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202B1 - Exercise machine - Google Patents

Exercise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202B1
KR101489202B1 KR20090018884A KR20090018884A KR101489202B1 KR 101489202 B1 KR101489202 B1 KR 101489202B1 KR 20090018884 A KR20090018884 A KR 20090018884A KR 20090018884 A KR20090018884 A KR 20090018884A KR 101489202 B1 KR101489202 B1 KR 101489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de
longitudinal direction
fixed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8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0160A (en
Inventor
장진호
현진수
황선웅
서진우
곽광현
양진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1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202B1/en
Publication of KR2010010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1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2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장치가 구비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구동되는 승강 및 요동장치부와, 상기 승강 및 요동장치부를 설치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탱해주는, 복수의 접지용 레그가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과 분리된 상태로 그 저면 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로울러와, 상기 이송로울러와 결합되어 상기 이송로울러의 연직상 위치를 일정 간극만큼 이동시켜 상기 레그 또는 이송로울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접지될 수 있도록 변환시켜주는 모드변환장치부를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tness machine having a mobile device and includes a lifting and swinging device part which is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A fixed fram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unding legs which stably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veying roller,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veying roller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fixed frame, And a mode converter unit for shifting the image position by a predetermined gap to selectively convert any one of the legs and the transfer roller to be grounded.

운동기구, 승마기, 이동장치, 고정모드, 이동모드, 모드변환장치부 A fitness device, a horse riding machine, a moving device, a fixed mode, a moving mode,

Description

운동기구 {Exercise machine}Exercise machine

본 발명은 이동장치가 구비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동기구의 사용 중에는 그 몸체를 지탱하는 고정프레임의 레그가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접지되고, 운동기구의 이동시에는 원터치 조작만으로 이송로울러가 하강 후 접지 및 회전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쉽게 이송 가능케 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mechanism having a moving device. In particular, when the motion device is in use, the legs of the fixed frame supporting the body are stably grounded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p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mechanism that allows a feed roller to be easily transported with a small force by being grounded and rotated after descending.

최근 사회의 고령화에 따라서 남녀노소 연령층을 불문하고 건강관리, 건강유지, 건강증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은 질환의 조기발견 혹은 예방을 목적으로 병원 등의 의료시설에서 전문가의 진단이나 조언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른바 스포츠클럽과 같은 비 의료시설을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관리나 유지 또는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Recently, people's perception about health care, health maintenance, and health promotion is increasing regardless of ages of men and women, depending on the aging society. In general, many people are not only diagnosed and advised by specialists at medical facilities such as hospitals for the purpose of early detection or prevention of diseases, but also by using non-medical facilities such as so-called sports clubs, We are trying to improve.

이러한 건강관리의 필요성에 의해,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자신의 건강 및 체력을 유지 또는 증진하거나, 혹은 치료의 연속으로 활용되는 운동기구들, 예를 들어 런닝머신, 스텝퍼, 실내용 자전거 등이 개발되어 실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Due to the necessity of such health care, sports equipment such as a running machine, a stepper, an indoor bicycle, etc., which are used to maintain or enhance the health and fitness of a person at home or a health club, It is widely used in real life.

대부분의 운동기구들은,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착용한 상태에서 특유의 구동 메커니즘으로 작동되는 운동기구 몸체와, 운동기구 몸체를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지탱할 수 있도록 운동기구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접지 회전되는 다수의 이송로울러가 포함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의 저면쪽에는 고무재질로 된 다수의 지지용 레그가 부착된다.BACKGROUND ART Most of exercise machines have a body of exercise equipment operated by a unique driving mechanism in a state of being loaded or worn by a user, a stationary fram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a body of exercise equipment for supporting the body of the exercise device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a plurality of feed rollers mount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fixed frame and grounded for easy movement. A plurality of supporting legs made of a rubber material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frame.

이러한 운동기구의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정지된 상태로 놓아두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그에 의해 접지되도록 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운동기구를 옮길 경우에는 일측의 이송로울러가 바닥면에 닿도록 운동기구의 일측을 20°내지 50°가량 기울여 원하는 위치까지 밀거나 당기면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exercise device, when the user intends to place the exercise device in a stationary state on the floo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the user is grounded and fixed by the leg. When the exercise device is moved, One side of the exercise device is tilted by about 20 ° to 50 ° so as to touch the bottom surface, and is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by pushing or pulling.

