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130B1 - Transfer apparatus of door tri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Transfer apparatus of door tri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130B1
KR101491130B1 KR20130142002A KR20130142002A KR101491130B1 KR 101491130 B1 KR101491130 B1 KR 101491130B1 KR 20130142002 A KR20130142002 A KR 20130142002A KR 20130142002 A KR20130142002 A KR 20130142002A KR 101491130 B1 KR101491130 B1 KR 101491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door trim
moving
moving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2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보선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4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1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8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determining relative positions by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ving unit moving horizontally in a frame; and a take-off unit moving vertically in the moving unit, wherein the take-off unit includes a first, second, and third assemblies capable of accurately controlling the gripping positio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detail. Therefore, a door trim in various shapes can be easily and safely transferred.

Description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TRANSFER APPARATUS OF DOOR TRIM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device for a door trim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의 도어트림에도 적극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며, 이송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품의 결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oor trim transfer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oor trim transfer apparatus which can positively cope with door trims of various shapes, improves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prevents defec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fer device for a door trim of a vehicle.

자동차의 내장재 부품 중 하나인 도어트림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들은 도어트림 제품을 로딩측에서 언로딩 위치로 편도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방식 또는 장입 설비 방식을 채택하거나, 다관절 로봇 등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로봇 이송 방식을 채택하여 이송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Devices for transferring a door trim product, which is one of the interior parts of an automobile, include a transfer system or a charging system for moving the door trim product from the loading side to the unloading position or a robot for moving the door trim product using a multi- By adopting the transfer method, the transfer operation is perform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송 방식들에 의하여 도어트림의 조립 라인을 자동화하기 위한 구성을 할 경우에 제품의 이송이 일방향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자형 라인으로 주로 구성된다.However, when the construction for automating the assembly line of the door trim is carried out by the transfer method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 is mainly composed of straight lines because the transfer of the product is performed in only one direction.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송 방식들은 조립 라인의 레이아웃을 구축할 때 공간상의 제약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ransporting method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re faced with the problem that they are subject to a lot of space restrictions when constructing the layout of the assembly line.

특히,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송 방식은 도어트림의 외곽 형상이 전부 동일해야만 이송이 가능하며, 좌, 우측 문짝용 도어트림 제품과 같이 서로 대칭인 제품에 대해서는 이송이 불가하므로 제품의 형상 별로 별도의 이송장치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Particularly, in the transferring metho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only the outer shape of the door trim can be transported, and since it is not possible to transfer products symmetrical to each other like the door trim product for the left and right door, There was a problem requiring a transfer device.

특허출원 제10-1998-023045호Patent Application No. 10-1998-023045 일본공개특허 특개2008-021783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02178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도어트림에도 적극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며, 이송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품의 결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for a door which can positively cope with door trims of various shapes and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fer device for a door trim of a vehic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이동 유닛의 하부측에서 차량용 도어트림을 파지하는 취출 유닛을 포함한다.Technical Solu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rame, a mobile unit provided on the frame and reciproc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a take-out unit for gripping the vehicle door trim from the lower side.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제1 레일을 따라 왕복하는 제1 이동몸체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2 레일을 따라 왕복하는 제2 이동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몸체와 상기 제2 이동몸체는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moving body which reciprocates along a first rail provided on the frame, a second moving body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and reciprocates along a second rail installed parallel to the first rail, Wherein the first moving body and the second moving body are operated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이동몸체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취출 유닛을 승강 왕복시키는 제1 메인 실린더와, 상기 제2 이동몸체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취출 유닛을 승강 왕복시키는 제2 메인 실린더를 더 포함한다.The mobile unit includes a first main cylinder that is vertically movably mounted on the first movable body to move up and down the take-out unit, and a second main cylinder which is mounted on the second movable body so as to be vertically extendable and retractable, And a second main cylinder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이동몸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구비된 제1 풀리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몸체와 연결되는 제1 타이밍 벨트와, 상기 제2 이동몸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구비된 제2 풀리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이동몸체와 연결되는 제2 타이밍 벨트를 더 포함한다.Wherein the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motor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moving body, and a second pulley connected at one end to a first pulley provided at an end of the driving shaft of the first motor, A second motor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second moving body, and a second pulley connected to a second pulley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driving shaft of the second motor, the first timing belt being connected to the moving body, And a second timing belt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body.

