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338B1 - 한의 정보 시스템에서 처방 정보의 모델링 및 표현 방법 - Google Patents

한의 정보 시스템에서 처방 정보의 모델링 및 표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338B1
KR101491338B1 KR20130132803A KR20130132803A KR101491338B1 KR 101491338 B1 KR101491338 B1 KR 101491338B1 KR 20130132803 A KR20130132803 A KR 20130132803A KR 20130132803 A KR20130132803 A KR 20130132803A KR 101491338 B1 KR101491338 B1 KR 101491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source
name
search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균
장현철
김안나
오용택
김철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32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eth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구분 요소로 처방 객체를 구분하는 처방 검색 장치 및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분된 처방 객체를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처방 검색 장치는 처방명, 출처, 출처 페이지 및 출전을 구분 요소로 처방 객체를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검색부를 통해 구분된 처방객체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어플리케이션은 입력 키워드로 처방명 또는 처방 구성을 입력 받아 입력된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 객체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의 정보 시스템에서 처방 정보의 모델링 및 표현 방법{MODELS AND REPRESENTATIONS OF FORMULA IN KOREAN MEDICINE INFORMATION SYSTEM}
한의학에서 이용되는 처방을 구분하고 검색하는 시스템 및 검색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정하게는 처방을 구분하는 처방 검색 장치를 제공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전통 의학 분야에서는 환자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단일 약지보다는 여러 약재를 배합한 처방을 많이 이용해왔다. 지난 수 천년 동안 수많은 의가들이 있었으며 각 의가들이 이용한 처방들은 다른 의가의 처방을 인용한 것도 있지만 자신의 치료 방법에 따라 새로운 처방을 고안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새로 만들어진 처방들은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처방인 경우도 있지만 기존 처방에 일부 구성 약재를 가감한 경우가 많다. 또한 모든 처방에는 처방명이 존재하는데 모든 처방이 서로 다른 처방명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구성 약재를 가지는 처방들은 동일한 처방명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고문헌에 나오는 처방들은 이름이 동일한 경우의 처방의 출전을 가지고 처방을 구별하고 있다.
현대 사회의 경우 고문헌처럼 당대의 임상 대가가 나와서 새로운 의학 학파를 구축하고 임상 서적을 만드는 경우 보다는 본초학, 방제학 또는 병리학과 같이 특정 학문 분야에 대해서 기존의 의서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하고 저자의 의견을 반영한 서적들이 출판되고 있다.
최근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한의 정보가 종이와 같은 책이 아닌 디지털화된 형태로 구축되고 있다. 또한, 단순히 책의 원문을 디지털화하는 것을 넘어서 처방 데이터를 처방명, 출전, 구성약재, 효능, 주치 등으로 구분하여 객체화 및 정보화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처방 정보가 객체화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원문에서의 포맷과 배치 순서가 무시되기 때문에 동일한 처방에 대한 구별 방법은 더욱 중요해지게 된다. 따라서, 처방 지식을 정형화된 형태로 모델링하고 단위 데이터로 분리된 처방 객체에 대한 지식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처방 검색의 효율을 높이고 보다 지능적인 활용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일측에 따르면, 처방명, 출처 및 출처페이지를 포함하는 구분 요소에 의해 처방 객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 객체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처방 객체를 제공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처방 검색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구분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 다른 처방 객체로 구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분 요소는 출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분 요소는 상기 출전이 인용하는 원출전이 있는 경우, 상기 원출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분 요소는 상기 출전에 동명 처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전의 편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부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처방 객체를 출전 또는 출처 중 적어도 하나로 구별하여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부는,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 구성을 검색하여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처방 구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처방 구성은 상기 처방 객체에 포함되는 구성 약재, 효능 또는 주치 중 하나임-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부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처방 구성을 포함하는 처방 객체를 처방명으로 구별하여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처방 검색 방법에 있어서, 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키워드를 처방명, 출처 및 출처페이지를 포함하는 구분 요소에 의해 구분되는 처방 객체들이 저장된 처방 검색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구분된 처방 객체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방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방 검색 장치는, 상기 구분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 다른 처방 객체로 구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분 요소는 출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키워드가 처방명인 경우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상기 처방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방 객체를 출전 또는 출처 중 적어도 하나로 그룹핑하고, 그룹핑한 리스트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출력된 