그러나, 대부분의 운동기구는 상당한 무게를 가지므로 힘이 약한 사용자가 들어서 이동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칫 무리하게 이동하다가 운동기구를 놓쳤을 경우에는 큰 부상의 위험이 있다.However, since most exercise apparatuses have a considerable weight, they are difficult to move due to the weakness of the user, and there is a risk of serious injury if the exercise apparatus is lost while moving forcibl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구의 사용시 안정적으로 고정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기구의 이동을 요하는 경우에는 원터치 조작만으로 기구의 하부구조를 변환시켜 적은 힘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tness device which can maintain a fixed installation state stably when using a device and can easily move with a small force by convert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device by only one touch operation when movement of the device is required .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구동되는 승강 및 요동장치부와, 상기 승강 및 요동장치부를 설치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탱해주는, 복수의 접지용 레그가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과 분리된 상태로 그 저면 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로울러와, 상기 이송로울러와 결합되어 상기 이송로울러의 연직상 위치를 일정 간극만큼 이동시켜 상기 레그 또는 이송로울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접지될 수 있도록 변환시켜주는 모드변환장치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tness device comprising: a lifting and swinging unit that is driven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 back and forth direction, and a left and righ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user's operation while the user is aboard; A plurality of feed roller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frame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fixed frame, the plurality of feed rollers being coupled with the feed rollers, And a mode converter unit for shif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transport roller by a predetermined gap to selectively convert any one of the legs and the transport roller to be ground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운동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exercis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기존 운동기구가 갖는 이동시의 불편함과 이동 중의 부상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조작 가능하여 이동성능 개선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movement of the existing exercise apparatus and the risk of injury during movement,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 less force, thereby improving the movement performance.

둘째, 고정프레임의 주변에 부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간단한 기구적 구성에 의해 구현됨으로써 고장이 적고 수리가 간편하며 고정 및 이동모드의 변환이 매우 간편하다.Second, it is realized by a simple mechanical structure that can be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fixed frame, so that it is less troublesome and is easy to repair, and conversion of fixed and moving modes is very simpl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 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후술하게 될 별도의 모드변환장치부의 선택적 조작에 의해, 운동기구를 사용하기 위한 고정모드와, 운동기구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모드로 변환하여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2가지 실시예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converting into a fixed mode for using the exercise device and a movement mode for moving the exercise device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separate mode conversion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he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외형을 이동모드로 변환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이동장치(100)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고정모드(a)와 이동모드(b)로 변환된 상태로 각각 도시한 부분절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이동장치(100)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고정모드(a)와 이동모드(b)로 변환된 상태로 각각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mobile device 100 (a) and the movement mode (b) (A) and a moving mode (b), respec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mode (a) and the moving mode (b) are converted.

본 발명에서 일례로 제시한 승마형 운동기구는, 사용자에게 승마와 유사한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착석한 좌석을 요동시키는 요동형 운동기구로서, 재활 목적의 의료시설이나 가정 등에서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다양한 세대의 사람들 모두가 이용 가능한 운동기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riding type exercise device exempl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cking type exercise device that rocks a seat in which a user is seated so as to provide a user with a similar exercise effect to horse riding, It is widely used as a fitness equipment that can be used by people of all ages.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신체능력에 따라 요동속도 및 이동스트로크 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운동량을 증감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 밸런스 훈련이 가능하며, 직장근육(Rectus Muscle)을 포함하는 복근, 척추근(Paraspinal Muscle) 또는 둔근 등과 같은 신체의 특정부위에 대한 선택적 운동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신체 각 부위의 근육을 강화하고 근육 활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 다.The exerci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creasing or reducing the amount of exercis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swinging speed and the moving stroke according to the body ability of the user, enabling the exercise of the user's body balance, and the abdominal muscle including the rectus muscle, It can strengthen the muscles in each part of the body and increase muscle activity by enabling selective exercise effects on specific parts of the body such as the paraspinal muscles or gluteus muscles.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말안장 형상의 좌석(미도시), 좌석의 외형을 이루는 커버(미도시) 내에 설치되어 좌석을 특유의 구동 메커니즘, 즉, 상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 및 회전되도록 요동시키는 승강장치부(20) 및 요동장치부(30)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몸체(도면부호 미도시)와; 운동기구 몸체를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지탱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운동기구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1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좌석의 좌, 우측에 연직방향으로 매달려 있는 좌우 한 쌍의 등자(Stirrup, Footrest)(미도시)와, 좌석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고삐(Rein)(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exercis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eat (not shown) having a saddle-like shape for a user to sit on and a cover (not shown) constituting an outer shape of the seat so that the seat can be driven by a specific driving mechanism, (Not shown) including a lift device 20 and a swing device 30 for swinging to reciprocate and rotate with respect to the swing device 20; And a base (1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xercise apparatus body so as to support or move the exercise apparatus body on the floo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In addition to this configuration, a pair of left and right strikers (not shown) (not shown) hang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and a reins (not shown)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at are provided .

