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615B1 - Hot-water supply device - Google Patents

Hot-water suppl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615B1
KR101491615B1 KR20140130397A KR20140130397A KR101491615B1 KR 101491615 B1 KR101491615 B1 KR 101491615B1 KR 20140130397 A KR20140130397 A KR 20140130397A KR 20140130397 A KR20140130397 A KR 20140130397A KR 101491615 B1 KR101491615 B1 KR 101491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motor pump
damper
coupling portion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03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텍
Priority to KR2014013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6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6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25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electrical central heating boi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hot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storage tank which includes an inner space having a water outle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water inlet and has a damper coupling unit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downward; a heater cover which is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and includes a separated passage space having the water inlet and the water outlet of the storage tank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the heater cover; a heater installed on the separated passage space; a motor pump which is installed on a lower part of the storage tank and includes a water inlet connected with the water outlet of the storage tank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damper which seals an interval between the water inlet of the motor pump and the water outlet of the storage tank. The hot water supply device can quickly and evenly control temperature, can efficiently solve problems of inconvenience caused by frequent supplement of supplementary water and generation of noise and vibration, can be designed to be lighter and lightweigh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repaired, and can minimize the transfer of noise and vibration.

Description

온수공급장치{HOT-WATER SUPPLY DEVICE}HOT WAT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매트 등으로부터 환수된 유체를 가열 후, 가열된 온수를 다시 온수매트 등에 순환시키는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for heating a fluid returned from a hot water mat or the like,

최근에는 가정이나 야외 등에서 난방용으로 전기매트나 온수매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전기매트는 매트(mat)에 전기 가열선이 직접 배선되어 전자기파를 많이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온수매트는 매트에 전기 가열선 대신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 호스가 배선되는 방식으로서, 전자기파의 위협을 염려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어 보다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온수매트는 대형의 설비형 보일러 대신, 휴대 및 편의성을 위해 소형의 온수공급장치와 함께 구성되며, 열전달매체로서 다양한 유체가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물이 많이 선호되고 있다. Recently, electric mats and hot water mats have been used for heating in homes and outdoors.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an electric heating wire is directly wired to a mat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electromagnetic waves. However, the hot water mat is a preferred method because the hot water hose is circulated in the mat instead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and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the electromagnetic wave threat. In addition, the hot water mat is composed of a compact hot water supply device for portable and convenient use instead of a large type of boiler, and various fluids are used as a heat transfer medium and water is generally preferred.

온수공급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 내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온수매트로부터 물을 환수하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온수매트로 출수하는 모터 펌프로 구성된다.The structure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ncludes a storage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 heater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for heating water in the storage tank, water recovered from the hot water mat, hot water heated by the heater, And a motor pump.

히터의 열은 히터와의 거리에 따라서 온도 등고선들을 형성할 수 있으며, 히터의 가열 시간에 따라서 온도 등고선들은 목적하는 출수 온도를 가지는 동일한 하나의 등고선으로 바뀔 수 있다. The heat of the heater can form temperature contour line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heater, and the temperature contour lines can be changed to the same one contour line having the desired water outl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heating time of the heater.

그러나, 히터가 저장탱크 내 모든 물을 가열시켜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크며 저장탱크의 물이 동일한 하나의 등고선을 가지기 위해서는 저장탱크의 물을 장시간 가열해야 한다. 더불어서 저장탱크의 물이 장시간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저장탱크는 히터의 가열 시간에 따라서 물의 증발로 인해서 외부로부터 보충수(supplementary water)를 자주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heater needs to heat all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energy consumption is high and water in the storage tank must be heated for a long time in order for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to have the same one contour line. In addition, since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is heated for a long time, the storage tank frequently requires supplementary water from the outside due to the evaporation of water according to the heating time of the heater.

또한, 온수공급장치는 소형 및 경량화가 중요한 관건 중 하나여서 저장탱크를 비롯하여 전체적인 구성부품의 크기 증대는 경쟁력 저하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온수공급장치는 소형으로 제작될수록 구성부품들 간 여유공간이 없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 수리가 용이한 구조적 설계가 요구된다. In addition, since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f small size and light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entire components including the storage tank is a factor of lowering the competitiveness. In addition, as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there is no space between the components, so a structural design that is easy to assemble, disassemble and repair is required.

또한, 온수공급장치는 매트와의 연결 거리가 짧기 때문에 온수공급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이 직접적으로 매트 사용자에게 전달되므로, 온수공급장치의 설계에 있어서 소음 및 진동 문제 또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distance between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nd the mat is short,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by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ser of the mat. Therefore, to be.

