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873B1 -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단말들의 스케줄링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단말들의 스케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873B1
KR101489873B1 KR1020137002427A KR20137002427A KR101489873B1 KR 101489873 B1 KR101489873 B1 KR 101489873B1 KR 1020137002427 A KR1020137002427 A KR 1020137002427A KR 20137002427 A KR20137002427 A KR 20137002427A KR 101489873 B1 KR101489873 B1 KR 101489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quality
quality indicator
discontinuous reception
reception cycle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348A (ko
Inventor
모하마드 아나스
랄프 골더러
우베 헤르만
한스 크뢰너
볼프강 파이어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30050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대해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지속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사이클의 시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함 ―;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서 송신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을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상기 간격과 정렬시키는 단계;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 동안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고려함으로써,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단말들의 스케줄링{SCHEDULING OF USER TERMINALS IN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UT)이 불연속 수신(DRX)을 적용하고 있을 때,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단말(UT)들의 스케줄링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무선 조건들로부터 완전히 이익을 얻기 위하여, eNB로부터 많은 UT들로 다운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스케줄러가 적용된다. 그러나, 여러 문제점들이 최신기술 스케줄링에 관련된다. 따라서, 무선 인터페이스가 더욱 효율적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케줄링을 개선시키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UT가 불연속 수신(DRX)을 적용하고 있을 때, UT들의 스케줄링을 개선시키는 것을 추구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청구항 제1항 및 제22항에서 특정되는 바와 같은 방법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청구항 제11항, 제21항, 제29항 및 제36항에서 특정되는 바와 같은 장치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청구항 제37항 및 제38항에서 특정되는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정의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제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라 불연속 수신 사이클 동안 기능들을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라 불연속 수신 사이클 동안 기능들을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라 채널 품질 표시자들의 송신을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들에 따라 채널 품질 표시자들의 송신들을 도시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라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사이클 동안 기능들, 그리고 채널 품질 표시자들의 송신을 도시한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라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예시적이다. 명세서가 텍스트의 여러 위치들에서 "하나의" 또는 "몇몇의" 실시예(들)를 지칭할 수 있지만, 이러한 지칭이, 동일한 실시예(들)가 각각 참조되거나 또는 특정한 특징이 단일 실시예에만 적용됨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이한 실시예들의 단일 특징들이 또한 조합될 수 있다.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의 롱텀 에볼루션(LTE) 또는 LTE-어드밴스드(LTE-A)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예컨대,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노드 B, 또는 이벌브드 노드 B로 또한 불림), 사용자 장비(예컨대, 사용자 단말과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또한 불림),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 쪽으로 상호연결을 제공하는 선택적 네트워크 엘리먼트들로 구성된다. 기지국은 UT들을 소위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시킨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는 기지국(102)을 포함할 수 있다. 공중 기지국(102)은, 무선 커버리지를 셀(100)에 제공하고, 무선 자원 할당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을 수행하고 등을 할 수 있다. 셀(100)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또는 무선 커버리지가 존재하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셀일 수 있다. 추가로, 셀(100)은, 사용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따라, 임의의 크기 또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한 기지국(102)은 아래의 통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기본적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기초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HSPA(high-speed packet access), LTE, 및/또는 LTE-A. 부가하여, 공중 기지국(102)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에 기초한 제2세대 셀룰러 서비스들 및/또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이 이들 프로토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커버리지를 셀(100)에 제공하기 위하여 기지국(102)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네트워크의 하나의 통신 지점으로서 보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2)은 자신의 넓은 커버리지 면적으로 인해 광대역(WA) 기지국으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02)은 노드 B, LTE-A에서와 같은 이벌브드 노드 B(eN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또는 무선 통신을 제어할 수 있고 그리고 셀(100) 내의 무선 자원들을 관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2)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된 무선 신호 레벨 측정들을 제어하고 그리고 분석함으로써, 자신의 고유한 측정들을 수행함으로써, 그리고 측정들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이동성 관리에 대해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설명의 단순성을 위해, 우리가 기지국이 eNB인 것으로 가정하게 두라. LTE의 에어 인터페이스인 이벌브드 유니버설 모바일 원격통신의 시스템(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의 개발은 eNB(102)에 집중된다. 여기서, 무선 기능 전부는, eNB(102)가 무선 관련 프로토콜들 전부에 대한 종단 지점이 되도록 종단된다.
E-UTRAN은, 예컨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가 다운링크 송신에서 적용되고 반면에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가 업링크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다수의 eNB들의 경우, eNB들은 LTE에서 특정된 바와 같은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eNB(102)는 SI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벌브드 패킷 코어(EPC)(110),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시스템 아키텍처 에볼루션 게이트웨이(SAE-GW)에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MME는 넌-액세스 계층 시그널링, 로밍, 인증, 트랙킹 구역 목록 관리 등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플레인이고, 반면에 SEA-GW는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 E-UTRAN 유휴 모드 패킷 버퍼링 등을 포함한 사용자 플레인 기능들을 다룬다. 사용자 플레인은 MME 플레인을 우회하여, 바로 SAE-GW로 간다. SAE-GW은 두 개의 별도의 게이트웨이들: 서빙 게이트웨이(S-GW)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를 포함할 수 있다. MME는 예컨대 상이한 eNB들 사이의 이동성을 위한 로컬 앵커 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S-GW와 eNB 사이의 터널링을 제어한다. S-GW는 eNB와 P-GW 사이의 데이터, 또는 필요하다면 버퍼 데이터 패킷들을 릴레이하여, 적절한 터널링이 설정된 이후 상기 데이터 및 버퍼 데이터 패킷들을 대응하는 eNB에 릴리스할 수 있다. 추가로, MME들과 SAE-GW들은, MME들 및 SAE-GW들의 세트가 eNB들의 세트에 서비스하기 위해 할당될 수 있도록 모일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동시에 하나의 MME 및/또는 S-GW에 의해 서비스받더라도, eNB가 다수의 MME들 및 SAE-GW들에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라, eNB(102)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 팜 컴퓨터, 사용자 장비 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와 같은 사용자 단말(UT)(108A 내지 108D)과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즉, UT(108A 내지 108D)는 eNB(10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부터, 참조 부호 108은 UT들(108A 내지 108D) 중 임의의 것을 표시한다.
eNB(102)는 다운링크/업링크 송신을 위해 UT(108)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스케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UT들의 스케줄링은 스케줄러들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UL 스케줄링을 위한 하나의 업링크(UL) 스케줄러와 DL 스케줄링을 위한 하나의 다운링크(DL) 스케줄러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스케줄러는 시간-도메인(TD) 스케줄러 파트와 주파수-도메인(FD) 파트로 추가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 시간-도메인 스케줄러 파트들은, 각자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 자원들을 얻어야 하는 UT들의 서브세트를 특정 시점에 선택할 수 있다. 송신을 위한 승인을 허용하는 결정(스케줄링 결정)은 서비스 양상들의 품질, 데이터 이용가능성, 보류중인(pending) 재송신들 등에 기초할 것이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 주파수-도메인 스케줄러 파트들은, 각각 시간-도메인 스케줄러 파트들에 의해 제공되는 UT들의 서브세트에 대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및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의 주파수 자원들을 할당한다.
대안적으로, 하나의 스케줄러는 시간-도메인 스케줄링 및 주파수-도메인 스케줄링 둘 다를 처리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단계에서(도메인 둘 다에서의 동시 스케줄링) 또는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UT 배터리 소모량을 최소화하고 그리고 UT 배터리 수명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UT들(108)은 불연속 수신(DRX)을 적용할 수 있다. DRX가 비활성화되면, UT(108)는 UL 및 DL 승인들에 대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항상 모니터링하고, 상기 승인들은, DL 또는 UL 송신을 승인하기 위하여 PDCCH 상에서 송신되는 표시들이다. 이는, 에너지 소모적인데, 그 이유는 대체로 청취하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UT(108)는 자신의 배터리를 헛되어 사용한다. DRX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무선 자원들이 제어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면(RRC_연결 모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활성화될 수 있다.
