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496B1 -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 - Google Patents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496B1
KR101489496B1 KR20130127330A KR20130127330A KR101489496B1 KR 101489496 B1 KR101489496 B1 KR 101489496B1 KR 20130127330 A KR20130127330 A KR 20130127330A KR 20130127330 A KR20130127330 A KR 20130127330A KR 101489496 B1 KR101489496 B1 KR 101489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am slider
cam
pin rod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홍희
최찬규
윤주영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130127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스프링을 이용하여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캠슬라이더와 인장스프링을 동일선상에 직렬로 설치하여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APPARATU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CARD WITH TENSION ADJUSTMENT}
본 발명은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캠슬라이더와 인장부재를 동일선상에 직렬로 설치하여 제품의 크기를 줄이고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심(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종 소형 메모리 카드 등을 단말기에 삽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는 소켓에 직접 삽입되거나, 또는 트레이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소켓 결합은 한 번 누르는 것으로 카드를 삽입위치에 록킹하고, 다음에 두 번째 누르는 것으로, 그 록킹을 해제하여 카드 등을 배출위치로 이동시키는 기구로서 하트캠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켓 구조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소켓 구조에 구비되는 록킹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소켓(1)은 하우징(10)과 록킹부재(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메모리카드 등의 카드(미도시)가 인입되도록 공간을 구비하며, 그 일측에 베이스(12)가 구비된다. 그리고 베이스(12)에는 하우징(10) 내부 방향으로 접촉자(14)가 배치되어 카드와 접촉되며 통신을 하게 되며, 하우징(10)의 내부 측방에는 록킹부재(20)가 구비된다.
록킹부재(20)는 카드가 입출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캠슬라이더(22)와, 캠슬라이더(22)의 길이방향 일측 후방에 구비되는 캠부(23)와, 캠부(23)에서 캠슬라이더(22)의 전방 방향으로 구비되는 압축스프링(24)을 포함한다. 그리고 캠부(23)에는 하트캠(23a)이 형성되고 이 하트캠(23a)에는 핀로드(26)가 연결된다. 그리고 카드를 하우징(10) 내부로 푸쉬하면, 캠슬라이더(22)의 전단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22a)에 카드가 걸려, 캠슬라이더(22)가 카드와 함께 전진되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밀려 들어가서 지지되었다가, 다시 카드를 푸쉬하면 스프링(24)의 동작으로 캠슬라이더(22)가 카드를 후진시켜 외부에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카드를 잡아 꺼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록킹부재(20)는 캠슬라이더(22)와 압축스프링(24)이 병렬로 연결되어, 공간이 많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즉, 휴대폰의 경우 소켓은 다른 부품의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하여 가능한 한 작은 크기가 요구된다. 그런데 기존의 압축 스프링(24)은 캠슬라이더(22)가 전진되는 방향에 배치되는바, 캠슬라이더(22)와 압축스프링(24)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캠슬라이더(22)가 아닌 캠부(23)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캠슬라이더(22)와 압축스프링(24)은 상호 병렬로 배열된다. 이처럼 캠슬라이더(22)와 압축스프링(24)이 병렬로 배열되면 캠슬라이더(22)와 압축스프링(24)을 합친 너비(D1) 만큼의 설치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캠슬라이더(22)의 전방에 압축스프링(24)을 배치하게 되면, 압축스프링(24)은 자체 탄성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압축스프링(24)의 길이만큼 소켓의 전체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록킹부재(20)는 압축스프링(24)을 사용하는바, 압축스프링(24)의 압축 시 좌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처럼 좌굴이 발생할 경우 소켓의 다른 부분과의 간섭이 발생하여 기구동작이 불가능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기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565778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캠슬라이더와 스프링을 직렬로 배열하여,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이동공간에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면에 캠홈이 형성되는 캠슬라이더; 상기 이동공간의 후방과 상기 캠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캠슬라이더가 상기 이동공간의 후방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인장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커버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캠홈에 끼워지며, 상기 캠슬라이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캠홈의 전후방향을 따라 선회되는 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캠슬라이더에 