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827B1 - 차단기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827B1
KR101487827B1 KR20130104335A KR20130104335A KR101487827B1 KR 101487827 B1 KR101487827 B1 KR 101487827B1 KR 20130104335 A KR20130104335 A KR 20130104335A KR 20130104335 A KR20130104335 A KR 20130104335A KR 101487827 B1 KR101487827 B1 KR 101487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enclosure
breaker
control uni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함, 제어부, 출력부를 구비하는 차단기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차단기는 선로를 개폐한다. 상기 외함은 내부에 상기 차단기를 수용하는 차단기실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위치류, 차단기 온/오프 동작버튼, 표시등을 구비하여 상기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차단기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단기의 동작 시험한 결과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실제 배전반과 동일한 사용조건 하에서 차단기의 동작 시험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단기 시험 장치{TEST DEVICE FO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전반에 설치되는 차단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차단기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전력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설비로서, 광범위한 전력 수용가에서 요구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특고압의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하여 수용가 설비에 공급하는 수배전 계통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수배전반은 기능 및 사양에 따라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모터기동반, 분전반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개별상태로 제작하여 현장에 설치한 뒤 배전반 간의 연결공사를 통하여 상호 간의 기능을 연계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수배전반은 사용전압을 기준으로 고압 배전반과 저압 배전반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배전반 내부에는 선로 상에서 정상 전류의 개폐 및 사고 전류 발생시 계전기 등의 신호에 의해 사고 전류를 차단하는 진공 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VC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공차단기는 차단시 발생 되는 아크(arc)를 진공용기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킴으로써, 회로 및 기기를 보호한다.
한편, 상기 차단기 내에는 높은 전압 및 전류가 통전되고 있으므로 조작자 및 사용자는 특별히 안전에 주의해야 하고, 차단기의 경우 접점 간 접속상태 불량, 차단 동작 불량 발생 시 원활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배전반 출하 전 및 출하 후 차단기의 성능에 대한 검증 및 점검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배전반 출하 전에 모든 배전반을 열반(배전반들을 한 열 혹은 여러 열로 줄을 맞추어 설치)한 상태에서 제조사의 품질관리부(QC) 등에서 차단기 혹은 배전반 시스템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졌지만, 전력 수용가에 납품된 배전반(PANEL)에 차단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차단기의 접점 간 접속상태가 양호한지 그리고 차단기의 개폐동작 등을 시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력 수용가에 배전반이 설치된 후 차단기의 접점 간 접속상태를 점검 및 차단기의 동작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시험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실제 배전반이 설치된 전력 수용가의 현장에서 차단기의 접점 간 접속상태를 점검 및 차단기의 동작 성능을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차단기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외함, 제어부, 출력부를 구비하는 차단기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차단기는 선로를 개폐한다. 상기 외함은 내부에 상기 차단기를 수용하는 차단기실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위치류, 차단기 온/오프 동작버튼, 표시등을 구비하여 상기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차단기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단기의 동작 시험한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실제 배전반과 동일한 사양으로 제작된 외함과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출력부를 제공함으로써 실제 배전반과 동일한 사용조건 하에서 차단기의 동작 시험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의 스위치류는, 외부전원 입력을 위한 입력전원 메인스위치; 및 상기 입력된 외부전원을 차단기로 출력하기 위한 조작기 메인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등은, 보조접점 확인용 램프; 상기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여주는 접점(MOC) 램프; 및 상기 차단기의 위치가 운전위치임을 표시하여 주는 접점(TOC)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의 차단기 온/오프 동작버튼을 통해 상기 차단기를 온/오프 동작시킨 경우 보조접점 확인용 램프, MOC 및 TOC 접점 램프를 통해 차단기의 온/오프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함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함은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힌지 구조로 결합된 감시창을 구비하여 외함 내부가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는 진공차단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시창을 통해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접촉자와 주회로 부싱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접촉자를 둘러싸는 주회로 부싱의 몰딩성형물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일 측면에 경사면을 가지는 박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함은 측면에 형성된 이동용 핸들과, 저면에 설치된 이동바퀴를 구비하여 운반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이동바퀴는 상기 외함의 저면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외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의 이동바퀴는 회전가능하며 스톱퍼 기능을 가지고, 뒤쪽의 이동바퀴는 고정형일 수 있다.
상기 외함은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외함의 일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된 커버용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LCD 표시창과 프린터를 구비하여 차단기의 동작 시험한 결과를 상기 LCD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프린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단기 시험장치에서는 실제 배전반과 동일한 사양의 외함에 차단기를 삽입하고, 외함 상단에 설치된 제어부에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차단기를 동작시킴으로써 실제 배전반과 동일한 사용조건에서 차단기의 성능 시험이 용이해진다.
