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862B1 - Apparatus for recirculation of bloo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irculation of bl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862B1
KR101486862B1 KR20130077812A KR20130077812A KR101486862B1 KR 101486862 B1 KR101486862 B1 KR 101486862B1 KR 20130077812 A KR20130077812 A KR 20130077812A KR 20130077812 A KR20130077812 A KR 20130077812A KR 101486862 B1 KR101486862 B1 KR 101486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hambers
opening
reservoi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7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4612A (en
Inventor
윤치순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7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862B1/en
Publication of KR2015000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8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81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transfusion, e.g. washing, filtering or tha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09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4Mean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ransfused blood, e.g. by weighing the container and automatic stopping of the transfusion after reaching a determined amou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4Level detectors; Level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8Removing constituents from donor blood and storing or returning remainder to body, e.g. for trans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27Meas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재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세는, 본 발명은 연속적인 혈액의 석션(흡인, suction)이 가능하고, 이러한 과정 중에 혈액의 기계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혈액 재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액 재순환 장치는 한 쪽 유닛으로는 석션을, 다른 쪽 유닛으로는 저장된 혈액을 이송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연속적인 혈액의 석션 및 인공심폐기나 자가수혈기의 적혈구 세척 시스템으로 석션된 혈액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recirculation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suction of blood and minimizing mechanical damage of the blood during this process. The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peats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uction to one unit and the stored blood to the other unit so that the blood sucked into the continuous blood sucking and cardiopulmonary bypass system or the red blood cell washing system of the autologous blood vessel It can supply efficiently.

Description

혈액 재순환 장치{Apparatus for recirculation of blood}[0001] Apparatus for recirculation of blood [0002]

본 발명은 혈액 재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세는, 본 발명은 연속적인 혈액의 석션(흡인, suction)이 가능하고, 이러한 과정 중에 혈액의 기계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혈액 재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recirculation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suction of blood and minimizing mechanical damage of the blood during this process.

수술 중에 발생한 출혈된 혈액을 재사용하는 방법으로, 심장 수술 등의 헤파린을 사용하는 수술인 경우에는 롤러 펌프(roller pump)를 이용하여 출혈된 혈액을 석션하여 인공심폐기의 보존 챔버(reserve chamber)에 단시간 보관한 후 다시 인공심폐기의 정맥관(venous line)에 혈액을 공급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operation using heparin such as heart surgery, a method of reusing bleeding blood generated during operation is as follows: a blood vessel is sucked by using a roller pump, and the blood is drawn into a reserve chamber of an artificial cardiopulmonary machine And blood is supplied to a venous line of an artificial cardiopulmonary machine after a short period of storage.

이러한 방식은 출혈된 혈액을 곧바로 인공심폐기에 공급함으로써, 총 순환하는 혈액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출혈된 혈액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롤러 펌프를 사용함으로써 롤러 펌프에 의한 혈액의 기계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This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the blood circulation volume can be maintained by supplying the blood immediately to the cardiopulmonary bypass, but mechanical damage of the blood due to the roller pump is caused by using the roller pump as a means of moving the blood that has been bleeding .

현재 인공심폐기를 이용하는 경우, 원심 펌프(centrifugal pump)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롤러 펌프 보다 인공심폐기의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혈액의 손상이 적다. 그러나, 원심 펌프의 이용은 공기가 섞이게 되면 기능을 못하여 인공심폐기의 동맥 및 정맥관의 혈액을 주로 순환시키는데 사용되고, 그 이외의 혈액은 롤러 펌프를 이용하고 있다. 롤러 펌프는 유연한 튜브를 연속적으로 압박하여 튜브 내에 음압을 발생시켜 혈액을 흡인하는 원리이다. 이때 튜브의 압박으로 튜브 내의 혈액이 손상되며, 손상된 혈액의 투여에 따라 다양한 합병증이 야기될 수 있다.Currently, centrifugal pumps are widely used when using an artificial cardiopulmonary machine, which causes less blood damage than the roller pump. However, the use of the centrifugal pump is not effective when the air is mixed, so that the arterial blood of the cardiopulmonary bypass device and the blood of the ductal vein are mainly circulated, and the other blood uses the roller pump. The roller pump continuously presses the flexible tube to generate negative pressure in the tube, thereby sucking the blood. 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tube damages the blood in the tube, and various complications may be caused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injured blood.

한편, 수술 중 발생하는 출혈은 수술 시야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제거되어야 되며, 이에 따라 석션 기능은 연속적으로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석션된 혈액을 재순환시키는 경우 혈액의 손상이 적을수록 이로 인한 합병증의 위험이 적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hemorrhage occurring during surgery should be removed promptly as it may interfere with the surgical field of vision, so suction function should be continuously available. In addition, when recirculating the suctioned blood, the less the blood damage, the less the risk of complications.