DRX의 기능에 따라, 특정 개수의 서브프레임들의 DRX 사이클로 타임라인이 나누어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LTE에서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1/10으로서 정의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 밀리초(㎳)이다. DRX 사이클들은 연속적이다, 즉 하나의 DRX 사이클이 다른 DRX 사이클을 잇따른다. DRX 사이클의 시작은 시스템 프레임 넘버(SFN) 더하기 UT-특정 오프셋에 링크된다. 예컨대, LTE에서, DRX 사이클들은 아래의 길이들: 10, 20, 32, 40, 64, 80, 128, 160, 256, 320, 512, 640, 1024, 1280, 2048, 2560 ㎳를 가질 수 있다.
DRX 사이클은 UT(108)가 액티브 모드에 있는 특정 기간들을 포함한다. 이는, "DRX 액티브" 모드로 불린다. UT(108)가 DRX 액티브 모드에 있을 때, UT(108)는 UL 승인 및 DL 승인에 대해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UT(108)는 DL 송신들을 수신할 수 있고 그리고 UL 송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UT(108)가 수면 모드("DRX 수면" 모드)에 있을 때, UT(108)는 UL 승인 및 DL 승인에 대해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UT(108)는 DL 송신들을 수신하지도 UL 송신들을 수행하지도 않을 것이다. DRX 수면 기간들 동안, PDCCH 및 PDSCH 상에서 수신을 다루는 UT(108) 수신기의 파트들은 스위칭 오프 될 수 있고 그리고 UT는 전력을 아낄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수명이 연장된다. UT(108)는 상기 UT(108)가 액티브 모드에 있지 않을 때 수면 모드에 있다.
추가로, UT(108)가 수면 모드에 있을 때,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상에서 채널 품질 표시자(CQI)들, 랭크 표시자(RI)들, 및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PMI)도 사운딩 기준 심볼(SRS)들도 UT(108)로부터 eNB(102)로 송신될 수 없다. 그러므로, 통신 시스템의 스루풋은 예컨대 최신 채널 조건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고통받을 수 있다.
DRX에 대해 정의된 다른 타이머들 외에, DRX OnDuration 타이머 및 DRX Inactivity 타이머가 가장 중요한 타이머들이다. DRX OnDuration 타이머는 DRX 사이클 내에서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한다. 각각의 UT(108)에 대해 하나의 타이머가 있다. 타이머는 각각의 DRX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으로 시작되고, 그리고 언급된 바와 같이, 실행중일 때, UT(108)는 DRX 액티브이다. 예컨대, LTE에서, 타이머에 대한 가능한 값들은 1, 2, 3, 4, 5, 6, 8, 10, 20, 30, 40, 50, 60, 80, 100, 200 ㎳이다. 값의 선택은 예컨대 초기 셋업 동안 eNB(102)로부터의 통신을 통해 UT(108)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값의 선택은 UT(108)에 대해 재구성될 수 있다.
DRX Inactivity 타이머는, PDCCH가 새로운 UL 또는 DL 송신을 표시한다면 그리고 UT(108)가 그 시간에 DRX 액티브 모드에 있다면, 시작될 것이거나 또는 재시작될 것이다. 따라서, Inactivity 타이머가 실행중일 때, UT(108)는 액티브 모드에 있다. 각각의 UT(108)에 대해 하나의 타이머가 있다. 예컨대, LTE에서, 타이머에 대한 가능한 값들은 1, 2, 3, 4, 5, 6, 8, 10, 20, 30, 40, 50, 60, 80, 100, 200, 300, 500, 750, 1280, 1920, 2560 ㎳이다. 값의 선택은 예컨대 초기 셋업 동안 eNB(102)로부터의 통신을 통해 UT(108)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값의 선택은 UT(108)에 대해 재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DRX 사이클에 대한 DRX의 작동 원리는 도 2에 도시된다. 도 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브프레임들(230)을 포함하는 샘플 DRX 사이클(200)을 도시하고, 여기서 각각의 서브프레임(230)의 지속기간은 LTE에서 특정된 바와 같이 1 ㎳일 수 있다. 모든 각각의 DRX 사이클(200)의 시작시, DRX OnDuration 타이머(202)가 시작될 수 있다. 그 결과, UT(108)는 진행중인 OnDuration 타이머(202)로 인해 DRX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액티브 모드에 있고 그리고 DL 및 UL 승인들을 수신할 수 있다. UT(108)가 액티브 상태인 것은, 우측 리닝(leaning) 대각선들에 의해 도시된다. OnDuration 타이머로 인한 UT(108)의 액티브 모드는 참조 부호 204에 의해 도시된다. OnDuration 타이머(202)의 지속기간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리결정될 수 있다.
시점(206)에서, DL 승인(208)이 PDCCH 상에서 수신될 것이다. 승인(208)은 제공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PDSCH를 통해 UT(108)에 송신될 기존 DL 데이터가 eNB(102)의 DL 버퍼 상에 있기 때문이다. 승인(208)은, 참조 부호 212 및 참조부호 22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DRX 액티브 모드를 연장하는 지점(206)에서 DRX Inactivity 타이머(210)를 트리거링한다. 정확하게, OnDuration 타이머 및 제1 Inactivity 타이머로 인한 UT(108)의 액티브 모드가 참조 부호 212에 의해 도시된다. Inactivity 타이머의 길이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전에 셋팅될 수 있다.
시점(214)에서, 다른 승인(216)이 수신될 수 있다. 그 결과, 승인(216)은, 참조 부호 212 및 참조부호 22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DRX 액티브 모드를 연장하는 지점(214)에서 DRX Inactivity 타이머(218)를 트리거링한다. 정확하게, OnDuration 타이머 및 제1 Inactivity 타이머로 인한 UT(108)의 액티브 모드가 참조 부호 212에 의해 도시되고, 반면에 제1 Inactivity 타이머 및/또는 제2 Inactivity 타이머로 인한 UT(108)의 액티브 모드가 참조 부호 220에 의해 도시된다.
(DRX 사이클(200)의 지속기간이 최종 나머지 타이머(202, 210, 218)에 걸쳐 연장된다고 가정하면) OnDuration 타이머(202)와 Inactivity 타이머들(210 및 218) 각각이 만료되었을 때, UT(108)는 DRX 사이클(200)의 나머지 동안 수면 모드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수면 모드는 참조 부호 222에 의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수면 모드 동안, UT(108)는 승인들에 대해 PDCCH를 청취하지 않고 그리고 UT(108)의 배터리 수명을 절약한다.
(UT(108)가 어떠한 이유로 액티브 모드에 있을 때) 다른 승인이 주어진다면, 상기 승인은 제3 Inactivity 타이머의 시작을 트리거링할 것이고, 어쩌면 액티브 모드가 추가로 연장된다. 따라서, DRX Inactivity 타이머(210, 218)의 재시작은, DRX Inactivity 타이머 윈도우가 UL 및/또는 DL에서 새로운 송신을 표시하는 모든 각각의 승인(208, 216)에 의해 이동될 것임을 의미한다. eNB(102)가 이러한 승인들을 UT(108)에 계속 제공한다면, DRX Inactivity 타이머 윈도우는 DRX 사이클(200)의 종단을 넘어, 이전 DRX 사이클 직후에 이루어지는 다음 차례의 DRX 사이클로 이동될 것이다.
수면 모드(222) 동안, UT(108)가 다시 깨어날 때까지, UT(108)는 eNB(102)로부터 어떠한 추가의 승인들도 얻을 수 없다. 이러한 깨어남은, DRX OnDuration 타이머가 시작될 때 다음 차례의 DRX 사이클의 시작시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하여, UT(108)가 스케줄링 요청을 eNB(102)에 송신하기로 결정할 때, UT(108)는 DRX 액티브 모드로 변할 수 있다. UT(108)의 버퍼들 내에 데이터가 있다는 것과 UT(108)가 UL 송신들을 수행하길 원한다는 것을 eNB(102)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스케줄링 요청의 송신은 DRX 사이클(200) 내의 임의의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신은 도 3에서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3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브프레임들(330)을 포함하는 예시적 DRX 사이클(300)을 도시한다. 이전과 같이, DRX 사이클(300)은 OnDuration 타이머의 시작을 트리거링하고, 상기 OnDuration 타이머 동안 UT(108)는 참조 부호 30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DRX 액티브 모드에 있다.
