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168B1 -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168B1
KR101486168B1 KR20130132150A KR20130132150A KR101486168B1 KR 101486168 B1 KR101486168 B1 KR 101486168B1 KR 20130132150 A KR20130132150 A KR 20130132150A KR 20130132150 A KR20130132150 A KR 20130132150A KR 101486168 B1 KR101486168 B1 KR 101486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uel 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bipol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찬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3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characterised by grooves, e.g. their pitch or dep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화제와 연료의 효과적인 흐름이 가능한 유로를 제공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막-전극 접합체와 접하여 연료와 산화제의 유로를 제공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에 있어서,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유로 입구 및 유로 출구;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접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유로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구조는 상기 유로 입구와 상기 유로 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주 유로와, 상기 다수의 주 유로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주 유로보다 좁은 폭을 갖는 모세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주 유로는 상기 유로 입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후 서로 교차하지 않으면서 유로 출구에서 합류하며, 중간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구간에 형성된 다수의 분기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BIPOLAR PLAT OF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화제와 연료의 효과적인 흐름이 가능한 유로를 제공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가 가지는 화학 에너지를 전지 내에서 전기 화학적으로 직접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서 자동차의 전원, 레이저 전기기구의 전원 등으로 관심 있게 연구되는 저공해 발전장치로서, 도 1은 대표적인 연료전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연료전지 구조에서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bipolar plate, 101, 103)은 막-전극 접합체(MEA, 102)를 사이에 두고 연료와 산화제 (주로 공기)가 원활하게 반응하는 연료전지의 부품으로, 이러한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는 높은 전기전도도, 부식에 대한 저항력, 낮은 연료와 공기의 흐름저항, 높은 연료와 산화제의 반응성, 높은 물의 회수능력, 높은 열전도도, 낮은 기체투과도, 높은 기계적강도, 작은 무게와 부피, 가공용이성, 가격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들 조건 중에서 전기전도도, 내부식성, 내화학성, 열전도도, 기체투과도, 기계적강도, 밀도, 가공성은 재료에 따라 정해진다. 하지만, 같은 재료라 할지라도 바이폴라-플레이트에서 연료와 공기의 반응속도와 유로에 따라 흐름에 의한 유동손실이 달라지는데, 반응속도가 증가할수록 출력 즉, 연료전지 단위 면적당 전류량이 증가한다.
바이폴라-플레이트는 연료전지의 핵심부인 스택의 무게와 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바이폴라-플레이트의 유로는 경량, 소형, 저가의 연료전지를 제작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바이폴라-플레이트에서 연료 펌프와 공기 송풍기의 소비동력은 연료와 공기의 유동 압력손실에 비례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바이폴라-플레이트의 유로는 생산된 전력 중에서 연료전지의 운용 전력을 감소하여 연료전지의 총괄효율을 증대할 수 있으며, 바이폴라-플레이트에서 유동손실이 적은 구조는 물의 배수성의 증가에도 관련이 있어서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물의 처리에도 유리하다.
종래의 유로는 크게 평행유로(도 2 참조), 사형유로(도 3 참조) 및 인터디지테이트유로로 구분된다. 평행유로는 입구에서 평행하게 배치된 직선유로로 분해되고 출구로 빠져나온다. 이 유로의 이점은 입구와 출구 사이의 낮은 압력강하이며, 단점은 각 유로에서 흐름의 분배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일부 유로에서 물이 축적될 수 있고 유로가 막히는 경우 막힌 유로의 하류 영역에서 물질전달에 큰 손실이 있을 여지가 있다.
사형유로의 장점은 유로 중에 생성된 물의 제거능력이다. 사형유로는 입구와 출구사이 큰 압력강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연료전지 유지 동력이 증가하여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전기중 사용량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총괄 효율이 감소한다.
인터디지테이트 유로는 기체 확산층을 통하여 기체 반응물이 강제로 대류된다. 인터디지테이트 유로 역시 압력강하는 크지만 물 관리에 유리한 점이 있다.
