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776B1 -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776B1
KR101488776B1 KR20130054610A KR20130054610A KR101488776B1 KR 101488776 B1 KR101488776 B1 KR 101488776B1 KR 20130054610 A KR20130054610 A KR 20130054610A KR 20130054610 A KR20130054610 A KR 20130054610A KR 101488776 B1 KR101488776 B1 KR 101488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unit
fram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557A (ko
Inventor
조범근
박재서
신희성
공석환
민경모
하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Priority to KR2013005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776B1/ko
Priority to PCT/KR2014/004087 priority patent/WO2014185657A1/ko
Publication of KR2014013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클라우드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저 대역 유닛(BBU: Base-band Unit)과 원격 무선 유닛(RRU: Remote Radio Unit)으로 분리형 기지국(중계국)이 구성되고, 기저 대역 유닛(BBU)과 원격 무선 유닛(RRU) 간에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디지털 광 신호를 직접 분기하여 무선신호 감시 또는 성능 분석에 이용하고자 하는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Wireless Signal In Cloud-RAN}
본 실시예는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저 대역 유닛(BBU: Base-band Unit)과 원격 무선 유닛(RRU: Remote Radio Unit)으로 분리형 기지국(중계국)이 구성되고, 기저 대역 유닛(BBU)과 원격 무선 유닛(RRU) 간에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디지털 광 신호를 직접 분기하여 무선신호 감시 또는 성능 분석에 이용하고자 하는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종래 무선신호 감시 및 성능 분석을 위해서는 일체형 기지국 또는 중계국에서 RF(Radio Frequency)부 또는 IF(Intermediate Frequency)부에서 무선신호를 커플링(Coupling)하여 동축케이블 등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무선신호 감시를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신호 감시 장치는 RF 신호에서 중간 주파수로 다운 컨버팅(Down-Converting)한 후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야 했다.
최근들어, 4세대 이동통신으로 진화하면서 클라우드 기반의 RAN(Radio Access Network)화 되면서, 종래의 일체형 기지국은 기저 대역 유닛(BBU)과 원격 무선 유닛(RRU)으로 나뉘어 분리형 기지국으로 발전하였다. 이때, 기저 대역 유닛(BBU)과 원격 무선 유닛(RRU)의 간의 프론트홀(Fronthaul)은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광 신호를 전송하므로 종래의 무선신호 감시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한편, 클라우드 기반의 RAN에서 무선신호를 감시하기 위해서는 RF 신호 처리부가 존재하는 원격 무선 유닛(RRU)이 설치된 모든 지역에서 RF 신호를 커플링하여 무선신호를 감시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 증가와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종래의 방식으로는 RF 신호를 입력 받아야 하기 때문에 순방향 무선신호 감시는 가능하지만, 단말기의 무선신호를 디지털 광 신호로 변환하여 기저 대역 유닛(BBU)에 전송하므로 원격 무선 유닛(RRU)에서는 역방향의 무선신호를 감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클라우드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저 대역 유닛(BBU)과 원격 무선 유닛(RRU)으로 분리형 기지국(중계국)이 구성되고, 기저 대역 유닛(BBU)과 원격 무선 유닛(RRU) 간에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디지털 광 신호를 직접 분기하여 무선신호 감시 또는 성능 분석에 이용하고자 하는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광 네트워크에서 입력된 광 신호를 분기하는 광 분기부; 상기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 상기 전기 신호의 디지털 구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인 프레임(Frame)으로부터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 데이터가 실리는 시점으로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레임 재정렬부; 상기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의 샘플링 횟수인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와 IQ(In-phase Quadrature)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샘플링 레이트,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각각 디지털 신호 처리한 신호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파장분할다중화(WDM)을 이용한 광 선로 공유 장치로부터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 상기 전기 신호의 디지털 구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인 프레임으로부터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 데이터가 실리는 시점으로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레임 재정렬부; 상기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의 샘플링 횟수인 샘플링 레이트와 IQ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샘플링 레이트,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각각 디지털 신호 처리한 신호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무선신호 감시 장치가 무선신호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 네트워크에서 입력된 광 신호를 분기하는 광 분기 과정; 상기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과정; 상기 전기 신호의 디지털 구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인 프레임으로부터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 데이터가 실리는 시점으로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레임 재정렬 과정; 상기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의 샘플링 횟수인 샘플링 레이트와 IQ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하는 추출 과정; 및 상기 샘플링 레이트,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각각 디지털 신호 처리한 신호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무선신호 감시 장치가 