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635B1 -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635B1
KR101488635B1 KR1020140003806A KR20140003806A KR101488635B1 KR 101488635 B1 KR101488635 B1 KR 101488635B1 KR 1020140003806 A KR1020140003806 A KR 1020140003806A KR 20140003806 A KR20140003806 A KR 20140003806A KR 101488635 B1 KR101488635 B1 KR 101488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stopper
cylinder
conveyor
conveyor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민
신택영
박금기
김호경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 B65G57/11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the conveyor being adjustable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20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 B65G57/22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in layers each of predetermined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건을 이동시키거나 적입시 물건 높이에 대응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재가 이동하는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부재가 이동하도록 하는 컨베이어장치와 컨베이어장치의 내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토퍼와 설정된 높이에 맞춰 설정하는 핸들부와 핸들부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와 스토퍼에 연결되며 높이조절부에 의해 높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실린더, 스토퍼와 실린더에 연결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하스토퍼와상하 이동운동을 전달하는 체인부 및 상하스토퍼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다목적 컨베이어장치를 구성하며 상부에 글래스울을 적입하는 적입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높이조절부의 변화되는 길이에 따라 체인부와 상하스토퍼를 통해 실린더가 구동되는데 이에 실린더가 다수개 형성되어 플레이트부가 한쪽을 기울어지지 않게 받쳐주도록 지지대 역할을 한다.
또한 높이조절부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고 조절된 높이에 따라 다수개의 컨베이어장치가 각각 높이조절부에 조절되는 높이가 대칭이 되도록 배열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Multiple Conveyer Machine}
본 발명은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건을 이동시키거나 적입시 물건 높이에 대응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162도로 냉각해 그 부피를 6백분의 1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를 말한다.
LNG를 에너지로 이용하기 위해서 생산기지로부터 수요지까지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송 방안이 검토되어 왔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량의 액화천연가스를 해상으로 수송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장치되었다.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LNG를 하역하기 위한 LNG 수송선이나, 마찬가지로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하는 LNG RV(Regasification Vessel)는,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고 함)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도 LNG 수송선이나 LNG RV에 설치되는 저장탱크가 포함된다.
LNG FPSO는,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 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또한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이와 같이 LNG와 같은 액체화물을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수송선, LNG RV, LNG FPSO, LNG FSRU 등의 해상 구조물 내에는 LNG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LNG는 대기압보다 높은 증기압을 가지며, 대략 -162도 정도의 비등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액화천연가스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저장하기 위해서 이를 저장하는 화물창은 초저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강, 스테인레스 강, 35% 니켈 강 등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기타 열응력 및 열 수축에 강하고, 열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인슐레이션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인슐레이션 구조를 위하여 플라이우드로 단열박스를 만들고 그 안을 단열재로 채워서 사용하게 된다.
저장탱크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독립탱크형(Independent Tank)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통상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GTT NO 96형과 TGZ Mark Ⅲ형으로 나눠지며, 독립탱크형 저장탱크는 MOSS형과 IHI-SPB형으로 나눠진다.
GTT NO 96형의 저장탱크는, 0.5 ~ 1.5㎜ 두께의 인바(Invar) 강으로 이루어지는 1차 밀봉벽 및 2차 밀봉벽과, 플라이우드 박스(플라이우드 box) 및 펄라이트(perlite) 등으로 이루어지는 1차 단열벽 및 2차 단열벽이 선체의 내부표면 상에 번갈아 적층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GTT NO 96형의 경우, 1차 밀봉벽 및 2차 밀봉벽이 거의 같은 정도의 액밀성 및 강도를 갖고 있어 1차 밀봉벽의 누설시 상당한 기간 동안 2차 밀봉벽 만으로도 화물을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다.
GTT NO 96 타입의 단열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바 강(36% 니켈강)과 펄라이트 및 플라이우드로 제작된 단열박스가 2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플라이우드는 단열박스의 구조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단열 시스템을 개선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2-0060251(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시스템 및 방법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은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 시스템은, 복수의 글래스울(Glass Wool)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글래스울 고정부와, 일측부가 개방되고 복수의 공간부가 구획 마련된 단열박스의 복수의 공간부에 복수의 글래스울을 삽입시키기 위해 단열박스를 턴 오버시키는 단열박스 턴 오버장치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건을 제작 후 글래스 울 적입장치가 박스 높이에 대응하도록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적입장치의 높이가 변화하여 물건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으나 적입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하중이 무겁기 때문에 여러 번의 상하운동을 하게 되면 기계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는 물건이 이동할 수 있으며, 적입시 컨베이어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한 높이를 설정하여 물건 생산시 설정된 높이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재가 이동하는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부재가 이동하도록 하는 컨베이어장치와 컨베이어장치의 내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토퍼와 설정된 높이에 맞춰 설정하는 핸들부와 핸들부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와 스토퍼에 연결되며 높이조절부에 의해 높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실린더, 스토퍼와 실린더에 연결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하스토퍼와상하 이동운동을 전달하는 체인부 및 상하스토퍼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다목적 컨베이어장치를 구성하며 상부에 글래스울을 적입하는 적입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높이조절부의 변화되는 길이에 따라 체인부와 상하스토퍼를 통해 실린더가 구동되는데 이에 실린더가 다수개 형성되어 플레이트부가 한쪽을 기울어지지 않게 받쳐주도록 지지대 역할을 한다.
