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603B1 -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메탈 시트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메탈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603B1
KR101491603B1 KR20130115320A KR20130115320A KR101491603B1 KR 101491603 B1 KR101491603 B1 KR 101491603B1 KR 20130115320 A KR20130115320 A KR 20130115320A KR 20130115320 A KR20130115320 A KR 20130115320A KR 101491603 B1 KR101491603 B1 KR 101491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orosity
sheet
portable termina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경
김근하
이승효
조운형
Original Assignee
플라텔코퍼레이션(주)
인탑스 주식회사
김재경
김근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텔코퍼레이션(주), 인탑스 주식회사, 김재경, 김근하 filed Critical 플라텔코퍼레이션(주)
Priority to KR2013011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01Q17/002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using short elongated elements as dissipative material, e.g. metallic threads or flake-like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탈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메탈 시트는,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부착 시트; 제1 공극율을 갖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메탈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 시트 일측면 중 제1 영역에 부착되는 제1 메탈 그룹; 및 상기 제1 공극율보다 낮은 제2 공극율을 갖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메탈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 시트 일측면 중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하여 배열되는 제2 영역에 부착되는 제2 메탈 그룹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형 역에프 안테나와 같은 내장형 안테나들에서 발생하는, 성능 저하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다양한 수신 대역의 안테나 내장에 의해 수신 감도를 보장해 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메탈 돌기들을 이용해여 질감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메탈 시트{METAL SHEET FOR ATTACHING REAR COVER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메탈 시트에 관한 것으로, 주파수 이동에 따른 성능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메탈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근래 이동통신의 발전과 함께, 안테나도 휴대폰 시장에 발을 맞추어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평판형 역에프 안테나와 같이, 소형이면서 뛰어난 성능을 갖는 안테나가 현재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평판형 역에프 안테나는 돌출부가 없어 휴대폰 내장이 용이하고, 낮은 가격으로 안테나 설계가 가능하며, 안테나의 길이를 쉽게 조절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평판형 역에프 안테나와 같은 내장형 안테나들은 외장형 안테나에 비해 수신 효율이 떨어지고, 한정된 장착 영역 내에 다양한 수신 대역의 안테나를 내장 시킴에 따라 수신 감도의 보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국내등록특허 제10-0724370호(2007.06. 04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파수 이동에 따른 성능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메탈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시트는,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부착 시트; 제1 공극율을 갖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메탈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 시트 일측면 중 제1 영역에 부착되는 제1 메탈 그룹; 및 상기 제1 공극율보다 낮은 제2 공극율을 갖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메탈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 시트 일측면 중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하여 배열되는 제2 영역에 부착되는 제2 메탈 그룹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메탈 그룹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메탈 그룹은, 상기 제1 메탈 그룹과 멀어질수록 공극율이 작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메탈 그룹은, 상기 제1 메탈 그룹과 동일한 공극율을 갖도록 상기 메탈 돌기들이 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탈 시트는, 상기 제1 공극율을 갖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메탈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제3 영역에 부착되는 제3 메탈 그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탈 돌기는, 반원형, 원통형, 원뿔형, 다각면체 중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탈 그룹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메탈 돌기들의 크기 또는 개수를 통해 공극율이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형 역에프 안테나와 같은 내장형 안테나들에서 발생하는 성능 저하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다양한 수신 대역의 안테나 내장에 의해 수신 감도를 보장해 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메탈 돌기들을 이용해여 질감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된 메탈 시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로 배열된 메탈 그룹을 갖는 메탈 시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로로 배열된 메탈 그룹을 갖는 메탈 시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탈 시트의 공극율에 따른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된 메탈 시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시트(200)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300)에 포함된 내장형 안테나(400)에 대응되도록 휴대 단말기 후면 커버(100)에 부착되며, 부착 시트(202)와 메탈 돌기(201)를 포함한다.
부착 시트(200)는 3 ㎛(마이크로 미터) 두께의 시트로, PC(Poly Carbonate)로 이루어지며, 한쪽 면에 복수의 메탈 돌기(201)가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되고, 다른 면은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100)의 안쪽(내장형 안테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부착된다.