상기 이동공간의 전방으로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캠슬라이더가 상기 이동공간의 전방으로 제 1 전진되면,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캠홈을 따라 후진된 후, 상기 캠홈의 후방에 형성되는 걸림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캠슬라이더를 고정시키고, 다시 상기 캠슬라이더에 상기 이동공간의 전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걸림부에서 빠져나와 상기 캠홈을 따라 선회되고, 상기 캠슬라이더는 상기 이동공간의 전방으로 제 2 전진된 후,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공간의 후방으로 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홈은: 상기 캠슬라이더가 상기 제 1 전진될 때,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가 후진되도록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의 후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구간과, 일측은 상기 제 1 구간의 후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구간의 전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2 구간과, 상기 제 2 구간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캠슬라이더가 상기 제 2 전진될 때, 상기 걸림부에 위치된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가 후진되도록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제 1 구간의 후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2 구간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구간과, 상기 제 3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을 연결시키는 제 4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구간의 후측은 상기 제 2 구간의 일측보다 높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간의 타측은 상기 걸림부보다 높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 3 구간의 일측은 상기 걸림부보다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 구간의 타측과 연결되는 상기 제 4 구간의 후측은 상기 제 3 구간의 타측과 동일한 높이로 연결되고, 상기 제 4 구간의 전측은 상기 제 1 구간의 전측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홈을 따라 정방향으로 선회되는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가 역방향으로 선회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3 구간과 연결되는 상기 제 4 구간의 후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부가 일체로 더 형성되고, 상기 캠슬라이더가 상기 제 2 전진될 때,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제 3 구간에서 상기 연장부로 이동되고, 상기 캠슬라이더가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공간의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연장부에 위치된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제 4 구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장부재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공간에는 상기 인장부재의 길이방향 측부를 따라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장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 내부에는 그 후방에서 전방으로 카드가 삽입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이동공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캠슬라이더는 상기 카드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는 캠슬라이더와 인장부재를 동일선상에 직렬로 설치하여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는 캠슬라이더가 인장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캠슬라이더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일 수 있어, 자체 내구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는 인장스프링을 사용하여, 스프링 좌굴 문제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므로, 제품의 잔고장이 줄어들고, 구조적으로 안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켓 구조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소켓 구조에 구비되는 록킹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가 적용된 카드소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가 적용된 카드소켓을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의 캠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의 캠홈을 일렬로 펼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의 캠슬라이더가 전, 후진될 때 핀로드가 캠홈을 따라 선회되면서 캠슬라이더를 고정 또는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가 적용된 카드소켓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가 적용된 카드소켓을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카드소켓은 유심카드, 메모리카드 등의 각종 카드(150) 등이 삽입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에 삽입된 카드(150)를 토출시키는 입출장치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입출장치가 구비되는 이동공간(110)과, 카드(150)가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공간(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용공간(12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공간(110)에는 