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425B1 -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425B1
KR101489425B1 KR20120156388A KR20120156388A KR101489425B1 KR 101489425 B1 KR101489425 B1 KR 101489425B1 KR 20120156388 A KR20120156388 A KR 20120156388A KR 20120156388 A KR20120156388 A KR 20120156388A KR 101489425 B1 KR101489425 B1 KR 10148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emperature
cooling water
steel shee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6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191A (ko
Inventor
김용권
한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20156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4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강판 열처리 과정 중 소재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면서 고온의 강판을 급냉 시킬 수 있는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판이 이송되는 경로 상에서, 고온에서 저온까지 설정된 온도 차를 유지하며 서로 격리 수용된 복수의 냉각수를 차례로 구비하는 다단의 냉각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의 냉각처리부는, 내부 수용된 제1냉각수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며, 이송되는 강판을 냉각시키는 제1 냉각처리부와, 상기 제1냉각수보다 낮은 온도로 내부 수용된 제2냉각수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상기 제1 냉각처리부에 의해 냉각된 강판을 냉각시키는 제2 냉각처리부 및 상기 제2냉각수보다 낮은 온도로 내부 수용된 제3냉각수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상기 제2 냉각처리부에 의해 냉각된 강판을 냉각시키는 제3 냉각처리부를 포함하는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MULTI STAGE RAPID COOLING APPARATUS FOR HEAT TREATMENT OF STEEL STRIP}
본 발명은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재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고온의 강판을 급냉 시킬 수 있는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열처리 공정은 철강 소재의 강도를 바꾸기 위한 공정이다.
특히, 급속냉각 열처리 공정(즉, 담금질, Quenching)은 빠른 냉각속도를 이용하여 저온 변태조직인 베이나이트(bainite), 마르텐사이트(matrensite) 조직으로 변태하여 소재의 강도를 높이는 공정이다. 이러한 공정을 거치는 제품으로는 높은 강도를 요구하는 자동차 구조용 강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자동차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고강도 강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급속냉각 열처리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서의 강판 연속 소둔 열처리용 냉각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강판 연속 소둔 열처리용 냉각장치(1)는 서냉장치(10)와 급냉장치(30)를 포함한다.
서냉장치(10)는 강판(S)을 초당 10~100도의 속도로 냉각시킨다. 서냉장치(10)의 대표적인 예로는 도시된 가스 젯 냉각 수단(12)이 이용된다.
또한, 급냉장치(30)는 강판(S)을 초당 1000도의 속도로 급속 냉각시킨다. 도시된 급냉장치(30)는, 담금질 냉각조로서, 냉각수(C)를 내부에 수용하는 냉각조(31)와, 냉각조 내에서 강판(S)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롤(33)과, 냉각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마련된 제트유닛(35)이 포함되며, 미 도시된 교반장치와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냉각기를 더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고온 소재를 담금질 냉각하면 강판의 형상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해결방안들이 소개되어 왔다. 담금질 공정에서 강판의 형상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까지 소개된 해결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공개특허 제1999-193418호 등에 따르면 담금질 공정에서 평탄한 강판을 확보하기 위해 강판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둘째, 일본 공개특허 제2005-240077호 등에 따르면 냉각수의 수온을 조절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셋째, 일본 공개특허 제1982-085923호 등에 따르면 유기산 또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넷째, 일본 공개특허 제1985-009834호 등에 따르면 냉각수 제트 노즐의 구조를 변경 또는 개선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끝으로, 일본 공개특허 제1994-271942호 등에 따르면 담금질 시작 지점에서 소재의 온도를 낮추고 페라이트 변태를 방지하기 위해 합금을 추가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이, 고온의 강판 소재를 담금질 방식으로 급속 냉각함에 있어 강판의 평탄한 형상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은 현재까지 중요한 해결 과제로 남아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1999-193418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5-240077호 일본 공개특허 제1982-085923호 일본 공개특허 제1985-009834호 일본 공개특허 제1994-271942호
본 발명은 강판을 열처리 하는 과정에서 소재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면서 고온의 강판을 급냉 시킬 수 있는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삼는다.