상기 그룹핑한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방 객체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처방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처방 객체에 포함된 처방을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키워드가 구성 약재, 효능 또는 주치를 포함하는 처방 구성인 경우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 구성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된 처방 구성을 포함하는 처방 객체를 처방명으로 구별하여 그룹핑한 리스트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되도록 선택하는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 단계에서 상기 그룹핑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수신되는 상기 그룹핑한 리스트를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참조 처방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참조 처방 출력 단계는, 출력된 상기 그룹핑한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리스트에 포함된 처방 객체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참조 처방 출력 단계는, 출력된 상기 처방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처방 객체에 포함된 처방을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키워드를 처방명, 출처 및 출처페이지를 포함하는 구분 요소에 의해 구분된 처방 객체들 및 구성 약재, 효능 또는 주치를 포함하는 처방 구성이 저장된 처방 검색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코드 및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구분된 처방 객체를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 코드는, 상기 입력 키워드가 처방명인 경우 상기 처방 검색장치로부터 상기 처방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방 객체를 출전 또는 출처 중 적어도 하나로 그룹핑한 리스트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키워드가 처방 구성인 경우 상기 출력된 처방 구성을 포함하는 처방 객체를 처방명으로 구별하여 그룹핑한 리스트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되도록 선택하는 선택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 검색 장치가 사용자 단말들과 연결되는 개요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 검색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 객체가 구분 요소 및 처방 구성과의 연결관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처방명, 출처 또는 출전으로 그룹핑된 리스트 및 처방 객체 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키워드로 처방명이 입력되었을 경우의 검색 과정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키워드로 처방 구성이 입력되었을 경우의 검색 과정 흐름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키워드로 처방명이 입력되었을 경우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전환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키워드로 처방 구성이 입력되었을 경우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전환의 흐름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 검색 장치(110)가 사용자 단말들(101 내지 104)과 연결되는 개요도를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 검색 장치(110)는 네트워크(105)를 통해 처방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처방 검색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기들(101 내지 104)에 설치된 검색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처방 검색 장치(11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4)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처방 검색 장치(110)로 전송하고, 처방 검색 장치(110)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1 내지 104)로 전송하여 처방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한 처방 검색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 검색 장치(11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 검색 장치(110)는 구분 요소에 의해 처방 객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0) 및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 객체를 검색하여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 객체를 제공하는 검색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 검색 장치(110)는 처방 객체들을 구분 요소에 의해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처방 객체를 보다 명확히 구분하여야 컴퓨터 등을 이용한 효율적인 처방 검색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처방 객체를 구분해야 하는 이유와 구분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현대 의서들에 나오는 처방들은 고문헌의 처방에 대한 출전을 명시하고 인용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각각의 현대 의서마다 출전에 나오는 내용을 그대로 똑같이 인용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내용이나 포맷을 바꾸어서 기술한다. 이는 한의사가 보면 동일한 처방이지만 정보 시스템에서는 처방을 처리할 때 문자열이 다르기 때문에 각 처방들이 동일한지 비교를 해야 한다. 또한, 동일한 처방인 경우라도 하나를 선택해서 브라우징할 때 어떤 처방 문자열을 보여줘야 할지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적에서 동일한 출전과 처방명을 가지지만 구성 약재가 수치 여부로 인해 다른 경우가 존재한다. 동의방제와처방해설의 234페이지에는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출전으로 가지는 마황탕(麻黃湯)(마황거절(麻黃去節) 3 전(錢), 계지거피(桂枝去皮) 2 전, 감초자(甘草炙) 0.6 전, 행인거피첨자(杏仁去皮尖炙) 10 매(枚))이 존재하며, 244페이지에는 동의보감을 출전으로 가지는 마황탕(마황 3전, 계지 2 전, 감초 6 분(分), 행인 10 매)이 존재한다. 상기 두 처방은 한의사가 보면 동일한 처방이라고 할 수 있으나, 약재의 수치에 차이가 있다.
또한, 동일한 출전과 처방명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서적에서 구성 약재의 수치와 용량의 비율을 다르게 기술한 경우가 있다. 방제학(方劑學) 68 내지 69페이지에는 상한론(傷寒論)을 출전으로 가지는 마황탕(마황거절 9g, 계지 6g, 감초자 3g, 행인거피첨 9g)이 존재하며, 심계내과학 478페이지에도 상한론을 출전으로 가지는 마황탕(마황(거절) 6g, 계지(거피) 4g, 자감초(炙甘草) 2g, 행인 6g)이 존재한다. 이 경우 또한 한의사가 보면 동일한 처방이라고 할 수 있으나, 약재의 비율은 같으나 수치와 용량이 서로 다르다.
