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317B1 - 스팀보일러 - Google Patents

스팀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317B1
KR101487317B1 KR1020140083084A KR20140083084A KR101487317B1 KR 101487317 B1 KR101487317 B1 KR 101487317B1 KR 1020140083084 A KR1020140083084 A KR 1020140083084A KR 20140083084 A KR20140083084 A KR 20140083084A KR 101487317 B1 KR101487317 B1 KR 101487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steam
radiator
supply pipe
he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용선
Original Assignee
공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용선 filed Critical 공용선
Priority to KR1020140083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스팀을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팀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보일러는 저장탱크(10)의 용수를 히터(20)로 가열하여 발생된 스팀을 2차 가열수단(60)을 이용하여 재차 가열함으로, 단순히 히터(20)를 이용하여 용수를 한번만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종래의 스팀보일러에 비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2차 가열수단(60)은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62)를 이용하여 스팀의 수분을 진동시켜 가열함으로, 단순히 물을 가열하는 종래의 스팀보일러와 달리 100℃ 이상의 스팀을 얻는 것이 가능하여,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일한 크기의 방열기(40)를 통해 더욱 많은 열을 방출하여 방열기(40)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더욱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팀보일러{Steam boiler}
본 발명은 고온의 스팀을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팀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열기에 스팀을 공급하여 방열기가 설치된 공간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팀보일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용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0)와, 상기 저장탱크(10)에 구비되어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20)와,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순환시키는 순환관(31,32)과, 상기 순환관(31,32)의 중간부에 구비된 방열기(40)와, 상기 순환관(31,32)의 중간부에 연결된 펌프(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순환관(31,32)은 상기 저장탱크(10)와 방열기(40)를 연결하여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방열기(40)로 공급하는 공급관(31)과, 상기 저장탱크(10)와 방열기(40)를 연결하여 방열기(40)를 통과한 스팀 및 스팀이 응축되어 발생된 용수를 상기 저장탱크(10)로 복귀시키는 복귀관(3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스팀을 상기 방열기(40)로 순환시켜, 상기 방열기(40)에서 열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방열기(40)가 설치된 공간을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팀 보일러의 구조는 등록특허 10-1163414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스팀보일러는 단순히 상기 히터(20)를 이용하여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이 발생되도록 함으로, 열효율이 낮을 뿐 아니라, 스팀의 온도가 충분히 높지 않아서 방열기(40)가 설치된 공간을 충분한 온도로 가열할 때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스팀보일러를 이용하여 도장부스의 내부를 가열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도장부스의 경우 내부공간을 높은 온도로 상승시켜야 함으로, 전술한 문제점이 크게 대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방열기(40)로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의 스팀보일러는 히터(20)로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킴으로, 스팀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과도하게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온의 스팀을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팀보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용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0)와, 상기 저장탱크(10)에 구비되어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20)와,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순환시키는 순환관(31,32)과, 상기 순환관(31,32)의 중간부에 구비된 방열기(40)와, 상기 순환관(31,32)의 중간부에 연결된 펌프(50)를 포함하는 스팀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31,32)은 상기 저장탱크(10)와 방열기(40)를 연결하여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방열기(40)로 공급하는 공급관(31)과, 상기 저장탱크(10)와 방열기(40)를 연결하여 방열기(40)를 통과한 스팀 및 스팀이 응축되어 발생된 용수를 상기 저장탱크(10)로 복귀시키는 복귀관(32)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3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관(31,32)을 통과하는 스팀을 재차 가열하는 2차 가열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2차 가열수단(60)은 상기 공급관(31)의 중간부에 연결된 가열케이스(61)와, 상기 가열케이스(61)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케이스(61)를 통과하는 스팀을 재차가열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열케이스(61)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61a)와, 상기 케이스본체(61a)의 내부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지지패널(61b)과, 상기 지지패널(61b)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공급관(31)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연결관체(61e)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패널(61b)의 상면 또는 하측면에는 상기 지지패널(61b)이 삽입되는 지지홈(61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장탱크(10)는 상기 히터(20)가 구비되는 메인저장탱크(11)와,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 연결된 보조저장탱크(12)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저장탱크(12)에 구비되어 보조저장탱크(12)에 저장된 용수를 가열하는 보조히터(1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급관(31)은 상기 메인저장탱크(11)와 상기 2차 가열수단(60)을 연결하는 제1 공급관(31a)과, 상기 보조저장탱크(12)와 상기 2차 가열수단(60)을 연결하는 제2 공급관(31b)과, 상기 2차 가열수단(60)과 상기 방열기(40)를 연결하는 제3 공급관(31c)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저장탱크(12)는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 