이를 위해서는, 연속적으로 석션이 가능함과 동시에 혈액의 손상의 적어야 하고, 혈액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서는 롤러 펌프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롤러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혈액을 석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음압(negative pressure)을 이용할 수 있으나, 모인 혈액을 인공심폐기로 주입하는 동안 음압을 유지하기 어려워 석션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To do this, you should be able to consecutively suck, and at the same time, less damage to your blood, and you should not use a roller pump to minimize blood damage. Although negative pressure can be used as a method of suctioning blood without using a roller pump, there is a problem in that suction can not be continuously us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negative pressure while injecting collected blood into an artificial cardiopulmonary bypass device.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Numerous papers and patent documents are referenced and cit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disclosures of the cited papers and patent docum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to better understand the state of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미국 등록특허공보 6,517,512 (2003.02.11)U.S. Patent No. 6,517,512 (Feb. 11, 2003)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롤러 펌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석션된 혈액의 기계적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속적인 석션이 가능한 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음압을 이용하여 혈액을 석션하고, 석션된 혈액의 부피가 일정 수준이 되면 자동으로 인공심폐기로 혈액을 이송하는 유닛 장치를 개발하고, 이러한 유닛 장치를 복수 개로 설치하여, 한쪽 유닛 장치에 보관된 혈액이 인공심폐기로 이송하는 동안, 다른 쪽의 유닛 장치에서는 출혈된 혈액을 흡인할 수 있어 연속적인 석션이 가능하고, 혈액의 기계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혈액 재순환 장치를 개발하였다.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ors have sought to develop a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suction while preventing mechanical damage of the suctioned blood generated during the use of the roller pump. As a result, a unit device for sucking blood using negative pressure and automatically transferring blood to the artificial cardiopulmonary bypass device when the volume of the sucked blood reaches a certain level is developed. A plurality of such unit devices are installed, A blood recirculation device capable of sucking bleeding blood from the other unit device while continuously transferring the stored blood to the artificial cardiopulmonary machine, capable of continuous suction and preventing mechanical damage of the blood, has been develop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 재순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ood recirculation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claims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체(subject)로부터 석션된 혈액이 저장되는 혈액 저장조와, 상기 혈액 저장조의 일면에 마련되어 개폐 조절유닛의 열림에 의하여 대기압 또는 양압을 혈액 저장조로 제공하는 대기압/양압 제공부와, 상기 혈액 저장조에 저장된 혈액의 양을 감지하여 장치에 마련된 복수개의 개폐 조절유닛들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조절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챔버;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의 일면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관으로서, 말단은 음압 제공장치에 연결되며,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의 열림에 의하여 각각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로 음압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의 일면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관으로서,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의 열림에 의하여 석션된 혈액을 각각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혈액 공급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의 일면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관으로서,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의 열림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에 저장된 혈액이 각각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혈액 이송관을 포함하는 혈액 재순환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lood reservoir comprising: a blood reservoir for storing blood sucked from a subject;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lood reservoir for providing atmospheric pressure or positive pressure to the blood reservoir by opening of the opening / A first and a second chamber each including an open / clos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 closing of a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s provided in the apparatus by sensing the amount of blood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 The end of the tube is connected to the sound pressure providing device. The open / close control unit opens the negative pressure to the blood reservoirs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respectively. A first and a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pipe; A tube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lood reservoir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the tube being connected to the blood reservoir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Blood supply tube; And a tube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lood reservoir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respectively discharge blood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s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respectively, There is provided a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including a blood transfer tube.

본 발명자들은 롤러 펌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석션된 혈액의 기계적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속적인 석션이 가능한 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음압을 이용하여 혈액을 석션하고, 석션된 혈액의 부피가 일정 수준이 되면 자동으로 인공심폐기로 혈액을 이송하는 유닛 장치를 개발하고, 이러한 유닛 장치를 복수 개로 설치하여, 한쪽 유닛 장치에 보관된 혈액이 인공심폐기로 이송하는 동안, 다른 쪽의 유닛 장치에서는 출혈된 혈액을 흡인할 수 있어 연속적인 석션이 가능하고, 혈액의 기계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혈액 재순환 장치를 개발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tried to develop a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suction while preventing the mechanical damage of the suctioned blood generated in the course of using the roller pump. As a result, a unit device for sucking blood using negative pressure and automatically transferring blood to the artificial cardiopulmonary bypass device when the volume of the sucked blood reaches a certain level is developed. A plurality of such unit devices are installed, A blood recirculation device capable of sucking bleeding blood from the other unit device while continuously transferring the stored blood to the artificial cardiopulmonary machine, capable of continuous suction and preventing mechanical damage of the blood, has been developed.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조절부는 레벨 센서, 압력 센서 및 무게 센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evel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weight sensor.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은 각각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pipes may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lood reservoir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은 일단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음압 제공장치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일부의 관을 공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pipes may be connected to the same or different negative pressure providing devices, respectively, or may be connected by sharing some of the pipes.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공급관은 각각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과 이격되게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lood supply pipes may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lood reservoir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pipe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이송관은 각각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의 하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lood conveyance pipes may exte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lood reservoir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이송관은 일단이 인공심폐기 또는 자가수혈기(cell saver)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일부의 관을 공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lood transfer tubes may be connected to an artificial cardiopulmonary governor or a cell saver, respectively, or may share a part of the tubes.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혈액 재순환 장치는 제 1 챔버의 혈액 저장조로 석션된 혈액이 공급되는 동안에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에 저장되어 있던 혈액이 제 2 혈액 이송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od that has been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 of the second chamber may be discharged to the second blood transfer tube while the blood sucked into the blood reservoir of the first chamber is supplied .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i) 본 발명은 혈액 재순환 장치를 제공한다.(i)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od recirculation device.