무선신호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 선로 공유 장치로부터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과정; 상기 전기 신호의 디지털 구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인 프레임으로부터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 데이터가 실리는 시점으로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레임 재정렬 과정; 상기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의 샘플링 횟수인 샘플링 레이트와 IQ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하는 추출 과정; 및 상기 샘플링 레이트,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각각 디지털 신호 처리한 신호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클라우드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저 대역 유닛(BBU)과 원격 무선 유닛(RRU)으로 분리형 기지국(중계국)이 구성되고, 기저 대역 유닛(BBU)과 원격 무선 유닛(RRU) 간에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디지털 광 신호를 직접 분기하여 무선신호 감시 또는 성능 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클라우드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저 대역 유닛(BBU)은 중앙 집중되어 있으며 각각의 원격 무선 유닛(RRU)와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때, 기저 대역 유닛(BBU)과 원격 무선 유닛(RRU) 간의 광케이블로부터 디지털 광 신호를 분기하여 무선 액세스 송수신 신호는 그대로 통과시켜 이동통신 서비스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입력된 디지털 광 신호에서 RF 신호로 표시해줌으로써 순방향 및 역방향 무선신호 감시 및 성능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종래의 무선신호 감시 장치와 달리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부품이 필요 없으므로 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저 대역 유닛(BBU)이 위치하는 중앙 집중국에 설치하여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의 회선을 모두 감시할 수 있게 하여 분리형 기지국의 이상 유무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원격 무선 유닛(RRU)에 RF 신호 감시가 불필요하며 이에 따르는 부가장치 사용을 억제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인 원격 무선 유닛(RRU)에서 전송되는 역방향 디지털 광 신호에는 단말기 신호와 간섭(Interference) 신호가 함께 전송되어 기지국 수신감도 저하 및 서비스 커버리지 축소, 데이터 처리량(Data Throughput)을 감소 시키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광 신호에서 RF 스펙트럼으로 표시해줌으로써 분리형 기지국/중계국 운용자가 역방향 무선신호 감시 및 성능 분석을 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서비스 문제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감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감시 장치가 무선 액세스 신호를 분석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감시 장치가 분산형 기지국에 적용된 도면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감시 장치가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에 적용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재정렬부와 추출부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제 1, 2, 3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감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는 광 분기부(110), 광전 변환부(120), 프레임 재정렬부(130), 추출부(140) 및 신호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제 1, 2, 3 실시예)에서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가 광 분기부(110), 광전 변환부(120), 프레임 재정렬부(130), 추출부(140) 및 신호 처리부(15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제 1, 2, 3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분산 기지국은 원격 기술을 채용하여 핵심 모듈로서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을 포함한다. 기저 대역 유닛(102)는 복수 개 원격 무선 유닛(104)과 연결된다. 기저 대역 유닛(102)은 가상 기지국 클러스터(Virtual BS Clust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 무선 유닛(104)과 광(Optical) 선로로 연결되어 있다. 원격 무선 유닛(104)은 단말기로 무선신호를 제공하며, 기저 대역 유닛(102)과 광 선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은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인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OBASI(Open Base Station Architecture Initiative) 및 ORI(Open Radio Interface) 중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RAN(Radio Access Network)에서의 분산 기지국 환경에서 동작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기반의 RAN에 적용되거나, 제 2 실시예에 따라 분산형 기지국의 프론트홀(Fronthaul)에 적용되거나 제 3 실시예에 따라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라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가 클라우드 기반의 RAN에 적용된 경우,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이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고,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 간에 광 분기부(110)가 설치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가 분산형 기지국의 프론트홀에 적용된 경우,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이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고,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 간에 광 분기부(110)가 설치된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따라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가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에 적용된 경우, 기저 대역 유닛(102)은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과 연결되며, 원격 무선 유닛(104)은 광선로 공유를 위한 역다중화 시스템과 연결되며,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의 클럭 재생부(및 신호 다중화)와 기저 대역 유닛(102)(또는 원격 무선 유닛(104)) 간에 광전 변환부(120)가 설치된다.
