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723B1 -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대역 피드혼 - Google Patents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대역 피드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723B1
KR101491723B1 KR20140089082A KR20140089082A KR101491723B1 KR 101491723 B1 KR101491723 B1 KR 101491723B1 KR 20140089082 A KR20140089082 A KR 20140089082A KR 20140089082 A KR20140089082 A KR 20140089082A KR 101491723 B1 KR101491723 B1 KR 101491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erminal
signal
polarized wave
wave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치현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8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2Waveguide horns
    • H01Q13/0241Waveguide horns radiating a circularly polarised wa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 H01Q5/28Arrangements for establishing polarisation or beam width over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01Q5/55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for horn or waveguide antennas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편파를 송수신하는 피드혼으로서, 주파수가 다른 두 가지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중 대역 피드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송신 시에 입력받는 제1대역의 수평 편파 및 수직 편파를 결합하여 원편파를 송신하며, 수신 시에 제1대역의 원편파를 수신하는 제1대역 안테나 혼; 상기 제1대역과 다른 대역의 제2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대역 안테나 혼; 송신 시에 상기 수평 편파 및 수직 편파를 상기 제1대역 안테나 혼에 전달하며, 수신 시에 상기 제1대역 안테나 혼으로부터 제공받는 수신 신호를 복수의 수신 분배 신호로 분배하는 분배 결합기; 제공되는 제1대역의 신호를 위상이 다른 커플링 신호로 커플링하여, 위상 지연없는 수평 편파와 90°위상 지연된 수직 편파로 출력하는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 상기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에 연결되어, 송신 시에 위상 지연없는 수평 편파를 두 개의 수평 편파로 분배하며, 위상 지연되어 커플링된 수직 편파를 두 개의 수평 편파로 분배하는 디바이더; 일단이 상기 분배 결합기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디바이더에 연결되어, 송신 시에 상기 디바이더에서 제공되는 수평 편파 및 수직 편파를 상기 분배 결합기에 전달하며, 수신 시에 상기 분배 결합기로부터의 수신 분배 신호를 상기 디바이더에 전달하는 복수의 도파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대역 피드혼{Duplex band feedhorn}
본 발명은 원편파를 송수신하는 피드혼으로서, 주파수가 다른 두 가지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중 대역 피드혼에 관한 것이다.
위성 안테나(satellite antenna)는 위성 통신, 대용량의 무선 통신 등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위성 안테나는 반사 망원경의 원리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초점에 집중시킨다. 위성 안테나의 한 종류로서, 위성 안테나의 초점 위치에 피드혼이 설치된 구조의 리플렉터 위성 안테나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리플렉터 위성 안테나를 도시한 그림이다.
리플렉터 위성 안테나는, 주변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주반사판(100)과, 주반사판(100)의 지향 방향을 보정하는 부반사판(200)과, 주반사판(100)에 고정되고 주반사판(100)과 부반사판(200) 사이에 위치하는 피드혼(300;feedhorn)을 구비한다.
리플렉터 위성 안테나의 주반사판(100) 및 부반사판(2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피드혼(300)으로 반사되며, 피드혼(300)은 반사된 신호를 모아서 저잡음 증폭 변환기(410;LNB;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로 전달한다. 그리고, 저잡음 증폭 변환기(410)는 피드혼(300)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의 RF 모듈로 전달한다. 반대로, 피드혼(3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주반사판(100) 및 부반사판(200)을 통해 공중으로 방사될 수 있다.