상기 취출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의 하부측에 장착되고 전후 방향으로 신축되는 제1 어셈블리와, 상기 제1 어셈블리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축되는 제2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어셈블리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전후 방향으로 신축되어 도어트림의 가장자리를 파지하는 제3 어셈블리를 포함한다.The takeout unit includes a first assembly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mobile unit and extending and retrac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assembly mounted on an end of the first assembly and being vertically expanded and contracted, And a third assembly that is mounted and retrac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grip the edge of the door trim.

상기 제1 어셈블리는, 상기 이동 유닛의 하부측에 장착되는 제1 고정몸체와, 상기 제1 고정몸체에 수용되어 전후로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제1 신축 로드와, 상기 제1 신축 로드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제1 이동편을 포함한다.The first assembly includes a first fixed body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mobile unit, a first extensible rod accommodated in the first fixed body and extending and retracting back and forth in a stretchable manner, And a first moving piece on which the second assembly is mounted.

상기 제1 이동편의 배면에 하방을 향하여 제1패드가 설치된다.A first pad is provided downwardly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iece.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어셈블리의 단부에 장착되는 제2 고정몸체와, 상기 제2 고정몸체에 수용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제2 신축 로드와, 상기 제2 신축 로드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3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제2 이동편을 포함한다.The second assembly includes a second fixed body mounted on an end of the first assembly, a second extensible rod housed in the second fixed body and vertically extending and retractably in and out, And a second moving piece to which the third assembly is mounted.

상기 제3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어셈블리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3 고정몸체와, 상기 제3 고정몸체에 수용되어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제3 신축 로드와, 상기 제3 신축 로드의 단부에 장착되고 도어트림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제2 패드를 포함한다.
The third assembly includes a third fixed body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second assembly, a third extensible rod accommodated in the third fixed body and extending and retracting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a second pad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door trim.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프레임의 상측에서 좌우 왕복 이동하는 이동 유닛에 대하여 승강하면서 도어트림 파지 위치의 미세한 전후 및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취출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도어트림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door trim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ake-out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door trim holding position while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obile unit reciprocating left and right at the upper side of the frame is provided, The trim can be gripped easily and stably.

또한, 도어트림 파지 부위에 패드가 설치되어, 도어트림의 찍힘, 긁힘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ad is provided at the door trim grip por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door trim, scratches,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중 주요부인 이동 유닛과 취출 유닛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중 주요부인 취출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fer device for a door tri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fer device for a door tri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mobile unit and a blowout unit, which are main components of a vehicle door trim trans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ain dewatering unit of a vehicle door trim trans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etc. are used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in components.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naming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as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s lower part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the upper part may be named lower part and the lower part may be named upper p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fer device for a door tri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fer device for a door tri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중 주요부인 이동 유닛과 취출 유닛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중 주요부인 취출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mobile unit and a blowout unit, which are main components of a vehicle door trim trans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transport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tri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참고로, 도 1 내지 도 4에서 양쪽 화살표로 표시된 X-X축과 Y-Y축 및 Z-Z축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이동 방향을 서술하기 위한 것이며, 후술시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할 때 각 요소들이 이동하는 방향을 정의하기 위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XX axis, YY axis and ZZ axis indicated by the double arrows in FIGS. 1 to 4 are for describing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respective elements constituting the vehicle door trim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eans for defining the direction in which each element move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는 프레임(100)에 이동 유닛(200)과 취출 유닛(300)이 장착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1 to 4, it can be seen that the vehicle door trim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obile unit 200 and the take-out unit 300 are mounted on the frame 100.