위와 같은 여러가지 요구사항들은 각각 독립적인 문제들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서로 연관된 당면 문제들로서, 온수공급장치의 설계를 최적화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These various requirements are not independent of each other but are organically related issues. 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to optimize the design of the hot water supply system.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3597호(발명의 명칭; 온수 순환 매트용 온수가열장치, 등록일자; 2007년 12월 03일)가 있다.A related prior art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83597 entitled Hot Water Heating Device for Hot Water Circulation Mat, Date of Registration: December 03, 2007).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고 균일한 온도 제어, 잦은 보충수 보충에 따른 불편함, 소형 및 경량화와 더불어 조립성 및 수리의 용이성, 그리고 소음 및 진동 발생 및 전달의 최소화 등 유기적인 연관된 당면 문제들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n automobile by means of quick and uniform temperature control, inconvenience due to frequent replenishing of replenishing water, small size and light weight, easy assembly and repair, And to provide a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can solve the problem efficiently.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는, 입수구와 바닥면 출수구가 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바닥 외측면에 댐퍼 결합부가 하향 돌출 형성된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저장탱크의 입수구 및 출수구를 포함하는 격리된 유로 공간을 형성하며, 저장탱크로부터의 유입구를 포함하는 히터 커버; 상기 격리된 유로 공간에 설치되는 히터; 상기 저장탱크 하부에 설치되며, 상측면에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와 연결되는 입수구가 형성된 모터 펌프; 및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구와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 사이를 밀봉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a storage tank having an inlet space and an inner space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outlet, the damper coupling portion being protruded downwar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 heater cover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tank and forming an isolated flow path space including an inlet and a discharge port of the storage tank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including an inlet from a storage tank; A heater installed in the isolated flow path space; A motor pump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and having an inlet port connected to an outlet port of the storage tank; And a damper sealing between the inlet port of the motor pump and the outlet port of the storage tank.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 내측면과 상기 히터 커버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히터 커버를 받칠 수 있고 상기 히터의 주변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기둥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an inner surface of the heater cover may support the heater cover and protrude from the column to form a flow path around the heater.

상기 온수공급장치는 저장탱크의 출수구 측에 인접 설치되어 출수 온도를 측정하는 출수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ot water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utflow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djacent to the outflow port side of the storage tank to measure the outflow temperature.

상기 히터 커버는 상기 유로 공간에 존재하는 기포를 저장탱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The heater cover may have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bubbles present in the flow path space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상기 배출관은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구과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장탱크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관 구조일 수 있다. The discharge pipe may have a tubular structure which is located at an inlet of the motor pump and an outlet of the storage tank and extends to an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상기 히터는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입수구는 히터의 말단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는 상기 U자형 히터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유로는 입수구에서 들어온 순환수가 히터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여 히터의 중심 영역에서 출수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일 수 있다. Wherein the heater is formed in a U-shape, the inlet of the storage tank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heater, and the outlet of the storage tank is located in a central region surrounded by the U-shaped heater, So as to be guided out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heater.

상기 저장탱크의 댐퍼 결합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의 전 둘레를 둘러싸는 출수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터 펌프의 상측면에는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구를 둘러싸며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관에 삽입되는 입수관이 상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damper coupling portion of the storage tank is formed as a water pipe surrounding the entire periphery of the outlet port of the storage tan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tor pump is connected to a water inlet pipe Can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상기 댐퍼는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관이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는 일정 깊이의 링형 홈을 갖는 파이프형 저장탱크 결합부와,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관이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는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형 모터 펌프 결합부와, 상기 저장탱크 결합부와 상기 모터 펌프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한번 주름진 형상의 연결부를 갖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mper includes a pipe-typ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having a ring-shaped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o be inserted into the water-discharging pipe of the storage tank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ipe- And an elastic body formed between th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and the motor pump coupling portion and having at least one corrugated connection portion.

상기 댐퍼는 상기 탄성체의 저장탱크 결합부를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관에 압착하는 제1클램프 링과, 상기 탄성체의 모터 펌프 결합부를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관에 압착하는 제2클램프 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mper may include a first clamp ring for pressing th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of the elastic body to the water outlet pipe of the storage tank and a second clamp ring for pressing the motor pump coupling portion of the elastic body to the inlet pipe of the motor pump .

상기 제2클램프 링은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clamp ring may be a coil spring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탄성체의 연결부는 상기 저장탱크 결합부의 상단 및 상기 모터 펌프 결합부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모터 펌프 결합부의 하측부에는 상기 제2클램프 링의 하향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lastic body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motor pump coupling portion, and a hoo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tor pump coupling portion to prevent the downward separation of the second clamp ring. .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저장탱크 결합부의 상단을 둘러싸며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 외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body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portion that surrounds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and closely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상기 저장탱크의 댐퍼 결합부는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관과의 사이에 상기 댐퍼의 연결부가 개재되는 공간을 형성토록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관은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damper coupling portion of the storage tank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let port of the storage tank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amper is interposed between the damper coupling portion of the storage tank and the inlet pipe of the motor pump,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let port and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outlet port of the storage tank.