지점(304)에서, UE(108)는 스케줄링 요청(306)을 eNB(102)에 송신한다. 그 결과로, UT(108)는 보류중인 스케줄링 요청으로 인해(그리고, OnDuration 타이머가 도면에서 가정된 바와 같이 이미 만료되었다면 보류중인 요청으로 인해서만) DRX 액티브가 된다(308). eNB(102)는 지점(310)에서 UL 승인(312)을 승인하기로 결정하고, 상기 UL 승인(312)은 Inactivity 타이머를 트리거링하여 UT(108)로 하여금 참조 부호 316에 의해 도시된 액티브 모드에 있도록 한다. 정확하게, UT(108)는 또한 보류중인 스케줄링 요청으로 인해 기간(316) 동안 액티브인데, 그 이유는 송신되길 기다리는 사용자 데이터가 eNB(102)에 아직 송신되지 않기 때문이다.
지점(318)에서, UT(108)는 데이터(320)를 PUSCH 상에서 eNB(108)에 송신한다. 그 결과, 보류중인 스케줄링 요청으로 인한 DRX 액티브 모드가 이제 종료된다. 그러나, Inactivity 타이머가 추가로 연장된다면, UT(108)는 참조 부호 32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Inactivity 타이머로 인해 DRX 액티브이다. 이러한 기간 이후에, UT(108)는 DRX 사이클(300)의 나머지 동안 DRX 수면 모드(324)로 변할 수 있다.
예컨대, LTE에서, DRX OnDuration 동안 UT(108)에 임의의 UL 또는 DL 승인들이 주어지지 않았고 그리고 예컨대 UT(108)가 스케줄링 요청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사이클 동안 UT(108)가 더 늦게 DRX 액티브로 턴한다면, 새로운 DL 데이터가 eNB(102)에 도달되었더라도, DRX 사이클의 나머지 동안 DRX Inactivity 타이머를 시작할 가능성이 없다. 이러한 경우, DL 송신들은 이러한 DRX 사이클 내에서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용가능한 무선 채널 조건들을 가장 최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UT(108)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를 eNB(102)에 송신할 수 있다. CQI는 UL에서 CQI 리포트에 의하여 송신될 수 있다. CQI는 UT-특정이고 그리고 UT(102)의 관점으로부터 현재 채널 조건들을 반영한다. 또한, CQI는, UT에 대해 최선 채널 조건들을 갖고 그리고 적절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이용하여 주파수 자원들 상에서 DL에서 다가오는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eNB(108)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UT(108)가 DRX 수면 모드에 있다면 CQI는 송신되지 않을 것이다.
이용가능한 상이한 타입들의 CQI들이 있다. 상이한 타입들의 CQI들의 개수는 시스템에 대해 미리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용가능한 5개 타입들의 CQI들이 있다. 첫째로, 디폴트 CQI는, CQI 리포트들로부터 도출된 이용가능한 CQI 값이 없고 그리고 과거로부터의 CQI값들이 진부하게 되는 경우에 eNB(102)에 의한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될 디폴트 값이다.
둘째로, 이력적(historical) CQI 값은 이전에 수신된 CQI 리포트들로부터 도출된다. 상기 이력적 CQI 값은 과거의 채널 조건들을 반영하고 그리고 최신이 아니다. 이력적 CQI는, 시간에 따라 노화하는 팩터에 의해 노화되는 마지막 수신된 CQI 리포트(들)로부터 생긴다. 그러나, 이력적 CQI를 사용하는 것은, 단지 디폴트 CQI 값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스루풋에 대하여 몇몇의 이득을 여전히 제공할 수 있다.
셋째로, 주기적 광대역 CQI(주기적 주파수 비-선택적)는 PUCCH 상에서 eNB(102)에 주기적으로 리포팅될 수 있다. 상기 주기적 광대역 CQI는 물리적 자원 블록(PRB)들 전부의 평균 채널 품질을 반영한다. 추가로, 주기적 광대역 CQI는, 단 한 개의 단일 값이 송신될 것이므로, 다른 타입들의 CQI 리포트들과 비교할 때 더욱 자주 리포팅될 수 있다.
넷째로, 주기적 하위대역 CQI(주기적 주파수 선택적)는 PUCCH 상에서 eNB(102)에 주기적으로 리포팅될 수 있다. 상기 주기적 하위대역 CQI는 미리정의된 크기의 하나의 하위대역에 걸쳐 있는 특정한 양의 PRB들의 채널 품질을 반영한다. 상기 주기적 하위대역 CQI는, 리포팅 면에서 주기적 광대역 CQI보다 더욱 복잡한데, 그 이유는 상기 주기적 하위대역 CQI가 모든 UT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제한된 PUCCH 자원들로 인해 전체 주파수 대역의 하위대역들 전부의 CQI들을 리포팅하는데 어느 정도 시간을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로, 업링크 송신을 이용하여 비주기적 주파수 선택적 CQI가 PUSCH 상에서 리포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주기적 주파수 선택적 CQI는 UL 승인 내의 표시에 의하여 eNB(102)에 의해 요청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비주기적 주파수 선택적 CQI는 주기적으로 리포팅되지 않는다. 비주기적 CQI는 전체 주파수 대역의 하위대역들 전부의 채널 품질을 반영한다.
실시예에 따라, 위에 주어진 5개의 상이한 CQI 리포트들은 각자의 품질에 기초하여 구별될 수 있다. 품질에 의해, CQI 내에서 운반되는 정보가 얼마나 신뢰성 있고 얼마나 최신이고 그리고 얼마나 정확한지가 의미된다. CQI는 UT(108)와 eNB(102) 사이에서 우세한 채널 조건들에 관련된 정보를 운반한다. 실시예에 따라, 품질의 오름차순은 아래와 같다: 디폴트 채널 품질 표시자, 이력적 채널 품질 표시자, 주기적 광대역 채널 품질 표시자, 주기적 주파수 선택적 채널 품질 표시자, 및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그러므로, 비주기적 CQI가 최선 품질을 제공하는 반면에, 디폴트 CQI 값은 최악 품질을 갖는 채널 품질 표시자이다.
CQI 값이 높을수록, 다음 차례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UT(108)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eNB(102)에 의해 선택되는 선택된 MCS가 더 높다. 추가로, MCS가 높을수록, PRB들의 동일한 개수에 대하여, 전송 블록 크기들이 더 크다. 그러므로, 비-적절한 MCS를 선택하는 것은 아래의 결과들을 가질 것임이 명백하다: 현재의 기존 무선 조건들과 비교할 때 더 높은 MCS의 경우, 재송신들이 더욱 자주 발생할 것이고 그리고 더 낮아진 송신 속도가 결과일 것이다. 더 작은 MCS를 사용하는 경우, 전송 데이터는 무선층의 현재 조건으로부터 가능한 그러한 높은 인코딩 속도로 송신될 수 없다. 너무 낮은 송신 속도가 결과일 것이다. 도 4는 DRX와 관련하여 CQI 리포트들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도시한다. DRX 사이클들(420, 422) 동안 트리거링된 Inactivity 타이머들을 갖지 않는 UT(400)는 주기적 CQI 리포트들(404, 406)을 DRX OnDuration 페이즈(phase)들(408, 410) 내에서만 송신할 수 있다. 수면 모드(412, 414) 동안 CQI의 리포트들이 없을 것이다. 추가로, UL 송신들이 없기 때문에, 비주기적 CQI 리포팅이 가능하지 않다.