본 발명의 베이스(10)는 본 발명 고유의 이동장치(100)를 포함한다.The ba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device 100 that is unique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는, 승강 및 요동장치부(20)(30)를 설치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탱해주는, 복수의 접지용 레그(111)가 구비된 고정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10)과 인접 배치된 가동부재로서 저면 쪽에 복수의 이송로울러(121)가 장착된 이동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30)과 결합되어 이송로울러(121)의 연직상 위치를 일정 간극만큼 이동시켜 레그(111) 또는 이송로울러(121)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접지될 수 있도록 변환시켜주는 모드변환장치부(130)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bas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unding legs 111 for stably supporting the lifting and swinging unit 20 (30) from the floo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A movable frame 120 having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121 mounted on its bottom surface as a movable member disposed adjacent to the fixed frame 110 and a conveying roller 120 coupled with the movable frame 130, And a mode converter unit 130 for shifting a vertical position of the legs 111 or 121 by a predetermined gap to selectively convert any one of the legs 111 and the conveying rollers 121 to be grounded.

모드변환장치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의 양측 종부재를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캠로드(Cam Rod)(132)와, 고정프레임(110)의 양측 종부재의 내측에 인접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프 레임부재로서 복수의 이송로울러(121)가 저면 상에 장착되고 그 양측 종부재에는 각 캠로드(132)를 관통시켜 각각 수용함과 아울러 연직상의 위상차를 갖는 궤적의 형태로 등간격을 두고 반복되는 복수의 캠슬롯(Cam Slot)(131)이 각각 관통 형성된 이동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de conversion device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cam rods 13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cross both longitudinal members of the fixed frame 110,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121 ar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as frame members which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inside of both longitudinal members of the frame 110 and ar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of the longitudinal members is passed through the respective cam rods 132 And a plurality of cam slots 131, which are repeated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orm of a locus having a phase difference in a vertical phase, and a moving frame 120 through which the cam slots 131 are respectively inserted.

이송로울러(121)는 로울러 브래킷(122)에 의해 이동프레임(120)의 각 모서리부마다 장착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orting rollers 121 are mounted on the respective corn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20 by the roller brackets 122.

캠슬롯(131)은 이동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굴곡진 형태의 장공이고, 이러한 캠슬롯(131)에 캠로드(132)가 관통된다. 이때, 캠슬롯(131)의 길이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120)이 이동할 수 있는 제한 폭인 모드변환폭(D3)으로 작용한다.The cam slot 131 is a curved slo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120, and the cam rod 131 penetrates the cam slot 131.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cam slot 131 acts as a mode conversion width D3, which is the limited width at which the movable frame 120 can move, as shown in Fig. 3 (a).

이동프레임(120)의 일단부에는, 사용자가 이동프레임(120)을 캠슬롯(131)의 길이만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핸들(123)이 형성되어 있다.A handle 12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ovable frame 120 so that the user can push or pull the movable frame 120 by the length of the cam slot 131. [

고정프레임(110)에는, 이동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시 그 변환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이동프레임 변환위치 고정용의 스토퍼(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캠로드(132)가 캠슬롯(131)의 어느 한쪽 단부로 이동했을 때 그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xed frame 110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140 for fixing the movable frame conversion position for maintaining the converted state when the movable frame 12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opper 140 serves to fix the position of the cam rod 132 when the cam rod 132 moves to one of the ends of the cam slot 131.

