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073B1 - Can opener - Google Patents

Can ope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073B1
KR101489073B1 KR20130074807A KR20130074807A KR101489073B1 KR 101489073 B1 KR101489073 B1 KR 101489073B1 KR 20130074807 A KR20130074807 A KR 20130074807A KR 20130074807 A KR20130074807 A KR 20130074807A KR 101489073 B1 KR101489073 B1 KR 101489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lade
main body
pressure member
tens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1493A (en
Inventor
조춘호
Original Assignee
조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춘호 filed Critical 조춘호
Priority to KR2013007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073B1/en
Publication of KR20150001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0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30Hand-operated cutting devices
    • B67B7/32Hand-operated cutting devices propelled by rotary gears or wheels around periphery of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조림캔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 천공기 또는 흡착판을 통해 통조림캔을 천공하거나 흡착한 후, 압력부재와 인장로드를 연결한 제 1 손잡이에 악력을 가하여 통조림캔을 고정시키며, 제 2 손잡이를 좌우로 반복 회전시켜 캐리어로드에 구비된 칼날부재를 통해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함으로써, 개봉 시 통조림캔의 절개 부위에 입을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소형 통조림캔뿐만 아니라 대형 통조림캔도 쉽게 개봉할 수 있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 opener for canning, in which a can is pierced or sucked through a perforator or a suction plate, and then a can is fixed by applying a gripping force to a first handle connected to a pressure member and a tension ro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is cut through the blade member provided on the carrier rod to prevent the injury that may occur on the incision of the can when the can is opened. In addition to the small canned can, It can be opened.

Description

통조림캔 오프너{CAN OPENER}Canned can opener {CAN OPENER}

본 발명은 통조림캔 뚜겅 부분을 천공 또는 흡착한 후 통조림캔 가장자리를 절개하여 쉽게 통조림캔을 개봉할 수 있는 통조림캔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anned can openers that can be opened easily by cutting the edge of a canned can after puncturing or adsorbing the canned can top portion.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금속의 캔 속에 보관된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 또는 음용하기 위해서 가장자리에 절개선이 형성된 뚜껑을 오픈시키기 위한 따개가 구비된 원터치 캔(one touch can)이 사용되고 있다.As is well known, a one-touch can is used which has an opener for opening a lid having a cut-out at its edge to use or consume contents stored in a metal can.

이러한 원터치 캔을 개봉할 때에 사용자는 양손 중에서 한 손은 캔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의 손가락으로 원터치 캔의 따개를 잡아당기면 캔을 개봉할 수 있으며, 종래에 캔 나이프를 이용하여 캔 뚜껑 주변을 잘라 개봉하는 방법에 비해서 월등한 편리함을 제공한다.When the one-touch can is opened, the user can open the can by grasping the can with one hand and pulling the one-touch can with the finger of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the can around the can is cut Provides superior convenience compared to the method of opening.

즉, 원터치 캔의 뚜껑을 개봉할 때에는 뚜껑에 장착된 따개를 손가락으로 들어 올리면 뚜껑에 파단공이 형성되고, 이어서 따개를 계속 들어 올리면 파단공으로부터 뚜껑 가장자리의 절개선이 파단되면서 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lid of the one-touch can is opened, if the lid is lifted up with the fingers, the lid is formed with a breaking hole, and then the lid is continuously lifted to break the cut edge of the lid from the breaking hole. .

그러나, 원터치 캔의 개봉을 위한 절개선은 캔 내용물의 보관 구조상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쉽게 잘리지 않고, 따개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길 때에 상당한 힘이 요구되는데,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어느 한 쪽으로 힘이 가해지면 뚜껑의 개봉 과정에서 따개가 떨어져 낭패를 보거나 또는 따개에 일정하고 정확한 힘을 주지 않는 등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손에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incision for opening the one-touch can is not easily cut unless a force of a certain size or more is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of the can, and a considerable amount of force is required when pulling the can opener with fing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ay be injured by the carelessness of the user when the lid is opened or the lid is opened or the user does not give a constant and accurate force to the opener.