광 분기부(110)는 광 네트워크에서 입력된 광 신호를 분기한다. 광 분기부(110)는 광 신호를 분기하는 광탭으로 구현되며, 기 설정된 분기비율에 따라 광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한다. 즉, 광 분기부(110)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기반의 RAN에 적용된 경우,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 간에 설치된다. 또한, 광 분기부(110)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분산형 기지국의 프론트홀에 적용된 경우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 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광 분기부(110)는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인 CPRI, OBASI 및 ORI 중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 간에 광 신호를 분기한다. 여기서, CPRI는 공공 무선 인터페이스를 말하며, OBSAI는 공개 기지국 아키텍쳐를 말하며, ORI는 공개 무선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또한, 광 분기부(110)는 분산형 기지국의 프론트홀에서 복수의 광 신호를 분기한다.
광전 변환부(120)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광전 변환부(120)는 광학 구조의 그 외의 구조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광 신호를 전기 신호 또는 그 역으로 변환시킨다. 한편,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변환부(120)는 광 선로 공유 장치로부터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즉, 광전 변환부(120)는 제 3 실시예에 따라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에 적용된 경우, 기저 대역 유닛(102)은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과 연결되며, 원격 무선 유닛(104)은 광선로 공유를 위한 역다중화 시스템과 연결되며,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의 클럭 재생부(및 신호 다중화)와 기저 대역 유닛(102)(또는 원격 무선 유닛(104)) 간에 설치된다.
프레임 재정렬부(130)는 전기 신호의 디지털 구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인 프레임(Frame)으로부터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프레임 내에 데이터가 실리는 시점으로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 프레임을 한 단위로 하여 정보를 묶어서 전송하므로, 프레임 재정렬부(130)에서 프레임으로부터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프레임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프레임 내에 데이터가 실리는 지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프레임 재정렬부(130)는 광전 변환부(120)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출력하고, 역다중화된 신호와 주파수 및 위상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수신동기 클럭신호(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 재정렬부(130)는 프레임의 시작 지점을 기준으로 하는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출력하며, 리프레임된 데이터의 비트를 처리하여 정상여부를 체크하며, 체크 결과에 의하여 확인된 손실 상태를 설정하여 출력한다. 또한, 프레임 재정렬부(130)는 프레임 내의 신호가 다중 FA(Multiple Frequency Allocation) 또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데이터인 경우, FA 단위의 Tx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을 분리하여 추출부(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MIMO는 다중입출력을 말한다.
추출부(140)는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의 샘플링 횟수인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추출하고, IQ(In-phase Quadrature)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한다. 즉, 추출부(140)는 리프레임된 데이터에서 샘플링 레이트 및 IQ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후 추출부(140)는 IQ 데이터의 시작 시점 또는 비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I 데이터는 동일위상 성분(In-Phase Component)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말하며, Q 데이터는 직교위상 성분(Quadrature-Phase Component)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말한다. 즉, IQ데이터는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기저대역으로 복조하여 동일위상 성분(In-Phase Component)으로 이루어지는 I 데이터 및 직교위상 성분(Quadrature-Phase Component)으로 이루어지는 Q 데이터를 형성한 데이터를 말한다.
또한, 추출부(140)는 IQ 데이터를 소정 채널씩 다수 그룹으로 분배하고 분배된 각 그룹별 IQ 데이터들을 디지털 광 변환한 후 광케이블을 통해 장치로 광전송하거나, 다수 장치들로부터 역방향 광전송된 각 그룹별 신호를 프레임 재정렬부(130)로 역방향 광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샘플링 레이트는 이산적인 신호를 만들기 위해 연속적 신호에서 얻어진 단위시간(주로 초)동안 샘플링 횟수를 정의한다. 한편, 제 2 실시예에 따른 추출부(140)는 샘플링 데이터와 IQ 데이터를 두 개의 블럭으로 분리시킨 후 IQ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150)로 전송하여 무선신호의 성능 분석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거나 IQ 데이터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C)로 전송하여 외부 아날로그 신호로 제공되도록 한다.