처방 정보를 객체화하는 이유는 사람이 이 객체를 보고 해석하려는 것 보다는 컴퓨터가 해석 및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은 두 가지의 경우 사람이 두 처방을 판단할 경우에는 같은 처방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컴퓨터가 해석 및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문자열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처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출전의 동일한 처방이라도 어떤 서적에서 나온 것이냐에 따라 처방의 문자열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처방 처리와 브라우징 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처방인지 구별하는 경우 어떤 출전에서 나온 처방인지를 참고한다. 동일한 처방명을 가지더라도 출전이 어디인지에 따라서 구성 약재 및 용량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효능과 주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상기한 두 가지 예시에서와 같이 동일한 출전과 처방명을 가지는 마황탕이라도 정보를 가져온 출처와 출처 페이지에 따라 구성 약재의 문자열이 서로 다른 경우가 있고 효능과 주치도 서로 다르다.
이 경우 한의사가 보면 동일한 처방이라고 하더라도 정보 시스템 관점에서는 문자열이 다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데이터로 취급해서 따로 저장하고 이 처방들을 검색 시 비교해서 동일하다는 것을 판단하고 처리해서 보여주게 된다.
기존의 구분 방식에서는 구성약재, 용량 비율, 효능, 주치, 출전의 5가지 구분 요소로 이 중에서 하나라도 다른 경우 서로 다른 처방으로 구분하였다. 이 경우 구분 요소의 개수가 5 가지 이지만 일반적으로 구성약재, 효능, 주치가 여러 개의 정보를 가지기 때문에 처방을 구별하기 위해 비교해야 할 개수가 처방 한 개에서 보통 10개가 넘어가게 된다.
또한 단순히 문자열 일치 여부와 별도로 약재 용량의 단위 간에 변환도 필요하고 효능과 주치에서 동일한 한자로 보이지만 코드가 다른 한자 처리도 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사람이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경우 비교적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하지만 정보 시스템에서 10개가 넘는 요소를 사용하고 용량 및 코드 변환까지 처리해서 수많은 처방을 1:1로 비교하고 구별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 적이어서, 정보 시스템에서 처방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보다 단순한 구별 방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처방을 식별하는 요소가 최소 10개가 넘기 때문에 식별 요소를 간단히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처방을 구분할 시에 처방명, 출처 및 출처 페이지의 3가지 요소를 기본 구분 요소로 하고, 출처가 출전을 인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출전을 구분 요소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존 시스템들은 식별자로 아이디를 많이 이용하는데 아이디 자체는 의미가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아이디만 봐서는 내용을 알 수 없다. 반면에 본 발병의 구분 요소는 정보의 식별뿐만 아니라 자체에 식별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 중 처방명 및 출처 페이지의 경우에는 그 자체로 하나의 구분 요소로 처방 객체의 구분에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출처 및 출전의 경우에는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을 수 있다.
출처의 경우는 동일한 책이라도 출판사나 출판 연도에 따라 내용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출처의 경우에는 출판 연도 또는 출판사를 같이 모델링하여야 처방 객체를 좀 더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출전의 경우 출전이 출전을 가지는 경우나 하나의 출전에 동명 처방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출전이 출전을 가지는 경우, 예를 들어 동의보감 출전의 마황탕은 동의보감에 보면 출전이 입문(入門)으로 나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출처가 동의보감이 되고 출전은 입문이 될 수 있다. 또한 동의방제와처방해설 234페이지의 동의보감 마황탕은 출전이 동의보감이고 원출전이 입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출전의 개수가 2개가 된다.