(ii) 본 발명의 혈액 재순환 장치는 롤러 펌프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석션 과정에서 혈액의 기계적인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롤러 펌프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등의 튜브를 사용하지 않아 튜브의 파열 등의 위험이 없으며, 롤러 펌프를 사용하지 않아 인공심폐기를 소형화 및 단순화시킬 수 있다.(ii) The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use a roller pump, thereby minimizing the mechanical damage of the blood during the suction process, and does not use a tube of polyurethane or the like used for the roller pump, There is no risk of rupture of the cardiopulmonary bypass device, and the artificial cardiopulmonary bypass device can be miniaturized and simplified by not using the roller pump.

(iii) 본 발명의 혈액 재순환 장치는 한 쪽 유닛으로는 석션을, 다른 쪽 유닛으로는 저장된 혈액을 이송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연속적인 혈액의 석션 및 인공심폐기나 자가수혈기(cell saver)의 적혈구 세척 시스템(RBC cleaning system)으로 석션된 혈액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iii) The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peats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uction to one unit and the stored blood to the other unit, so that a continuous blood sucking and cardiopulmonary bypass or a red blood cell of a cell saver The blood sucked by the RBC cleaning system can be efficiently supplied.

(iv) 본 발명의 혈액 재순환 장치는 연속적으로 석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수시로 소량의 혈액을 자가수혈기의 적혈구 세척 시스템에 공급을 할 수 있어 수혈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iv) The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perform a suction function so that a small amount of blood can be supplied to the erythrocyte washing system of an autologous blood vessel at any time, thereby effectively performing blood transfus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 재순환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 재순환 장치를 심폐바이패스(cardiopulmonary bypass)를 활용한 개심술(open heart surgery)에 적용 시, 이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혈액 재순환 장치의 초기 설정에 따른 각 개폐 조절유닛의 개폐 상태를 보여주며, 도 3은 혈액 재순환 장치에서 일어나는 혈액의 흐름을 보여준다.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ied to open heart surgery using cardiopulmonary bypass. FIG. 2 shows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each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initial setting of the blood recirculating apparatus, and FIG. 3 shows the blood flow in the blood recirculating apparatu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the same numbers in this description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other drawings under these rules, and the contents which are judged to be obvious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can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 재순환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 재순환 장치(10)는, 제 1 및 제 2 챔버(100, 200)와,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110, 210)과, 제 1 및 제 2 혈액 공급관(120, 220)과, 제 1 및 제 2 혈액 이송관(130, 230)을 포함한다.1, a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chambers 100 and 200,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tubes 110 and 210, First and second blood supply pipes 120 and 220, and first and second blood transfer pipes 130 and 230.

또한, 본 발명의 혈액 재순환 장치(10)는 상기 챔버, 음압 제공관, 혈액 공급관 및 혈액 이송관으로 이루어진 한 세트의 구성을 필요에 따라 복수 개(3개 이상)로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ee or more) sets of the set of the chamber, the sound pressure providing tube, the blood supply tube, and the blood transfer tube as necessary.

상기 제 1 및 2 챔버(100, 200)는 각각 혈액 저장조(101, 201)와, 대기압/양압 제공부(102, 202)와, 개폐조절부(103, 203)를 구비하여, 개체(subject)로부터 석션된 혈액을 저장하는 기능 및 저장된 혈액을 인체로 재순환시키는 중간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100 and 200 are provided with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atmospheric / positive pressure supplies 102 and 202 and opening / closing controllers 103 and 203, And an intermediate device for recirculating the stored blood to the human body.

상기 혈액 저장조(101, 201)는 개체로부터 석션된 혈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혈액 저장조(101, 201)의 형상 및 크기는 제한이 없으며, 본 발명의 장치가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한 형상 및 크기로 구현할 수 있다.The blood reservoirs (101, 201) are means for temporarily storing the blood sucked from the subject. The shapes and sizes of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are not limited and may be implemented in appropriate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purpose for which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상기 대기압/양압 제공부(102, 202)는 혈액 저장조(101, 201)의 일면에 마련되어,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102S, 202S)의 개폐에 의하여 대기압 또는 양압을 혈액 저장조(101, 201)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개폐 조절유닛의 도면부호는, "각 개폐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의 도면부호 + S"와 같은 방식으로 표기하기로 한다.The atmospheric pressure / positive pressure supply units 102 and 202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to open or close the open / close control units 102S and 202S to supply atmospheric pressure or positive pressure to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 S" of the constitution including each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대기압/양압 제공부(102, 202)는 일단이 외부와 맞닿아 있어, 각 개폐 조절유닛(102S, 202S)의 열림에 의하여 외부의 대기가 각 혈액 저장조(101, 201)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atmospheric pressure / positive pressure supply unit 102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 positive pressure supply unit 102 ar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respective blood storage vessels 101 , 201).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대기압/양압 제공부(102, 202)는 일단에 양압 발생장치(미도시)가 연결되어 있어, 각 개폐 조절유닛(102S, 202S)의 열림에 의하여 양압이 각 혈액 저장조(101, 201)로 공급될 수 있다. 양압 발생장치로는, 펌프 또는 블로워(blower)와 같은 공지의 양얍 발생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ve pressure generator (not show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tmospheric pressure / positive pressure controller 102 and the positive pressure controller 102, And may be supplied to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As the posi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a well-known positive pressure generating device such as a pump or a blower may be used.