비해 적은 양의 용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공급관(31a)과 제2 공급관(31b)의 중간부에는 상기 2차 가열수단(60)쪽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31d)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보일러는 저장탱크(10)의 용수를 히터(20)로 가열하여 발생된 스팀을 2차 가열수단(60)을 이용하여 재차 가열함으로, 단순히 히터(20)를 이용하여 용수를 한번만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종래의 스팀보일러에 비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2차 가열수단(60)은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62)를 이용하여 스팀의 수분을 진동시켜 가열함으로, 단순히 물을 가열하는 종래의 스팀보일러와 달리 100℃ 이상의 스팀을 얻는 것이 가능하여,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일한 크기의 방열기(40)를 통해 더욱 많은 열을 방출하여 방열기(40)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더욱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팀 보일러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의 2차 가열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의 2차 가열수단의 지지패널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의 제2 가열수단의 지지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보일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보일러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용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0)와, 상기 저장탱크(10)에 구비되어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20)와,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순환시키는 순환관(31,32)과, 상기 순환관(31,32)의 중간부에 구비된 방열기(40)와, 상기 순환관(31,32)의 중간부에 연결된 펌프(50)로 구성된 것은 종래의 스팀보일러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순환관(31,32)은 상기 저장탱크(10)와 방열기(40)를 연결하여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방열기(40)로 공급하는 공급관(31)과, 상기 저장탱크(10)와 방열기(40)를 연결하여 방열기(40)를 통과한 스팀 및 스팀이 응축되어 발생된 용수를 상기 저장탱크(10)로 복귀시키는 복귀관(3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관(31)의 중간부에는 2차 가열수단(60)이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어 상기 순환관(31,32)을 통과하여 상기 방열기(40)로 공급되는 스팀을 재차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2차 가열수단(6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31)의 중간부에 연결된 가열케이스(61)와, 상기 가열케이스(61)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케이스(61)를 통과하는 스팀을 재차가열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62)로 구성된다.
가열케이스(6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61a)와, 상기 케이스본체(61a)의 내부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지지패널(61b)과, 상기 지지패널(61b)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공급관(31)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연결관체(61e)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61a)는 강도가 높으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62)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가 통과하지 못하는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패널(61b)은 상기 가열케이스(61)의 공간부에 대응되는 원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62)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가 통과되는 재질, 즉, 합성수지나, 자기재질 또는 유리재질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패널(61b)의 중앙부와 둘레면 일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61c)이 형성되며, 지지패널(61b)의 상하측면에는 상기 관통공(61c)을 연결하는 나선형태의 지지홈(61d)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체(61e)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62)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가 통과되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패널(61b)의 사이에 여러 층의 나선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양단은 상기 케이스본체(61a)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공급관(31)의 중간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가열케이스(61)의 내부 하측에 상기 지지패널(61b)을 배치하고, 상기 연결관체(61e)가 상기 지지패널(61b)의 지지홈(61d)을 따라 연장되도록 나선형으로 배치하고, 그 상부에 다시 상기 지지패널(61b)을 배치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연결관체(61e)가 여러 층의 나선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31)을 통해 공급된 스팀은 상기 연결관체(61e)를 따라 상기 케이스본체(61a)를 통과한 후 상기 공급관(31)을 통해 상기 방열기(40)로 공급된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62)는 상기 케이스본체(61a)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체(61e)를 통과하는 스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스팀이 재차 가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스팀이 재차 가열되도록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장치의 구조 및 작용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장치와 동일한 것임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0)는 상기 히터(20)가 구비되는 메인저장탱크(11)와,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 비해 적은 양의 용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 연결된 보조저장탱크(12)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메인저장탱크(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히터(20)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면을 관통하여 내부에 저장된 용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보조저장탱크(12)는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 비해 지름이 큰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저장탱크(11)의 하단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인저장탱크(11)의 둘레면에는 연통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11a)에는 메인저장탱크(11)쪽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11b)가 구비된다.
