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286B1 -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286B1
KR101489286B1 KR20130017112A KR20130017112A KR101489286B1 KR 101489286 B1 KR101489286 B1 KR 101489286B1 KR 20130017112 A KR20130017112 A KR 20130017112A KR 20130017112 A KR20130017112 A KR 20130017112A KR 101489286 B1 KR101489286 B1 KR 101489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supply
oscillation
phase inversion
current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575A (ko
Inventor
이병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리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리프
Priority to KR2013001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28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상기 교류신호의 위상을 반전시켜 위상반전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반전 회로,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1 증폭신호를 제공하는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 상기 제1 증폭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제거하여 제1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제1 직류 저지용 콘덴서, 및 상기 제1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SWITCHING MODE POWER SUPPLY UNI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 효율이 높은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교류 전류를 컴퓨터 시스템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직류로 변환해 각각의 시스템에 맞게 전원을 공급하는 하드웨어이다. 파워 서플라이가 안정적으로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할 경우,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부팅이 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 부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아주 크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파워 서플라이(100)는 크게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전자파장애(EMI) 필터부(110)는 교류 입력 라인의 잡음이 파워 서플라이 안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는 동시에, 파워 서플라이 내부의 스위칭 잡음이 교류 입력 라인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둘째, 교류-직류 정류부(120)는 전자파장애 필터부(110)를 거친 전원이 컴퓨터나 주변기기에서 필요로 하는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기 전에 임시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는 과정이다.
셋째, 직류-직류 스위칭 변환부(130)는 교류-직류 정류부(120)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깨끗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저대역 통과필터를 사용해 스위칭 동작과정에서 발생하는 리플과 잡음을 없애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3.3V, 5V, 12V 등의 직류 전원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파워 서플라이(100)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넷째, 출력필터 및 출력부(140)는 파워 서플라이(100)의 마지막 단계로, 직류-직류 스위칭 변환부(130)에서 변환되고 필터링된 직류 전원을 추가로 여과해 규격에 맞는 깨끗한 전원을 얻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파워 서플라이(100)는 교류 전압을 직류로 바꾸어 출력하는 일반 가정용 어댑터와 기능상의 차이는 없다. 그러나 어댑터가 용량이 작은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데 반해 파워 서플라이(100)는 컴퓨터와 같이 출력 전압과 전류 용량이 많은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파워 서플라이(100)는 크게 리니어 형과 스위치 모드형으로 구분되는데, 1990년대에 들어서 경량, 소형화에 적합한 스위치 모드형이 개인용 컴퓨터(PC), 가전기기, 전자제품의 주력 전원 공급 장치로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이러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는 스위칭 과정에서 잡음 및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잡음 및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이용하여 발진 주파수를 1MHz로 증가시킴으로써, 고효율 전력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신호 출력부, 위상 반전 회로, 두 개의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 두 개의 직류 저지용 콘텐서 및 변환부로 구성함으로써, 소형이며, 내구성이 강하게 구성할 수 있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두 개의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이용함으로써, 각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에 전압이 1/2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상기 교류신호의 위상을 반전시켜 위상반전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반전 회로,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1 증폭신호를 제공하는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 상기 제1 증폭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제거하여 제1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제1 직류 저지용 콘덴서, 및 상기 제1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2 증폭신호를 제공하는 제2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 및 상기 제2 증폭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제거하여 제2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제2 직류 저지용 콘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발진신호 및 상기 제2 발진신호를 변환하여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1MHZ의 발진 주파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교류신호의 위상을 반전시켜 위상반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1 증폭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증폭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제거하여 제1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이용하여 발진 주파수를 1MHz로 증가시킴으로써, 고효율 전력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출력부, 위상 반전 회로, 두 개의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 두 개의 직류 저지용 콘텐서 및 변환부로 구성함으로써, 소형이며, 내구성이 강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이용함으로써, 각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에 전압이 1/2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진주파수와 전력효율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Unit)는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AC) 전기를 컴퓨터, 통신기기, 가전기기 등 각종 전자기기에 맞도록 변환시켜 주는 모듈형의 전원 공급 장치이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는 고속 전력 반도체를 이용해 높은 주파수로 단속 제어를 하고 정류와 평활 회로를 거쳐 안정된 각종 직류 전압을 얻는데, 크게 리니어 형과 스위치 모드형으로 구분된다. 1990년대에 들어서 경량, 소형화에 적합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가 개인용 컴퓨터(PC), 가전기기, 통신기기 등의 전자제품의 주력 전원 공급 장치로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그런데,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는 리니어형 전원 공급 장치에 비해 효율이 높고 내구성이 강하며 소형, 경량화에 유리한 반면, 스위칭 과정에서 잡음 및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잡음 및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이용하여 안정적이면서 효율이 높은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해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200, 이하 '전원 공급 장치'라 함)는 신호 출력부(210), 위상 반전 회로(220),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230), 제1 직류 저지용 콘덴서(240), 변환부(25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200)는 제2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260) 및 제2 직류 저지용 콘덴서(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출력부(2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교류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 출력부(210)는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인 콘센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교류성분이 포함된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참고로, 직류는 시간에 관계없이 방향과 크기가 일정한 전류이고, 교류는 시간에 따라 흐르는 방향과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를 의미한다. 따라서, 교류신호는 정현파(사인파), 구형파(직사각형파), 삼각파, 톱니파 등으로 시간에 따라 방향과 주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파형이다.
