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048B1 -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048B1
KR101491048B1 KR20120093950A KR20120093950A KR101491048B1 KR 101491048 B1 KR101491048 B1 KR 101491048B1 KR 20120093950 A KR20120093950 A KR 20120093950A KR 20120093950 A KR20120093950 A KR 20120093950A KR 101491048 B1 KR101491048 B1 KR 101491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wale
unit
type composite
truss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93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7840A (ko
Inventor
임인식
최선영
이범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20093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0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띠장과 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하층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구조와 방식으로 이루어진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하여 지하외벽을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는 토압에 대하여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에 2.5m 정도마다 설치해야 했던 종래의 스트러트 구조체의 상하방향 설치간격을 늘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비가 절감되고 시공성 및 작업성이 매우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가 설치된 상태에서 각종 토공사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가설 스트러트 구조의 설치 및 해체비용이 크게 감소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EXTERNAL WALL USING DOUBLE LAYER WALE AND TRUSS COMBINED STRUT}
본 발명은 띠장과 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하층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시스템과 구성방식으로 이루어진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하여 지하외벽을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종래로부터 여러 가지의 시공법이 알려져 있으며 이를 분류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이들을 지하구조물을 구축 시공하는 방향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순타(順打)공법과 역타(逆打)공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방식으로 건물의 지하층을 시공하는 경우, 굴착하고자 하는 부지의 외각에 흙막이 벽을 설치하고 상기 흙막이 벽을 띠장(wale)과 가설스트러트와 같은 지지단으로 지지하며 굴착을 진행해 나가는 스트러트 공법이 주로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스트러트 공법은 통상적으로 지하층 공사의 약70% 내지 80% 정도로 사용되어지는데, 상기 공법은 물량의 절감과 시공성 향상이 중요한 고려사항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트러트 공법을 이용하여 지표면으로부터 지하 기초층까지 가설 스트러트가 설치되어지는 경우, 토압등의 하중분포를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2.5미터 내외의 상하간격으로 설치되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지하층의 층고가 높게 형성되어지는 경우에는 1층에 2개정도의 스트러트가 설치되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트러트 공법은 굴토작업시 장애물 층이 증가되고, 지하층 슬래브와 벽체를 구축하는 시공작업 시 효율성과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지하층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지하외벽을 지지하는 종래의 구조 및 공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지하외벽 지지에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러트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조립화시킴으로써 현장작업을 최소화하여 지하 현장에서 시행되는 각종의 작업이 순조롭고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시공효율성 증대에 따른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층띠장(wale)을 설치하고 상기 복층띠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구비한 새로운 방식의 지하외벽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는, 지하구조물 구축시 터파기 공사에 따라 조성되는 흙막이벽체(12)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띠장과, 상기 띠장이 흙막이벽체(12)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트러트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띠장은 제1,2단위띠장(21,22)이 평행하게 배치된 복층띠장(20)으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스트러트 구조체는 복층띠장(20)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2단위띠장(21,22)의 간격은 지지하는 토압의 크기에 따라 탄력적으로 500mm 내지 1,500mm의 범위에서 조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사이에는 수직연결판(23)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층띠장에는 스트러트 사이 구간 띠장의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거나 상기 복층띠장의 내력을 높이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할 수 있는 띠장보강재(60)을 포함하여 구성된 띠장보강재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띠장보강재(60)을 설치하기 위한 띠장보강재(20)의 측면에는 인장재정착구(61)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띠장보강재(60)의 중간 지점에는 보조브래킷(63)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지하층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스트러트 몸체부(40)와,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로 이루어지는 복층띠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러트 몸체부(40)의 단부에 설치되는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는 전면 상단이 제1단위띠장(21)에 접하고 전면 하단이 제2단위띠장(22)에 접하는 수직재(51)와, 일단은 수직재(51)의 후면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트러트 몸체부(40)의 일단에 연결되는 상부 사재(52)와, 일단은 수직재(51)의 후면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트러트 몸체부(40)의 일단에 연결되는 하부 사재(53)에 의해 트러스형태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트러트 몸체부(40)와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의 연결부위에는 시공 중 변위에 대처하기 위하여 스크류잭(54)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우측 단위스트러트(41)와 좌측 