일례를 들면, 스토퍼(14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의 양단부 상면에 각각 경첩식으로 고정되어 하향 또는 상향 선회하면서 이동프레임(120)의 선단 또는 후단을 각각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 또는 걸림 해제시켜주는 한 쌍의 고정모드용 스토퍼(141) 및 이동모드용 스토퍼(142)로 구성할 수 있다.3 (a) and 3 (b), the stopper 140 is hingedly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fixed frame 110, A stopper 141 for the fixed mode and a stopper 142 for the moving mode, which selectively engage or disengage the leading end or the trailing end of the movable mode stopper 141 and the movable mode stopper 142, respectively.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123)을 밀어 캠로드(132)가 캠슬롯(131)의 낮은 쪽 단부에 위치하면, 핸들(123)쪽에 인접한 고정모드용 스토퍼(141)는 하향 선회시켜 이동프레임(120)의 후단부를 걸림 고정한 상태로, 그 이동프레임(120)의 반대 쪽 단부에 위치한 이동모드용 스토퍼(142)는 상향 선회시켜 이동프레임(120)의 선단부를 걸림 해제한 상태로 각각 유지시켜주고, 이러한 한 쌍의 스토퍼(141)(142)에 의해 이동프레임(120)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각 모서리부에 위치한 이송로울러(121)들은 동시에 그 하단 면이 레그(111)의 하단 면에 비해 D1(로울러 인입간극)만큼 지면으로부터 상승하여 이격된 고정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레그(111)에 의해 안정적으로 접지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3 (a), when the user pushes the handle 123 and the cam rod 132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cam slot 131, the stopper for the fixed mode adjacent to the handle 123 The stopper 142 for moving mode locat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movable frame 120 is pivoted upward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movable frame 120 is rotated And the transport frame 120 is fixed by the pair of stoppers 141 and 142 so as not to move so that the transport rollers 121 positioned at the corners of the moving frame 120 At the same time, the lower end surface thereof is elevated from the ground surface by a distance D1 (roller attracting gap) as compared with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eg 111 to maintain a fixed mode state spaced apart. Accordingly,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be grounded by the legs 111 to maintain a fixed state.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123)을 당겨 캠로드(132)가 캠슬롯(131)의 높은 쪽 단부에 위치하면, 핸들(123)쪽에 인접한 고정모드용 스토퍼(141)는 상향 선회시켜 이동프레임(120)의 후단부를 걸림 해제한 상태로, 그 이동프레임(120)의 반대 쪽 단부에 위치한 이동모드용 스토퍼(142)는 하향 선회시켜 이동프레임(120)의 선단부를 걸림 고정한 상태로 각각 유지시켜주고, 이러한 한 쌍의 스토퍼(141)(142)에 의해 이동프레임(120)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120)의 각 모서리부에 위치한 이송로울러(121)들은 동시에 그 하단 면이 레그(111)의 하단 면에 비해 D2(로울러 전개간극)만큼 하강하여 레그(111)를 상기 로울러 전개간극(D2)만큼 들어올린 채로 접지된 이동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이송로울러(121)가 접지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이룸으로써 사용자가 운동기구의 일측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운동기구 전체를 밀거나 당겨 쉽게 이동할 수 있다.3 (b),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123 and the cam rod 132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cam slot 131, the stopper for the fixed mode adjacent to the handle 123 The stopper 142 for moving mode locat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movable frame 120 is rotated downward to move the distal end of the movable frame 120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movable frame 120 is fixed by the pair of stoppers 141 and 142 so as not to move so that the conveying rollers 121 located at the respective corner portions of the movable frame 120 Are simultaneously lowered by D2 (roller expansion gap) in comparison with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eg 111 so that the grounded moving mode state is maintained while lifting the leg 111 by the roller developing gap D2 . Therefore, the mov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transporting roller 121 easily by pushing or pulling the entire exercise machine without lifting one side of the movement mechanism by making the transport roller 121 grounded and rotatable.

이상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직접 핸들(123)을 밀거나 당기는 수동식의 모드변환구조를 이루는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적인 힘에 의한 전동식의 모드변환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a manual mode conversion structure in which a user directly pushes or pulls the handle 123, but in some cases, it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ic mode conversion structure by an electric force.