신호 처리부(150)는 샘플링 레이트, IQ 데이터를 각각 디지털 신호 처리한 신호 처리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150)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말한다. 즉, 신호 처리부(150)는 디지털 신호를 기계장치가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집적회로를 말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부(150)는 고속 연산,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신호를 디지털화 하는 음성 코딩, 디지털 이동통신, 자동 응답기 및 화상 전화기, 멀티미디어에 이용될 수 있다. 감시부(160)는 신호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RF 스펙트럼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RF 성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감시부(160)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 내에 포함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도 2는 본 실시예(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광 분기부(110)는 광 네트워크에서 입력된 광 신호를 분기한다(S210). 단계 S210에서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광 분기부(110)는 광 신호를 분기하는 광탭으로 구현되며, 기 설정된 분기비율에 따라 광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한다. 즉, 광 분기부(11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기반의 RAN에 적용된 경우,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 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광 분기부(110)는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인 CPRI, OBASI 및 ORI 중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 간에 광 신호를 분기한다.
단계 S210 이후 광전 변환부(120)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변환부(120)는 광 선로 공유 장치로부터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프레임 재정렬부(130)는 전기 신호의 디지털 구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인 프레임으로부터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S220). 단계 S220에서, 디지털 전송 시스템은 일정한 주기를 갖는 프레임을 한 단위로 하여 정보를 묶어서 전송하므로, 프레임 재정렬부(130)에서 프레임으로부터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프레임 재정렬부(130)는 검출된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프레임 내에 데이터가 실리는 시점으로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출력한다(S230). 단계 S230에서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프레임 재정렬부(130)는 프레임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프레임 내에 데이터가 실리는 지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프레임 재정렬부(130)는 광전 변환부(120)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출력하고, 역다중화된 신호와 주파수 및 위상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수신동기 클럭신호(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 재정렬부(130)는 프레임 내의 신호가 다중 FA 또는 MIMO 데이터인 경우, FA 단위인 Tx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여 추출부(140)로 전송한다.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추출부(140)는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동안의 샘플링 횟수인 샘플링 레이트를 추출하고, IQ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한다(S240). 즉, 단계 S240에서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추출부(140)는 리프레임된 데이터에서 샘플링 레이트 및 IQ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후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추출부(140)는 IQ 데이터의 시작 시점 또는 비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40에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추출부(140)는 샘플링 데이터와 IQ 데이터를 두 개의 블럭으로 분리시킨 후 IQ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150)로 전송하여 무선신호의 성능 분석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거나 IQ 데이터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C)로 전송하여 외부 아날로그 신호로 제공되도록 한다.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신호 처리부(150)는 샘플링 레이트, IQ 데이터를 각각 디지털 신호 처리한 신호 처리 데이터를 생성한다(S250).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감시부(160)는 신호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RF 스펙트럼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RF 성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S260).
도 2에서는 단계 S210 내지 단계 S2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2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210 내지 단계 S26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분석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분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감시 장치가 무선 액세스 신호를 분석하는 도면이다.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무선 액세스 신호에서 RF 스펙트럼 표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클라우드 기반의 RAN에서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이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고,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 간에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광 분기부(110)인 '광 탭(Optical Tap)'이 설치된다.
①.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광 분기부(110)인 '광 탭'에서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 사이의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CPRI, OBASI, ORI)로부터 디지털 광 신호를 분기한다.
②.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광전 변환부(120)인 'O/E 변환부'에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③.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프레임 재정렬부(130)인 '리프레이머(Reframer)'에서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를 통해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리프레이머'는 무선 신호가 다중 FA 또는 MIMO인 경우 다중 TX 데이터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여 프레임을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추출부(140)인 'IQ 서쳐(Searcher)'로 신호를 전송한다.
