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759B1 -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 Google Patents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759B1
KR101488759B1 KR20130059559A KR20130059559A KR101488759B1 KR 101488759 B1 KR101488759 B1 KR 101488759B1 KR 20130059559 A KR20130059559 A KR 20130059559A KR 20130059559 A KR20130059559 A KR 20130059559A KR 101488759 B1 KR101488759 B1 KR 101488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ing
light
led
be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209A (ko
Inventor
손동석
장석종
Original Assignee
손동석
장석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동석, 장석종 filed Critical 손동석
Priority to KR20130059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759B1/ko
Publication of KR2014013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1/18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지를 포함한 구동회로와 LED로 이루어진 조명수단을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내부에 설치하되 LED의 상부측인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상부 중심에 폐병을 활용한 폐병 취침등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비용의 부담이 없는 인테리어 소품이나 무드등 및 취침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지되 측면에는 내부의 열기를 방열시키는 방열공이 다수 형성된 상부측이 개방된 일정 크기의 취침등 지지용 좌대;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내측 하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동용 전지와 온/오프(On/Off) 스위치가 구비된 구동회로; 구동회로의 회로기판 상부에 설치되어 온/오프(On/Off) 스위치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LED;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LED 투사공의 주위로 단턱 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된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의 LED 투사공 상에 병목의 삽입에 의해 안착부 상에 안착 지지되어지되 외주면 상에는 무늬가 형성된 한지나 간접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간지가 부착된 폐병을 활용한 폐병 취침등; 및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내측면에서 방열공을 커버하여 LED의 빛이 방열공을 통해 외부로 직접적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빛샘방지커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Devices such as interior combine to bed}
본 발명은 폐기된 투명 또는 반투명한 링거병이나 음료병 및 술병 등을 이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지를 포함한 구동회로와 LED로 이루어진 조명수단을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내부에 설치하되 LED의 상부측인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상부 중심에 폐병을 활용한 폐병 취침등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장식이나 무드등 및 취침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실내용 조명으로는 백열전구나 형광램프 및 발광 다이오드 램프 등이 조명기구와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백열전구는 비교적 낮은 가격에 제조가 가능하고, 사용시 쉽게 교체가 가능하고, 조명기구로서 밝기 조절이 쉬운 장점이 있으나 광출력에 대한 에너지 효율이 낮고 제품수명이 짧아 형광램프 또는 엘이디 램프로 대체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형광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는 광출력에 대한 에너지 효율이 좋으나 밝기조절을 위하여는 조명기구의 회로구성이 복잡해져 제조비용이 증가한다. 특히, 발광 다이오드 램프의 경우 제조비용이 매우 높아서 아직은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야간 취침용 조명기구는 취침 전후 또는 취침 중간에 깨어있을 때 눈부심이 없어야 하나 백열전구 또는 형광램프는 발광 면적이 적어 램프를 직접보았을 때 눈부심이 발생하고, 스탠드 등기구처럼 반사갓을 사용할 때는 스탠드 주변의 좁은 면적만 비추게 되어 활동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야간 취침용 조명기구는 스탠드 타입 또는 벽체 소켓에 직접 끼워 사용하는 플러그인(Plug-In) 타입의 취침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야간 취침용 조명기구 중 스탠드 타입은 일반 조명과 야간 취침용 조명이 함께 형성되는 경우가 있고, 이때 야간 취침용 조명은 직접조명 방식으로서 앞서 설명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전술한 야간 취침용 조명기구 중 플러그 인 타입 취침등은 간접조명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일부 있으나, 취침등 전체를 구입하여야 하므로 소비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취침용 조명기구는 대체적으로 실내의 장식 효과를 가미하기 때문에 화려하고 고급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용적인 면에서 매우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취침용 조명기구는 다양하게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바꾸어가면서 활용하기에는 매우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5391호(2012.02.21.자 공개)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0617호(2004.06.02.자 공고) 특허문헌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4407호(2006.03.16.자 공개) 특허문헌 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069호(2012.05.02.자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지를 포함한 구동회로와 LED로 이루어진 조명수단을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내부에 설치하되 LED의 상부측인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상부 중심에 폐병을 활용한 폐병 취침등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비용의 부담이 없는 인테리어 소품이나 무드등 및 취침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인테리어 소품이나 무드등 및 취침등으로 폐링거병이나 폐음료병 및 폐술병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버려지는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간접적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폐병을 활용한 폐병 취침등을 다양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통해 인테리어 소품이나 무드등 및 취침등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함에 