UT(402)는 DRX 사이클들(450, 452)의 DRX 액티브 페이즈들(438, 440) 동안 주기적 CQI 리포트들(434 및 436)을 유사하게 각각 송신할 수 있다. 추가로, 주어진 UL 송신에 대해 승인(441)이 제공될 때, Inactivity 타이머(443)가 시작될 것이다. 따라서, UT(402)는, 요청된다면, 승인 내에 비주기적 주파수 선택적 CQI 리포트(437)를 송신할 수 있다. 수면 모드들(442, 444) 동안 CQI의 리포트들이 없을 것이다.
UT가 DRX를 적용하는 CQI 리포팅에 관련된 문제점들 중 하나는, UT가 DRX 수면중일 때 CQI 리포트들의 송신들이 없다는 것이다. 다음 시간, 어쩌면 DRX 수면의 긴 기간 이후, UT가 DRX 액티브가 되고 그리고 DL 송신에서 다시 스케줄링될 수 있을 때, 이용가능한 최신 CQI 값이 없다. 이전 DRX 액티브 기간 내에서 수신된 CQI 값들은 최신이 아니고 그리고 현재 채널 조건들을 반영할 수 없다. 이는, 특히 DRX 사이클들의 시작에 관련되는데, 그 이유는 DRX 사이클의 시작이 DRX 수면의 긴 기간 뒤를 이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DRX 수면 기간 이후 DL 송신을 위한 UT의 스케줄링은, 디폴트 또는 이력적 CQI 값들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주기적 CQI 리포트를 수신할 때 그리고 주기적 CQI 리포트를 수신한다면, 주기적 CQI는 eNB가 스케줄링을 프로세싱한 이후 소수 개의 서브프레임들의 송신들의 더 늦은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RX 액티브 기간 내에서 이용가능한 주기적 CQI 리포트가 없는 경우, 그러면 디폴트 또는 이력적 CQI 값이 전체 기간 동안 사용될 것이다. 이는, 차선의 스루풋들을 유발할 수 있는 부적절한 MCS로 송신들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들이 DRX를 적용하는 것은 DRX 액티브 모드에서 DRX 사이클 중 적어도 일부이다.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도 1의 eNB(102)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 내의 별도의 통신 엘리먼트일 수 있다. 장치는 스케줄러로 불릴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우리가 장치가 eNB(102)인 것으로(또는 장치가 eNB(102)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하게 두라.
eNB(102)는 UT(108)에 대해 DRX 사이클의 지속기간을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사이클의 시작은 사용자 단말이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한다. 제1 액티브 기간은 OnDuration 타이머가 실행중일 때의 기간일 수 있다. 추가의 액티브 기간들이 Inactivity 타이머에 의해 또는 UT로부터의 스케줄링 요청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eNB(102)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 주기적 CQI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주기적 CQI에 의해, 주기적 광대역 CQI 및/또는 주기적 하위대역 CQI 중 어느 한 쪽이 의미된다. 즉, eNB(102)는 주기적 CQI 리포트들 둘 다에 대해 리포팅 간격들을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두 개의 주기적 CQI 타입들 중 단 한 개에 대해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DRX 사이클 및 CQI 리포트들에 대한 결정된 간격은 UT-특정일 수 있고 그리고 따라서 상이한 UT들 사이에서 가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주기적 CQI가 DRX 사이클의 제1 액티브 기간 내에서 송신되도록, eNB는 DRX 사이클을, 주기적 CQI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과 추가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이는, 주기적 CQI 리포트들을 DRX 사이클의 시작에 포지셔닝함으로써 DRX 사이클의 시작시 CQI 리포트들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는, 최신 CQI 값이 DRX 사이클의 시작에서 쉽게 이용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eNB(102)는, 일반적으로 부정확하고 그리고 진부하게 된 이력적 CQI 값 또는 디폴트 CQI 값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DRX 사이클의 시작에서 CQI 리포트를 획득하기 위하여, UT가 DRX 액티브일 때 주기적 CQI 리포트들이 송신될 수 있도록, 주기적 CQI 리포트들 및 DRX 사이클들의 시작이 정렬될 것이다. 이는, DRX 사이클의 시작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DRX OnDuration 기간이다.
실시예에 따라, 아래의 공식:
Figure 112013008547710-pct00001
Figure 112013008547710-pct00002
을 충족시키는 매 서브프레임 내에서 DRX 사이클이 시작되고, 여기서 SFN은 시스템 프레임 넘버이고, NSF는 현재 서브프레임 넘버이고, TDRX는 DRX 사이클의 지속기간이고, 그리고 DRXoffset은 DRX 기간의 시작에 대해 미리정의된 오프셋이다.
주기적 CQI 리포팅은 타임 라인에서 유사하게 포지셔닝될 것이다. 따라서, CQI 리포팅은 아래의 공식:
Figure 112013008547710-pct00003
Figure 112013008547710-pct00004
을 충족시키는 매 서브프레임 내에서 수행된다. 여기서, CQIoffset은 미리결정된 CQI 리포팅 오프셋이고, 그리고 CQIperioci는 두 개의 연속적인 CQI 리포트들 사이의 미리정의된 기간이다.
정렬을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라, DRX 사이클의 지속기간은 주기적 CQI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의 정수배가 되도록 결정된다. 이는, 주기적 CQI 리포트들이 각각의 DRX 사이클의 시작에서 수신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추가로, 정수배가 두 배 또는 그 초과일 경우, 하나의 DRX 사이클 동안 한 번을 초과하여 주기적 CQI들을 수신할 가능성이 가능케 된다.
DRX 사이클이 주기적 CQI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의 정수배가 아니더라도, 상기 간격과 정렬된 제1 DRX 사이클은 설계된 대로 주기적 CQI가 eNB(108)에 의해 수신되는 것을 야기할 것이다. 그러나, 인접 DRX 사이클들은 오정렬의 경우 주기적 CQI를 수신할 수 없다.
그러므로, eNB(102)는 각각의 DRX 사이클의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각각의 DRX 사이클 동안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DRX 사이클마다 적어도 하나의 CQI 리포트가 송신되도록 하기 위해 유익하다. 이는, 비활성의 경우 UL에서 UT들을 동기화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더 짧은 DRX 사이클 길이들을 위해 중요할 수 있다. 이러한 UL 송신은 필요한 타이밍 정렬 오프셋의 계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은 최신의 평균된 MCS를 이용하여 실제 채널 조건들에 따라 UT들을 선택하는 것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는, 디폴트 또는 이력적 CQI만이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스루풋 이득을 향상시킨다.
실시예에 따라, eNB(102)는,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하고 그리고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시작에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에서, 바람직하게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주기적 CQI 리포트의 송신의 바람직한 서브프레임은 각각의 DRX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이다. 그러나, PUCCH 상에서 랭크 표시자(RI)의 포지셔닝처럼 다른 이유들로 인해, 주기적 CQI 리포트들이 제1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지 않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DRX 사이클의 시작에 가장 가깝지만 여전히 DRX OnDuration 페이즈 내에 있는 서브프레임이 주기적 CQI 리포트의 송신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라 주기적 CQI 리포트들의 송신을 도시한다. 도 5a는 제1 서브프레임이 UL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하고 그리고 그러므로 주기적 CQI 리포팅을 위해 사용될 때의 경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CQI 리포트들(502 및 504)은 각각의 사이클(510 및 512)의 제1 액티브 기간들(506 및 508)의 제1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eNB에 각각 송신된다. 수면 모드(514) 동안에는 리포팅이 없다.
도 5b는 RI 송신들로 인해 UL 송신을 위해 제1 서브프레임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의 경우를 도시한다. 그러므로, 제2 서브프레임이 주기적 CQI 리포트들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제2 서브프레임이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DRX 사이클의 시작에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이기 때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CQI 리포트들(522 및 524)은 각각의 사이클(530 및 532)의 제1 액티브 기간들(526 및 528)의 제2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eNB(102)에 각각 송신된다. 수면 모드(534) 동안에는 리포팅이 없다. RI들(542 및 544)은 제1 액티브 기간들(526 및 528)(OnDuration 기간들)의 제1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송신된다.