본 발명은, 히터커버에 의해 격리된 유로 공간의 소량의 물만 순환 및 가열될 수 있기 때문에 히터 및 모터 펌프 등의 부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전체적으로 소형화가 용이하며, 물탱크에 저장된 물 중 필요한 일정 용량의 물만 가열,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증발로 인한 물 보충을 자주 하지 않아도 된다.Since only a small amount of water in the flow path space isolated by the heater cover can be circulated and heated, the load of the heater and the motor pump can be reduced to a minimum, and therefore, the overall size can be easily reduced. Since water can only be heated and circulated in a required amount of water, it is not necessary to frequently replenish water due to evaporation of water.

또한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댐퍼 결합부를 저장탱크의 외측에 형성하는 등 전체적인 구성부품의 레이아웃을 분산시켜 구성함에 따라 구조적 간섭없이 소형화, 경량화 및 최적화 설계를 할 수 있으며, 모터 펌프나 댐퍼만을 저장탱크로부터 분리하여 용이하게 수리, 교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amper coupling portion of the storage tank is formed outside the storage tank and the layout of the entire components is dispers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compact, lightweight, and optimized without structural interference. It can be removed from the tank and easily repaired or replaced.

또한 본 발명은, 모터 펌프를 저장탱크의 하측에 설치토록 설계함에 따라, 모터 펌프의 소음, 진동이 직접적으로 온수매트 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저장탱크와 모터 펌프 사이에 개재되는 댐퍼에 의해 모터 펌프의 소음,진동이 감쇄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tor pump is designed to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tank, the noise and vibration of the motor pum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ide of the hot water mat. By the damper interposed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motor pump Noise and vibration of the motor pump may be attenuated.

또한 본 발명은, 댐퍼와 저장탱크의 출수관 사이가 전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밀봉되며, 댐퍼와 모터 펌프의 입수관 사이 또한 전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밀봉될 수 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취약한 곳 없이 전체적으로 기밀성이 우수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damper and the outlet pipe of the storage tank are uniformly sealed between the damper and the storage tank and the inlet pipe of the damper and the motor pump are uniformly seal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Can be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은, 댐퍼가 저장탱크의 출수관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 등에 의한 댐퍼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amper can be surrounded and protected by the water outlet pipe of the storage tank, damper damage by foreign matter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모터 펌프의 입수관이 저장탱크의 출수구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인접 설치되며, 댐퍼는 모터 펌프의 입수관과 저장탱크의 출수관 사이에 개재되기 때문에, 고열로 인한 댐퍼 손상이 방지될 수 있어 댐퍼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댐퍼의 잦은 교체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amper is interposed between the inlet pipe of the motor pump and the outlet pipe of the storage tank, the damper damages due to the high temperature Can be prevented and the life of the damper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problem of frequent replacement of the damper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댐퍼 교체시 저장탱크와 그 내장 구성부품들을 분해하지 않더라도 저장탱크의 외측에서 간이하게 댐퍼를 저장탱크 및 모터 펌프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조립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mper is replaced, the damp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torage tank and the motor pump and reassembled from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without disassembling the storage tank and its internal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일부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저장탱크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일방향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타방향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댐퍼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저장탱크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storage tank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idirectional incision of the hot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amper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storage tank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는, 저장탱크(10)와, 히터 커버(20)와, 히터(30)와, 모터 펌프(50)와, 댐퍼(1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tank 10, a heater cover 20, a heater 30, a motor pump 50, , And a damper (100).

상기 저장탱크(10)는 열전달유체(예컨대, 물 등;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열전달유체를 '물'로 한정하여 설명함)가 저장되는 소정 용량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탱크 용기(12)와, 탱크 커버(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torage tank 10 has a predetermined volume of internal space for storing a heat transfer fluid (for example, water, etc., hereinafter, the heat transfer fluid is limited to 'wa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 tank cover (not shown).

상기 저장탱크(10)의 바닥면 또는 하부 측면에는 열소모부재(예컨대, 온수매트 등;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열소모부재를 온수매트로 한정하여 설명함)와 연결되어 온수매트로부터 물이 환수되어 들어오는 입수구(10a)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 is connected to a heat-dissipating member (for example, a hot-water mat or the like; hereinafter, the heat-dissipating member is limited to a hot- At least one inlet 10a may be formed to receive the water.

또한 상기 저장탱크(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모터 펌프(50)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10)에서 히터(30)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모터 펌프(50)로 출수되는 출수구(10b)가 하나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 is connected to the outlet 10b of the storage tank 10 through which hot water heated by the heater 30 flows to the motor pump 50, Can be formed.

상기한 저장탱크(10)의 입수구(10a)와 출수구(10b)는 상기 히터(30)와 상하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히터(30)가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저장탱크(10)의 입수구(10a)와 출수구(10b)는 상기 U자형 히터(30)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입수구는 바닥면이 아니라 저장탱크의 측면으로 순환수가 유입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0)의 입수구(10a)로부터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구(10b)로 유동하는 물이 상기 히터(30)의 외주면을 따라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즉 상기 히터(30)로 인한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모터 펌프(5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The inlet (10a) and the outlet (10b) of the storage tank (10) may be formed at positions that do not overlap with the heater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heater 30 is U-shaped, the inlet 10a and the outlet 10b of the storage tank 10 may be located in the inner region surrounded by the U-shaped heater 3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inlet port so that the circulating water flows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tank instead of the bottom surface. Water flowing from the inlet 10a of the storage tank 10 to the outlet 10b of the storage tank 10 can smoothly flow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er 30. [ That is, the flow resistance due to the heater 30 can be reduced, and therefore the load on the motor pump 50 can be reduced.