최근에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원터치 캔의 생산 과정에서 신체 보호용 띠나 보조판 등을 장착한 캔에 대하여 연구 개발되고 있는데, 캔 일체형 안전띠나 보조판 등을 장착한 경우에는 원터치 캔의 제조 과정이 복잡해지고, 캔의 제조 과정에서 이물질이 끼이거나 캔의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등의 부수적인 문제가 유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recent year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se points,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cans equipped with a body protection band or an assisting plate during the production of one-touch cans. However, in the case of attaching a can-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substances are caugh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an, o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an is increased.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8121호(2011.08.18.) "캔 오픈장치"Ope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8121 (Aug. 18, 2011) "Can open device"

본 발명은 천공기를 통해 통조림캔을 천공한 후 회전시키고, 압력부재와 인장로드를 연결한 제 1 손잡이에 악력을 가하여 통조림캔을 고정시키며, 제 2 손잡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켜 캐리어로드에 구비된 칼날부재를 통해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함으로써, 개봉 시 통조림캔의 절개 부위에 입을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소형 통조림캔뿐만 아니라 대형 통조림캔도 쉽게 개봉할 수 있는 통조림캔 오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an is pierced through a perforator and then rotated, a can is fixed by applying a gripping force to a first handle that connects a pressure member and a tension rod, and the second handle is repeatedly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upper surface of the canned can is cut through the blade member provided on the carrier rod to prevent injuries that may occur on the incised portion of the canned can at the time of opening the can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open a large canned can To provide canned can openers.

