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995B1 -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 Google Patents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995B1
KR101487995B1 KR20130068377A KR20130068377A KR101487995B1 KR 101487995 B1 KR101487995 B1 KR 101487995B1 KR 20130068377 A KR20130068377 A KR 20130068377A KR 20130068377 A KR20130068377 A KR 20130068377A KR 101487995 B1 KR101487995 B1 KR 101487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damping
damping member
columns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788A (ko
Inventor
서종수
김세은
이동연
홍삼권
육래형
정동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99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05Equipment to decrease ship's vibrations produced externally to the ship, e.g. wave-induced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Spar-type semi-submersible structures, i.e. shaped as single slender, e.g.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trussed vertical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은, 해수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컬럼; 복수 개의 컬럼 상부에 설치되는 갑판; 복수 개의 컬럼 하부에 설치되는 폰툰; 및 복수 개의 컬럼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감쇠 장치를 포함하되, 감쇠 장치는, 컬럼의 적어도 일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감쇠 부재; 및 감쇠 부재가 컬럼에 탄성 지지되도록 감쇠 부재와 컬럼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감쇠 부재는, 컬럼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컬럼의 일측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진 판 형태로 형성되며, 감쇠 부재의 너비는 컬럼의 일측면의 가로 방향 너비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SEMI-SUBMERSIBLE STRUCTURE}
본 발명의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구조물이라 함은 해상 또는 해저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수심에 따라 고정식, 반잠수식, 부유식으로 분류되며, 주로 석유 및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원의 탐사와 채취 등의 해상 작업에 이용된다.
해양 구조물 중,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은 두 개의 폰툰(Pontoon)과 4개 이상의 컬럼(Column)을 가지며, 컬럼 위로 갑판(Deck)이 놓여 시추 등에 필요한 장비들이 탑재된다.
이 때, 갑판의 하중을 받쳐주고 폭 방향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다수의 보강재(Bracing)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컬럼과 갑판이 만나는 부분은 직각을 이루거나 캠퍼링(chamfering)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은 해상에서 이동 중일 때에는 하부 구조물인 폰툰이 해수면에 약간 잠기는 상태로 운용되지만, 일정한 위치에서 시추 작업 등을 실시할 때에는 하부 구조물인 폰툰을 비롯해서 복수의 컬럼의 하부까지 해수면 아래에 잠기는 상태로 운용된다.
한편,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이 극한 해상상태에 놓이게 되면 6자유도 운동을 하게 되고, 6자유도 운동 중 수직 운동(Heave, Roll, Pitch)에 기인하여 갑판 하부에 파(wave)에 의한 충격 하중이 가해지는 슬래밍(Slamm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래밍 현상은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히브(Heave), 피치(Pitch), 롤(Roll) 모션 등에 의해 입사된 파가 컬럼에 부딪혀, 컬럼을 따라 상부로 올라가 갑판 하부에 충격 하중을 가하는 형태로 발생한다.
이는 액체 화물선 특히 LNG 운반선의 적재율 30~50%에서 발생하는 슬로싱(sloshing) 현상과 유사한 방식이다.
한편, 입사된 파가 컬럼을 타고 갑판 하부에 직접 도달하여 발생하는 충격 하중은 해양 구조물을 손상시킬 정도로 매우 크므로,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에서 슬래밍 현상을 저감시키기 위한 저감 수단의 설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슬래밍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감쇠 장치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컬럼에 입사한 파가 상승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수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컬럼; 상기 복수 개의 컬럼 상부에 설치되는 갑판; 상기 복수 개의 컬럼 하부에 설치되는 폰툰; 및 상기 복수 개의 컬럼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감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감쇠 장치는, 상기 컬럼의 적어도 일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감쇠 부재; 및 상기 감쇠 부재가 상기 컬럼에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감쇠 부재와 상기 컬럼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쇠 부재는, 상기 컬럼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컬럼의 일측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진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감쇠 부재의 너비는 상기 컬럼의 일측면의 가로 방향 너비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감쇠 장치는, 상기 감쇠 부재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 때,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컬럼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감쇠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컬럼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감쇠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감쇠 부재의 상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감쇠 장치는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감쇠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감쇠 부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컬럼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감쇠 부재는 상기 갑판의 최외곽보다 상기 갑판의 내부 방향으로 위치되는 컬럼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컬럼에 입사한 파가 상승하는 것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감쇠 부재로 차단함으로써, 슬래밍 현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쇠 부재가 컬럼에 탄성 지지됨으로써, 슬래밍 현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에 슬래밍 현상이 발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감쇠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Ⅳ-Ⅳ'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Ⅴ-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Ⅵ-Ⅵ'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감쇠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Ⅳ-Ⅳ'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Ⅴ-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Ⅵ-Ⅵ'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10)은 컬럼(100), 갑판(200), 폰툰(300) 및 감쇠 장치(400)를 포함한다.