상기 저장탱크(10)의 입수구(10a)와 출수구(10b)는 상기 히터(30)의 장방향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상기 저장탱크(10)의 입수구(10a)에서 출수구(10b)로 흘러가면서 충분히 가열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The inlet (10a) and the outlet (10b) of the storage tank (10)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er (30). Therefore, the water can be sufficiently heated while flowing from the inlet 10a of the storage tank 10 to the outlet 10b.

상기 저장탱크(10)의 바닥 내측면에는 상기 히터 커버(20)를 받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기둥부(10c)가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0)의 기둥부(10c)는 유동 저항이 커지지 않도록 상기 U자형 히터(30)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영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U자형 히터(30)의 외주면을 따라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0)의 바닥면적이 온수 부하량에 비해 불필요하게 증대되지 않게 최적 설계될 수 있다. At least one column portion 10c may be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 so as to support the heater cover 2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column 10c of the storage tank 10 may be located in the inner region surrounded by the U-shaped heater 30 so that the flow resistance does not increase, and water may mov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 It can be a guide channel to make it. Therefore, the bottom area of the storage tank 10 can be optimally designed so as not to be unnecessarily increased compared to the hot water load.

상기 히터(30)는 U자형이 유로형성 및 가열에 적합하기는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순한 직선형 히터, 원형에 가까운 U자형 히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er 30 is suitable for forming and heating the flow pa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heater 30 may include a simple linear heater, a U-shaped heater close to a circular shape, and the like.

상기 저장탱크(10)는 상기 댐퍼(100)와의 결합을 위한 댐퍼 결합부(10d)가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저장탱크(10)의 댐퍼 결합부(10d)는 상기 저장탱크(10)의 바닥 외측면에 하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0)의 바닥면 내부는 상기 히터 커버와 유로 형성 등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복잡한데, 상기 저장탱크(10)의 댐퍼 결합부(10d)가 상기 저장탱크(10)의 외측에 형성됨에 따라 구조적 간섭 없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저장탱크(10)의 내,외측으로 전체적인 설계가 용이하며, 또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0)의 댐퍼 결합부(10d)로 인한 유동저항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The damper engaging portion 10d of the storage tank 10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10 so that the damper engaging portion 10d of the storage tank 10 is connected to the damper 100,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n the side surface. Therefore, the in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 is structurally complicat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heater cover and the flow passage. The damper engagement portion 10d of the storage tank 10 is formed outside the storage tank 10 It is easy to design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10 and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10, and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Furthermore,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the flow resistance due to the damper engagement portion 10d of the storage tank 10. [

특히 상기 저장탱크(10)의 댐퍼 결합부(10d)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구(10b)의 전 둘레를 둘러싸는 출수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0)의 댐퍼 결합부(10d)는 단순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구조적으로 간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0)의 댐퍼 결합부(10d)는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관(52)과의 사이에 상기 댐퍼(100)의 연결부(116)가 개재되는 공간을 형성토록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구(10b)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댐퍼(100)를 보호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damper coupling portion 10d of the storage tank 10 may be formed as a water pipe surroundi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water outlet 10b of the storage tank 10. Therefore, the damper coupling portion 10d of the storage tank 10 can be formed in a simple tubular shape, so that it can be structurally simplified. The damper engaging portion 10d of the storage tank 10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52 of the motor pump 50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116 of the damper 100 is interposed, The damper 100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let port 10b of the tank 10 to protect the damper 100. [

한편, 상기 저장탱크(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구(10b) 측에 출수 온도를 측정하는 출수온도센서(40)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outflow temperature sensor 40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 to measure the outflow temperature at the outflow port 10b of the storage tank 1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출수온도센서(40)가 출수구(10b)에 인접하여 설치 됨으로써, 열소모부재에서 순환이 중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때 출수 온도의 과열을 빠르게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체 온수공급장치의 과열 및 이상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조치를 치할 수 있다.Since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4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outlet 10b, it is possible to quickly measure the overheating of the outflow temperature when the circulation is stopped in the heat exhausting member, for example, Overheating and abnormalities can be detected and actions can be taken accordingly.

또한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저,중,고 수위가 각각 측정될 수 있도록 3개의 수위센서가 상하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Also, three water level sensors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tank 10 so that low, middle, and high water levels of the storage tank 10 can be measured, respectively.