즉, 도면으로 구체화하여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설정된 회전수만큼의 정·역회전에 의해 이동프레임(120)을 길이방향으로 캠슬롯(131)의 모드변환폭(D3)만큼 밀거나 당길 수 있게 해주는 모우터(미도시) 및 동력전달장치부(미도시)가, 이동프레임(120)의 일단부에 더 구비된 구조로 구성하면 쉽게 구현 가능하다.That i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ovable frame 120 can be pushed or pulled by the mode change width D3 of the cam slot 1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forward / (Not shown)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not shown) are furth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able frame 120. [

이때, 동력전달장치부는, 모우터의 회전력을 캠슬롯 양단 간의 연직상 위상차만큼 편심된 상태로 전달하는 캠기구로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wer transmitting unit may be constituted by a cam mechanism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 a state eccentric to the phase difference of the vertical phas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cam slot.

한편, 본 발명의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이동장치(1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도 구현 가능하다.Meanwhile, the mobile device 100 applied to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other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이동장치(100)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고정모드(a)와 이동모드(b)로 변환된 상태로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이동장치(100)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인 종단면 형태로 도시한 작동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mobile device 100 applied to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of being converted into a fixed mode (a) and a moving mode (b) 5 each show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mobile device 100 applied to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장치(100)는, 고정프레임(110)과 대응되는 별도의 이동프레임(120)이 구비되었던 상기의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이송 로울러(121)가 마치 항공기 랜딩기어의 바퀴와 같이,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정·역 선회하는 회전변환 축봉(133)과 함께 운동기구의 설치 바닥 면을 향해 출몰하는 선회식 모드변환구조를 포함한다.The mo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moving frame 120 corresponding to the fixed frame 110 is provided, Such as the wheels of an aircraft landing gear, with a rotary conversion shaft rod 133 which is pivotally or reversely pivoted from the fixed frame 110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of the exercise devic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드변환장치부(130)는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10)에 장착된 회전변환 축봉(133)과, 회전변환 축봉(133)에 장착된 다수의 이송로울러(121)와, 회전변환 축봉(133)을 작동시켜주는 변환레버(135)를 포함한다.4A and 5, the mode conversion device unit 1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frame 110 and a rotary conversion shaft (not shown) A plurality of feed rollers 121 mounted on the rotary conversion shaft rod 133 and a conversion lever 135 for operating the rotary conversion shaft rod 133. [

고정프레임(110)은, 승강 및 요동장치부(20)(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양측 종부재간 마주보는 양단부의 폭이 그 중앙부의 폭에 비해 넓은 장구형의 형상으로 확장 형성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그 저면에는 다수의 레그(111)가 부착된 구조를 이룬다.The fixed frame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s of both end portions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side end fittings are extended and formed into a wide rectangular shape that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thereof so as to stably support the lifting and swinging unit 20 And a plurality of legs 111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thereof.

회전변환 축봉(133)은, 축받이(134)에 의해 고정프레임(110)의 양측 종부재의 양단부 간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양측 종부재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양측 한 쌍의 부재로서, 로울러 브래킷(122)에 의해 외주면 상에 이송로울러(121)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이룬다.The rotary conversion shaft rod 133 is a pair of members disposed on both sides across the longitudinal members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both end portions of both longitudinal members of the fixed frame 110 by the bearing 134, The transfer rollers 121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송로울러(121)는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변환 축봉(133)을 회전중심으로 한 하향 선회시의 이송로울러(121)의 접지상태를 안정적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변환 축봉(133)의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 상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일정 각도 이상의 로울러 전개각(A2)을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5, the conveying roller 121 is rotatably supported by a rotation conversion shaft rod 133 (see FIG. 5)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ground state of the conveying roller 121 at the time of downward turning with the rotation conversion shaft rod 133 as a rotation center. And a roller expansion angle A2 that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certain angle from either of the vertical lin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oller.

도면 중 미설명 부호 A1은 로울러 인입각을 나타낸 것으로서, 레그(111)의 접지 면에 대해 로울러 인입각극(D1) 이상으로 상향 이격될 수 있는 각도를 유지하면 충분하고, 아울러, 이송로울러(121)의 로울러 전개각(A2)은 15° 내지 45°을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A1 denotes a roller entrance angle. It is sufficient to maintain an angle that can be upwardly spaced from the ground surface of the leg 111 by more than the roller inlet pole D1. Further, It is appropriate to maintain the roller deployment angle A2 of 15 to 45 degrees.