상기 개폐조절부(103, 203)는 혈액 저장조(101, 201)로 유입되어 저장된 혈액의 양(부피)을 감지하여 혈액 재순환 장치(10)에 마련된 복수개의 개폐 조절유닛들(S)의 개폐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개폐조절부(103, 203)의 기능을 통하여 혈액 저장조(101, 201)에 저장되는 혈액의 양을 조절함과 동시에 연속적인 석션 및 혈액 재순환을 달성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s 103 and 203 detect the amount of the blood that has flowed into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and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to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s S provided in the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10 Function. The amount of blood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functions of the opening and closing regulating units 103 and 203, and continuous suction and blood recirculation can be achieved.

상기 개폐조절부(103, 203)는 혈액 저장조(101, 201)에 유입되는 혈액의 양(부피)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s 103 and 203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the amount (volume) of blood flowing into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폐조절부(103, 203)는 레벨 센서, 압력 센서 및 무게 센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기설정된 값을 감지하는 경우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적 신호가 각 개폐 조절유닛들(S)에 전달되어 이들의 개폐가 조절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 / close control unit (203, 203)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evel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weight sensor. When the sensor senses a predetermined value, an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s (S) so that their opening and closing are controlled.

일예로, 혈액 저장조(101, 201)의 내벽에 압력 센서를 부착하여 압력의 변화로 혈액 저장조(101, 201)에 저장된 혈액의 양을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a pressure sensor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walls of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to detect the amount of blood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due to changes in pressure.

다른 예로, 혈액 저장조(101, 201)로 유입된 혈액의 표면 높이 변화를 레벨 센서로 인식함으로써 혈액 재순환 장치(10)에 마련된 개폐 조절유닛들(S)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혈액에 뜨는 물체를 이용하여 물체의 높이를 감지하여 작동시키는 방법과 혈액 저장조(101, 201) 내에 고인 혈액의 높이가 일정 높이 이상 혹은 이하가 될 때, 발사되는 광선의 유무에 따라 작동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pening / closing of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s S provided in the blood recirculation device 10 can be controlled by recognizing the change in the surface height of the blood flowing into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as a level sensor. A method of detecting the height of an object using an object floating in blood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object when the height of the blood in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a certain height Can be used.

상기 개폐조절부(103, 203)는 동일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서로 상이한 센서를 혼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s 103 and 203 may be realized by the same sensor or may be implemented by using different sensors.

상기 개폐조절부(103, 203)는 고 레벨 센서와 저 레벨 센서, 혹은 고압 센서와 저압 센서와 같이, 동일한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서로 상이한 값을 인식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open / close control units 103 and 203 may be implemented as sensors that recognize different values even when the same sensor is used, such as a high level sensor and a low level sensor, or a high pressure sensor and a low pressure sensor.

상기 개폐조절부(103, 203)는 다수의 개폐 조절유닛들(S)의 개폐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각 챔버(100, 200)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다음, 프로그래밍 된 동작에 따라 각 개폐 조절유닛들(S)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The open / close control units 103 and 203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efficient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lurality of open / close control units S.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from a sensor mounted in each of the chambers 100 and 200 and then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s S according to a programmed operation.

일예로, 상기 제어부는 시간당 혈액저장조(101, 201)로 유입되는 혈액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각 챔버(100, 200)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 값과 기설정된 값을 비교한 다음 음압을 조절하거나, 장치(10)에 설치된 관의 내부 직경을 조절하는 방법 등으로 유입되는 혈액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혈액 재순환 장치(10)는 제어부가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의 장치(구성)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can adjust the amount of blood flowing into the blood storage vessels 101 and 201 per unit tim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compares a signal value received from a sensor mounted in each of the chambers 100 and 200 with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n adjusts the sound pressure or adjusts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installed in the apparatus 10 The amount of blood flowing into the back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the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ditional apparatus (configuration) for allowing the control unit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일예로, 상기 추가의 장치는 관 안에 설치된 벌룬(balloon)이다. 상기 제어부는 벌룬의 압력을 조절하여 관의 내경을 조절함으로써 혈액저장조(101, 201)로 유입되는 혈액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벌룬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벌룬의 일단에 연결된 관과 관에 연결된 공기주입배출수단을 들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배출수단은 임펠러(impeller) 장치, 펌프 등의 당업계에 알려진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dditional device is a balloon installed in the tube. The control unit can adjust the amount of blood flowing into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by adjusting the inner pressure of the balloon by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balloon.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balloon includes a tu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lloon And an air injection and discharge means connected to the pipe. The air injecting and discharging means may be realized by a device known in the art such as an impeller device, a pump, and the like.