상기 히터 커버(20)는 상기 저장탱크(10)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저장탱크(10)의 입수구(10a) 및 출수구(10b)를 포함하는 격리된 유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0) 내 모든 물이 순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격리된 공간 내에서만 물이 유로를 따라 순환될 수 있어 모터 펌프(50) 및 히터(30)의 부하가 작아 모터 펌프(50) 및 의 소형화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상기 히터 커버(20)에는 상기 저장탱크(10) 내 격리된 공간 이외 영역의 물이 상기 격리된 공간에 보충될 수 있도록 급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히터 커버(20)의 급수홀이 상기 히터 커버(20)의 급수홀에 설치된 전자밸브 등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 커버(20)는 상기 저장탱크(10)의 기둥부(10c)를 향해 하향 돌출되는 기둥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er cover 20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 so as to form an isolated flow path space including the inlet port 10a and the outlet port 10b of the storage tank 10. [ And is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tank (10). Therefore, not only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10 is circulated but the water can be circulated along the flow path only in the isolated space, so that the load of the motor pump 50 and the heater 30 is small, ) And the miniaturization thereof. A water hole is formed in the heater cover 20 so that water in an area other than the isolated space in the storage tank 10 can be replenished in the isolated space,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solenoid valve or the lik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hole of the water supply unit 20. The heater cover 20 may further include a column portion 22 protruding downward toward the column portion 10c of the storage tank 10.

한편 상기 히터 커버(20)에는 상기 유로 공간에 존재하는 기포를 저장탱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5)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온수의 순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포는 또 다른 소음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생성되는 기포를 순환계 내에서 배출하는 구조로서 배출관(25)을 상기 히터 커버(20)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er cover 2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ipe 25 for discharging the bubbles present in the flow path space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Bubbles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circulation process of the hot water may cause another noise, and the heater cover 20 may be formed as a structure for discharging the generated bubbles in the circulation system.

상기 배출관(25)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구(10b)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구과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상부에 위치하여 순환계 내에서 발생한 기포가 상기 배출관(25)을 따라 자연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25)은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단 커버까지 연장되는 관 구조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장탱크 내에 존재하는 물과 격리되어 저장탱크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환계 내에서 발생되는 기포의 원활한 배출을 위한 구조를 통해 온수공급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The discharge pipe 25 is preferably located above the outlet port 10b of the storage tank 10 and is preferably located at an upper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to the inlet port of the motor pump and the outlet port of the storage tank So that bubbles generated in the circulation system can be discharged naturally along the discharge pipe 25. 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25) may have a pipe structure extending to the upper cover of the storage tank (10) so that it can be isolated from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Thus, the noise generated in the hot water supply device can be further reduced through the structure for smooth discharge of bubbles generated in the circulation system.

상기 히터(30)는 상기 격리된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격리된 공간을 통해 순환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30)는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모든 물을 가열할 필요 없이, 상기 격리된 공간을 순환하는 일부분의 물만 가열, 온도 유지시키면 되므로, 열용량이 작아도 무방하여 소형화 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히터(30)는 전기가열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U자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heater (30) is installed in the isolated space and can heat water circulated through the isolated space. That is, the heater 30 does not need to heat all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but only a part of the water circulating in the isolated space needs to be heated and maintained at a temperature. . The heater (30) may be realized by an electric heating method, and may be formed in a U shape and horizontal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모터 펌프(50)는 모터를 이용하여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히터(30)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온수매트로 압출하고, 상기 온수매트로부터 상기 격리된 공간으로 물을 압입시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The motor pump 50 drives a pump using a motor to extrude hot water heated by the heater 30 into a hot water mat and press water into the isolated space from the hot water mat to circulate water .

이와 같은 모터 펌프(50)는 특히 상기 저장탱크(10) 밑에 설치될 수 있도록 설계함이 보다 효과적이다. 즉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관(52)이 상기 저장탱크(10) 내 물의 수심 아래 잠겨 있기 때문에 공기 유입이 방지되어 공기 소음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펌프(50)가 상기 저장탱크(10)와 상하 배치되기 때문에 최소한의 공간에 최적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모터 펌프(50)의 구동 소음의 전달이 줄어들 수 있다.It is more effective to design the motor pump 50 such that it can be installed under the storage tank 10 in particular. That is, since the water inlet pipe 52 of the motor pump 50 is locked below the water depth of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10, the inflow of air is prevented to solve the air noise problem. In addition, since the motor pump 50 is disposed vertically with the storage tank 10, it can be optimally designed in a minimum space. And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noise of the motor pump 50 can be reduced.

상기 모터 펌프(50)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구(10b)에서 출수되는 물이 바로 입수될 수 있도록, 상측면에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구(10b) 연결되는 입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구를 둘러싸며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관에 삽입되는 입수관(52)이 상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관(52)은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구(10b)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구(10b)에 바로 인접할 수 있게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열된 온수가 상기 댐퍼(10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어 상기 댐퍼(100)의 열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The motor pump 50 is formed with an inlet port connected to the outlet port 10b of the storage tank 10 on the upper side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port 10b of the storage tank 10 can be directly received, A water inlet pipe 52 surrounding the inlet port of the motor pump 50 and inserted into the water outlet pipe of the storage tank 10 may be protruded upward. The inlet pipe 52 of the motor pump 50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let port 10b of the storage tank 10 and inserted into the outlet pipe of the storage tank 10,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outlet 10b.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hot water from being directly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damper 100, so that thermal deformation of the damper 100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모터 펌프(50)는 모터 펌프 하우징(6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펌프 하우징(60)과의 사이에 소음, 진동 저감을 위한 스펀지 등의 탄성체(110)가 개재될 수 있다. The motor pump 50 may be installed on the motor pump housing 60 and an elastic body 110 such as a sponge for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motor pump housing 60 and the motor pump housing 60. have.