또한, 본 발명은 흡착판을 통해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흡착한 후, 압력부재와 인장로드를 연결한 제 1 손잡이에 악력을 가하여 통조림캔을 고정시키며, 제 2 손잡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켜 캐리어로드에 구비된 칼날부재를 통해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함으로써, 개봉 시 통조림캔의 절개 부위에 입을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소형 통조림캔뿐만 아니라 대형 통조림캔도 쉽게 개봉할 수 있는 통조림캔 오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is adsorbed through the adsorption plate, the can is fixed by applying a gripping force to the first handle that connects the pressure member and the tension rod, and the second handle is mov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upper surface of the canned can is cut through the blade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d by repeatedly rotat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ies that may occur on the incised portion of the canned can at the time of opening, and a large canned can Can opener that can be used for cann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제 1 중공부를 가지며, 경계부분이 래칫 방식으로 형성되도록 상부와 하부로 분리 결합되어 있는 원통 형태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내부에 제 2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로 상기 제 1 중공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압력부재와, 상기 압력부재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상부에 헤드가 형성된 원형 로드 형태로 상기 제 2 중공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장로드와, 상기 본체 및 압력부재의 하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상기 인장로드가 관통 삽입되며, 하부 방향으로 사각 블록 형태로 개구된 삽입홈이 구비되고, 통조림캔의 상부면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블록과, 전면은 하부로 갈수록 뽀족한 역삼각형 형태이고, 측면은 전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을 통해 관통 삽입된 상기 인장로드의 하부에 천공기로드를 통해 결합되고,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천공한 후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천공기와, 상기 압력부재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제 1 고정구와 상기 인장로드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제 2 고정구에 각각 고정되며, X자 형태로 연장 구비되어 악력을 가할 경우 상기 고정블록을 통해 상기 압력부재 및 인장로드에 압축력과 인장력을 각각 제공하여 상기 통조림캔의 상부면에 고정시키는 제 1 손잡이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 수평으로 연장 구비되는 캐리어로드와, 상기 이동블록의 하부로 고정 결합된 칼날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칼날로드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 칼날을 구비하고, 상기 칼날로드를 수평으로 관통한 후 ㄱ자 형태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통조림캔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구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칼날을 이용하여 상기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하는 칼날부재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dy having a first hollow portion insid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separated an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such that a boundary portion is formed in a ratchet manner, A pressure member inserted and fixedly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portion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econd hollow portion therein and a second hollow portion formed in a shape of a circular rod having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pressure member, The tension rod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pressure member so as to be vertically penetrated, and the insertion groove is opened in the shape of a square block in the downward direction A fixed block supported and fix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n, and a front surface of a can having a reverse triangular shape, And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tension rod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through a perforator rod and punctures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by applying a force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first fix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pressure memb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tension rod. The first fixing member is extended in an X- And a movable block which is movably coupled horizontally, and a second handle which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handle and the second rod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by providing a compressive force and a tensile force to the pressure member and the tension rod, respectively, A carrier rod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blade rod fixed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lock, And a guide hole extending downwardly in a L-shaped form after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blade rod and guiding a side surface of the can, wherein the carrier rod is rotated and the blade is rotated A blade member for cut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상기 본체의 상부 측면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상하부 경계부분에 형성된 톱니 방향에 따라 상기 칼날부재를 통해 상기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하도록 하는 제 2 손잡이를 포함하는 통조림캔 오프너가 제공될 수 있다.A second handle that is horizontally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repeatedly rotat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cut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through the blade member along the tooth direction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boundaries of the main body,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제 1 중공부를 가지며, 경계부분이 래칫 방식으로 형성되도록 상부와 하부로 분리 결합되어 있는 원통 형태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내부에 제 2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로 상기 제 1 중공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압력부재와, 상기 압력부재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상부에 헤드가 형성된 원형 로드 형태로 상기 제 2 중공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장로드와, 상기 압력부재의 상부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 끝단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인장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홈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지지구와, 상기 인장로드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며, 하부에 흡착패드가 구비되는 흡착판과, 상기 압력부재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제 1 고정구와 상기 인장로드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제 2 고정구에 각각 고정되며, X자 형태로 연장 구비되어 악력을 가할 경우 상기 압력부재 및 인장로드에 압축력과 인장력을 각각 제공하여 상기 흡착판을 통해 상기 통조림캔의 상부면에 흡착 고정시키는 제 1 손잡이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장 구비되는 캐리어로드와, 상기 이동블록의 하부로 고정 결합된 칼날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칼날로드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 칼날을 구비하고, 상기 칼날로드를 수평으로 관통한 후 ㄱ자 형태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통조림캔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구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칼날을 이용하여 상기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하는 칼날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부 측면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상하부 경계부분에 형성된 톱니 방향에 따라 상기 칼날부재를 통해 상기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하도록 하는 제 2 손잡이를 포함하는 통조림캔 오프너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dy having a first hollow portion insid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separated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so that a boundary portion is formed in a ratchet manner, A pressure member inserted and fixedly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portion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econd hollow portion therein and a second hollow portion formed in a shape of a circular rod having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pressure member, A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and having protrusion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to b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on rod; A suction plat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tension rod and provided with a suction pa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are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tension rod,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n X-like shape to provide a compressive force and a tensile force to the pressure member and the tension rod, respectively, And a movable block which is horizontally movably coupled and which is horizontally extend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rod which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block, A guide rod having a blade connected to the blade rod and having a blade fixed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lade rod and extending downwardly in a L-shape after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blade rod, A blade member for rotating the carrier rod to cut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using the blade, And a second handle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upper side and repeatedly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cut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through the blade member along the tooth direction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boundaries of the main body Canned can openers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서는, 천공기를 통해 통조림캔을 천공한 후 회전시키고, 압력부재와 인장로드를 연결한 제 1 손잡이에 악력을 가하여 통조림캔을 고정시키며, 제 2 손잡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켜 캐리어로드에 구비된 칼날부재를 통해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함으로써, 개봉 시 통조림캔의 절개 부위에 입을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소형 통조림캔뿐만 아니라 대형 통조림캔도 쉽게 개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n is pierced through a perforator and then rotated, and the can is fixed by applying a gripping force to the first handle that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member and the tension rod, and the second handle is repeatedly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upper surface of the canned can is cut through the blade member provided on the carrier ro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ies that may occur on the incised portion of the canned can at the time of opening the can, and a large canned can have.

또한, 본 발명은 흡착판을 통해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흡착한 후, 압력부재와 인로드를 연결한 제 1 손잡이에 악력을 가하여 통조림캔을 고정시키며, 제 2 손잡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켜 캐리어로드에 구비된 칼날부재를 통해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함으로써, 개봉 시 통조림캔의 절개 부위에 입을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소형 통조림캔뿐만 아니라 대형 통조림캔도 쉽게 개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is adsorbed through the adsorption plate, the can is fixed by applying a gravitational force to the first handle coupled to the pressure member and the in rod, and the second handle is mov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upper surface of the canned can is cut through the blade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d by repeatedly rotat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ies that may occur on the incised portion of the canned can at the time of opening, and a large canned can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를 이용하여 통조림캔을 천공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의 칼날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의 고정 블록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의 천공기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를 예시한 도면.
1 is a view illustrating a can op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puncturing a can with a can op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and 3B illustrate a blade of a can op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is a view illustrating a fixing block of a can op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perforator of a can op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llustrates a can ope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를 이용하여 통조림캔을 천공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의 칼날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의 고정 블록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의 천공기를 예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can op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puncturing a can with a can op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fixed block of a can op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n of a can op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forator of a can op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는 본체(110), 압력부재(120), 인장로드(130), 고정블록(140), 천공기(150), 제 1 손잡이(160), 캐리어로드(170), 칼날부재(180), 제 2 손잡이(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to 5, a can op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pressure member 120, a tension rod 130, a fixing block 140, a perforator 150, A handle 160, a carrier rod 170, a blade member 180, a second handle 190, and the like.

