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087B1 -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087B1
KR101488087B1 KR20130067531A KR20130067531A KR101488087B1 KR 101488087 B1 KR101488087 B1 KR 101488087B1 KR 20130067531 A KR20130067531 A KR 20130067531A KR 20130067531 A KR20130067531 A KR 20130067531A KR 101488087 B1 KR101488087 B1 KR 101488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medical device
fixing
coupl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298A (ko
Inventor
이재화
하정훈
Original Assignee
(주)대성마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마리프 filed Critical (주)대성마리프
Priority to KR2013006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08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기기를 봉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봉이 삽입되는 내부홈부와, 일측에 상기 봉이 삽입되는 방향과 상기 봉의 길이 방향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개방되어 있고 타단은 폐쇄된 직교홈부를 갖는 바디부; 상기 직교홈부의 폐쇄된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단과 연동하여, 상기 봉에 상기 의료기기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FIXING APPARATUS OF MED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의료기기를 매달고자 하는 봉의 크기에 손쉽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종래 의료기기를 봉에 고정할 때는 한 사람이 의료기기의 무게를 지탱한 상태에서 다른 한 사람이 봉에 의료기기를 고정하여야만 했으나, 바디부의 탄성 결합력을 이용하여 한 사람으로도 충분히 의료기기를 손쉽게 고정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의료기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료기기를 고정하는 장치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633186호나 대한민국 특허 제10-0529406호 등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특허 제10-0633186호(2006.09.29)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의료장비와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고정공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가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체결공을 구비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대향면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진입되는 파이프의 일부가 파지되도록 파지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부에 구비된 체결공으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파지부에 파지된 파이프가 압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조립/분해 작업이 필요없이 간편한 동작만으로 신속하게 의료장비를 파이프에 분리/고정 시킬 수 있고, 또한 설치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의료장비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의료장비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라고 개시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제10-0529406호(2005.11.10)에서는, "고정장치는 환자의 신체에 의료용 관을 부착하고, 의료용 관의 유체 흐름에 예상치 못한 손실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의료용 관의 축방향 움직임을 억제한다. 고정장치는 환자 피부에 접착하고 고정기를 지지하는 고정받침판을 포함한다. 고정기는 의료용 관의 일부를 탈착가능하도록 수용하고,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고정부재는 의료용 관이 고정기에 고정될 때, 고정기에 대한 의료용 관의 축방향 움직임을 억제한다. 한 적용예에서, 고정부재는 고정기의 관 내에 위치하고, 관의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최소한 첫 번째 부재 및 두 번째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부재들은 덮개부가 닫힐 때 서로 협력하도록 배열되어, 의료용 관의 내강을 실질적으로 폐색시키지 않으면서 첫 번째 부재 및 두 번째 부재 사이에 의료용 관의 일부 구조물을 고정한다."라고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의료기기 고정장치는 의료기기를 매달려고 하는 봉의 크기에 대응되는 조작이 불편하며, 심지어 봉의 크기에 맞지 않아서 봉의 크기에 맞는 고정장치로 교체하는 불편을 겪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의료기기 고정장치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던 상황이다.
1. 대한민국 특허 제10-0633186호(2006.09.29), 발명의 명칭 : 의료장비의 고정장치 2. 대한민국 특허 제10-0529406호(2005.11.10), 발명의 명칭 : 의료기구의 고정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의료기기를 매달고자 하는 봉의 크기에 손쉽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종래 의료기기를 봉에 고정할 때는 한 사람이 의료기기의 무게를 지탱한 상태에서 다른 한 사람이 봉에 의료기기를 고정하여야만 했으나, 바디부의 탄성 결합력을 이용하여 한 사람으로도 충분히 의료기기를 손쉽게 고정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의료기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는, 의료기기를 봉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봉이 삽입되는 내부홈부와, 일측에 상기 봉이 삽입되는 방향과 상기 봉의 길이 방향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개방되어 있고 타단은 폐쇄된 직교홈부를 갖는 바디부; 상기 직교홈부의 폐쇄된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단과 연동하여, 상기 봉에 상기 의료기기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나사부는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결합부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고정 해제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직교홈부의 폐쇄된 타단을 가져서, 상기 직교홈부의 폐쇄된 타단에 상기 결합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바디부; 및 상기 직교홈부의 개방된 일단을 가지는 제 2 바디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이 결합되어 상기 내부홈부와 상기 직교홈부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봉의 크기에 따라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직교홈부는 상기 의료기기의 고정장치의 윗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거나 또는 아래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가 상기 결합부의 나사산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는 나사부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료기기는 지혈대이며, 상기 의료기기의 고정장치는 상기 지혈대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지혈대를 상기 봉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에 의하면,