이러한 로울러 전개각(A2)의 범위를 유지한 채 운동기구의 자중에 의해 지면 쪽으로 압박되어야만 운동기구의 이동시 이송로울러(121)가 상부로 접혀져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veying roller 121 from being folded up at the time of movement of the exercise device because the weight of the exercise device is pressed toward the paper surface while maintaining the range of the roller deployment angle A2.

변환레버(135)는, 가이드 브래킷(124)에 의해 고정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 고정 및 이동됨과 아울러 회전변환 축봉(133)에 일체로 형성된 레버힌지(137)를 매개로 힌지 결합되어 각 회전변환 축봉(133)을 일정 각도만큼 정·역 선회시키는 축봉작동부재로서, 회전변환 축봉(133)의 선회조작에 의해 이송로울러(121)의 최하단점에서의 수평접선의 위치, 즉, 이송로울러(121)의 접지 면을 레그(111)의 접지 면에 대해 일정 간극 이상 높거나(도 5의 확대도의 로울러 인입간극(D1) 참조), 낮게(도 5의 확대도의 로울러 전개간극(D2) 참조) 선택적으로 변환시켜주는 구성요소이다.The conversion lever 135 is fixed and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110 by the guide bracket 124 and is fixed to the rotary conversion shaft rod 133 via a lever hinge 137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ry conversion shaft rod 133, And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tangent line at the lowermost end point of the transfer roller 121 by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rotary conversion shaft rod 133, that is,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tangent line at the lowermost end point of the transfer roller 121, The ground plane of the feed roller 121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gap or more with respect to the ground plane of the leg 111 (see the roller feed gap D1 in the enlarged view in Fig. 5) (See D2).

변환레버(135)의 일단부에는, 사용자가 변환레버(135)를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핸들(136)이 형성되어 있다.A handle 13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nversion lever 135 so that the user can push or pull the conversion lever 135 by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제 2 실시예의 운동기구에 따른 모드변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ode convers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exercise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136)을 잡고 전방으로 밀어 변환레버(135)를 전진시키면, 레버힌지(137)를 매개로 하여 변환레버(135)가 회전변환 축봉(133)을 정방향(시계침 정회전방향)으로 로울러 인입각(A1)만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이송로울러(121)도 함께 회전하면서 로울러 인입간극(D1)만큼 상향 이격되어 고정프레임(110)의 각 레그(111) 저면이 설치 바닥면에 접지되는 고정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레그(111)에 의해 안정적으로 접지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4 (a),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136 and pushes forward the conversion lever 135, the conversion lever 135 is rotated by the rotation conversion shaft rod 133 The conveying roller 121 rotates together with the roller receiving opening A1 so as to be spaced apart upward by the roller attracting gap D1 so that the legs of the respective legs 111) bottom surface is grounded on the mounting floor. Accordingly,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be grounded by the legs 111 to maintain a fixed state.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136)을 잡고 후방으로 당겨 변환레버(135)를 후진시키면, 레버힌지(137)를 매개로 하여 변환레버(135)가 회전변환 축봉(133)을 역방향(시계침 역회전방향)으로 로울러 전개각(A2)만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이송로울러(121)도 함께 회전하면서 로울러 전개간극(D2)만큼 하향 돌출되어 레그(111)를 상기 로울러 전개간극(D2)만큼 들어올린 채로 접지되는 이동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이송로울러(121)가 접지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이룸으로써 사용자가 운동기구의 일측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운동기구 전체를 밀거나 당겨 쉽게 이동할 수 있다.4 (b),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136 and pulls the lever 135 backward to move the lever 135 backward, the conversion lever 135 is rotated via the lever hinge 137, The conveying roller 121 rotates together with the lower roller 133 in the reverse direction (clockwis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roller opening angle A2 so that the roller 111 protrudes downward by the roller developing gap D2, And is maintained in the moving mode state in which it is grounded up by the development gap D2. Therefore, the mov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transporting roller 121 easily by pushing or pulling the entire exercise machine without lifting one side of the movement mechanism by making the transport roller 121 grounded and rotatabl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기구의 외형을 이동모드로 변환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rid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of being converted into a moving mode.