하부에 위치한 폰툰(300) 상에 설치된 컬럼(100)은, 상부에 위치하는 갑판(200) 및 갑판(200)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 및 설비 등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수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컬럼(1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하부에 폰툰(300)이 위치하고, 상부에 갑판(200)이 위치한다.
이 때, 컬럼(10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컬럼(100)의 개수는 6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4개 또는 8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4개 이상의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컬럼(100)은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서로 나란하게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럼(100)이 6개로 구성되는 경우, 3개의 컬럼(100)은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10)의 좌현 방향에 일렬로 배치되고, 나머지 3개의 컬럼(100)은 좌현 방향의 컬럼(100)에 나란하도록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10)의 우현 방향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컬럼(100)은 직사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컬럼(100)의 배치를 상부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럼(100)이 4개로 구성되는 경우, 컬럼(100)은 직사각형의 네 꼭지점 위치에 세워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컬럼(10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컬럼(100)의 형태도 사각 기둥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원 기둥, 다각 기둥 등의 다양한 형태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적 보강을 위하여, 컬럼(100)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갑판(200)은 편평한 바닥 형태의 구성으로서, 전술하였듯이, 컬럼(100)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컬럼(100)에 의해 지지된다.
즉, 갑판(200)은 컬럼(100)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컬럼(100)들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갑판(200)에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10)의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각종 설비 및 구조물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갑판(200)에 설치되는 설비 및 구조물 등의 종류나 배치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갑판(200)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갑판(200)의 외곽 모서리, 특히,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10)의 좌우현 방향 모서리는 하부에 위치한 사각 기둥 형태 컬럼(100)의 외곽 방향 일측면과 일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7은 평면도의 개략적인 모습으로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갑판(200)을 가상선으로 도시하였음), 갑판(200)의 외곽 모서리 중 좌우현 방향 모서리(도 7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의 장변 모서리)는 컬럼(100)의 일측면과 일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쇠 장치(400)는 갑판(200)의 외곽 모서리 측에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다시 설명한다.
한편, 폰툰(300)은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10)의 수직 방향의 거동(Heave, Roll, Pitch)을 감소시키고, 밸러스트(ballast)를 맞추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술하였듯이, 컬럼(100)의 하부에서 복수 개의 컬럼(1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폰툰(30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폰툰(300) 상에는 복수 개의 컬럼(100)들 중에서 절반에 해당하는 개수의 컬럼(100)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컬럼(100)을 가지는 경우, 각각의 폰툰(300)에는 3개의 컬럼(1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폰툰(30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열로 배치된 컬럼(100)의 각 열에 대응되도록 폰툰(300)이 배치되어, 컬럼(1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폰툰(300)은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10)의 선수미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10)의 좌현 및 우현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적 보강을 위하여, 한 쌍의 폰툰(300)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컬럼(100)과, 그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갑판(200) 및 폰툰(3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10)은 폰툰(300), 또는 폰툰(300)과 컬럼(100)의 일부가 해수면 아래에 잠기는 상태로 운용된다.