바이폴라-플레이트 유로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70124호는 비대칭형 유로의 바이폴라-플레이트 구조를 개시하나 여전히 바이폴라-플레이트의 유동손실은 개선할 여지가 많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이폴라-플레이트에서의 반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연료와 공기의 흐름 저항은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유로 구조의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막-전극 접합체와 접하여 연료와 산화제의 유로를 제공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에 있어서,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유로 입구 및 유로 출구;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접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유로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구조는 상기 유로 입구와 상기 유로 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주 유로와, 상기 다수의 주 유로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주 유로보다 좁은 폭을 갖는 모세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주 유로는 상기 유로 입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후 서로 교차하지 않으면서 유로 출구에서 합류하며, 중간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구간에 형성된 다수의 분기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가 제공된다.
상기 모세 유로는 Y자로 분기되어서, 상기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는 상기 모세 유로로 둘러싸여서 형성되는 다수의 폐쇄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접촉하는 상기 폐쇄된 셀의 평균 면적이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접촉하는 상기 폐쇄된 셀의 평균 수력 직경이 1.5㎜ 이하일 수 있다.
상 막-전극 접합체와 평행한 평면 상에서 상기 폐쇄된 셀의 접촉면적/총면적의 비가 0.2 내지 0.8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플레이트는 막-전극 접합체의 단위 면적당 반응율 증가, 출력 증대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류밀도 증대하고, 고가의 막-전극 접합체의 사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증대하고, 아울러 무게를 감소하며, 유로방향으로 압력강하를 감소하여 시스템 압력을 낮추며, 이로 인한 기밀부하와 비용이 감소하고, 송풍기 또는 펌프의 소요동력은 감소하고, 물 공급 및 배출 능력을 증대하며, 정상 작동시간을 단축하고, 총괄 연료전지 효율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대표적인 연료전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평행유로 바이폴라-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종래의 사형유로 바이폴라-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막-전극 접합체와 바이폴라-플레이트가 접촉한 면에서 모세 유로에 의한 셀 단면적과 수력직경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6은 막-전극 접합체와 바이폴라-플레이트가 접촉한 면에서 수력직경에 대한 유로의 비와 총면적에 대한 접촉면적의 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막-전극 접합체와 바이폴라-플레이트가 접촉한 면에서 연료의 유로에 대하여 총면적에 대한 유동면적과 총저항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막-전극 접합체와 바이폴라-플레이트가 접촉한 면에서 산화제의 유로에 대하여 총면적에 대한 접촉면적과 총저항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는 바이폴라-플레이트의 유로가 1) 반응물 즉 (연료와 산화제 또는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고 반응된 생성물을 제거하고, (2)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모으는 작용을 하는 점과, 유로를 따라 막-전극 접합체 전체표면에 균일하게 연료와 산화제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것은 전체의 성능에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막-전극 접합체의 전체 표면에 대하여 평균 유로의 길이를 감소시키면 평균 농도차를 증가시켜 전류밀도를 높일 수 있고 전체 전류밀도 범위에서 셀의 성능을 높이고 전압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Y자로 복수 회 분기하는 유로에 의하여, 복수 개의 폐회로 구조(이하 셀)을 구성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 셀은 상기 바이폴라-플레이트에 형성된 유로로 둘러싸인 소정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셀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임의의 다각형 등 형상이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유로가 갈라지는 분기점에서 3 갈래인 Y자 분기, 4 갈래인 +분기, 5 갈래 이상의 다분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체의 유동은 분기점에서 여러 갈래로 나누어질수록 각 갈래 유로에 유량과 유동손실의 균형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또한 갈래의 수가 많을수록 흐름방향으로 유동손실이 증가한다. 따라서 한 유로에서 다른 유로로 분기되는 경우 3 갈래인 Y자 분기가 가장 유용하다. 그 대표적인 예가 식물의 잎맥이나 동물의 혈관 그리고 기관지이다. 따라서 분기를 Y분기를 수선으로 한다. 평면상의 분기인 식물의 잎맥을 예를 들 경우 전체 분기중 80% 이상이 Y분기 인 경우가 다수이다.