상기 연통공(11a)은 상기 보조저장탱크(12)에 저장된 용수의 수위에 비해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저장탱크(12)의 하측에는 보조저장탱크(12)에 저장된 용수를 가열하는 보조히터(12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31)은 상기 메인저장탱크(11)와 방열기(4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귀관(32)은 상기 방열기(40)와 상기 보조저장탱크(12)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50)는 상기 복귀관(3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열기(40)를 통과한 스팀 및 스팀이 상기 방열기(40)를 통과하면서 응축되어 발생된 용수를 흡입한 후 가압하여 상기 보조저장탱크(12)로 강제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히터(12a)는 상기 보조저장탱크(12)에 저장된 용수가 60℃정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한다.
따라서, 상기 히터(20)와 보조히터(12a)를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펌프(50)를 작동시키면,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 저장된 용수가 상기 히터(20)에 의해 가열되어 발생된 스팀이 상기 공급관(31)을 통과하여 상기 2차 가열수단(60)으로 공급되어 재차 가열된 후, 상기 방열기(40)로 공급되며, 방열기(40)에서 열을 방출하여 방열기(40)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한다.
이때, 방열기(40)를 통과한 스팀은 온도가 저하됨으로, 일부가 용수형태로 응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방열기(40)를 통과한 스팀과 용수는 상기 복귀관(32)을 통해 상기 보조저장탱크(12)로 복귀되어 일차 저장된 후 상기 연통공(11a)을 통해 메인저장탱크(11)로 공급되며,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 저장된 용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20)에 의해 재차 가열되어 상기 공급관(31)을 통해 방열기(40)로 공급된 후 다시 메인저장탱크(11)로 복귀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팀보일러는 저장탱크(10)의 용수를 히터(20)로 가열하여 발생된 스팀을 2차 가열수단(60)을 이용하여 재차 가열함으로, 단순히 히터(20)를 이용하여 용수를 한번만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종래의 스팀보일러에 비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2차 가열수단(60)은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62)를 이용하여 스팀의 수분을 진동시켜 가열함으로, 단순히 물을 가열하는 종래의 스팀보일러와 달리 100℃ 이상의 스팀을 얻는 것이 가능하여,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일한 크기의 방열기(40)를 통해 더욱 많은 열을 방출하여 방열기(40)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더욱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열케이스(61)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61a)와, 상기 케이스본체(61a)의 내부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지지패널(61b)과, 상기 지지패널(61b)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공급관(31)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연결관체(61e)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패널(61b)의 상면 또는 하측면에는 상기 지지패널(61b)이 삽입되는 지지홈(61d)이 형성됨으로, 길이가 긴 연결관체(61e)를 좁은 케이스본체(61a)의 내부에 효과적으로 정렬하여, 상기 연결관체(61e)를 통과하는 스팀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62)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장시간 노출되어 가열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0)는 상기 히터(20)가 구비되는 메인저장탱크(11)와,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 연결된 보조저장탱크(12)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저장탱크(12)에는 보조저장탱크(12)에 저장된 용수를 가열하는 보조히터(12a)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관(31,32)을 통해 복귀된 스팀과 용수가 상기 보조저장탱크(12)에 1차로 저장되어 완충기능을 함으로, 상기 펌프(50)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메인저장탱크(11)는 내부에 구비된 히터(20)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킴으로, 내부의 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매우 높게 상승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반해, 상기 펌프(50)는 지속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방열기(40)를 통과한 스팀과 용수가 상기 저장탱크(10)로 복귀되도록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복귀관(32)이 바로 메인저장탱크(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저장탱크(11) 내부의 기압이 높게 상승될 경우, 펌프(50)에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복귀관(32)은 상기 보조저장탱크(12)에 연결되어, 메인저장탱크(11) 내부의 기압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스팀과 용수가 상기 보조저장탱크(12)에 1차 저장된 후 메인저장탱크(11) 내부의 기압이 낮아지면 메인저장탱크(11)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저장탱크(12)가 완충기능을 하여 펌프(5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패널(61b)의 중앙부와 둘레면 일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61c)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홈(61d)은 지지패널(61b)의 상하측면에 상기 관통공(61c)을 연결하는 나선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지지홈(61d)의 구성이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홈(61d)은 상기 지지패널(61b)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공급관(31)은 상기 메인저장탱크(11)와 상기 2차 가열수단(60)을 연결하는 제1 공급관(31a)과, 상기 보조저장탱크(12)와 상기 2차 가열수단(60)을 연결하는 제2 공급관(31b)과, 상기 2차 가열수단(60)과 상기 방열기(40)를 연결하는 제3 공급관(31c)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공급관(31a)과 제2 공급관(31b)의 중간부에는 상기 2차 가열수단(60)쪽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31d)가 구비된다.
