된 소정의 전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1 전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제어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댁내 재실정보, 환경정보(댁내 온도 및 습도 등),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기상정보 또는 전력 요금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전력 정보 및 상기 제2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상기 전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다수의 전력소모장치 각각에 대한 개별 전원 관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관리 스케줄링 결과에 따른 제2 전원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력 제어 신호를 대응하는 전력소모장치로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소모장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상기 제2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관리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관리 수행시, 상기 전력소모장치에 기 설정된 소정의 전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2 전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제어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 상기 제1 전력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되고, 요청한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 여부에 대한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KR20110112220A 2011-10-31 2011-10-31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49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2220A KR101492002B1 (ko) 2011-10-31 2011-10-31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2220A KR101492002B1 (ko) 2011-10-31 2011-10-31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292A KR20130047292A (ko) 2013-05-08
KR101492002B1 true KR101492002B1 (ko) 2015-02-11

Family

ID=4865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12220A KR101492002B1 (ko) 2011-10-31 2011-10-31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0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110A (ja) * 1996-08-21 1998-03-06 Nakayo Telecommun Inc 交換機の電源遠隔制御システム
KR20100035083A (ko) * 2008-09-25 2010-04-02 (주)보체웹닷컴 공중 ip망을 공유하는 ami 게이트웨이 및 이를 통한 실시간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KR20110070748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전력 관리 장치
KR101074603B1 (ko) 2009-09-15 2011-10-17 (주)넥스챌 원격 제어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110A (ja) * 1996-08-21 1998-03-06 Nakayo Telecommun Inc 交換機の電源遠隔制御システム
KR20100035083A (ko) * 2008-09-25 2010-04-02 (주)보체웹닷컴 공중 ip망을 공유하는 ami 게이트웨이 및 이를 통한 실시간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KR101074603B1 (ko) 2009-09-15 2011-10-17 (주)넥스챌 원격 제어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10070748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전력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292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0049B1 (ko) 네트워크 장치와 원격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을 조율하는 시스템, 장치 및 기구
EP29378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energy consumption in home network system
KR10225225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5519164A (zh) 能源管理系统
WO2013052685A2 (en) Network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KR20140061619A (ko) 가정용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 관리 방법
JP2011130597A (ja) 電力制御方法、通信装置および電力制御システム
CN102664911A (zh) 远程管理的电能信息网络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10002725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 측정 시스템 및 방법
Möller et al. Ubiquitous networks: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Internet of things in smart home environments
Lee et al. A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energy-efficient smart homes
CN104007729A (zh) 播报控制方法和播报控制装置
CN111699720B (zh) 通信设备、通信系统以及通信方法
KR101795745B1 (ko) 다중상황 기반 에너지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CN203502791U (zh) 基于物联网的智能节能系统
CN102889665B (zh) 空调远程监控系统及监控方法
KR101197571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JP2004274116A (ja) 使用電力量一括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KR20140129944A (ko) 스마트 가전 장치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1492002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력소모장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203413771U (zh) 中央空调远程控制系统及其无线集中控制器
CN101150452A (zh) 决定无线网络通讯装置工作状态的方法
US11334038B2 (en) Automation system
KR20130015449A (ko) 근태 정보 기반의 건물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5168B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가입자 공간 전원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