④.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추출부(140)인 'IQ 서쳐'는 디지털 변조된 무선신호의 샘플링 레이트와 IQ 데이터를 추출한다.
⑤.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신호 처리부(150)인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는 'IQ 서쳐'로부터 샘플링 레이트와 IQ 데이터를 수신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한다. 이후 감시부(160)에서 RF 스펙트럼으로 표현하거나 코드 도메인 파워(Code Domain Power), EVM(Error Vector Magnitude) 또는 트래픽 분석이 가능한 무선신호 성능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형 기지국 및 중계국 운용자에게 무선신호 감시 및 성능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 국사에 가지 않고 원격에서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또는 웹(Web)을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감시 장치가 분산형 기지국에 적용된 도면이다.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분산형 기지국의 프론트홀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또는 성능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클라우드 기반의 RAN에서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이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고,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 간에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광 분기부(110)인 '광 탭'이 설치된다.
①.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광 분기부(110)인 '광 탭'에서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 사이의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CPRI, OBASI, ORI)로부터 디지털 광 신호를 분기한다.
②.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광전 변환부(120)인 'O/E 변환부'에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③.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프레임 재정렬부(130)인 '리프레이머'에서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를 통해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리프레이머'는 무선 신호가 다중 FA 또는 MIMO인 경우 다중 TX 데이터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여 프레임을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추출부(140)인 'IQ 서쳐'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리프레이머'는 분산형 기지국에 적용된 경우 디지털 신호에서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④.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추출부(140)인 'IQ 서쳐'는 디지털 변조된 무선신호의 디지털 변조된 샘플링 레이트와 IQ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IQ 서쳐'가 분산형 기지국에 적용된 경우 디지털 변조된 무선신호의 샘플링 레이트와 IQ 데이터를 추출하고, 두 개의 블록으로 분리시킨다. 이후 첫 번째 동작으로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추출부(140)인 'IQ 서쳐'는 기저 대역 IQ 데이터를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신호 처리부(150)인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로 전송하여 신호 처리 후 RF 스펙트럼으로 표현 및 성능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두 번째 동작으로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추출부(140)인 'IQ 서쳐'는 기저 대역 IQ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로 전송하고, IQ 변조기(Modulator)를 이용하여 RF 및 IF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에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해 주어 스펙트럼 아날라이저(Spectrum Analyzer)와 같은 무선신호 분석 계측기와 연결할 있도록 한다.
⑤.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신호 처리부(150)인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는 'IQ 서쳐'로부터 샘플링 레이트와 IQ 데이터를 수신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한다. 이후 감시부(160)에서RF 스펙트럼으로 표현하거나 코드 도메인 파워, EVM 또는 트래픽 분석이 가능한 무선신호 성능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형 기지국 및 중계국 운용자에게 무선신호 감시 및 성능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 국사에 가지 않고 원격에서 EMS 또는 웹을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감시 장치가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에 적용된 도면이다.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또는 성능 분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기저 대역 유닛(102)은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과 연결되며, 원격 무선 유닛(104)은 '광선로 공유를 위한 역다중화 시스템'과 연결된다.
이때,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과 '광선로 공유를 위한 역다중화 시스템'은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고,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의 클럭 재생부(및 신호 다중화)와 기저 대역 유닛(102)(또는 원격 무선 유닛(104)) 간에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광전 변환부(120)인 'O/E 변환부'가 설치된다.
①.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광전 변환부(120)인 'O/E 변환부'에서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광 선로 공유 장치)으로부터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즉,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의 센터부(COT: Central Office Terminal)에 연결된 기저 대역 유닛(102)의 개방형 무선 액세스망 디지털 광신호를 파장 변환 또는 디지털 신호 대용량 다중화부(디지털 써밍)에서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이러한 디지털 신호를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프레임 재정렬부(130)인 '리프레이머'로 전송한다.
②.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프레임 재정렬부(130)인 '리프레이머'에서 전기적인 디지털 신호를 통해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리프레이머'는 무선 신호가 다중 FA 또는 MIMO인 경우 다중 TX 데이터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여 프레임을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추출부(140)인 'IQ 서쳐'로 신호를 전송한다.