그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지되 측면에는 내부의 열기를 방열시키는 방열공이 다수 형성된 상부측이 개방된 일정 크기의 취침등 지지용 좌대;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내측 하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동용 전지와 온/오프(On/Off) 스위치가 구비된 구동회로; 구동회로의 회로기판 상부에 설치되어 온/오프(On/Off) 스위치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LED;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LED 투사공의 주위로 단턱 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된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의 LED 투사공 상에 병목의 삽입에 의해 안착부 상에 안착 지지되어지되 외주면 상에는 무늬가 형성된 한지나 간접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간지가 부착된 폐병을 활용한 폐병 취침등; 및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내측면에서 방열공을 커버하여 LED의 빛이 방열공을 통해 외부로 직접적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빛샘방지커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상단에 대응하는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의 하부측 테두리에는 삽입 결합홈이 형성되어 취침등 지지용 좌대 상단의 삽입에 의해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상부측에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하부측에는 측방향으로 입출되어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여 유동이나 기타의 충격에 의해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좌대 지지용 다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구동회로의 LED를 포함한 회로기판의 상부를 커버하여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구형의 투명한 방수커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상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LED 투사공과 LED 투사공의 주위에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구성으로 형성된 계단식 안착부 및 계단식 안착부의 최상부로부터 LED 투사공 끝단에까지 등간격으로 형성된 절개라인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크기의 폐병을 활용한 폐병 취침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어댑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전지를 포함한 구동회로와 LED로 이루어진 조명수단과 폐병을 활용한 폐병 취침등을 통해 간접적인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의 부담이 없이 인테리어 소품이나 무드등 및 취침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인테리어 소품이나 무드등 및 취침등으로 폐링거병이나 폐음료병 및 폐술병을 활용할 함으로써 버려지는 자원을 재활용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간접적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폐병을 활용한 폐병 취침등을 다양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통해 식상하거나 새로운 연출을 하고자 하는 경우 인테리어 소품이나 무드등 및 취침등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폐병을 분리하여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폐병을 결합하여 보인 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폐병의 안착 상태를 변경하여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좌대 지지용 다리 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좌대 지지용 다리 구조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좌대 지지용 다리 구조를 이용한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의 지지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보조 어댑터의 다른 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보조 어댑터의 다른 구조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보조 어댑터를 이용한 폐병의 지지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d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보조 어댑터를 이용한 다른 폐병의 지지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의 연출을 보인 참고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폐병을 분리하여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폐병을 결합하여 보인 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폐병의 안착 상태를 변경하여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10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지되 측면에는 내부의 열기를 방열시키는 방열공(112)이 다수 형성된 상부측이 개방된 일정 크기의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내측 하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회로기판(122)의 일측에 구동용 전지(도시하지 않음)와 온/오프(On/Off) 스위치(124)가 구비된 구동회로(120), 구동회로(120)의 회로기판(122) 상부에 설치되어 온/오프(On/Off) 스위치(124)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LED(130),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LED 투사공(142)의 주위로 단턱 형태의 안착부(144)가 형성된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의 LED 투사공(142) 상에 병목(152)의 삽입에 의해 안착부(144) 상에 안착 지지되어지되 외주면 상에는 무늬가 형성된 한지나 간접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간지(156)가 부착된 폐병을 활용한 폐병 취침등(150) 및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내측면에서 방열공(112)을 커버하여 LED(130)의 빛이 방열공(112)을 통해 외부로 직접적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빛샘방지커버(16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100)는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를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상부측에 결합 고정시킨 상태에서 구동회로(120)의 온/오프(On/Off) 스위치(124)를 온(On) 상태로 하여 LED(130)를 점등시킨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회로(120)의 온/오프(On/Off) 스위치(124)를 온(On) 상태로 하여 LED(130)를 점등시킨 다음에는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가 상부측에 결합 고정된 상태의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를 탁자나 책상 또는 협탁 위에 올려놓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를 탁자나 책상 또는 