UT(108)로부터 주기적, 최신의 CQI 리포트를 수신한 이후, eNB(102)는 수신된 주기적 CQI를 고려함으로써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가장 최적의 MCS가 대응하는 UT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시간-도메인 스케줄링 및 주파수-도메인 스케줄링은, 현재 채널 조건들에 따라 UT들을 선택할 수 있고 그리고 PRB들을 할당할 수 있고, 할당된 PRB들에 대해 적절한 MCS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루풋 이득은 증가될 수 있다. 주기적 CQI 리포트를 획득하기 이전에 그리고 eNB(102)가 수신된 주기적 CQI 리포트를 프로세싱하는 동안, 디폴트 또는 이력적 CQI 값이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실시예에 따라, eNB(102)는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비주기적 CQI 리포트의 UL 송신을 위해 승인을 할당할 수 있다. 승인은, 하나의 전송 블록 내에서 DRX 사이클의 시작에서 주파수 선택적 CQI 리포트를 eNB(102)에 운반하기에 충분한 자원들을 할당하는 것에 대해 UT(108)에 알려줄 수 있다. 이는, 최선의 정확성 및 신뢰성으로 CQI 값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비주기적 주파수 선택적 CQI 리포트들은, 하나의 리포트 내에서 전체 주파수 대역의 CQI 값들을 송신하고 그리고 하나의 시점에서 불연속 최신 채널 조건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는 CQI 리포트들이다. 그러므로, 상기 비주기적 주파수 선택적 CQI 리포트들은, 최선 CQI 품질을 갖는 CQI 리포트로서 보일 수 있다. 장점은, DRX 수면 기간 이후 가능한 한 일찍 최선의 가능한 품질 CQI가 획득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 eNB(102)는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UT(108)로부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비주기적 CQI는 DRX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즉, 제1 액티브 기간의 시작 이후 제1 서브프레임) 내에서 UT(108)로부터 eNB(102)에 의해 수신된다. 이는, 비주기적 CQI 및 주기적 CQI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 있을 예정이고 그리고 UL 승인이 이용가능할 때 시분할 이중(TDD) 시스템에 대한 경우일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비주기적 CQI만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것이다. 그런 다음에, 수신된 비주기적 CQI를 고려함으로써, eNB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비주기적 CQI 없이, 스케줄링은 주기적 CQI에 기초하여(일단 주기적 CQI가 수신된다면) 수행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승인의 할당 및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의 수신을 수행하는 것은, 아래의 조건들: 업링크 송신 용량이 존재하는 조건, 업링크에서 송신될 필요가 있는 사용자 데이터가 없는 조건, 그리고 다운링크 송신 서브프레임의 사실상 모든 자원 블록들이 할당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좌우된다. 즉, eNB(102)에 의한 비주기적 CQI 요청의 수행은 이들 조건들 중 하나 또는 상기 조건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송신될 필요가 있는 사용자 데이터의 존재는 UT(108)에 있는 UL 버퍼로부터 UL 버퍼 상태 체크에 의하여 체크될 수 있다. 그 결과, 비주기적 CQI 리포트는, 업링크 데이터가 UT(108)에 의해 송신될 것인지 또는 아닌지, 충분한 업링크 용량이 있는지 또는 아닌지, 그리고 다운링크가 완전히 로딩된 상태인지 또는 아닌지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L 데이터에 대한 승인이 UT(108)에 주어질 때, 비주기적 CQI는 요청된다. 일 실시예에서, UL에서 송신될 데이터가 없지만 여유 업링크 용량이 남아 있을 때 비주기적 CQI가 요청된다. 일 실시예에서, UL에서 송신될 데이터가 없고 그리고 여유 업링크 용량이 있고 그리고 다운링크가 완전히 로딩된 상태에 있을 때 비주기적 CQI가 요청된다.
사실상 모든 자원 블록(RB)들이 할당된다면, 아마도 셀 내에 높은 로드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비주기적 CQI에 대한 요청은 영향받는 셀 내에서 DL 송신들에 관해 높은 로드의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유는, 이러한 경우 관련된 UT에 대해 정확한 채널 조건들을 알 필요가 있고 그리고 비주기적 CQI가 최선 품질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낮은 로드의 경우, 비주기적 CQI 송신을 위한 UL 승인의 할당(비주기적 CQI에 대한 요청)은 수행될 필요가 없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라 CQI 리포트들의 사용을 도시한다. DRX 사이클(600) 동안, 제1 액티브 기간은 OnDuration 기간이다. 제1 액티브 기간의 제1 서브프레임(604A)에서, UT(108)는 주기적 CQI 리포트(606)를 송신한다. 주기적 CQI 리포트는 광대역 주기적 CQI 리포트 또는 하위대역 주기적 CQI 리포트일 수 있다. 지점(604B)에서, eNB(102)는 비주기적 CQI 리포트의 송신을 위해 승인(608)을 UT(108)에 할당한다. 이러한 승인은 UT(108)가 액티브 모드에 있는 동안 InActivity 타이머를 트리거링한다.
eNB(102)가 주기적 CQI 리포트(606)를 수신하더라도, eNB(102)의 내부 프로세싱으로 인해 디폴트 또는 이력적 CQI 값을 이용함으로써, 참조 부호 기간(60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의 소수 개의 서브프레임들(우리가 4개 서브프레임들이라고 가정하게 두라) 동안의 스케줄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싱이 완료된 이후, 스케줄링은 수신된 주기적 CQI 리포트(606)를 고려한다. 주기적 CQI가 고려되는 기간이 참조 부호 610에 의해 도시된다.
시점(612)에서, UT(108)는 마지막으로, 요청된 비주기적 CQI 리포트(614)를 eNB(102)에 송신한다. 다시, 몇몇의 프로세싱이 eNB(102)에 의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수 개의 서브프레임들 이후에만 스케줄링 프로세스에서 비주기적 CQI(614)가 고려된다. 비주기적 CQI가 스케줄링에서 고려되는 이후의 시점이 참조 부호 616에 의해 도시된다. 그러므로, 지점(616) 이후 PUSCH 상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618)는, 최선의 이용가능한 CQI, 즉 비주기적 CQI가 주의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
UT(108)가 비주기적 CQI를 eNB(102)에 송신할 때, UT(108)는 UL 버퍼 상태 리포트 및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용량이 이를 허용한다면, eNB(102)에도 또한 송신할 수 있다. 전력 헤드룸 리포트(PHR)는 최대 UT 송신 전력과 PUSCH 상의 실제 송신 전력 사이의 차이를 표시한다. 이는, MAC 제어 엘리먼트의 일부로서 송신될 수 있다.
eNB(102)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의 이용가능한 CQI들의 품질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 스케줄링에서 UT들을 추가로 우선순위화할 수 있고, 여기서 CQI의 품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CQI의 타입에 의해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품질의 오름차순은 아래와 같다: 디폴트 CQI, 이력적 CQI, 주기적 광대역 CQI, 주기적 주파수 선택적 CQI, 및 비주기적 CQI. 그러나, 이용가능한 상이한 타입들의 CQI들의 경우, 순서는 가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우선순위화는 시간-도메인 스케줄링에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하여, UT들의 우선순위화는 주파수-도메인 스케줄링에서 수행된다.