하우징(100)의 후측에서 전측 방향으로 길게 제 1 가이드부(112)와 제 2 가이드부(113)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가이드부(112)는 수용공간(120)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113)는 이동공간(110)의 안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20)의 후측은 개방되어, 카드(150)가 수용공간(120)의 후측에서 전측 방향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수용공간(120)에는 베이스(200)가 구비되어 카드(150)가 수용공간(120)으로 삽입되면, 카드(150)와 베이스(200)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입출장치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20)에 삽입된 카드(150)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캠슬라이더(300), 인장부재(400) 및 핀로드(500)를 포함하며, 하기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입출장치의 캠슬라이더(3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이동공간(110)에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캠슬라이더(300)는 하우징(100)의 이동공간(110)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부(112)와 제 2 가이드부(113) 사이에 구비되어, 제 1, 2 가이드부(112, 113)를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고 캠슬라이더(300)는 그 길이방향 전단부에 수용공간(120) 방향으로 돌출되는 푸쉬부(320)와, 그 상면 전측에 형성되는 캠홈(310)을 포함한다. 푸쉬부(320)는 카드(150)가 수용공간(120)으로 인입될 때 카드(150)의 전측 단부를 지지하여 캠슬라이더(300)가 전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힘을 전달받거나 또는, 카드(150)를 후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캠홈(310)은 기존의 하트캠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카드(150)가 하우장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될 때, 후술하는 핀로드(500)가 캠홈(310)을 따라 선회되면서 캠슬라이더(300)를 고정 또는 이동시킨다. 상기 캠홈(310)은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인장부재(400)는 인장력을 갖는 인장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며, 일측은 이동공간(110)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부(112)와 제 2 가이드부(113)의 길이방향 후단에 지지되고 타측은 캠슬라이더(300)의 후단부와 직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인장부재(400)는 자체 인장력으로 인하여 전방으로 전진된 캠슬라이더(300)가 이동공간(110)의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인장부재(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캠슬라이더(300)의 후방에 직렬로 배열되므로, 캠슬라이더(300)가 전진될 때, 캠슬라이더(300)와 인장부재(400)가 상호 충돌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캠슬라이더(300)와 인장부재(400)가 직렬로 배열되면, 종래 병렬로 배열되는 캠슬라이더(300)와 인장부재(400)를 합친 너비(D1: 도 2 도시)보다 좁은 너비(D2)를 갖게 되어,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장부재(400)는 인장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바, 스프링 좌굴 문제가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제품의 잔고장이 줄어들고, 구조적으로 안정화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핀로드(5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단부와 타단부는 절곡되어, 그 일단부는 하우징(100)의 제 2 가이드부(113)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그 타단부는 캠홈(310)에 끼워져 캠홈(310)을 따라 선회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제 2 가이드부(113)의 길이방향 전측은 캠슬라이더(300)의 캠홈(310)보다 후측에 위치되고, 핀로드(500)의 일단부는 제 2 가이드부(113)의 길이방향 전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20)으로 카드(150)를 푸쉬하면, 카드(150)는 캠슬라이더(300)의 푸쉬부(320)에 걸려, 카드(150)가 캠슬라이더(300)와 함께 전방으로 제 1 전진되어 지지되었다가, 다시 카드(150)를 푸쉬하면 카드(150)와 캠슬라이더(300)가 함께 전방으로 제 2 전진된 후 인장부재(400)의 복원력으로 캠슬라이더(300)가 후방으로 후진되면서 카드(150)를 후방으로 밀어 토출시켜서 사용자가 카드(150)를 잡아 꺼낼 수 있게 된다. 이때, 핀로드(500)는 캠홈(3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회되면서 캠슬라이더(300)를 고정 또는 이동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의 캠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캠홈(310)은 기존 하트캠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제 1 구간(311), 제 2 구간(312), 걸림부(313), 제 3 구간(314), 제 4 구간(315) 및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 1 구간(311)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20)으로 인입된 카드(150)가 푸시되어 캠슬라이더(300)가 제 1 전진될 때, 핀로드(500)의 타단부가 캠홈(310)을 따라 후진되도록 핀로드(500)의 타단부의 후진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 1 구간(311)은 카드(150)삽입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 2 구간(312)은 일측은 제 1 구간(311)의 후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구간(311)의 전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걸림부(313)는 제 2 구간(312)의 타측에 연결되며 캠슬라이더(300)의 전방 방향으로 꼭지점이 구비되어 걸림부(313)에 위치되는 핀로드(500)의 타단부가 걸림부(313)의 꼭지점에 걸림 위치된다. 