위상 반전 회로(220)는 상기 교류신호의 위상을 반전시켜 위상반전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교류신호를 두 개의 커런트 피드백에 병렬로 입력하기 위하여, 위상 반전 회로(220)는 제1 교류신호를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230)로 입력하고, 상기 제1 교류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제2 교류신호를 상기 제1 교류신호와 위상이 동일하게 위상을 반전시켜 제2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260)로 입력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교류신호와 위상이 동일하게 위상을 반전시킨 제2 교류신호가 위상반전신호가 될 수 있다. 또는, 위상 반전 회로(220)는 제1 교류신호의 위상을 반전시켜 반전시킨 위상반전신호를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230)로 입력하고, 상기 제1 교류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제2 교류신호를 제2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260)로 입력시킬 수도 있다.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230)는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1 증폭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200)는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발진 주파수를 높여야 하는데,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230)는 상기 위상반전신호의 전류와 전압을 2배 이상 증폭시켜 발진 주파수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제1 직류 저지용 콘덴서(240)는 상기 제1 증폭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제거하여 제1 발진신호를 출력한다. 제1 직류 저지용 콘덴서(240)는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230)에 의해 위상반전신호가 증폭되면서 잡음이나 전자파 등이 제1 증폭신호에 삽입된 경우, 잡음이나 전자파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직류 저지용 콘덴서(240)는 커패시터로 형성되며, 제1 발진신호를 출력한다.
변환부(250)는 상기 제1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컴퓨터, 통신기기, 가전기기 등 전기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모든 기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실시예로, 제2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260)는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2 증폭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200)는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발진 주파수를 높여야 하는데, 제2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260)는 상기 위상반전신호의 전류와 전압을 2배 이상 증폭시켜 발진 주파수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200)는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두 개로 구성함으로써, 각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에 전압이 1/2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공급된 상용전원이 하나의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로 모두 입력되면, 증폭에 의해 전류와 전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부하가 걸리면 매우 높은 전압으로 증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두 개로 구성함으로써, 전압이 두 개로 나눠서 입력되기 때문에, 증폭되더라도 한 개의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이용할 때보다 증폭되는 전류와 전압이 낮을 수 있다.
제2 직류 저지용 콘덴서(270)는 상기 제2 증폭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제거하여 제2 발진신호를 출력한다. 제2 직류 저지용 콘덴서(270)는 제2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260)에 의해 위상반전신호가 증폭되면서 잡음이나 전자파 등이 제2 증폭신호에 삽입된 경우, 잡음이나 전자파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직류 저지용 콘덴서(270)는 커패시터로 형성되며, 제2 발진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변환부(250)는 상기 제1 발진신호 및 제2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변환부(250)는 1MHZ의 발진 주파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이용하여 발진 주파수를 1MHz로 증가시킴으로써, 고효율 전력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는 외부 또는 내부에서 구형파를 주어서,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를 단순히 온/오프 동작을 하게 함으로써, 발진 주파수를 70k~100kHz밖에 쓸 수 없었다. 그런데, 전원 공급 장치의 효율은 발진 주파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진주파수와 전력효율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원 공급 장치는 70KHz의 발진 주파수를 사용했을 경우, 전력효율은 75%이고, 100KHz의 발진 주파수를 사용했을 경우, 전력효율은 85%이고, 300KHz의 발진 주파수를 사용했을 경우, 전력효율은 89%이다. 즉, 발진 주파수를 증가시키면 증가시킬수록 전력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1MKHz의 발진 주파수를 사용했을 경우, 전력효율은 95%로서,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보다 효율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이용하여 발진 주파수를 1MHz로 증가시킴으로써, 고효율 전력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단계 S10에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방법(이하, '전원 공급 방법'이라 함)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교류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인 콘센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교류성분이 포함된 교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20에서,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교류신호의 위상을 반전시켜 위상반전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교류신호를 두 개의 커런트 피드백에 병렬로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제1 교류신호를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로 입력하고, 상기 제1 교류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제2 교류신호를 상기 제1 교류신호와 위상이 동일하게 위상을 반전시켜 제2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로 입력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교류신호와 위상이 동일하게 위상을 반전시킨 제2 교류신호가 위상반전신호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제1 교류신호의 위상을 반전시켜 반전시킨 위상반전신호를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로 입력하고, 상기 제1 교류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제2 교류신호를 제2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로 입력시킬 수도 있다.