한편, 다중 대역의 신호들을 하나의 피드혼에서 송수신 처리하기 위한 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X-대역(10.525±0.05 GHz), Ka-대역(34.7 GHz±1.3 GHz)의 두 가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중 대역 피드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 대역 피드혼을 통하여 X-대역의 원편파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원편파를 구현하는 별도의 원편파기를 구비하여 원편파기에서 X-대역 원편파를 생성하여 도파관 및 이중 대역 피드혼을 통하여 방사한다. 원편파를 구현하는 원편파기의 종류로는 세텀(septum) 편파기, 아이리스(Iris) 편파기, 포스트(Post) 편파기, 그루브(Groove) 편파기, 유전체 편파기,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이용한 편파기가 있다. 세텀 편파기의 경우, 구현성이 좋고 광대역 특성을 갖고 있으나 송/수신 포트간 격리도 특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아이리스 편파기나 포스트 편파기의 경우 도파관(330) 내의 돌출 형상으로 인해 구현성이 좋지 않으며, 그루브 편파기와 유전체 편파기는 동작 주파수 대역이 매우 좁은 대역(협대역)을 가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편파기는 협대역 특성을 가지며 고전력(High power)에는 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원편파를 생성하는 별도의 원편파기를 구비하지 않고 원편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피드혼 구조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7378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원편파기를 생성하는 원편파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원편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피드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원편파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송/수신 포트간 격리도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송신 시에 입력받는 제1대역의 수평 편파 및 수직 편파를 결합하여 원편파를 송신하며, 수신 시에 제1대역의 원편파를 수신하는 제1대역 안테나 혼; 상기 제1대역과 다른 대역의 제2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대역 안테나 혼; 송신 시에 상기 수평 편파 및 수직 편파를 상기 제1대역 안테나 혼에 전달하며, 수신 시에 상기 제1대역 안테나 혼으로부터 제공받는 수신 신호를 복수의 수신 분배 신호로 분배하는 분배 결합기; 제공되는 제1대역의 신호를 위상이 다른 커플링 신호로 커플링하여, 위상 지연없는 수평 편파와 90°위상 지연된 수직 편파로 출력하는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 상기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에 연결되어, 송신 시에 위상 지연없는 수평 편파를 두 개의 수평 편파로 분배하며, 위상 지연되어 커플링된 수직 편파를 두 개의 수평 편파로 분배하는 디바이더; 일단이 상기 분배 결합기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디바이더에 연결되어, 송신 시에 상기 디바이더에서 제공되는 수평 편파 및 수직 편파를 상기 분배 결합기에 전달하며, 수신 시에 상기 분배 결합기로부터의 수신 분배 신호를 상기 디바이더에 전달하는 복수의 도파관;을 포함한다.
상기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X자 형태를 가져 제1단자, 제2단자, 제3단자, 제4단자를 구비하며, 송신 시에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가 입력 단자로, 상기 제3단자 및 제4단자가 출력 단자로 동작하며, 수신 시에 상기 제3단자 및 제4단자가 입력 단자로,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가 출력 단자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송신 시에 제1단자 또는 제2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로 제공되는 제1대역의 수평 편파를 상기 제3단자와 제4단자 간에 90°위상 지연시켜 출력하며, 수신 시에 제3단자 또는 제4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로 제공되는 수신 신호를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 간에 90°위상 지연시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도파관은, 제1도파관, 제2도파관, 제3도파관 및 제4도파관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제3단자에 연결된 일끝단과 상기 제1도파관 및 제3도파관에 각각 연결된 2개의 분기 끝단을 가지는 제1디바이더; 상기 제4단자에 연결된 일끝단과 상기 제2도파관 및 제4도파관에 연결되어 2개의 분기 끝단을 가지는 제2디바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제1대역의 신호는 X-대역 신호이며, 상기 제2대역의 신호는 Ka-대역 신호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이용하여 위상 지연시켜 원편파를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원편파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90도 위상 지연 하이브리드 커플러와 디바이더를 사용함으로써, 전자파의 불연속성으로 인한 PIM(Passive inter-modulation)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인 급전기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도 1은 리플렉터 위성 안테나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X-대역 및 Ka-대역의 위성신호를 모두 송수신하는 이중 대역 피드혼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피드혼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각 도파관에서 처리되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피드혼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피드혼을 다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X-대역 및 Ka-대역의 위성신호를 모두 송수신하는 이중 대역 피드혼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피드혼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각 도파관에서 처리되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피드혼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피드혼을 다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중 대역 피드혼에 수신되는 신호가 원형 편파의 X-대역 신호(10.525±0.05 GHz) 및 원형 편파의 Ka-대역 신호(34.7 GHz±1.3 GHz)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제1대역으로서 X-대역의 신호가, 제2대역으로서 Ka-대역 신호가 송수신되는 예를 설명한다. 하지만, 제1대역 신호인 X-대역 신호와 제2대역 신호인 Ka-대역 신호의 경우는 단지 일례일 뿐이며,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이중 대역 피드혼은, 제1대역(X-대역) 및 제2대역(Ka-대역)의 전자기파(RF 신호)를 방사하거나, 또는 공중에 방사된 전자기파(RF 신호)를 수신한다. 이중 대역 피드혼은 공간에 직접 전자기파를 방사하거나 공간으로부터 직접 전자기파를 수신하는데 유리하다.