하나의 출전에 동명 처방이 존재하는 경우는 책의 편(編)이 다른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출전과 함께 편명(編名)을 구성 요소에 포함하여 처방 객체를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전과 출처의 정보는 하나가 아니라 각각 2개 내지 3개의 단위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성 요소로 3개 내지 4개의 구성 요소를 사용하지만 정보 시스템에서 비교해야 하는 것은 최대 10개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책이름과 출판 연도는 변환이나 한자코드 비교와 같은 작업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 시스템에서 보다 쉽고 간단하게 처방 구별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색부(220)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 객체를 검색하여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 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10)에 처방 객체가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검색부(2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명 또는 구성 약재, 효능 또는 주치 등을 포함하는 처방구성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검색부(220)는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동일한 레벨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검색되는 처방 객체의 개수가 몇 개 안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함에 있어 무리가 없으나, 처방의 개수가 많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찾기 위해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색부(220)는 처방명과 출전 및 출처에 따라서 유사한 처방을 그룹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그룹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 객체가 구분 요소 및 처방 구성과의 연결관계(300)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처방 객체(310)인 동의방제와처방해설 234페이지에서 동의보감을 출전으로 가지는 마황탕과 연결되는 구분 요소 및 처방 관계를 도시한다. 다만, 상기 처방 객체(310)인 동의방제와처방해설 234페이지에서 동의보감을 출전으로 가지는 마황탕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서 도시된 사각형의 도형은 모두 객체이고 사각형 안의 문자열은 객체의 식별자가 되며 링크는 객체들 간의 관계를 표시할 수 있다.
구분 요소(32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처방명, 출전, 출처 및 출처 페이지를 포함하는 4가지 구분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처방 객체(310)는 처방명이 마황탕이고, 출전이 동의보감이고, 출처가 동의방제와처방해설이며 출처 페이지가 234 페이지로 구분된 처방 객체이다.
이와 같이 처방 객체들은 출처가 출전을 인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방명, 출처 및 출처페이지로 처방 객체를 구분될 수 있고, 출처가 출전을 인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구분 요소로 출전을 더 포함하여 처방 객체를 구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 객체(310)는 구성 약재(340), 효능(350) 및 주치(330)를 포함하는 처방 구성 객체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성 약재(340)는 처방 객체(310)에 필요로 되는 구성 약재(340)인 마황거절, 계지거피, 감초자 및 행인거피첨자 객체와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수치 된 약재이다. 또한, 각각의 수치 약재는 다시 마황, 계지, 감초, 행인과 같은 객체와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약재에 해당한다. 그리고 전(錢)과 같은 객체는 다른 여러 객체에서 참조되는 객체이기 때문에 한 개만 존재하고 여러 개의 참조 링크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처방 객체(310)의 주치(330)에 해당하는 두통(頭痛), 무한(無汗), 백절통(百節痛), 신동(身疼), 오풍한(惡風寒) 및 태양상한(太陽傷寒) 객체와 연결되어, 처방 검색 장치가 상기 처방 객체(310)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연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방 객체(310)의 효능(350)에 해당하는 발한(發汗), 지해(止咳), 평천(平喘) 및 해표(解表)와 연결되어, 처방 검색 장치가 상기 처방 객체(310)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연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분 요소(320)에 의해 구분된 상기 처방 객체(310)는 구성 약재(340), 효능(350) 및 주치(330)와 연결되어, 상기 처방 객체(310)를 처방 검색 장치의 검색부를 통해 검색되는 경우 연결된 처방 구성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의 추가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식별자에 연결하면 링크되어 처방 검색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처방명, 출처 또는 출전으로 그룹핑된 리스트 및 처방 객체 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처방명인 마황탕(410)에 의해 연결되는 출처 또는 출전에 의해 그룹핑되는 그룹핑 리스트(420) 및 구분 요소에 의해 구분된 처방 객체 그룹(430)의 연결관계를 도시한다. 다만, 상기 처방명인 마황탕(410)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처방은 출전, 구성약재, 효능, 주치 등의 정보를 가지지만 대부분의 서적에서는 출전과 처방명만 기술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진단표준화 II에 나오는 태양표실증은 치료처방으로 상한론의 마황탕을 가진다고만 기술되어 있으며 구성 약재, 효능, 주치에 대한 정보가 없다.
하지만 심계내과학이나 방제학에는 상한론의 마황탕에 대한 구성 약재, 효능, 주치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태양표실증의 치료처방을 보여줄 때 이 정보를 같이 보여 줄지 여부를 고려해야 하며, 또한 심계내과학과 방제학의 구성 약재 문자열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것을 대표로 보여줘야 할지도 결정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처방 객체는 마황탕, 동의보감, 동의방제와 처방해설 및 234페이지와 같이 4개의 구분 요소로 식별될 수 있고, 4 개의 구분 요소 중 하나라도 다른 경우에는 다른 처방 객체로 식별될 수 있다.