실시예에 따라, eNB(102)는 이용가능한 CQI 값의 품질을 고려하는 가중 팩터에 의하여 DL 시간- 및/또는 주파수-도메인 스케줄링에서 다른 UT들에 대하여 UT들(108)을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 가중 팩터는 디폴트 CQI로부터 비주기적 CQI까지 모든 각각의 더 높은 품질 레벨에 의해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기준
Figure 112013008547710-pct00005
― 상기 기준에 따라, UT(i)의 스케줄링은 예컨대 QoS 정보 및 채널 품질에 따라 좌우됨 ― 은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3008547710-pct00006
여기서, t는 다가오는 서브프레임이고, 그리고 F는 몇몇의 파라미터들의 함수를 표시하는 항이고, 상기 공식은 아래와 같은 가중 팩터에 의해 DRX 모드에서 UT들이 실행되도록 향상될 수 있다:
Figure 112013008547710-pct00007
공식 (2)에서, WCQI는 이용가능한 CQI의 품질을 고려한 가중 팩터이다. 실시예에 따라, 기준
Figure 112013008547710-pct00008
는 DL 스케줄링에서 UT들을 우선순위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우선순위화에 기초하여, 실시예에 따라, eNB(102)는 다운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확률을 특정 사용자 단말에 할당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확률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의 품질이 낮을수록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다운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확률이 낮도록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의 품질에 비례적이다. 그런 다음에, 확률 정보는 우선순위화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이용가능한 CQI가 디폴트 CQI, 이력적 CQI, 또는 주기적 CQI 중 어느 한 쪽이라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이용가능한 CQI가 비주기적 CQI일 때까지, 우선순위화는 다운링크 송신을 특정 UT로 제약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이용가능한 CQI의 저품질을 가지는 UT들은 기다릴 것이고 그리고 상기 UT들이 우수한 품질의 CQI를 가질 때까지 지연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최신 채널 조건들을 반영하는 MCS들 및 PRB들이 이러한 UT들에 할당될 수 있고 그리고 시스템 스루풋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 DL 송신 스케줄링에서의 UT들의 우선순위화는, 다운링크 송신 서브프레임의 사실상 모든 자원 블록들이 할당되는 때에만(높은 로드)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UT들의 스케줄링은 우선순위화 없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셀 내의 낮은 로드의 경우, 우선순위화는 수행되지 않고 그리고 UT들은 지연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CQI의 품질을 무시하면서 즉시 스케줄링될 것이다.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SRS)가 각각의 DRX 사이클의 제1 액티브 기간 내에서 송신되도록, eNB(102)는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SRS)들의 송신들 사이의 간격을 DRX 사이클과 추가로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eNB(102)는 각각의 DRX 사이클의 제1 기간 내에서 UT(108)로부터 SRS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SRS는 액티브 기간의 제1 이용가능한 서브-프레임 상에서 송신된다. 또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 SRS 정보는 사용될 수 있다.
이는, SRS가 UL 데이터와 동일한 RB 내에 위치되어, SRS로부터 eNB가 추출하는 채널 품질 정보가 정확하기 때문에, 유익하다. SRS를 액티브 기간의 시작과 정렬시키는 잇점은, UL 스케줄링이 최근 채널 품질 정보에 따라 좌우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LTE에 따라, CQI는 UL 리포트이고 그리고 DL 스케줄링을 위해 이용되는 반면에, SRS에 기초한 채널 품질은 UL에서 결정될 수 있고 그리고 UL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700)의 매우 일반적인 아키텍처가 도 7에서 도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700)를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는 엘리먼트들 및 기능적 엔티티들만을 도시한다. 간략성을 위해 다른 컴포넌트들은 생략되었다. 엘리먼트들 및 기능적 엔티티들의 구현은 도 7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가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연결들은 논리적 연결들이고, 그리고 실제 물리적 연결들은 상이할 수 있다. 연결들은 직접적이거나 또는 간접적일 수 있고, 그리고 단지 컴포넌트들 사이에 기능적 관계가 있을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장치(700)가 또한 다른 기능들 및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700)는 프로세서(7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2)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내장된 적절한 소프트웨어가 제공된 별도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와 같은 별도의 논리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702)는 통신 능력들을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 포트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2)는 예컨대 듀얼-코어 프로세서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장치(700)는 프로세서(702)에 연결된 메모리(70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는 또한 프로세서(702)에 포함될 수 있고 그리고 따라서 메모리(704)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메모리는 예컨대 CQI들 값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장치(700)는 트랜시버(TRX)(7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RX(706)는, 에어 인터페이스로의 연결 및 에어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연결을 가능케 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708)에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이한 타이밍 관련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타이밍 회로(7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기능들은 DRX의 특징들 ― 예컨대, DRX 사이클의 지속기간을 포함함 ― 의 결정을 포함한다. 부가하여, CQI 리포팅의 특징들은 타이밍 회로(710)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CQI의 특징들은 예컨대 주기적 CQI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DRX 사이클의 시작의 CQI 리포팅 주기와의 정렬이 여기서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702)는 UT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스케줄링 회로(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702)는,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 TRX(706)에 의해 수신된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 CQI들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추가로, 수신된 SRS가 고려될 수 있다. 스케줄러 회로(712)는 UT들로부터 이용가능한 CQI들의 품질에 따라 UT들을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702)는,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측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회로는 예컨대 사운딩 기준 신호(SRS)에 대한 측정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7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장치는 예컨대 모바일 스테이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720)는 프로세서(7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22)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내장된 적절한 소프트웨어가 제공된 별도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와 같은 별도의 논리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722)는 통신 능력들을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 포트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22)는 예컨대 듀얼-코어 프로세서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장치(720)는 프로세서(722)에 연결된 메모리(7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는 또한 프로세서(722)에 포함될 수 있고 그리고 따라서 메모리(724)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메모리는 예컨대 CQI들 값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장치(720)는 트랜시버(TRX)(7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RX(726)는, 에어 인터페이스로의 연결 및 에어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연결을 가능케 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728)에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722)는 측정 회로(7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회로(730)는 CQI 리포트들에 대한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 회로(732)가 더 있을 수 있고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장치(720)는 DRX 사이클의 지속기간에 관련된 정보 ― 여기서, 사이클의 시작은 장치가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함 ― 그리고 주기적 CQI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는 예컨대 장치(7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장치(720)는 DRX 사이클의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주기적 CQI를 추가로 송신하여, 그에 따라 eNB를 위해 DRX 사이클에 대한 최신 CQI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720)는, DRX 사이클의 제1 액티브 기간 내에서,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하고 DRX 사이클의 시작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DRX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주기적 CQI를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장치는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비주기적 CQI 리포트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승인을 수신할 수 있고 그리고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비주기적 CQI를 송신할 수 있다.
추가로, 장치는 업링크 SRS의 송신들 사이의 간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 여기서, SRS가 각각의 DRX 사이클의 제1 액티브 기간 내에서 송신되도록 업링크 SRS의 송신들 사이의 간격은 DRX 사이클과 정렬됨 ―, 각각의 DRX 사이클의 제1 기간 내에서 SRS를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회로'는 아래 중 전부를 지칭한다: (a) 단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로의 구현들과 같이 하드웨어-단독 회로 구현들, 그리고 (b) 회로들과 소프트웨어(및/또는 펌웨어)의 조합들, 예컨대 (적용가능하다면): (i) 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ⅱ) 프로세서(들)/소프트웨어의 일부분들 ―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소프트웨어, 및 장치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는 메모리(들)를 포함함 ―, 그리고 (c) 회로들,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을 위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요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일부분.
'회로'의 이러한 정의는 본 출원에서 이러한 용어의 사용들 전부에 적용된다. 추가의 예로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회로'는 또한 단지 프로세서(또는 멀티 프로세서들)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분 및 그(또는 그들)의 동반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구현을 커버할 것이다. 또한, 용어 '회로'는, 예컨대 그리고 특정한 엘리먼트에 적용가능하다면, 휴대폰 또는 서버 내의 유사한 포함된 회로, 셀룰러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기저대역 집적 회로 또는 애플리케이션들 프로세서 집적 회로를 커버할 것이다.
도 8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방법은 단계(800)에서 시작된다. 단계(802)에서, 사용자 단말에 대한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지속기간이 결정되고, 여기서 사이클의 시작은 사용자 단말이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한다. 단계(804)에서,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이 사용자 단말에 대해 결정된다. 단계(806)에서,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가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액티브 기간 내에서 송신되도록, 불연속 수신 사이클이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과 정렬된다. 단계(808)는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불연속 수신 사이클 동안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810)는 수신된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고려함으로써,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단계(812)에서 종료된다.