이중대역 피드혼은 위성으로부터의 제1대역인 X-대역 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제1대역 안테나 혼(310), 제2대역인 Ka-대역 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제2대역 안테나 혼(360), 제1대역 안테나 혼(310)에 유도된 X-대역 신호를 저잡음 증폭 변환기(LNB;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로 전달하는 도파관(330)(waveguide)을 포함한다.
제1대역 안테나 혼(310) 및 제2대역 안테나 혼(360)은 각각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디자인된다. 예를 들어, 제1대역 안테나 혼(310)은 X-대역(10.525±0.05 GHz)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디자인될 수 있으며, 제2대역 안테나 혼(360)은 Ka-대역(34.7 GHz±1.3 GHz)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디자인될 수 있다. 이때, 제1대역 안테나 혼(310)은 제2대역 안테나 혼(360)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위해 디자인되므로, 제1대역 안테나 혼(310)의 직경은 제2대역 안테나 혼(360)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이중 대역 피드혼은 일단이 개방된 도파관 구조로 되어 제1대역 신호(X-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대역 안테나 혼(310)과, 제1대역 안테나 혼(310)의 직경보다 작은 핀의 형태로 되어 제1대역 신호와 다른 제2대역 신호(Ka-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대역 안테나 혼(36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1대역 안테나 혼(310)은, 송신 시에 입력받는 수평 편파(0°편파) 및 수직 편파(90°편파)를 결합하여 제1대역의 원편파를 송신하며, 수신 시에 제1대역의 원편파를 수신한다. 참고로, 진폭이 서로 같고 위상이 90°다른 수평 편파(0°편파)와 수직 편파(90°편파)를 조합하면 그 합성 전계의 진폭 및 방향은 파동의 진행과 더불어 변화하고, 이것을 임의의 횡단면상에 투사하면 원형이 되므로 원편파라고 한다. 따라서 송신 시에 개방된 뿔 형태의 내부 판을 따라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가 진행하며 결합되어 원편파로서 방사될 수 있다.
제1대역 안테나 혼(310)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혼(horn) 형상으로 구성된다. 개구된 방향으로 점차 단면이 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대역 안테나 혼(310)은 분배 결합기(320)를 통하여 복수의 도파관(330;330a,330b,330c,330d)과 연결되어 설치되어, 복수의 도파관(330;330a,330b,330c,330d)에서 전송되는 전자기파를 외부의 소정 방향으로 송출되거나, 외부에서 전송되는 전자기파가 유입되어 복수의 도파관(330;330a,330b,330c,330d)으로 진입하는 경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Ka-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대역 안테나 혼(360)은,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Ka-편파기(370)와 Ka-대역 직교모드 편파 분리기(380;Ka-OMT)와 연결되어, Ka-대역 수신 포트 또는 Ka-대역 송신 포트를 구비하여 Ka-대역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분배 결합기(320)는, 송신 시에 수평 편파 및 수직 편파를 제1대역 안테나 혼(310)에 전달하며, 수신 시에 상기 제1대역 안테나 혼(310)으로부터 제공받는 신호를 복수의 수신 분배 신호로서 분배한다. 즉, 송신 시에 제1,3도파관(330a,330c)을 통해 제공되는 수평 편파를 제1대역 안테나 혼(310)에 전달하며 아울러 제2,4도파관(330b,330d)을 통해 제공되는 수직 편파를 제1대역 안테나 혼(310)에 전달한다.
또한 분배 결합기(320)는 수신 시에 제1대역 안테나 혼(310)으로부터 제공받는 수신 신호를 복수의 수신 분배 신호로 분배하여 복수의 도파관(330;330a,330b,330c,330d)에 각각 전달한다.