첫째, 의료기기를 매달고자 하는 봉의 크기에 손쉽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종래 의료기기를 봉에 고정할 때는 한 사람이 의료기기의 무거운 무게를 지탱한 상태에서 다른 한 사람이 봉에 의료기기를 고정하여야만 했으나, 바디부(100)의 탄성 결합력을 이용하여 한 사람으로도 충분히 의료기기를 손쉽게 고정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종래 의료기기를 봉으로부터 고정 해제할 때는 한 사람이 의료기기의 무거운 무게를 지탱한 상태에서 다른 한 사람이 봉에 의료기기를 고정 해제 하여야만 했으나, 바디부(100), 즉 제 2 바디부(120)의 제 1 바디부(110)에 대한 탄성 결합력을 이용하여 한 사람으로도 충분히 의료기기를 손쉽게 고정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넷째, 한 사람으로 손쉽게 조작이 가능하므로, 바쁜 병원이나 의원에서 환자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다섯째, 경제·산업적 측면에서 보면, 병원이나 의원의 인력 활용의 효율화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의료기기의 고정장치 일례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의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의 고정장치가 적용된 의료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의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의 고정장치가 적용된 의료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는, 바디부(100)와 결합부(200)와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여기서 의료기기는 지혈대 등일 수 있으며, 의료기기의 고정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혈대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어서, 지혈대를 봉에 고정하여 환자 처치나 검사 등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는, 의료기기가 매달려서 지지되는 봉이 삽입되는 내부홈부(130)와, 바디부(100)의 일측에 봉이 삽입되는 방향과 봉의 길이 방향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개방되어 있고 타단은 폐쇄된 직교홈부(140)를 갖는다.
여기서, 바디부(100)는 일체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디부(100)는, 제 1 바디부(110)와 제 2 바디부(120)로 분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바디부(100)는, 상기 직교홈부(140)의 폐쇄된 타단을 가져서, 상기 직교홈부(140)의 폐쇄된 타단에 상기 결합부(2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바디부(110); 및 상기 직교홈부(140)의 개방된 일단을 가지는 제 2 바디부(1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 1 바디부(110)와 상기 제 2 바디부(120)는 서로 조합되어 또는 서로 결합되어, 봉이 삽입 고정되는 내부홈부(130)와 결합부가 고정을 위해서 안착되는 직교홈부(140)를 만든다.
또한, 상기 제 2 바디부(120)는 상기 제 1 바디부(110)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봉의 크기에 따라서 유연하게 사용자가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직교홈부(140)는 상기 의료기기의 고정장치의 윗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거나 또는 아래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결합부(200)는 직교홈부(140)의 폐쇄된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00)의 일단에 나사산(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서 후술할 고정부(300가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나사산(210)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다음으로, 고정부(300)는 결합부(200)의 일단과 연동하여, 상기 봉에 상기 의료기기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고정부(300)는 상기 결합부(200)의 나사산(210)에 대응하는 나사부(300)를 포함하여, 상기 나사부(300)는 의료기기 고정장치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결합부(200)를 상기 바디부(100)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고정 해제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나사부(210)가 상기 결합부(200)의 나사산(210)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200)의 일단에는 나사부 이탈방지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 고정 장치의 고정 및 고정 해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2 바디부(120)를 충분히 외부 방향으로 이격시켜서, 의료기기를 매달고자 하는 봉에 상기 내부홈부(130)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봉이 상기 내부홈부(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바디부(120)를 사용자가 놓게 되면, 제 2 바디부(120)는 제 1 바디부(110)를 향해 탄성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바디부(120)는 제 1 바디부(110)와 함께 내부홈부(130) 내에 봉을 물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완전 고정은 아니지만,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의료기기와 의료기기 고정장치를 쉽게 들 수 있을 정도의 고정력은 제공하는 상태이다.
이를 통해서, 종래 의료기기를 봉에 고정할 때는 한 사람이 의료기기의 무거운 무게를 지탱한 상태에서 다른 한 사람이 봉에 의료기기를 고정하여야만 했으나, 바디부(100), 즉 제 2 바디부(120)의 제 1 바디부(110)에 대한 탄성 결합력을 이용하여 한 사람으로도 충분히 의료기기를 손쉽게 고정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다음으로, 결합부(200)를 직교홈부(140) 내부로 안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결합부(200)가 직교홈부(140)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부 또는 나사부(300)를 회전시키는 조작을 통해서 결합부(200)와 고정부(300)가 바디부(100)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의료기기를 사용한 이후 고정 해제할 때는, 고정부 또는 나사부(300)의 역회전시키는 조작을 통해서 결합부(200)와 고정부(300가 바디부(100)에 고정된 것을 해제시킨다.
다음으로, 직교홈부(140) 내부에 안착된 결합부(200)를 회동시켜서 내부홈부(130)의 일측을 개방시킨다.