특히, 고온의 강판을 급속 냉각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형상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판이 이송되는 경로 상에서, 고온에서 저온까지 설정된 온도 차를 유지하며 서로 격리 수용된 복수의 냉각수를 차례로 구비하는 다단의 냉각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의 냉각처리부는, 내부 수용된 제1냉각수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며, 이송되는 강판을 냉각시키는 제1 냉각처리부; 상기 제1냉각수보다 낮은 온도로 내부 수용된 제2냉각수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상기 제1 냉각처리부에 의해 냉각된 강판을 냉각시키는 제2 냉각처리부; 및 상기 제2냉각수보다 낮은 온도로 내부 수용된 제3냉각수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상기 제2 냉각처리부에 의해 냉각된 강판을 냉각시키는 제3 냉각처리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냉각수의 설정된 온도는 50 ~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냉각처리부, 제2 냉각처리부 및 제3 냉각처리부의 사이에는, 각각의 내부로 상기 제1, 2, 3냉각수를 서로 다른 온도로 격리 수용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획 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구획 부재는 단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냉각처리부, 제2 냉각처리부 및 제3 냉각처리부 각각을 관통하여 강판이 이송되는 위치에는, 내부 수용된 제1, 2, 3냉각수 간의 출입은 방지하면서 강판은 이송시켜 주는 수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밀 부재는, 상기 이송되는 강판의 양측에 마주하여 접촉 회동하는 한 쌍의 롤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단의 냉각처리부는, 상기 제1, 2, 3냉각수 각각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온도 유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판을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소재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면서 냉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이를 위해, 열처리로와 열처리로 사이에 제공되어 강판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고온에서 저온까지 복수 개의 단계 별로 구비하여, 상기 제 1 냉각처리부에서 동일 막비등을 유지하여 냉각 편차를 줄인다. 한편 상기 제 3 냉각처리부에서 동일 핵비등이 발생하여 급냉한다. 상기 제 2 냉각처리부에서는 소재가 고온이고 두꺼울 경우 냉각수 온도를 높여서, 바람직하게는 제 1 냉각처리부 냉각수 온도 이하, 동일 막비등을 발생시키면서 소재를 냉각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냉각수 온도를 낮춰, 바람직하게는 제 3 냉각처리부 냉각수 온도 이상, 동일 핵비등을 발생시키면서 소재를 냉각한다. 이로써, 강판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며 급속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서 종래의 강판 연속 소둔 열처리용 냉각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에 냉각수 온도 유지수단을 포함시킨 개념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100)는, 강판(또는 강 스트립)(S)이 이송되는 경로 상에서, 고온에서 저온까지 설정된 온도 차를 유지하며 서로 격리 수용된 복수의 냉각수(C1, C2, C3)를 차례로 구비하는 다단의 냉각처리부(110, 130, 150)를 포함한다.
이때, 다단의 냉각처리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각처리부(110), 제2 냉각처리부(130), 제3 냉각처리부(150)로 구성된다.
제1 냉각처리부(110)는 내부 수용된 제1냉각수(즉, C1)를 설정된 온도(이하, 이를 'T1'이라 함)로 유지시키며, 이를 관통하여 이송되는 강판(S)을 1차적으로 냉각시킨다.
그리고 제2 냉각처리부(130)는 내부 수용된 제2냉각수(즉, C2)를 설정된 온도(이하, 이를 'T2'라 함)로 유지시키며, 제1 냉각처리부(110)에서 1차적으로 냉각된 강판(S)을 다시 한번 냉각, 즉 2차적으로 냉각시킨다.