신호 처리단은, 신호 처리측 분배 결합기(320)(340)에 연결된 X-대역 직교 모드 편파 분리기(390;X-OMT)를 포함한다. X-대역의 직교 모드 편파 분리기(390;OMT:orthomode transducer)는 X-대역 송신 포트와 X-대역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를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로 분리하여 송신 포트와 수신 포트에 각각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로, X-대역 직교 모드 편파 분리기(390)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는 저잡음 증폭 변환기(미도시;LNB;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는, 수신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증폭 및 주파수 변환한다. 저잡음 증폭 변환기는,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함으로써 케이블에서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저잡음 증폭 변환기는 증폭과 믹싱(mixing)을 수행하며, 타 전원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잡음 (noise)을 부가하지 않는다.
도파관(330)은 분배 결합기(320)와 디바이더(340) 사이를 잇도록 연결되어, 송신 시에 제1디바이더(341)에서 제공되는 수평 편파와 제2디바이더(342)에서 제공되는 수직 편파를 분배 결합기(320)에 전달한다. 수신 시에 분배 결합기(320)로부터의 수신 분배 신호를 디바이더(340)에 전달한다. 이러한 도파관은 복수개로 구비되는데, 제1도파관(330a), 제2도파관(330b), 제3도파관(330c), 제4도파관(330d)을 포함한다. 제1도파관(330a) 및 제3도파관(330c)은 제1디바이더(341)의 2개의 분기된 분기 끝단과 연결되어 송신 시에 위상 지연없는 수평 편파를 분배 결합기(320)에 전달한다. 또한 제2도파관(330b) 및 제4도파관(330d)은 제2디바이더(342)의 2개의 분기 끝단과 연결되어 송신 시에 90°위상 지연된 수직 편파를 분배 결합기(320)에 전달한다.
도파관(330)은 1GHz이상의 마이크로파(MICROWAVE)대역의 주파수의 전자기파(이하 '전자파'라한다.) 에너지를 전송하는 전송선로의 일종이며, 철,구리 등의 전기 도체 또는 금속화된 재질로 형성된 관(管)의 내부에 전자기파가 전송되도록 한 것이다. 도파관(330)은 일종의 고역(高域)통과 필터 특성이 있으며 차단 파장보다도 긴 파장의 전자파는 전달되지 않는다.도파관(330)은 속이 빈 금속관이고,관내 전달되는 파장의 기본 모드(MODE)는 도파관(330)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는 일정한 차단 파장을 가진다.도파관(330)은 전자파가 내부의 벽 사이를 반사하면서 전송하므로 손실(감쇄)가 적고.외부로부터 잡음 유입을 차단하는 동시에 전자파의 불필요한 외부 방사를 차단하는 특성에 의하여 고출력의 마이크로파 등을 전송하는 전승선로에 적합하며, 단면은 원형,사각형,타원형 등의 다양한 모양을 한다.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350)는 제공되는 제1대역의 신호를 위상이 다른 커플링 신호로 커플링하여, 위상 지연없는 수평 편파와 90°위상 지연된 수직 편파로 출력한다. 커플링(Coupling)이란 독립된 공간 또는 선로 간에서 전자계적으로 교류 신호 에너지가 상호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커플러(Coupler)는 이러한 커플링의 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선로의 길이와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여 한쪽에 원하는 위상의 신호가 커플링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3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자 형태를 가져 제1단자(351), 제2단자(352), 제3단자(353), 제4단자(354)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모드로 동작 시에는, 제1단자(351) 및 제2단자(352)는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로서 동작하며, 제3단자(353) 및 제4단자(354)는 송신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로서 동작한다. 반대로 수신 모드로 동작 시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3단자(353) 및 제4단자(354)는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로서 동작하며, 제1단자(351) 및 제2단자(352)는 수신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로서 동작한다.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350)의 한 측에 있는 두 입력 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입력 단자로 신호가 입력될 경우 두 개의 출력 단자에는 크기가 반으로 나누어진 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아울러, 하나의 출력 단자는 다른 출력 단자와 90°위상 시프트(shift)되어 위상 지연된다.