제 3 구간(314)은 캠슬라이더(300)가 제 2 전진될 때, 걸림부(313)에 걸림 위치된 핀로드(500)의 타단부가 후진되도록 걸림부(313)에서 제 1 구간(311)의 후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제 2 구간(31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4 구간(315)은 제 3 구간(314)과 제 1 구간(311)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그 후측은 상기 제 3 구간(314)과 일체로 연결되고, 그 전측은 제 1 구간(311)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제 1 구간(311)의 전측과 연결된다. 이때, 제 4 구간(315)의 전측은 제 1 구간(311)의 전측보다 약간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구간(312)의 일측에는 캠슬라이더(300)의 후방 방향으로 제 1 연장부(312a)가 더 구비되고, 제 4 구간(315)의 후측에는 캠슬라이더(300)의 후방 방향으로 제 2 연장부(315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1 연장부(312a)는 일측은 제 2 구간(312)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캠슬라이더(300)의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 2 구간(312)의 타측 방향으로 약간 편심된다. 그 결과, 제 1 구간(311)과 제 2 구간(312)의 일측을 거쳐 제 1 연장부(312a)로 이동된 핀로드(500)의 타단부는 제 2 구간(312)의 타측 방향으로 약간 쏠린 위치가 되며, 이 상태에서 핀로드(500)의 타단부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제 2 구간(312)의 타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제 2 연장부(315a)는 제 4 구간(315)의 후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어, 캠슬라이더(300)가 제 2 전진될 때, 핀로드(500)의 타단부가 제 3 구간(314)과 제 4 구간(315)의 후측을 거쳐 제 2 연장부(315a)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캠슬라이더(300)가 인장부재(400)의 복원력에 의하여 하우징(100)의 이동공간(110)의 후방으로 이동될 때, 제 2 연장부(315a)로 이동된 핀로드(500)의 타단부는 제 4 구간(315)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 2 연장부(315a)에서 제 4 구간(315)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의 캠홈을 일렬로 펼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캠홈(310)의 제 1 구간(311)은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제 1 구간(311)의 후측은 제 2 구간(312)의 일측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제 1 구간(311)의 후측과 제 2 구간(312)의 일측 사이에는 제 1 단턱(318a)이 형성된다. 제 2 구간(312)은 평평하게 형성되되 제 2 구간(312)의 타측은 걸림부(313)의 일측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제 2 구간(312)의 타측과 걸림부(313)의 일측 사이에 제 2 단턱(318b)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부(313)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 3 구간(314)의 일측은 걸림부(313)보다 낮도록 형성되어 걸림부(313)의 타측과 제 3 구간(314)의 타측 사이에 제 3 단턱(318c)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구간(314)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 4 구간(315)의 후측은 제 3 구간(314)의 타측과 동일한 높이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4 구간(315)은 그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제 4 구간(315)의 전측은 제 1 구간(311)의 전측보다 높도록 형성되고, 제 4 구간(315)의 전측과 제 1 구간(311)의 전측 사이에는 제 4 단턱(318d)이 형성된다. 이처럼 캠홈(310)은 제 1 구간(311)의 후측에서 제 2 구간(312), 걸림부(313), 제 3 구간(314) 및 제 4 구간(315)의 전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므로, 정방향 즉, 제 1 구간(311), 제 2 구간(312), 걸림부(313), 제 3 구간(314) 및 제 4 구간(315)을 거쳐 다시 제 1 구간(311)으로 선회되는 핀로드(500)의 타단부가 역방향으로는 선회되지 않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의 캠슬라이더가 전, 후진될 때 핀로드가 캠홈을 따라 선회되면서 캠슬라이더를 고정 또는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하우징(100) 내에 아직 카드(150)가 인입되기 전의 상태, 즉 캠슬라이더(300)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로서, 핀로드(500)의 타단부는 캠홈(310)의 제 1 구간(311)에 위치되어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하우징(100) 내에 카드(150)가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드(150)를 푸쉬하면, 카드(150)는 캠슬라이더(300)의 푸쉬부(320)에 걸린 상태로 전방으로 전진되고, 캠슬라이더(300)는 카드(150)의 외력에 의하여 하우징(100)의 이동공간(110)의 전방으로 제 1 전진된다. 