협탁 위에 올려놓은 다음에는 링거병이나 음료병 및 술병 등의 폐병을 재활용한 폐병 취침등(150)의 병목(152)을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의 LED 투사공(142) 상에 삽입하여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병목(152) 아래의 윙(154) 부분이 안착부(144)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폐병 취침등(150)을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의 LED 투사공(142)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폐병 취침등(150)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폐병 취침등(150)의 병목(152)을 옥죌 수 있도록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를 고무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100)는 폐병을 활용함으로써 실내의 인테리어 소품은 물론, 간접적인 빛이 발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통해 무드등이나 취침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취침등은 기존의 취침등에 비해 월등히 값싼 비용으로 다양하게 연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는 폐병 취침등(15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지되 측면에는 내부의 열기를 방열시키는 방열공(112)이 다수 형성된 상부측이 개방된 일정 크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형태는 원통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원뿔형, 사각뿔, 오각뿔, 육각뿔 및 팔각뿔 등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당영하다. 이때, 이처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는 LED(130)의 발열로 인하여 내부 공간 상의 열기를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공(112)이 측면 상에 다수 형성되어진다. 이때, 열기를 상향으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방열공(112)은 대체적으로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측면 상부측에 관통 형성시킴이 보다 양호하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동회로(120)는 LED(130)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동회로(120)는 도 1,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내측 하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회로기판(122)의 일측에 구동용 전지(도시하지 않음)와 온/오프(On/Off) 스위치(124)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구동회로(120)는 LED(130)를 온/오프(On/Off)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On/Off) 스위치(124)가 회로기판(122)의 하부측에 구성되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내측 하부면 중심부 상에 설치 고정되어진다. 이때,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하부는 일정 크기로 구멍(114)이 형성되어 온/오프(On/Off) 스위치(124)가 하부로 노출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구동회로(120)는 일반 가정용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용 전지를 사용함으로써 어떠한 장소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100)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구동용 전지는 리튬 이온전지와 같이 수명이 긴 전지를 사용하였고, 사용 후에는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LED(130)는 전기적인 인가에 의해 빛을 발하는 것으로, 이러한 LED(130)는 도 1,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회로(120)의 회로기판(122) 상부에 설치되어 온/오프(On/Off) 스위치(124)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LED(130)의 사용과 구동용 전지로 리튬 이온전지를 사용함으로써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100)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함은 물론, 구동용 전지의 사용 수명을 극대화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는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상부측으로 폐병 취침등(150)을 안착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LED 투사공(142)의 주위로 단턱 형태의 안착부(144)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는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상단에 대응하는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의 하부측 테두리 상에 삽입 결합홈(146)이 형성되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 상단의 삽입에 의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상부측에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는 LED 투사공(142)을 포함한 안착부(144)로 삽입 지지되는 폐병 취침등(1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고무 재질의 탄성력을 통해 LED 투사공(142)으로 삽입되는 폐병 취침등(150)의 병목(142)을 옥죄어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폐병 취침등(150)의 병목(142) 하부인 윙(154) 부분을 안착부(144)를 통해 지지함으로써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는 폐병 취침등(1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의 안착부(144)는 폐병 취침등(150)의 바닥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폐병 취침등(150)의 바닥을 안착시키는 경우에도 단턱 형태의 안착부(144)를 통해 폐병 취침등(1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는 도 1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폐병 취침등(150)을 거꾸로 결합 지지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병 취침등(150)을 올바로 결합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폐병 취침등(150)은 LED(130)의 조명에 의한 빛을 간접적으로 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폐병 취침등(15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의 LED 투사공(144) 상에 병목(152)의 삽입에 의해 안착부(144) 상에 안착 지지되어지되 외주면 상에는 무늬가 형성된 한지나 간접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간지(156)가 부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폐기되는 링거병이나 음료병 및 술병 등의 폐병을 재활용한다는 목적하에 취침등으로 폐기되는 링거병이나 음료병 및 술병 등의 폐병을 취침등(150)으로 재활용하였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폐병 취침등(150)은 폐기되는 링거병이나 음료병 및 술병 등의 폐병을 깨끗이 세척하여 조명빛이 직접적으로 새지 않도록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한지나 간지(156)를 폐병의 외주면 상에 부착하여 구성하였다. 