이때, 부착 시트(200)는 서로 다른 공극율을 갖도록 복수의 메탈 돌기(201)들이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메탈 그룹들이 시트의 한쪽 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두 개의 공극율 중 하나는 공극율이 20% 이상 유지되며, 공극율이 20% 이상 유지되는 메탈 그룹(210)은 내장형 안테나(400)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폴리 카보네이트(PC)를 이용하여 부착 시트(200)를 구성하였지만, 열가소성 범용 수지(PP, PE, PS, ABS, PMMA), 열가소성 엔프라(POM, PA, PPO, PPE, PPS, PES 등) 등과 같이 사출 가능한 다양한 시트 수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메탈 돌기(201)는 복수개가 부착 시트(202)에 부착되며, 메탈(Metal)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돌기 형태를 갖는다. 이때, 메탈 돌기(201)는 일정 공극율을 갖도록 서로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부착 시트(202)에 부착된다. 여기서, 공극율은 전체 시트 면적 대비 메탈 돌기가 분포되지 않은 공간 면적을 나타내며, 복수의 메탈 돌기(201)들의 크기 또는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탈 돌기(201)를 원통형의 돌기 형태로 구현하였지만, 안테나 성능 향상을 위하여 반원형, 원통형, 원뿔형 및 다각면체 중 하나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탈 시트(200)는 가로 또는 세로로 배열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로 배열된 메탈 그룹을 갖는 메탈 시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로로 배열된 메탈 그룹을 갖는 메탈 시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로 배열된 메탈 그룹을 갖는 메탈 시트(200)는 부착 시트(202)의 한쪽 면에 서로 다른 공극율을 갖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메탈 돌기들을 포함하는 2개의 메탈 그룹(210, 220)으로 형성된다.
제1 메탈 그룹(210)은 20% 공극율을 갖도록 복수의 메탈 돌기(201)들이 각각 이격되어 분포되며, 제2 메탈 그룹(220)은 일정한 간격으로 18%, 16%, 14%, 12%, 10%의 공극율을 갖도록 메탈 돌기들이 각각 이격되어 분포된다. 이때, 제2 메탈 그룹(220)은 제1 메탈 그룹(210)과 점점 멀어질수록 낮은 공극율을 갖도록 설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메탈 돌기(210)는 적어도 하나의 공극율을 갖도록 메탈 돌기들이 각각 이격되어 분포될 수 있다. 즉, 18% 공극율만 또는 18% 및 16% 공극율 등과 같이 하나의 이상의 공극율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메탈 시트(200)의 한쪽 면에 공극율에 따라 메탈 그룹들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였지만, 공극율에 상관없이 불규칙하게 배열할 수도 있다. 단, 이 경우에 반드시 하나의 메탈 그룹은 20% 이상을 공극율을 포함하며, 20% 이상의 공극율을 갖는 메탈 그룹은 내장형 안테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로로 배열된 메탈 그룹을 갖는 메탈 시트(200)는 부착 시트(202)의 한쪽 면에 서로 다른 두 개의 공극율을 갖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메탈 돌기(201)들을 포함하는 두 개의 매탈 그룹(230, 240)을 배열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두 개의 메탈 그룹(230, 240) 중 하나의 메탈 그룹(230)는 20% 공극율을 갖도록 복수의 메탈 돌기(201)들이 이격되어 분포되며, 다른 메탈 그룹(240)은 18% 공극율을 갖도록 복수의 메탈 돌기(201)들이 각각 이격되어 분포된다.