참고로, 도 3에서 미설명 부호로 205, 206은 제1 이동몸체(211) 또는 제2 이동몸체(212)의 일 구성으로서, 취출 유닛(300)의 설치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을 나타낸다.3, reference numerals 205 and 206 denote subframes for provid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xtraction unit 300 as one configuration of the first moving body 211 or the second moving body 212 .

프레임(100)은 후술할 이동 유닛(200)과 취출 유닛(300)이 장착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고, 이동 유닛(200과 취출 유닛(300) 각각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frame 100 is for providing a space and an area for mounting the mobile unit 200 and the takeout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tributing and supporting loads of the mobile units 200 and the takeout units 300, respectively.

이동 유닛(200)은 프레임(10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제품(도어트림)의 사양이나 연관된 설비의 동작에 따라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신호를 받아 지정된 위치로 이동한다.The mobile unit 2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and reciprocates left and r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0 to move the control unit 200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s of the product (door trim) Not shown) and moves to a designated position.

취출 유닛(300)은 이동 유닛(200)의 하부측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동 유닛(200)이 지정된 위치로 이동하면 승/하강 및 전/후 방향으로 작동하여 차량용 도어트림(400)을 파지하는 것이다.The take-out unit 300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unit 20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When the mobile unit 200 moves to the designated position, the take-out unit 300 operates in the up / .

따라서, 제작자는 취출 유닛(300)의 장착 위치를 적절히 설계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도어트림(400)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제품 이송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manufacturer can appropriately designally chang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take-out unit 300, thereby positively responding to the door trim 400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while providing convenience of product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도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can be applied.

이동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 상에서 왕복하는 것으로 제1 이동몸체(211)와 제2 이동몸체(212)를 포함한다.The mobile unit 200 includes a first moving body 211 and a second moving body 212 which reciprocate on the frame 100 as described above.

제1 이동몸체(211)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제1 레일(110)을 따라 왕복(도 1 내지 도 3의 X-X축 방향 참조)하는 것으로, 후술할 취출 유닛(300)이 장착된다.The first moving body 211 reciprocates along the first rail 11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see the XX axis direction in Figs. 1 to 3), and a take-out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

제2 이동몸체(212)는 제1 레일(110)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2 레일(120)을 따라 왕복(도 1 내지 도 3의 X-X축 방향 참조)하는 것으로, 후술할 취출 유닛(300)이 장착된다.The second moving body 212 reciprocates along the second rail 120 installed parallel to the first rail 110 (see XX axis direction in FIGS. 1 to 3), and the take-out unit 300 Respectively.

이때, 이동 유닛(200)은 후술할 취출 유닛(300)의 파지 동작에 도움을 주고, 취출 유닛(300) 자체를 프레임(100)의 상하 방향(도 1 내지 도 4의 Z-Z축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하여 제1 메인 실린더(221)와 제2 메인 실린더(222)를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bile unit 200 assists the grasping operation of the take-out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ake-out unit 300 itself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ZZ-axis direction in FIGS. 1 to 4) The first main cylinder 221 and the second main cylinder 222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first embodiment.

즉, 제1 메인 실린더(221)는 제1 이동몸체(211)에 상하 방향(도 1 내지 도 4의 Z-Z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어 취출 유닛(300)을 승강 왕복시키는 것이며, 제2 메인 실린더(222)는 제2 이동몸체(212)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어 취출 유닛(300)을 승강 왕복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main cylinder 221 is retractably mounted on the first moving body 21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ZZ-axis direction in FIGS. 1 to 4) to move the take-out unit 300 up and down, The main cylinder 222 is vertically movably mounted on the second moving body 212 to move the take-out unit 300 up and down.

또한, 이동 유닛(200)은 제1 이동몸체(211) 및 제2 이동몸체(212)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제1, 2 모터(231, 232)와 제1, 2 타이밍 벨트(241, 242)를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The mobile unit 200 includes first and second motors 231 and 232 and first and second timing belts 212 and 213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for reciprocating the first moving body 211 and the second moving body 212 241, and 242, respectively.