도 9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방법은 단계(900)에서 시작된다. 단계(902)에서,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지속기간에 관련된 정보 ― 여기서, 사이클의 시작은 장치가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함 ―, 그리고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에 관련된 정보가 획득된다. 단계(904)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송신하여, 그에 따라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 동안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를 제공한다. 수신 단부는 예컨대 DL 스케줄링에 수신된 CQI를 적용시킬 수 있다. 방법은 단계(906)에서 종료된다.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 및 방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들 기술들은 하드웨어(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 펌웨어(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 소프트웨어(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듈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 도 7의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멀티-코어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식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대해, 구현은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칩셋(예컨대,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의 모듈들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 내에 저장될 수 있고 그리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에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메모리 유닛은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가하여,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들의 컴포넌트들은 부가적인 컴포넌트들에 의해 재배열되거나 그리고/또는 보완되어, 상기 컴포넌트들에 관하여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달성들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리고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상기 컴포넌트들은 주어진 도면들에서 전개되는 정확한 구성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지속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 ― 여기서, 상기 사이클의 시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함 ―,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서 송신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을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상기 간격과 정렬시키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 동안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수신된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고려함으로써,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지속기간에 관련된 정보 ― 여기서, 상기 사이클의 시작은 상기 장치가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함 ―, 그리고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 ― 여기서,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서 송신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은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과 정렬됨 ―, 및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송신하여, 그에 따라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 동안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도 1 내지 도 9에 관련된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배포가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는,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전기식, 자기식, 광학,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송신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는 아래의 매체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프로그램 저장 매체, 레코드 매체,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삭제가능 프로그램어블 읽기-전용 메모리, 컴퓨터 판독가능 소프트웨어 배포가능 패키지,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컴퓨터 판독가능 원격통신들 신호, 컴퓨터 판독가능 인쇄물,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압축 소프트웨어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동반된 도면들에 따른 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약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여러 방식들로 수정될 수 있음이 명확하다. 추가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설명된 실시예들이, 그렇게 요구받는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방식들로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음이 명확하다.

Claims (42)

  1.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대해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지속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사이클의 시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함 ―;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은,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송신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을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상기 간격과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에 대해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고려함으로써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의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들의 품질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 스케줄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들을 우선순위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지속기간은,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상기 간격의 정수배가 되도록 결정되고, 따라서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가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에 대해 획득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하고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시작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승인(grant)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고려함으로써,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의 할당 및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의 수신을 수행하는 것은, 업링크 송신 용량이 존재하는 조건, 어떠한 사용자 데이터도 업링크에서 송신될 필요가 없는 조건, 그리고 다운링크 송신 서브프레임의 사실상 모든 자원 블록들이 할당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표시자의 품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채널 품질 표시자의 타입에 의해 결정되고, 그리고
    품질의 오름차순은: 디폴트 채널 품질 표시자, 이력적(historical) 채널 품질 표시자, 주기적 광대역 채널 품질 표시자, 주기적 주파수 선택적 채널 품질 표시자, 및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인,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확률을 특정 사용자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의 품질이 낮을수록 상기 사용자 단말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확률이 낮도록, 상기 확률은 상기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의 품질에 비례적임 ―; 및
    우선순위화할 때 확률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가 상기 디폴트 채널 품질 표시자이거나 또는 상기 이력적 채널 품질 표시자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가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이거나 또는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일 때까지, 특정 사용자 단말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억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가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송신되도록, 상기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들의 송신들 사이의 간격을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과 정렬시키는 단계;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기간 내에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운딩 기준 신호를 고려함으로써 업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11.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사용자 단말에 대해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지속기간을 결정하게 하고 ― 상기 사이클의 시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함 ―;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송신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을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상기 간격과 정렬시키게 하고;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에 대해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를 획득하게 하며;
    상기 수신된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고려함으로써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의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들의 품질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 스케줄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들을 우선순위화하도록
    추가로 유발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지속기간은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상기 간격의 정수배가 되도록 결정되고, 따라서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가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에 대해 획득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하고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시작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유발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승인을 할당하고;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수신된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고려함으로써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도록
    추가로 유발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유발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의 할당 및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의 수신을 수행하는 것은, 업링크 송신 용량이 존재하는 조건, 어떠한 사용자 데이터도 업링크에서 송신될 필요가 없는 조건, 그리고 다운링크 송신 서브프레임의 사실상 모든 자원 블록들이 할당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17.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표시자의 품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채널 품질 표시자의 타입에 의해 결정되고, 그리고
    품질의 오름차순은: 디폴트 채널 품질 표시자, 이력적 채널 품질 표시자, 주기적 광대역 채널 품질 표시자, 주기적 주파수 선택적 채널 품질 표시자, 및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인,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확률을 특정 사용자 단말에 할당하고 ―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의 품질이 낮을수록 상기 사용자 단말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확률이 낮도록, 상기 확률은 상기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의 품질에 비례적임 ―; 그리고
    우선순위화할 때 확률 정보를 사용하도록
    추가로 유발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가 상기 디폴트 채널 품질 표시자이거나 또는 상기 이력적 채널 품질 표시자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가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이거나 또는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일 때까지, 특정 사용자 단말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억제하도록 추가로 유발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20.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가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송신되도록, 상기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들의 송신들 사이의 간격을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과 정렬시키고;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기간 내에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수신된 사운딩 기준 신호를 고려함으로써 업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도록 추가로 유발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21.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에 대해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지속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 ― 상기 사이클의 시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함 ―;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송신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을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상기 간격과 정렬시키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에 대해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수신된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고려함으로써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 및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의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들의 품질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 스케줄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들을 우선순위화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22.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지속기간에 관련된 정보 ― 상기 사이클의 시작은 장치가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함 ― 및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송신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은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과 정렬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송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에 대해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들로부터의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들의 품질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 스케줄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들이 우선순위화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지속기간은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상기 간격의 정수배가 되도록 결정되고, 따라서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가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에 대해 획득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하고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시작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25.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의 송신은, 업링크 송신 용량이 존재하는 조건, 어떠한 사용자 데이터도 업링크에서 송신될 필요가 없는 조건, 그리고 다운링크 송신 서브프레임의 사실상 모든 자원 블록들이 할당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28.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들의 송신들 사이의 간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들의 송신들 사이의 상기 간격이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과 정렬됨 ―;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이 스케줄링될 때에 송신된 사운딩 기준 신호가 고려되도록,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기간 내에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29.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지속기간에 관련된 정보 ― 상기 사이클의 시작은 상기 장치가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함 ―, 및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송신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은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과 정렬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송신하여, 그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에 대해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유발되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의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들의 품질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 스케줄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들이 우선순위화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지속기간은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상기 간격의 정수배가 되도록 결정되고, 따라서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가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에 대해 획득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업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하고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시작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유발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32.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승인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유발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유발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의 송신은, 업링크 송신 용량이 존재하는 조건, 어떠한 사용자 데이터도 업링크에서 송신될 필요가 없는 조건, 그리고 다운링크 송신 서브프레임의 사실상 모든 자원 블록들이 할당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35.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들의 송신들 사이의 간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가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송신되도록, 상기 업링크 사운딩 기준 신호들의 송신들 사이의 상기 간격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과 정렬됨 ―; 그리고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이 스케줄링될 때에 송신된 사운딩 기준 신호가 고려되도록, 각각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기간 내에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유발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36.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지속기간에 관련된 정보 ― 상기 사이클의 시작은 상기 장치가 액티브 모드에 있는 제1 액티브 기간을 트리거링함 ― 및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내에 송신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은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 리포트들 사이의 간격과 정렬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상기 제1 액티브 기간 동안 상기 주기적 채널 품질 표시자를 송신하여, 그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에 대해 최신 채널 품질 표시자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들로부터의 이용가능한 채널 품질 표시자들의 품질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 스케줄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들이 우선순위화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37. 배포가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명령들은, 장치로 로딩될 때,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배포가능한 매체.
  38. 배포가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명령들은, 장치로 로딩될 때,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배포가능한 매체.
  3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시작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인,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4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시작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인,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장치.