그리고 제3 냉각처리부(150)는 내부 수용된 제3냉각수(즉, C3)를 설정된 온도(이하, 이를 'T3'라 함)로 유지시키며, 제2 냉각처리부(130)에서 2차적으로 냉각된 강판(S)을 다시 한번 냉각, 즉 3차적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제1냉각수(C1)의 설정된 온도인 T1과, 상기 제2냉각수(C2)의 설정된 온도인 T2와, 상기 제3냉각수(C3)의 설정된 온도인 T3의 관계는 T1≥T2≥T3를 만족하는 것이 좋다. 다만, 다단 냉각 효과를 더욱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T1>T2>T3의 관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냉각수(C1)의 설정된 온도인 T1이 50 ~ 100℃일 경우, 제2냉각수(C2)의 설정된 온도인 T2는 0 ~ 100℃일 수 있으며, 제3냉각수(C3)의 설정된 온도인 T3는 0 ~ 5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2, 3 냉각수 간의 온도 차를 형성하는 이유는 후술될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100)의 경우, 강판(S)의 이송 방향이 수직 하방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형태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수직 상방으로 강판이 이송되는 경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모두 고려하여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냉각처리부(110)와 제2 냉각처리부(120)와, 제3 냉각처리부(130)는 각각의 별도의 수용공간이 내부에 확보되어, 서로 다른 온도의 냉각수 즉, 제1냉각수(C1), 제2냉각수(C2), 제3냉각수(C3)를 서로 구분하여 수용하는 용기형 부재이다. 이들 각각의 내부에 수용된 제1, 2, 3냉각수의 경우, 서로 간의 출입이 차단되어야 하며, 가능한 한 서로 간의 열 출입까지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냉각처리부(110)와 제2 냉각처리부(120) 사이에는 제1 구획 부재(111)가 구비되며, 제2 냉각처리부(120)와 제2 냉각처리부(130) 사이에는 제2 구획 부재(121)가 구비된다.
이들 구획 부재(111, 121)의 경우, 상호 격리 수용된 제1, 2, 3 냉각수 간의 출입 유동을 막아주며, 아울러 서로 간에 열 교환까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냉각처리부(110), 제2 냉각처리부(130), 제3 냉각처리부(150)는 각각의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마다의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기에 효과적이다.
한편, 이송되는 강판(S)은 제1 냉각처리부(110), 제2 냉각처리부(130), 제3 냉각처리부(150) 각각을 차례로 관통하며 이송됨에 따라 다단계 형태로 냉각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강판(S)이 제1 냉각처리부(110)와 제2 냉각처리부(130) 사이를 통과할 때, 제1 냉각처리부(110)에 수용된 제1냉각수(C1)는 제2 냉각처리부(130)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강판(S)이 제2 냉각처리부(130)에 제3 냉각처리부(150) 사이를 통과할 때, 제2 냉각처리부(130)에 수용된 제2냉각수(C2)는 제3 냉각처리부(150)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각각의 냉각처리부(110, 130, 150)를 강판(S)이 차례로 관통하여 이송되는 경우에도, 강판(S)의 이송 움직임에는 간섭이 되지 않으면서, 서로 간의 공간으로 냉각수가 유동하지 않도록 차단시켜주는 수밀 부재(120, 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밀 부재(120, 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이 제1 냉각처리부(110)와 제2 냉각처리부(130) 사이를 통과하는 구간에 배치되며, 이를 제1 수밀 부재(120)라 한다. 그리고 강판(S)이 제2 냉각처리부(130)와 제3 냉각처리부(150) 사이를 통과하는 구간에 배치되며, 이를 제2 수밀 부재(140)라 한다.