본체(110)는 내부에 제 1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로 구비되며, 후술하는 캐리어로드(170)가 연장 구비되는 부분과 제 2 손잡이(190)가 연장 구비되는 부분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그 경계부분(111)은 한쪽 방향으로만 힘을 전달하는 래칫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first hollow portion therein and is divided into a portion where the carrier rod 170 is extended and a portion where the second handle 190 is extended, The portion 111 may be formed in a ratchet fashion that transmits force only in one direction.

압력부재(120)는 본체(110)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내부에 제 2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로 제 1 중공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압력부재(120)는 상부 외주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두 개의 고정턱(123)의 사이에 스프링(122)을 구비하여 압력부재(120) 및 인장로드(130)의 원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에 위치한 고정턱(123)은 본체(110)와 고정될 수 있다.
The pressure member 120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main body 110 and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hollow portion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a second hollow portion therein. The pressure member 120 is provided with a spring 122 between two fixing jaws 123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pressure member 120 and the tension rod 130, Position. Here, the fixing jaw 123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110.

인장로드(130)는 압력부재(120)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상부에 헤드가 형성된 원형 로드 형태로 제 2 중공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tension rod 130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pressure member 120, and may be inserted into and moveably coupled to the second hollow portion in the form of a round rod having a head formed thereon.

고정블록(140)은 본체(110) 및 압력부재(120)의 하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삽입홀(141)을 통해 인장로드(130)가 관통 삽입되며, 하부 방향으로 사각 블록 형태로 개구된 삽입홈(142)이 구비되고, 본체(110) 및 압력부재(120)와 통조림캔(10)의 상부면 사이에서 지지 고정될 수 있다.The fixed block 140 includes a main body 110 and a pressure member 120. The tension rod 130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41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pressure member 120, A groove 142 is provided and can be supported and fix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pressure member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10.

이러한 고정블록(140)에 형성된 삽입홈(142)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기(150)가 상부로 이동 삽입될 수 있다.
2, the perforator 150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42 formed in the fixing block 140. [

천공기(150)는 전면은 하부로 갈수록 뽀족한 역삼각형 형태이고, 측면은 전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삽입홀(141)을 통해 관통 삽입된 인장로드(130)의 하부에 천공기로드(151)를 통해 결합된다. 여기에서, 천공기로드(15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인장로드(130)의 하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천공기로드(151)와 인장로드(130)가 회전 결합될 수 있다.The perforator 150 has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inverted triangular shape and a side surface of the inverted triangular shape with a relatively smaller thickness than that of the front surface. The lower end of the tension rod 130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41 Through the perforator rod 151. [ In this case,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rforator rod 151, and a coupling hole in which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on rod 130 is formed, so that the perforator rod 151 and the tension rod 130 are rotationally coupled .

이러한 천공기(150)를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통조림캔(10)의 상부면 중앙부분을 천공한 후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면, 45ㅀ, 90ㅀ 등)로 회전시켜 통조림캔(10)에서 천공기(150)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The perforator 150 is pushed downward to pun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10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45 ㅀ, 90 ㅀ,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rforator 150 from escaping.

제 1 손잡이(160)는 압력부재(120)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제 1 고정구(121)와 인장로드(130)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제 2 고정구(131)에 각각 고정되며, X자 형태로 연장 구비되어 악력을 가할 경우 고정블록(140)을 통해 압력부재(120) 및 인장로드(130)에 압축력과 인장력을 각각 제공하여 통조림캔(10)의 상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first handle 160 is fixed to the first fixture 121 provided o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120 and the second fixture 131 provided o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tension rod 130, So that the compressive force and the tensile force are applied to the pressure member 120 and the tension rod 130 through the fixing block 140 so as to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10.