③.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추출부(140)인 'IQ 서쳐'는 디지털 변조된 무선신호의 샘플링 레이트와 IQ 데이터를 추출한다.
④.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의 신호 처리부(150)인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는 'IQ 서쳐'로부터 샘플링 레이트와 IQ 데이터를 수신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한다. 이후 감시부(160)에서RF 스펙트럼으로 표현하거나 코드 도메인 파워, EVM 또는 트래픽 분석이 가능한 무선신호 성능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형 기지국의 기저 대역 유닛(102)과 원격 무선 유닛(104)간 무선 액세스 디지털 광 신호의 광선로 공유를 위한 파장분할다중화(WDM) 시스템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또는 성능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선로 공유를 위한 역다중화 시스템인 리모트부(RT: Remote Terminal)에서도 전술한 방법으로 무선신호 감시 또는 성능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무선신호 감시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 국사에 가지 않고 원격에서 EMS 또는 웹을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재정렬부와 추출부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프레임 재정렬부(130)는 일종의 프레임 추출부로서 CDR(Clock and Data Recovery)(610) 및 리프레이머(620)를 포함한다. CDR(610)은 수신 신호에서 클럭과 데이터를 분리한다. 즉, CDR(610)은 수신 신호에서 클럭과 데이터를 분리한 CDR 블럭을 생성한다. 이후, 리프레이머(620)는 CDR 블록 내의 전달된 데이터에서 정상적인 프레임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리프레이머(620)는 CPRI 신호, OBSAI 신호, ORI 신호에 대한 정상적인 프레임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비정상 프레임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리프레이머(620)는 CDR 설정을 변경하도록 한다. 이때, 리프레이머(620)는 정상적인 프레임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신호비(Signal Rate) 재설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CDR(610)을 제어할 수 있다.
추출부(140)는 일종의 IQ 서쳐(Searcher)'로서 IQ 디매퍼(IQ 서쳐)(630), IQ 신호분석부(640), 제 1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1)(650)를 포함한다. IQ 디매퍼(IQ 서쳐)(630)는 리프레이머 블록에서 추출한 페이로드(Payload Data)에서 IQ 신호를 추출한다. 또한, IQ 디매퍼(IQ 서쳐)(630)는 IQ 신호의 채널 대역폭, 샘플레이트, 신호비트 크기를 조정하며, 채널 대역폭, 샘플레이트, 신호비트 크기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한다. IQ 신호분석부(640)는 추출된 IQ 신호를 다중 FA 신호로 배열한다. 제 1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1)(650)는 다중 FA 신호의 SNR 특성을 확인하여, 정상 신호인지 판단한다. 이때, 제 1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1)는 신호대잡음비(SNR) 특성이 비정상적인 경우, IQ 디매퍼 블록으로 회귀하여 IQ 신호를 재배열(채널 대역폭, 샘플레이트, 신호비트 크기 조정)한다.