제1, 2 수밀 부재는 도시된 형상과 같이, 이송되는 강판(S)의 양측으로 마주하여 접촉 회동하는 한 쌍의 롤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어 이용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구조에 따를 경우, 강판(S)의 이송 속도에 연동하여 서로 마주하는 롤 부재가 회전할 경우, 강판(S)의 이송 움직임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냉각수의 유동은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100)에서 다단으로 수용되어 서로 다른 온도 값을 갖는 냉각수(즉, C1, C2, C3)의 온도를 항시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각 냉각처리부(110, 130, 150)마다 온도 유지수단(112, 132, 152)이 구비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냉각수(C1)은 설정된 온도인 T1을 유지해야 하며, 제2냉각수(C2)는 설정된 온도인 T2를 유지해야 하며, 제3냉각수(C3)는 설정된 온도인 T3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단 급냉 처리를 하다 보면, 냉각수 내부로 이송된 고온의 강판을 차례로 냉각시킴에 따라 각각의 냉각처리부(110, 130, 150)마다 수용된 냉각수의 온도가 조금씩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제1 냉각처리부(110)에는 제1 온도 유지수단(112)를 구비하여, 항시 제1냉각수(C1)의 온도를 T1으로 유지시켜주며, 제2 냉각처리부(130)에는 제2 온도 유지수단(132)를 구비하여, 항시 제2냉각수(C2)의 온도를 T2으로 유지시켜준다. 또한, 제3 냉각처리부(150)에는 제1 온도 유지수단(152)를 구비하여, 항시 제1냉각수(C3)의 온도를 T3으로 유지시켜준다. 즉,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제1, 2, 3 온도 유지수단(112, 132, 152)는 관용의 냉각 장치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2, 3 온도 유지수단(112, 132, 152)은 제어부(170)의 지령에 따라 작동 제어될 수 있는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실시간 입력을 통해 제1, 2, 3냉각수(C1, C2, C3) 각각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온도로 조절해 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열처리용 급냉 장치의 작용 효과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소둔로에서 강판(S)은 냉각수(C)의 끓는 점의 몇 배에 달하는 고온 상태가 되며, 이를 담금질하여 급냉 시키면 강판의 표면에서 비등현상이 발생한다. 비등현상은 주지된 바와 같이, 핵비등(Nucleate Boiling), 천이비등(Transition Boiling), 막비등(Film Boiling)으로 구분된다. 핵비등은 소재 표면에 기체방울이 만들어지는 현상으로 냉각 속도가 빠르다. 그리고 막비등은 소재표면에 기체 막이 만들어지는 현상으로 기체 막이 소재와 냉매의 열 전달을 방해하여 냉각 속도가 느리다. 그리고 천이비등은 핵비등과 막비등의 중간으로 소재온도와 냉각 속도가 반비례하는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담금질 냉각 방식에서, 강판 표면의 비등현상은 냉각수 온도, 강판 온도, 교반 정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만일, 비등 현상이 달라지면 냉각 속도도 달라진다. 만일 동일한 강판에 대해 비등현상이 달라지게 되면 냉각 속도도 달라지게 되는데, 이는 강판의 온도 편차를 유발한다. 따라서, 강판의 각 부위별 냉각 수축률 및 변태 팽창률이 달라지고 소성 변형이 일어나 형상이 나빠지게 된다. 이는 종래의 담금질 방식 냉각 시, 강판의 표면 형상 결함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런데, 이런 비등현상에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냉각수 온도와 강판의 온도이다. 냉각수 온도가 높고, 강판 온도가 높을수록 막비등이 형성되기 쉬우며, 오랫동안 유지된다. 특히 냉각수 온도에 민감하다. 연구에 따르면 냉각수 온도가 1도 증가하였을 때 막비등 유지시간이 1초 증가하였다. 막비등 다음은 천이비등, 핵비등으로 냉각속도가 막비등에 비해 수배 빠르다. 1mm 강판의 경우, 막비등 이외 비등에 의해서 1초동안 수백도 냉각된다. 따라서 비등 현상이 강판 위치별로 다를경우 1초동안이라도 막비등에 의해 냉각되는 곳과 핵비등에 의해 냉각되는 곳의 온도차가 수백도 발생하고 형상 결함을 유발한다.