마황탕, 동의폐내과학 및 540 페이지와 같이 3개의 구분 요소로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출처가 출전을 인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로서, 출전을 제외한 3가지의 구분 요소로 처방 객체가 식별될 수 있고, 3 개의 구분 요소 중 하나라도 다른 경우에는 다른 처방 객체로 식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분 요소들 중 하나라도 다른 것이 있으면 다른 처방으로 식별할 수 있고, 동일 또는 유사한 처방인 경우 처방들 간에 참조 관계를 명시함으로써 동일 또는 유사한 처방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동일한 처방은 상기 구분 요소가 모두 동일한 것을 의미하나, 유사한 처방의 경우 그 기준을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처방명을 가지는 경우 출전 또는 출처에 의해 유사한 처방을 그룹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서 도시된 그룹핑된 리스트(420) 내부의 사각형은 마황탕(410)을 처방명으로 가지는 처방 객체들을 출처 또는 출전으로 그룹핑한 리스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처방 객체 그룹(430) 내부의 사각형은 구분 요소에 의해 구분되는 처방 객체 각각을 나타낼 수 있다.
기존 한의학 처방 검색 시스템들은 동일한 이름의 처방을 한 줄로 나열만 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출전 또는 동일한 출처별로 그룹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룹핑된 리스트(420)는 각 출전과 출처의 마황탕을 대표하는 처방이 될 수 있고, 마황탕(410)은 모든 마황탕을 대표하는 처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표준화 II에 나오는 태양표실증이 주치로 상한론의 마황탕을 가진다는 정보는 태양표실증을 상한론을 대표하는 처방인 "마황탕, 상한론" 객체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마황탕, 상한론" 객체는 "마황탕, 상한론, 심계내과학, 478" 및 "마황탕, 상한론, 방제학, 68-69"객체와 참조 처방이라는 관계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구분 요소로 식별된 처방객체들 중에서 처방명과 출전 또는 출처가 동일한 처방 객체를 유사한 처방으로 볼 수 있고, 상기 유사한 처방들의 대표 처방으로 "마황탕, 상한론"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분 요소로 구분된 처방 객체들을 처방명과 출전 또는 출처가 동일한 객체들로 그룹핑하여 그룹핑한 리스트를 처방 검색 장치가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룹핑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경우, 예를 들어 태양표실증의 치료 처방이 심계내과학 처방이나 방제학 처방과도 연결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서적에서 상한론을 출전으로 가지는 마황탕을 추가하려는 경우 도 4에서 도시된 "마황탕, 상한론"과 참조 처방 관계로 연결시키면 태양표실증의 치료 처방으로도 연결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떤 서적에서 어떤 병이 치료 처방으로 마황탕을 가진다고 하면 그 병과 마황탕을 주치 관계로 연결할 수 있고, 참조된 처방들과도 연결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키워드로 처방명이 입력되었을 경우의 검색 과정 흐름도이다.
처방 검색 장치에서 처방 객체를 검색하는 방법은 2 가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처방명을 직접 입력해서 검색하는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처방 구성을 검색하는 경우이다. 처방 구성을 검색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6에서 후술한다.
단계(510)에서 사용자의 단말에 검색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에서 입력 키워드로 처방명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방명을 입력하는 경우 구분된 식별 객체 중 입력된 처방명에 대응하는 처방 객체들을 모두 표시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처방 객체를 검색하기에 어려울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이 모바일일 경우 웹 환경보다 화면과 성능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처방 검색시 유사한 처방 객체를 그룹핑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유사한 처방 객체를 그룹핑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520)에서는 입력된 상기 처방명을 가지는 처방 객체들 중에서 출전 또는 출처가 동일한 처방 객체들을 그룹핑하여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된 처방명에 대응하는 모든 처방 객체들을 동일 레벨로 제공하기 보다는 단계(520)에서와 같이 출전 또는 출처가 동일한 처방 객체를 그룹핑하여 그룹핑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 검색 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
단계(530)에서는 제공된 상기 그룹핑된 리스트 중에서 특정 출전 또는 특정 출처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룹핑된 리스트 중에서 특정 출전 또는 특정 출처의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리스트에 포함되는 처방 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는 특정 처방 객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된 리스트에 포함된 처방 객체 중 정보를 얻기를 원하는 처방 객체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처방 객체의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 정보에는 처방 객체의 처방명, 구성 약재, 주치, 출전, 출처 및 출처 페이지 등이 표시될 수 있고, 각각의 항목에 포함되는 요소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요소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 해당하는 검색 방법이 구체적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현되는 지에 대해서는 도 7에서 후술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키워드로 처방 구성이 입력되었을 경우의 검색 과정 흐름도이다.