신호 처리부(150)는 제 2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는 신호 성능분석을 수행하며, 제 1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1)(650)에서의 출력이 정상적인 범위의 신호대자입비(SNR)를 확보한 경우, 신호의 성능을 분석한다. 이때, 제 2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는 신호분석으로 EVM, 코드 도메인 파워(Code Domain Power), 주파수 영역의 스펙트럼 등의 특성을 분석한다. 여기서, 제 2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는 분석된 특성 결과는 그래픽(Graphic Data)로 처리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선신호 감시 장치 102: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
104: 원격 무선 유닛 110: 광 분기부
120: 광전 변환부 130: 프레임 재정렬부
140: 추출부 150: 신호 처리부
160: 감시부

Claims (13)

  1. 광 네트워크에서 입력된 광 신호를 분기하는 광 분기부;
    상기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
    상기 전기 신호의 디지털 구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인 프레임(Frame)으로부터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 데이터가 실리는 시점으로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레임 재정렬부;
    상기 리프레임된 데이터에서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 및 IQ(In-phase Quadrature)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샘플링 레이트 및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각각 디지털 신호 처리한 신호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는 상기 리프레임된 데이터에서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하는 IQ 디매퍼;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다중 FA 신호로 배열하는 IQ 신호분석부; 상기 다중 FA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 특성을 이용하여 정상 여부를 확인하는 제 1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IQ 디매퍼는 상기 제 1 신호 처리부의 확인결과 상기 다중 FA 신호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의 채널 대역폭, 상기 샘플링 레이트, 신호비트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RF 스펙트럼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RF 성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시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기부는,
    상기 광 신호를 분기하는 광탭으로 구현되며, 기 설정된 분기비율에 따라 상기 광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기부는,
    개방형 무선 인터페이스인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OBASI(Open Base Station Architecture Initiative) 및 ORI(Open Radio Interface) 중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기저 대역 유닛(BBU: Base Band Unit)과 원격 무선 유닛(RRU: Remote Radio Unit) 간에 상기 광 신호를 분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기부는,
    분산형 기지국의 프론트홀(Fronthaul)에서 복수의 상기 광 신호를 분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샘플링 레이트와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두 개의 블럭으로 분리시킨 후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여 무선신호의 성능 분석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거나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C)로 전송하여 외부 아날로그 신호로 제공되도록 하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재정렬부는,
    상기 프레임의 시작 지점을 추출하고, 상기 시작 지점을 기준으로하는 상기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리프레임된 데이터의 비트를 처리하여 정상여부를 체크하며, 상기 체크 결과에 의하여 확인된 손실 상태를 설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재정렬부는,
    상기 프레임이 다중 FA(Multiple Frequency Allocation) 또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데이터인 경우, FA 단위인 Tx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을 분리하여 상기 추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
  9. 파장분할다중화(WDM)을 이용한 광 선로 공유 장치로부터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
    상기 전기 신호의 디지털 구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인 프레임으로부터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 데이터가 실리는 시점으로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레임 재정렬부;
    상기 리프레임된 데이터에서 샘플링 레이트 및 IQ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샘플링 레이트 및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각각 디지털 신호 처리한 신호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는 상기 리프레임된 데이터에서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하는 IQ 디매퍼;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다중 FA 신호로 배열하는 IQ 신호분석부; 상기 다중 FA 신호의 SNR 특성을 이용하여 정상 여부를 확인하는 제 1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IQ 디매퍼는 상기 제 1 신호 처리부의 확인결과 상기 다중 FA 신호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의 채널 대역폭, 상기 샘플링 레이트, 신호비트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변환부는,
    상기 광선로 공유 장치의 클럭 재생부와 기저 대역 유닛(BBU) 또는 원격 무선 유닛(RRU) 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장치.
  11. 무선신호 감시 장치가 무선신호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 네트워크에서 입력된 광 신호를 분기하는 광 분기 과정;
    상기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과정;
    상기 전기 신호의 디지털 구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인 프레임으로부터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 데이터가 실리는 시점으로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레임 재정렬 과정;
    상기 리프레임된 데이터에서 샘플링 레이트 및 IQ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하는 추출 과정; 및
    상기 샘플링 레이트 및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각각 디지털 신호 처리한 신호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과정
    을 포함하되, 상기 추출 과정은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다중 FA 신호로 배열하며, 상기 다중 FA 신호의 SNR 특성을 이용하여 정상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다중 FA 신호가 비정상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의 채널 대역폭, 상기 샘플링 레이트, 신호비트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RF 스펙트럼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RF 성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시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방법.
  13. 무선신호 감시 장치가 무선신호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 선로 공유 장치로부터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과정;
    상기 전기 신호의 디지털 구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인 프레임으로부터 동기 클럭과 프레임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의해 상기 프레임 내에 데이터가 실리는 시점으로 리프레임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레임 재정렬 과정;
    상기 리프레임된 데이터에서 샘플링 레이트 및 IQ 데이터열 그룹을 추출하는 추출 과정; 및
    상기 샘플링 레이트 및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각각 디지털 신호 처리한 신호 처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과정
    을 포함하되, 상기 추출 과정은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을 다중 FA 신호로 배열하며, 상기 다중 FA 신호의 SNR 특성을 이용하여 정상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다중 FA 신호가 비정상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IQ 데이터열 그룹의 채널 대역폭, 상기 샘플링 레이트, 신호비트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 감시 방법.