또한, 외함 측면의 감시창을 통해 차단기의 주회로 접촉자와 주회로 부싱 간의 접속상태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다.
아울러, 시험장치의 사용방법 및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차단기의 성능을 시험 및 검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시험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왼쪽 측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서 적용되는 회전형 이동바퀴와 고정형 이동바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창을 통해 차단기의 주회로 접촉자와 주회로 부싱의 접속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시험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왼쪽 측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차단기(10)의 접점 간 접속상태가 양호한지 차단기(10)의 개폐동작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지를 시험 및 점검하는 차단기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시험장치는 외함(11), 차단기(10), 제어부(22), 출력부(27)로 구성된다.
상기 외함(11)은 차단기(10)의 성능시험을 위해 실제 고압 배전반과 별도로 제작된 것이고, 실제 고압 배전반(PANEL)과 동일한 사양으로 제작되어, 기존의 배전반에서 직접 시험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다만, 상기 외함(11)은 시험 설비의 특성(편의성)을 고려하여 실제 고압 배전반의 차단기실만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모선실과 케이블실 등은 외함(11)에서 제외될 수 다.
상기 외함(11)은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차단기실을 구비하여 차단기(10)를 수용할 수 있다.
외함(11)의 전면부에 도어(12)가 힌지 구조로 설치되어 외함(11) 내부의 차단기실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2)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도어(12)를 개폐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도어(12)에 인터록 장치가 설치되어, 차단기(10)가 운전 중일 때 사용자가 실수에 의해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함(11)의 저면 모서리에 복수의 이동바퀴(13)가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가 시험장치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외함(11)의 저면 일단, 예를 들어 장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에 위치한 이동바퀴(13)는 좌우로 회전가능한 회전형이고, 뒤쪽에 위치한 이동바퀴(13)는 고정형일 수 있다.
첨부한 도 5는 도 1에서 적용되는 회전형 이동바퀴와 고정형 이동바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회전형 이동바퀴(13a)는 중심축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여 장치 운반 시 진행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고, 고정형 이동바퀴(13b)는 앞뒤로만 이동가능하다. 이때, 회전형 이동바퀴(13a)에 스톱퍼(13a')가 설치되어, 시험 중 이동바퀴(13)가 스톱퍼(13a')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함(11)의 양쪽 측면 상단에 복수의 이동용 핸들(14)이 외함(11)의 진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이동용 핸들(14)을 잡고 외함(11)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조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창을 통해 차단기의 주회로 접촉자와 주회로 부싱의 접속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또한, 외함(11)의 측면에 측면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함(11)의 측면에 투명한 강화유리 재질의 감시창(15)이 힌지 구조로 설치되어 측면개구부를 개폐하고, 감시창(15)을 통해 외함(11)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여기서, 감시창(15)을 통해 차단기(10)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진공차단기(10)에서 진공인터럽터(16)의 주회로 접촉자(17)와 주회로 부싱(18) 간의 접속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감시창(15)의 위치는 진공차단기(10)의 진공인터럽터(16), 주회로 접촉자(17) 및 주회로 부싱(18) 등이 보이는 곳이면 되고, 외함(11)의 측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공차단기(10)의 주회로 접촉자(17)와 주회로 부싱(18)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주회로 접촉자(17)를 둘러싸고 있는 에폭시 재질의 몰딩성형물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감시창(15)을 통해 차단기(10)의 주회로 접촉자(17)와 주회로 부싱(18) 간 접속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외함(11)의 상단 후반부(외함(11)의 전면 도어(12)에서 멀어지는 방향이 뒤쪽임)에 상단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상단개구부를 덮는 상부덮개(19)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부덮개(19)의 테두리부는 복수의 아이볼트(20)(eye bolt)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덮개(19)의 양측에 커버용 핸들(21)이 설치되고, 커버용 핸들(21)을 잡고 상부덮개(19)를 개방하여 외함(1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함(11)의 상단 전반부(외함(11)의 전면 도어(12)와 가까운 방향이 앞쪽임)에 장착부가 오목하게 혹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어부(22)가 외함(11)의 상단 장착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어부(22)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어부(22)의 