도 6에서는 처방 검색 장치에서 처방 객체를 검색하는 방법은 2 가지의 경우 중에서 처방 구성을 검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610)에서 사용자의 단말에 검색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에서 입력 키워드로 처방 구성을 입력할 수 있다. 처방 구성은 구성 약재, 효능 또는 주치일 수 있다. 처방 구성을 입력 키워드로 입력하는 경우 처방 검색 장치는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 구성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처방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처방 구성을 포함하는 참조 처방 정보를 원하는 경우 참조 처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도 5에서 그룹핑한 것과는 다르게 처방명 별로 그룹핑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는 사용자가 참조 처방을 선택한 경우 입력 키워드로 입력된 처방 구성을 포함하는 처방 객체들을 처방명으로 그룹핑하여 그룹핑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동일한 처방명에 대응하는 처방 객체들을 그룹핑한 경우이기 때문에 동일한 처방명 내에서 처방 객체들을 그룹핑하는 것이므로 도 6에서는 처방 구성을 검색한 경우와는 다르게 그룹핑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입력 키워드로 처방 구성이 입력되고, 처방 구성에는 구성 약재, 효능 또는 주치 등의 정보가 포함되기 때문에 처방명이 적어도 하나 이상 검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5와 같이 단일 처방명에 대응하여 그룹핑하는 것과는 다르게 그룹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6에서는 입력 키워드로 입력된 처방 구성을 포함하는 처방명 별로 그룹핑하여 그룹핑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분된 처방 객체들의 가장 큰 분류로 처방명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고, 4 가지 구분요소 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그룹핑할 수도 있으므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630)에서는 상기 그룹핑된 리스트 중에서 특정 처방명 리스트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처방명 리스트에 포함되는 처방 객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바와 같이 처방 객체들은 동일 처방명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사용자에게 동일 처방명을 가지는 모든 처방 객체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특정 처방명을 선택하는 경우 도 5에서의 방법과 같이 특정 출전 또는 특정 출처를 가지는 처방 객체들을 그룹핑하여 그룹핑한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640)에서는 특정 처방 객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처방명 리스트에 포함되는 처방 객체 중 정보를 얻기를 원하는 처방 객체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처방 객체의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 해당하는 검색 방법이 구체적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현되는 지에 대해서는 도 8에서 후술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키워드로 처방명이 입력되었을 경우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전환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7에서는 일실시예에 따라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 키워드로 처방명을 입력했을 경우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전환의 흐름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다만, 도 7에서 도시된 마황탕의 검색 흐름은 일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면(710)은 검색 어플리케이션의 첫 화면이다. 이 화면에서 상단의 검색어 입력창에 입력 키워드로 마황탕을 입력한 후 오른쪽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화면(720)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면(720)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출전 또는 출처가 동일한 8개의 그룹핑된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 리스트는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그룹핑된 리스트이다. 각 그룹핑된 리스트 옆에는 리스트에 포함되는 처방 객체의 건수가 나오며 밑에는 출천 또는 출처가 나올 수 있다. 하나의 리스트를 선택하면 화면(730)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면(730)에서는 동의방제와처방해설을 출처로 가지는 리스트를 선택하였을 경우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동의방제와처방해설을 출처로 가지는 리스트를 선택한 경우,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는 2 개의 처방 객체들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처방 객체, 예를 들어 244페이지의 마황탕을 선택하면 화면(740)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면(740)에서는 선택된 처방 객체에 해당하는 마황탕의 상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상세 정보로는 구성 약재, 주치, 출전, 출처 및 출처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고, 각 항목에 포함되는 요소들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요소들에 대한 상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키워드로 처방 구성이 입력되었을 경우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전환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에서는 일실시예에 따라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 키워드로 처방 구성을 입력했을 경우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전환의 흐름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다만, 도 8에서 도시된 마황의 검색 흐름은 일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면(810)은 입력 키워드로 처방 구성을 입력 했을 경우의 출력 화면이다. 이 화면(810)에서는 상기 입력된 처방 구성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단의 "참조하는 처방"을 선택하면 화면(820)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면(820)에서는 입력된 처방 구성을 포함하는 처방 객체들을 처방명 별로 그룹핑하여 그룹핑한 리스트를 출력한다. 