도면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온, 중온, 저온의 냉각수(즉, C1, C2, C3)를 단계별로 수용하는 복수의 냉각처리부(110, 130, 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송되는 강판(S)은 먼저 제1 냉각처리부(110)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예: 50 ~ 100℃)인 제1냉각수(C1)에 의해 1차적으로 냉각된다. 이때, 제1냉각수의 평균온도가 높고 강판의 온도도 높으므로 막비등이 발생하기 쉽다. 냉각수 온도가 국부적으로 다르더라도 냉각수 온도가 높으므로 수증기 막이 깨지지 않고 유지된다. 따라서 제 1냉각처리부(110)에서는 강판 전체에서 막비등이 유지되며 냉각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 냉각처리부(110)에서 냉각된 강판(S)은 다시 중온인 제2냉각수(C2)에 의해 2차적으로 냉각된다. 이때, 강판(S)은 상기 제1 냉각처리부(110)를 통해 어느 정도 냉각된 상태로서, 강판(S)의 속도, 두께에 따라 막비등을 유지하기 쉬운 조건이거나 유지하기 어려운 조건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강판(S)의 두께가 3mm인 경우는 제 1 냉각처리부(110)을 지난후에도 온도가 높기 때문에 1mm인 경우보다 막비등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강판(S)이 두꺼운 경우, 제 2 냉각처리부(130)에서는 냉각수 온도를 제 1 냉각수와 비슷한 온도로 유지하여 막비등이 균일하게 발생하도록 한다. 반대인 경우, 냉각수 온도를 제 3 냉각수와 비슷한 온도로 유지하여 막비등 없이 급냉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2 냉각처리부(130)에서 냉각된 강판(S)은 다시 저온인 제3냉각수(C3)에 의해 3차적으로 냉각된다. 이 경우는, 강판(S)은 상기 제 1, 2 냉각처리부(110, 130)을 지난후 저온 상태로 천이비등과 핵비등이 발생하는 조건이다. 따라서 냉각수 온도를 낮게하여 급냉시켜도 막비등에 의한 냉각편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시된 도면을 통해서는 전체를 3단계로 다단 급냉 하여, 냉각 속도의 편차를 줄이고, 강판의 표면 형상 결함을 억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바람직한 예일 뿐, 더 많은 단계(예를 들면, 4단계, 5단계 등)으로 냉각 단계를 나누어도 좋다.
정리하면, 고온 냉각수에서 먼저 냉각하고, 이어서 낮은 온도의 냉각수에서 순차적으로 냉각함으로써, 담금질 방식 열처리 시 강판의 형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판을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소재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면서 냉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이를 위해, 열처리로와 열처리로 사이에 제공되어 강판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고온에서 저온까지 복수 개의 단계 별로 구비하여, 동일 막비등을 유지하여 냉각 편차를 줄인다. 이로써, 강판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냉각수 C1: 제1 냉각수
C2: 제2 냉각수 C3: 제3 냉각수
S: 강판(또는 강 스트립)
100: 강판 열처리용 급냉 장치
110: 제1 냉각처리부 111: 제1 구획 부재
112: 제1 온도 유지수단 120: 제1 수밀 부재
130: 제2 냉각처리부 131: 제2 구획 부재
132: 제2 온도 유지수단 140: 제2 수밀 부재
150: 제3 냉각처리부 152: 제3 온도 유지수단
170: 제어부

Claims (6)

  1. 강판이 이송되는 경로 상에서, 고온에서 저온까지 설정된 온도 차를 유지하며 서로 격리 수용된 복수의 냉각수를 차례로 구비하는 다단의 냉각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의 냉각처리부는,
    내부 수용된 제1냉각수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며, 이송되는 강판을 냉각시키는 제1 냉각처리부;
    상기 제1냉각수보다 낮은 온도로 내부 수용된 제2냉각수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상기 제1 냉각처리부에 의해 냉각된 강판을 냉각시키는 제2 냉각처리부;
    상기 제2냉각수보다 낮은 온도로 내부 수용된 제3냉각수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상기 제2 냉각처리부에 의해 냉각된 강판을 냉각시키는 제3 냉각처리부; 및
    상기 제1, 2, 3냉각수 각각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온도 유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냉각처리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냉각수를 구분하여 수용하는 용기형 부재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냉각처리부, 제2 냉각처리부 및 제3 냉각처리부의 사이에는, 각각의 내부로 상기 제1, 2, 3냉각수를 서로 다른 온도로 격리 수용시켜 제1, 2, 3 냉각수 간의 출입 유동을 방지하는 격막 형태의 구획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수의 설정된 온도는 50 ~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단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처리부, 제2 냉각처리부 및 제3 냉각처리부 각각을 관통하여 강판이 이송되는 위치에는, 내부 수용된 제1, 2, 3냉각수 간의 출입은 방지하면서 강판은 이송시켜 주는 수밀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밀 부재는,