캐리어로드(170)는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171)을 구비하며, 본체(110)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장 구비된다.
The carrier rod 170 has a moving block 171 movably coupled horizontally and extends horizontally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칼날부재(180)는 이동블록(171)의 하부로 고정 결합된 칼날로드(181)를 구비하며, 칼날로드(181)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 칼날(182)을 구비하고, 칼날로드(181)를 수평으로 관통한 후 ㄱ자 형태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통조림캔(10)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구(183)를 구비하며, 후술하는 제 2 손잡이(190)의 좌우 동작에 따라 칼날(182)을 이용하여 통조림캔(10)의 상부면을 절개할 수 있다.
The blade member 180 has a blade rod 181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lock 171 and has a blade 182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lade rod 181, And a guide hole 183 extending horizontally and extending downwardly in a L-shape so as to guide the side surface of the can 10, and a blade 182 is formed b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econd handle 190,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10 can be cut.

제 2 손잡이(190)는 본체(110)의 상부 측면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키면, 래칫 방식으로 형성된 본체(110)의 경계부분의 톱니 방향에 따라 본체(110)의 하부 측면에 연장 구비된 캐리어로드(170)에 구비된 칼날부재(180)를 통해 통조림캔(10)의 상부면을 절개하도록 한다.
The second handle 190 is horizontal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repeatedly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rotate the main body 110 in the main body 110 along the tooth direction of the boundary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10 is cut through the blade member 180 provided on the carrier rod 17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천공기를 통해 통조림캔을 천공한 후 회전시키고, 압력부재와 인장로드를 연결한 제 1 손잡이에 악력을 가하여 통조림캔을 고정시키며, 제 2 손잡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켜 캐리어로드에 구비된 칼날부재를 통해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함으로써, 개봉 시 통조림캔의 절개 부위에 입을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소형 통조림캔뿐만 아니라 대형 통조림캔도 쉽게 개봉할 수 있는 통조림캔 오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n is pierced through the perforator and then rotated, and the can is fixed by applying a grip to the first handle coupled with the pressure member and the tension rod, and the second handle is repeated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ned can is cut through the blade member provided on the carrier rod so as to prevent injuries that may occur on the incised portion of the canned can at the time of opening the can, To provide canned can openers.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통조림캔 오프너에서 천공기 대신에 흡착판을 이용하여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흡착 고정시키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is adsorbed and fixed using a suction plate instead of the perforator in the can open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를 예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can ope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는 본체(210), 압력부재(220), 인장로드(230), 지지구(240), 흡착판(250), 제 1 손잡이(260), 캐리어로드(270), 칼날부재(280), 제 2 손잡이(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조림캔 오프너와 지지구(240) 및 흡착판(250)을 제외한 구성부는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
6, a can ope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10, a pressure member 220, a tension rod 230, a support 240, a suction plate 250, a first handle 260, a carrier rod 270, a blade member 280, a second handle 290, and the like. Here, the canned can ope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anned can ope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support portion 240 and the attracting plate 250, Will be described below.

본체(210)는 내부에 제 1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로 구비되며, 후술하는 캐리어로드(270)가 연장 구비되는 부분과 제 2 손잡이(290)가 연장 구비되는 부분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그 경계부분(211)은 한쪽 방향으로만 힘을 전달하는 래칫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1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first hollow portion therein and is divided into a portion where the carrier rod 270 is extended and a portion where the second handle 290 is extended, The portion 211 may be formed in a ratchet fashion that transmits force only in one direction.

압력부재(220)는 본체(210)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내부에 제 2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로 제 1 중공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압력부재(220)는 상부 외주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두 개의 고정턱(223)의 사이에 스프링(222)을 구비하여 압력부재(220) 및 인장로드(230)의 원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에 위치한 고정턱(223)은 본체(210)와 고정될 수 있다.
The pressure member 220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main body 210 and may be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hollow portion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a second hollow portion therein. The pressure member 220 is provided with a spring 222 between two fixing jaws 223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pressure member 220 and the tension rod 230, Position. Here, the lower fixing jaw 223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210.