제1 모터(231)는 제1 이동몸체(21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며, 이러한 구동력의 전달을 위하여 제1 타이밍 벨트(241)는 제1 모터(231)의 구동축 단부에 구비된 제1 풀리(231p)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1 레일(11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 이동몸체(211)와 연결된다.The first motor 231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moving body 211. The first timing belt 241 is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231 provided at the end of the driving shaft of the first motor 23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able body 231p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il 110 and connected to the first movable body 211. [

제2 모터(232)는 제2 이동몸체(21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며, 이러한 구동력의 전달을 위하여 제2 타이밍 벨트(242)는 제2 모터(232)의 구동축 단부에 구비된 제2 풀리(232p)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2 레일(12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2 이동몸체(212)와 연결된다.The second motor 232 transmits driving force to the second moving body 212. In order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he second timing belt 242 is connected to the second pulley 242 provided at the end of the driving shaft of the second motor 232,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rail 232 and the second rail 2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body 212 in parallel.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이동몸체(211)가 도어트림(400)을 로딩하여 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제1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어트림(400)을 임의의 위치에 언로딩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first moving body 211 loads the door trim 400 and moves along the first rail 110 from the upper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frame 100, Lt; / RTI >

그리고, 제2 이동몸체(212) 또한 도어트림(400)을 로딩하여 프레임(100)의 상부 타측으로부터 일측까지 제2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어트림(400)을 임의의 위치에 언로딩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moving body 212 also loads the door trim 400 and moves along the second rail 120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frame 100 to unload the door trim 400 to an arbitrary position .

여기서, 제1 이동몸체(211) 및 제2 이동몸체(212) 각각의 이동 및 정지 신호는 프레임(100)에 설치된 복수의 근접센서(미도시)에 의하여 발생된다.Here, the movement and stop signals of the first moving body 211 and the second moving body 212 ar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not shown) provided in the frame 100, respectively.

근접센서는 제1 이동몸체(211) 및 제2 이동몸체(212) 의 로딩 및 언로딩 구간 마다 감속, 정지, 가속 이동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감지신호를 제어장치로 전달하며, 이를 근거로 제어장치는 제1, 2 모터(231, 232)에 감속과 가속 및 정지신호를 보내게 되는 것이다.The proximity sens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moving body 211 and the second moving body 212 are decelerated, stopped, and accelerated at intervals of loading and unloading, respectively, and transmit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The device sends deceleration, acceleration and stop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motors 231 and 232.

한편, 취출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하부측에서 도어트림(400)을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어셈블리(310)와 제2 어셈블리(320) 및 제3 어셈블리(330)를 포함한다.The takeout unit 300 is for gripping the door trim 400 from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00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first assembly 310, a second assembly 320, and a third assembly 330 ).

즉, 제1 어셈블리(310)는 이동 유닛(200)의 하부측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신축된다.That is, the first assembly 310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unit 200 and is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그리고, 제2 어셈블리(320)는 제1 어셈블리(310)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축된다.The second assembly 320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first assembly 310 and is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제3 어셈블리(330)는 제2 어셈블리(320)의 단부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신축되고, 도어트림(400)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도어트림(400)을 파지하는 것이다.The third assembly 330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second assembly 320 and is extended and retrac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contacts the edges of the door trim 400 to grip the door trim 400.

따라서, 취출 유닛(300)이 도 3과 같이 이동 유닛(200)의 하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가 장착되면 다양한 곡선부와 직선부가 조합된 도어트림(400)의 형상에 관계 없이 도어트림(400)을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된다.3, when at least one or more, preferably a plurality of, blowing units 300 are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unit 200 as shown in FIG. 3,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door trim 400 in which various curved and straight portions are combined The door trim 400 can be grasped and transported.

제1 어셈블리(31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동 유닛(200)의 하부측에 장착되는 제1 고정몸체(310a)와, 제1 고정몸체(310a)에 수용되어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제1 신축 로드(310b)와, 제1 신축 로드(310b)의 단부(플레이트 형상)에 장착되고, 제2 어셈블리(320)가 장착되는 제1 이동편(310c)을 포함한다.The first assembly 310 includes a first fixing body 310a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unit 200 and a second fixing body 310b housed in the first fixing body 310a and extending / 1 stretching rod 310b and a first moving piece 310c mounted on an end (plate shape) of the first stretching rod 310b and on which the second assembly 320 is mounted.