이때, 폐병의 입구와 바닥에는 한지나 간지(156)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빛이 직접적으로 새지 않도록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한지나 간지(156)를 폐병의 외주면 상에 부착하게 되면 LED(130)에 의한 조명빛이 한지나 간지(156)에 의해 은은하게 새어나와 폐병 취침등(150)을 무드등이나 취침등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빛샘방지커버(160)는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에 형성된 방열공(112)을 통해 LED(130) 조명빛이 직접적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빛샘방지커버(16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내측면에서 방열공(112)을 커버하여 LED(130)의 빛이 방열공(112)을 통해 외부로 직접적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빛샘방지커버(160)는 상부면이 방열공(112)의 상부측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내측면 상에 부착 고정된 상태로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 내부에 발생한 열기가 방열공(112)을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방열될 수 있도록 하부와 양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LED(130) 조명빛이 방열공(112)을 통해 외부로 직접적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하는 점이 중요하다.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좌대 지지용 다리 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좌대 지지용 다리 구조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좌대 지지용 다리 구조를 이용한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의 지지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 는 도 1 내지 도 4 의 본 발명에 따른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100)의 구성에 더하여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5a 내지 도 5c 는 도 1 내지 도 4 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에 더하여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하부측에 측방향으로 입출되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유동이나 기타의 충격에 의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쓰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다수의 좌대 지지용 다리(170)가 더 구성된 기술을 보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좌대 지지용 다리(170)는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하부측에 일정 길이의 레일홈(172a)이 양측에 형성된 레일(172)에 내외로 입출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좌대 지지용 다리(170)의 내측 끝단 양측에는 걸림턱(170a)이 형성되어 레일(172)의 레일홈(172a) 내외측 끝단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좌대 지지용 다리(170)의 입출 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일(172)을 통해 좌대 지지용 다리(170)를 입출되게 구성함으로써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를 보다 안정적으로 표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유동이나 기타의 충격에 의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쓰러짐이 방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의 LED 투사공(142) 상에 병목(152)의 삽입에 의해 안착부(144) 상에 안착 지지되는 폐병 취침등(150)의 지지 역시 보다 안정화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도 1 내지 도 4 의 실시 예 및 도 5a 내지 도 5c 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100)의 구성에는 구동회로(120)의 LED(130)를 포함한 회로기판(122)의 상부를 커버하여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구형의 투명한 방수커버(18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병 취침등(150)에 물을 충진시켜 수경식물을 넣은 상태로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에 안착 지지되도록 하는 경우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의 쓰러짐에 의해 물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구동회로(120)의 쇼트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구동회로(120)의 LED(130)를 포함한 회로기판(122)의 상부를 커버하여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구형의 투명한 방수커버(180)를 구성하였다.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보조 어댑터의 다른 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보조 어댑터의 다른 구조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보조 어댑터를 이용한 폐병의 지지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d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구성에서 보조 어댑터를 이용한 다른 폐병의 지지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 의 실시 예는 다양한 크기의 폐병 취침등(150)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어댑터(140a)가 더 구성된 기술을 보인 것으로, 도 6a 내지 도 6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어댑터(140a)는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상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LED 투사공(142a)과 LED 투사공(142a)의 주위에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구성으로 형성된 계단식 안착부(144a) 및 계단식 안착부(144a)의 최상부로부터 LED 투사공(142a) 끝단에 까지 등간격으로 형성된 절개라인(148a)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조 어댑터(140a)는 도 6c 에서와 같이 작은 크기의 폐병 취침등(150)은 물론, 도 6d 에서와 같이 큰 크기의 폐병 취침등(150)까지 다양한 크기의 폐병 취침등(150)을 안착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절개라인(148a)은 병목(152)이 큰 폐병 취침등(150)을 보조 어댑터(140a) 상에 안착시키는 경우 LED 투사공(142a)이 벌어지면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보조 어댑터(140a) 역시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140)와 마찬가지로 폐병 취침등(150)의 병목(152)을 탄력적으로 옥죄어 지지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보조 어댑터(140a) 역시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상단에 대응하여 하부측 테두리 상에 삽입 결합홈(146a)이 형성되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 상단의 삽입에 의해 취침등 지지용 좌대(110)의 상부측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의 연출을 보인 참고 사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를 실제 구성한 것으로, 폐병의 외주면 상에 무늬가 형성된 한지를 부착하여 LED를 통해 조명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100)는 다양한 크기의 폐병을 취침등(150)으로 활용함으로써 실내의 인테리어 소품으로써의 기능은 물론, 야간에 무드등이나 취침등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100)는 다양한 크기의 폐병을 취침등(150)으로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취침등에 비해 월등히 값싼 비용으로 실내의 인테리어 소품은 물론, 무드등이나 취침등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취침등 장치 110. 취침등 지지용 좌대