상기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110, 210)은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서,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110S, 210S)의 열림에 의하여 음압을 혈액 저장조(101, 201)와 혈액 공급관(120, 220)으로 제공하여, 수술 중에 출혈된 혈액이 석션되어 각 혈액 저장조(101, 201)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pipes 110 and 210 are air passages through which the negative pressure is supplied to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and the blood supply pipe 120, and 220 so that the blood that has been bleeding during surgery is sucked into the blood storage tanks 101 and 201.

상기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110, 210)은 각 혈액 저장조(101, 201)의 일면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고, 연장 형성된 말단은 음압 제공장치에 연결된다. 음압 제공장치로는 혈액 재순환 장치(10)내의 공기를 외부로 빨아들일 수 있는 공지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pipes 110 and 210 are each extended from one surface of each of the blood storage vessels 101 and 201 and the extended end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pressure providing device. A known means for sucking the air in the blood recirculation device 10 to the outside can be used as the sound pressure providing device.

일예로, 상기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110, 210)은 수술실 내의 음압관과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ound pressure providing tubes 110 and 210 may be connected to the sound pressure tube in the operating roo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110, 210)은 각각 제 1 및 제 2 챔버(100, 200) 상의 혈액 저장조(101, 201)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pipes 110 and 210 may be exten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o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100 and 200, respectively hav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110, 210)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음압 제공장치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관을 공유하여 음압 제공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pipes 110 and 210 may be connected to the same or different negative pressure providing devices, respectively, and may share a part of the pipes,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110, 210)은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벌룬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벌룬의 일단에는 공기주입배출수단과 일단이 연결된 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주입배출수단을 통하여 벌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장치(10) 내부에 걸리는 음압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providing tubes 110 and 210 may include balloons for adjusting the flow of fluid therein. For example, one end of the balloon is connected to a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 injection / discharge device, and the sound pressure inside the device 10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pressure inside the balloon through the air injection / discharge device.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공급관(120, 220)은 유체(혈액 및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120S, 220S)의 열림에 의하여 각 음압 제공관(110, 210)으로부터 제공된 각 혈액 저장조(101, 201) 내의 음압을 석션 튜브에 전달하여, 수술과정 중에 출혈된 혈액의 흡인 및 흡인된 혈액의 혈액 저장조(101, 201)로의 이동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and second blood supply pipes 120 and 220 are openings through which the fluid (blood and air) moves and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ound supply pipes 110 and 210 The sound pressure in each of the provided blood storage vessels 101 and 201 is transferred to the suction tube to perform aspiration of the bleeding blood during the operation procedure and a function of moving the drawn blood to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공급관(120, 220)은 각각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110, 210)과 이격되게 각 혈액 저장조(101, 201)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lood supply pipes 120 and 220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pipes 110 and 210, respectively, Can be exten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공급관(120, 2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관을 공유하여 석션 튜브에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lood supply pipes 120 and 220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tube by sharing a part of the tubes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공급관(120, 220)은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벌룬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벌룬의 일단에는 공기주입배출수단과 일단이 연결된 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주입배출수단을 통하여 벌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혈액 저장조(101, 201)로 유입되는 혈액량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lood supply pipes 120 and 220 may include a balloon for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 therein. For example, one end of the balloon is connected to a tu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 injection / discharge means, and the amount of blood flowing into the blood storage vessels (101, 201)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pressure inside the balloon through the air injection / .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이송관(130, 230)은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130S, 230S)의 열림에 의하여 각 혈액 저장조(101, 201) 안에 저장된 혈액이 배출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한다.The first and second blood transfer pipes 130 and 230 serve as passages through which the blood stored in the blood storage vessels 101 and 201 is discharged by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s 130S and 230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이송관(130, 230)은 각 혈액 저장조(101, 201)의 하면에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혈액 저장조(101, 201)에 저장된 혈액의 배출은 중력과 대기압(혹은 양압)에 의하여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lood transfer tubes 130 and 230 may extend from the lower surfaces of the blood storage vessels 101 and 201,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discharge of blood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s 101 and 201 is achieved by gravity and atmospheric pressure (or positive pressur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이송관(130, 230)은 혈액 저장조(101, 201)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말단이 인공심폐기 또는 자가수혈기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관을 공유하여 상기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lood transfer pipes 130 and 230 may be connected to the cardiopulmonary bypass device or the autotransfusion device, respectively, Or may be connected to the apparatus by sharing some of the tubes as shown in Fig.

상기 혈액 재순환 장치(10)에 마련된 복수개의 개폐 조절유닛들(S)은 유체(공기 및/또는 혈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상기 개폐 조절유닛(S)은 공지의 개폐조절 수단(예컨대, 밸브)을 제한 없이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s (S) provided in the blood recirculation device (10) function to shut off the flow of fluid (air and / or blood).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S may be realized by using any known opening / closing control means (for example, a valve) without limitation.