단위스트러트(42)의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한쌍의 단위 스트러트(30)의 우측 단위스트러트(41)와 좌측 단위스트러트(42)는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는 한쌍을 이룬 스트러트를 영구기둥 또는 포스트파일에 거치하기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횡방향 보강을 위해 필요한 위치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외측관(71) 및 상기 외측관(71)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내측관(7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의 외측관(71)은 복수개의 외측 볼트공(7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외측관(71)이 삽입되는 내측관(72)은 상기 외측 볼트공(73)의 직경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내측 볼트공(74)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의 외측관(71)의 일측 단부에는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래킷(71a)이 돌출 형성되어지며, 상기 내측관(72)의 일측단부에는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래킷(72a)이 돌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위스트러트(41,4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클램프(77)가 추가로 포함되어지며, 상기 클램프(77)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연결브래킷(71a,72a)과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통공부가 구비된 고리모양 연결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는 토압에 대하여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에 2.5m 정도마다 설치해야 했던 종래의 스트러트 구조체의 상하방향 설치간격을 늘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비가 절감되고 시공성 및 작업성이 매우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가 설치된 상태에서 각종 토공사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가설 스트러트 구조의 설치 및 해체비용이 크게 감소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가 설치된 모습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의 확대모습
도 4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의 측면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가 설치된 모습을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의 확대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는 본 명세서에서는 ATS(Advanced Temporary Strut) 구조로 약칭되어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층 구축시 터파기 공사가 수행되어지는데, 이에 앞서 엄지말뚝(10)을 일정한 간격으로 항타작업에 의해 지중에 박게 된다. 터파기 작업이 진행되면서 엄지말뚝(10) 사이에 토류판(11)을 순차적으로 끼움으로써 흙막이벽체(12)가 만들어지게 되며, 상기 흙막이벽체(12)가 횡방향 토압에 의해 내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띠장(wale) 및 스트러트 구조체가 설치되어진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ATS 구조)에 있어서, 흙막이벽체(12)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띠장 및 스트러트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복층띠장(wale, 20) 및 상기 복층띠장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가 사용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20)은 흙막이벽체(12)를 따라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지며, 터파기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계속하여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복층띠장(20)은 상기 흙막이벽체(12)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토압을 유효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다음에서 설명하게 되는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에 의해서 지지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2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20)은 소정의 상하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진 2단(이중열)로 구성되고 있다. 즉 흙막이벽체(12)를 따라서 횡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복층띠장(20)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을 포함함으로써 2열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의 간격은 500mm 내지 1,500mm의 범위에서 선택되어질 수도 있지만, 1,000mm의 상하간격이 사용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사이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수직연결판(23)이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복층띠장의 적어도 1곳 이상에는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한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할 수 있는 인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띠장보강재(60)가 조립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모두에 띠장보강재가 설치될 수도 있지만, 설계조건에 따라서 제1단위띠장(21) 또는 제2단위띠장(22) 중 어느 하나에만 띠장보강재가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띠장보강재는 볼트접합 등으로 단위띠장에 고정 설치된다. 띠장보강재가 부착된 복층띠장(20)은 자체로 트러스효과, 띠장보강재의 인장재에 장력을 가하는 경우는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효과로 띠장 구간의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지하층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스트러트 몸체부(40)와,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러트 몸체부(40)의 단부에 설치되는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의 간격에 준하는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갖는다. 스트러트 몸체부(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H형강 또는 원형관과 같은 다른 재료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는 삼각형의 트러스 구조를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즉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는 전면 상단이 제1단위띠장(21)에 접하고 전면 하단이 제2단위띠장(22)에 접하는 수직재(51)와, 일단은 수직재(51)의 후면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트러트 몸체부(40)의 일단에 연결되는 상부 사재(52)와, 일단은 수직재(51)의 후면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트러트 몸체부(40)의 일단에 연결되는 하부 사재(53)로 이루어진다. 