예를 들어, 송신 시에 크기가 M인 송신 신호가 제1단자(351)로 입력될 경우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제3단자(353) 및 제4단자(354)로는 크기가 M/2인 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제1단자(351)로 입력된 신호가 제3단자(353) 및 제4단자(354) 단자로 출력될 때, 제3단자(353)까지의 출력 경로의 길이와 제4단자(354)까지의 출력 경로의 길이가 상이하므로 제3단자(353) 및 제4단자(354)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위상은 상이하다. 즉, 제1단자(351)로 송신 신호가 입력될 때, 제3단자(353)의 출력신호는 원 신호에 비해 위상이 지연없이(0°지연) 출력되며, 제4단자(354)의 출력 신호는 원 신호에 비해 위상이 -90°지연된다. 반면, 제2단자(352)로 신호가 입력될 때, 제3단자의 출력 신호는 원 신호에 비해 위상이 -90°도 지연되며, 제4단자(354)의 출력 신호는 원 신호에 비해 위상 지연 없이(0°지연) 출력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출력 단자는 서로 간에 90°위상 지연되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350)는, 송신 시에 제1단자(351) 또는 제2단자(352) 중 어느 하나의 단자로 제공되는 제1대역의 수평 편파를 제3단자(353)와 제4단자(354) 간에 90°위상 지연시켜 출력하며, 수신 시에 제3단자(353) 또는 제4단자(354) 중 어느 하나의 단자로 제공되는 수신 신호를 제1단자(351)와 제2단자(352) 간에 90°위상 지연시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디바이더(340;divider)는,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350)에 연결되어, 송신 시에 위상 지연없는 수평 편파를 두 개의 수평 편파로 분배하며, 90°위상 지연되어 커플링된 수직 편파를 두 개의 수평 편파로 분배하며, 수신 시에는 수신 분배 신호를 신호 처리단인 X-OMT(390)으로 전달한다.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350)의 제3단자(353)에 연결된 일끝단과 제1도파관(330a) 및 제3도파관(330c)에 각각 연결된 분기된 분기 끝단을 가지는 제1디바이더(341)와,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350)의 제4단자에 연결된 일끝단과 제2도파관(330b) 및 제4도파관(330d)에 연결되어 분기된 분기 끝단을 가지는 제2디바이더(34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디바이더(341)는 송신 시에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350)의 제3단자(353)로부터 제공되는 수평 편파를 제1도파관(330a) 및 제3도파관(330c)에 각각 전달할 수 있으며,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350)의 제4단자(354)로부터 제공되는 90°위상 지연된 수직 편파를 제2도파관(330b) 및 제4도파관(330d)에 각각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310:제1대역 안테나 홈 320:분배 결합기
330:도파관 340:디바이더
350: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

Claims (6)

  1. 송신 시에 입력받는 제1대역의 수평 편파 및 수직 편파를 결합하여 원편파를 송신하며, 수신 시에 제1대역의 원편파를 수신하는 제1대역 안테나 혼;
    상기 제1대역과 다른 대역의 제2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대역 안테나 혼;
    상기 제1대역 안테나 혼을 통하여 원편파를 송신하기 위하여 송신 시에 상기 수평 편파 및 수직 편파를 상기 제1대역 안테나 혼에 전달하며, 상기 제1대역 안테나 혼을 통하여 원편파를 수신 시에 상기 제1대역 안테나 혼으로부터 제공받는 원편파의 수신 신호를 복수의 수신 분배 신호로 분배하는 분배 결합기;
    제공되는 제1대역의 신호를 위상이 다른 커플링 신호로 커플링하여, 위상 지연없는 수평 편파와 90°위상 지연된 수직 편파로 출력하는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
    상기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에 연결되어, 송신 시에 위상 지연없는 수평 편파를 두 개의 수평 편파로 분배하며, 위상 지연되어 커플링된 수직 편파를 두 개의 수직 편파로 분배하는 디바이더;
    일단이 상기 분배 결합기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디바이더에 연결되어, 송신 시에 상기 디바이더에서 제공되는 수평 편파 및 수직 편파를 상기 분배 결합기에 전달하며, 수신 시에 상기 분배 결합기로부터의 수신 분배 신호를 상기 디바이더에 전달하는 복수의 도파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대역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X자 형태를 가져 제1단자, 제2단자, 제3단자, 제4단자를 구비하며,
    송신 시에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가 입력 단자로, 상기 제3단자 및 제4단자가 출력 단자로 동작하며, 수신 시에 상기 제3단자 및 제4단자가 입력 단자로,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가 출력 단자로 동작하며,
    송신 시에 제1단자 또는 제2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로 제공되는 제1대역의 수평 편파를 상기 제3단자와 제4단자 간에 90°위상 지연시켜 출력하며, 수신 시에 제3단자 또는 제4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로 제공되는 수신 신호를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 간에 90°위상 지연시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대역 피드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파관은,
    제1도파관, 제2도파관, 제3도파관 및 제4도파관을 포함하는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대역 피드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제3단자에 연결된 일끝단과 상기 제1도파관 및 제3도파관에 각각 연결된 2개의 분기 끝단을 가지는 제1디바이더;
    상기 제4단자에 연결된 일끝단과 상기 제2도파관 및 제4도파관에 연결되어 2개의 분기 끝단을 가지는 제2디바이더;
    를 포함하는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대역 피드혼.