제1 이동편(310c)의 배면(제2 어셈블리(320)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하방을 향해 설치된 제1패드(310d)가 구비되어 파지되는 도어트림(400)의 손상(찍힘, 긁힘)을 방지한다.A first pad 310d provided downward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iece 310c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assembly 320 is mounted) Scratches).

제2 어셈블리(32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어셈블리(310)의 제1이동편(310c)에 장착되는 제2 고정몸체(320a)와, 제2 고정몸체(320a)에 수용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제2 신축 로드(320b)와, 제2 신축 로드(320b)의 단부(플레이트 형상)에 장착되고, 제3 어셈블리(330)가 장착되는 제2 이동편(320c)을 포함한다.The second assembly 320 includes a second fixing body 320a mounted on the first moving piece 310c of the first assembly 310 and a second fixing body 320b housed in the second fixing body 320a, And a second moving piece 320c mounted on an end portion (plate shape) of the second stretching rod 320b and on which the third assembly 330 is mounted .

또한, 제3 어셈블리(330)는 제2 어셈블리(320)의 제2 이동편(320c)에 장착되는 제3 고정몸체(330a)와, 제3 고정몸체(330a)에 수용되어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제3 신축 로드(330b)를 포함하고, 제3 신축 로드(330b)의 단부(플레이트 형상)에 도어트림(400)의 가장자리(또는 가장자리 하측면)와 접하는 제2패드(330c)가 설치되며, 제2패드(330c)는 도어트림(400)의 손상을 방지한다.The third assembly 330 includes a third fixed body 330a mounted on the second moving piece 320c of the second assembly 320 and a third fixed body 330b housed in the third fixed body 330a, And a second pad 330c that contacts the edge (or lower edge side) of the door trim 400 to the end (plate shape) of the third stretchable rod 330b includes a third stretch rod 330b And the second pad 330c prevents the door trim 400 from being damag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도어트림(400)을 로딩하고 이송하여 언로딩 하기까지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An operation process of loading and transferring and unloading the door trim 400 using the transfer device for a door tri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제어장치에 의해 제1, 2 이동몸체(211, 212)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각각 또는 동시에 도어트림(400)이 놓여진 위치까지 이동되고, 제1, 2 메인 실린더(221, 222)의 로드(도시되지 않음)가 신장되어 취출 유닛(300)을 도어트림(400)까지 근접 하강시킨다.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ies 211 and 212 ar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oved to the positions where the door trim 400 is placed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and the load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cylinders 221 and 222 (Not shown) is extended to bring the take-out unit 300 close to the door trim 400.

다음으로, 제1, 2, 3 어셈블리(310, 320, 330) 각각에 구비된 제1, 2, 3 고정몸체(310a, 320a, 330a)에 작동 유체의 압력을 가하여 제1, 2, 3 신축 로드(310b, 320b, 330c)를 적절히 신축하면서 임의의 형상을 지닌 도어트림(400)의 가장자리(또는 가장자리의 상하면)에 제1, 2패드(310d, 330c)을 접촉시킴으로써 도어트림(400)을 파지한다.Next, pressures of the working fluid are appli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ed bodies 310a, 320a and 330a provid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assemblies 310, 320 and 330,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pads 310d and 330c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dges (or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edge) of the door trim 400 having arbitrary shapes while appropriately stretching the rods 310b, 320b, Grasp it.

이후, 제1, 2 메인 실린더(221, 222)의 로드가 수축되어 취출 유닛(300)이 상승되고, 제1, 2 이동몸체(211, 212)가 설정된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되며, 제1, 2 메인 실린더(221, 222)의 로드가 신장되어 언로딩 높이가 조절된 뒤, 취출 유닛(300)의 파지 상태, 즉 제1, 2패드(310d, 330c)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트림(400)이 언로딩된다.The rod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cylinders 221 and 222 are contracted to raise the take-out unit 300 and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ies 211 and 212 are moved to the set unloading position, After the load of the main cylinders 221 and 222 is elongated and the unloading height is adjusted, the holding state of the take-out unit 300, that is, the contact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pads 310d and 330c is released, 400) is unloaded.