이와 동시에 핀로드(500)의 타단부는 캠슬라이더(300)의 전진되는 길이만큼 캠슬라이더(300)의 캠홈(310)의 제 1 구간(311), 제 2 구간(312)의 일측 및 제 1 연장부(312a)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2 구간(312)은 제 1 구간(311)보다 낮도록 형성되므로 핀로드(500)의 타단부는 제 1 구간(311)에서 제 2 구간(312)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한편, 제 1 연장부(312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구간(312)의 타측 방향으로 약간 편심되어 있으므로, 제 1 연장부(312a)로 이동된 핀로드(500)의 타단부는 제 2 구간(312)의 타측 방향으로 약간 쏠린 위치가 되며, 이 상태에서 하기 도 8의 (c)와 같이 핀로드(500)의 타단부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제 2 구간(312)의 타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도 8의 (b)에서 캠슬라이더(300)가 제 1 전진되면, 캠슬라이더(300)의 전단부는 하우징(100)의 내벽에 닿으면서 더 이상 진입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카드(150)를 놓게 된다. 그러면, 캠슬라이더(300)는 인장부재(400)의 인장력으로 인하여 이동공간(110)의 후방으로 후진되고, 이와 동시에, 핀로드(500)의 타단부는 캠홈(310)의 제 1 연장부(312a)에서 제 2 구간(312)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걸림부(313)에 걸림 위치되어 캠슬라이더(300)의 후진이 멈추게 된다. 이때, 걸림부(313)는 제 2 구간(312)보다 낮도록 형성되므로 핀로드(500)의 타단부는 제 2 구간(312)에서 걸림부(313)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그리고 카드(150)는 하우징(100) 내부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카드(150)와 베이스(200: 도 4 도시)는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의 (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카드(150)를 하우징(100)에서 탈거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카드(150)를 다시 푸쉬하면, 카드(150)는 캠슬라이더(300)의 푸쉬부(320)에 걸린 상태로 전방으로 전진된다. 그러면 캠슬라이더(300)는 카드(150)의 외력에 의하여 하우징(100)의 이동공간(110)의 전방으로 제 2 전진되고, 이와 동시에, 걸림부(313)에 걸림 위치되어 있던 핀로드(500)의 타단부는 제 3 구간(314)으로 이동된 후, 제 4 구간(315)의 하단부를 거쳐 제 2 연장부(315a)로 이동된다. 이때, 걸림부(313)는 제 2 구간(312)보다 낮고 제 3 구간(314)보다 높으므로, 걸림부(313)에 위치된 핀로드(500)의 타단부는 제 2 구간(312)으로는 갈 수 없고, 제 3 구간(314)을 따라 제 2 연장부(315a)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캠슬라이더(300)가 인장부재(400)의 복원력에 의하여 하우징(100)의 이동공간(110)의 후방으로 이동될 때, 제 2 연장부(315a)로 이동된 핀로드(500)의 타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4 구간(315)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 2 연장부(315a)에서 제 4 구간(315)의 전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된 후, 제 4 구간(315)의 전측에 연결된 제 1 구간(311)의 전측 즉, 도 8의 (a)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제 4 구간(315)의 전측은 제 1 구간(311)의 전측보다 높으므로 제 4 구간(315)에서 제 1 구간(311)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그리고 카드(150)는 캠슬라이더(300)와 함께 후방으로 토출되어 사용자가 카드(150)를 잡아 꺼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이동공간
112: 제 1 가이드부 113: 제 2 가이드부
120: 수용공간 150: 카드
200: 베이스 300: 캠슬라이더
310: 캠홈 311: 제 1 구간
312: 제 2 구간 312a: 제 1 연장부
313: 걸림부 314: 제 3 구간
315: 제 4 구간 315a: 제 2 연장부
318a: 제 1 단턱 318b: 제 2 단턱
318c: 제 3 단턱 318d: 제 4 단턱
320: 푸쉬부 400: 인장부재
500: 핀로드

Claims (7)

  1. 하우징의 이동공간에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면에 캠홈이 형성되는 캠슬라이더;
    상기 이동공간의 후방과 상기 캠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캠슬라이더가 상기 이동공간의 후방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인장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커버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캠홈에 끼워지며, 상기 캠슬라이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캠홈의 전후방향을 따타 선회되는 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캠슬라이더에 상기 이동공간의 전방으로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캠슬라이더가 상기 이동공간의 전방으로 제 1 전진되면,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캠홈을 따라 후진된 후, 상기 캠홈의 후방에 형성되는 걸림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캠슬라이더를 고정시키고,
    다시 상기 캠슬라이더에 상기 이동공간의 전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걸림부에서 빠져나와 상기 캠홈을 따라 선회되고, 상기 캠슬라이더는 상기 이동공간의 전방으로 제 2 전진된 후,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공간의 후방으로 후진되고,
    상기 인장부재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공간에는 상기 인장부재와 상기 캠슬라이더의 길이방향 양 측부를 따라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장부재와 상기 캠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상기 캠슬라이더가 상기 제 1 전진될 때,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가 후진되도록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의 후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구간과, 일측은 상기 제 1 구간의 후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구간의 전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 2 구간과, 상기 제 2 구간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캠슬라이더가 