  41.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시작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인,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4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시작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은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제1 서브프레임인,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KR1020137002427A 2010-06-30 2010-06-30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단말들의 스케줄링 KR101489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59299 WO2012000547A1 (en) 2010-06-30 2010-06-30 Scheduling of user terminals in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348A KR20130050348A (ko) 2013-05-15
KR101489873B1 true KR101489873B1 (ko) 2015-02-05

Family

ID=4355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427A KR101489873B1 (ko) 2010-06-30 2010-06-30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단말들의 스케줄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19146B2 (ko)
EP (1) EP2589250B1 (ko)
JP (1) JP5684380B2 (ko)
KR (1) KR101489873B1 (ko)
CN (1) CN103069907B (ko)
WO (1) WO2012000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0075B2 (en) 2007-03-16 2011-09-13 Apple Inc. Channel quality index feedback reduction for broadband systems
KR101804923B1 (ko) * 2010-08-16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 mdt를 위한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761942B (zh) * 2011-04-29 2015-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状态切换方法、非激活定时器启动方法和用户设备
US9363799B2 (en) * 2011-10-31 2016-06-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 uplink control signal, user equipment, method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and base station
CN103220798B (zh) * 2012-01-19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数据通信方法、基站与用户设备
US8879475B2 (en) * 2012-05-15 2014-11-04 Apple Inc. Adaptive channel state feedback in discontinuous reception scenarios based on connection characteristics
US9282473B2 (en) * 2012-06-07 2016-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channel-quality indicator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GB2494499B (en) * 2012-06-22 2013-08-14 Renesas Mobile Corp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reporting during periods of discontinuous reception (DRX)
EP2875666B1 (en) 2012-07-20 2019-0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on interference for device-to-device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44080B2 (en) * 2012-11-07 2015-09-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lecting transmission parameters for downlink transmissions based on retransmission rates
WO2014076516A1 (en) * 2012-11-16 2014-05-22 Nokia Corporation Discontinuous reception (drx) for diverse traffic
CN104081744B (zh) * 2013-01-24 2017-08-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设备及系统
WO2014129994A1 (en) * 2013-02-21 2014-08-28 Avea Iletisim Hizmetleri Anonim Sirketi ( Teknoloji Merkezi ) Experience based packet scheduler
US9986473B2 (en) 2013-05-07 2018-05-29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panic state(s) under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state in long term evolution
US9894610B2 (en) 2013-05-09 2018-02-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onitoring on dur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WO2014198480A1 (en) * 2013-06-13 2014-12-18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20150038140A1 (en) 2013-07-31 2015-02-05 Qualcomm Incorporated Predictive mobility in cellular networks
US9474000B2 (en) 2013-07-31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and reselection searching using predictive mobility
TWI484850B (zh) * 2013-11-14 2015-05-11 Univ Nat Chiao Tung 用於長期演進技術中省電資料排程系統及其方法
US9497771B2 (en) 2014-04-18 2016-11-15 Apple Inc. Deterministic RRC connections
US9906977B2 (en) 2014-04-18 2018-02-27 Apple Inc. Deterministic RRC connections
US10375646B2 (en) * 2014-04-18 2019-08-06 Apple Inc. Coordination between application and baseband layer operation
DK3145251T3 (da) * 2014-05-15 2021-12-06 Ntt Docomo Inc Brugerterminal, trådløs basisstation og trådløs kommunikationsfremgangsmåde
PL3189698T3 (pl) 2014-09-01 2020-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arunkowe wykorzystanie zasobów radiowych łącza w górę w sieci komórkowej
KR101602307B1 (ko) * 2014-12-22 2016-03-21 콘텔라 주식회사 이동통신 기지국 장치의 업링크 스케줄링 방법 및 그 기지국 장치
US9705635B2 (en) * 2015-03-06 2017-07-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to identify user equipment performance and to optimize network performance via big data
US10219312B2 (en) * 2016-11-04 2019-02-26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techniques for improved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US10327170B2 (en) * 2017-03-13 2019-06-18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monitoring without always-on reference signals
US10674520B1 (en) * 2017-05-31 2020-06-0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user device communications over optimal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US10659132B2 (en) * 2017-10-24 2020-05-19 Qualcomm Incorporated Beam scanning period configuration
US11316598B2 (en) 2017-12-28 2022-04-2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power synchronization of bluetooth systems
CN113115593B (zh) * 2018-11-12 2023-05-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装置及用于装置的非连续接收的方法
CN111405642B (zh) * 2019-01-03 2024-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发送方法、接收方法、装置和设备
US11425659B2 (en) * 2019-01-15 2022-08-23 Qualcomm Incorporated Periodic reception m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N113365307B (zh) * 2019-09-27 2023-03-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测量管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2650A2 (en) 2007-04-25 2008-11-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report in a discontinuous transmission scheme, primary and secondary stations therefor
US20090232118A1 (en) 2008-03-14 2009-09-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ordinated uplink transmission in lte drx operations for a wireless transmit receive unit
US20100135172A1 (en) 2008-09-08 2010-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in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34886A (zh) * 2004-02-27 2007-03-21 三菱电机株式会社 调度器、基站以及调度方法
CA2656421C (en) * 2006-06-19 2014-01-28 Ntt Docomo, Inc. Base station, mobile station, synchronization control method, and ic chip
KR100957348B1 (ko) * 2006-10-16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84533A (ko) * 2007-03-16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1325920B1 (ko) 2007-05-02 201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WO2008155910A1 (ja) 2007-06-19 2008-12-24 Panasonic Corporation 無線送受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端末装置
JP5222517B2 (ja) 2007-10-01 2013-06-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補正テーブルを作成する方法及び装置
AU2009212717B2 (en) * 2008-02-01 2013-04-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iming synchronization in conjunction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WO2010078365A1 (en) * 2008-12-30 2010-07-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iscontinuous reception for carrier aggregation
US8711709B2 (en) * 2009-03-12 2014-04-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for a radio link failure
BRPI1013144B1 (pt) * 2009-06-15 2021-03-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e sistema para a operação de recepção descontínua para agregação de portadora avançada de evolução de longo praz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2650A2 (en) 2007-04-25 2008-11-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report in a discontinuous transmission scheme, primary and secondary stations therefor
US20090232118A1 (en) 2008-03-14 2009-09-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ordinated uplink transmission in lte drx operations for a wireless transmit receive unit
US20100135172A1 (en) 2008-09-08 2010-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in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348A (ko) 2013-05-15
JP2013537733A (ja) 2013-10-03
JP5684380B2 (ja) 2015-03-11
US9119146B2 (en) 2015-08-25
EP2589250A1 (en) 2013-05-08
US20130107782A1 (en) 2013-05-02
CN103069907A (zh) 2013-04-24
CN103069907B (zh) 2017-05-17
WO2012000547A1 (en) 2012-01-05
EP2589250B1 (en) 202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873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단말들의 스케줄링
JP7232852B2 (ja) 低減された待ち時間システムにおけるタイミングアドバンスおよび処理能力
CN105474668B (zh) 用于减少机器对机器(m2m)通信中无线电资源管理(rrm)相关信令的系统和方法
RU2636581C2 (ru) Детерминистическое поведение ue для сообщения csi/srs во время drx
US11570696B2 (en) Method and device for using resources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23145795A (ja) ワイヤレス送信/受信ユニット(wtru)の電力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2021763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andling power saving signals to improve power saving performance of ue
US9042248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terminals, radio base stations,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RU251059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20090305716A1 (en) Transmission period control method of radio resource allocation request
US20090305715A1 (en) Channel quality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009897A1 (en) Data Block Transmission with Variable Retransmission Feedback Time
JP7367838B2 (ja) サイドリンクスケジューリングリクエストのトリガー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11963167B2 (en) Method and network nodes for enabling downlink scheduling for a SPS and DRX configured UE
KR20130041969A (ko)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202200222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
CN115836489A (zh) 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US20210274374A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supporting a service over a radio bearer
RU2779409C2 (ru) Детерминистическое поведение ue для сообщения csi/srs во время drx
WO2022234835A1 (ja)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CN112738900B (zh) 一种蜂窝网络中无线电传送方法、装置、节点及介质
CN114287168A (zh) 电信系统中的下行链路监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