또한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와 스트러트 몸체부(40)의 연결부위에는 시공 중 흙막이 변위에 대처하기 위하여 스크류잭(54)이 설치될 수도 있지만, 역시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스크류잭(54)이 없이 커넥터를 이용한 접합구조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우측 단위스트러트(41)와 좌측 단위스트러트(42)의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지면에 박혀 있는 영구기둥 또는 포스트파일과 같은 지주(13)를 사이에 두고 지주(13)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우측 단위스트러트(41)과 좌측 단위스트러트(42)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된 스트러트에 의해서 지하층 공사작업이 방해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이 최대로 향상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각층 바닥면으로부터 2미터 높이에 설치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높이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의 우측 단위스트러트(41)와 좌측 단위스트러트(42)는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질 수도 있다. 즉 우측 단위스트러트(41)과 좌측 단위스트러트(42)은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흙막이벽체(12)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일단은 우측 단위스트러트(41)에 체결되고, 타측은 좌측 단위스트러트(42)에 체결되며 중간 부위는 지주(13)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보설치브래킷(70a)에 의해 지지된다.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스트러트 몸체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보설치브래킷(70a)의 형태는 지주(13)의 형상 및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한쌍을 이룬 스트러트를 영구기둥 또는 포스트파일에 거치하기 위한 목적뿐 아니라, 횡방향 보강을 위해 필요한 위치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선택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외측관(71)과, 외측관(71)의 내부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내측관(72) 및 외측관(71)에 마련된 복수개의 외측 볼트공(73)을 통해 체결되어 내측관(72)의 외측벽을 압박하거나, 또는 상기 외측볼트공(73)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내측관(72)에 마련된 내측 볼트공(74)에 체결되는 고정볼트(75)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볼트공(74)은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고정볼트(75)를 어느 곳에 결합시키는가에 따라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관(71)과 버팀보(41)의 연결은 일측 단위스트러트(41)의 외주면에 끼워져 볼트(76)로써 체결되는 것이 선호되며, 디귿(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클램프(77)에 의해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관(71)의 일측 단부에는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래킷(71a)이 돌출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외측관(71)과 같은 방식으로 내측관(72) 또한 타측 단위스트러트(42)에 연결되어지는데, 역시 내측관(72)의 일측단부로부터도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래킷(72a)이 돌출 형성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위스트러트(41,4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한쌍의 클램프(77)는 디귿(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재가 상하에서 결합되어 볼트(76)로써 체결되어지며, 양쪽 측면에는 상기 연결브래킷(71a,72a)와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통공부가 구비된 고리모양 연결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클램프(미도시됨)는 분리된 형태가 아니라 단면이 입구(口)자 형태의 일체형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램프는 상기 단위스트러트(41,42)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를 이용하면 스트러트를 현장에서 영구기둥 또는 포스트파일 모두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는,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는 복층띠장(20)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가 감당할 수 있는 토압의 크기가 크게 증가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띠장 및 버팀보의 상하간격(H)을 넓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스트러트 구조체의 설치개수를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지하층의 층고가 높은 경우에도 굴착현장이 극도로 복잡해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러트 구조체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는 지하구조물에 대한 흙막이벽체를 지지하는 가설 구조물로 상정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10 : 엄지말뚝 11 : 토류판
12 : 흙막이벽체 13 : 지주
20 : 복층띠장 21,22 : 제1단위띠장, 제2단위띠장
23 : 수직연결판 30 : 스트러트 구조체
40 : 스트러트 몸체부 41,42 : 우측, 좌측단위스트러트
50 : 트러스형 띠장지지대 51 : 수직재
52 : 상부 사재 53 : 하부 사재
54 : 스크류잭 60 : 띠장보강재
61 : 인장재정착구 62,62 : 보강판재
63 : 보조브래킷 70 :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
70a : 보설치브래킷 71 : 외측관
72 : 내측관 75 : 고정볼트

Claims (15)

  1. 지하구조물 구축시 터파기 공사에 따라 조성되는 흙막이벽체(12)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띠장과, 상기 띠장이 흙막이벽체(12)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트러트 구조체를 포함하는 띠장과 스트러트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띠장은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평행하게 이격되어진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을 포함하는 복층띠장(20)으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스트러트 구조체는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을 동시에 지지하는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사이에는 수직연결판(23)이 설치되어지며,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지하층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스트러트 몸체부(40)와,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러트 몸체부(40)의 단부에 설치되는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의 간격은 500mm 내지 1,500mm의 범위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중 적어도 1곳 