인장로드(230)는 압력부재(220)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상부에 헤드가 형성된 원형 로드 형태로 제 2 중공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tension rod 230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pressure member 220, and may be inserted into and moveably coupled to the second hollow portion in the form of a round rod having a head formed thereon.

지지구(240)는 압력부재(220)의 상부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 끝단에 형성된 돌기가 인장로드(2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홈(232)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2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220 and the protrusio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40 may b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23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on rod 230 .

흡착판(250)은 인장로드(230)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며, 하부에 흡착패드가 구비되며, 후술하는 제 1 손잡이(260)를 통해 통조림캔(10)의 상부면 중앙부분을 흡착 고정시킬 수 있다.
The adsorption plate 25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tension rod 230 and has an adsorption pa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o adsorb and fix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10 through the first handle 260, have.

제 1 손잡이(260)는 압력부재(220)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제 1 고정구(221)와 인장로드(230)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제 2 고정구(231)에 각각 고정되며, X자 형태로 연장 구비되어 악력을 가할 경우 흡착판(150)을 통해 압력부재(220) 및 인장로드(230)에 압축력과 인장력을 각각 제공하여 통조림캔(10)의 상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first handle 260 is fixed to the first fixture 221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essure member 220 and the second fixture 231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ension rod 23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ressive force and a tensile force to the pressure member 220 and the tension rod 230 through the suction plate 150 so as to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10.

캐리어로드(270)는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271)을 구비하며, 본체(210)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장 구비된다.
The carrier rod 270 has a moving block 271 movably coupled horizontally and extends horizontally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칼날부재(280)는 이동블록(271)의 하부로 고정 결합된 칼날로드(281)를 구비하며, 칼날로드(281)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 칼날(282)을 구비하고, 칼날로드(281)를 수평으로 관통한 후 ㄱ자 형태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통조림캔(10)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구(283)를 구비하며, 후술하는 제 2 손잡이(290)의 좌우 동작에 따라 칼날(282)을 이용하여 통조림캔(10)의 상부면을 절개할 수 있다.
The blade member 280 has a blade rod 281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lock 271 and has a blade 282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lade rod 281, And a guide hole 283 extending horizontally and extending downwardly in a L-shape so as to guide the side surface of the can 10, and a blade 282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lateral movement of the second handle 290,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10 can be cut.

제 2 손잡이(290)는 본체(210)의 상부 측면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키면, 래칫 방식으로 형성된 본체(210)의 경계부분의 톱니 방향에 따라 본체(210)의 하부 측면에 연장 구비된 캐리어로드(270)에 구비된 칼날부재(280)를 통해 통조림캔(10)의 상부면을 절개하도록 한다.
The second handle 290 is horizontal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or counterclockwise to rotate the main body 210 in the main body 210 along the too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nned can 10 is cut through the blade member 280 provided on the carrier rod 27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n 210.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흡착판을 통해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흡착한 후, 압력부재와 인장로드를 연결한 제 1 손잡이에 악력을 가하여 통조림캔을 고정시키며, 제 2 손잡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켜 캐리어로드에 구비된 칼날부재를 통해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함으로써, 개봉 시 통조림캔의 절개 부위에 입을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소형 통조림캔뿐만 아니라 대형 통조림캔도 쉽게 개봉할 수 있는 통조림캔 오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is adsorbed through the adsorption plate, the can is fixed by applying a gripping force to the first handle coupled with the pressure member and the tension rod, and the second handle is mov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upper surface of the canned can is cut through the blade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d by repeatedly rotat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ies that may occur on the incised portion of the canned can at the time of opening, and a large canned can Can opener that can be used for canning.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such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110, 210 : 본체 120, 220 : 압력부재
130, 230 : 인장로드 140 : 고정블록
150 : 천공기 160, 260 : 제 1 손잡이
170, 270 : 캐리어로드 180, 280 : 칼날부재
190, 290 : 제 2 손잡이 240 : 지지구
250 : 흡착판
110, 210: main body 120, 220: pressure member
130, 230: Tension rod 140: Fixing block
150: perforator 160, 260: first handle
170, 270: carrier rod 180, 280: blade member
190, 290: second handle 240:
250: suction plate

Claims (4)