KR20130054610A 2013-05-14 2013-05-14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 KR101488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610A KR101488776B1 (ko) 2013-05-14 2013-05-14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4087 WO2014185657A1 (ko) 2013-05-14 2014-05-08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610A KR101488776B1 (ko) 2013-05-14 2013-05-14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557A KR20140134557A (ko) 2014-11-24
KR101488776B1 true KR101488776B1 (ko) 2015-02-04

Family

ID=5189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4610A KR101488776B1 (ko) 2013-05-14 2013-05-14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8776B1 (ko)
WO (1) WO20141856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0510A (zh) * 2016-08-26 2016-12-14 武汉锐科光纤激光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可无线传输监控信号的激光光纤传输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837B1 (ko) * 2014-12-24 2016-03-23 주식회사 쏠리드 파장 가변 레이저를 이용한 광선로 검사기
EP3480972A4 (en) * 2016-07-01 2019-07-17 Nec Corporation RELAY DEVI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ONITORING INFORMATION
KR102539759B1 (ko) 2016-11-29 2023-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프론트 홀을 이용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US11490456B2 (en) * 2020-02-28 2022-11-01 Viettel Group Automatic analysis and warning method of optical connection between BBU combination and RRU of radio st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4704A (en) * 1996-06-17 1998-06-09 Symmetricom, Inc. DSP implementation of a cellular base station receiver
JP3564699B2 (ja) * 2000-04-13 2004-09-15 日本電気株式会社 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信号伝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61388C (en) * 2009-07-27 2016-12-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istributed base st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4704A (en) * 1996-06-17 1998-06-09 Symmetricom, Inc. DSP implementation of a cellular base station receiver
JP3564699B2 (ja) * 2000-04-13 2004-09-15 日本電気株式会社 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信号伝送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0510A (zh) * 2016-08-26 2016-12-14 武汉锐科光纤激光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可无线传输监控信号的激光光纤传输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557A (ko) 2014-11-24
WO2014185657A1 (ko)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595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unified compression framework of baseband signals
US9866327B2 (en) Distributed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base band unit, remote radio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distributed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KR101488776B1 (ko)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
KR102144964B1 (ko) 디지털 맵핑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986964B1 (ko) 고성능 이동 프런트홀을 위한 임베딩된 제어 신호에 의한 캐스케이드 파형 변조
JP2018516501A (ja) 異なる多値変調フォーマットを使用するアナログ信号および制御ワードのデジタル表現
CN109963290B (zh) 多业务室内覆盖系统及工作方法
US89237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PRI signal by means of coaxial line
JP5821587B2 (ja) 無線装置、無線制御装置、および同期確立方法
KR20160106996A (ko)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무선 광섬유로 디지털 유닛과 통신을 위한 원격 무선 유닛
JP4951537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方法
CN109417395B (zh) 一种数据发送、接收的方法、设备以及数据传输系统
EP253343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JP5359130B2 (ja) 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装置及び外部インターフェース信号装置
CN113726435B (zh) 一种应用于多服务ddas系统的高效率前传网络传输方法
US20240154714A1 (en) Relay system,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switching method
KR20170051262A (ko) RoF 광전송 시스템
JP2004328344A (ja) 無線基地局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無線基地局装置と無線送受信部と、その遠隔アンテナ信号伝送制御方法
KR101446432B1 (ko) 분산형 통신시스템
US2021018560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i et al. High-efficient Multi-carrier Combination and Division Algorithm for Multi-service DRoF System
JP2016163267A (ja) 無線基地局装置、基地局システム及びベースバンドユニット
CN115412181A (zh) 一种基于手持终端的高铁gsm-r信号检测方法及系统
CN105763261A (zh) 一种基于激光器加载调制的载波通讯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