처방명을 입력해서 검색된 처방 객체의 경우와 달리 처방 구성을 포함하는 처방 객체들은 처방명이 다르고 출전이나 출처에 따라 여러 개의 동일한 처방명을 가지는 처방 객체들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처방명 별로 그룹핑한 리스트를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상기 그룹핑된 리스트 중에서 마황탕을 처방명으로 가지는 리스트를 선택하면 화면(830)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면(830)으로 전환되기 전에 도 7에서 도시된 화면(720)과 같이 선택된 처방명에 대응하는 처방 객체들 중에서 동일 출전 또는 출처를 가지는 처방 객체들로 그룹핑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화면(830)에서는 마황을 구성 약재로 가지는 마황탕 처방 객체들을 출력한다. 화면(830)은 출전 또는 출처로 그룹핑하지 않고 구성 약재로 마황을 포함하고 처방명이 마황인 처방 객체들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처방 객체들 중에서 특정 처방객체를 선택하면 화면(840)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면(840)에서는 선택된 처방 객체에 해당하는 마황탕의 상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상세 정보로는 구성 약재, 주치, 출전, 출처 및 출처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고, 각 항목에 포함되는 요소들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요소들에 대한 상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2)

  1. 처방명, 출처, 출처페이지 및 출전을 포함하는 구분 요소에 의해 처방 객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 객체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처방 객체를 제공하는 검색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분 요소는 상기 출전이 인용하는 원출전이 있는 경우, 상기 원출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전에 동명 처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전의 편명을 더 포함하는, 처방 검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구분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 다른 처방 객체로 구분하는, 처방 검색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처방 객체를 출전 또는 출처 중 적어도 하나로 구별하여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처방 검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 구성을 검색하여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처방 구성의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처방 구성은 상기 처방 객체에 포함되는 구성 약재, 효능 또는 주치 중 하나임-
    처방 검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처방 구성을 포함하는 처방 객체를 처방명으로 구별하여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처방 검색 장치.
  9.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처방 검색 방법에 있어서,
    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키워드를 처방명, 출처, 출처페이지 및 출전을 포함하는 구분 요소에 의해 구분되는 처방 객체들이 저장된 처방 검색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구분된 처방 객체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구분 요소는 상기 출전이 인용하는 원출전이 있는 경우, 상기 원출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전에 동명 처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전의 편명을 더 포함하는, 처방 검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 검색 장치는, 상기 구분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 다른 처방 객체로 구분하는, 처방 검색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키워드가 처방명인 경우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상기 처방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방 객체를 출전 또는 출처 중 적어도 하나로 그룹핑하고, 그룹핑한 리스트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처방 검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출력된 상기 그룹핑한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방 객체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처방 검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처방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처방 객체에 포함된 처방을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처방 검색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키워드가 구성 약재, 효능 또는 주치를 포함하는 처방 구성인 경우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처방 구성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처방 검색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처방 구성을 포함하는 처방 객체를 처방명으로 구별하여 그룹핑한 리스트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되도록 선택하는 선택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처방 검색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에서 상기 그룹핑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수신되는 상기 그룹핑한 리스트를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참조 처방 출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처방 검색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처방 출력 단계는, 출력된 상기 그룹핑한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리스트에 포함된 처방 객체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처방 검색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처방 출력 단계는, 출력된 상기 처방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처방 객체에 포함된 처방을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처방 검색 방법.