이 때,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10)이 해상에서 수직 운동(Heave, Roll, Pitch)을 하는 경우, 해수에 의한 파(wave)가 컬럼(100)의 일측에 부딪힌 후, 컬럼(100)을 따라 상부로 올라가 컬럼(100)의 상부에 위치한 갑판(200)의 하측면을 충격하는 슬래밍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래밍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컬럼(100)에는 갑판(200) 하측면을 충격하는 파를 감쇠시키기 위한 감쇠 장치(4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하, 감쇠 장치(4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쇠 장치(400)는 컬럼(100)에 부딪힌 후 컬럼(100)을 따라 상승하는 파가 갑판(200)의 하측면에 직접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슬래밍 현상을 저감시키는 구성으로서, 컬럼(1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컬럼(100)이 사각 기둥 형태인 경우, 도 3을 참조하면, 감쇠 장치(400)는 컬럼(100)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은 컬럼(100)이 사각 기둥 형태인 경우에, 감쇠 장치(400)가 컬럼(100)의 세 측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인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한 도면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감쇠 장치(400)는 컬럼(10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하나의 컬럼(100)에 다수 개의 감쇠 장치(400)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다각 기둥 형태의 컬럼(100)의 경우, 컬럼(100)의 많은 측면들 중 적어도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도 7을 참조하면, 감쇠 장치(400)는 컬럼(100)의 여러 측면 중, 갑판(200)의 최외곽보다 갑판(200)의 내부 방향으로 위치되는 컬럼(10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복수 개의 컬럼(100)은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갑판(200)의 외곽 모서리, 특히 갑판(200)의 단변에 해당하는 좌우현 방향 모서리와 컬럼(100)의 모서리 방향 일 측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컬럼(100)의 일 측면과 단차 없이 일치되는 갑판(200)의 모서리 방향으로는, 파가 상승하여 갑판(200)의 하측면을 충격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으므로, 감쇠 장치(400)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전술한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감쇠 장치(400)의 설치 비용, 방향에 따른 슬래밍 저감 효율 등을 고려하여, 컬럼(100)의 적어도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쇠 장치(400)는 감쇠 부재(420), 탄성 부재(440), 가이드 유닛(460) 및 지지 부재(48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쇠 부재(420)는 컬럼(100)의 일측에 부딪힌 후, 컬럼(100)을 따라 상부로 올라가는 파를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컬럼(100)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감쇠 부재(420)는 컬럼(10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컬럼(100)의 일측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쇠 부재(420)는 컬럼(100)의 일측면을 따라 상승하는 파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쇠 부재(420)의 너비는 컬럼(100)의 일측면의 가로 방향 너비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쇠 부재(420)는 직사각형 형태의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컬럼(420)의 형태, 설치 방법, 파의 차단 효율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100)의 각 측면에 설치되는 감쇠 부재(420)는 이웃하는 다른 감쇠 부재(420)와는 독립되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감쇠 부재(420)는 이웃하는 감쇠 부재(420), 즉, 컬럼(100)의 이웃하는 일측면에 설치되는 다른 감쇠 부재(42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쇠 부재(420)는 이웃하는 감쇠 부재(420)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감쇠 부재(4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하, 감쇠 부재(4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들, 즉, 탄성 부재(440), 가이드 유닛(460) 및 지지 부재(48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쇠 부재(420)는 가이드 유닛(46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컬럼(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감쇠 부재(420)는 탄성 부재(440)에 의하여 컬럼(100)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즉, 가이드 유닛(460)은 감쇠 부재(42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서, 컬럼(100)의 일 측면에 부딪힌 파가 컬럼(100)을 따라 상승하는 경우, 감쇠 부재(420)의 하측을 충격하게 되는데, 이 때, 감쇠 부재(420)가 파손되지 않고 파에 의한 충격을 감쇠할 수 있도록 감쇠 부재(4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 가이드 유닛(46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유닛(460)은 컬럼(10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461) 및 가이드 홈(461)에 대응되도록 감쇠 부재(4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 부재(4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홈(461)은 컬럼(100)의 일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 부재(462)는 가이드 홈(461)에 결합되어, 가이드 홈(461)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돌출 부재(462)는 감쇠 부재(42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을 참조하면, 감쇠 부재(420)의 컬럼(100)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부에 돌출 부재(462)가 형성된 감쇠 부재(420)는, 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컬럼(100)의 일 측면에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이드 홈(46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유닛(460)은, 컬럼(1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도록 감쇠 부재(4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레일은 컬럼(100)의 일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롤러는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롤러가 설치된 감쇠 부재(420)는 컬럼(100)의 일 측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이드 유닛(460)은 전술한 가이드 홈(461) 및 돌출 부재(462), 또는 가이드 레일 및 이동 롤러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감쇠 부재(420)가 컬럼(100)의 일 측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감쇠 부재(420) 하측을 충격하는 파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연하게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유닛(460)에 의해 이동 가능한 감쇠 부재(420)는 탄성 부재(440)에 의하여 컬럼(100)에 탄성 지지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쇠 부재(420)가 파의 충격으로 가이드 유닛(46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감쇠 부재(420)와 컬럼(100)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440)의 탄성력에 의하여, 파의 충격이 감쇠되면서 감쇠 부재(420)가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440)는 감쇠 부재(420)의 상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44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탄성 부재(440)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탄성 부재(440)의 개수는 탄성 부재(440)의 탄성력과 감쇠 부재(420)의 하측을 충격하는 파의 