전면부에 스위치류(23), 표시등(25) 및 동작버튼(24) 등이 구비되어, 차단기(10)의 성능 시험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의 전면부는 박스 앞쪽 수직면에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외함(11)의 앞쪽에 서서(standing) 시험할 때 작업자의 시선이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도로 인해 편안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제어부(22)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2)의 하단 테두리부에 고정돌기가 설치되고, 외함(11)의 상단 장착부에 고정홈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삽입결합됨을 통해 제어부(22)가 외함(11)의 상단에 탈착가능하며, 차단기(10) 시험 시 제어부(2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는 차단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단기(10)의 성능시험을 위한 차단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입력단자와, 차단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출력단자와, 차단기(1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상기 제어부(22)의 전면부에 스위치류(23), 동작버튼(24) 및 표시등(25)(lamp)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류(23)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전원 메인스위치(23a)와, 과부하를 표시하는 과부하 점등 표시 및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위치(23b)와, 제어부(22)에서 차단기(10)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조작기 메인스위치(23d)와, 차단기(10)의 차징 모터(charging motor)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징 모터 전원공급 스위치(23c)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버튼(24)은 차단기(10)를 온(on) 동작하기 위한 클로즈 버튼(24a)(close button)과 차단기(10)를 오프(off)시키기 위한 오픈 버튼(24b)(open butto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등(25)은 메인램프(25a), 보조접점 확인용 램프(25b), MOC 램프(25c), TOC 램프(25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인램프(25a)는 제어부(22)에 외부 입력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보조접점은 차단기(10)에 내장되며, 차단기(10)의 개방/투입에 따라 연동되어 동작되는 기계적인 접점으로 인터록 회로, 램프회로, 투입/트립회로 구성에 사용될 수 있고, 보조접점 확인용 램프(25b)를 통해 차단기(10)의 각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MOC(Mechanical Operated Cell switch)는 차단기(10)의 운전(connected) 위치와 시험(test) 위치에서 동작되는 접점으로, MOC 램프(25c)를 통해 차단기(10)의 "온/오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TOC(Truck Operated Cell switch)는 차단기(10)의 프레임에 의해서 동작되는 접점으로서, TOC 램프(25d)를 통해 차단기(10) 위치가 운전 위치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동작버튼(24)을 통해 차단기(10)를 온/오프 동작시킨 경우에 상기 MOC 및 TOC 램프(25c,25d) 등을 통해 차단기(10)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22)의 안전상의 이유로 조작 전원용 보호퓨즈(26a)와 램프용 보호퓨즈(26b)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함(11)의 배면에는 차단기(10) 동작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차단기(10) 동작 신호 송수신용 커넥터와, 차단기(10) 동작 상태를 수신하기 위한 차단기(10) 동작 상태 수신용 커넥터와, MOC 상태를 수신하기 위한 MOC 상태 수신용 커넥터와, TOC 상태를 수신하기 위한 TOC 상태 수신용 커넥터가 구비된다.
상기 외함(11)의 내부에 단자대를 설치하여 제어 배선의 건전성을 확보 및 점검할 수 있다. 상기 단자대는 진공차단기(10) 조작용 단자, 진공차단기 보조접점 단자, MOC 접점 확인용 단자, TOC 접점 확인용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27)는 LCD 창과 프린터(29)를 구비하여 차단기(10)의 단자로부터 측정된 결과를 LCD 표시창(28)을 통해 표시하고, 필요 시 프린터(29)를 통해 별도의 출력이 가능하다.
상기 LCD 표시창(28)은 피측정 차단기(10)의 접점 수가 4개(3상의 R,S,T 및 중성인 N)인 경우 각 접점의 동작시간, 각 접점의 채터링 시간, 각 접점의 채터링 횟수, 시험모드(CLOSING/OPEN), 가장 먼저 작동한 접점과 가장 늦게 작동한 접점과의 시간차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7)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어부(22)와 연동 동작하는 것으로 별도의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도 되며, 출력부(27)의 전면 일측에 전원스위치(33)가 구비되어, 제어부(22)로부터 전원을 연결 및 차단가능하다.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27)의 전면부에 차단기(10) 클로즈 및 오픈 등의 시험 표시등(25)과, 메뉴 및 옵션 등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와, 프린트 명령을 위한 프린트 스위치(32) 등이 구비된다.
상기 출력부(27)의 배면에 주접점 입력 연결부, 동작 접점 입력 연결부, 동작전압 입력 연결부, 퓨즈 및 퓨즈홀더, 전원입력단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단기(10) 동작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메인 스위치가 오프에 있는지 확인 후 전원 케이블을 연결한다.
그 다음, 메인램프(25a)를 통해 외부 전원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
계속해서, 입력전원 메인스위치(23a)를 온 시킨다.