상기 제 2 전진될 때, 상기 걸림부에 위치된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가 후진되도록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제 1 구간의 후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2 구간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구간과, 상기 제 3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을 연결시키는 제 4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의 후측은 상기 제 2 구간의 일측보다 높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간의 타측은 상기 걸림부보다 높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 3 구간의 일측은 상기 걸림부보다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 구간의 타측과 연결되는 상기 제 4 구간의 후측은 상기 제 3 구간의 타측과 동일한 높이로 연결되고, 상기 제 4 구간의 전측은 상기 제 1 구간의 전측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홈을 따라 정방향으로 선회되는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가 역방향으로 선회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구간과 연결되는 상기 제 4 구간의 후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부가 일체로 더 형성되고,
    상기 캠슬라이더가 상기 제 2 전진될 때,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제 3 구간에서 상기 연장부로 이동되고, 상기 캠슬라이더가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공간의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연장부에 위치된 상기 핀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제 4 구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내부에는 그 후방에서 전방으로 카드가 삽입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이동공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캠슬라이더는 상기 카드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
KR20130127330A 2013-10-24 2013-10-24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 KR101489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330A KR101489496B1 (ko) 2013-10-24 2013-10-24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330A KR101489496B1 (ko) 2013-10-24 2013-10-24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496B1 true KR101489496B1 (ko) 2015-02-06

Family

ID=5259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7330A KR101489496B1 (ko) 2013-10-24 2013-10-24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4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1552A (ja) 2000-04-10 2001-10-19 Smk Corp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40108121A (ko) * 2003-06-16 2004-12-23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슬라이딩 하트캠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1552A (ja) 2000-04-10 2001-10-19 Smk Corp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40108121A (ko) * 2003-06-16 2004-12-23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슬라이딩 하트캠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4655B2 (en) Connector
US8672229B2 (en) Electronic module holder with sliding door
US7859850B2 (en) Electronic card and expansion card combination
US8393909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ing a tray ejectable by an insertion pin
US8460019B2 (en) Card connector with separable card tray
US20110230072A1 (en) Push-push card connector
US20130045615A1 (en) Card connector
CN204103072U (zh) 可快速退卡的卡片连接器
KR101641104B1 (ko)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JP2010056038A (ja)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US20080194148A1 (en) Card connector
KR101586252B1 (ko) 멀티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KR1014894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 시스템
JP4848980B2 (ja) カードコネクタ
TWI558021B (zh) 卡槽結構
KR101489496B1 (ko) 인장부재를 구비하는 입출장치
KR101574726B1 (ko) 수동 카드 이젝터를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KR20110048081A (ko) 커넥터
EP2978195B1 (en) Communications terminal compatible with multiple kinds of intelligent cards
KR20170033738A (ko) 카드용 커넥터
CN201797077U (zh) 卡连接器
US7614890B2 (en) Connector for receiving/protecting electronic card
CN218162439U (zh) 一种具有卡托机构的手机壳体和手机
KR20160132358A (ko) 이젝팅 풀러를 구비한 카드 소켓
KR101633918B1 (ko) 오삽입 방지용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