이하에서는,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 재순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 재순환 장치를 심폐바이패스를 활용한 개심술에 적용 시, 이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혈액 재순환 장치의 초기 설정에 따른 각 개폐 조절유닛의 개폐 상태를 보여주며, 도 3은 혈액 재순환 장치에서 일어나는 혈액의 흐름을 보여준다.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ied to cardiopulmonary bypass surgery. FIG. 2 shows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each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initial setting of the blood recirculating apparatus, and FIG. 3 shows the blood flow in the blood recircula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혈액 재순환 장치(10)는 표 1과 같이 초기 설정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10 can perform initial setting as shown in Table 1.

제 1 챔버The first chamber 제 2 챔버The second chamber 110S110S 120S120S 102S102S 130S130S 210S210S 220S220S 202S202S 230S230S 개방Opening 개방Opening 차단block 차단block 차단block 차단block 개방Opening 개방Opening

상기 표 1과 같이 초기 설정된 혈액 재순환 장치(10)를 작동시키면, 음압 제공장치에 일단이 연결된 제 1 음압 제공관(110)에 의하여 제 1 챔버(100)의 혈액 저장조(101)와 제 1 혈액 공급관(120)에 차례대로 음압이 공급됨에 따라, 수술과정에서 출혈된 혈액이 제 1 혈액 공급관(120)의 일단에 연결된 석션 튜브로부터 흡인되고, 흡인된 혈액이 제 1 혈액 공급관(120)을 통하여 제 1 챔버(100)의 혈액 저장조(101)로 유입되기 시작한다.When the initially set blood recirculation device 10 is operated as shown in Table 1, the first negative pressure supply pipe 110, which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pressure supply device, is connected to the blood reservoir 101 of the first chamber 100, As the negative pressure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supply tube 120, the blood that has been bleeding in the operation procedure is sucked from the suction tu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blood supply tube 120, and the aspirated blood flows through the first blood supply tube 120 And starts to flow into the blood reservoir 101 of the first chamber 100.

이후, 제 1 챔버(100)의 혈액 저장조(101)에 기설정된 양(부피)까지 혈액이 저장되어, 혈액 저장조(101) 내에 설치된 개폐조절부(103)가 이를 감지하면, 제 2 챔버(200)의 대기압/양압 제공부(202) 및 제 2 혈액 이송관(230)에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들(202S, 230S)의 개방상태(열림)가 차단상태(닫힘)로 전환되고, 제 2 음압 제공관(210) 및 제 2 혈액 공급관(220)에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들(110S, 120S)의 차단상태가 개방상태로 전환되어 제 2 챔버(200)의 혈액 저장조(201) 및 제 2 혈액 공급관(220)에 음압이 제공되며; 또한, 제 1 음압 제공관(110) 및 제 1 혈액 공급관(120)에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들(110S, 120S)의 개방상태가 차단상태로 전환되어 제 1 챔버(100)의 혈액 저장조(101)로의 혈액 유입이 멈추게 되고, 제 1 챔버(100)의 대기압/양압 제공부(102)에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102S)의 차단상태가 개방상태로 전환되어 제 1 챔버(100)의 혈액 저장조(101)로 대기압 또는 양압이 제공되고, 제 1 혈액 이송관(130)에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130S)의 차단상태 역시 개방상태로 전환된다.Then, when blood is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 101 of the first chamber 100 to a predetermined volume and the opening / closing controller 103 installed in the blood reservoir 101 senses this, the second chamber 200 (Opened) of the open / close control units 202S and 230S provided in the atmospheric pressure / positive pressure supply unit 202 and the second blood transfer pipe 230 of the first and second blood transfer tubes 230 and 230 are switched to the blocked state (closed) Closing stat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s 110S and 120S provided in the supply pipe 210 and the second blood supply pipe 220 are switched to the open state and the blood storage tank 201 and the second blood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pply pipe 220; The open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s 110S and 120S provided in the first sound pressure providing pipe 110 and the first blood supply pipe 120 is switched to the cutoff state and the blood is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 101 of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shutoff state of the open / close control unit 102S provided in the atmospheric pressure / positive pressure supply unit 102 of the first chamber 100 is switched to the open state, so that the blood reservoir of the first chamber 100 The atmospheric pressure or the positive pressure is provided to the first blood transfer tube 101 and the cutoff state of the open / close control unit 130S provided in the first blood transfer tube 130 is also switched to the open state.

이에 따라, 제 2 혈액 공급관(220)을 통하여 제 2 챔버(200)의 혈액 저장조(201)로 혈액이 공급되고, 제 1 챔버(100)의 혈액 저장조(101)에 저장된 혈액은 제 1 혈액 이송관(130)을 통하여 인공심폐기의 저장 챔버(또는 자가수혈기)로 이송되어 환자에게 다시 투여되어 혈액의 재순환이 이루어진다.The blood is supplied to the blood reservoir 201 of the second chamber 200 through the second blood supply pipe 220 and the blood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 101 of the first chamber 100 is supplied to the first blood transfer The blood is transferred to the reservoir chamber (or an autologous blood vessel) of the cardiopulmonary bypass device through the pipe 130 and re-administered to the patient so that the blood is recirculated.