압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440)의 탄성력은 상하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이 때, 복수 개의 탄성 부재(440)는 감쇠 부재(420)의 상부 측에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440)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지지 부재(48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 부재(480)는 탄성 부재(440)를 컬럼(100)에 지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80)는 감쇠 부재(420)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며, 컬럼(100)의 일 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440)는 지지 부재(480) 및 감쇠 부재(4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10)은 파의 상승을 차단하는 감쇠 부재(420)가 구비된 감쇠 장치(400)를 포함함으로써, 컬럼(100)에 부딪힌 파가 상승하여 갑판(200)의 하측면을 충격하는 슬래밍 현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쇠 부재(4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탄성 부재(44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됨으로써, 감쇠 부재(4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승하는 파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해양 구조물 100 컬럼
200 갑판 300 폰툰
400 감쇠 장치 420 감쇠 부재
440 탄성 부재 460 가이드 유닛
461 가이드 홀 462 둘출 부재
480 지지 부재

Claims (10)

  1. 해수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컬럼;
    상기 복수 개의 컬럼 상부에 설치되는 갑판;
    상기 복수 개의 컬럼 하부에 설치되는 폰툰; 및
    상기 복수 개의 컬럼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감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감쇠 장치는,
    상기 컬럼의 적어도 일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감쇠 부재; 및
    상기 감쇠 부재가 상기 컬럼에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감쇠 부재와 상기 컬럼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쇠 부재는,
    상기 컬럼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컬럼의 일측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진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감쇠 부재의 너비는 상기 컬럼의 일측면의 가로 방향 너비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장치는,
    상기 감쇠 부재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컬럼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감쇠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컬럼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감쇠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롤러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감쇠 부재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장치는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감쇠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감쇠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부재는 상기 갑판의 최외곽보다 상기 갑판의 내부 방향으로 위치되는 컬럼의 측면에 설치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20130068377A 2013-06-14 2013-06-14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101487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377A KR101487995B1 (ko) 2013-06-14 2013-06-14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377A KR101487995B1 (ko) 2013-06-14 2013-06-14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788A KR20140145788A (ko) 2014-12-24
KR101487995B1 true KR101487995B1 (ko) 2015-01-29

Family

ID=5259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377A KR101487995B1 (ko) 2013-06-14 2013-06-14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277B1 (ko) * 2019-11-19 2021-06-2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해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437A (ko) * 2008-07-16 2010-0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플랫폼의 동요 감쇠장치
KR20110021447A (ko) * 2009-08-26 2011-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선 문풀 내부의 유동 억제 장치
KR20110048945A (ko) * 2009-11-03 2011-05-12 코리아터빈(주) 선수에 충격완화장치가 구성된 선박
KR20110092166A (ko) * 2010-02-08 2011-08-17 아이엔테코(주) 선박의 충격완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437A (ko) * 2008-07-16 2010-0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플랫폼의 동요 감쇠장치
KR20110021447A (ko) * 2009-08-26 2011-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선 문풀 내부의 유동 억제 장치
KR20110048945A (ko) * 2009-11-03 2011-05-12 코리아터빈(주) 선수에 충격완화장치가 구성된 선박
KR20110092166A (ko) * 2010-02-08 2011-08-17 아이엔테코(주) 선박의 충격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788A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1049C2 (ru) Фермовая система плиты против вертикальной качки для морского основания
CA272521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lateral support provided by the legs of a jack-up drilling rig
US20090151613A1 (en) Anti-sloshing device in moon-pool
US7891909B2 (en)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US20140305359A1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with pontoon-coupled extension plates for reduced heave motion
US8251002B2 (en) Pontoon-type floating structure
AU2013281122B2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and centralized open keel plate
CN105035278B (zh) 低升沉半潜式海上结构
KR20100090991A (ko) 히브 댐퍼를 갖춘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KR101487995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20150046054A (ko) 반잠수식 통합 항구
AU40847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k installation on an offshore substructure
KR20140092992A (ko) 반잠수식 해상구조물
KR101215520B1 (ko) 선박 및 그를 이용한 해상 플랫폼 해체 방법
KR101403619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US11396351B2 (en) Platform for floating type offshore structure having protrusion member and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101127624B1 (ko) 부잔교에 접안되는 보트의 리프팅 장치
KR101977110B1 (ko) 부유식 교량 구조
KR200428826Y1 (ko) T자형 바지선
KR101368663B1 (ko) 부유식 해양플랫폼
KR20160029238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20160007947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681710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20150120731A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101801947B1 (ko) 해양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