Y자로 분기된 유로는 일 지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기되며, 상기 분기된 유로의 80% 이상이 Y자로 분기된다. 즉, 본 발명은 단순 일방향 유로를 Y자 분지형 유로로 대신하며, 이를 통하여 매우 많은 흐름 선택권을 부여하고, 그물모양 폐회로를 구성을 통하여 흐름 방향으로 다수의 압력균형 점을 설정하여 흐름분배를 좋게 하고, 다단계 유로의 직경을 조합하여 셀의 수력직경을 감소하여 단위 면적당 반응율을 향상시킨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플레이트는 막-전극 접합체 단위 면적당 반응율 증가, 출력 증대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류밀도 증대하고, 고가의 고분자전해막 사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증대하고, 아울러 무게를 감소하며, 유로방향으로 압력강하를 감소하여 시스템 압력을 낮추며, 이로 인한 기밀부하와 비용이 감소하고, 휀 또는 펌프의 소요동력은 감소하고, 물 공급 및 배출 능력을 증대하며, 정상 작동시간을 단축하고, 총괄 연료전지 효율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는 일면에 형성된 유로 구조를 구비한다. 유로 구조는 바이폴라-플레이트의 서로 대향하는 두 모서리 각각에 형성된 유로 입구(111)와 유로 출구(112)의 사이에 형성된다. 유로 구조는 다수의 주 유로(113)와, 모세 유로(115)를 구비한다. 각 주 유로(113)는 유로 입구(111)와 유로 출구(112) 사이를 연결한다. 다수의 주 유로(113)는 유로 입구(111)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후 유로 출구(112)에서 합류한다. 그에 따라, 다수의 주 유로(113)는 서로 교차하지 않으면서 바이폴라-플레이트 일면의 전체 영역을 고르게 통과한다. 각 주 유로(113)는 중간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구간에 형성된 다수의 분기 유로(114a, 114b, 114c)를 구비한다. 분기 유로(114a, 114b, 114c)에 의하여 주 유로(113) 사이의 간격이 일정 폭 이하로 유지된다. 분기 유로(114a, 114b, 114c)는 분기되기 전과 합쳐진 후의 유로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분기 유로(114a, 114b, 114c)는 주 유로(113)에 포함되는 주 유로(113)의 하위 구성 요소가 된다.
모세 유로(115)는 분기 유로(114a, 114b, 114c)를 포함하는 주 유로(113)로부터 분기되어서 다른 주 유로(113)와 연결된다. 모세 유로(115)는 분기 유로(114a, 114b, 114c)보다 좁게 형성된다. 모세 유로(115)는 일 지점에서 복수 회로 Y자 분기하며, 분기된 모세 유로는 다시 다른 모세 유로(115)와 합류하여, 복수 개의 폐쇄된 셀로 이루어진 그물 구조(도 4에서는 육각 형태의 벌집 모양)의 셀을 이룬다. 본 발명의 범위는 도 4의 육각 구조의 벌집 형상의 셀 구조에 제한되지 않으면, 유로가 분기된 후, 합쳐지는 방식에 의하여 폐회로의 셀을 이루는 한, 다양한 형상의 셀 구조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분기 유로(114a, 114b, 114c)를 포함하는 주 유로(113)와 모세 유로(115)는 대부분 수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유로 구조는 분기된 복수 개의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유로는 다수의 폐 회로의 셀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에서의 압력구배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따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료전지의 전기화학 반응은 실제 바이폴라-플레이트의 전체 면적으로 분화되어 있는 모세 유로에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모세 유로에서의 전기화학 반응량은 모세 유로가 세분화될수록 증가한다. 여기에서 모세 유로의 최소 크기는 전기화학 반응에서 생성된 물이나, 수증기의 배출에 의하여 제한되며, 모세 유로에 연료와 산화제의 공급 또한 필요하다. 상기 연료와 산화제 공급은 주 유로와 보조 유로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주 유로와 보조 유로의 직경 또는 폭이 클수록 연료와 산화제의 공급에 유리하지만, 유속이 낮아지므로, 전기화학적 반응량은 감소하고 발생된 전자를 막-전극 접합체로 전달하는데 전기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주 유로를 지나는 연료 및 산화제의 안정된 유속 제어 및 또한 전기화학적 반응의 제어를 위한 모세 유로에 의한 셀 면적 제어가 필요하다.