단계 S30에서,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1 증폭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발진 주파수를 높여야 하는데,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는 상기 위상반전신호의 전류와 전압을 2배 이상 증폭시켜 발진 주파수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1 증폭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0에서,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제1 증폭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제거하여 제1 발진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에 의해 위상반전신호가 증폭되면서 잡음이나 전자파 등이 제1 증폭신호에 삽입된 경우, 잡음이나 전자파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제1 직류 저지용 콘덴서를 이용하여 제1 발진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50에서,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제1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전자기기는 컴퓨터, 통신기기, 가전기기 등 전기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모든 기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실시예로,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제2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2 증폭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제2 증폭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제거하여 제2 발진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두 개로 구성함으로써, 각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에 전압이 1/2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공급된 상용전원이 하나의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로 모두 입력되면, 증폭에 의해 전류와 전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부하가 걸리면 매우 높은 전압으로 증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두 개로 구성함으로써, 전압이 두 개로 나눠서 입력되기 때문에, 증폭되더라도 한 개의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를 이용할 때보다 증폭되는 전류와 전압이 낮을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제1 발진신호 및 제2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변환부(250)는 1MHZ의 발진 주파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210: 신호 출력부
220: 위상 반전 회로
230: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
240: 제1 직류 저지용 콘덴서
250: 변환부
260: 제2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
270: 제2 직류 저지용 콘덴서

Claims (7)

  1. 외부로부터 공급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상기 교류신호의 위상을 반전시켜 위상반전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반전 회로;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1 증폭신호를 제공하는 제1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
    상기 제1 증폭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제거하여 제1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제1 직류 저지용 콘덴서; 및
    상기 제1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변환부
    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2 증폭신호를 제공하는 제2 커런트 피드백 제어부; 및
    상기 제2 증폭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제거하여 제2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제2 직류 저지용 콘덴서
    를 더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발진신호 및 상기 제2 발진신호를 변환하여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1MHZ의 발진 주파수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5. 외부로부터 공급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교류신호의 위상을 반전시켜 위상반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1 증폭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증폭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제거하여 제1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반전신호를 증폭시켜 제2 증폭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증폭신호로부터 직류신호를 제거하여 제2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발진신호 및 상기 제2 발진신호를 변환하여 1MHZ의 발진 주파수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방법.
KR20130017112A 2013-02-18 2013-02-18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489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7112A KR101489286B1 (ko) 2013-02-18 2013-02-18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7112A KR101489286B1 (ko) 2013-02-18 2013-02-18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575A KR20140103575A (ko) 2014-08-27
KR101489286B1 true KR101489286B1 (ko) 2015-02-04

Family

ID=5174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7112A KR101489286B1 (ko) 2013-02-18 2013-02-18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2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1598A (en) 1992-09-18 1994-06-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Three-phase active filter utilizing rotating axis transformation
US5351180A (en) 1992-10-30 1994-09-27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Highly fault tolerant active power line conditioner
US5367448A (en) 1992-08-07 1994-11-22 Carroll Lawrence B Three phase AC to DC power converter
KR101027988B1 (ko) 2009-04-28 2011-04-13 한국전기연구원 직렬 보상 정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직렬 보상 무정전 전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7448A (en) 1992-08-07 1994-11-22 Carroll Lawrence B Three phase AC to DC power converter
US5321598A (en) 1992-09-18 1994-06-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Three-phase active filter utilizing rotating axis transformation
US5351180A (en) 1992-10-30 1994-09-27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Highly fault tolerant active power line conditioner
KR101027988B1 (ko) 2009-04-28 2011-04-13 한국전기연구원 직렬 보상 정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직렬 보상 무정전 전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575A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8350B (zh) 电源适配器、dc/dc转换器的控制电路及设备侧连接器、dc/dc转换器、利用其的电源装置、以及电子设备
TWI439042B (zh) 風扇用直流無刷馬達之驅動裝置
JP200812531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Moo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1.3 kW, 7-level flying capacitor multilevel AC-DC converte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US20120051110A1 (en) Dc-to-ac power inverter and methods
CN104868733A (zh) 电源设备
US20130187625A1 (en) Convergence type power supply device
JP2015126653A (ja) 振幅正規化回路、電源装置および電子機器
Stippich et al. From ac to dc: Benefits in household appliances
JP2016116415A (ja) 絶縁型のdc/dcコンバータ、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1次側コントローラ
US7830674B2 (en) Single-stage switching power supply
KR101489286B1 (ko)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CN102545623B (zh) 将漏电流转换成dc输出
Hwang et al. A high-efficiency DC–DC converter with wide output range using switched-capacitor front-end techniques
CN104460930B (zh) Atx标准电源的实现装置
Mali et al. Simulstion Analysis of Universal Flyback Converter Using Matlab Simulink
Tou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single-controlled switch three-phase rectifier with unity power factor and sinusoidal input current
CN102468767A (zh) 电源供应电路
Meena et al. A Review of Design, Development, Control and Applications of DC− DC Converters
US20140028096A1 (en) Rectifier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6214331B2 (ja) 電力変換装置
JP4674122B2 (ja) 電源装置
Gnana Vadivel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Single phase AC-DC Modified SEPIC Converter
Singh et al. Performance comparison of high frequency isolated AC-DC converters for power quality improvement at input AC mains
JP3174734U (ja) 収束型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