이어서, 조작기 메인스위치를 온 시킨다.
이 후, 차징 모터 전원공급스위치(23c)를 온 시킨다.
그 다음, 차단기(10)를 시험/운전 위치로 삽입 후 동작버튼(24)을 통해 차단기(10)를 동작시킨다.
이때, 시험(test) 위치는 주회로가 회로에서 분리되어 있고 조작회로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고, 운전 위치(run;connection)는 주회로와 조작회로 모두 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참고로 인출(disconnection;draw-out) 위치는 주회로와 조작회로 모두 회로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다.
계속해서, 제어부(22)의 표시등(25)을 통해 차단기(10)의 보조접점(AUX), TOC, MOC 접점을 확인한다.
이어서, 필요 시 주회로 저항을 측정한다.
이 후, 시험장치의 출력부(27)를 조작한다.
즉, 차단기(10) 출력부(27)(주회로 부싱(18)에 설치된 후면 단자)에 측정용 집게를 결선한다. 이때, 상 배열이 바뀌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 다음, 출력부(27)의 전원스위치를 온시킨다.
계속해서, 차단기(10)의 시험 및 운전 위치에서 동작을 시험한다. 이때 LCD 표시창(28)에 시험결과가 자동 표시된다.
이어서, 필요 시 프린터(29) 버튼을 눌러 인쇄물을 출력한다.
이 후, 종류 후 모든 전원을 오프시킨다.
마지막으로 전원케이블을 제거하여 정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반을 전력 수용가에 출하한 후 실제 배전반에서 차단기(10)만을 꺼내어 실제 배전반과 동일한 사양의 외함(11)에 삽입하고 외함(11) 상단에 설치된 제어부(22)에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차단기(10)를 동작시킴으로써 실제 배전반과 동일한 사용조건에서 차단기(10)의 동작을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다.
또한, 외함(11) 측면의 감시창(15)을 통해 차단기(10)의 주회로 접촉자(17)와 주회로 부싱(18) 간의 접속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시험장치의 사용방법 및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전력 수용가 현장에 차단기(10)의 성능을 시험 및 검증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차단기 11 : 외함
12 : 도어 13a : 회전형 이동바퀴
13a' : 스톱퍼 13b : 고정형 이동바퀴
14 : 이동용 핸들 15 : 감시창
16 : 진공인터럽터 17 : 주회로 접촉자
18 : 주회로 부싱 19 : 상부덮개
20 : 아이볼트 21 : 커버용 핸들
22 : 제어부 23 : 스위치류
23a : 메인스위치 23b : 복귀스위치
23c : 차징 모터 전원공급 스위치
23d : 조작기 메인스위치 24 : 동작버튼
24a : 클로즈 버튼 24b : 오픈 버튼
25 : 표시등 25a : 메인램프
25b : 보조접점 확인용 램프 25c : MOC 램프
25d : TOC 램프 26a : 조작전원용 보호퓨즈
26b : 램프용 보호퓨즈 27 : 출력부
28 : LCD 표시창 29 : 프린터
30 : 시험표시등 31 : 설정스위치
32 : 프린트 스위치 33 : 전원스위치

Claims (10)

  1. 진공차단기가 내부에 수용된 배전반이 설치되는 전력 수용가에서 상기 진공차단기의 접점 간 접속상태 및 상기 진공차단기의 동작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배전반케이스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전력 수용가에 설치되고, 상기 배전반에서 분리된 상기 진공차단기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차단기실을 구비하는 외함;
    상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외함의 외측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스위치류, 차단기 온/오프 동작버튼, 표시등을 구비하여 상기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차단기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외함의 상단부에 상기 제어부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의 동작 시험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제어부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 및
    상기 외함의 상단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차단기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스위치류는,
    외부전원 입력을 위한 입력전원 메인스위치; 및
    상기 입력된 외부전원을 상기 차단기로 출력하기 위한 조작기 메인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등은,
    보조접점 확인용 램프;
    상기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여주는 접점(MOC) 램프; 및
    상기 차단기의 위치가 운전위치임을 표시하여 주는 접점(TOC) 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를 온/오프 동작시킨 경우 상기 보조접점 확인용 램프, MOC 및 TOC 접점 램프를 통해 온/오프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함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은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힌지 구조로 결합된 감시창을 구비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시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진공차단기이고, 상기 감시창을 통해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접촉자와 주회로 부싱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접촉자를 둘러싸는 주회로 부싱의 몰딩성형물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시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일 측면에 경사면을 가지는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시험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은 측면에 형성된 이동용 핸들과, 저면에 설치된 이동바퀴를 구비하여 운반이 편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시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퀴는 상기 외함의 저면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외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의 이동바퀴는 회전가능하며 스톱퍼 기능을 가지고, 뒤쪽의 이동바퀴는 고정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시험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은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외함의 일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된 커버용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시험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LCD 표시창과 프린터를 구비하여 상기 차단기의 동작 시험한 결과를 상기 LCD 표시창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시험장치.