다음으로, 개방된 내부홈부(130)의 일측을 통해서 상기 의료기기 고정장치를 봉으로부터 빼내는 동작을 실행하여, 의료기기 및 의료기기 고정장치의 봉에 대한 고정 해제 동작을 완료한다.
이 때도, 종래 의료기기를 봉으로부터 고정 해제할 때는 한 사람이 의료기기의 무거운 무게를 지탱한 상태에서 다른 한 사람이 봉에 의료기기를 고정 해제 하여야만 했으나, 바디부(100), 즉 제 2 바디부(120)의 제 1 바디부(110)에 대한 탄성 결합력을 이용하여 한 사람으로도 충분히 의료기기를 손쉽게 고정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바디부
110...제 1 바디부
120...제 2 바디부
130...내부홈부
140...직교홈부
200...결합부
210...나사산
220...나사부 이탈방지부
300...고정부(나사부)

Claims (8)

  1. 의료기기를 봉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봉이 삽입되는 내부홈부와, 일측에 상기 봉이 삽입되는 방향과 상기 봉의 길이 방향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개방되어 있고 타단은 폐쇄된 직교홈부를 갖는 바디부;
    상기 직교홈부의 폐쇄된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단과 연동하여, 상기 봉에 상기 의료기기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나사부는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결합부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고정 해제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직교홈부의 폐쇄된 타단을 가져서, 상기 직교홈부의 폐쇄된 타단에 상기 결합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바디부; 및
    상기 직교홈부의 개방된 일단을 가지는 제 2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이 결합되어 상기 내부홈부와 상기 직교홈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봉의 크기에 따라서 대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홈부는 상기 의료기기의 고정장치의 윗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거나 또는 아래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가 상기 결합부의 나사산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는 나사부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는 지혈대이며,
    상기 의료기기의 고정장치는 상기 지혈대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지혈대를 상기 봉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KR20130067531A 2013-06-13 2013-06-13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KR101488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531A KR101488087B1 (ko) 2013-06-13 2013-06-13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531A KR101488087B1 (ko) 2013-06-13 2013-06-13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298A KR20140145298A (ko) 2014-12-23
KR101488087B1 true KR101488087B1 (ko) 2015-01-29

Family

ID=5259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531A KR101488087B1 (ko) 2013-06-13 2013-06-13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0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4873A (ja) 2000-06-05 2003-11-25 ヒル−ロム サービシ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医療付属品支持体
JP2006218172A (ja) 2005-02-14 2006-08-24 Terumo Corp 医療装置用クランプ
KR20090026868A (ko) * 2007-09-11 2009-03-1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치료용 레이저 파이버 고정 장치
JP2012525556A (ja) 2009-04-29 2012-10-22 ツイン ベイ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サニタリー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4873A (ja) 2000-06-05 2003-11-25 ヒル−ロム サービシ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医療付属品支持体
JP2006218172A (ja) 2005-02-14 2006-08-24 Terumo Corp 医療装置用クランプ
KR20090026868A (ko) * 2007-09-11 2009-03-1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치료용 레이저 파이버 고정 장치
JP2012525556A (ja) 2009-04-29 2012-10-22 ツイン ベイ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サニタリー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298A (ko) 201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97655B2 (en) Hanging apparatus for fixing a medical device to a substantially horizontal or substantially vertical support structure
US9291305B2 (en) Holder for a shelf
KR20090057273A (ko) 실질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한 지지 구조에 의료 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걸이 장치
US20150144746A1 (en) Medical Line Organizer
JP2005507281A5 (ko)
US9498572B2 (en) Double arm post support assembly
BR0010236A (pt) Degrau ou dispositivo de suporte
CN205494546U (zh) 新式移动输液架
KR101488087B1 (ko) 의료기기의 고정 장치
US10188572B2 (en) Stirrups devices
US20130181103A1 (en) Speed Fastener
CN108542616A (zh) Ecmo转运支架
US3191904A (en) Plasma support unit
RU2529366C1 (ru) Штатив для вливаний
CN208974379U (zh) 医护病床用收纳框
CN107260320A (zh) 一种医疗器械盛放装置
KR20120034400A (ko) 조립식선반용 클램프
JP6727503B1 (ja) 医療機器固定システム
KR101627205B1 (ko) 착탈식 화장지 걸이
CN215020324U (zh) 一种鼻科临床鼻部手术冷敷装置
CN208785454U (zh) 一种一体式移动输液架
CN201088716Y (zh) 一种医用引流袋挂钩
CN215023900U (zh) 一种输液架
KR20190064499A (ko)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롯을 갖는 카테터 고정 장치
CN209916904U (zh) 救护车输液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