이때, 세로로 배열된 메탈 그룹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메탈 시트(200)는, 양 측면에, 각각 20%의 공극율을 갖는 메탈 그룹(210)이, 중앙에 18%의 공극율을 갖는 메탈 그룹(240)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시트(200)는 한쪽 면에 서로 다른 공극율을 갖는 복수의 메탈 그룹들을 포함하지만, 하나의 공극율(20%)을 갖는 메탈 그룹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메탈 그룹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메탈 시트는 커버의 질감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신호 수신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장형 안테나의 수신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탈 시트의 공극율에 따른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메탈 시트의 부착 시트(202)는 공극율 100%, 30% 및 20%인 경우에, 저주파수 대역(1~8)과 고주파수 대역(9~20)에 대한 내장형 안테나의 수신 효율(Efficiency)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도 4d를 참조하면, 공극율이 20% 미만, 즉 19%인 경우에 수신 효율(Efficiency)이 공극율 100%, 30% 및 20%인 경우보다 현저히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925 Mhz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수신 효율의 차이를 현저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성능은 유지하면서, 질감을 높이고, 신호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메탈 그룹이 최소한계치인 20% 이상의 공극율을 갖도록 메탈 시트(200)를 구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시트는 다만, 부착 시트에 메탈 돌기를 통해 제품의 질감을 탁월히 향상 시키면서, 내장형 안테나로 송수신되는 신호들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 200: 메탈 시트
201: 메탈 돌기 202: 부착 시트
203: 공극 300: 휴대 단말기의 본체
205, 210, 215, 220, 225, 230, 255, 260: 메탈 그룹
400: 내장형 안테나

Claims (7)

  1.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부착 시트;
    제1 공극율을 갖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메탈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 시트 일측면 중 제1 영역에 부착되는 제1 메탈 그룹;
    상기 제1 공극율보다 낮은 제2 공극율을 갖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메탈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 시트 일측면 중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하여 배열되는 제2 영역에 부착되는 제2 메탈 그룹; 및
    상기 제1 공극율을 갖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메탈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제3 영역에 부착되는 제3 메탈 그룹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메탈 그룹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메탈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극율은 20% 이상을 가지는 메탈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탈 그룹은,
    상기 제1 메탈 그룹과 멀어질수록 공극율이 작아지는 메탈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탈 그룹은,
    상기 제1 메탈 그룹과 동일한 공극율을 갖도록 상기 메탈 돌기들이 분포되는 메탈 시트.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돌기는,
    반원형, 원통형, 원뿔형, 다각면체 중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메탈 시트.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그룹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메탈 돌기들의 크기 또는 개수를 통해 공극율이 정해지는 메탈 시트.
KR20130115320A 2013-09-27 2013-09-27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메탈 시트 KR101491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320A KR101491603B1 (ko) 2013-09-27 2013-09-27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메탈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320A KR101491603B1 (ko) 2013-09-27 2013-09-27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메탈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603B1 true KR101491603B1 (ko) 2015-02-06

Family

ID=5259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5320A KR101491603B1 (ko) 2013-09-27 2013-09-27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메탈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6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988A (ko) * 2004-11-24 2006-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성능 개선을 위한 도전체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JP2012147158A (ja) * 2011-01-11 2012-08-02 New Japan Radio Co Ltd マイクロ波用アンテ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988A (ko) * 2004-11-24 2006-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성능 개선을 위한 도전체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JP2012147158A (ja) * 2011-01-11 2012-08-02 New Japan Radio Co Ltd マイクロ波用アンテ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6651B2 (en)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102279153B1 (ko) 샤크 핀 안테나
CN107240765B (zh) 一种wifi天线
CN202172122U (zh) 天线罩、天线装置及雷达装置
TW200737597A (en) Dual band antenna
WO2008086098A3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isolated antennas
US20100253581A1 (en) Multiband antenna and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EP2541676A3 (en) Forty-five degree dual broad band base station antenna
WO2011033388A3 (en) Aperiodic and non-planar array of electromagnetic scatterers, and reflectarray antenna comprising the same
JP2006148917A (ja) 二重偏波放射素子および成形された反射器を備える基地局パネルアンテナ
JP2018207468A (ja) アンテナ及びウェアラブル機器
TW200709495A (en) Antenna module
WO2010085706A3 (en) Compact circularly polarized omni-directional antenna
GB2439975B (en) Antenna arrangement
CN207082622U (zh) 天线装置
Trinh et al. Low-profile horizontal omni-directional antenna for LoRa wearable devices
KR101491603B1 (ko) 휴대 단말기의 후면 커버에 부착되는 메탈 시트
MX2010003997A (es) Elemento de antena y conjunto de elementos de antena.
WO2008024218A3 (en) Multiple band antenna arrangement
KR100873441B1 (ko) 슬롯 안테나
CN105307432B (zh) 电子设备及其制造方法
KR20120058408A (ko)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내장형 안테나
RU2010114835A (ru) Экран для подавления многолучевого приема сигналов и антенная система с таким экраном
CN202373690U (zh) 全向圆极化天线
DE502005002935D1 (de) Empfangsantennensystem mit mehreren aktiven anten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