상기 댐퍼(100)는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관(52)과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관 사이를 밀봉하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해 탄성체(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amper 100 seals between the inlet pipe 52 of the motor pump 50 and the outlet pipe of the storage tank 10 and may be made of an elastic body 110 for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특히 상기 댐퍼(100)는 다중 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댐퍼(100)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관이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는 일정 깊이의 링형 홈(112a)을 갖는 파이프형 저장탱크 결합부(112)와,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관(52)이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는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형 모터 펌프 결합부(114)와, 상기 모터 펌프 결합부(114)와 상기 저장탱크 결합부(112)를 연결하는 연결부(116)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댐퍼(100)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관 및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관(52)과 끼움 방식으료 용이하게 결합,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100)가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관 및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관(52)의 전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압착될 수 있어 결합성 및 기밀성이 매우 우수하다. 상기 댐퍼(100)의 탄성체(110)의 연결부(116)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관과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관(52) 사이에서 탄성 변형이 용이토록 적어도 한번 주름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댐퍼(100)의 탄성체(110)의 연결부(116)는 상기 탄성체(110)의 저장탱크 결합부(112) 및 모터 펌프 결합부(114)의 일부와 함께 대략 'M'자형 횡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100)의 탄성체(110)의 연결부(116)는 상기 탄성체(110)의 저장탱크 결합부(112)의 상단 및 상기 탄성체(110)의 모터 펌프 결합부(114)의 상단과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2클램프 링(130)이 상기 탄성체(110)의 외측에서 상기 탄성체(110)의 모터 펌프 결합부(114)에 결합될 수 있어, 상기 댐퍼(100)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In particular, the damper 100 may have a multi-tube structure. That is, the damper 100 includes a pipe-type storage tank engaging portion 112 having a ring-shaped groove 112a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which the water-discharging pipe of the storage tank 10 is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ipe type motor pump engaging portion 114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to receive the uptake pipe 5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116 connecting the motor pump engaging portion 114 and the storage tank engaging portion 112 Lt; / RTI > Therefore, the damper 100 can be easi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water outlet pipe of the storage tank 10 and the water inlet pipe 52 of the motor pump 50. Also, the damper 100 can be uniformly press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water outlet pipe of the storage tank 10 and the water inlet pipe 52 of the motor pump 50, so that the coupling property and air tightness are excellent. The connecting portion 116 of the elastic body 110 of the damper 100 is formed at least once in a corrugated shape for elastic deformation between the water outlet pipe of the storage tank 10 and the water inlet pipe 52 of the motor pump 50 . The connecting portion 116 of the elastic body 110 of the damper 100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M-shaped cross-section with the portion of th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112 and the motor pump coupling portion 114 of the elastic body 110 . The connection portion 116 of the elastic body 110 of the damper 10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112 of the elastic body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motor pump coupling portion 114 of the elastic body 110 Or the like. The second clamp ring 13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to the motor pump coupling portion 114 of the elastic body 110 from the outside of the elastic body 110 to facilitat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damper 100 .

상기 댐퍼(100)의 탄성체(110)는 상기 저장탱크 결합부(112)의 상단을 둘러싸며 상기 저장탱크(10)의 바닥 외측면에 밀착되는 링형의 플랜지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댐퍼(100)와 상기 저장탱크(10)의 댐퍼 결합부(10d)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The elastic body 110 of the damper 100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portion 118 in the form of a ring which surrounds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11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10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damper 100 and the damper coupling portion 10d of the storage tank 10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댐퍼(100)의 탄성체(110)는 상기 탄성체(110)의 모터 펌프 결합부(114)의 하측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클램프 링(130)의 하향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부(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10)의 걸림턱부(119)는 상기 모터 펌프 결합부(114)의 하단에 플랜지처럼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110 of the damper 100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tor pump engaging portion 114 of the elastic body 110 to prevent the second clamp ring 130 from moving downward ). The engaging step 119 of the elastic body 11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like a flange at the lower end of the motor pump engaging part 114.