미설명 부호 301은 도어트림(400)의 파지시 도어트림의 근접 여부와 정상 파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트림 감지센서이다.Reference numeral 301 denotes a door trim sensor for detecting proximity of the door trim when gripping the door trim 400 and whether or not the door trim is norma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프레임 110 : 제1 레일
120 : 제2 레일 200 : 이동 유닛
205, 206 : 하부 지지 프레임 211 : 제1 이동몸체
212 : 제2 이동몸체 221 : 제1 메인 실린더
222 : 제2 메인 실린더 231 : 제1 모터
231p : 제1 풀리 232 : 제2 모터
232p : 제2 풀리 241 : 제1 타이밍 벨트
242 : 제2 타이밍 벨트 300 : 취출 유닛
301 : 도어트림감지센서 310 : 제1 어셈블리
310a : 제1 고정몸체 310b : 제1 신축 로드
310c : 제1 이동편 310d : 제1 패드
320 : 제2 어셈블리 320a : 제2 고정몸체
320b : 제2 신축 로드 320c : 제2 이동편
330 : 제3 어셈블리 330a : 제3 고정몸체
330b : 제3 신축 로드 330c : 제2 패드
400 : 도어트림
100: frame 110: first rail
120: second rail 200: mobile unit
205, 206: lower support frame 211: first moving body
212: second moving body 221: first main cylinder
222: second main cylinder 231: first motor
231p: first pulley 232: second motor
232p: second pulley 241: first timing belt
242: second timing belt 300: blowout unit
301: Door trim sensor 310: First assembly
310a: first fixing body 310b: first stretching rod
310c: first moving piece 310d: first pad
320: second assembly 320a: second fixing body
320b: second stretching rod 320c: second moving piece
330: third assembly 330a: third fixing body
330b: third stretching rod 330c: second pad
400: Door trim

Claims (9)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이동 유닛의 하부측에서 차량용 도어트림을 파지하는 취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제1 레일을 따라 왕복하는 제1 이동몸체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2 레일을 따라 왕복하는 제2 이동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몸체와 상기 제2 이동몸체는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A frame;
A moving unit installed on the frame and reciproc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a take-out unit that is mounted on the movable unit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grips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at a lower side of the movable unit,
The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moving body which reciprocates along a first rail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a second moving body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reciprocates along a second rail installed parallel to the first rail ≪ / RTI &
Wherein the first moving body and the second moving body are operated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이동몸체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취출 유닛을 승강 왕복시키는 제1 메인 실린더와;
상기 제2 이동몸체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취출 유닛을 승강 왕복시키는 제2 메인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unit includes:
A first main cylinder retractably mounted on the first movable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take-out unit up and dow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main cylinder which is vertically movably mounted on the second moving body so as to move up and down the take-out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이동몸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구비된 제1 풀리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몸체와 연결되는 제1 타이밍 벨트와;
상기 제2 이동몸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구비된 제2 풀리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이동몸체와 연결되는 제2 타이밍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unit includes:
A first motor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first moving body;
A first timing belt connected at one end to a first pulley provided at an end of a driving shaft of the first motor and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body in parallel with the first rail;
A second motor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second moving bod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timing belt connected at one end to a second pulley provided at an end of a driving shaft of the second moto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body in parallel with the second rail,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출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의 하부측에 장착되고 전후 방향으로 신축되는 제1 어셈블리와;
상기 제1 어셈블리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축되는 제2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어셈블리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전후 방향으로 신축되어 도어트림의 가장자리를 파지하는 제3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ke-
A first assembly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mobile unit and being stretchable in a back and forth direction;
A second assembly mounted on an end of the first assembly and being stretch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hird assembly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second assembly and extending and retrac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grip an edge of the door tri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어셈블리는,
상기 이동 유닛의 하부측에 장착되는 제1 고정몸체와;
상기 제1 고정몸체에 수용되어 전후로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제1 신축 로드와;
상기 제1 신축 로드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제1 이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ssembly comprises:
A first fixing body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mobile unit;
A first extensible rod accommodated in the first fixed body and extending and retracting back and forth;
And a first moving piece mounted on an end of the first stretching rod and on which the second assembly is mount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편의 배면에 하방을 향하여 제1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 first pad is provided downward on a back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ie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어셈블리의 단부에 장착되는 제2 고정몸체와;
상기 제2 고정몸체에 수용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제2 신축 로드와;
상기 제2 신축 로드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3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제2 이동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assembly comprises:
A second securing body mounted at an end of the first assembly;
A second telescopic rod accommodated in the second telescopic body and extending and retract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moving piece mounted on a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tretching rod and on which the third assembly is mounted;
Wherein the door trim is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어셈블리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3 고정몸체와;
상기 제3 고정몸체에 수용되어 전후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제3 신축 로드와;
상기 제3 신축 로드의 단부에 장착되고, 도어트림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제2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third assembly comprises:
A third fixing body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second assembly;
A third telescopic rod accommodated in the third fixed body and extending and retract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pad mounted on an end of the third stretchable rod and contacting an edge of the door trim.
KR20130142002A 2013-11-21 2013-11-21 Transfer apparatus of door trim for vehicle KR101491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2002A KR101491130B1 (en) 2013-11-21 2013-11-21 Transfer apparatus of door tri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2002A KR101491130B1 (en) 2013-11-21 2013-11-21 Transfer apparatus of door trim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130B1 true KR101491130B1 (en) 2015-02-10