이후, 제 2 챔버(200)의 혈액 저장조(201)에서도 기설정된 양(부피)까지 혈액이 저장되어, 혈액 저장조(201) 내에 설치된 개폐조절부(203)가 이를 감지하면, 제 1 챔버(100)의 대기압/양압 제공부(102) 및 제 1 혈액 이송관(130)에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들(102S, 130S)의 개방상태가 차단상태로 전환되고, 제 1 음압 제공관(110) 및 제 1 혈액 공급관(120)에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들(110S, 120S)의 차단상태가 개방상태로 전환되어 다시 제 1 챔버(100)의 혈액 저장조(101)로 혈액이 유입 및 저장되기 시작하며; 제 2 음압 제공관(210) 및 제 2 혈액 공급관(220)에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들(110S, 120S)의 개방상태가 차단상태로 전환되고, 제 2 챔버(200)의 대기압/양압 제공부(202) 및 제 2 혈액 이송관(230)에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들(202S, 230S)의 차단상태가 개방상태로 전환되어 제 2 챔버(200)의 혈액 저장조(201)에 저장된 혈액이 제 2 혈액 이송관(230)을 통하여 인공심폐기의 저장 챔버(또는 자가수혈기)로 이송되어 환자에게 다시 투여됨에 따라 혈액의 재순환이 이루어진다.When blood is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 201 of the second chamber 200 to a predetermined volum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ler 203 installed in the blood reservoir 201 senses the blood, The open state of the open / close control units 102S and 130S provided in the atmospheric pressure / positive pressure supply unit 102 and the first blood transfer pipe 130 of the first blood pressure supply pipe 110 is switched to the cutoff state, The shutoff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s 110S and 120S provided in the first blood supply pipe 120 is switched to the open state and the blood starts to flow into and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 101 of the first chamber 100 ;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s 110S and 120S provided in the second negative pressure supplying pipe 210 and the second blood supplying pipe 220 are switched to the blocking state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 Closing stat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s 202S and 230S provided in the second blood transfer tube 230 and the second blood transfer tube 230 are switched to the open state and the blood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 201 of the second chamber 200 2 blood is transferred to the reservoir chamber (or an autologous blood vessel) of the cardiopulmonary bypass through the blood transfer pipe 230, and the blood is recirculated as it is re-administered to the pati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액 재순환 장치(10)에서는, 제 1 챔버(100)에 석션된 혈액이 저장되는 동안에는 제 2 챔버(200)에 저장된 혈액이 인공심폐기 등의 장치로 이송되고, 제 2 챔버(200)에 석션된 혈액이 저장되는 동안에는 제 1 챔버(100)에 저장된 혈액이 인공심폐기 등의 장치로 이송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연속적인 석션 및 혈액의 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각 개폐 조절유닛들(S)의 개폐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blood recirculation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blood sucked into the first chamber 100 is stored, the blood stored in the second chamber 200 is transferred to an apparatus such as an artificial cardiopulmonary apparatus, During the storage of the blood sucked into the chamber 200,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blood stored in the first chamber 100 to the device such as the cardiopulmonary bypass is repeatedly performed, so that continuous suction and blood supply are possible . Thus, within the range in which such a process can be performe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s S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or sequentially.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ctu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혈액 재순환 장치 100 : 제 1 챔버
101 : 혈액 저장조 102 : 대기압/양압 제공부
103 : 개폐조절부 110 : 제 1 음압 제공관
120 : 제 1 혈액 공급관 130 : 제 1 혈액 이송관
200 : 제 2 챔버 201 : 혈액 저장조
202 : 대기압/양압 제공부 203 : 개폐조절부
210 : 제 2 음압 제공관 220 : 제 2 혈액 공급관
230 : 제 2 혈액 이송관 S : 개폐 조절유닛
10: blood recirculation device 100: first chamber
101: blood reservoir 102: atmospheric pressure /
103: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110: first sound pressure providing pipe
120: first blood supply pipe 130: first blood transfer pipe
200: second chamber 201: blood reservoir
202 Atmospheric pressure / positive pressure supply 203:
210: second sound pressure providing pipe 220: second blood supply pipe
230: second blood transfer tube S: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Claims (8)