한편 상기 댐퍼(100)는 상기 저장탱크(10) 및 상기 모터 펌프(50)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상기 탄성체(110)의 저장탱크 결합부(112)를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관에 압착하는 제1클램프 링(120)과, 상기 탄성체(110)의 모터 펌프 결합부(114)를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관(52)에 압착하는 제2클램프 링(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클램프 링(130)은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관(52)을 상하 길이 전체에 대하여 균일하게 상기 댐퍼(100)를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관(52)에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2클램프 링(130)을 상기 탄성체(110)의 모터 펌프 결합부(114)에 먼저 끼운 상태에서,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관(52)을 상기 탄성체(110)의 모터 펌프 결합부(114)에 끼워 넣음으로써, 용이하고 간단하게 상기 댐퍼(100)와 저장탱크(10) 그리고 모터 펌프(50)를 결합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damper 100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pipe of the storage tank 10 by connecting th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112 of the elastic body 110 to the storage tank 10 and the motor pump 50, And a second clamp ring 130 which compresses the first clamp ring 120 and the motor pump coupling portion 114 of the elastic body 110 to the water inlet pipe 52 of the motor pump 50 can do. Particularly, the second clamp ring 130 is formed of a coil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amper 100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intake pipe 52 of the motor pump 50, To the water inlet pipe 52 of the pump 50. The inlet pipe 52 of the motor pump 50 is connected to the elastic pipe 110 of the elastic body 110 while the second clamp ring 130 of the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the motor pump coupling part 114 of the elastic body 110, The damper 100, the storage tank 10, and the motor pump 50 can be easily and simply coupl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물 순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water circulation process of the hot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상기 모터 펌프(50) 및 히터(30)가 구동되면, 상기 저장탱크(10)의 입수구(10a)를 통해 온수매트로부터 상기 저장탱크(10)로 물이 입수되어 상기 저장탱크(10)의 격리된 유로 공간에 환수된다. 상기 격리된 유로 공간에 환수된 물은 상기 히터(30)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격리된 유로 공간에서 가열된 물은 상기 저장탱크(10)의 출수구(10b) 및 상기 모터 펌프(50)의 입수구(10a)를 통해 상기 모터 펌프(50)로 출수된 후, 상기 모터 펌프(50)로부터 상기 온수매트로 순환될 수 있다. When the motor pump 50 and the heater 30 are driven, water is taken from the hot water mat to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inlet 10a of the storage tank 10, And is returned to the flow space. The water circulated in the isolated flow path space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he heater (30). The heated water in the isolated flow path space is discharged to the motor pump 50 through the outlet port 10b of the storage tank 10 and the inlet port 10a of the motor pump 50, 50 to the hot water mat.

이때 상기 히터(30)는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물 중 상기 격리된 유로 공간을 순환하는 물만 가열하면 되므로, 소형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격리된 유로 공간의 물을 신속하게 출수온도로 가열 및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only the water circulating in the isolated flow path space among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can be heated, the heater 30 quickly heats the water in the isolated flow path space to the outflow temperature, .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would be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저장탱크 20: 히터 커버
30: 히터 40: 출수온도센서
50: 모터 펌프 60: 모터 펌프 하우징
100: 댐퍼 110: 탄성체
120: 제1클램프 링 130: 제2클램프 링
10: Storage tank 20: Heater cover
30: heater 40: outflow temperature sensor
50: motor pump 60: motor pump housing
100: damper 110: elastic body
120: first clamp ring 130: second clamp ring

Claims (13)