도 2는 본 발명의 승마형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이동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고정모드(a)와 이동모드(b)로 변환된 상태로 각각 도시한 부분절취 사시도이다.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obile device applied to the riding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converted into a fixed mode (a) and a movement mode (b), respectively.

도 3은 본 발명의 승마형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이동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고정모드(a)와 이동모드(b)로 변환된 상태로 각각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obile device applied to the riding typ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of being converted into the fixed mode (a) and the movement mode (b), respectively .

도 4는 본 발명의 승마형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이동장치에 대한 제 2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고정모드(a)와 이동모드(b)로 변환된 상태로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obile device applied to the riding typ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converted into a fixed mode (a) and a movement mode (b), respectively.

도 5는 본 발명의 승마형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이동장치에 대한 제 2 실시예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인 종단면 형태로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Fig.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oving apparatus applied to the riding exercis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form.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1 ; 로울러 인입각 A2 ; 로울러 전개각A1; Roller entry angle A2; Roller development angle

D1 ; 로울러 인입간극 D2 ; 로울러 전개간극D1; Roller lead-in gap D2; Roller development clearance

D3 ; 모드변환폭 10 ; 베이스D3; Mode conversion width 10; Base

20 ; 승강장치부 30 ; 요동장치부20; A lift mechanism 30; Swinging unit

100 ; 이동장치 110 ; 고정프레임100; Mobile device 110; Fixed frame

111 ; 레그(Leg) 120 ; 이동프레임111; Legs 120; Moving frame

121 ; 이송로울러 122 ; 로울러 브래킷121; Conveying rollers 122; Roller bracket

123, 136 ; 핸들 124 ; 가이드 브래킷123, 136; Handle 124; Guide bracket

130 ; 모드변환장치부 131 ; 캠슬롯(Cam Slot)130; A mode conversion unit 131; Cam Slot

132 ; 캠로드(Cam Rod) 133 ; 회전변환 축봉132; A cam rod 133; Rotary conversion shaft

134 ; 축받이 135 ; 변환레버134; Bearing 135; Conversion lever

137 ; 레버힌지 140 ; 스토퍼137; Lever hinge 140; stopper

141 ; 고정모드용 스토퍼 142 ; 이동모드용 스토퍼141; A fixed mode stopper 142; Stopper for moving mode