Family

ID=5259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2002A KR101491130B1 (en) 2013-11-21 2013-11-21 Transfer apparatus of door tri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1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415A (en)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서연이화 Chuck apparatus for car door tri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498U (en) * 2008-10-23 2010-05-03 한일이화주식회사 Parts assembly device for trim in automobile
KR101091623B1 (en) * 2008-10-16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anger device for removing vehicle body
KR20120083980A (en) * 2011-01-19 2012-07-27 한일이화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s of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623B1 (en) * 2008-10-16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anger device for removing vehicle body
KR20100004498U (en) * 2008-10-23 2010-05-03 한일이화주식회사 Parts assembly device for trim in automobile
KR20120083980A (en) * 2011-01-19 2012-07-27 한일이화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s of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415A (en)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서연이화 Chuck apparatus for car door tri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29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a cargo compartment
US9536766B2 (en) Article transport carriage
KR940005480A (en) Work conveyance systems such as car parts
KR1012754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apid transport of glass sheets
KR20170087523A (en) Carrier transfer facilitating device
EP3748081B1 (en) Railway wagon for moving sleepers, railway vehicle comprising said railway wagon
CN111453468A (en) Rapid automatic loa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670518A (en) Material loading and unloading platform of conveyor
CN116238925A (en)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based on standard manipulator
KR102259283B1 (en) Object transport apparatus
KR101491130B1 (en) Transfer apparatus of door trim for vehicle
KR101421265B1 (en) Transfer equipment and transfer method
CN112193266B (en) Cargo handl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 and railway vehicle
KR20100112855A (en) Automatically vertical loading apparatus
CN107187809B (en) Tire processing device
JP5115483B2 (en) Transfer equipment
CN210048123U (en) Material transfer device
CN109353797B (en) Welding production line and processing conveying device
CN104709150A (en) Lateral expanding cargo bed
CN212556543U (en) Cargo compartment and transport vehicle
KR100849405B1 (en) Helicopter transportation apparatus
CN111827745B (en) Parking robot
CN104555312B (en) A kind of industrial transport machine people
US20220193845A1 (en) System Comprising a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a Carrier for Goods in Transport, a Carrier for Goods in Transport and a Receiving Apparatus
CN211220741U (en) Electromagnetic manipulator capable of clamping sta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