입수구와 바닥면 출수구가 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바닥 외측면에 댐퍼 결합부가 하향 돌출 형성된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저장탱크의 입수구 및 출수구를 포함하는 격리된 유로 공간을 형성하는 히터 커버;
상기 격리된 유로 공간에 설치되는 히터;
상기 저장탱크 하부에 설치되며, 상측면에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와 연결되는 입수구가 형성된 모터 펌프; 및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구와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 사이를 밀봉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입수구는 히터의 말단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는 상기 U자형 히터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유로는 입수구에서 들어온 순환수가 히터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여 히터의 중심 영역에서 출수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인 온수공급장치.
A storage tank having an inlet space and an inner space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outlet and a damper coupl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 heater cover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tank and forming an isolated flow path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torage tank;
A heater installed in the isolated flow path space;
A motor pump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and having an inlet port connected to an outlet port of the storage tank; And
And a damper for sealing between the inlet port of the motor pump and the outlet port of the storage tank,
Wherein the heater is formed in a U-shape, the inlet of the storage tank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heater, and the outlet of the storage tank is located in a central region surrounded by the U-shaped heater, And guiding the water to flow out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 내측면과 상기 히터 커버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히터 커버를 받칠 수 있고 상기 히터의 주변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기둥부가 돌출 형성된 것인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and an inner surface of the heater cover is formed with a column portion which can support the heater cover and forms a flow path around the h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 측에 인접 설치되어 출수 온도를 측정하는 출수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utflow temperature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outlet port side of the storage tank for measuring the outflow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커버는 상기 유로 공간에 존재하는 기포를 저장탱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형성된 것인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er cover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bubbles present in the flow path space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구과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장탱크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관 구조인 것인 온수공급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charge pipe is a pipe structure located at an inlet of the motor pump and an outlet of the storage tank and extending to an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댐퍼 결합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의 전 둘레를 둘러싸는 출수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터 펌프의 상측면에는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구를 둘러싸며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관에 삽입되는 입수관이 상향 돌출 형성된 것인 온수공급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damper coupling portion of the storage tank is formed as a water pipe surrounding the entire periphery of the outlet port of the storage tan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tor pump is connected to a water inlet pipe Wherein the water supply device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관이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는 일정 깊이의 링형 홈을 갖는 파이프형 저장탱크 결합부와,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관이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는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형 모터 펌프 결합부와,
상기 저장탱크 결합부와 상기 모터 펌프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한번 주름진 형상의 연결부
를 갖는 탄성체인 것인 온수공급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amper
A pipe-shaped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having a ring-shaped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o be inserted into the water-cooling pipe of the storage tank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ipe-shaped motor-pump coupling portion in which a water-intake pipe of the motor pump is inser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corrugated connection portion formed between th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and the motor pump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n elastic body having an elastic me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탄성체의 저장탱크 결합부를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관에 압착하는 제1클램프 링과,
상기 탄성체의 모터 펌프 결합부를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관에 압착하는 제2클램프 링
을 포함하는 것인 온수공급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amper
A first clamp ring for pressing th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of the elastic body to the water outlet pipe of the storage tank,
A second clamp ring for pressing the motor pump coupling portion of the elastic body to the inlet pipe of the motor pump,
The hot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 링은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인 온수공급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econd clamp ring comprises a coil spring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연결부는 상기 저장탱크 결합부의 상단 및 상기 모터 펌프 결합부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모터 펌프 결합부의 하측부에는 상기 제2클램프 링의 하향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부가 돌출 형성된 것인 온수공급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lastic body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motor pump coupling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otor pump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to prevent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second clamp r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저장탱크 결합부의 상단을 둘러싸며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 외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온수공급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astic body further comprises a flange portion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coupling portion and closely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댐퍼 결합부는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관과의 사이에 상기 댐퍼의 연결부가 개재되는 공간을 형성토록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모터 펌프의 입수관은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출수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인 온수공급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amper coupling portion of the storage tank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let port of the storage tank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amper is interposed between the damper coupling portion of the storage tank and the inlet pipe of the motor pump,
Wherein the inlet pipe of the motor pump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let port of the storage tank and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utlet port of the storage tank.
KR20140130397A 2014-09-29 2014-09-29 Hot-water supply device KR1014916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0397A KR101491615B1 (en) 2014-09-29 2014-09-29 Hot-water suppl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0397A KR101491615B1 (en) 2014-09-29 2014-09-29 Hot-water suppl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615B1 true KR101491615B1 (en) 2015-02-10

Family

ID=5259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0397A KR101491615B1 (en) 2014-09-29 2014-09-29 Hot-water suppl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61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585B1 (en) 2007-06-01 2007-10-04 박연홍 Boiling and reciranlating device for hot-water heating type mat
KR101261876B1 (en) 2012-11-20 2013-05-07 (주)성창하나전자 Controller for heating mat and control method thereo
KR101432196B1 (en) 2014-04-08 2014-08-21 주식회사 삼진 Warm water heating apparatus for warm water mat having noise reducing mea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585B1 (en) 2007-06-01 2007-10-04 박연홍 Boiling and reciranlating device for hot-water heating type mat
KR101261876B1 (en) 2012-11-20 2013-05-07 (주)성창하나전자 Controller for heating mat and control method thereo
KR101432196B1 (en) 2014-04-08 2014-08-21 주식회사 삼진 Warm water heating apparatus for warm water mat having noise reducing mea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086B1 (en) Cooling-water heater
KR101495550B1 (en) Water Heater
KR101458421B1 (en) Cold and Hot water creation module with thermoelement and 3way-valve and its boiler also its mat
US20170045310A1 (en) Heat exchanger having circulation guide
KR20070000493U (en)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of non-driving pump
MX2013004478A (en) Endothermic base-mounted heat pump water heater.
KR100872414B1 (en) Hot-water circulayion device
KR101491615B1 (en) Hot-water supply device
KR101991688B1 (en) Hot water storage type water heater with warm air generating function
KR20110024746A (en) Boiler using heat medium oil
KR20120057007A (en) Heating apparatus for small size hot-water boiler
KR20190002339U (en) Hot water boiler for camping
JP2013145639A (en) Electric warmer
KR200476029Y1 (en) Hot Water Supply Apparatus for Hot Water Mat
US20110058797A1 (en) Halogen Water Heater
KR102379071B1 (en) Non-powered hot water boiler
KR20090082991A (en) Electric boiler
KR20110030035A (en) Warm water heating tube for electric boiler and electric boiler using the same
KR101542612B1 (en) Hot mat boiler
KR20100077777A (en) Oil heating device
KR200466598Y1 (en) An electricity warm water boiler
KR200446980Y1 (en) Heating
KR101842063B1 (en) Heat transfer tube for floor heating
JP2012032118A (en) Hot water supply pipe
KR100631351B1 (en) A quick heat type hot water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