120. 구동회로 122. 회로기판
124. 온/오프(On/Off) 스위치 130. LED
140.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 142. LED 투사공
144. 안착부 150. 폐병 취침등
160. 빛샘방지커버 170. 좌대 지지용 다리
172. 레일 180. 방수커버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지되 측면에는 내부의 열기를 방열시키는 방열공이 다수 형성된 상부측이 개방된 일정 크기의 취침등 지지용 좌대;
    상기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내측 하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동용 전지와 온/오프(On/Off) 스위치가 구비된 구동회로;
    상기 구동회로의 회로기판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온/오프(On/Off) 스위치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LED;
    상기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LED 투사공의 주위로 단턱 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된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
    상기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의 LED 투사공 상에 병목의 삽입에 의해 안착부 상에 안착 지지되어지되 외주면 상에는 무늬가 형성된 한지나 간접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간지가 부착된 폐병을 활용한 폐병 취침등;
    상기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내측면에서 상기 방열공을 커버하여 상기 LED의 빛이 상기 방열공을 통해 외부로 직접적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빛샘방지커버; 및
    상기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하부측에 측방향으로 입출되어지되 상기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여 유동이나 기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좌대 지지용 다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상단에 대응하는 상기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의 하부측 테두리에는 삽입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취침등 지지용 좌대 상단의 삽입에 의해 상기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상부측에 상기 취침등 안착용 어댑터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의 LED를 포함한 회로기판의 상부를 커버하여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구형의 투명한 방수커버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취침등 지지용 좌대의 상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LED 투사공과 상기 LED 투사공의 주위에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구성으로 형성된 계단식 안착부 및 상기 계단식 안착부의 최상부로부터 LED 투사공 끝단에 까지 등간격으로 형성된 절개라인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크기의 폐병을 활용한 폐병 취침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어댑터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KR20130059559A 2013-05-27 2013-05-27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KR101488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559A KR101488759B1 (ko) 2013-05-27 2013-05-27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559A KR101488759B1 (ko) 2013-05-27 2013-05-27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209A KR20140139209A (ko) 2014-12-05
KR101488759B1 true KR101488759B1 (ko) 2015-02-04

Family

ID=5245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9559A KR101488759B1 (ko) 2013-05-27 2013-05-27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7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666Y1 (ko) 2001-05-16 2001-10-29 황선홍 페트병을 이용한 축제용 점멸봉
JP2003289970A (ja) * 2002-04-05 2003-10-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飾り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666Y1 (ko) 2001-05-16 2001-10-29 황선홍 페트병을 이용한 축제용 점멸봉
JP2003289970A (ja) * 2002-04-05 2003-10-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飾り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209A (ko) 2014-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53620Y (zh) 一种led日光灯
CN203489018U (zh) 便携式太阳能灯笼
CN102022621A (zh) 提灯装置
CN206786621U (zh) 一种导光火焰灯
KR101750721B1 (ko) 교체형 기능성 장식틀체가 결합된 조명등
KR101609749B1 (ko) 엘이디 랜턴
KR101488759B1 (ko) 폐병을 재활용한 인테리어겸용 취침등 장치
US9528739B2 (en) Illuminated artificial snowmaking method and apparatus
CN202040604U (zh) 照明灯
CN104566745B (zh) 加湿器
CN106641806B (zh) 一种手提式灯
CN106439651B (zh) 一种便携式多层纸吊灯
CN205782126U (zh) 一种改良型led灯
KR101687205B1 (ko) 스텐드 조명장치
CN201014269Y (zh) 一种筒灯
CN205316245U (zh) 一种led灯罩
CN203453923U (zh) 一种防眩光led路灯
CN201141560Y (zh) 圆型灯具
KR200479962Y1 (ko) 엘이디 전구용 매입등
KR101672485B1 (ko) 휴대용 조명등
CN202264546U (zh) 带照明装置的白板
JP3179912U (ja) 照明装置
CN106704959B (zh) 太阳能高效节能led路灯
KR101209025B1 (ko) Led 조명장치
KR20110009436U (ko) 전시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