내부에 제 1 중공부를 가지며, 경계부분이 래칫 방식으로 형성되도록 상부와 하부로 분리 결합되어 있는 원통 형태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내부에 제 2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로 상기 제 1 중공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압력부재와,
상기 압력부재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상부에 헤드가 형성된 원형 로드 형태로 상기 제 2 중공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장로드와,
상기 본체 및 압력부재의 하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상기 인장로드가 관통 삽입되며, 하부 방향으로 사각 블록 형태로 개구된 삽입홈이 구비되고, 통조림캔의 상부면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블록과,
전면은 하부로 갈수록 뽀족한 역삼각형 형태이고, 측면은 전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을 통해 관통 삽입된 상기 인장로드의 하부에 천공기로드를 통해 결합되고,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천공한 후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천공기와,
상기 압력부재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제 1 고정구와 상기 인장로드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제 2 고정구에 각각 고정되며, X자 형태로 연장 구비되어 악력을 가할 경우 상기 고정블록을 통해 상기 압력부재 및 인장로드에 압축력과 인장력을 각각 제공하여 상기 통조림캔의 상부면에 고정시키는 제 1 손잡이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 수평으로 연장 구비되는 캐리어로드와,
상기 이동블록의 하부로 고정 결합된 칼날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칼날로드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 칼날을 구비하고, 상기 칼날로드를 수평으로 관통한 후 ㄱ자 형태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통조림캔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구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칼날을 이용하여 상기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하는 칼날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부 측면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상하부 경계부분에 형성된 톱니 방향에 따라 상기 칼날부재를 통해 상기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하도록 하는 제 2 손잡이
를 포함하는 통조림캔 오프너.
A main body having a first hollow portion insid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separated an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so that a boundary portion is formed in a ratchet fashion,
A pressure member which is relatively longer than a vertical length of the main body and inserted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hollow portion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econd hollow portion therein,
A tension rod that is relatively longer than a vertical length of the pressure member and is inserted and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hollow portion in the form of a circular rod having a head formed thereon,
And a fixing block which is fixedly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wherein the tension rod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formed vertically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pressure membe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ension ro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ension rod through a perforator rod. The lower portion of the tension rod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 A perforator for pier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and rotating the can at a predetermined angle,
A first fix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ide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ide surface of the tension rod, the first member being extended in an X-shape so that when the gripping force is applied, A first handle that provides a compression force and a tensile force to the tension rod to fix the tension ro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A carrier rod having a moving block movably coupled horizontally and extending horizontally on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blade fixed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block, wherein the blade has a blade fixed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lade rod, the blade rod extending horizontally and extending downwardly in a L- A blade member having a guide hole for guiding the side surface and cut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using the blade by rotating the carrier rod;
A second handle that is horizontal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repeatedly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cut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via the blade member along the tooth direction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boundaries of the main body,
And a can ope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부재는, 상부 외주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두 개의 고정턱의 사이에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조림캔 오프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ure member is provided with a spring between two fixing jaw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내부에 제 1 중공부를 가지며, 경계부분이 래칫 방식으로 형성되도록 상부와 하부로 분리 결합되어 있는 원통 형태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내부에 제 2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로 상기 제 1 중공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압력부재와,
상기 압력부재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상부에 헤드가 형성된 원형 로드 형태로 상기 제 2 중공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장로드와,
상기 압력부재의 상부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 끝단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인장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홈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지지구와,
상기 인장로드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며, 하부에 흡착패드가 구비되는 흡착판과,
상기 압력부재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제 1 고정구와 상기 인장로드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제 2 고정구에 각각 고정되며, X자 형태로 연장 구비되어 악력을 가할 경우 상기 압력부재 및 인장로드에 압축력과 인장력을 각각 제공하여 상기 흡착판을 통해 통조림캔의 상부면에 흡착 고정시키는 제 1 손잡이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측면에 수평으로 연장 구비되는 캐리어로드와,
상기 이동블록의 하부로 고정 결합된 칼날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칼날로드의 하부에 고정 결합된 칼날을 구비하고, 상기 칼날로드를 수평으로 관통한 후 ㄱ자 형태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통조림캔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구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칼날을 이용하여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하는 칼날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부 측면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상하부 경계부분에 형성된 톱니 방향에 따라 상기 칼날부재를 통해 통조림캔의 상부면을 절개하도록 하는 제 2 손잡이
를 포함하는 통조림캔 오프너.
A main body having a first hollow portion insid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separated an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so that a boundary portion is formed in a ratchet fashion,
A pressure member which is relatively longer than a vertical length of the main body and inserted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hollow portion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econd hollow portion therein,
A tension rod that is relatively longer than a vertical length of the pressure member and is inserted and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hollow portion in the form of a circular rod having a head formed thereon,
A support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and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on rod,
An adsorption plat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tension rod and having an adsorption pa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first fix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ide surface of the pressure memb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ide surface of the tension rod, the first member being extended in an X-shape to compress the pressure member and the tension rod, A first handle which is provided with a tensile force to be adsorbed and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by means of the adsorption plate,
A carrier rod having a moving block horizontally movably coupled, the carrier rod extending horizontally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blade connected fixedly to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lock, the blade having a blade fixed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lade rod, the blade rod extending horizontally and extending downwardly in a L- A blade member for cut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by rotating the carrier rod and using the blade,
A second handle that is horizontal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repeatedly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cut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through the blade member along the tooth direction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boundaries of the main body,
And a can ope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부재는, 상부 외주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두 개의 고정턱의 사이에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조림캔 오프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essure member is provided with a spring between two fixing jaw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KR20130074807A 2013-06-27 2013-06-27 Can opener KR101489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807A KR101489073B1 (en) 2013-06-27 2013-06-27 Can ope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807A KR101489073B1 (en) 2013-06-27 2013-06-27 Can ope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93A KR20150001493A (en) 2015-01-06
KR101489073B1 true KR101489073B1 (en) 2015-02-04