    상기 이송되는 강판의 양측에 마주하여 접촉 회동하는 한 쌍의 롤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
  6. 삭제
KR20120156388A 2012-12-28 2012-12-28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 KR10148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6388A KR101489425B1 (ko) 2012-12-28 2012-12-28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6388A KR101489425B1 (ko) 2012-12-28 2012-12-28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191A KR20140086191A (ko) 2014-07-08
KR101489425B1 true KR101489425B1 (ko) 2015-02-03

Family

ID=5173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6388A KR101489425B1 (ko) 2012-12-28 2012-12-28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968B1 (ko) 2022-02-18 2022-04-08 노창식 열처리된 소재를 급냉시키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89B1 (ko) * 2014-12-24 2016-07-27 주식회사 포스코 강 스트립 냉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148A (ja) * 1992-03-16 1993-10-12 Nippon Steel Corp ストリップ連続熱処理設備用冷却炉の制御方法
JPH10314826A (ja) * 1997-05-16 1998-12-02 Nkk Corp 高温鋼板の冷却方法
KR100221789B1 (ko) 1995-06-23 1999-09-15 아사무라 타카싯 냉연 강판의 연속 소둔 방법 및 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148A (ja) * 1992-03-16 1993-10-12 Nippon Steel Corp ストリップ連続熱処理設備用冷却炉の制御方法
KR100221789B1 (ko) 1995-06-23 1999-09-15 아사무라 타카싯 냉연 강판의 연속 소둔 방법 및 설비
JPH10314826A (ja) * 1997-05-16 1998-12-02 Nkk Corp 高温鋼板の冷却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968B1 (ko) 2022-02-18 2022-04-08 노창식 열처리된 소재를 급냉시키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191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4820B2 (en) Method of continuously annealing a strip
KR101314835B1 (ko) 열처리 장치 및 열처리 방법
KR20120130336A (ko) 열처리 방법
JP2010038531A (ja) 熱処理装置
KR101489425B1 (ko) 강판 열처리용 다단 급냉 장치
CN105369015A (zh) 一种42CrMo轴类零件淬火热处理工艺
TWI548599B (z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substrate,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glass substrate
JP4066387B1 (ja) 棒鋼の制御冷却装置
JP2019210549A (ja) 鋼板の冷却方法、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鋼板の製造方法
KR20140079923A (ko) 강판 열처리용 급냉 장치
JP5811199B2 (ja) 熱処理装置
WO2017081760A1 (ja) ガス焼入れ方法
JP2010121160A (ja) 金属ストリップ冷却装置及び金属ストリップ冷却方法
KR101301415B1 (ko) 열간성형장치 및 열간성형방법
JP2000248316A (ja) 鋼線の連続焼入れ・焼戻し処理装置
JP2020534440A (ja) 熱間圧延インライン移動保温熱処理プロセス及び熱処理ライン
KR101643389B1 (ko) 강 스트립 냉각장치
JP2006124817A (ja) 鋼板連続焼鈍設備のガスジェット冷却装置と冷却制御方法
KR20180069321A (ko) 압연설비
KR20130000586A (ko) 진공침탄로용 열처리시스템
JPH0261009A (ja) 鋼帯の連続焼鈍炉
CN115254963A (zh) 一种提高sus410l不锈钢板形达标率的方法
KR20200073069A (ko) 선재코일의 열처리 장치
JPS62263818A (ja) 厚鋼板の制御冷却装置
JP2005179774A (ja) 鋼板の連続焼鈍設備および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