따라서, 스팀보일러가 오프되어 상기 메인저장탱크(11)와 보조저장탱크(12)에 저장된 용수가 냉각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20)와 보조히터(12a)가 온되면, 상기 보조저장탱크(12)에 저장된 용수가 먼저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스팀이 상기 제2 공급관(31b)을 통해 상기 2차 가열수단(6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 저장된 용수가 충분히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면, 상기 메인저장탱크(11)와 보조저장탱크(12)에서 발생된 스팀이 상기 제1 및 제2 공급관(31a,31b)을 통해 상기 2차 가열수단(6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서 발생된 스팀의 기압이 상기 보조저장탱크(12)에서 발생된 스팀의 기압에 비해 상승되면,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서 발생된 스팀만이 상기 제1 공급관(31a)을 통해 상기 2차 가열수단(60)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팀보일러는 오프되어 용수가 냉각된 상태에서, 스팀보일러를 작동시킬 때, 메인저장탱크(11)에 저장된 많은 양의 용수가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기 전에, 상기 보조저장탱크(12)에 저장된 적은 양의 용수가 먼저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팀보일러가 온된 후부터 상기 2차 가열수단(60)과 방열기(40)에 스팀이 공급될 때까지의 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방열기(40)가 구비된 장소를 더욱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저장탱크 20. 히터
31,32. 순환관 40. 방열기
50. 펌프 60. 2차 가열수단

Claims (4)

  1. 내부에 용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0)와,
    상기 저장탱크(10)에 구비되어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20)와,
    상기 저장탱크(1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순환시키는 순환관(31,32)과,
    상기 순환관(31,32)의 중간부에 구비된 방열기(40)와,
    상기 순환관(31,32)의 중간부에 연결된 펌프(50)를 포함하는 스팀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31,32)은
    상기 저장탱크(10)와 방열기(40)를 연결하여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방열기(40)로 공급하는 공급관(31)과,
    상기 저장탱크(10)와 방열기(40)를 연결하여 방열기(40)를 통과한 스팀 및 스팀이 응축되어 발생된 용수를 상기 저장탱크(10)로 복귀시키는 복귀관(32)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3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관(31,32)을 통과하는 스팀을 재차 가열하는 2차 가열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2차 가열수단(60)은
    상기 공급관(31)의 중간부에 연결된 가열케이스(61)와,
    상기 가열케이스(61)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케이스(61)를 통과하는 스팀을 재차가열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진기(62)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10)는
    상기 히터(20)가 구비되는 메인저장탱크(11)와,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 연결된 보조저장탱크(12)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저장탱크(12)에 구비되어 보조저장탱크(12)에 저장된 용수를 가열하는 보조히터(12a)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관(31)은
    상기 메인저장탱크(11)와 상기 2차 가열수단(60)을 연결하는 제1 공급관(31a)과,
    상기 보조저장탱크(12)와 상기 2차 가열수단(60)을 연결하는 제2 공급관(31b)과,
    상기 2차 가열수단(60)과 상기 방열기(40)를 연결하는 제3 공급관(31c)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저장탱크(12)는 상기 메인저장탱크(11)에 비해 적은 양의 용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공급관(31a)과 제2 공급관(31b)의 중간부에는 상기 2차 가열수단(60)쪽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31d)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케이스(61)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61a)와,
    상기 케이스본체(61a)의 내부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지지패널(61b)과,
    상기 지지패널(61b)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공급관(31)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연결관체(61e)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패널(61b)의 상면 또는 하측면에는 상기 연결관체(61e)가 삽입되는 지지홈(61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보일러.