이상에는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띠장보강재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띠장보강재는 볼트접합 등으로 단위띠장에 고정 설치되어지며, 상기 띠장보강재의 단부는 인장재를 긴장한 후 고정할 수 있는 인장재정착구로 구성되고, 중간 지점에는 보조브래킷(63)이 추가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는 전면 상단이 제1단위띠장(21)에 접하고 전면 하단이 제2단위띠장(22)에 접하는 수직재(51)와, 일단은 수직재(51)의 후면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트러트 몸체부(40)의 일단에 연결되는 상부 사재(52)와, 일단은 수직재(51)의 후면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버팀보(40)의 일단에 연결되는 하부 사재(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우측 단위스트러트(41)와 좌측 단위스트러트(42)의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각층 바닥면으로부터 2미터 높이에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의 우측 단위스트러트(41)와 좌측 단위스트러트(42)는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외측관(71) 및 상기 외측관(71)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내측관(7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의 외측관(71)은 복수개의 외측 볼트공(7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외측관(71)이 삽입되는 내측관(72)은 상기 외측 볼트공(73)의 직경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내측 볼트공(74)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의 외측관(71)의 일측 단부에는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래킷(71a)이 돌출 형성되어지며, 상기 내측관(72)의 일측단부로에는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래킷(72a)이 돌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단위스트러트(41,42)의 외주면에 상하로 끼워지며 디귿(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클램프(77)가 추가로 포함되어지며, 상기 클램프(77)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연결브래킷(71a,72a)와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통공부가 구비된 고리모양 연결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20120093950A 2012-08-27 2012-08-27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KR101491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3950A KR101491048B1 (ko) 2012-08-27 2012-08-27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3950A KR101491048B1 (ko) 2012-08-27 2012-08-27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840A KR20140027840A (ko) 2014-03-07
KR101491048B1 true KR101491048B1 (ko) 2015-02-10

Family

ID=5064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93950A KR101491048B1 (ko) 2012-08-27 2012-08-27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0799B2 (ja) * 2017-06-09 2020-03-25 ヒロセ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ジャッキカバー
CN110528542A (zh) * 2018-05-24 2019-12-03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装配式围堰结构
CN115162374B (zh) * 2022-07-12 2023-09-26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多层滑动面滑坡支护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469A (ja) * 1993-12-28 1995-08-01 Railway Technical Res Inst 山留壁の構造および山留工法
KR20080005109A (ko) * 2006-07-06 2008-01-10 박윤희 수평 아치형 구조재에 의한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 및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0812338B1 (ko) * 2006-09-11 2008-03-11 김일 흙막이 벽체의 선행하중 재하 시스템
KR101026583B1 (ko) * 2011-01-17 2011-04-04 최현규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469A (ja) * 1993-12-28 1995-08-01 Railway Technical Res Inst 山留壁の構造および山留工法
KR20080005109A (ko) * 2006-07-06 2008-01-10 박윤희 수평 아치형 구조재에 의한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 및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0812338B1 (ko) * 2006-09-11 2008-03-11 김일 흙막이 벽체의 선행하중 재하 시스템
KR101026583B1 (ko) * 2011-01-17 2011-04-04 최현규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840A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028B1 (ko) 링 버팀대를 구비한 흙막이 구조물
KR101329440B1 (ko)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KR100991208B1 (ko) 개량된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강재띠장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08575B1 (ko) 띠장-버팀보 일체형 세그먼트
KR101212653B1 (ko) 다열 버팀보 연결재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10889A (ko) 강관삽입형 띠장 및 버팀보
KR100908321B1 (ko)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합성띠장 시공방법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1922534B1 (ko) 흙막이 시공용 각관식 2C(Two-channel) 부재
KR101491048B1 (ko)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KR101599327B1 (ko)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1955852B1 (ko) 흙막이 가지설용 버팀보 및 지주 구조체
KR20130114340A (ko) 흙막이 장치
KR20140069845A (ko) 사선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KR20120109418A (ko) 지주식 흙막이 공법
KR20100001516A (ko) 가설 흙막이 공법에 있어서의 사각강관으로 된 버팀보와경사버팀재의 연결구조
CN208486272U (zh) 一种双管斜撑支护深基坑的施工结构
KR101135384B1 (ko) 링 버팀대를 구비한 흙막이 구조물
KR20130125554A (ko) 흙막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39928B1 (ko) 내하력과 강성이 향상된 아치형 띠장 구조체
KR101664668B1 (ko)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CN211498871U (zh) 一种钢管斜向内撑基坑支护结构
JP5022150B2 (ja) トンネル合流構造、およびトンネル合流構造の構築方法
KR102001638B1 (ko) 전단-휨 보강재를 구비한 강관버팀보 연결재
KR102171986B1 (ko) 좌굴과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버팀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