  6.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역의 신호는 X-대역 신호이며, 상기 제2대역의 신호는 Ka-대역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대역 피드혼.
KR20140089082A 2014-07-15 2014-07-15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대역 피드혼 KR101491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9082A KR101491723B1 (ko) 2014-07-15 2014-07-15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대역 피드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9082A KR101491723B1 (ko) 2014-07-15 2014-07-15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대역 피드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723B1 true KR101491723B1 (ko) 2015-02-09

Family

ID=5259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9082A KR101491723B1 (ko) 2014-07-15 2014-07-15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대역 피드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262A (ko) * 2017-04-25 2018-11-02 위월드 주식회사 멀티 lnb 및 직선편파와 원편파를 동시에 가지는 복합신호의 출력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766A (ko) * 2007-05-29 2008-12-03 (주)하이게인안테나 멀티모드 혼을 이용한 모노펄스 카플러 혼
KR20100127045A (ko) * 2009-05-25 2010-12-03 (주)하이게인안테나 3중 대역 위성통신용 추적 안테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766A (ko) * 2007-05-29 2008-12-03 (주)하이게인안테나 멀티모드 혼을 이용한 모노펄스 카플러 혼
KR20100127045A (ko) * 2009-05-25 2010-12-03 (주)하이게인안테나 3중 대역 위성통신용 추적 안테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262A (ko) * 2017-04-25 2018-11-02 위월드 주식회사 멀티 lnb 및 직선편파와 원편파를 동시에 가지는 복합신호의 출력 방법
KR102269235B1 (ko) 2017-04-25 2021-06-28 위월드 주식회사 멀티 lnb 및 직선편파와 원편파를 동시에 가지는 복합신호의 출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659B1 (ko) 3중 대역 위성 통신용 안테나 시스템
US10777898B2 (en) Dual polarized dual band full duplex capable horn feed antenna
US8525616B1 (en) Antenna feed network to produce both linear and circular polarizations
JPS6115601B2 (ko)
US6166699A (en) Antenna sour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icrowaves
CN109755767B (zh) 八频段双极化单脉冲双反射面天线
EP1612888B1 (en) Antenna device
US3569870A (en) Feed system
US10044083B2 (en) Dual-channel polarization correction
WO20190099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REE-BANDED POWER SUPPLIES
Shuliak et al. Modern microwave polarizers and their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US3560976A (en) Feed system
JP5371841B2 (ja) アンテナ装置
KR101491725B1 (ko) 이중 대역 피드혼
KR100815154B1 (ko) 도파관 구조를 가지는 위성통신 다중대역 안테나의 급전장치
JP6865903B2 (ja) 給電回路
WO2013050361A1 (en) Mode generator device for a satellite antenna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7019706B2 (en) High frequency module and antenna device
KR101491723B1 (ko)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대역 피드혼
JPH0441521B2 (ko)
CN109473774B (zh) 新型双极化天线
US3646589A (en) Multimode tracking system utilizing a circular waveguide having slots angularly oriented with respect to the waveguide axis
Lehmensiek et al. Compact low loss L-band orthomode transducer
Shu et al. A High-Gain Antenna with Dual Circular Polarization for W-band mmWave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70057688A (ko) 위성 통신 안테나용 초 광대역 듀얼 원편파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