도 5는 모세 유로에 의한 셀 단면적과 수력직경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5에서, 모세 유로(232)에 의하여 정의되는 복수 개의 셀(231)이 개시되는데, 상기 셀을 나누는 유로(232)는 소정 크기의 폭을 갖는다. 또한 상기 셀은 일정 크기의 면적(234)를 갖는다. 도 5에서 도면부호 '233'은 셀 주변 길이(P)를 의미한다.
도 6은 막-전극 접합체와 바이폴라-플레이트가 접촉한 면에서 수력직경에 대한 유로의 비와 총면적에 대한 접촉면적의 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막-전극 접합체와 바이폴라-플레이트가 접촉한 면에서 연료의 유로에 대하여 총면적에 대한 유동면적과 총저항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막-전극 접합체와 바이폴라-플레이트가 접촉한 면에서 산화제의 유로에 대하여 총면적에 대한 접촉면적과 총저항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유로에서 압력강하는 유로의 폭 (w)이 넓을수록 감소하며 길수록 증가한다. 유로에서의 물질전달은 고분자전해질막과 평행한 평면상의 셀의 평면수력직경이 감소할수록 반응 균일성도 좋고 반응량도 증가한다. 셀의 평면수력직경 (D h )은 (수력직경 = 4 x 셀단면적 (A cont ) / 셀 주변길이 (P))으로 정의한다.
셀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임의의 다각형 등 형상이 매우 다양하다. Y 갈래로 형성된 유로는 육각형 셀 형상이 가장 일반적이다. 수력직경에 대한 유로의 폭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평면적에 대한 셀의 면적은 감소한다. 한 변의 길이가 l 인 육각형 셀이라고 가정할 때 접촉 셀의 접촉면적/총면적의 비는
Figure 112013099628192-pat00001
이다.
전극접촉저항은 흐름판과 고분자전해질막과 셀의 접촉면적 (A cont )이 클수록 감소한다. 즉 셀의 접촉면적/ 총면적의 비가 증가할수록 유동면적은 감소하고 물직전달 과정의 대류저항은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연료제보다 산화제의 대류저항이 크며 이에 상응하는 유도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셀의 평면수력직경은 작을수록 성능에 유리하다. 제한 조건은 수력직경이 감소하면 물 처리능력이 감소하는 점이 있다. 경험에 의하며 셀 수력직경이 1.5 mm 이하가 적합하다.
또한, 막-전극 접합체와 접촉하는 상기 셀의 평균 면적이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의 접촉면적/ 총면적의 비는 연료와 산화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수소와 공기를 연료와 산화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간단한 모델에 의하면 이는 0.2 내지 0.8이 적합하다.