또한 높이조절부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고 조절된 높이에 따라 다수개의 컨베이어장치가 각각 높이조절부에 조절되는 높이가 대칭이 되도록 배열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는 적입장치의 높이가 변화하여 물건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입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하중이 무겁기 때문에 여러 번의 상하운동을 하게 되면 기계의 내구성이 떨어지나 컨베이어 장치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기계의 내구성이 높여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한 높이를 설정하여 물건 생산시 설정된 높이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편이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핸들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컨베이어의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컨베이어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컨베이어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및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에서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 없이도, 상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때문에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 및 구성요소 등에 따른 다양한 변환 및 치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따른 구체적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고 모호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건을 이동시키거나 적입시 물건 높이에 대응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컨베이어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를 설명한다.
부재가 이동하는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부재가 이동하는 컨베이어장치(10)에 내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토퍼(20)와 스토퍼(20)의 상하 이동에 따른 상하로 움직이는 샤프트(30)와 부재에 글라스울이 적입되는 적입장치(80)로 구성된다.
이에 스토퍼(20)는 핸들부(21)와 높이조절부(22)로 구성되며, 높이조절부(22)는 실린더(40)와 체인부(50) 및 상하스토퍼(60)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핸들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컨베이어의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3은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스토퍼를 설명한다.
스토퍼(20)는 핸들부(21)와 높이조절부(22)로 구성된다. 핸들부(21)는 높이에 따라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핸들부(21)를 위치하여 놓으면 핸들부(21)를 통해 스토퍼(20)에 구성되는 높이조절부(22)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핸들부(21)는 높이조절부(22)의 다양한 길이를 문자 또는 도형 및 숫자등으로 길이를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높이조절부(22)는 다양한 돌출부의 형태로 구성됨에 있어서, 길이가 길고 짧은 형태를 다수개 설정하여 원하는 플레이트부(70)의 높이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높이 편차를 설정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높이는 1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컨베이어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은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의 구동상태를 설명한다.
컨베이어장치(10)는 부재를 이동해주는 역할 및 적입시에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부재에 글래스울을 적입장치(80)를 통해 적입하기 위해 부재와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컨베이어장치(10)의 플레이트부(70)의 높이 위치를 가변하여 부재와 적입장치(80)의 높이를 대응하도록 위치하기 위해 핸들부(21)의 조작에 의해 높이조절부(22)를 설정하여 플레이트(70)의 높이를 가변함에 있어서, 높이조절부(22)는 다양한 길이에 돌출부를 통해 길이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40)와 상하스토퍼(60) 및 체인부(50)를 통해 높이가 가변되도록 한다.
높이조절부(22)의 돌출부에 길이가 길면 스토퍼(20)와 실린더(40)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고 이에 체인부(50)는 실린더(40) 방향으로 짧아지면서 플레이트부(70)와 상하스토퍼(60)의 간격이 늘어나며 체인부(50) 또한 사이 간격이 늘어남에 따라 늘어지는 형태가 되어 높이가 하향하게 된다.