Family

ID=5247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807A KR101489073B1 (en) 2013-06-27 2013-06-27 Can ope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0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4339A (en) * 2017-11-22 2018-03-20 无锡中环包装有限公司 A kind of wooden case opener
CN108017030A (en) * 2017-12-14 2018-05-11 潘兆坤 A kind of two-way rotating device and bottle opener
KR102113794B1 (en) 2018-12-03 2020-06-02 정주현 Multi easy ope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990A (en) 1998-08-31 2000-03-21 Pentel Kk Can lid opening device
KR20090051292A (en) * 2007-11-19 2009-05-22 한상오 Can opener
JP2011037452A (en) 2009-08-07 2011-02-24 Fukushima Seisakusho:Kk Pull tab opener
KR20120108873A (en) * 2011-03-26 2012-10-05 장은희 Cap bottle opener can be opened with one ha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990A (en) 1998-08-31 2000-03-21 Pentel Kk Can lid opening device
KR20090051292A (en) * 2007-11-19 2009-05-22 한상오 Can opener
JP2011037452A (en) 2009-08-07 2011-02-24 Fukushima Seisakusho:Kk Pull tab opener
KR20120108873A (en) * 2011-03-26 2012-10-05 장은희 Cap bottle opener can be opened with one h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93A (en)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073B1 (en) Can opener
CN204953763U (en) Perforating device of button
US200602365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jars
CN101734589A (en) Electric can opener
EP0748761A1 (en) Portable corkscrew with accessory to shear the caps on the neck of bottles
US3800345A (en) Champagne cork extractor and wire cutter
US9914227B2 (en) Opener device
CN109019477A (en) A kind of medical desktop ampoule bottle device for releasing closures
KR200462449Y1 (en) Apparatus for Opening of Can
US2486523A (en) Cam operated cap gripping wrench
CN109201964B (en) Electric wire shearing machine for electric appliance teaching experiment
EP2977181A1 (en) Bottom die lifting mechanism
CN201614272U (en) Ampoule cutter
CN201338936Y (en) Ampule opener for medical use
JP2016148125A5 (en)
CN211444987U (en) Ampoule opening device with adjustable
CN201128669Y (en) Opener for inner sealcap of medicine bottle
CN210286702U (en) Cutting tool for quickly opening medicine bottle
CN202114602U (en) Ampoule circular cutting device
CN204324849U (en) A kind of combined type bottle opener
CN214495652U (en) Simple opening device for ampoule bottle
US5410814A (en) Baby bottle nipple opener
CN107986211A (en) A kind of shirt rim bottle cap opener
JP2014181037A (en) Hole opening tool for cap
CN205835434U (en) A kind of bottle op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