이상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11 : 유로 입구
112 : 유로 출구
113 : 주 유로
114a, 114b, 114c : 분기 유로
115 : 모세 유로

Claims (7)

  1. 막-전극 접합체와 접하여 연료와 산화제의 유로를 제공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에 있어서,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유로 입구 및 유로 출구;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접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유로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구조는 상기 유로 입구와 상기 유로 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주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주 유로는 상기 유로 입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후 서로 교차하지 않으면서 유로 출구에서 합류하며, 중간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구간에 형성된 다수의 분기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 구조는 상기 다수의 주 유로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주 유로보다 좁은 폭을 갖는 모세 유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세 유로는 Y자로 분기되어서, 상기 모세 유로로 둘러싸여서 형성되는 다수의 폐쇄된 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접촉하는 상기 폐쇄된 셀의 평균 면적이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접촉하는 상기 폐쇄된 셀의 평균 수력 직경이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평행한 평면 상에서 상기 폐쇄된 셀의 접촉면적/총면적의 비가 0.2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KR20130132150A 2013-11-01 2013-11-01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KR10148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150A KR101486168B1 (ko) 2013-11-01 2013-11-01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150A KR101486168B1 (ko) 2013-11-01 2013-11-01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168B1 true KR101486168B1 (ko) 2015-01-26

Family

ID=5259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2150A KR101486168B1 (ko) 2013-11-01 2013-11-01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1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962B1 (ko) * 2018-03-30 2019-10-0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CN112666462A (zh) * 2020-12-16 2021-04-16 上海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评估质子交换膜燃料电池pemfc性能的方法及装置
KR20230082450A (ko) * 2021-12-01 2023-06-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전해질막 수전해를 위한 산소 방출이 증가하는 동심원형 유로 및 이를 구비한 수전해 스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034A (ko) * 2004-11-13 2006-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직접액체연료전지 스택
KR100726893B1 (ko) 2006-01-12 2007-06-14 한국과학기술원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구조 및 유로형상, 이를 포함하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CN101267042A (zh) 2007-03-12 2008-09-1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公司 双极板流场中的流动通道的分叉
KR20090058220A (ko) * 2007-12-04 2009-06-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체저항부재가 구비된 dmfc용 스택 및 그 스택을사용하는 dmfc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034A (ko) * 2004-11-13 2006-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직접액체연료전지 스택
KR100726893B1 (ko) 2006-01-12 2007-06-14 한국과학기술원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구조 및 유로형상, 이를 포함하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CN101267042A (zh) 2007-03-12 2008-09-1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公司 双极板流场中的流动通道的分叉
KR20090058220A (ko) * 2007-12-04 2009-06-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체저항부재가 구비된 dmfc용 스택 및 그 스택을사용하는 dmfc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962B1 (ko) * 2018-03-30 2019-10-0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CN112666462A (zh) * 2020-12-16 2021-04-16 上海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评估质子交换膜燃料电池pemfc性能的方法及装置
KR20230082450A (ko) * 2021-12-01 2023-06-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전해질막 수전해를 위한 산소 방출이 증가하는 동심원형 유로 및 이를 구비한 수전해 스택
KR102638995B1 (ko) 2021-12-01 2024-02-2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전해질막 수전해를 위한 산소 방출이 증가하는 동심원형 유로 및 이를 구비한 수전해 스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463B1 (ko) 연료 전지용 유로 기판
KR20140084247A (ko) 혼류를 갖는 플로우 배터리
Xia et al. Effect of channel-rib width ratio and relative humidity on performance of a single serpentine PEMFC based on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WO2006121157A1 (ja) 燃料電池
JP2010533936A (ja) 燃料電池用バイポーラ板及び冷却板、該板を具備する燃料電池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798451B1 (ko) 연료전지 분리판과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스택 및 그반응가스 제어방법
CN112786913B (zh) 双极板及包含其的燃料电池
Bunmark et al. Assisted water management in a PEMFC with a modified flow field and its effect on performance
Liu et al. Maintaining equal operating conditions for all cells in a fuel cell stack using an external flow distributor
CN102637885A (zh) 冷却系统及燃料电池堆
US20100075186A1 (en) High performance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fuel cell
El-Zoheiry et al. Using multi-path spiral flow fields to enhance under-rib mass transport in direct methanol fuel cells
KR101486168B1 (ko)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US8163432B2 (en) Fuel cell
KR101092486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KR101315622B1 (ko) 분기유로를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KR101636613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이를 갖는 고온형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JP2010129482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燃料電池スタック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Lian et al.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a self-humidifying fuel cell using a fiber sintered sheet as flow field
JP2005056671A (ja) 燃料電池
CN202513237U (zh) 冷却系统及燃料电池堆
KR101486159B1 (ko)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KR102028962B1 (ko) 연료전지 바이폴라-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WO2018044236A1 (en) Flow frame for electrochemical cells
JP2004055220A (ja) 燃料電池のセパ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6