개체(subject)로부터 석션된 혈액이 저장되는 혈액 저장조와, 상기 혈액 저장조의 일면에 마련되어 개폐 조절유닛의 열림에 의하여 대기압 또는 양압을 혈액 저장조로 제공하는 대기압/양압 제공부와, 상기 혈액 저장조에 저장된 혈액의 양을 감지하여 장치에 마련된 복수개의 개폐 조절유닛들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조절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챔버;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의 일면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관으로서, 말단은 음압 제공장치에 연결되며,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의 열림에 의하여 각각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로 음압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의 일면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관으로서,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의 열림에 의하여 석션된 혈액을 각각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혈액 공급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의 일면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관으로서, 구비된 개폐 조절유닛의 열림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에 저장된 혈액이 각각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혈액 이송관을 포함하는 혈액 재순환 장치.
An atmospheric pressure / positive pressure provid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lood reservoir for providing an atmospheric pressure or a positive pressure to the blood reservoir by opening of an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First and second chambers each including an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 closing of a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s provided in the apparatus by sensing an amount of blood;
The end of the tube is connected to the sound pressure providing device. The open / close control unit opens the negative pressure to the blood reservoirs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respectively. A first and a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pipe;
A tube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lood reservoir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the tube being connected to the blood reservoir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Blood supply tube; And
The first and second blood chambers extend from one side of the blood reservoir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blood chambers respectively discharge blood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s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And a transfer tu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부는 레벨 센서, 압력 센서 및 무게 센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재순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evel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weight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은 각각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재순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tubes exten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lood reservoir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은 일단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음압 제공장치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일부의 관을 공유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재순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 providing tubes are connected to the same or different negative pressure providing apparatuses, respectively, or are connected in common by sharing a part of the tub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공급관은 각각 제 1 및 제 2 음압 제공관과 이격되게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재순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lood supply pipes extend from upper surfaces of the blood reservoirs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pressure supply pipe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이송관은 각각 제 1 및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의 하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재순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lood transfer tubes exte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lood reservoir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혈액 이송관은 일단이 인공심폐기 또는 자가수혈기(cell saver)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일부의 관을 공유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재순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lood transfer tubes are connected to an artificial cardiopulmonary machine or a cell saver, respectively, one end of the first blood transfer tube is shared, or a part of the tubes are connected to share the s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재순환 장치는 제 1 챔버의 혈액 저장조로 석션된 혈액이 공급되는 동안에 제 2 챔버의 혈액 저장조에 저장되어 있던 혈액이 제 2 혈액 이송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재순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od recirculation device discharges the blood stored in the blood reservoir of the second chamber to the second blood transfer tube while the blood sucked into the blood reservoir of the first chamber is supplied.
KR20130077812A 2013-07-03 2013-07-03 Apparatus for recirculation of blood KR1014868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812A KR101486862B1 (en) 2013-07-03 2013-07-03 Apparatus for recirculation of bl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812A KR101486862B1 (en) 2013-07-03 2013-07-03 Apparatus for recirculation of blo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12A KR20150004612A (en) 2015-01-13
KR101486862B1 true KR101486862B1 (en) 2015-01-29

Family

ID=5247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7812A KR101486862B1 (en) 2013-07-03 2013-07-03 Apparatus for recirculation of bl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8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007A1 (en) * 2015-01-26 2016-08-04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Blood recircul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098A (en) 2001-07-17 2003-01-29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Pump-less aspirator
JP3377318B2 (en) 1995-01-11 2003-02-17 真啓 尾崎 Blood purification device
EP0637989B1 (en) 1992-02-06 2004-04-14 Hemocleanse, Inc. Device for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JP2013048804A (en) 2011-08-31 2013-03-14 Nikkiso Co Ltd Blood purif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7989B1 (en) 1992-02-06 2004-04-14 Hemocleanse, Inc. Device for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JP3377318B2 (en) 1995-01-11 2003-02-17 真啓 尾崎 Blood purification device
JP2003028098A (en) 2001-07-17 2003-01-29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Pump-less aspirator
JP2013048804A (en) 2011-08-31 2013-03-14 Nikkiso Co Ltd Blood purif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12A (en)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4106B2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US8728020B2 (en) Infusion apparatus
KR1011487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ming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KR102105431B1 (en) Treatment solution delivery in a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pparatus
ES2553265T3 (en) Method for at least partial emptying of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and hemodialysis apparatus to apply the method
US9839737B2 (en) Tubing set having a gate for the connection of vials
US20140158589A1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US20150112119A1 (en) Blood Pump
US10525188B2 (en) Method of purging gas bubbles in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JP6682502B2 (en) Method for removing bubbles i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US20180110914A1 (en) Blood purification device and priming method
KR101486862B1 (en) Apparatus for recirculation of blood
US9474843B2 (en) Fluid-storing, filtering, and gas-discharging apparatus and hematoma evacuator based on the liquid-stroing, filtering, and air-discharging apparatus
JP4291171B2 (en) Extracorporeal circulation device
US20180272049A1 (en) Blood recirculation device
JP2012024116A (en) Negative pressure therapeutic device
JP5558260B2 (en) Blood processor priming system
JP2003093503A (en) Automatic degassing system for blood circuit
EP3015121B1 (en) An arrangement for cardiopulmonary bypass
JP4747422B2 (en) Blood circuit automatic deaeration system
CN111148538B (en) Blood filtration device
ITMO20120280A1 (en) BIOMEDICAL EQUIPMENT
JP2015020014A (en) Negative pressure treatment device
CN110575578A (en) Oxygenator with enhanced exhaust function
US20230016493A1 (en) Set comprising effluent bag and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