KR20130104335A 2013-08-30 2013-08-30 차단기 시험 장치 KR101487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335A KR101487827B1 (ko) 2013-08-30 2013-08-30 차단기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335A KR101487827B1 (ko) 2013-08-30 2013-08-30 차단기 시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827B1 true KR101487827B1 (ko) 2015-02-04

Family

ID=5258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4335A KR101487827B1 (ko) 2013-08-30 2013-08-30 차단기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8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799A (ko) * 2014-11-27 2016-06-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고압 차단기 점검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210125192A (ko) * 2020-04-08 2021-10-18 (주)에너시스 멀티 지그가 구비된 이동형 차단기 시험장치
CN113608115A (zh) * 2021-08-02 2021-11-05 深圳市金凯博自动化测试有限公司 一种断路器的智能化测试装置
KR102596733B1 (ko) 2023-04-21 2023-11-02 주식회사 수산이앤에스 과전압 차단기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503B1 (ko) * 2006-09-13 2008-03-07 주식회사 티앤에스테크 누전차단기 시험기기
KR100957493B1 (ko) * 2010-02-02 2010-05-14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진공차단기반 케이스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503B1 (ko) * 2006-09-13 2008-03-07 주식회사 티앤에스테크 누전차단기 시험기기
KR100957493B1 (ko) * 2010-02-02 2010-05-14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진공차단기반 케이스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799A (ko) * 2014-11-27 2016-06-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고압 차단기 점검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634361B1 (ko) * 2014-11-27 2016-06-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고압 차단기 점검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210125192A (ko) * 2020-04-08 2021-10-18 (주)에너시스 멀티 지그가 구비된 이동형 차단기 시험장치
KR102356375B1 (ko) * 2020-04-08 2022-01-27 (주)에너시스 멀티 지그가 구비된 이동형 차단기 시험장치
CN113608115A (zh) * 2021-08-02 2021-11-05 深圳市金凯博自动化测试有限公司 一种断路器的智能化测试装置
CN113608115B (zh) * 2021-08-02 2024-02-27 深圳市金凯博自动化测试有限公司 一种断路器的智能化测试装置
KR102596733B1 (ko) 2023-04-21 2023-11-02 주식회사 수산이앤에스 과전압 차단기 검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827B1 (ko) 차단기 시험 장치
JP5513875B2 (ja) 給電制御装置
CN101242082B (zh) 具有换向式直流断路器的直流电路用配电盘
EP2498354B1 (en) Interlock device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ard
KR101659945B1 (ko) 결상보호 및 활선표시기능을 구비한 일체형 테스트 터미널 유닛과 그를 사용한 배전반
US9576751B1 (en) Motorized vacuum isolation switch
AU2009334695B2 (en) Medium-voltage electric distribution cubicle
KR101086455B1 (ko) 스마트 수배전반의 상태표시시스템
KR101242563B1 (ko) 양극 버스바와 음극 버스바 격리형 직류전원 분전반
JP2012151952A (ja) スイッチギヤ
KR101574122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 장치구조
US10840046B2 (en) Electrical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electrical power units
KR101148797B1 (ko) 진공차단기의 3 포지션 위치검출장치
JP5796219B2 (ja) 給電制御装置
JP2918809B2 (ja) 移動形分電盤
US20130026856A1 (en) Electrical disconnect assembly with separate disconnect compartment, such that safety handle mechanism does not provide access to the disconnecting device or any energized parts or conductors.
CN112730954B (zh) 开关柜的验电接地方法和系统、及验电接地车
KR200386954Y1 (ko)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의 부스바 온도표시기 결합구조
KR101420576B1 (ko) 고저압 배전반의 작동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US4660126A (en) Fire-preventive housing for line delay measuring apparatus
GB2582172A (en) Insulated switchgear for electrical power systems
KR20150080960A (ko) 기기 복합형 가스 절연 서브 유닛을 구비한 금속 피복 폐쇄 배전반
JP4144928B2 (ja) トラック搭載型移動変圧器設備
JP5834187B2 (ja) 給電制御装置
EP2940812B1 (en) Switch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