  3. 삭제
  4. 삭제
KR1020140083084A 2014-07-03 2014-07-03 스팀보일러 KR101487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084A KR101487317B1 (ko) 2014-07-03 2014-07-03 스팀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084A KR101487317B1 (ko) 2014-07-03 2014-07-03 스팀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317B1 true KR101487317B1 (ko) 2015-01-28

Family

ID=5259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084A KR101487317B1 (ko) 2014-07-03 2014-07-03 스팀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3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9156A (ja) * 1998-10-15 2000-02-08 Toyo Netsu Kogyo Kk 常圧水蒸気による放熱装置
JP2008032235A (ja) * 2006-07-26 2008-02-14 Hirakawa Guidom:Kk 過熱蒸気発生装置および過熱蒸気処理装置
KR20130030596A (ko) * 2011-09-19 2013-03-27 (주)아크에너텍 스팀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9156A (ja) * 1998-10-15 2000-02-08 Toyo Netsu Kogyo Kk 常圧水蒸気による放熱装置
JP2008032235A (ja) * 2006-07-26 2008-02-14 Hirakawa Guidom:Kk 過熱蒸気発生装置および過熱蒸気処理装置
KR20130030596A (ko) * 2011-09-19 2013-03-27 (주)아크에너텍 스팀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823B1 (ko) Lng보일러 연도가스의 복합 폐열회수장치
KR101284544B1 (ko) 중화렌지 열을 이용한 온수발생장치
US20170299221A1 (en) Down-Fired High Efficiency Gas-Fired Water Heater
MX2020009398A (es) Reduccion de condensacion en calentadores de agua.
KR101487317B1 (ko) 스팀보일러
CN107003080B (zh) 用于运行热化学的储热器的方法
US8955467B1 (en) Steam boiler
KR101801732B1 (ko) 전력 효율성이 우수한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20130045703A (ko) 폐열을 이용한 연료탱크의 온도제어 시스템
JP6043635B2 (ja) 熱源機
KR101151016B1 (ko) 축열매체유를 이용한 온풍발생장치
RU2564739C2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й накопитель горячей воды для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я
CN107202484A (zh) 垂直筒式自由落体烘干装置
CN106197102A (zh) 汽室型热管传热机构
JP2021009003A (ja) 近赤外加温装置
KR101635193B1 (ko) 다단 가열식 보일러
CN108225068A (zh) 一种拓展蒸发端面积的热管蓄热换热器
CN108204759A (zh) 一种连通管数量变化的热管蓄热换热器
CN108168344A (zh) 一种新型热管结构
KR100586903B1 (ko) 열매체유 가열장치
KR101401294B1 (ko) 멸치 삶는 장치용 열교환기
KR101415957B1 (ko) 보일러용 인덕션 가열기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장치
CN214370077U (zh) 一种蒸汽能源回收再利用装置
KR101712018B1 (ko) 순차식 순간 열교환보일러
KR20130005656U (ko) 순간 가열식 전기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