  20.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키워드를 처방명, 출처, 출처페이지 및 출전을 포함하는 구분 요소에 의해 구분된 처방 객체들 및 구성 약재, 효능 또는 주치를 포함하는 처방 구성이 저장된 처방 검색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코드; 및
    상기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구분된 처방 객체를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코드
    를 포함하고,
    상기 구분 요소는 상기 출전이 인용하는 원출전이 있는 경우, 상기 원출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전에 동명 처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전의 편명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코드는, 상기 입력 키워드가 처방명인 경우 상기 처방 검색장치로부터 상기 처방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방 객체를 출전 또는 출처 중 적어도 하나로 그룹핑한 리스트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워드가 처방 구성인 경우 상기 출력된 처방 구성을 포함하는 처방 객체를 처방명으로 구별하여 그룹핑한 리스트를 상기 처방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되도록 선택하는 선택 코드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30132803A 2013-11-04 2013-11-04 한의 정보 시스템에서 처방 정보의 모델링 및 표현 방법 KR101491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803A KR101491338B1 (ko) 2013-11-04 2013-11-04 한의 정보 시스템에서 처방 정보의 모델링 및 표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803A KR101491338B1 (ko) 2013-11-04 2013-11-04 한의 정보 시스템에서 처방 정보의 모델링 및 표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338B1 true KR101491338B1 (ko) 2015-02-10

Family

ID=5259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2803A KR101491338B1 (ko) 2013-11-04 2013-11-04 한의 정보 시스템에서 처방 정보의 모델링 및 표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3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140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 의학서적에 기재된 처방에 근거한 유의미한 약재 조합의 탐색 방법
KR20210009636A (ko) * 2019-07-17 2021-01-27 구태훈 한약 조제 시스템
KR20210065025A (ko) * 2019-11-26 2021-06-0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처방전 혼합 비율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422A (ko) * 2007-12-28 2009-07-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한방 방제 효능 및 유방 분석 시스템
KR20120070045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422A (ko) * 2007-12-28 2009-07-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한방 방제 효능 및 유방 분석 시스템
KR20120070045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객체지향형 처방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처방 검색 프로그램의 설계 및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17권2호, 2011. *
"한의 기초 온톨로지 기반 시맨틱 검색 시스템",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17권2호, 2011. *
"객체지향형 처방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처방 검색 프로그램의 설계 및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17권2호, 2011.*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140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 의학서적에 기재된 처방에 근거한 유의미한 약재 조합의 탐색 방법
KR102138231B1 (ko) 2018-01-03 2020-07-29 주식회사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 의학서적에 기재된 처방에 근거한 유의미한 약재 조합의 탐색 방법
KR20210009636A (ko) * 2019-07-17 2021-01-27 구태훈 한약 조제 시스템
KR102276155B1 (ko) * 2019-07-17 2021-07-12 구태훈 한약 조제 시스템
KR20210065025A (ko) * 2019-11-26 2021-06-0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처방전 혼합 비율 분석 시스템 및 방법
WO2021107376A1 (ko) * 2019-11-26 2021-06-0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처방전 혼합 비율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612471B1 (ko) * 2019-11-26 2023-12-12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처방전 혼합 비율 분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imerl et al. Word cloud explorer: Text analytics based on word clouds
US20050015381A1 (en) Database management system
CN104199855B (zh) 一种针对中医药学信息的检索系统和方法
CN108899072B (zh) 中药药方推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02541590A5 (ko)
JP2008009918A (ja) 索引作成プログラム、索引作成装置および索引作成方法
US200903000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keyword input
KR102044079B1 (ko) 한의학 처방을 검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80106202A (ko) 비교 웹 결과를 정렬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및 컴퓨팅 장치
JP2020035036A (ja) 試験計画策定支援装置、試験計画策定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02803A (ja) 掲示板システム及び情報表示方法
US6226645B1 (en) Construction of conceptional drawings utilizing hyper link information of web document and internet searching method through it
WO2022252822A1 (zh) 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491338B1 (ko) 한의 정보 시스템에서 처방 정보의 모델링 및 표현 방법
KR20000054268A (ko) 문서 자동 요약을 이용한 문서 분류 검색 방법 및 문서분류 검색 시스템
US20140081982A1 (en) Method and Computer for Indexing and Searching Structures
US200901776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zing and managing trusted health care reference information
US20040199537A1 (en) System for storing and retrieving database information
JP4534019B2 (ja) 名前及びキーワードのグループ化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装置
JP2009230296A (ja) 文書検索システム
KR20140089235A (ko) 처방관리 서비스 방법
KR101491337B1 (ko) 한의 정보의 비교 및 감별 방법
Skejo et al. The story of the Malagasy devils (Orthoptera, Tetrigidae): Holocerus lucifer in the north and H. devriesei sp. nov. in the south?
WO2015198114A1 (en) Processing search queries and generating a search result page including search object information
Jay Pathology report data extraction from relational database using R, with extraction from reports on melanoma of skin as an exam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