높이조절부(22)의 돌출부에 길이가 짧으면 스토퍼(20)와 실린더(40)의 사이 간격이 길어지고 이에 체인부(50)는 스토퍼(20) 방향으로 길어지면서 플레이트부(70)와 상하스토퍼(60)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체인부(50) 또한 사이 간격이 좁아집에 따라 당겨지는 형태가 되어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실린더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이에 플레이트부(70)가 상승하여 높이가 상승하고 높이조절부(22)의 돌출부에 길이가 짧으면 스토퍼(20)와 실린더(4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이에 플레이트부(70)가 하향하여 높이가 하향하게 되어 높이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높이조절부(22)의 길이만큼 변화되는 스토퍼(20)를 통해 상하스토퍼(60) 및 실린더(40)에 연결되는 체인부(50)에 의해 길이가 변화되며 실린더(40)가 하나일 경우 부재의 한쪽을 쏠리는 쏠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린더(40)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22)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고 조절된 높이에 따라 다수개의 컨베이어장치(10)가 각각 높이조절부(22)에 조절되는 높이가 대칭이 되도록 배열하여 수평을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는 적입장치의 높이가 변화하여 물건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입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하중이 무겁기 때문에 여러 번의 상하운동을 하게 되면 기계의 내구성이 떨어지나 컨베이어 장치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기계의 내구성이 높여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한 높이를 설정하여 물건 생산시 설정된 높이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편이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6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컨베이어장치 20 : 스토퍼
21 : 핸들부 22 : 높이조절부
30 : 샤프트 40 : 실린더
50 : 체인부 60 : 상하스토퍼
70 : 플레이트부 80 : 적입장치

Claims (5)

  1. 부재가 이동하는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재가 이동하도록 하는 컨베이어장치(10)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0)의 내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토퍼(20)와;
    상기 스토퍼(20)는 설정된 높이에 맞춰 설정하는 핸들부(21)와;
    상기 핸들부(21)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22)와;
    상기 스토퍼(20)와 연결되며 높이조절부(22)에 의해 높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실린더(40)와;
    상기 스토퍼(20)와 실린더(40)에 연결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하스토퍼(60)와;
    상기 상하스토퍼(60)의 상하 이동운동을 전달하는 체인부(50)와;
    상기 상하스토퍼(60)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샤프트(30)를 포함하여 다목적 컨베이어장치를 구성하며 상부에 글래스울을 적입하는 적입장치(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22)의 돌출부에 길이가 길면 스토퍼(20)와 실린더(40)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고 이에 체인부(50)는 실린더(40) 방향으로 짧아지면서 플레이트부(70)와 상하스토퍼(60)의 간격이 늘어나며 체인부(50) 또한 사이 간격이 늘어남에 따라 늘어지는 형태가 되어 높이가 하향하게 되고 높이조절부(22)의 돌출부에 길이가 짧으면 스토퍼(20)와 실린더(40)의 사이 간격이 길어지고 이에 체인부(50)는 스토퍼(20) 방향으로 길어지면서 플레이트부(70)와 상하스토퍼(60)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체인부(50) 또한 사이 간격이 좁아집에 따라 당겨지는 형태가 되어 높이가 상승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22)의 변화되는 길이에 따라 체인부(50)와 상하스토퍼(60)를 통해 실린더(40)가 구동되는데 이에 실린더(40)가 다수개 형성되어 플레이트부(70)가 한쪽을 기울어지지 않게 받쳐주도록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22)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고 조절된 높이에 따라 다수개의 컨베이어장치(10)가 각각 높이조절부(22)에 조절되는 높이가 대칭이 되도록 배열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21)는 높이조절부(22)의 다양한 길이를 문자 또는 도형 및 숫자 등으로 길이를 설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
KR1020140003806A 2014-01-13 2014-01-13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 KR10148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806A KR101488635B1 (ko) 2014-01-13 2014-01-13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806A KR101488635B1 (ko) 2014-01-13 2014-01-13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635B1 true KR101488635B1 (ko) 2015-01-30

Family

ID=5259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806A KR101488635B1 (ko) 2014-01-13 2014-01-13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6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791Y1 (ko) * 2004-03-30 2004-06-22 장인락 떡 성형기의 컨베이어용 상하조절기구
KR20120042324A (ko) * 2010-10-25 2012-05-03 권익삼 이송컨베이어의 통로 연결용 승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791Y1 (ko) * 2004-03-30 2004-06-22 장인락 떡 성형기의 컨베이어용 상하조절기구
KR20120042324A (ko) * 2010-10-25 2012-05-03 권익삼 이송컨베이어의 통로 연결용 승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0335B2 (ja) 断熱密閉タンク
EP3904196A1 (en) Ship
KR101554897B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지지구조체
KR101670869B1 (ko) Lng 저장 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
AU2014255598B2 (en) Tight and thermally insulating vessel
KR20170061948A (ko) Lng 독립 탱크의 지지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2132069B1 (ko) 트러스 비계 시스템
KR20140004166U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 장치
KR20160007976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1147364B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KR101488635B1 (ko) 다목적 컨베이어 장치
KR20120034391A (ko) 액화가스 운반 및 저장용 탱크
KR101588692B1 (ko) 저장탱크 지지장치
NO782206L (no) Innretning for understoettelse av tanker og liknende, saerlig for skip
KR20130044440A (ko) 슬로싱 충격 완화 기능이 구비된 화물창 및 방법
KR200473638Y1 (ko) 독립형 저장탱크 구조물
KR20160002817U (ko) 독립형 카고 탱크의 수직 지지구조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KR101814447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슬로싱 저감장치 및 그를 이용한 슬로싱 제어방법
KR20170064782A (ko) Lng 화물창의 횡동요 방지를 위한 탄성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화물창
KR200487358Y1 (ko) 초저온 유체 저장탱크의 단열박스
KR20150095383A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 방법 및 단열박스 구조
KR20150068806A (ko) Lng 연료탱크의 연료가스공급용 구조체
KR20160001388A (ko) 원통형 연료 저장 탱크 및 선박
KR101656874B1 (ko) 캡슐형 엘피지 저장 탱크를 보관하는 카고 홀드
KR101463033B1 (ko) 단열박스의 단열재 적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