Claims (12)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구동되는 승강 및 요동장치부;A lifting and swinging unit that is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a backward direction, a backward direction, and a leftward / rightward direc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while the user is aboard; 상기 승강 및 요동장치부를 설치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탱해주는, 복수의 접지용 레그가 구비된 고정프레임;A stationary frame having a plurality of grounding legs for stably supporting the lifting and swinging uni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상기 고정프레임과 분리된 상태로 그 저면 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로울러; 및A plurality of feed rollers disposed on the bottom side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fixed frame; And 상기 이송로울러와 결합되어 상기 이송로울러의 연직상 위치를 일정 간극만큼 이동시켜 상기 레그 또는 이송로울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접지될 수 있도록 변환시켜주는 모드변환장치부;를 포함하고,And a mode converter unit coupled to the transport roller to mov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transport roller by a predetermined gap to selectively convert any one of the legs and the transport roller to be grounded, 상기 모드변환장치부는, Wherein the mode conversion device comprises: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 종부재를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캠로드(Cam Rod); 및A plurality of cam rod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cross the longitudinal members on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And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 종부재의 내측에 인접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프레임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이송로울러가 저면 상에 장착되고, 그 양측 종부재에는 상기 각 캠로드를 관통시켜 각각 수용함과 아울러 연직상의 위상차를 갖는 궤적의 형태로 등간격을 두고 반복되는 복수의 캠슬롯(Cam Slot)이 각각 관통 형성된 이동프레임;을 포함하는 운동기구.A frame member whi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side of both longitudinal members of the fixed frame an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ar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moving fram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cam slots, each of which is repeat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orm of a trajectory having a vertical phase difference, are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캠슬롯은,The cam slot 상기 이동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이고,A long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 양단은 상하방향으로 단차를 가지는 운동기구.And both ends of the lo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step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캠슬롯의 양단 간 폭만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핸들이 더 포함되는 운동기구.Wherein one end of the moving frame further includes a handle capable of pushing or pulling the moving frame by a width between both ends of the cam slo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단부에는, 설정된 회전수만큼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캠슬롯의 양단 간 폭만큼 밀거나 당길 수 있게 해주는 모우터 및 동력전달장치부가 더 포함되는 운동기구.Wherein one end of the moving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device portion for allowing the moving frame to be pushed or pulled by the width of the cam slot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forward / Instrument. 제 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동력전달장치부는, 상기 모우터의 회전력을 상기 캠슬롯 양단 간의 연직상 위상차만큼 편심된 상태로 전달하는 캠기구인 운동기구.Wherein the power transmitting unit is a cam mechanism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 a state eccentric by a vertical phase difference between both ends of the cam slo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시 그 변환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이동프레임 변환위치 고정용의 스토퍼가 더 포함되는 운동기구.Wherein the fixed frame further includes a stopper for fixing a movable frame conversion position for maintaining the converted state when the movable frame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단부 상면에 각각 경첩식으로 고정되어 하향 또는 상향 선회하면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선단 또는 후단을 각각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 또는 걸림 해제시켜주는 한 쌍의 고정모드용 스토퍼 및 이동모드용 스토퍼인 운동기구.Wherein the stopper includes a pair of fixed mode stoppers for selectively locking or unlatching the leading end or the trailing end of the moving frame while being hingedly fixed to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fixed frame, A stopper for exercise equipment.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 양단은 구배를 가지게 연결되는 운동기구.Where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ongated hole has a gradi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090018884A 2009-03-05 2009-03-05 Exercise machine KR1014892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8884A KR101489202B1 (en) 2009-03-05 2009-03-05 Exercis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8884A KR101489202B1 (en) 2009-03-05 2009-03-05 Exercise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160A KR20100100160A (en) 2010-09-15
KR101489202B1 true KR101489202B1 (en) 2015-02-03

Family

ID=4300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8884A KR101489202B1 (en) 2009-03-05 2009-03-05 Exercise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20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028A (en) * 1993-07-20 1995-03-28 Aisin Seiki Co Ltd Bed
KR20050035813A (en) * 2003-10-23 2005-04-19 류현서 Transformable inline skate and inline skate unit
JP2007259892A (en) * 2006-03-27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Oscillation type exercise apparatus
KR20070121573A (en) * 2006-06-21 2007-12-27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Balance trai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028A (en) * 1993-07-20 1995-03-28 Aisin Seiki Co Ltd Bed
KR20050035813A (en) * 2003-10-23 2005-04-19 류현서 Transformable inline skate and inline skate unit
JP2007259892A (en) * 2006-03-27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Oscillation type exercise apparatus
KR20070121573A (en) * 2006-06-21 2007-12-27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Balance trai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160A (en)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0498B2 (en) Exercise assemblies having foot pedal members that are movable along user defined paths
US10792536B2 (en) Climbing machine
US7993247B1 (en) Chair operated elliptical exercise apparauts
US6682462B1 (en) Dual-purpose exerciser operable in pedaling and rowing modes
JPH0284970A (en) Bicycle moving equipment
JPS63502565A (en) All-purpose body exerciser
CN111182947B (en) Body-building apparatus
KR200416551Y1 (en) Riding-type athletic device
TW202007423A (en) Climbing machine
KR101489202B1 (en) Exercise machine
US10493319B2 (en) Exercise equipment for limited mobility individuals
US7828700B1 (en) Exercise machine
US10716965B2 (en) Exercise machine
KR200324294Y1 (en) The abdominal region and nether limbs sport outfits
CN106730593A (en) Treadmills
KR20120017170A (en) Self driving type skate board
JP2010246919A (en) Abdominal muscle exercise machine usable also as cycle
WO2022222162A1 (en) Multifunctional treadmill
KR200451925Y1 (en) Rowing fitness equipment
US9302147B2 (en) Up and down reciprocation treading leisure exercise apparatus
KR101173377B1 (en) rowing machine
CN219764446U (en) Dual-purpose vertical rowing machine
CN111298368B (en) Exercise apparatus
CN219630532U (en) Body-building vehicle with four limbs linked
TWM576063U (en) Exercis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